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비오 6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비오 6세는 1717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교회법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교황청에서 재정을 담당하며 추기경을 거쳐 1775년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교황령 개혁을 시도하고 바티칸 미술관 건립 등 예술과 공공 사업을 후원했으나,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교황령이 침공당하고 프랑스 각지를 전전하다가 1799년 사망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예수회 문제, 페브로니우스주의, 프랑스 혁명 등 다양한 난제에 직면했으며, 미국 가톨릭 교회의 발전을 지지하고 볼티모어 대교구를 설립하는 등 유산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교황 - 교황 클레멘스 13세
클레멘스 13세는 1693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1758년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예수회 옹호와 유럽 군주들의 교황 권위 약화, 예수회 추방 운동 등으로 어려움을 겪다 급사했다. - 18세기 교황 - 교황 베네딕토 13세
교황 베네딕토 13세는 1724년부터 1730년까지 재위했으며, 얀센파에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스페인 계단을 완공했으나, 교황청 재정 악화와 얀센주의와의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 시복 절차가 진행 중이다. - 체세나 출신 - 마르코 판타니
이탈리아 사이클 선수 마르코 판타니는 뛰어난 산악 등반 능력으로 '해적'이라 불리며 1998년 지로 디탈리아와 투르 드 프랑스에서 모두 우승했지만, 도핑 의혹과 코카인 중독으로 사망했다. - 체세나 출신 - 세바스티아노 로시
세바스티아노 로시는 AC 밀란의 황금기를 함께하며 세리에 A 5회 우승과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경험하고 929분 무실점 기록을 세운 이탈리아의 전직 축구 골키퍼로, AC 밀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717년 출생 - 장 르 롱 달랑베르
장 르 롱 달랑베르는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이자 음악 이론가로서, 달랑베르의 원리를 제시하여 역학 발전에 기여하고 드니 디드로와 함께 《백과전서》를 편찬하며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717년 출생 - 레 현종 (27대)
레 현종은 정씨 세력의 영향력 아래 실권 없이 47년간 재위한 대월 레 왕조의 27대 황제로, 떠이선 농민 운동 이후 친정을 시도했으나 곧 사망했다.
교황 비오 6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비오 6세 |
본명 | 조반니 안젤로 브라스키 |
출생일 | 1717년 12월 25일 |
출생지 | 교황령 체세나 |
사망일 | 1799년 8월 29일 |
사망지 | 프랑스 제1공화국 발랑스 |
모토 | "Floret in Domo Domini" (하느님의 집에서 번성하다) |
![]() | |
직책 | |
직함 | 로마 주교 |
재임 시작 | 1775년 2월 15일 |
재임 종료 | 1799년 8월 29일 |
선임자 | 클레멘스 14세 |
후임자 | 비오 7세 |
서품 | 1758년 |
주교 서임 | 1775년 2월 22일 |
주교 서임자 | 잔프란체스코 알바니 |
추기경 임명 | 1773년 4월 26일 |
추기경 임명자 | 클레멘스 14세 |
이전 직책 | 사도좌 서명원 참사관 (1758–1759) 사도 카메라 총무 (1766–1773) 산타 마리아 디 발디폰테 추천 수도원장 (1767–1773) 수비아코 추천 수도원장 (1773–1798) 산토노프리오의 추기경 사제 (1773–1775) |
교회 | |
소속 교회 | 가톨릭 교회 |
2. 생애
비오 6세는 교황령의 행정과 보호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로마 근교의 늪지대 개간 사업을 추진했지만 실패하여 재정 문제가 발생했다. 로마에서는 도시 재계획, 바티칸 내 비오-클레멘스 박물관 건립, 로마 시청 복구 사업 등을 통해 로마를 다시 예술의 중심지로 만들고자 했다.
교황으로 선출된 후, 비오 6세는 예수회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를 지지한 여러 왕가는 예수회에 대한 추가 조치를, 친예수회파는 예수회 해산 처분 완화를 기대했다. 비오 6세는 중립적인 태도를 취했지만, 양측 모두에게 신뢰를 잃었다. 일부 예수회원들은 러시아 제국으로 피신하여 비밀리에 활동을 이어갔다.
갈리카니즘의 일종인 페브로니우스주의 또한 비오 6세를 압박했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요제프 2세는 카우니츠와 함께 자국 교회 통치 원칙으로 페브로니우스주의를 채택했는데, 이는 교황권이 지역 주교의 권한에 미치지 못한다는 사상이었다. 비오 6세는 1786년 피스토이아 주교 회의에서 스키피오 데르 리치 주교를 탄핵하며 대응했다.
1789년 프랑스 혁명은 비오 6세 재임 기간 중 가장 큰 사건이었다. 프랑스 교회는 혁명으로 억압받았고, 정부는 반교회 정책을 펼치며 교회 재산을 몰수하고 팔레 루아얄에서 비오 6세의 초상화를 불태웠다. 1791년에는 아비뇽이 몰수되었다.
1793년 1월, 로마에서 프랑스 공화국 사절 위그 드 바스빌Nicolas-Jean Hugou de Bassville|니콜라 장 위고 드 바스빌프랑스어이 살해되자, 제헌 국민 의회는 교황을 사건 배후로 지목하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사령관으로 한 프랑스군을 파견했다. 교황군은 패배했고, 1797년 12월 28일 로마에서 발생한 폭동으로 프랑스군 사령관 뒤포가 살해되자 프랑스군은 다시 교황령을 점령했다. 프랑스군은 로마 공화국 (18세기) 수립을 선언하고 교황에게 퇴위를 강요했지만, 비오 6세는 이를 거부하고 포로로 발랑스에서 1799년 8월 29일 생을 마감했다. 이후 콘클라베를 통해 친구 루이지 키아라몬티가 1800년 3월 14일 비오 7세로 선출되었다.
비오 6세는 경제 정책 실패로 로마 교황청의 재정난을 가속화시켰지만, 레오 10세처럼 예술과 공공 사업 후원자를 자처했다. 바티칸 미술관은 비오 6세가 발의한 것이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조반니 안젤로 브라스키는 1717년 12월 25일(크리스마스) 체세나에서 태어났다.[4] 그는 체세나의 예수회 대학에서 학업을 마친 후 1734년 교회법과 민법 모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페라라 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갔다.[6]체세나 출신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브라스키는 법학 학위를 취득한 후, 루포 추기경의 비서로 일했다. 그는 나폴리 왕국 궁정과의 교섭에서 활약하여 교황 베네딕토 14세의 눈에 띄었다. 이후 베네딕토 14세의 비서와 성 베드로 대성당의 성당 참사 회원으로 임명되면서, 클레멘스 13세, 클레멘스 14세 등 3명의 교황을 섬기며 순조롭게 승진하여 1773년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
2. 2. 교황청에서의 경력
1717년 12월 25일 이탈리아 체세나에서 태어난 비오 6세(본명: 브라스키)는 고향에서 기초 학문을 배운 뒤 법학을 공부하여 1735년 교회법 박사 학위를 받았다. 페라라의 사절 루포 추기경의 호의로 교황청에 입문하여 공직을 맡게 되었다.[16] 교황 베네딕토 14세와 교황 클레멘스 13세 치하에서 교황청 재정을 담당하며 능숙하게 일을 처리했다. 1771년 5월 교황 클레멘스 14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브라스키는 교황 특사인 토마소 루포 오스티아 주교의 개인 비서였다. 1740년 교황 선거에서 루포 추기경은 브라스키를 자신의 콘클라비스트로 데려갔고, 같은 해 루포 추기경이 추기경단 단장이 되자 브라스키를 감사관으로 임명하여 1753년까지 그 직책을 맡았다.[16]
나폴리 왕국 궁정에 파견된 임무를 훌륭하게 수행하여 교황 베네딕토 14세의 존경을 받았다.[16] 1753년 루포 추기경 사망 후, 베네딕토 14세는 브라스키를 자신의 비서 중 한 명으로 임명했다.[7] 1755년 교황은 그를 성 베드로 대성당의 참사회원으로 임명했다.
1758년 결혼 약혼을 끝내고 사제 서품을 받았다. 같은 해 사도 서명원의 심판관으로 임명되어 이듬해까지 그 직책을 맡았다. 교황 클레멘스 13세의 조카인 추기경 카를로 레초니코의 감사관이자 비서이기도 했다. 1766년 클레멘스 13세는 브라스키를 사도 재무원의 재무로 임명했다.[7]
클레멘스 14세 선종 후 134일간 지속된 콘클라베에서 교황으로 선출되어 비오 6세로 명명되었다.
2. 3. 교황 선출 (1775년)
1774년 교황 클레멘스 14세의 선종 후,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한 콘클라베에서 스페인, 프랑스, 포르투갈은 브라스키 추기경의 선출에 대한 반대를 철회했다. 브라스키는 전임 교황의 반예수회 입장에 비교적 온건하게 반대했던 인물 중 한 명이었다.[16]브라스키는 예수회를 싫어했고, 클레멘스 14세의 정책을 이어받아 예수회 해산을 결정한 교황 칙서 ''도미누스 아크 레뎀프토르''(1773)의 조항을 유지할 것이라고 믿는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다. 반면, 친예수회인 젤란티 파는 그가 비밀리에 예수회를 동정하며, 전임 교황 재임 기간 동안 예수회가 겪었던 불이익을 바로잡아줄 것으로 기대했다. 이러한 상반된 기대는 브라스키가 교황으로 선출된 후 양측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16]
브라스키 추기경은 1775년 2월 15일에 교황으로 선출되어 "비오 6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는 1775년 2월 22일 추기경 잔 프란체스코 알바니에 의해 주교로 서임되었고, 같은 날 추기경 수석 부제 알레산드로 알바니에 의해 대관되었다.
클레멘스 14세 서거 후 열린 콘클라베는 유럽 제국의 입김에 좌우되어 난항을 겪었지만, 스페인과 프랑스가 이의를 철회하면서 예수회 문제에 온건한 입장이었던 브라스키가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당시 유럽 국가들은 민족주의를 강화하고 왕권 아래 국가를 통일하려 했기 때문에, 국경을 넘어 자유롭게 활동하며 교황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예수회는 눈엣가시 같은 존재였다.
3. 교황 재위 기간 (1775년 ~ 1799년)
비오 6세는 유럽의 열강들과 민심이 교회로부터 멀어지고 있음을 인지했다. 군주들은 교황의 양보를 얻어내고 자신들의 권한을 강화하려 했으며, 실증주의와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은 지식층은 교황청을 공격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황청의 권위는 약화되었고, 성직자 쇄신과 교황권 존중이 필요했으나 비오 6세는 이러한 점이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10][16]
비오 6세는 나폴리 왕국과 원만한 관계를 맺지 못했고, 스페인의 카를로스 3세 치하에서 관계가 정상화되었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와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2세는 예수회의 교육적 능력을 인정하여 그들의 공동체를 지켜주었다.
오스트리아 제국에서는 요제피니즘이 일어나 마리아 테레지아와 신성 로마 제국의 요제프 2세가 교회의 권리를 침해하는 정책을 펼쳤다. 비오 6세는 빈을 방문하여 요제프 2세와 회담을 가졌으나 실패했고, 벨기에는 이에 항거하여 독립을 선언했다.[6] 토스카나 대공국에서도 레오폴트 1세 대공과 시피오네 데 리치 주교가 피스토이아 지방 종교회의를 통해 교황권에 도전하자, 비오 6세는 ''Auctorem fidei'' 칙서를 발표하여 리치 주교를 파문했다.
1789년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비오 6세는 성직자 시민 헌장을 단죄하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침공에 맞섰으나 패배했다. 1798년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가 로마를 점령하고 로마 공화국을 세우자, 비오 6세는 권위 포기를 거부하고 프랑스로 끌려가 1799년 발랑스에서 선종했다.[16]
비오 6세는 예수회 문제에 대해 중립적인 태도를 취하여 양측 모두에게 신뢰를 잃었다. 그는 예수회 총장 로렌초 리치의 석방을 명령했으나 리치는 석방 전에 사망했다.[6] 비오 6세 덕분에 예수회는 백러시아와 슐레지엔에서 해산을 면할 수 있었다.[9]
3. 1. 교황령 개혁 시도
비오 6세는 초기에 개혁적인 통치를 통해 교황령의 부패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그는 로마 총독인 포텐치아니 공작에게 도시 부패 문제 처리 미흡을 질책했고, 재정 상태 개선과 세금 부담 완화를 위해 추기경 회의를 임명했다. 또한 곡물 구매 자금 지출에 대해 니콜로 비스키에게 책임을 물었으며, 많은 저명인사들의 연금을 삭감하여 연간 지출을 줄이고 농업 장려를 위한 포상 제도를 채택했다.3. 2. 계몽주의와 페브로니아니즘의 도전
비오 6세는 당시 유럽의 여러 나라들과 백성들이 교회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음을 알았다. 군주들은 교황에게 양보를 받아내고 자신들의 권한을 더 강하게 주장하며 성직자들에 대해 주도권을 행사하려 했다. 프랑스와 영국에서 나타난 실증주의와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은 지식인들은 교황청을 맹렬히 비난했다. 교황청의 절대 권력은 그 힘을 잃어가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성직자들을 쇄신하고 교황권을 존중하게 하는 것이 필요했지만, 비오 6세는 그러한 점이 다소 부족했다. 행정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교회의 권리를 변호했지만, 외교 문제와 여러 부수적인 일을 처리할 때는 강직함과 선견지명이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10][16]오스트리아 제국에서는 계몽주의와 페브로니아니즘의 영향을 받은 요제피니즘이 일어났다. 당시 오스트리아의 여제 마리아 테레지아는 갈리아주의에 영향을 받은 신하들에게 좌우되어 교회의 권리를 침해하는 법령을 반포하였다. 1770년 마리아 테레지아가 사망하자, 그녀의 아들 요제프 2세는 더욱 강경하게 정책을 밀고 나갔다. 그는 봉쇄 수도원을 폐쇄하고, 축일을 줄이고, 교황청 사절의 순시를 금지하고, 황제의 허락을 받아 교회령을 발표하며, 교구 사제 후보자들은 반드시 루뱅 대학교에서 철학을 배우게 했다. 교황청은 이에 경악했다. 1782년 비오 6세는 빈을 방문하여 요제프 2세와 정상회담을 가졌으나, 요제프 2세는 더욱 강경한 자세를 취했다. 비오 6세는 뜻을 이루지 못하고 로마로 돌아왔다. 이에 벨기에는 봉기를 일으켜 오스트리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6]
요제피니즘은 이탈리아에도 영향을 미쳤다. 토스카나 대공국에서는 레오폴트 1세 대공이 그의 형 요제프 2세의 정책과 시피오네 데 리치 주교의 도움을 받아 1786년 9월 피스토이아 지방 종교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는 교황권에 심하게 도전을 하였다. 분노한 비오 6세는 얀센주의 이후로 가장 강력한 칙서인 ''Auctorem fidei''를 발표하여 리치 주교를 파문하였다.
비오 6세는 교황의 권위를 제한하려는 계몽주의 사상에도 직면했다. 1749년부터 "Myriophiri ''in partibus''"의 주교이자, 마인츠 선제후의 보좌 주교이자 대리 주교였던 요한 니콜라우스 폰 혼트하임은 "페브로니우스"라는 필명으로 저술하며 국가 가톨릭 교회의 갈리아주의 사상을 설파했다. 혼트하임은 자신의 입장을 공개적으로 철회하도록 유도되었지만, 그의 사상은 합스부르크 군주국에서 채택되었다. 그곳에서 황제 요제프 2세와 그의 재상 벤첼 안톤 폰 카우니츠-리트베르크가 가톨릭 성직자 서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추진했던 사회적, 교회적 개혁은 교황의 권위에 대한 위협으로 여겨졌고, 비오 6세는 빈으로 직접 여행하는 이례적인 조치를 취했다.
교황은 1782년 2월 27일 로마를 떠났고, 황제에게 훌륭하게 영접받았지만, 그의 임무는 실패로 끝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몇 년 후 1786년 엠스 회의에서 더 큰 독립을 얻으려는 여러 독일 대주교들의 시도를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
3. 3. 프랑스 혁명과 교황권의 위기

1789년 프랑스 혁명이 발발했을 때, 비오 6세는 프랑스에서 옛 갈리아 교회의 탄압과 교황 및 교회 재산의 몰수를 목격했다. 그는 이 사건들을 신이 정한 사회 질서에 대한 반대 신호로 보았고, 교회에 대한 음모로 간주했다. 교황은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과 성직자 시민 헌장을 모두 비난했으며, 혁명에 대항하는 동맹을 지지했다. 그는 제안된 교회 개혁을 비난하기 위해 ''Quod aliquantum''(1791년)과 ''Charitas''(1791년) 두 개의 교서를 발표했다.[5]
1791년은 프랑스와의 외교 관계가 종료된 해였고, 교황 대사 안토니오 두그나니가 그 결과 로마로 소환되었다. 관계 단절의 한 가지 이유는 혁명가들이 콩타 베네생을 점령하여 아비뇽에서 516년간 지속된 교황의 통치를 종식시킨 것이었다.
1793년 1월 21일 단두대에서 루이 16세가 처형되었고, 그의 딸 마리 테레즈 드 프랑스는 아버지의 시성 요청을 로마에 청원했다. 비오 6세는 1793년 6월 17일 추기경 회의에서 故 루이 16세를 순교자로 칭송하며, 성인의 가능성에 대한 희망을 주었다. 1820년, 비오 6세의 사후 20년이 지나, 예식성성은 국왕이 정치적 이유가 아닌 종교적 이유로 죽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시성의 가능성을 종식시켰다. 비오 6세는 혁명의 주요 목적이 가톨릭 종교와 루이 16세 자신에 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3] 그는 또한 프랑스 혁명가들이 "모든 정부 중 최고인 군주제를 폐지했다"고 기록했다.[14][15]
3. 4. 나폴레옹의 등장과 수난
1789년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자 비오 6세는 프랑스 왕을 유럽의 다른 왕들이 도와주지 않으면 혼란과 종교 박해가 일어나리라고 판단하고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나, 그의 뜻과는 반대로 상황이 전개되었다.[16]1790년 성직자 공민 헌장이 통과되자, 비오 6세는 칙서를 통해 이를 단죄하였다. 성직자 공민헌장은 성직자 계급을 세속 국가에 종속시키는 규정을 담고 있어 교황청의 분노를 샀으며, 이를 반대한 성직자들은 처형되었다. 또한 반(反)기독교화 운동으로 성상과 성물들이 파괴되고, 이혼 합법화 등 반(反)교회적인 조치들이 일어났다.
이에 비오 6세는 프랑스 주재 교황청 대사를 소환하고, 프랑스 혁명으로 추방된 이들을 환대하였다. 이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등장하여 1796년 이탈리아를 침공하였다. 나폴레옹은 교황청을 없애는 대신 교황령의 일부를 포기하는 조건으로 볼로냐 휴전과 1797년 톨렌티노 평화조약을 체결하였다.[16]
나폴레옹이 이집트로 떠난 후,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가 1798년 로마를 공격하여 로마 공화국을 세우고 교황에게 권위 포기를 요구했으나, 비오 6세는 거부하였다. 교황은 바티칸에서 추방되어 토스카나 지방에 머물렀으나, 보좌관들과 격리되어 교회 행정을 할 수 없었다. 1799년 프랑스군은 비오 6세를 포로로 잡아 프랑스까지 데려갔고, 비오 6세는 발랑스에서 1799년 8월 29일 선종할 때까지 감금되었다.[16]
비오 6세는 로마에 매장되기를 원했으나, 프랑스에 매장되었다가 1802년 교황 비오 7세에 의해 로마로 이장되었다.
3. 5. 비오 6세와 예수회
비오 6세는 즉위 후 예수회 총장인 로렌초 리치를 산탄젤로 성 감옥에서 석방하라고 명령했지만, 리치는 석방령이 도착하기 전에 사망했다.[6] 비오 6세 덕분에 예수회는 백러시아와 슐레지엔에서 해산을 면할 수 있었다고 여겨진다.1792년, 교황은 프랑스 혁명의 사상에 맞서 예수회를 전 세계적으로 재건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이를 실행에 옮기지는 않았다.[9]
1775년 2월 15일 교황으로 선출될 당시, 유럽 제국이 민족주의를 강화하고 왕권 하에 국가를 통일하려 할 때, 국경을 넘어 자유롭게 활약하며 교황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예수회의 존재는 눈엣가시가 되었다. 그 때문에 예수회는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비오 6세를 지지한 여러 왕가와 반(反) 예수회파는 예수회에 대한 추가 처분을 기대했고, 친(親) 예수회파는 새 교황이 예수회의 해산 처분을 완화할 것이라는 기대를 품었다. 상반되는 두 기대 사이에서 비오 6세가 중립적인 태도를 취하면서, 결과적으로 양쪽으로부터 신뢰를 잃게 되었다. 예수회원들 중 일부는 러시아 제국으로 도망쳐 그곳에서 은밀히 회를 존속시켰다.
4. 유산과 평가
비오 6세는 교황 클레멘스 14세가 시작한 피오-클레멘타인 박물관을 확장하고, 성 베드로 대성당에 새로운 성구실을 추가하는 등 예술과 인문학을 적극적으로 후원했다.[16][6]
레오 10세처럼 예술과 공공 사업 후원자가 되기를 원했지만, 재임 기간 동안 경제 정책 실패로 로마 교황청의 재정난이 심화되었다.[1]
4. 1. 예술과 문화 후원
비오 6세는 교황 클레멘스 14세의 제안으로 시작된 피오-클레멘타인 박물관을 확장하고, 성 베드로 대성당에 새로운 성구실을 추가하는 등 예술과 인문학을 적극적으로 후원했다.[16][6] 비록 비오 6세 시대에 경제 정책 실패로 로마 교황청의 재정난이 심화되었지만, 교황 자신은 레오 10세처럼 예술과 공공 사업 후원자가 되기를 원했던 것으로 보인다.4. 2. 재정 문제와 개혁의 한계
비오 6세의 교황 재임 기간 동안, 경제 정책 실패로 로마 교황청의 재정난이 심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오 6세는 레오 10세처럼 예술과 공공 사업에 대한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특히, 바티칸 미술관 건립은 비오 6세가 직접 제안한 사업이었다.[1]참조
[1]
웹사이트
The Wind was too Strong
http://romeartlover.[...]
Rome Art Lover
2014-02-12
[2]
문서
[3]
서적
Saints & Sinners: A History of the Popes
Yal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Pope Pius VI
https://popehistory.[...]
[5]
웹사이트
Braschi, Giovanni Angelo (1717–1799)
http://www2.fiu.edu/[...]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2015-04-14
[6]
웹사이트
Pope Pius VI
http://www.newadvent[...]
2018-05-30
[7]
서적
Saints & Sinners: A History of the Popes
[8]
서적
Lives of the Popes: The Pontiffs from St. Peter to Benedict XVI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9]
웹사이트
Braschi, Giovanni Angelo (1717–1799)
http://www2.fiu.edu/[...]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2015-04-14
[10]
웹사이트
Pope Pius VI
https://berkleycente[...]
Berkley Center, Georgetown University
2018-05-30
[11]
웹사이트
'Envoy Named for Centenary of Lithuania Apparitions', ''Zenit''
https://zenit.org/ar[...]
2008-08-22
[12]
웹사이트
'Pope Pius VI'. New Catholic Dictionary. CatholicSaints.Info.
https://catholicsain[...]
2017-06-02
[13]
웹사이트
Pius VI: Quare Lacrymae
http://thejosias.com[...]
2015-01-29
[14]
문서
Pius VI, ''Pourquoi Notre Voix''
[15]
서적
A History of the Popes: Vicars of Christ
MJF Books
[16]
문서
[17]
서적
Juliette
https://books.google[...]
Open Road + Grove/Atlant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