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경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군사경찰은 군사경찰 종합발전계획 수립, 군 관련 사건 수사, 군기강 확립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병영 내 보안 및 질서 유지, 기지 경비, 순찰 등의 역할을 하며, 특수임무대인 육군 군사경찰 특임대를 운용한다. 군사경찰은 군사경찰실, 각 군 헌병감실 등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2020년 2월 5일 '헌병'에서 '군사경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1년 공군 부사관 성추행 피해 사망 사건을 계기로 작전권과 수사권이 분리되었고, 2022년에는 군탈체포조 병사 보직이 폐지되었다. 군사경찰은 명예, 솔선, 봉사를 가치로 하며, 군사경찰훈, 신조, 행동강령을 통해 병과원으로서의 정신적 지표를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군사경찰 - D.P.
넷플릭스 드라마 《D.P.》는 웹툰 원작의 6부작 시리즈로, 헌병대 군무이탈체포조(D.P.) 대원들이 탈영병을 쫓는 과정을 통해 군대 내 폭력, 가혹행위, 부조리한 현실을 묘사하며, 정해인, 구교환 주연의 시즌 1, 2는 군 조직 시스템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높은 시청률과 비평적 호평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군사경찰 - 국방부조사본부
국방부조사본부는 군 관련 범죄 수사, 군인 사망 사건 민원 조사, 군 관련 고충 상담 등을 수행하며, 헌병총사령부에서 시작하여 여러 부대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대한민국 국방부 직할 부대이다. - 1947년 설립된 단체 - 국제 표준화 기구
국제 표준화 기구(ISO)는 167개국 국가 표준 기구를 회원으로 둔 비정부 기구로서, 상품 및 서비스 관련 국제 표준을 제정하며,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와 협력하고 대한민국은 기술표준원을 통해 정회원으로 활동한다. - 1947년 설립된 단체 - 미국 국방부
미국 국방부는 미국의 군정 및 군령을 총괄하는 행정 기관으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우주군을 산하에 두고 합동참모본부와 통합전투사령부를 통해 군사 작전을 지휘하며 버지니아주 알링턴의 펜타곤에 본부를 두고 있다.
군사경찰 (대한민국) | |
---|---|
개요 | |
![]() | |
활동 기간 | 1947년 3월 15일 ~ 현재 |
국가 | 대한민국 |
소속 | 대한민국 국군 |
병과 | 군사경찰 |
종류 | 해당 없음 |
역할 | 군내 법집행 |
규모 | 해당 없음 |
명령 체계 | 해당 없음 |
본부 | 해당 없음 |
별명 | 해당 없음 |
표어 | 해당 없음 |
색 | 해당 없음 |
군가 | 해당 없음 |
마스코트 | 해당 없음 |
장비 | 해당 없음 |
참전 | 6.25 전쟁 베트남 전쟁 |
훈장 | 해당 없음 |
명칭 | |
한글 | 대한민국 국군 군사경찰 |
한자 | 大韓民國國軍軍事警察 |
로마자 표기 | Daehanminguk Gukgun Gunsagyeongchal |
영어 | Military Police |
역사 | |
창설 | 1947년 3월 15일 |
2. 임무와 기능
군사경찰은 군 내부의 경찰로서 병영 내 보안과 질서 유지, 기지 정문 및 검문소 경비, 오토바이 및 기타 경찰 차량을 이용한 순찰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2. 1. 주요 임무
대한민국 육군 군사경찰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군사경찰 종합발전계획 수립 및 추진
- 군사경찰 관련 법규, 제도, 정책 발전
- 군사경찰 전투발전 및 군사경찰부대 무기, 전력지원체계, 부대구조발전 소요 제안
- 군사경찰사업 예산편성 및 획득 집행평가
- 군기강 확립 및 군 교정업무 지도와 감독
- 사고, 범죄 경향 분석 및 대책 수립과 군사경찰부대 안전활동 조정, 통제 및 지원
- 군인 및 군 관련 주요 사건, 사고 수사 업무 지도와 사고 및 범죄통계 유지 및 제공 (단, 군인의 입대 전 범죄, 성범죄, 사망 사건은 민간에서 수사 및 기소)[1]
- 육군중앙수사단 업무 조정과 통제
- 포로경비사령부 업무 조정 및 통제 (전시)
이 외에도 병영 내 보안 및 질서 유지, 기지 정문 경비, 검문소 경비, 오토바이 및 기타 경찰 차량을 이용한 기동 부대 운영 및 순찰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1990년대 이후 북한의 위협 증가에 따라 국방부는 군사경찰 내에 특수 작전 부대인 SDT(육군 군사경찰 특임대)를 배속시켰다.[1]
2. 2. 조직
군사경찰은 憲兵중국어에서 유래한 대한민국 국군의 병과 중 하나로, 군 내부의 경찰 업무 및 질서 유지, 교통 통제, 범죄 수사 등을 담당한다.2. 2. 1. 군사경찰실
군사경찰 교육훈련 및 교리 발전, 보안, 예산 업무, 예비역 유대 강화 등을 담당한다.2. 2. 2. 기타
대한민국 군사경찰은 주로 육군 보병 또는 경보병 부대 소속이지만, 비무장 지대(DMZ) 내에서 경비 및 순찰 임무를 수행하는 모든 대한민국 육군 병력은 군사경찰 완장을 착용한다(수색대대/수색중대. 공동경비구역(JSA)에 배치된 병력은 유엔군사령부 경비대대 소속이다). 이들이 군사경찰인 이유는 1953년 휴전 협정에 따라 남북 양측이 비무장 지대 내 접근을 군사경찰로만 제한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차량, 분대 지원 화기(예: 박격포 및 중기관총) 및 육군 정규 부대의 출입을 금지함을 의미한다.[1]3. 역사
대한민국 군사경찰은 1947년 3월 15일 군감대 설치를 시작으로, 1948년 3월 11일 조선경비대 군기사령부 창설, 그리고 같은 해 12월 7일 해군본부 및 육군본부 헌병감실 창설로 이어지며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2] 1948년 12월 15일에는 '헌병'이라는 병과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1949년 서울 용산에 헌병학교가 창설되었고, 육군본부 헌병감실과 헌병사령부가 개편되었다. 1953년 육·해·공군 합동 헌병 총사령부가 창설되었으며, 이승만 대통령의 지시로 반공 애국포로 석방이 이루어졌다.
1960년 헌병 총사령부가 해체되고 국방부조사대가 창설되었으며, 1961년 5.16 군사정변 당시 계엄사령부에 헌병이 지원되었다. 1969년 싸이카 기동대, 1977년 특별경호대가 창설되었다. 1979년 공군본부 헌병감 직부가 설치되었고,[3] 1980년 여군 헌병이 창설되었다.
1985년 육군교도소가 장호원으로 이전하고 헌병 역사관이 개관되었다. 이후 육군본부 헌병감실 이전(1989년), 국방부 합동조사단 개편(1990년), 감실조직 개편(1995년, 1998년), 중앙수사단 창설(1998년) 등 조직 개편이 있었다. 2000년대에는 성범죄 상담/신고센터 운영, 감실 및 중앙수사단 이전, 국방부 조사본부 창설, 육군수사단 창설, 육군 과학수사센터 창설 등 변화가 있었다.
3. 1. 연혁
- 1947년 3월 15일: 군감대가 설치되었다.
- 1948년 3월 11일: 군기사령부(조선경비대)가 창설되었고, 이날은 헌병의 날로 제정되었다.
- 1948년 12월 7일: 국방부 직제에 따라 해군본부 헌병감실과 육군본부 헌병감실이 각각 창설되었다.[2]
- 1948년 12월 15일: 병과 명칭이 '헌병'으로 변경되었다.
- 1949년 1월 16일: 헌병학교가 서울 용산에 창설되었다.
- 1949년 3월 1일: 육군본부 헌병감실이 개편되었다.
- 1949년 6월 20일: 헌병사령부가 개편되었다.
- 1950년 8월 8일: 100포로수용소가 창설되었다.
- 1953년 3월 24일: 육군, 해군, 공군 합동의 헌병 총사령부가 창설되었다.
- 1953년 6월 18일: 이승만 대통령의 지시로 반공 애국포로가 석방되었다.
- 1953년 8월 12일: 고정 범죄연구소가 대구에 창설되었다.
- 1955년 4월 16일: 육군본부 헌병감실이 개편되었다.
- 1960년 10월 10일: 헌병 총사령부가 해체되고 국방부조사대가 창설되었다.
- 1961년 5월 16일: 5.16 군사정변 당시 계엄사령부에 헌병이 지원되었다.
- 1968년 10월 15일: 헌병학교가 종합행정학교에 통합되었다.
- 1969년 12월 20일: 싸이카 기동대가 창설되었다.
- 1977년 12월 15일: 육군헌병대에 특별경호대가 창설되었다.
- 1979년: 공군본부 헌병감 직부가 설치되었다.[3]
- 1980년 9월 29일: 여군 헌병이 창설되었다.
- 1985년 10월 22일: 육군교도소가 장호원으로 이전하고, 헌병 역사관이 개관되었다.
- 1989년 7월 1일: 육군본부 헌병감실이 서울 용산에서 계룡대로 이전하였다.
- 1990년 12월 31일: 국방부 합동조사단이 개편되었다.
- 1995년 3월 1일: 감실조직이 개편되어 범수단이 해체되고 감실 범죄수사실로 편성되었다.
- 1998년 12월 1일: 감실조직이 개편되어 범죄수사실이 중앙수사단으로 창설되었다.
- 2000년 4월 1일: 성범죄 상담/신고센터가 운영되기 시작했다. (장교 1명, 부사관 1명)
- 2001년 2월 21일: 성범죄 상담/신고센터 운영 (장교 1명, 부사관 1명)
- 2003년 10월 26일: 감실과 중앙수사단이 이전하였다. (1분청 → 구 여군대대)
- 2005년 1월 1일: 감실조직이 개편되었다. (수사과 → 수사지도과, 방범과 → 방범작전과)
- 2005년 2월 1일: 항공작전사령부 헌병대가 해체되었다.
- 2006년 2월 2일: 국방부 조사본부가 창설되었다.
- 2006년 4월 1일: 육군수사단이 창설되고, 육군인사사령부 내에 헌병운영처가 신설되었다.
- 2007년 4월 1일: 육군 안전훈련센터가 개관되었다.
- 2008년 3월 1일: 육군 과학수사센터가 창설되었다.
- 2013년 1월 1일: 육군본부 헌병실이 신편되고, 육군수사단이 육군중앙수사단으로 개편되었다.
3. 2. 병과 명칭 변경
2020년 2월 5일에 '헌병' 명칭이 '군사경찰'로 바뀌었다. 군사경찰로 바꾸기 전에도 헌병 명칭에 관하여 "1907년 대한제국의 군대가 해산되었을 때 헌병 또한 폐지되었고, 1949년 7월에 공포한 헌병령에서 벗어나 일본 헌병이 아닌 미국 군사경찰대를 모델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다.[4]3. 3. 작전권/수사권 분리
2021년 공군 부사관 성추행 피해 사망 사건을 계기로 각 군의 군사경찰대에서 수사 기능을 완전히 분리하여 각 군 참모총장 직속 수사단으로 통합할 계획을 세웠다. 장성급 지휘관이 가진 군사경찰에 대한 지휘권한을 악용하여 은폐하는 것을 막고, 불신을 없애고 전문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군사경찰의 작전권과 수사권을 분리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5]모든 수사대와 검찰대가 분리되어 각 군 본부의 수사단, 검찰단으로 통합되었다. 그 예하에 수사단은 육군은 7개, 해군과 공군은 5개 광역수사대를 편성하고, 검찰단은 북부, 중부, 남부 검찰부로 나뉘었다. 2022년 1월 1일, 모든 부대의 수사 및 검찰 부대가 군 본부의 수사단과 검찰단으로 병합 및 재편성되었다.[5]
4. 상징 및 가치
군사경찰은 병과원으로서 가져야 할 정신적 지표인 군사경찰훈을 가지고 있다.
- '''명예''': 군사경찰은 군인이자 군법 집행자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군과 국민에게 신뢰받는 자세로 국가에 충성하며 법에 따라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
- '''솔선''': 군사경찰은 의표병과로서 법규를 준수하고 군기강의 모범이 되어야 하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굳은 의지와 집념으로 행동해야 한다.
- '''봉사''': 군사경찰은 군기 및 법질서 유지, 군 전투력 보존을 위한 핵심 조직으로서 국가와 국민, 군을 위해 헌신해야 한다.
군사경찰신조는 군사경찰 병과원으로서 수행해야 할 정신적 지표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하나, 우리 군사경찰은 명예를 존중하고 불의를 배격한다.
- 둘, 우리 군사경찰은 솔선하여 맡은 바 책임을 완수한다.
- 셋, 우리 군사경찰은 군의 봉사자로 장병의 권익을 보호한다.
- 넷, 우리 군사경찰은 친절한 자세로 대민봉사에 앞장선다.
군사경찰 행동강령은 군사경찰훈을 실천하고 군사경찰의 임무를 완수하기 위한 행동 지표이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나는 명예로운 군사경찰로서 군기 및 법질서를 유지하고 군 전투력 보존에 기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천한다.
# 하나, 나는 법과 규정에 의한 활동으로 신뢰받는 군사경찰이 되겠다.
# 둘, 나는 최선을 다한 안전활동으로 군 전투력 보존에 기여하겠다.
# 셋, 나는 직위를 이용한 어떠한 형태의 부당행위도 하지 않겠다.
# 넷, 나는 최고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겠다.
군사경찰의 가치관, 군사경찰 신조 및 행동강령은 상호 연계되어 있으며 지향점은 동일하다.
4. 1. 병과 표지

- 칼: 전투 기능을 상징한다.
- 권총: 전투 지원 기능을 상징한다.
- 별: 육군을 상징한다.
- 돋보기/DNA: 과학수사를 상징한다.
4. 2. 군사경찰 휘장

- 독수리: 용맹성, 정의 구현
- 병과표지: 병과의 모든 기능
- 칼: 사전, 부조리 척결, 질서 유지
- 병과표지를 둘러싼 원: 굳건한 단결
- 무궁화와 무궁화 잎: 민족의 유구한 역사와 무궁한 발전
4. 3. 군사경찰훈
군사경찰훈은 군사경찰 병과원으로서 가져야 할 정신적 지표이다.- '''명예'''
- *: 군사경찰은 군인임과 동시에 군법 집행자로서 그 존엄성과 긍지를 자각하고 군과 국민으로부터 신뢰받고 자랑스러운 자세로 국가에 충성을 다하며 법에 따라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 '''솔선'''
- *: 군사경찰은 의표병과로서 법규 준수 및 내/외적 군기강의 표상으로 항상 모범이 되어야 하며 어떠한 어려운 여건에서도 굳은 의지와 집념을 가지고 행동으로 실천하여야 한다.
- '''봉사'''
- *: 군사경찰은 군기 및 법질서 유지, 군 전투력 보존을 위한 핵심 조직으로서 국가와 국민, 군을 위해 몸과 마음을 다하여 헌신하여야 한다.
4. 4. 군사경찰신조
군사경찰신조는 군사경찰 병과원으로서 수행해야 할 정신적 지표이다. 우리는 자랑스럽고 영원한 군사경찰의 빛나는 전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다짐한다.
- 하나, 우리 군사경찰은 명예를 존중하고 불의를 배격한다.
- 둘, 우리 군사경찰은 솔선하여 맡은 바 책임을 완수한다.
- 셋, 우리 군사경찰은 군의 봉사자로 장병의 권익을 보호한다.
- 넷, 우리 군사경찰은 친절한 자세로 대민봉사에 앞장선다.
4. 5. 군사경찰 행동강령
군사경찰 행동강령은 군사경찰훈을 실천하고 군사경찰의 임무를 완수하기 위한 행동 지표이다.
나는 명예로운 군사경찰로서 군기 및 법질서를 유지하고 군 전투력 보존에 기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천한다.
# 하나, 나는 법과 규정에 의한 활동으로 신뢰받는 군사경찰이 되겠다.
# 둘, 나는 최선을 다한 안전활동으로 군 전투력 보존에 기여하겠다.
# 셋, 나는 직위를 이용한 어떠한 형태의 부당행위도 하지 않겠다.
# 넷, 나는 최고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겠다.
군사경찰이 병과원으로서 지향해야 할 최고의 가치관이라면 군사경찰 신조 및 행동강령은 군사경찰훈을 실천하고 임무를 완수하기 위한 행동 지표로써 상호 연계되어 있으며 지향점은 동일하다.
5. 역대 지휘관
계급 | 성명 | 취임 | 이임 | 비고 | |
---|---|---|---|---|---|
1 | 소령 | 최석(崔錫) | 1948년 3월 11일 | 1948년 11월 25일 | 초대 군기사령관 |
2 | 대령 | 신상철(申尙澈) | 1948년 11월 25일 | 1949년 1월 5일 | 군기사령관 |
3 | 대령 | 장홍 | 1949년 1월 5일 | 1949년 6월 27일 | 헌병사령관 |
4 | 대령 | 전봉덕(田鳳德) | 1949년 6월 27일 | 1949년 11월 27일 | 헌병사령관 |
5 | 대령 | 최영희 | 1949년 11월 27일 | 1950년 4월 18일 | 헌병사령관 |
6 | 대령 | 송요찬 | 1950년 4월 18일 | 1950년 9월 1일 | 헌병사령관 |
7 | 준장 | 장창국 | 1950년 9월 1일 | 1951년 1월 14일 | 헌병사령관 |
8 | 준장 | 최경록 | 1951년 1월 14일 | 1952년 1월 20일 | 헌병사령관 |
9 | 대령 | 심언봉 | 1952년 1월 20일 | 1952년 9월 10일 | 헌병사령관 |
10 | 소장 | 석주암 | 1952년 9월 10일 | 1953년 8월 18일 | 헌병사령관 |
11 | 준장 | 임충식 | 1953년 8월 18일 | 1953년 12월 7일 | 헌병사령관 |
12 | 준장 | 송효순 | 1953년 12월 7일 | 1954년 5월 31일 | 헌병사령관 |
13 | 준장 | 공국진(孔國鎭) | 1954년 5월 31일 | 1955년 9월 7일 | 헌병사령관 |
14 | 준장 | 김병삼(金炳三) | 1955년 9월 7일 | 1956년 2월 24일 | 헌병감 |
15 | 소장 | 이명재(李明載) | 1956년 2월 24일 | 1956년 7월 9일 | 헌병감 |
16 | 대령 | 신재식(辛在植) | 1956년 7월 9일 | 1957년 7월 15일 | 헌병감 |
17 | 준장 | 김득모(金得模) | 1957년 7월 15일 | 1959년 2월 28일 | 헌병감 |
18 | 준장 | 이규광 | 1959년 2월 28일 | 1960년 5월 31일 | 헌병감 |
19 | 준장 | 심흥선(沈興善) | 1960년 5월 31일 | 1961년 1월 11일 | 헌병감 |
20 | 준장 | 조흥만(曺興萬) | 1961년 1월 11일 | 1961년 5월 22일 | 헌병감 |
21 | 대령 | 문재준(文載駿) | 1961년 5월 22일 | 1961년 7월 6일 | 헌병감 |
22 | 소장 | 박태원(朴泰元) | 1961년 7월 6일 | 1963년 12월 7일 | 헌병감 |
23 | 준장 | 이광선(李光善) | 1963년 12월 7일 | 1965년 12월 6일 | 헌병감 |
24 | 준장 | 김시진(金詩珍) | 1965년 12월 6일 | 1967년 10월 15일 | 헌병감 |
25 | 소장 | 이인호(李仁鎬) | 1967년 10월 15일 | 1969년 10월 7일 | 헌병감 |
26 | 소장 | 김익순(金益淳) | 1969년 10월 7일 | 1971년 10월 7일 | 헌병감 |
27 | 준장 | 박승만(朴勝萬) | 1971년 10월 7일 | 1973년 10월 6일 | 헌병감 |
28 | 소장 | 김용근(金容根) | 1973년 10월 6일 | 1975년 10월 5일 | 헌병감 |
29 | 소장 | 윤장근(尹壯根) | 1975년 10월 5일 | 1977년 10월 6일 | 헌병감 |
30 | 소장 | 김만기(金滿基) | 1977년 10월 6일 | 1979년 10월 6일 | 헌병감 |
31 | 준장 | 김진기 | 1979년 10월 6일 | 1979년 12월 20일 | 헌병감 |
32 | 준장 | 조홍(趙洪) | 1979년 12월 20일 | 1981년 12월 20일 | 헌병감 |
33 | 준장 | 조명기(趙明記) | 1981년 12월 20일 | 1983년 12월 20일 | 헌병감 |
34 | 준장 | 성환옥(成煥玉) | 1983년 12월 20일 | 1985년 12월 20일 | 헌병감 |
35 | 준장 | 최동수(崔東秀) | 1985년 12월 20일 | 1987년 12월 19일 | 헌병감 |
36 | 소장 | 최석립(崔石立) | 1987년 12월 19일 | 1989년 12월 19일 | 헌병감 |
37 | 소장 | 신윤희 | 1989년 12월 19일 | 1991년 12월 19일 | 헌병감 |
38 | 소장 | 손태진(孫台鎭) | 1991년 12월 19일 | 1993년 12월 19일 | 헌병감 |
39 | 소장 | 김영덕(金榮德) | 1993년 12월 19일 | 1995년 12월 16일 | 헌병감 |
40 | 소장 | 조래원(趙來元) | 1995년 12월 16일 | 1997년 1월 22일 | 헌병감 |
41 | 소장 | 김보영(金寶榮) | 1997년 1월 22일 | 1998년 1월 22일 | 헌병감 |
42 | 소장 | 김시천(金時千) | 1998년 1월 22일 | 2000년 1월 22일 | 헌병감 |
43 | 소장 | 이정 | 2000년 1월 22일 | 2002년 1월 22일 | 헌병감 |
44 | 준장 | 이길재 | 2002년 1월 22일 | 2003년 10월 21일 | 헌병감 |
직무대리 | 대령 | 김홍배 | 2003년 11월 24일 | 2004년 11월 5일 | 헌병감 |
45 | 소장 | 홍종설 | 2004년 11월 5일 | 2006년 12월 20일 | 헌병감, 제1대 육군수사단장 |
46 | 소장 | 윤종성 | 2006년 12월 20일 | 2008년 12월 16일 | 헌병병과장, 제2대 육군수사단장 |
47 | 소장 | 승장래 | 2008년 12월 16일 | 2010년 12월 10일 | 헌병병과장, 제3대 육군수사단장 |
48 | 준장 | 이해영 | 2010년 12월 10일 | 2011년 2월 16일 | 헌병병과장, 제4대 육군수사단장 |
직무대리 | 대령 | 박성열 | 2011년 2월 18일 | 2011년 12월 5일 | 헌병병과장 |
49 | 소장 | 김종출 | 2011년 5월 6일 | 2011년 12월 6일 | 제5대 육군수사단장 |
50 | 소장 | 백낙종 | 2011년 12월 6일 | 2012년 12월 14일 | 헌병병과장, 제6대 육군수사단장 |
51 | 준장 | 선종출 | 2012년 12월 14일 | 2014년 10월 27일 | 헌병병과장, 초대 헌병실장 |
52 | 준장 | 김주훈 | 2014년 10월 27일 | 2015년 11월 30일 | 제2대 헌병실장 |
53 | 준장 | 최병호 | 2015년 11월 30일 | 2017년 12월 31일 | 헌병병과장, 제3대 헌병실장 |
54 | 준장 | 이태명 | 2018년 1월 13일 | 2019년 5월 17일 | 헌병병과장, 제4대 헌병실장 |
6. 장비
대한민국 군사경찰은 다음과 같은 개인 화기를 운용하고 있다.
- K1A 기관단총
- K2 소총
- K5 반자동 권총
- K14 볼트액션 저격 소총
- 미국산 여러 종류의 리볼버
7. 대중매체
참조
[1]
웹사이트
헌병 연혁 [History of the MP]
http://www.mp.mil.kr[...]
ROKA Military Police
2016-02-13
[2]
웹인용
국방부직제 (시행 1948.12.7.)(대통령령 제37호, 1948.12.7., 제정)
http://law.go.kr/lsI[...]
국가법령정보센터
2016-03-03
[3]
웹인용
공군준장 김창동 (金漲東)
http://dnc.go.kr/_pr[...]
국립대전현충원
2016-03-04
[4]
뉴스
헌병 명칭 72년 만에 '군사경찰'로 변경됐다…관보에 고시
https://www.yna.co.k[...]
2020-02-05
[5]
뉴스
일선 부대 군사경찰 폐지…참모총장 직속 수사단 신설
https://imnews.imbc.[...]
MBC 뉴스
2021-06-22
[6]
뉴스
드라마 때문에 ‘DP 병사 보직’이 없어진다?
http://www.newstof.c[...]
2021-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