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 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창군 을은 과거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고창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했으며,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창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백관수, 신용욱, 홍순희, 김상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창군의 정치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 고창군의 정치 - 고창군·부안군 (2000년 선거구)
고창군·부안군 선거구는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창군과 부안군이 통합되어 신설된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하다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산시 (2000년 선거구)
군산시 (2000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군산시 갑,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하다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고창군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고창군 을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전라북도 |
연도 | 1948년 |
폐지 | 1963년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고창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창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고창군 아산면, 해리면, 심원면, 흥덕면, 성내면, 신림면, 부안면을 관할했다.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한국민주당 백관수 후보가 67.5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신용재 후보는 17.27%, 무소속 박홍근 후보는 15.18%를 득표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창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고창군 단독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wikitext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신용욱 | 무소속 | 6,360 | 18.02% |
백관수 | 민주국민당 | 6,098 | 17.28% |
박홍근 | 무소속 | 5,678 | 16.09% |
홍순희 | 무소속 | 4,821 | 13.66% |
강석동 | 무소속 | 2,750 | 7.79% |
박주황 | 무소속 | 2,700 | 7.65% |
원성용 | 무소속 | 2,500 | 7.08% |
서정천 | 무소속 | 1,326 | 3.75% |
이용우 | 무소속 | 1,150 | 3.25% |
김봉수 | 대한국민당 | 1,022 | 2.89% |
김우성 | 무소속 | 879 | 2.49% |
총합 | 35,284 | 100% |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신용욱 후보가 55.4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홍순희 | 민주당 | 15,321 | 51.30% | |
신용욱 | 자유당 | 14,543 | 48.69% | |
합계 | 29,864 | 100% |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상흠 | 무소속 | 7,648 | 24.09 |
김효남 | 무소속 | 6,792 | 21.40 |
신용욱 | 무소속 | 5,907 | 18.61 |
이형연 | 민주당 | 4,736 | 14.92 |
홍순희 | 무소속 | 4,636 | 14.60 |
원영희 | 무소속 | 2,016 | 6.35 |
합계 | 31,735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