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버섯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대버섯(Amanita muscaria)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버섯으로, 붉은색 갓에 흰색 반점이 특징이다. 학명은 *Amanita muscaria*이며, '파리버섯'으로도 불린다. 명칭은 우유에 넣어 파리를 잡는 데 사용된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광대버섯은 광대버섯속의 모식종이며, 여러 아종과 변종으로 나뉜다. 이보텐산, 무스시몰, 무스카린 등의 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섭취 시 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환각 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과거 시베리아 등지에서는 환각제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식용, 환각제, 파리 잡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대중문화에서는 행운의 상징이나 환각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소재로 활용된다. 한국에서는 독버섯으로 알려져 있으며,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향정신성 균류 - 맥각균
맥각균은 곡물에 기생하여 맥각 중독을 일으키는 곰팡이의 일종이며, 맥각 알칼로이드는 혈관 수축, 환각 등을 유발하고 의학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향정신성 균류 - 환각버섯
환각버섯은 실로시빈을 함유하여 환각 효과를 일으키는 버섯으로, 종교 의식 등에 사용되었으며, 섭취 시 다양한 심리적 변화를 경험할 수 있고, 한국에서는 마약류로 규제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치료 목적으로 사용이 허용되는 추세이다. - 광대버섯속 - 독우산광대버섯
독우산광대버섯은 유럽과 북아시아에 분포하며 흰색 갓, 자루, 턱받이를 가진 맹독성 버섯으로, 아마톡신과 팔로톡신을 함유하여 섭취 시 심각한 중독을 일으키고 사망에 이를 수 있으며, 효과적인 해독제는 없다. - 광대버섯속 - 달걀버섯
달걀버섯은 여름에서 가을 사이 혼합림 내 지상에서 발견되는 외생균근균으로, 적황색 또는 등황색 갓과 뱀 껍질 모양의 등황색 또는 황색 대를 가지며, 활엽수, 침엽수와 균근을 형성하고 동아시아, 북미 등지에 분포하지만, 중국 변종은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고 독우산광대버섯과 혼동될 수 있다. - 1753년 기재된 균류 - 곰보버섯
봄에 발견되는 곰보버섯은 벌집 모양 굴곡이 있는 식용 버섯으로, 생으로 섭취 시 독성이 있지만 익혀 먹으면 독특한 풍미를 즐길 수 있으며, 유럽과 북미에서 널리 식용되고 최근 인공 재배 연구가 활발하다. - 1753년 기재된 균류 - 말뚝버섯
말뚝버섯은 초여름부터 가을에 숲에서 자라는 악취를 풍기는 갓과 자루 형태의 버섯으로, 썩은 고기 냄새로 파리 등을 유인해 포자를 퍼뜨리며 식용, 약용, 문화적 상징으로 활용된다.
광대버섯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학명 | Amanita muscaria |
명명자 | (L.) Lam. (1783) |
이명 | Agaricus muscarius |
영어 이름 | Fly Agaric |
한국어 이름 | 베니테 광대버섯 |
분류 | |
계 | 균계 |
문 | 담자균문 |
아문 | 하라타케아문 |
강 | 하라타케강 |
아강 | 하라타케아강 |
목 | 주름버섯목 |
과 | 광대버섯과 |
속 | 광대버섯속 |
아종 및 변종 | |
하위 분류 | A. muscaria var. alba A. muscaria subsp. flavivolvata Singer A. muscaria var. guessowii Veselý A. muscaria var. inzengae Neville & Poumarat |
형태학적 특징 | |
갓 모양 | 볼록함, 평평함 |
주름살 | 자유 |
자루 특징 | 턱받이와 컵 |
자실층 형태 | 주름 |
포자 무늬 색깔 | 흰색 |
생태 | |
생태적 유형 | 균근성 |
식용 | |
식용 여부 | 독성 |
기타 효과 | 환각성 |
이미지 | |
![]() |
2. 명칭
한국에서는 광대버섯, 파리버섯, 또는 붉은파리버섯 등으로 불린다. 학명은 ''Amanita muscaria'' (L.) Lam.이다.
''Amanita muscaria''는 이 속의 모식종이다. 따라서 이는 ''Amanita'' 아속 ''Amanita''뿐만 아니라, 이 아속 내의 절 ''Amanita''의 모식종이기도 하다. ''Amanita'' 아속 ''Amanita''는 비아밀로이드 포자를 가진 모든 ''Amanita'' 종을 포함한다. ''Amanita'' 절 ''Amanita''는 파편적인 전체 막 잔해를 특징으로 가지는데, 이는 일련의 동심원 형태로 축소된 내피막과 갓 표면에 반점이나 사마귀 형태로 나타나는 막 잔해를 포함한다. 이 그룹의 대부분 종들은 또한 구근 모양의 기부를 가지고 있다.[18][19] ''Amanita'' 절 ''Amanita''에는 ''A. muscaria''와 그 근연종들이 속하며, 주요 근연종으로는 A. pantherina(표범버섯), A. gemmata, A. farinosa, 그리고 A. xanthocephala가 있다.[20] 현대 균류 분류학자들은 주로 거시적인 형태와 포자의 비아밀로이드성 특징을 기반으로 ''Amanita muscaria''와 그 동족들을 분류해왔다. 최근 두 건의 분자 계통 발생 연구는 이러한 전통적인 분류 방법이 자연 분류 체계와 일치함을 확인시켜 주었다.[21][22]
영어 이름 'fly agaric'이나 'fly amanita', 프랑스어 이름 'Amanite tue-mouches'(파리 죽이는 광대버섯), 러시아어 이름 'Мухомор красный'(붉은 파리 버섯) 등 많은 유럽 언어에서의 이름은 이 버섯을 우유에 담가 살충제로 사용했던 관행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행은 게르만어권(영국 제외)과 슬라브어권 유럽 지역, 프랑스 보주 산맥(Vosges Mountains) 등지에서 기록되었다.[6] 알베르투스 마그누스(Albertus Magnus)는 1256년 이전에 쓴 그의 저서 ''식물에 관하여(De vegetabilibus)''에서 "vocatur fungus muscarum, eo quod in lacte pulverizatus interficit muscas|파리버섯이라고 불리는데, 우유에 가루로 만들어 파리를 죽이기 때문이다lat"라고 처음 기록했다.[7][8] 16세기 플랑드르의 식물학자 카롤루스 클루시우스(Carolus Clusius)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이 관행을 확인했고,[9] 분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칼 폰 린네(Carl Linnaeus)는 어린 시절 스웨덴 남부 스몰란드(Småland)에서 이를 목격했다고 보고했다.[10]
린네는 1753년 그의 저서 ''식물의 종(Species Plantarum)'' 2권에서 이 버섯을 ''Agaricus muscarius''라고 명명했는데,[11] 종소명 ''muscarius''는 라틴어로 파리를 뜻하는 'musca'에서 유래했다.[12] 1783년 장바티스트 라마르크(Jean-Baptiste Lamarck)가 이를 광대버섯속(Amanita)으로 옮기면서 현재의 학명 ''Amanita muscaria''를 얻게 되었다. 이후 균류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스웨덴의 엘리아스 마그누스 프리스(Elias Magnus Fries)가 1821년에 이를 승인했다. 과거에는 모든 균류의 명명 시작일을 프리스의 저서 발행일인 1821년 1월 1일로 보아 ''Amanita muscaria'' (L.:Fr.) Hook로 표기하기도 했으나, 1987년 국제식물명명규약(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 개정으로 균류 이름의 시작일이 린네의 저서 발행일인 1753년 5월 1일로 변경되면서,[13] 현재는 린네와 라마르크가 ''Amanita muscaria'' (L.) Lam.의 정식 명명자로 인정받는다.
영국의 균류학자 존 램스보텀(John Ramsbottom)은 영국과 스웨덴에서 이 버섯이 벌레 퇴치에 사용되었으며, 'bug agaric'(벌레 주름버섯)이라는 이름도 있었다고 보고했다.[3] 반면, 프랑스의 균류학자 피에르 뷜리야르(Jean Baptiste François Pierre Bulliard)는 1784년 저서 ''Histoire des plantes vénéneuses et suspectes de la France|프랑스의 독성 및 의심스러운 식물에 대한 역사fra''에서 파리 살충 효과를 재현하지 못했다고 보고하며 ''Agaricus pseudo-aurantiacus''라는 다른 이름을 제안하기도 했다.[14] 이 버섯에서 분리된 1,3-디올레인(1,3-di(cis-9-octadecenoyl)glycerol)이라는 화합물은 곤충을 유인하는 효과가 있다.[3] 일각에서는 파리가 이 버섯의 독성 때문에 의도적으로 찾는다는 가설도 제기되었다.[15]
다른 설에 따르면, 이름의 'fly-'가 곤충 파리가 아니라 버섯 섭취 후 나타나는 헛소리(delirium) 상태를 의미한다고 한다. 이는 중세 시대에 파리가 사람 머릿속에 들어가 정신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16] 여러 지역 이름이 이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예를 들어 카탈루냐어의 'oriol foll'(미친 오리올), 프랑스 툴루즈의 'mujolo folo', 남부 프랑스 아베롱 지역의 'concourlo fouolo|미친 콩쿠르로fra', 이탈리아 트렌티노의 'ovolo matto|미친 버섯ita' 등은 모두 귀한 식용 버섯인 황금빛광대버섯(Amanita caesarea)과 비교하여 '미친' 또는 '바보의' 버섯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스위스 프리부르의 지역 방언 이름은 'tsapi de diablhou'(악마의 모자)로 번역된다.[17]
일본어 이름인 '베니텐구타케(ベニテングタケ)'는 '붉은(베니) 텐구(天狗) 버섯(타케)'이라는 뜻이다. 갓의 붉은색과 독성 때문에 상상 속 요괴인 텐구를 연상시키고, 붉은 갓 표면을 텐구의 얼굴에 비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파리잡이에 사용된 것에서 유래한 '하에토리타케(ハエトリタケ, 파리잡이 버섯)'가 있으며, 지역에 따라 아카하에토리(アカハエトリ, 아오모리현 등), 아시타카베니타케(アシタカベニタケ), 아네코다케(アネコダケ), 하에토리(ハエトリ) 등으로도 불린다.
3. 분류
4. 변종
''Amanita muscaria''는 형태적으로 상당한 변이를 보여주며, 여러 아종이나 변종으로 분류되어 왔다. 독일의 균학자 롤프 징거는 그의 저서 ''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my''에서 ''A. muscaria'' ssp. ''muscaria'', ''A. muscaria'' ssp. ''americana'', ''A. muscaria'' ssp. ''flavivolvata''의 세 아종을 제시하기도 했다.[18]
2006년 요제프 젬(József Geml) 등이 수행한 분자계통발생학 연구에서는 ''A. muscaria''의 여러 지역 개체군 분석을 통해 크게 유라시아, 유라시아 "아고산", 북미 개체군을 나타내는 세 개의 뚜렷한 분지군이 확인되었다. 알래스카에서는 세 분지군 모두에 속하는 표본이 발견되어, 광대버섯의 다양화 중심지가 알래스카였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이 연구는 또한 네 가지 주요 변종(var. ''alba'', var. ''flavivolvata'', var. ''formosa'' (var. ''guessowii'' 포함), var. ''regalis'')을 조사했는데, 이들 모두 유라시아와 북미 분지군 양쪽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이러한 형태적 차이가 별개의 아종이나 변종이라기보다는 다형성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31] 2008년 후속 분자 연구에서는 이 세 유전 집단 외에도 미국 남동부 참나무-피칸-소나무 숲 관련 집단과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섬의 두 집단이 유전적으로 구별되어 별개의 종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따라서 현재 ''A. muscaria''는 여러 종이 포함된 은폐종 복합체로 여겨진다.[32] 이 복합체에는 현재 별개의 종으로 취급되는 ''Amanita breckonii'' (태평양 북서부 침엽수림 관련, 누런색 갓),[33] ''Amanita gioiosa'' 및 ''Amanita heterochroma'' (갈색 갓, 각각 지중해 분지와 사르데냐에서 유칼립투스 및 시스투스 나무와 관련하여 발견됨) 등 밀접하게 관련된 분류군들도 포함된다.[36][34][35]
''Amanitaceae.org'' 웹사이트는 네 가지 변종을 인정하지만, 가까운 미래에 이들을 별도의 분류군으로 취급할 가능성을 언급했다.[1] 주요 변종들은 다음과 같다.
5. 분포 및 생태
광대버섯(''A. muscaria'')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cosmopolitan) 버섯으로, 북반구의 온대 및 냉온대 지역의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에 자생한다.[3] 여기에는 힌두쿠시 산맥, 지중해, 중앙아메리카 등 따뜻한 지역의 고지대도 포함된다. 최근 분자 연구에 따르면, 제3기(Tertiary)에 시베리아-베링기아 지역에서 기원하여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로 퍼져 나갔다고 추정된다.[3][148] 유전자 연구 결과, 광대버섯에는 유라시아 집단, 유라시아 고산형 집단, 북아메리카 집단 등 여러 그룹이 존재하며, 이 그룹들은 서로 유전적 교류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북극 지역에서 전 세계로 퍼져나가 각 그룹별로 유전적 진화를 거쳤음을 시사한다. 유라시아 대륙산과 아메리카 대륙산은 변종으로 취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광대버섯은 외생균근성 버섯으로, 소나무, 참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자작나무, 삼나무 등 다양한 나무의 뿌리와 공생 관계를 형성한다. 나무의 뿌리와 외생균근을 형성하여 영양분과 항생물질 등을 교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자작나무 숲의 나무 그늘에서 많이 발생하며, 한랭 지역에서는 전나무나 가문비나무 같은 소나무과 침엽수림에서도 발견된다. 공생하는 수종이 주로 한랭지형 수종이기 때문에, 온난한 지역에서는 보기 드물다. 한국에서는 주로 중부 지방 이북의 고산 지대나 서늘한 지역, 특히 자작나무 숲에서 발견되며 남부 지방에서는 발견 빈도가 낮다.
결실 시기는 기후에 따라 다르며, 한국에서는 주로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발생한다. 북아메리카 대부분 지역에서는 여름과 가을에 결실하지만, 태평양 연안에서는 늦가을과 초겨울에 결실한다. 이 종은 종종 '''흰우단버섯(Boletus edulis)'''과 비슷한 장소에서 발견되며, 요정의 원(fairy ring)을 형성하기도 한다.[40] 드물게 나거나 한 줄로 늘어서서 균륜을 이루기도 한다.
원래 남반구에는 분포하지 않았으나, 20세기 초 북반구의 수종을 조림하는 과정에서 소나무 묘목과 함께 토양에 섞여 들어가 오스트레일리아,[41] 뉴질랜드,[42] 남아프리카 공화국[43] 및 남아메리카(브라질의 파라나, 상파울루주, 미나스제라이스주, 리우그란데두술주)[44] 등 남반구로 널리 퍼져나갔다.[3] 도입된 나무 아래에서 흔히 볼 수 있는[46] 광대버섯은 뉴질랜드, 타스마니아, 빅토리아주 등지에서 외래종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토착종인 남부 너도밤나무 (''노토파구스속(Nothofagus)'')와 새로운 공생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며[45], 오스트레일리아의 열대우림을 침입하여 토착종을 대체할 가능성도 제기된다.[46] 최근에는 뉴사우스웨일스주 북부 해안의 포트맥쿼리 근처에서도 발견되는 등 북쪽으로 확산하는 추세이며,[47] 2010년에는 서호주 만지맵의 자작나무 아래에서도 발견되었다.[48]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유칼립투스와 공생하는 경우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포르투갈에서는 유칼립투스와 함께 서식하는 것이 기록되었다. 서호주 남부 지역에서는 몬터레이 소나무(Pinus radiata) 아래에서 흔히 발견된다.[49]
일본에서의 관찰에 따르면 민달팽이, 곤충 외에도 다람쥐와 사슴이 자실체를 먹는다고 한다.[149]
6. 형태
광대버섯(''Amanita muscaria'')은 크고 눈에 잘 띄는 버섯으로, 서식지에서 흔하게 다수로 발견되며 종종 여러 발달 단계의 담자과체가 함께 나타난다.
자실체는 처음 땅속에서 나올 때 흰색 알과 같은 모습이다. 땅 위로 나온 어린 버섯의 갓은 흰색에서 노란색을 띠는 다수의 피라미드 모양 사마귀로 덮여 있는데, 이는 버섯 전체를 감쌌던 외피막의 잔해이다. 이 시기에 버섯을 잘라보면 막 아래에 특징적인 노란색 피부층이 드러나 동정에 도움이 된다. 버섯이 성장하면서 붉은색 갓이 막을 찢고 나오며 사마귀는 상대적으로 덜 두드러지게 된다. 갓의 모양은 처음에는 구형이었다가 반구형으로 변하고, 완전히 성숙하면 접시 모양처럼 편평해진다.[23]
완전히 자란 갓은 보통 지름이 8cm 에서 20cm 정도이며, 밝은 붉은색을 띤다. 간혹 더 큰 개체도 발견된다. 갓의 붉은색은 비를 맞거나 오래되면 다소 퇴색될 수 있다. 갓 표면은 점성이 있으며, 외피막의 잔해인 흰색의 사마귀(파편)가 많이 붙어 있지만, 쉽게 떨어져 나가 때로는 완전히 없어지기도 한다. 성장한 갓의 가장자리에는 줄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주름살은 흰색이고 빽빽하며, 대에 붙지 않고 떨어져 있다(자유형). 포자문 역시 흰색이다. 포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9~13 × 6.5~9 μm이며, 멜처 시약(요오드 용액)에 염색되지 않는 비아밀로이드성이다.[133]
대는 흰색이며 높이는 5cm 에서 20cm, 굵기는 1cm 에서 2cm 정도이다. 속은 비어 있으며, 약간 부서지기 쉬운 섬유질의 질감을 가진다. 대의 위쪽에는 막질의 흰색 턱받이가 있는데, 이는 어릴 때 주름살을 보호하던 내피막의 잔해이다. 이 턱받이는 시간이 지나면 넓게 퍼져 아래로 쳐지기도 한다. 대의 밑부분은 뿌리혹처럼 부풀어 있으며, 이곳에는 외피막의 잔해가 2~4개의 고리 또는 테두리 모양으로 남아 있다.
살은 흰색이며 갓의 표피 바로 아래는 엷은 노란색을 띤다. 잘라도 색이 변하지 않으며, 보통 약한 흙냄새 외에 특별한 냄새는 없고 맛도 온화하다.[25][26]
7. 독성
광대버섯은 일반적으로 독버섯으로 취급된다. 화려한 색깔 때문에 매우 강한 독성을 가진 버섯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광대버섯속의 다른 치명적인 종들(알광대버섯, 독우산광대버섯 등)만큼 강력한 독은 아니다. 주요 독성분은 신경계에 작용하는 이보텐산과 무스시몰이며, 미량의 무스카린과 용혈성 단백질도 포함한다. 버섯의 학명 종소명 ''muscaria''에서 유래한 무스카린은 과거 주요 독성분으로 여겨졌으나,[61] 실제 함량은 미미하여 중독 증상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62][63] 치명적인 아마톡신류는 거의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도 광대버섯은 독버섯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섭취 시 중독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광대버섯 중독의 주된 원인 물질은 20세기 중반에 규명된 이보텐산과 무시몰이다.[68][66] 영국,[64] 일본,[65] 스위스[66] 연구자들은 광대버섯의 향정신성 효과가 주로 이 두 물질 때문임을 밝혔다.[67][68] 이보텐산은 무시몰의 전구약물로, 버섯 건조 시 탈카르복실화를 통해 더 강력한 무시몰로 변환될 수 있다. 이 독소들은 버섯의 갓 부분에 가장 많이 농축되어 있으며, 자루(대)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분포한다.[69][70]
이보텐산과 무시몰은 중추 신경계의 주요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탐산 및 GABA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여 신경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무시몰은 강력한 GABAA 작용제이고, 이보텐산은 NMDA 글루탐산 수용체와 특정 대사성 글루탐산 수용체[71]의 작용제로 작용하여[3][72] 신경 세포의 흥분이나 억제를 유발하며, 이는 중독 시 나타나는 다양한 정신 및 신체 증상의 원인이 된다.
그 외에도 자외선 조사 시 이보텐산에서 생성되는 무스카존[73], 바나듐을 고농도로 축적하여 형성하는 유기금속 화합물인 아마바딘[74], 파리 유인 물질인 1,3-디올레인 등이 함유되어 있다. 바나듐 축적의 생물학적 의미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75]
일부 문화권에서는 전통적으로 독 제거 과정을 거쳐 식용하기도 하지만,[89] 독성분의 함량 변화가 크고 예측 불가능한 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식용하지 않는다. 섭취 시 환각, 착란, 운동 실조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76][50][72][77]
7. 1. 중독 증상
광대버섯 중독은 주로 어린이가 섭취하거나, 환각 효과를 경험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섭취한 사람들,[3][76][50] 또는 식용 버섯으로 잘못 알고 섭취한 경우에 발생한다.
광대버섯에는 여러 생물학적 활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주요 독성 성분은 향정신성 물질인 무스시몰(muscimol)과 관련 아미노산인 이보텐산(ibotenic acid)이다.[68][66] 이보텐산은 신경독소이자 무스시몰의 프로드럭(prodrug)으로 작용하며, 섭취 후 체내에서 일부가 무스시몰로 전환될 수 있다. 성인의 유효 용량은 대략 무스시몰 6mg 또는 이보텐산 30~60mg으로, 이는 보통 광대버섯 갓 하나에 들어있는 양과 비슷하다.[51][52][72] 그러나 버섯에 포함된 화학 성분의 양과 비율은 자생 지역이나 계절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봄과 여름에 자란 버섯은 가을에 자란 버섯보다 이보텐산과 무스시몰 함량이 최대 10배 더 높을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76] 독소는 버섯 전체에 고르게 분포하지 않고, 갓 부분에 가장 많으며, 자루(대)에는 가장 적게 들어있다.[69][70]
이보텐산과 무스시몰은 중추 신경계의 주요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탐산 및 GABA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여 신경 활동 조절에 영향을 미친다. 무스시몰은 강력한 GABAA 작용제이며, 이보텐산은 NMDA 글루탐산 수용체와 특정 대사성 글루탐산 수용체의 작용제로 작용하여[71] 중독 시 나타나는 향정신성 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72] 이들 독성 물질은 신경 세포의 지속적인 흥분이나 억제, 최종적으로는 괴사 등을 일으킬 수 있다. 과거 환각 작용의 원인으로 여겨졌던 무스카린[61]도 미량 포함되어 있지만, 그 양이 매우 적어 중독 증상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63]
광대버섯 중독 증상은 예측하기 어렵고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섭취량, 개인의 신체 상태, 버섯의 상태 등에 따라 가벼운 메스꺼움과 경련에서부터 졸음, 콜린성 위기와 유사한 증상(저혈압, 땀, 침 분비), 청각 및 시각 왜곡, 기분 변화, 쾌감, 이완, 운동 실조, 현기증 등 다양한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76][50][72][77]
심각한 중독의 경우, 헛소리, 혼란, 환각, 과민성을 동반한 뚜렷한 정신운동성 불안 발작이 나타나고, 이후 중추 신경계 억제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50][72] 드물게 발작이나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한다.[50][72] 한국에서도 광대버섯 섭취 후 환각이나 착란 같은 심각한 증상을 보이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증상은 보통 섭취 후 30분에서 90분 사이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3시간 이내에 최고조에 달하며,[78][52] 대부분 12시간에서 24시간 이내에 완전히 회복된다.[79] 하지만 일부 효과는 며칠 동안 지속될 수도 있다.[78][52] 같은 양을 섭취하더라도 개인에 따라 반응이 매우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76][52][80] 중독을 겪은 후 최대 10시간 동안 두통을 호소하거나,[52] 회복 후 역행성 기억 상실이나 졸음을 경험할 수도 있다.[72]
역사적으로 광대버섯 섭취로 인한 사망 사례가 보고된 바 있으나,[53][77][54] 현대 의학적 치료가 발달하면서 광대버섯 중독으로 사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87] 일부 자료에서는 광대버섯을 치명적인 독버섯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55] 데이비드 아로라(David Arora)와 같은 균학자는 이것이 실제보다 과장된 평가라고 지적한다.[56] 북미균학회(North American Mycological Association) 역시 지난 100년간 광대버섯 독소로 인한 사망 사례가 신뢰성 있게 기록된 바 없다고 밝혔다.[57]
광대버섯의 활성 성분은 물에 잘 녹기 때문에, 끓는 물에 끓인 후 그 물을 버리면 독성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79] 반면, 버섯을 건조하면 이보텐산이 더 강력한 무스시몰로 전환되는 과정이 촉진되어 오히려 향정신성 효과가 강해질 수 있다.[58] 일부 자료에서는 적절한 해독 과정을 거치면 식용이 가능하다고도 언급한다.[128][59]
7. 2. 치료
광대버섯 중독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섭취 후 4시간 이내인 경우 활성탄을 투여하며, 섭취 후 1시간 이내라면 위세척을 고려할 수 있다.[81] 이페카 시럽을 이용한 구토 유발은 더 이상 어떤 중독 상황에서도 권장되지 않는다.[82]
광대버섯 중독에 대한 특정한 해독제는 없으며, 따라서 치료는 주로 증상을 완화하는 지지 요법이다.[83] 광대버섯에서 무스카린이 처음 분리되었고 그 이름의 유래가 되었지만, 주된 독성 물질인 무스키몰은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해독제로서 아트로핀이나 피소스티그민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83]
환자가 섬망 상태이거나 불안 증세를 보이면 안심시키고, 필요한 경우 신체적 구속을 할 수 있다.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디아제팜, 로라제팜 등)은 공격성, 불안, 근육 과다 활동, 발작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76] 그러나 무스키몰이 호흡 억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벤조디아제핀은 호흡 억제를 악화시킬 수 있어 소량만 사용해야 한다.[84] 드물지만 구토가 반복되면 체액 및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맥 수액 요법이나 전해질 보충이 필요할 수 있다.[72][85]
심각한 경우에는 의식 상실이나 혼수상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는 삽관 및 인공 호흡이 필요할 수 있다.[50][86] 혈액 투석으로 독소를 제거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개입은 일반적으로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된다.[79] 현대적인 의료 지원을 통한 지지 요법이 이루어지면 예후는 일반적으로 양호하다.[87][79]
8. 이용
광대버섯(Amanita muscaria)은 독버섯으로 알려져 있지만, 역사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특정 처리 과정을 거쳐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일부 문화권에서는 샤머니즘 의식 등에서 환각제로 사용된 기록이 있다. 또한, 이름의 유래에서 알 수 있듯이 파리를 잡는 살충제로 활용되기도 했으며[6][7][8], 독특한 외형 덕분에 예술, 문학, 대중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문화적 상징으로 등장한다.[164][159] 각 이용 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8. 1. 식용
광대버섯에 함유된 주요 독성분인 이보텐산과 무시몰은 물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끓는 물에 여러 번 데치는 과정을 통해 독성을 상당 부분 제거하고 식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128] 하지만 이러한 방법이 널리 퍼져 있지는 않다.[129]역사적으로 광대버섯을 식용으로 이용한 사례는 일부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유럽에서는 적어도 19세기부터 시베리아의 러시아 정착민들이 독성을 제거한 광대버섯을 섭취해왔으며, 그 이전부터 식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독일의 의사이자 자연주의자인 게오르크 하인리히 폰 랑스도르프는 1823년에 광대버섯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최초의 기록을 남겼다. 19세기 후반 프랑스 의사 펠릭스 아르시메드 푸셰는 광대버섯 섭취를 옹호하며, 섭취 전 독성 제거가 필요한 열대 남아메리카의 주요 식량 자원인 카사바와 비교하기도 했다.[128] 북아메리카에서도 19세기 후반 워싱턴 D.C.의 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버섯 판매상이 광대버섯을 삶아 식초에 절여 스테이크 소스로 판매했다는 기록이 미국 식물학자 프레더릭 버논 코빌에 의해 남겨졌다.[130]

일본의 일부 지역, 특히 나가노현에서는 광대버섯을 식용으로 이용하는 문화가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 나가노현 고모로 지방에서는 광대버섯을 말려서 저장하고 조림이나 우동 국물 재료로 사용했으며, 삶아서 독을 우려낸 뒤 소금에 2~3개월 절여 식량이 부족한 겨울에 대비하기도 했다.[131] 이보텐산은 강한 감칠맛을 내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독버섯임을 알면서도 적정량을 섭취하기도 한다. 자연 사진가 다이사쿠 코우이치(大作晃一)는 젊은 시절 광대버섯을 먹어본 경험을 이야기하며, 감칠맛이 강하고 달걀버섯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맛있었다고 평가했다.
2008년 식품 역사가 윌리엄 루벨(William Rubel)과 진균학자 데이비드 아로라(David Arora)는 광대버섯의 식용 역사와 독성 제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광대버섯을 식용 버섯으로 야외 안내서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광대버섯을 독버섯으로만 분류하는 것은 문화적 편견을 반영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모렐과 같이 인기 있는 다른 식용 버섯들도 제대로 조리하지 않으면 독성이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128]
그러나 광대버섯에는 독우산광대버섯 등에 포함된 치명적인 아마니타톡신이 미량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비록 치명적인 수준은 아니라고 여겨지지만, 독성 제거 과정이 번거롭고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을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광대버섯의 식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8. 2. 환각제
광대버섯을 섭취하면 환각 증세가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나 일반인이 섭취할 경우 중독될 위험이 있다. 광대버섯의 향정신성 효과는 억제제, 진정제-최면제, 환각제, 해리제, 섬망제 등 다양하게 나타나며, 때로는 역설적으로 자극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 섭취 시 공감각, 거시증, 미시증과 같은 지각 왜곡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거시증과 미시증은 앨리스 증후군의 일부로 나타나기도 하며, 관련된 왜곡인 펠롭시아와 텔레옵시아와 함께 공통적으로 이형시(dysmetropsia)로 알려져 있다. 일부 사용자는 최면 효과로 인해 현실감 있는 꿈을 경험한다고 보고하기도 한다. 광대버섯은 균근 관계로 소나무 뿌리와 공생하기 때문에 마법버섯과 달리 상업적 재배가 불가능하다.[88]역사적으로 광대버섯은 여러 문화권에서 환각제로 사용되어 왔다. 고대 인도의 경전 리그베다에 언급된 신성한 환각 물질 소마가 광대버섯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65][166][167] 미국의 은행가이자 진균 연구가인 고든 와슨은 그의 저서 『성스러운 버섯-소마』에서 이 설을 제기했으나[152][156], 인류학자들의 반론도 존재한다.[157][158]
시베리아의 많은 원주민 부족, 특히 서시베리아의 우랄어족 사용 민족들과 러시아 극동의 팔레오시베리아어족 사용 민족들은 광대버섯을 환각제로 사용했다. 서시베리아에서는 주로 샤먼들이 무아지경(trance)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했으며, 동시베리아에서는 샤먼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종교적 또는 오락적 목적으로 사용했다.[90]

리투아니아에서도 광대버섯 사용 사례가 보고되었다. 마리야 긴부타스는 R. 고든 왓슨에게 리투아니아 외딴 지역의 결혼식 피로연에서 광대버섯을 보드카와 섞어 마셨으며, 사미족에게 주술적 의식용으로 수출하기도 했다고 전했다.[89] 핀란드 역사가 T. I. 이트코넨(T. I. Itkonen) 역시 과거 사미족 주술사들이 점이 일곱 개 있는 광대버섯을 사용했다고 언급했다.[101] 아프가니스탄의 파라치어(Parachi)를 사용하는 집단[102]이나 북미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인 오지브와족(이들은 광대버섯을 miskwedooji 또는 oshtimisk wajashkwedooji라 불렀다)[103][104] 및 틀리초족(Tlicho)[106] 사이에서도 종교적 사용에 대한 확인되지 않은 보고가 있다.
최근 몇 년간, 특히 2006년 영국에서 실로시빈 버섯이 금지된 이후 합법적인 환각제 대안으로 광대버섯 판매가 증가했다.[88] 2024년 구글에서 광대버섯 검색량이 전년 대비 거의 200% 증가했는데, 이는 인터넷에서의 광대버섯 제품 상업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96] 미국에서는 연방 차원에서 규제 대상은 아니지만, FDA는 광대버섯을 독극물로 분류하고[97] 식품 보조제로 승인하지 않아 판매는 법적 회색 지대에 놓여 있다.[96][98] 광대버섯 추출물 함유 제품과 관련된 중독 사례 및 사망 사건이 발생하면서 규제 강화에 대한 논쟁이 촉발되었으며,[96][99] 일부 제품은 실로시빈 버섯과 잘못 비교되거나 성분 표기를 누락하는 등 오해의 소지가 있는 광고를 하기도 한다.[99][100]
한편, 산타클로스의 나는 순록이 사미족 샤먼의 광대버섯 사용을 상징한다는 설이 제기되기도 했으나,[107][108][121] 사미족 학자들과 당사자들은 이러한 연관성을 강하게 부정하며, 해당 이론이 사미족 문화에 대한 고정관념적이고 문제가 있는 해석이라고 비판한다.[109]
8. 3. 기타

== 이름의 유래 ==
=== 파리잡이 ===
많은 유럽 언어에서 광대버섯(''Amanita muscaria'')의 이름은 우유에 버섯을 부수어 넣어 파리를 잡는 살충제로 사용했던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관행은 게르만어권(영국 제외)과 슬라브어권 유럽 지역, 프랑스 보주 산맥 지역 및 루마니아 등에서 기록되었다.[6]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1256년 이전 저서 De vegetabilibus|식물에 관하여la에서 "파리버섯(fungus muscarumla)이라 불리는데, 우유에 가루로 만들어 파리를 죽이기 때문이다(eo quod in lacte pulverizatus interficit muscasla)"라고 처음 기록했다.[7][8]
16세기 플랑드르 식물학자 카롤루스 클루시우스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9] 분류학의 아버지 칼 폰 린네는 스웨덴 남부 스몰란드에서[10] 이러한 관행을 기록했다. 린네는 1753년 그의 저서 Species Plantarum|식물의 종la에서 이 버섯을 ''Agaricus muscarius''로 명명했는데, 종소명 ''muscarius''는 라틴어 ''musca''(파리)에서 유래했다.[11][12] 현재의 학명 ''Amanita muscaria''는 1783년 장바티스트 라마르크가 광대버섯속(Amanita)으로 옮기면서 붙여졌고, 1821년 스웨덴의 자연주의자 엘리아스 마그누스 프리스에 의해 승인되었다. 모든 균류의 명명 시작일은 프리스의 저서 발행일인 1821년 1월 1일로 설정되었으나, 1987년 국제식물명명규약 개정으로 린네의 저서 발행일인 1753년 5월 1일까지 유효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게 되었다.[13] 따라서 현재는 린네와 라마르크가 ''Amanita muscaria'' (L.) Lam.의 명명자로 인정받는다.
영국의 균류학자 존 램스보텀은 영국과 스웨덴에서 벌레 퇴치에 광대버섯이 사용되었으며, "벌레 아가릭(bug agaric)"이 오래된 이름 중 하나였다고 보고했다.[3] 프랑스의 균류학자 피에르 불리아르는 1784년 저서 Histoire des plantes vénéneuses et suspectes de la France|프랑스의 독성 및 의심스러운 식물에 대한 역사프랑스어에서 파리 살충 효과를 재현하지 못했다고 보고하며 새로운 이름 ''Agaricus pseudo-aurantiacus''를 제안하기도 했다.[14]
광대버섯에서 분리된 1,3-디올레인(1,3-di(cis-9-octadecenoyl)glycerol)은 곤충을 유인하는 효과가 있다.[3] 파리가 독성 때문에 의도적으로 광대버섯을 찾는다는 가설도 제기되었다.[15] 최근 슬로베니아의 연구에 따르면, 광대버섯의 이보텐산과 무시몰 방출은 용매(우유 또는 물) 종류에 크게 좌우되지 않으며, 열처리나 기계적 처리가 추출을 더 빠르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7]
일본에서도 광대버섯을 파리잡이에 사용했으며, ハエトリタケ|하에토리타케일본어(파리잡이버섯) 또는 アカハエトリ|아카하에토리일본어(붉은파리잡이)(아오모리현, 아키타현, 이와테현, 나가노현 등)라고 불렀다.[162][163] 신슈 지방에서는 쌀과 섞어 판자에 붙여 파리를 잡는 데 사용했다.[164] 그러나 일부 버섯파리는 광대버섯의 독성분에 적응하여 이 버섯을 먹고 자라기도 한다.
=== 정신 착란 ===
다른 어원 설에 따르면, 영어 이름 "fly agaric"의 "fly-"가 곤충 '파리'가 아니라 버섯 섭취로 인한 정신 착란(delirium) 상태를 의미한다고 한다. 이는 중세 시대에 파리가 사람 머릿속에 들어가 정신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한다.[16] 여러 지역 이름이 이러한 의미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카탈루냐어의 "미친 오리올(oriol foll)", 툴루즈의 "mujolo folo", 프랑스 아베롱 지역의 concourlo fouolo|미친 콩쿠르로프랑스어, 이탈리아 트렌티노의 ovolo matto|미친 버섯it 등은 식용 버섯인 달걀버섯(Amanita caesarea)과 비교하여 '미친' 또는 '바보의' 버섯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스위스 프리부르 지역 방언 이름은 tsapi de diablhou|악마의 모자프랑스어로 번역된다.[17]
== 문화적 상징성 ==
붉은색 갓에 흰색 반점이 있는 독특한 외형의 광대버섯은 대중문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상징적인 이미지이다.[133] 노움이나 요정을 묘사한 정원 장식물이나 어린이 그림책(예: 스머프)에서 광대버섯은 종종 의자나 집으로 그려진다.[133][134]
광대버섯은 르네상스 시대부터 그림에 등장했으며,[135] 히에로니무스 보스의 그림 「세속적인 쾌락의 동산」 왼쪽 패널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136] 빅토리아 시대에는 요정 그림의 주요 소재가 되면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137]
대중문화에서 광대버섯이 가장 유명하게 사용된 예는 다음과 같다.
- 게임: 닌텐도의 「마리오 시리즈」에서 슈퍼버섯 파워업 아이템과 여러 스테이지 디자인의 모티브가 되었다.[138][139]
- 영화: 1940년 디즈니 영화 「판타지아」의 춤추는 버섯 장면에 등장한다.[140]
문학 작품에서도 광대버섯은 다양하게 묘사되었다.
- 필립 요한 폰 슈트랄렌베르크는 1736년 영어로 출판된 기록에서 시베리아 원주민의 "무호모르(mukhomor)" 사용을 묘사했다.[141]
- 아일랜드계 영국 작가 올리버 골드스미스는 1762년 소설 Citizen of the World|세상의 시민영어에서 이 버섯을 섭취한 사람의 소변을 마시는 행위를 언급했다.[141] 이 시기에 '무호모르'가 광대버섯으로 확인되었다.[142]
- 영국의 자연주의자 모르데카이 쿠빗 쿡은 저서에서 광대버섯 섭취 시 물체의 크기가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을 기록했는데,[143] 이는 루이스 캐럴의 1865년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앨리스가 버섯을 먹고 몸 크기가 변하는 설정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44]
- 찰스 킹즐리의 1866년 소설 「웨이크의 히어워드」에서는 랩랜드의 환각성 "진홍색 버섯"이 줄거리 요소로 등장한다.[145]
- 토마스 핀천의 1973년 소설 「중력의 무지개」에서는 광대버섯을 "독성이 있는 독우산광대버섯의 친척"으로 묘사하며, 수확한 광대버섯으로 쿠키 반죽을 만드는 장면을 상세히 다룬다.[146]
- 앨런 가너의 2003년 소설 「서스비치」에서는 디오니소스 신앙과 관련된 주술 의식에서 광대버섯이 사용되는 맥락을 다룬다.[147]
== 일본에서의 명칭 ==
일본어 이름 ベニテングタケ|베니텐구타케일본어는 '붉은색(紅, 베니) 텐구(天狗) 버섯(茸, 타케)'이라는 의미이다. 갓의 붉은 표면을 상상 속 요괴인 텐구의 붉은 얼굴에 비유하고, 그 독성을 텐구의 무시무시함에 빗대어 붙여진 이름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파리잡이에 사용된 것에서 유래한 ハエトリタケ|하에토리타케일본어(파리잡이버섯), 지역에 따라 アカハエトリ|아카하에토리일본어(붉은파리잡이), アシタカベニタケ|아시타카베니타케일본어, アネコダケ|아네코다케일본어, ハエトリ|하에토리일본어 등으로도 불린다.
9. 문화
광대버섯은 오랜 역사 속에서 다양한 문화적 상징과 의미를 지녀왔다. 13세기 기독교에서는 종교적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는데, 프랑스의 플랑크루 예배당(Plaincourault Chapel)에는 지혜의 나무가 광대버섯의 형태로 그려진 벽화가 남아있다.[164] 르네상스 시대부터는 회화 작품에서도 종종 등장했으며,[135] 히에로니무스 보스의 그림 「쾌락의 정원」의 왼쪽 패널에서도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136] 빅토리아 시대에는 더욱 주목받아 일부 요정 그림의 주요 소재가 되기도 했다.[137] 모리츠 폰 슈빈트가 1851년에 그린 「뤼베찰(Rübezahl)」에도 광대버섯이 등장한다.[132][132]
유럽 문화권에서는 행운을 가져다주는 버섯으로 여겨져 인기가 높으며, 1900년경부터 크리스마스 카드의 단골 소재로 사용되었다. 또한 노움이나 요정을 묘사한 정원 장식물이나 어린이 그림책, 장난감 등의 모티브로도 널리 쓰인다.[133][134] 흰 반점이 있는 붉은색 버섯의 독특한 외형은 그림책, 동화, 애니메이션,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친숙하게 등장한다.
광대버섯의 환각 효과는 여러 문학 작품에도 영감을 주었다. 올리버 골드스미스는 1762년 소설 「세상의 시민」에서 시베리아 원주민들이 광대버섯을 환각제로 사용하는 풍습과 함께, 버섯을 먹은 사람의 소변을 마시는 행위를 언급했다.[141][142] 자연주의자 모르데카이 쿠빗 쿡은 광대버섯 섭취 시 물체의 크기가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을 기록했는데,[143] 이는 루이스 캐럴이 1865년에 발표한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앨리스가 버섯을 먹고 몸의 크기가 변하는 장면의 모티브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144][159] 찰스 킹즐리의 1866년 소설 「웨이크의 히어워드」에서는 랩랜드의 환각성 "진홍색 버섯"이 중요한 줄거리 요소로 등장하며,[145] 토마스 핀촌의 1973년 소설 「중력의 무지개」에서는 광대버섯 쿠키를 만드는 장면이 상세히 묘사된다.[146] 앨런 가너의 2003년 소설 「서스비치」는 피크 디스트릭트에 남아있는 디오니소스 신앙과 연관된 광대버섯 주술 의식을 다룬다.[147]
대중문화에서 광대버섯의 이미지는 매우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133] 벨기에 만화 스머프에서는 스머프들의 집으로 등장하며,[133][134] 닌텐도의 비디오 게임 「마리오 시리즈」에서는 플레이어 캐릭터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슈퍼 버섯 아이템과 여러 스테이지의 디자인 모티브로 사용되었다.[138][139][160] 또한, 1940년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환타지아」에 등장하는 춤추는 버섯 장면은 광대버섯을 모티브로 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140][161]
참조
[1]
웹사이트
Infraspecific taxa of muscaria
http://www.amanitace[...]
[2]
웹사이트
Standardized Common Names for Wild Species in Canada
https://search.wilds[...]
2020
[3]
논문
'Amanita muscaria': Ecology, Chemistry, Myths
2021
[4]
논문
The most widely recognized mushroom: Chemistry of the genus ''Amanita''
http://libres.uncg.e[...]
[5]
뉴스
They look delightful but California hospital warns against eating these poisonous mushrooms
https://amp.sacbee.c[...]
2024-02-23
[6]
서적
Soma
[7]
서적
De vegetabilibus
[8]
서적
[9]
서적
Rariorum plantarum historia
[10]
서적
Flora svecica [suecica] exhibens plantas per regnum Sueciae crescentes systematice cum differentiis specierum, synonymis autorum, nominibus incolarum, solo locorum, usu pharmacopæorum
Laurentii Salvii
[11]
서적
Species Plantarum
Laurentii Salvii
[12]
서적
Cassell's Latin dictionary
Cassell Ltd.
[13]
서적
The Mycota: a comprehensive treatise on fungi as experimental systems for basic and applied research
Springer
[14]
서적
Soma
[15]
서적
Animals and psychedelics: the natural world and the instinct to alter consciousness
Inner Traditions/Bear
[16]
논문
'Amanita muscaria': chemistry, biology, toxicology, and ethnomycology
[17]
서적
Soma
[18]
서적
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my
Koeltz Scientific Books
[19]
서적
Amanita of North America
Mad River Press
[20]
웹사이트
Amanita sect. Amanita
http://www.amanitace[...]
2013-02-21
[21]
논문
Variation in modes and rates of evolution in nuclear and mitochondrial ribosomal DNA in the mushroom genus Amanita (Agaricales, Basidiomycota): phylogenetic implications
http://www.biology.d[...]
2009-02-16
[22]
abstract
Molecular phylogeny of Amanita based on large subunit ribosomal DNA sequences: implications for taxonomy and character evolution
http://www.biology.d[...]
2009-02-16
[23]
서적
Wild mushrooms: an illustrated handbook
Hertfordshire, UK: Garden City Press
[24]
서적
Fungi of Aotearoa: a curious forager's field guide
https://www.worldcat[...]
Penguin Books
2023
[25]
서적
The ultimate mushroom book
Hermes House
[26]
서적
Mushrooms
Pan MacMillan
[27]
서적
The young specialist Looks at fungi
Burke
[28]
서적
The mushroom handbook
Dover
[29]
서적
Fungi Down Under: the Fungimap guide to Australian fungi
Royal Botanic Gardens
[30]
서적
Mushrooms: poisons and panaceas
[31]
논문
Beringian origins and cryptic speciation events in the fly agaric (Amanita muscaria)
http://www.lter.uaf.[...]
2006-01
[32]
논문
Evidence for strong inter- and intracontinental phylogeographic structure in Amanita muscaria, a wind-dispersed ectomycorrhizal basidiomycete
http://mercury.bio.u[...]
2009-10-28
[33]
웹사이트
Amanita breckonii Ammirati & Thiers
http://www.amanitace[...]
2013-02-21
[34]
웹사이트
Amanita gioiosa S. Curreli ex S. Curreli
http://www.amanitace[...]
2013-02-21
[35]
웹사이트
Amanita heterochroma S. Curreli
http://www.amanitace[...]
2013-02-21
[36]
웹사이트
Amanita muscaria Singer
http://www.amanitace[...]
2019-05-06
[37]
웹사이트
Amanita muscaria subsp. flavivolvata Singer
http://www.amanitace[...]
2013-02-21
[38]
웹사이트
Amanita muscaria var. guessowii Veselý
http://www.amanitace[...]
2013-02-21
[39]
웹사이트
Amanita muscaria var. inzengae - Amanitaceae.org - Taxonomy and Morphology of Amanita and Limacella
http://www.amanitace[...]
[40]
서적
Mushrooms: poisons and panaceas
[41]
논문
A monograph of the Australian species of Amanita Persoon ex Hooker (Fungi)
https://www.publish.[...]
[42]
논문
A nomenclatural checklist of agarics, boletes, and related secotioid and gasteromycetous fungi recorded from New Zealand
[43]
논문
South African fungi: the genus Amanita
[44]
논문
Taxonomic studies of Amanita muscaria (L.) Lam (Amanitaceae, Agaricomycetes) and its infraspecific taxa in Brazil
[45]
서적
Edible and poisonous mushrooms of the world
New Zealand Institute for Crop & Food Research Limited
[46]
서적
A field guide to Australian fungi
Bloomings Books
[47]
논문
News from the Fungimap president
http://www.rbg.vic.g[...]
[48]
논문
First Record of Amanita muscaria in Western Australia
https://docs.wixstat[...]
[49]
서적
Diseases and pathogens of eucalypts
CSIRO Publishing
[50]
논문
Three cases of Amanita muscaria ingestion in children: two severe courses [abstract]
[51]
논문
Pharmacological and experimental psychological studies with 2 components of fly agaric (Amanita muscaria)
1968-03-01
[52]
논문
The course of an intentional poisoning
[53]
논문
Mushroom poisoning
[54]
뉴스
Vecchi's death said to be due to a deliberate experiment with poisonous mushrooms
https://timesmachine[...]
2009-02-02
[55]
서적
Mushrooms and Other Fungi of North America
Firefly Books
2010
[56]
서적
Mushrooms demystified
[57]
웹사이트
Mushroom poisoning syndromes
http://www.namyco.or[...]
NAMA
2009-03-22
[58]
서적
Mushrooms: poisons and panaceas
[59]
웹사이트
How to Safely Eat Amanita Muscaia
http://honest-food.n[...]
2011-12-24
[60]
Youtube
Dr. Patrick Harding - Unwrapping the Mysteries of Christmas
[61]
서적
Das Muscarin, das giftige Alkaloid des Fliegenpilzes
F.C.W. Vogel
[62]
논문
Active substances from the toadstool
1968-07-01
[63]
서적
Mushrooms: poisons and panaceas
[64]
논문
A novel constituent of Amanita muscaria
1965-03-01
[65]
논문
Structure of ibotenic acid
1964-12-01
[66]
논문
The active ingredients from Amanita muscaria: ibotenic acid and muscazone
1965-06-01
[67]
서적
Mushrooms: poisons and panaceas
[68]
논문
Constituents of Amanita muscaria
1965-06-01
[69]
서적
Pharmacology and therapy of mushroom intoxications
CRC Press
[70]
논문
Changes in concentration of ibotenic acid and muscimol in the fruit body of Amanita muscaria during the reproduction stage: Food hygienic studies of toxigenic basidiomycotina: II.
https://www.jstage.j[...]
1993
[71]
논문
Novel 5-substituted 1-pyrazolol analogues of ibotenic acid: synthesis and pharmacology at glutamate receptors
2007-05-00
[72]
논문
Fly agaric (''Amanita muscaria'') poisoning, case report and review
2005-06-00
[73]
논문
The structure of muscazone.
[74]
논문
Investigations of Amavadin
2000-05-00
[75]
논문
The first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the amavadin ligand and its complexation to vanadium
2005-05-00
[76]
논문
Mushroom poisoning in infants and children: the ''Amanita pantherina''/''muscaria'' group
[77]
논문
Toxicity of ''Amanita muscaria''
1963-08-00
[78]
논문
Prolonged psychosis after ''Amanita muscaria'' ingestion
2006-05-00
[79]
웹사이트
Amanita muscaria, Amanita pantherina and others
http://www.intox.org[...]
IPCS INTOX Databank
1990-01-10
[80]
서적
Hallucinogenic Plants of North America
Wingbow Press
[81]
논문
Position paper: gastric lavage
[82]
논문
Position paper: Ipecac syrup
[83]
서적
Medical toxic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84]
서적
Critical care toxic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critically poisoned patient
Elsevier Mosby
[85]
서적
Mushrooms: poisons and panaceas
[86]
논문
Mushroom poisoning caused by ''Amanita pantherina''. Report of 4 cases
1965-10-00
[87]
논문
Zatrucia muchomorami plamistym i czerwonym--patogeneza, objawy, leczenie
[88]
서적
Hallucinogenic mushrooms an emerging trend case study.
http://www.emcdda.eu[...]
European Monitoring Centre for Drugs and Drug Addiction
2006
[89]
서적
The Wondrous Mushroom: Mycolatry in Mesoamerica
McGraw-Hill
[90]
논문
Religious use of hallucinogenic fungi: A comparison between Siberian and Mesoamerican Cultures
http://www.funga.fi/[...]
[91]
서적
Soma
[92]
서적
How Drugs Influence Behavior: A Neurobehavioral Approach
Prentice Hall
[93]
서적
[94]
서적
Soma
[95]
논문
Amanita muscaria (fly agaric): from a shamanistic hallucinogen to the search for acetylcholine
[96]
논문
Need for a Public Health Response to the Unregulated Sales of Amanita muscaria Mushrooms
https://www.ajpmonli[...]
2024-06-10
[97]
서적
Bad Bug Book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98]
웹사이트
Can Brands Create Quality, Compliant Amanita Mushroom Products?
https://cannatechtod[...]
2024-01-25
[99]
뉴스
Mushroom Edibles Recalled After Spate of Serious Illnesses
https://www.nytimes.[...]
2024-06-10
[100]
웹사이트
A legal psychedelic mushroom species is being sold in the US. It can cause euphoria — or 'temporary insanity'
https://www.business[...]
[101]
서적
Soma
[102]
논문
The Hallucinogens Muscarine and Ibotenic Acid in the Middle Hindu Kush: A contribution on traditional medicinal mycology in Afghanistan
http://www.erowid.or[...]
[103]
서적
Puhpohwee for the people: a narrative account of some uses of fungi among the Ahnishinaubeg
Botanical Museum of Harvard University
[104]
논문
Les Ojibway et l'Amanite tue-mouche (''Amanita muscaria''). Pour une éthnomycologie des Indiens d'Amérique du Nord
[105]
서적
[106]
서적
The Shaman's Doorway
Station Hill Press
[107]
웹사이트
Santa Claus the Magic Mushroom & the Psychedelic Origins of Christmas
https://moofmag.com/[...]
2017-12-12
[108]
Youtube
Magic mushrooms & Reindeer - Weird Nature - BBC animals - YouTube
https://www.youtube.[...]
2009-01-26
[109]
간행물
What does Santa have to do with … psychedelic mushrooms?
https://www.national[...]
2023-12-21
[110]
문서
Försök at utur Naturens Historia förklara de nordiska gamla Kämpars Berserka-gang (An attempt to Explain the Berserk-raging of Ancient Nordic Warriors through Natural History)
[111]
서적
The Hallucinogens
Academic Press
[112]
논문
Sagas of the Solanaceae: Speculative ethnobotanical perspectives on the Norse berserkers
2019-11-15
[113]
서적
Soma
[114]
서적
[115]
서적
Soma
[116]
서적
Soma
[117]
서적
Soma
[118]
서적
[119]
논문
Soma and Amanita muscaria
[120]
서적
Hallucinogens and Culture
Chandler & Sharp
[121]
웹사이트
Fly Agaric: A Compendium of History, Pharmacology, Mythology, & Exploration
https://www.research[...]
2020
[122]
서적
Haoma and Harmaline: The Botanical Identity of the Indo-Iranian Sacred Hallucinogen "soma" and Its Legacy in Religion, Language, and Middle-Eastern Folklo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01-01
[123]
서적
The Sacred Mushroom and the Cross: A Study of the Nature and Origins of Roman Theology within the Fertility Cults of the Ancient Near East
Hodder & Stoughton
[124]
서적
[125]
서적
A Christian View of the Mushroom Myth
Hodder & Stoughton
[126]
서적
[127]
논문
Catching flies with Amanita muscaria: traditional recipes from Slovenia and their efficacy in the extraction of ibotenic acid
[128]
논문
A Study of Cultural Bias in Field Guide Determinations of Mushroom Edibility Using the Iconic Mushroom, Amanita Muscaria,as an Example
http://www.davidaror[...]
[129]
웹사이트
Further Reflections on Amanita muscaria as an Edible Species
http://bayareamushro[...]
[130]
간행물
Observations on Recent Cases of Mushroom Poisoning in the District of Columbi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Division of Botany.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131]
논문
Japanese use of Beni-tengu-dake (Amanita muscaria) and the efficacy of traditional detoxification methods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Miami, Florida
[132]
웹사이트
Art Registry: 1750–1850
http://www.mykoweb.c[...]
[133]
서적
Mushrooms demystified: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fleshy fungi
https://archive.org/[...]
Ten Speed Press
[134]
서적
Mushrooms: poisons and panaceas
[135]
웹사이트
The Registry of Mushrooms in Works of Art
http://www.mykoweb.c[...]
[136]
논문
Amanita muscaria: chemistry, biology, toxicology, and ethnomycology
2003-02
[137]
간행물
Mushrooms in Victorian Fairy Paintings, by Elio Schachter
http://www.mushroomt[...]
[138]
웹사이트
The Top 11 Video Game Powerups
http://www.ugo.com/a[...]
UGO Networks
[139]
논문
The most widely recognized mushroom: chemistry of the genus Amanita
http://libres.uncg.e[...]
2005-12
[140]
서적
[141]
서적
undefined
[142]
서적
undefined
[143]
서적
undefined
[144]
서적
undefined
[145]
서적
undefined
[146]
서적
Gravity's Rainbow
Penguin Books
[147]
서적
undefined
[148]
저널
Beringian origins and cryptic speciation events in the fly agaric (Amanita muscaria)
https://s3.amazonaws[...]
[149]
저널
Squirrel consuming “poisonous” mushrooms
https://onlinelibrar[...]
2021
[150]
저널
Mushroom Poisoning
[151]
서적
ドラッグ・シャーマニズム
1996
[152]
서적
神々の糧(ドラッグ)―太古の知恵の木を求めて
第三書館
2003
[153]
서적
本草図譜 第8冊 巻58菜部芝〔ジ〕類4
https://dl.ndl.go.jp[...]
200
[154]
서적
マジカル・ミステリアス・マッシュルーム・ツアー
東京キララ社・河出書房新社
2010
[155]
서적
世界の樹木をめぐる80の物語
柏書房
2019-12-01
[156]
서적
キノコ・カビの研究史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10-10-20
[157]
저널
Soma and "Amanita muscaria"
https://www.jstor.or[...]
1971
[158]
저널
古代インドにおける植物病害と菌類について
https://doi.org/10.3[...]
1985
[159]
서적
Shroom: A Cultural history of the magic mushroom
Faber and Faber
[160]
저널
The most widely recognized mushroom: chemistry of the genus ''Amanita''
[161]
서적
Mushrooms & Toadstools
Collins
[162]
서적
ヤマケイポケットガイド15 きのこ
[163]
서적
きのこの名優たち
山と溪谷社
1998
[164]
서적
キノコと人間 医薬・幻覚・毒キノコ
築地書館
2016
[165]
저널
'Amanita muscaria': chemistry, biology, toxicology, and ethnomycology
http://www.erowid.or[...]
[166]
저널
Mushroom poisoning in infants and children: the ''Amanita pantherina''/''muscaria'' group
[167]
저널
Three cases of ''Amanita muscaria'' ingestion in children: two severe courses [abstrac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