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실은 교육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한국에서는 학교시설·설비기준령에 따라 법적 기준이 정해져 있다. 한국의 교실은 보통 교실과 특별 교실로 분류되며, 특별 교실은 과학, 음악, 미술 등 특정 과목이나 활동을 위한 공간이다. 고등 교육에서는 강의실, 연습실, 실험실 등으로 구분된다. 교실의 설계는 채광과 환기를 고려하여 남향 배치를 선호하며, 음향, 색상, 책상 배치 등은 학습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에는 온라인 학습의 증가와 함께 전통적인 교실의 형태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교실은 또한 학습 집단을 비유적으로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교 시설 - 계단식 강의실
계단식 강의실은 경사진 바닥에 계단식으로 좌석이 배치되어 대규모 인원을 수용하고 모든 좌석에서 강의를 잘 볼 수 있도록 설계된 강의실 형태이다. - 학교 시설 - 기숙사
기숙사는 공동 생활을 위한 시설로, 학교나 기업 등에서 학생이나 직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며, 주거 안정과 공동체 생활, 복리후생 등을 지원하고 일반 주택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 가능하다. - 교육 - 교육기관
교육기관은 설립 주체와 교육 대상, 교육 수준에 따라 공교육 기관과 사교육 기관, 유아 교육기관, 초등 교육기관, 중등 교육기관, 고등 교육기관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되어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이다. - 교육 - 성인식
성인식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알리는 의례로, 역사적으로 교육의 시작을 알리고 고대 사회에서 성인과 어린이를 구분하며 다양한 문화권과 종교적 의례로 나타난다. - 방 - 사우나
사우나는 핀란드에서 유래한 뜨거운 방에서 증기욕을 즐기는 시설 또는 행위로, 건식과 습식으로 나뉘며 혈액 순환 촉진,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가 있어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핀란드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 방 - 스튜디오
스튜디오는 예술, 미디어 제작, 교육, 훈련, 마스터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작업 공간 또는 시설을 의미한다.
교실 | |
---|---|
일반 정보 | |
![]() | |
![]() | |
![]() | |
![]() | |
정의 | |
정의 | 학습을 위해 보통 더 큰 건물 안에 마련된 공간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강의실 (동음이의) |
관련 항목 | Classroom (Apple) |
관련 항목 | Classroom (영화) |
관련 항목 | Google Classroom |
2. 한국의 교실
학교시설·설비기준령에 따라 대한민국의 보통교실은 1학급당 실내 면적을 63m2 이상으로 해야 한다.[29]
온라인 학습 기술은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 장소, 속도에 관계없이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직장과 육아를 병행해야 하는 성인 학습자에게 유용하다. 미국 교육 및 개발 협회(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직원 교육 시간의 약 25%가 온라인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일부 기관에서는 온라인 환경에 대한 접근을 제한할 수 있고, 학생들이 물리적 환경에서 주의가 산만해질 수 있기 때문에 21세기 교실 공간조차 방해 요소로 가득 차 있다는 비판도 있다. 학생들은 한 번에 하나의 작업에 집중해야 한다.
전통적인 교실은 다양한 형태의 대안 교육 옹호자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탈리아의 교육자 마리아 몬테소리는 "고정식 책상과 의자는 노예 제도의 원칙이 여전히 학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증거이다"라고 주장했다.
2. 1. 법적 기준
학교시설·설비기준령에 따라 대한민국의 보통교실은 1학급당 실내 면적을 63m2 이상으로 한다.[29]2. 2. 역사
과거 한국의 교실은 획일적인 책상 배열과 교사 중심의 수업 방식을 반영하는 공간이었다. 1960년대 이후 경제 성장과 함께 학교 시설이 현대화되면서 교실 환경도 점진적으로 개선되었다. 학교시설·설비기준령에 따라 대한민국의 보통교실은 1학급당 실내면적이 63m2 이상이어야 한다.[29]2. 2. 1. 천장 높이 규제 완화
2005년까지 교실에는 천장 높이 하한 규제가 있었다. 메이지 시대에는 석탄 난로 등으로 난방을 해 높은 천장으로 공기를 순환시켜 일산화탄소 중독을 방지했고, 1950년 건축기준법 제정 당시에는 과밀한 교실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함이었다.[25]사이타마현 소카시는 1955년부터 1965년 사이 인구 증가로 급조된 공립 학교의 내진성이 부족하여 재건축을 요구받았으나, 재건축 비용이 막대하여 교실 천장 높이를 3m에서 2.7m로 낮추는 방안을 고안했다.[25] 2004년 6월, 소카시는 천장 높이를 낮추는 구조개혁 특구를 국가에 신청했으나, "어린이의 심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며 처음에는 기각되었다.[25] 이후 검증을 거쳐 2005년 9월 소카시의 특구 제안이 승인되었고, 같은 해 11월 건축기준 시행령 개정으로 천장 높이 규제가 폐지되었다.[25]
2. 3. 유형
한국의 초등 교육(초등학교 등) 및 중등 교육(중학교, 고등학교 등)에서는 주로 '''보통 교실'''과 '''특별 교실'''로 분류된다. 학교시설·설비기준령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보통교실은 1학급당 실내 면적 기준을 63m2 이상으로 한다.[29] 일반 교실은 대부분의 수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특별 교실은 특정 교과나 활동을 위해 마련된 공간이다.2. 3. 1. 일반 교실

일반 교실은 대부분의 수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초등학교, 중학교, 학년제 고등학교에서는 "○년 ○반"과 같이 각 학급마다 교실이 배정되어, 학생들은 하루의 대부분을 교실에서 보낸다.[29] 음악, 미술 실기나 과학 실험 등 주로 실기를 동반하는 특정 교과 수업은 특별 교실에서 진행된다.
2. 3. 2. 특별 교실
특별 교실은 특정 교과나 활동을 위해 마련된 공간이다. 과학실, 음악실, 미술실, 가정실, 컴퓨터실, 도서실 등이 이에 해당한다.[24]
- 음악실: 음악 수업에 사용되며, 합창 시 줄을 서기 쉽도록 실내에 단차가 있는 경우가 많고, 방음 시설을 갖추고 있다.[24]
- -
- 미술실: 미술 수업에 사용되며, 그림을 그리는 도구가 비치되어 있다.[24]
- 가정실: 가정 수업에 사용되며, 옷을 만드는 재봉틀, 요리 실습을 위한 조리 시설 등이 있다.[24]
- -
- 컴퓨터실: 컴퓨터, 프린터 등이 있으며, 2000년대부터는 LAN을 통해 컴퓨터끼리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프로젝터, 실물 화상기, 보조 모니터 등을 갖추기도 한다.[24]
- 도서실: 책을 보관하는 곳이다. 학교 도서관, 사서 교사도 참고할 수 있다.[24]
이 외에도 서예실, 사회 교실, 공예 교실, 기술 교실 등이 있다.[24] 영국의 퍼블릭 스쿨에는 어학, 회화, 공예, 영화, 음악 제작 등 목적별 특별 교실이 있다.
2. 4. 고등 교육에서의 교실
대학교 등 고등 교육에서는 주로 '''강의실''', '''연습실''', '''실험실''', '''실습실''' 등으로 구분된다.[29]- '''강의실''': 통상적인 강의가 진행되는 방이다. 20명 정도의 소규모 교실에서 500명 이상 수용 가능한 교실까지 있다.
- '''연습실''': 연습을 진행하기 위한 방으로, 소규모 교실이 많다.
- '''실험실''', '''실습실''': 실험용・실습용 기재 등이 설치되어 있다.
2. 5. 설계
교실 설계에 대한 특별한 내용은 원본 소스에 나타나 있지 않다.2. 5. 1. 남향 배치
한국과 일본 학교 건축에서는 전통적으로 교실을 건물의 남쪽에 배치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이는 채광과 환기에 유리하며, 오른손잡이 학생이 글을 쓸 때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26]일본 학교 건축의 경우 교실을 남쪽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북쪽에 배치할 때는 남향 채광을 능가하는 특별한 설계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26] 교실이 남향인 경우, 교단은 주로 서쪽을 향하게 한다. 이는 오른쪽에 창문을 두어 햇빛이 들어올 때, 오른손잡이 학생이 글을 쓸 때 오른손 그림자로 인해 종이가 어두워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3. 외국의 교실
미국 초등학교(유치원~5학년) 교실에는 18~30명 정도의 학생과 1~3명의 교사가 있다. 교사가 두 명인 경우 주 교사와 부교사, 혹은 특수 교육 교사로 구성될 수 있다. 저학년 교실은 책상 대신 테이블, 스마트 보드가 있는 깔개, 도서관, 컴퓨터, 학습 센터 등으로 구성된다.
자율 학습 교실은 학생 수가 7명 이하로, 개별 지도가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설계되었다. 소규모 그룹으로 개별화된 수업을 진행한다. 통합 교실은 일반 학생과 특수 교육 대상 학생이 함께 수업을 받으며, 일반 교사와 특수 교사 2명이 협력한다. 특수 교사는 특정 시간에 학생들에게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실은 한 명의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들은 교실을 이동하며 수업을 듣는다. 한 교실에 계속 머무르지 않으며, 학생들의 시간표에 따라 같은 반 학생들이 매 수업 같지 않을 수 있다.
대학교 교실은 강의실이나 강당에서 교수 1명이 수업을 진행한다. 대학원생인 조교(TA)가 시험 관리, 채점, 검토 세션 등을 돕기도 한다.
중/고등학교나 대학교에는 컴퓨터실(IT 수업), 체육관(스포츠), 과학 실험실(생물학, 화학, 물리학) 등 다양한 교실이 있다.
3. 1. 일본의 교실
일본의 초등 교육(초등학교 등) 및 중등 교육(중학교, 고등학교 등)에서는 주로 '''보통 교실'''과 '''특별 교실'''로 분류된다.3. 2. 서구권의 교실

서구권 학교에서는 공용 공간을 중심으로 교실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학생 중심의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설계 방식이다.[26] 모든 교실을 남향으로 배치하기는 어렵지만, 외부와의 관계를 차단하여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도 한다.[26]
3. 2. 1. 다양한 교실 형태
학교시설·설비기준령에 따라 대한민국의 보통교실은 1학급당 실내 면적 기준이 63m2 이상이어야 한다.[29]영국의 산업 혁명 이후 효율적인 일제 수업 시스템과 전통적인 직사각형 교실은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26] 1970년대 미국에서는 벽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방이 아닌, 아이들이 스스로 학습 장소를 선택하고 책상 배치도 무작위로 하는 개방형 학교가 많이 건설되었다.[26] 예를 들어, 인디애나주 마운트 헬시 초등학교(1972년 건축)는 사방이 벽으로 둘러싸인 교실 없이 넓은 공간에 학년별 영역이 마련되어 있었다.[26] 그러나 과도한 개별화나 소음에 대한 반성으로 다시 벽으로 둘러싸인 교실로 돌아가는 경우도 있었다.[26]
교실은 직사각형이 일반적이지만, 삼각형, 육각형, 부채꼴, L자형 등 특수한 형태의 교실도 있다.[26] 뉴욕 히스코트 초등학교(1962년 건축)는 육각형 교실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26]
3. 3. 오스트레일리아의 교실
오스트레일리아의 교실은 대부분 여러 동으로 구성된 평면 건물이지만, 드물게 중학교에는 2층 건물도 있다.[28] 교사 내에는 교실 외에 도서관, 컴퓨터실, 다목적실 등이 설치되지만, 다목적실 설치 등에는 지역 차이도 있다.[28]4. 교실 디자인 및 배치
교실의 레이아웃, 디자인, 장식은 교육 경험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2] 음향과 색상 배색에 주의를 기울이면 방해 요소를 줄이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조명과 가구 또한 학생의 주의 집중 시간 등에 영향을 미친다.[3]
역사적으로, 교실 건설에 학생 중심적인 디자인 원칙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19세기 영국에서는 새 건물을 가급적 북쪽으로 짓고, 서쪽이나 남쪽 창문은 피했는데, 이는 북쪽 빛이 눈부심을 덜 유발하기 때문이다.[4] 책상은 열과 행으로 배열되었고, 교사의 책상은 앞쪽에 배치되어 교사가 서서 수업을 했다. 아이들의 주의를 산만하게 할 것을 우려하여 색상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1950년대와 60년대에는 저렴하고 거친 형광등이 사용되기도 했는데, 이는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었다. 연구에 따르면, 교실에서 최적의 음향, 색상 선택, 가구 배치 등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5] 조지타운 대학교는 교실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여 시험 점수가 11% 증가했음을 발견했다.[6]
대한민국의 경우 학교시설·설비기준령에 따라 보통교실 1학급당 실내면적 기준은 63m2 이상으로 한다.[29]
온라인 학습 기술은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 장소, 속도에 관계없이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직장과 양육 책임을 중심으로 학습 일정을 짜야 하는 성인 학생들에게 특히 중요하다. 미국 교육 및 개발 협회(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에 따르면 2014년 현재 직원 교육 시간의 약 25%가 강의실이 아닌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비평가들은 21세기에는 교실 공간조차 방해 요소로 가득 차 있다고 주장한다.
마리아 몬테소리는 "고정식 책상과 의자는 노예 제도의 원칙이 여전히 학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증거이다"라고 썼다.
4. 1. 음향

과잉 행동 아동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백색 소음은 두 그룹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멀리서 들려오는 대화나 음악 같은 청각 자극은 두 그룹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ADHD)가 있는 아동은 음악이 재생될 때보다 백색 소음이 교실에 있을 때 시험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대조군 아동과 과잉 행동 아동은 소리가 없을 때와 백색 소음이 재생될 때 평균 시험 점수가 같았다.[7]
부드러운 표면, 특히 바닥을 사용하면 교실 안팎의 소리가 줄어들어 학생들이 겪는 방해 요소를 줄이고, 과잉 행동 아동뿐만 아니라 주의력 결핍 장애가 없는 아동의 시험 점수도 향상된다. 카펫은 흡음에 좋은 선택이지만, 복도처럼 통행량이 많은 지역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코르크와 같은 다른 흡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카펫을 실용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는 흡음 천장 타일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7]
4. 2. 색상 선택
색채 이론에 따르면, 빨간색은 공격성과 식욕을 증가시켜 학교에는 적합하지 않다. 노란색은 아드레날린 수치를 높여 역시 학교 환경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파란색, 녹색, 갈색은 편안하고 차분한 환경을 조성하여 교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8] 그러나 파란색은 차가움과 슬픔과 연관되어 시간 감각을 늘려 파란색 교실은 학생들에게 고통스러울 수 있다. 따뜻한 색상은 학생들이 선호하며, 집중력을 높이고 뇌 활동을 증가시켜 시험 점수 향상에 도움을 준다. 차가운 색상은 반대 효과를 낸다.[9] 따뜻한 색상과 차가운 색상, 밝은 색상과 톤 다운된 색상의 균형을 맞추면 결석률을 줄이고 학생들이 교사의 말에 집중하도록 돕는다. 학생들이 차갑고 삭막하게 느껴질 수 있는 하얀 환경에 있지 않을 때 시험 점수가 올라간다.[10][11]
4. 3. 책상 배치
교실 디자인에서 책상 배치는 학생들의 좌석 배치와 함께 교실의 장식과 디자인에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교실 책상은 열이나 행으로 배열되지만, 책상을 배열하는 방법은 훨씬 더 많다. 예를 들어, 책상으로 원을 만들어 그룹 토론을 더 쉽게 할 수 있다. 책상은 또한 그룹 토론 및 교사의 쉬운 접근을 위해 "U"자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반적인 원칙은 '클러스터' 또는 소규모 그룹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소규모) 그룹 과정에서 상호 작용과 참여를 개선한다.[5]교실 배치 또는 가구 배치는 학생들이 교실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앉아서 보내기 때문에 중요한 측면이다. 가구는 학생들이 학습 방식에 가장 적합한 자리에 앉아 작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움직일 수 있고 쉽게 배치할 수 있어야 한다.[12]
전통적으로 교실은 교실 앞을 향한 책상의 일렬 배치를 해왔다. 일렬 배치는 교사가 돌아다닐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교사는 학생들의 작업을 감독하고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학생들을 파악하여 학생들이 집중하도록 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일렬 배치는 주제에서 벗어난 대화를 줄여 학습에 더 적합한 분위기를 조성한다.[13] 일렬 배치는 교사 입장에서는 이상적으로 들리지만 학생의 행복에 해로울 수 있다. 일렬 책상 배치는 학생들이 위축되도록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4]
전통적인 일렬 책상 배치의 대안은 책상을 그룹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영국 올해의 중등 교사인 필 비들(Phil Beadle)은 가능하다면 책상을 6개의 책상 그룹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하면 의자를 하나도 움직이지 않고 두 명, 세 명 또는 여섯 명의 학생 그룹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책상 배치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15] 비들은 그룹 책상 배치를 옹호하는 유일한 교사가 아니다. 연구에 따르면 그룹 책상 배치 방식은 다른 어떤 책상 배치 형태보다 더 많은 작업 행동을 유발한다.[14] 그룹 배치는 한 가지 잠재적으로 심각한 부정적인 부작용이 있다. 그룹 책상 배치에 앉은 학생들은 교사가 보지 않을 때, 예를 들어 쿠퍼티노(Cupertino) 교육구와 같이 학교에서 제공하는 아이패드를 사용하는 등 부적절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책상 그룹은 교실 바깥쪽에 배치하여 교사가 주변을 돌아다니며 감독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운동 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15]
마지막으로 인기 있는 책상 배치는 원형/반원형 배치이다. 이 특정 책상 배치는 많은 긍정적인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원형 책상 배치는 긍정적인 그룹 역학을 촉진하여 아이디어의 흐름을 촉진한다. 원형으로 앉으면 학생들이 말하는 사람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말하는 사람과 눈을 맞추기도 더 쉽다. 원형 배치에 앉은 학생들은 더 편안하게 말하고 질문하는 경향이 있다.[13] 이러한 책상 배치 방식은 또한 교사가 교실을 통제하여 부적절한 행동과 주제에서 벗어난 발언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데, 이는 교사가 모든 학생을 쉽게 볼 수 있고 모든 학생들이 교사를 볼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16]
5. 교실과 마주한 문제
온라인 학습의 발전과 디지털 기기 사용의 증가는 교실 환경에 새로운 과제를 제기하고 있다. 미국 훈련 개발 학회(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직원 훈련 시간의 약 25%가 교실이 아닌 온라인에서 이루어진다.[19] 그러나 학생들의 집중력 저하, 주의 산만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20]
전통적인 교실은 대안 교육 론자들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탈리아의 교육자 마리아 몬테소리는 고정된 책상과 의자가 노예 제도의 잔재라고 비판했다.[21]
6. 비유적 표현
교실은 방 자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서 배우는 사람들의 모임을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아이오이 음악 교실 등과 같이, "그곳에서 배운다"라는 특정 목적을 위해 모인 교사와 학생 등의 집단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예: 이동 교실, 보충 교실, 물리학 교실).
이 외에도, 대학의 특정 강좌의 주임 교수와 강사, 조교 등의 스태프와 대학원 및 학부의 학생들을 통칭하여 "○○연구실"을 "○○교실"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강좌제와 학과목제, 교실계 기술관을 참조하라.
참조
[1]
웹사이트
Environment Rating Scales
https://ers.fpg.unc.[...]
2010-12-15
[2]
서적
The Design of Learning Spaces
https://books.google[...]
A&C Black
[3]
서적
Culture, Environmental Action, and Sustainability
https://books.google[...]
[4]
간행물
Passive Solar Schools - A Design Guide
HMSO (Offic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5]
웹사이트
6 Benefits of School Furniture for Dynamic Learning Spaces
https://www.sketchwo[...]
2024-03-18
[6]
웹사이트
The Value of Good Design
http://www.designcou[...]
2002
[7]
논문
Effects of classroom noise on performance and activity of second-grade hyperactive and control children
1980-12-01
[8]
논문
The Built Environment's Effect on Learning: Applying Current Research
[9]
논문
Influence of the School Facility on Student Achievement: Lighting; Color
http://www.coe.uga.e[...]
1999-04-01
[10]
논문
What They See Is What They Get: Ten Myths about Lighting and Color in Schools
http://www.edutopia.[...]
2006-03-01
[11]
웹사이트
Color Theory for Classrooms and Schools
http://www.edfacilit[...]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s
[12]
논문
Setting the Stage for Learning
2009-11-05
[13]
논문
Seating arrangements that promote positive academic and behavioural outcomes: a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2008-05-01
[14]
논문
Desk Arrangement Effects On Pupil Classroom Behavior
1985
[15]
서적
How to Teach: The ultimate (and ultimately irreverent) look at what you should be doing in your classroom if you want to be the best teacher you can possibly be
Crown House Publishing
2010
[16]
웹사이트
12 Must-Have Teacher Desk Accessories Every Teacher Needs: Classroom Organization Tips
https://schoolsparks[...]
2022-04-25
[17]
논문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Furniture Design and Cognitive Error
Springer, Cham
2018-08-26
[18]
뉴스
Online courses increase in popularity
http://www.post-gaze[...]
Pittsburgh Post-Gazette
2007-10-16
[19]
웹사이트
2014 State of the Industry Report: Spending on Employee Training Remains a Priority
https://www.td.org/P[...]
2014-11-08
[20]
웹사이트
Attention, and Other 21st-Century Social Media Literacies
http://er.educause.e[...]
[21]
서적
The Montessori Method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06-09-01
[22]
웹사이트
3 Classroom Seating Psychology Solutions
https://www.sketchwo[...]
2024-03-06
[23]
웹사이트
教場
https://kotobank.jp/[...]
2013-12-08
[24]
법률
義務教育諸学校等の施設費の国庫負担等に関する法律施行令第3条第1項
[25]
웹사이트
学校天井高規制を撤廃
http://www.city.soka[...]
草加市
2008-02-06
[26]
논문
欧米の学校建築にみる多様性 : 日本の学校建築の相対化
http://id.nii.ac.jp/[...]
[27]
서적
イギリスパブリックスクール留学
[28]
서적
世界の学校 : 教育制度から日常の学校風景まで
https://iss.ndl.go.j[...]
学事出版
[29]
법률
학교시설·설비기준령 제5조 ①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