맨위로가기

고전적 현실주의 (국제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전적 현실주의는 국제 관계를 인간 본성에 대한 가정에 기반하여 설명하는 이론으로, 니콜로 마키아벨리, 토머스 홉스, 투키디데스 등의 사상에서 영향을 받았다. 이 이론은 인간의 이기심과 권력 추구, 그리고 국가 간의 갈등을 주요 특징으로 보며, 국가를 국제 관계의 가장 중요한 행위자로 간주한다. 고전적 현실주의는 권력의 균형을 중요한 분석 도구로 사용하며, 한스 모겐소의 '정치적 현실주의 6원칙'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이상주의와의 논쟁을 거쳐 신현실주의의 등장으로 그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했지만, 여전히 국제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각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적 현실주의 - 세력균형
    세력균형은 국제 관계에서 국가들이 패권국 출현을 막고 안보와 이익을 위해 동맹을 형성하거나 군사력을 증강하는 등 힘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역학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례가 존재하지만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완벽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다.
  • 정치적 현실주의 - 국가 간의 정치
    국가 간의 정치는 한스 모겐소가 국제 정치를 권력 투쟁으로 규정하고 국가 권력의 요소와 제한 방법, 세계 평화 실현 방안 등을 제시하며 국제 관계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하는 저서이다.
  • 국제관계론 - 다자주의
    다자주의는 여러 국가가 특정 원칙에 따라 협력하는 것으로, 강대국을 구속하고 소국에게 영향력을 부여하며 국제연합과 세계무역기구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지만, 최근 일방주의와 포퓰리즘 강화로 도전에 직면해 있다.
  • 국제관계론 -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은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사상을 기반으로 자본주의적 세계화가 국제 체제 불안정을 심화시킨다고 보며, 유물사관을 통해 국제 체제의 구조와 경제 역할을 강조하고, 다양한 갈래로 발전하여 주류 이론을 비판하며 불평등과 권력 구조 분석 및 사회 정의 실현을 모색한다.
고전적 현실주의 (국제 관계)
고전적 현실주의
분야국제 관계 이론
주요 학자투키디데스
한스 모겐소
에드워드 핼릿 카
레이몽 아롱
주요 개념세력 균형
국가 이익
도덕성
정의
정치적 합리성
대안 이론자유주의
구성주의
마르크스주의
비판 이론
역사적 맥락
기원고대 그리스
주요 저작펠로폰네소스 전쟁사 (투키디데스)
국가 간의 정치 (한스 모겐소)
이론적 특징
인간 본성에 대한 관점인간은 권력을 추구하며, 이기적이고 합리적이라고 가정한다.
국가 행동의 동기국가의 생존과 안보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세력 균형을 추구한다.
국제 체제의 특징무정부 상태이며, 국가 간 경쟁과 갈등이 불가피하다고 본다.
도덕과 윤리의 역할국가 이익을 우선시하며, 도덕은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주요 논쟁점
국가 이익의 정의국가 이익을 어떻게 정의하고 추구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도덕의 역할국제 관계에서 도덕의 역할과 한계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세력 균형의 효과세력 균형이 평화를 유지하는 데 효과적인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비판
지나친 비관주의국제 관계를 지나치게 비관적으로 묘사한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도덕 무시도덕과 윤리를 경시한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현실 설명력 부족복잡한 국제 관계 현상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2. 이론적 기원

고전적 현실주의는 투키디데스, 니콜로 마키아벨리, 토머스 홉스 등 서양 정치 사상가들의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49][50] 이들은 현대 고전적 현실주의 학파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이들의 저술은 이론 발전에 중요하게 여겨진다. 학자들은 이 사상가들이 현실주의적 견해를 어느 정도까지 지지했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여왔다.[51]

투키디데스니콜로 마키아벨리에 대한 내용은 각각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토머스 홉스의 "국제적 자연상태" 이론은 정부가 없는 세계는 무정부 상태로 이어진다는 개념에서 출발한다.[61]

2. 1. 투키디데스

투키디데스는 고대 아테네의 역사가(기원전 460년~기원전 400년)였다.[52] 투키디데스의 저술은 고전적 현실주의자들의 저술과 상당한 유사점을 지닌다. 멜로스 대화에서 투키디데스는 국가를 움직이는 것은 이기심과 국가 권력이며 이상주의적 주장은 이를 위장한다고 주장함으로써 국가의 도덕주의적 주장을 비판한다.[53] 그의 저술은 국제 관계 분야에서 중요한 토론 주제가 되었다.[54] 냉전 시기, 국제 관계 학자들은 미국과 러시아의 양극 체제와 아테네와 스파르타 사이의 갈등에 대한 그의 설명을 비교했고, 투키디데스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정점에 달했다. 러스턴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많은 미국 여론 형성자들(그리고 그들을 가르친 학자들이)은 투키디데스를 전형적인 냉전 정책 분석가로 읽었다."라고 설명하며 투키디데스가 국제 관계에 미친 영향을 보여주었다.[55]

2. 2. 니콜로 마키아벨리

니콜로 마키아벨리피렌체 공화국의 정치 이론가이자 외교관이었다(1469-1527).[56] 그의 저술은 당시 정치 이론의 전통에서 벗어났다.[57] 당시 정치 이론은 종교적 이상에 크게 영향을 받았지만, 군주론에서 그는 도덕과 정치의 분리를 옹호했다. 마키아벨리는 또한 사람들은 현실이 어떠해야 하는지가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권력 사용을 정당화했다. 마키아벨리의 저술은 서구 정치학에서 두드러지며, 이는 그의 저술이 자유주의적, 현실주의적 논쟁의 근원이 된 국제 관계 분야까지 확장되었다.[58]

2. 3. 토머스 홉스

토머스 홉스는 잉글랜드의 정치 철학자(1588-1679)였다.[59] 홉스는 국제 관계를 주된 관심사로 다루지는 않았지만, 인간 본성에 대한 묘사, 국가와 무정부 상태에 대한 이론, 권력 투쟁으로서의 정치를 강조함으로써 고전적 현실주의 이론에 영향을 주었다.[60]

홉스의 "국제적 자연상태" 이론은 정부가 없는 세계는 무정부 상태로 이어진다는 개념에서 출발한다.[61] 이는 사회가 형성되기 전 사람들의 삶과, 질서와 잠재적 평화를 위해 자연권 또는 자유를 제한하는 사회의 역할을 다룬 홉스의 "자연 상태" 개념을 확장한 것이다. 국제 사회가 부재하기 때문에 국제 시스템은 영구적인 무정부 상태로 이해된다. 마이클 스미스는 "[홉스]의 자연 상태가 현실주의 사상의 정의적 특징"이며, "전쟁 상태로서의 국제 자연 상태에 대한 그의 개념은 스스로를 현실주의자라고 부르는 거의 모든 사람이 공유한다"고 설명한다.[62]

3. 주요 가정과 이론

고전적 현실주의는 국제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몇 가지 핵심적인 가정을 제시한다.


  • 인간 본성: 고전적 현실주의는 인간 본성에 대해 비관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다. 개인은 주로 자기 이익에 따라 행동하며, 도덕이나 윤리보다는 힘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고 본다. 토머스 홉스는 두려움과 공격성을 인간의 기본적인 동기로 설명했다.[65]
  • 국가의 역할: 국가는 국제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행위자로 간주된다. 고전적 현실주의는 국가를 국제 체제보다 존재론적으로 더 중요하게 여기며, 국가의 변화가 국제 체제의 변화를 가져온다고 믿는다. 그러나 국가는 단일체가 아니며, 국가와 사회의 관계, 국제 규범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
  • 힘의 추구: 국가는 안보와 생존을 위해, 그리고 두려움, 명예, 영광 등 다양한 이유로 힘을 추구한다. 고전적 현실주의는 이러한 힘의 추구가 인간 본성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한다.
  • 세력 균형: 세력 균형은 현실주의 이론의 핵심 분석 도구이다. 국가는 다른 국가에 의해 지배당하지 않기 위해 힘을 추구하며, 이는 강대국 간의 경쟁과 균형을 초래한다. 또한, 국가는 동맹 등을 통해 의도적으로 세력 균형을 만들려고 노력한다.


한스 모건소는 그의 저서 "국가 간의 정치(Politics between Nations)"에서 '정치적 현실주의의 6가지 원칙'을 제시했다.[74][75] 이 원칙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번호내용
1국제 정치는 인간 본성에서 파생된 법칙에 의해 지배된다.[77]
2국익은 권력으로 정의되며, 권력 분석을 통해 국익 추구가 가능하다.[78]
3정치적 행동의 도덕적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성공적인 정치는 때로 부도덕을 필요로 한다.[79]
4특정 국가의 도덕을 보편적 도덕과 동일시하지 않는다.



모건소의 이론은 1959년 톰슨에 의해 "국제 정치 문헌의 대부분은 모건소와 그의 비평가 사이의 대화"라고 평가될 정도로 국제 관계와 고전적 현실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76]

3. 1. 인간 본성

고전적 현실주의는 인간 본성에 대한 가정을 통해 국제 관계를 설명한다.[63] 이 이론은 인간 행동에 대해 비관적이며, 개인은 주로 자기 이익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고, 더 높은 도덕적 또는 윤리적 열망에 의해서는 아니라고 강조한다. 국가의 행동은 기본적인 원초적 감정에 의해 결정된다고 이론화되어 있는데,[64] 예를 들어 토머스 홉스는 두려움이나 공격성을 근본적인 동기로 묘사했다.[65] 인간 본성은 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경계 안에 있을 때만 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45] 고전적 현실주의는 인간 본성에 대한 비관적인 견해를 취하지만, 일부는 인간 본성의 주요 측면으로서 이기심과 생존에 대한 욕망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다른 이들은 인간이 본질적으로 잔인하고 이기적이며, 야만적인 것에 초점을 맞춘다.[66]

고전적 현실주의자들은 전쟁권력 추구가 인간 본성의 결과라고 설명한다.[68] 인간 본성 안에는 국가가 권력을 축적하도록 하는 권력에 대한 욕망이 있다는 이론이 있다.[69] 국가는 안보와 생존을 위해 권력을 추구하려는 동기가 있을 뿐만 아니라 두려움, 명예, 영광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거나 단순히 권력 자체를 추구할 수도 있다.[70][71]

한스 모건소는 저서 '국가 간의 정치(Politics between Nations)'에서 "정치는 인간 본성에 뿌리를 둔 객관적인 법칙에 의해 지배된다"고 주장한다.[74] 국제 정치는 인간 본성에서 파생된 법칙에 의해 규율되며,[77] 국익은 권력으로 정의된다.[78] 또한, 정치적 현실주의는 특정 국가의 도덕을 보편적 도덕과 동일시하지 않는다.[79]

3. 2. 국가의 역할

고전적 현실주의는 국가를 국제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분석 단위로 본다. 국제 체제의 구조보다 국가를 존재론적으로 더 중요하게 여기며, 국가 행위자에게 상당한 영향력을 부여한다.[67] 이에 따라 국가가 변화하면 국제 체제도 변화한다고 믿는다. 이는 국가를 객관적으로 국익을 추구하는 합리적 행위자로 보는 신현실주의 이론과는 대조적이다.[24]

고전적 현실주의자들은 국가를 단일체로 보지 않으며, 국가와 사회의 관계 및 국제 규범에 의해 국가가 형성된다는 점을 인정한다.[24] 이러한 국가 개념 때문에 국가의 활동을 단순히 국익을 위한 합리적인 추구로만 보지 않는다.

고전적 현실주의는 국가 간 갈등권력 추구가 인간 본성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한다.[68] 인간 본성에는 국가가 권력을 축적하게 만드는 권력에 대한 욕망이 존재한다고 본다.[69] 국가는 안보와 생존을 위해 권력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두려움, 명예, 영광 때문에, 또는 단순히 권력 자체를 추구하기도 한다.[70][71]

국제 체제를 분석할 때, 고전적 현실주의자들은 수정주의 국가와 현상 유지 국가를 구분한다.[25] 이는 어떤 국가가 새로운 국제 질서를 만들려고 하는지, 이것이 국제 안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것이 공격 행위 또는 전쟁의 원인이 되는지를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이는 국가를 단일체로 보아 국제 체제에서 국가의 공격성을 설명할 때 수정주의의 역할을 고려하지 않는 신현실주의 이론과 대조된다.

3. 3. 권력 추구

고전적 현실주의는 국가 간의 갈등과 권력 추구가 인간 본성의 결과라고 설명한다.[68] 인간 본성에는 국가가 권력을 축적하도록 하는 권력에 대한 욕망이 있다는 이론이 있다.[69] 국가는 안보와 생존을 위해 권력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두려움, 명예, 영광에 의해 동기 부여를 받거나, 단순히 권력 자체를 위해 권력을 추구할 수도 있다.[70][71]

국가는 인간 본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무정부적인 국제 체제는 권력 추구의 근본 원인이 아니라 오히려 촉진 요인으로 여겨진다. 국가의 권력 추구를 설명하는 데 있어 고전적 현실주의는 이후의 이론들이 인간 본성에 대한 가정을 덜 강조하고 국제 체제의 구조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뚜렷하게 구분된다.[29] 신현실주의 학자들은 국가가 안보를 추구하며, 권력 추구를 안보를 창출하는 수단으로 설명하는데, 이는 고전적 현실주의 이론과 대조된다.[30]

현대 국제 관계 학자들은 고전적 현실주의자들이 권력 추구가 자기 보존의 방법이 아닌, 고유한 생물학적 욕구인지에 대해 논쟁했다.[3]

3. 4. 세력 균형

세력 균형은 현실주의 이론에서 사용되는 핵심적인 분석 도구이다.[31] 고전적 현실주의에서 세력 균형에는 두 가지 핵심적인 측면이 있다.[32] 첫째, 세력 균형은 여러 국가가 다른 국가를 지배하기 위해 끊임없이 힘을 추구하면서 발생하는 열강 경쟁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이해되며, 이는 균형으로 이어진다. 둘째, 세력 균형은 동맹과 같은 이념적 또는 물질적 힘을 사용하여 균형을 창출하려는 국가들의 노력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현실주의자들은 세력 균형이 다른 국가에 의해 지배당할 수 없게 만들고, 승리할 수 없는 분쟁이나 전쟁에 국가가 참여할 가능성을 줄여 안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고 본다.

현실주의자들은 또한 세력 균형이 "안보 딜레마"로 이어진다고 이론화한다.[33] 안보 딜레마는 한 국가가 자국을 방어하고 안보를 창출하기 위해 국력을 증강하지만, 이는 다른 국가들이 국력을 증강하도록 유도하여 양측이 갈등을 원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국방력을 증강하는 악순환을 초래하는 시나리오이다. 고전적 현실주의자들은 인간 본성에 대한 비관적인 이해, 즉 자아 중심적인 인간 본성이 국가가 끊임없이 힘을 갈망하게 만든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이 과정의 불가피성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34] 이는 안보 딜레마가 불가피한 것이 아니라 종종 자기 충족적 예언이라고 강조하는 신현실주의자들과 대조된다.[35]

4. 한스 모겐소의 정치적 현실주의 6원칙

한스 모겐소의 저서 『국가 간의 정치』 제2판에는 "정치적 현실주의의 여섯 가지 원칙"이라는 섹션이 포함되어 있다.[74][75] 1959년 톰슨은 한스 모겐소가 국제 관계 및 고전적 현실주의에 기여한 바를 "국제 정치학의 많은 문헌은 모겐소와 그의 비평가들 간의 명시적이거나 암묵적인 대화이다."라고 묘사했다.[76] 모겐소의 정치적 현실주의 여섯 가지 원칙(의역)은 다음과 같다.[74]


  • 국제 정치는 인간 본성에서 파생된 법칙에 의해 지배된다.[77]
  • 현실주의는 권력을 분석하며, 권력은 국익 추구를 가능하게 하며, 국익은 권력으로 정의된다는 의미이다.[78]
  • 현실주의는 정치적 행동의 도덕적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성공적인 정치에는 부도덕성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인식한다.[79]
  • 정치적 현실주의는 특정 국가의 도덕성을 보편적 도덕성과 동일시하지 않는다.[23]

5.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논쟁

1920년대와 1930년대에 국제 관계에서 현실주의자와 이상주의자 간의 "최초의 거대한 논쟁"이 발생했다.[40] 그러나 일부 현대 역사가들은 이러한 주장이 더 광범위한 논의를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이라고 지적한다.[41]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시기에는 자유주의가 국제 관계 이론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이었지만, 고전적 현실주의 이론가들이 이에 도전했다.[3] E. H. 카의 저서 ''20년의 위기'' 출간은 이 시기 고전적 현실주의의 핵심 주장으로 여겨진다.[11] 카는 국제 관계에 대한 유토피아적, 이상주의적 관점, 그리고 국제 연맹의 가치와 성공에 반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관계 시스템이 전쟁을 예방하는 데 실패하면서 많은 이들은 이를 현실주의 이론의 승리로 보았다.

6. 신현실주의와 고전적 현실주의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국제 관계의 "두 번째 거대 논쟁"이 벌어졌다.[42] 행태주의 혁명 이후 학자들은 국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보다 경험적인 방법론을 만드는 데 새로운 중점을 두기 시작했다. 신현실주의 학자들은 고전 현실주의 학자들이 과학적 이론으로 간주될 수 있는 증거 기준이 부족한 방법론을 만들어냈다고 비판했다.[43] 고전 현실주의자들이 인간 본성을 국제 시스템을 설명하는 주요 형태로 강조했지만, 신현실주의자들은 국제 구조를 강조했다. 케네스 월츠의 저서 《국제정치이론》(''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은 국제 무정부 상태가 국제 정치의 핵심 요소라고 주장하면서 이 논쟁에서 중요한 텍스트였다.[7] 이 시대 이후 고전 현실주의 교리는 신현실주의에 밀려 덜 두드러지게 되었다.[11]

참조

[1] 서적 An Unwritten Future: Realism and Uncertainty in World Poli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
[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nternational Relations
[3] 서적 Realis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http://www.loc.gov/c[...]
[4] 서적 Realism Reconsidered: The Legacy of Hans Morgenthau in International Relations OUP Oxford 2007
[5] 서적 An Unwritten Future: Realism and Uncertainty in World Poli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
[6] 간행물 Classical realism, Freud and human nature in international relations 2010-04
[7] 서적 Political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From Thucydides to the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8]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9] 서적 The Realist Tradition and the Limits of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0] 서적 Thucydides Bloomsbury Publishing 2015
[11] 웹사이트 Political Real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
[12] 서적 The Tragic Vision of Politics
[13] 서적 Thucydides OUP Oxford 2009
[14] 문서 Niccolò Machiavelli Encyclopedia of Britannica 2020-04-29
[15] 서적 Machiavelli's The Prince : a reader's guide Bloomsbury Academic
[16] 서적 Hume and Machiavelli: Political Realism and Liberal Thought Lexington Books 2004
[17] 문서 Thomas Hobbes 2019
[18] 간행물 Hobbe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 Reconsideration 1996
[19] 서적 Realist thought from Weber to Kissinger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20] 간행물 Elder Abuse: How the Moderns Mistreat Classical Realism1: Elder Abuse 2011-06
[21] 간행물 Realism: rational or reasonable? 2012-07
[22] 간행물 Theory of Irrational Politics: Classical Realist Lessons on Foreign Policy Analysis 2021-12-15
[23] 서적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A.A. Knopf
[24] 서적 The Stat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5] 간행물 Neorealism's status‐quo bias: What security dilemma? 1996-03
[26] 서적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27] 간행물 The Economic Sins of Modern IR Theory and the Classical Realist Alternative 2015-01
[28] 서적 The Tragic Vision of Politics
[29] 서적 The Realist Tradition and the Limits of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0] 서적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79
[31] 문서 "The Timeless Wisdom of Re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문서 Hans J. Morgenthau's Politics Among N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서적 Key Concepts in International Relations
[34] 서적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6th ed' McGraw Hill
[35] 간행물 The Security Dilemma: A Conceptual Analysis 2009-09-18
[36] 논문 Morgenthau vs. Morgenthau? 'The Six Principles of Political Realism' in Context 2009-08-11
[37] 서적 The Year Book of World Affairs https://books.google[...] Stevens 1959
[38] 논문 "Pouvoir, puissance, and politics: Hans Morgenthau's dualistic concept of power?" https://pure.coventr[...] 2014-04
[39] 논문 The Moral Politics of Hans Morgenthau 1996
[40]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First Great Debate 2023-01
[41] 논문 Did the Realist-Idealist Great Debate Really Happen? a Revisionist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2002-04
[42] 서적 "The Power of Power Politics: from Classical Realism to Neo-tradition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논문 Structural Realism, Classical Realism and Human Nature http://eprints.lse.a[...] 2009-06
[44] 간행물 "The Oxford Handbook of International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Realis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서적 "Realism reconsidered the legacy of Hans Morgenthau in international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47] 웹사이트 "Political Real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2018
[48] 웹사이트 "Classical Realism, Freud and Human Nature in International Relations."
[49] 서적 "Political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from Thucydides to the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50] 서적 Classical Realism https://www.oxfordpo[...]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2-11
[51] 서적 The Realist Tradition and the Limits of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52] 서적 Thucydides Bloomsbury Publishing Plc
[53] 웹사이트 "Political Real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2018
[54] 서적 The Tragic Vision of Politics : Ethics, Interests and Ord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서적 Thucydides Oxford University Press, Incorporated
[56] 웹사이트 Niccolò Machiavelli 2020-04-29
[57] 서적 Machiavelli’s The Prince : a reader’s guide Bloomsbury Academic
[58] 서적 Hume and Machiavelli: Political Realism and Liberal Thought Lexington Books
[59] 웹사이트 Thomas Hobbes 2019
[60] 웹사이트 "Political Real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2018
[61] 논문 Hobbe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 reconsideration
[62] 서적 Realist thought from Weber to Kissinger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63] 서적 "Realis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4] 저널 Theory of Irrational Politics: Classical Realist Lessons on Foreign Policy Analysis 2021
[65] 서적 "Realism reconsidered the legacy of Hans Morgenthau in international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66] 서적 "Political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from Thucydides to the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67] 간행물 The Stat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8] 웹사이트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Macmillan Education UK
[69] 서적 "Realism reconsidered the legacy of Hans Morgenthau in international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70] 저널 The Economic Sins of Modern IR Theory and the Classical Realist Alternative https://www.jstor.or[...] 2015
[71] 서적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2] 서적 The Timeless Wisdom of Re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73] 서적 Hans J. Morgenthau's Politics Among N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74] 서적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A.A. Knopf 1948
[75] 논문 Morgenthau vs. Morgenthau? “The Six Principles of Political Realism” in Context 2009
[76] 간행물 American Approaches to International Politics, The Year Book of World Affairs Frederick A. Praeger 1959
[77] 서적 Realis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78] 논문 Pouvoir, puissance, and politics: Hans Morgenthau's dualistic concept of power? 2014
[79] 논문 The Moral Politics of Hans Morgenthau 19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