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권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사는 개신교, 동방 교회, 동방 정교회 등에서 여성의 목회와 제한적인 전례 역할을 수행하는 직무 또는 직분을 의미한다. '권고하는 자'라는 뜻의 1746년 존 웨슬리가 만든 직분에서 유래되었으며, 초기 기독교 시대에도 여집사 제도가 존재했다. 19세기 독일에서 시작된 근대 권사 운동은 유럽과 미국으로 확산되었으며, 한국에서는 감리교회와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봉사하는 여성에게 권사 직분을 부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지도자 - 존 모트
    존 모트는 미국의 YMCA 지도자이자 에큐메니스트로, 1946년 노벨 평화상 공동 수상자이며, 세계 기독교 학생 연맹 의장으로 학생 선교 운동을 이끌었고, 현대 개신교 선교 운동과 기독교 에큐메니즘에 기여했다.
  • 기독교 지도자 - 앤드루 머리
    앤드루 머레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개신교 목사이자 작가, 선교사로서, 스코틀랜드와 네덜란드에서 교육받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목회하며 부흥 운동에 기여했으며, '내적 삶' 운동의 중요 인물로서 믿음 치유 신학과 성령의 은사로 오순절 운동에 영향을 주었고, 240권 이상의 저서를 집필하여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기독교 부흥 운동과 현대 한국 기독교에 영향을 미쳤다.
  • 교회당 - 바실리카
    바실리카는 고대 로마 시대에 법정이나 상업 건물로 사용되다가 기독교 교회 건축 양식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가톨릭교회에서 특별한 특권을 가진 교회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 교회당 - 총회
    총회는 종교적, 사회적 목적으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집회를 뜻하는 용어로, 교회나 종교 단체의 최고 의결 기관, 국제 기구의 주요 의사결정 기구, 국가 및 지방 의회의 명칭 등으로 사용되며, 신약성경에서는 신앙 공동체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 장로교 - 대한민국에서의 칼뱅 연구
    대한민국에서의 칼뱅 연구는 1884년 서양 선교사들을 통해 칼뱅이 소개된 후 평양신학교를 중심으로 전파되었으며, 1960년대 이후 한국 교회의 관심 증가와 더불어 활발한 연구와 저작 번역이 이루어져 1980년대 이후 전문 연구자 등장과 원저 번역을 통해 깊이를 더하며 한국 신학 발전에 기여하고 원전 연구, 서구 신학 평가, 칼뱅의 해석학 연구 등을 과제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장로교 - 언약신학
    언약신학은 창조, 타락, 구원, 종말에 걸쳐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언약(계약)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신학 체계로, 행위 언약, 속죄 언약, 은혜 언약 등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설명하며 개혁파 신학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권사

2. 역사

존 웨슬리는 1746년 권고하는 자로서의 뜻을 가진 권사(exhorter)라는 직분을 만들어, 목회자를 도와 설교, 신앙적 권면, 심방 등을 하는 사람들을 선출했다. 1939년 미연합감리교회는 남북 감리교단이 연합하면서 권사라는 이름은 없앴지만, 평신도가 그 기능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이러한 감리교의 권사 제도는 한국 감리교에서 사용되었고, 이들에게 견습 또는 권도사라는 이름을 주었다.[1][2] 1955년 제40회 예수교장로회총회에서 봉사를 잘 감당하는 여성에게 권사 직분을 주기 시작했다.[3]

여집사(또는 여성 집사)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바울의 서신(서기 55–58년경)에 나타나며,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7]오리게네스[8]와 같은 초기 기독교 작가들도 그들의 사역을 언급했다. 2세기 초 플리니우스 더 영거의 편지에서 여성 집사의 역할이 증명되는데, 그는 기독교인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내기 위해 고문한 집사로 "두 명의 하녀"를 언급한다. 이는 초기부터 동부 로마 제국의 일부 지역에 여집사 직책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9],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우스[10], 요한 크리소스토모스[11], 니사의 그레고리우스[12]와 같은 4세기의 교부들은 여집사의 사역을 사실로 받아들였다.

사도들의 가르침은 집사와 여집사의 역할을 더 자세히 논의하는 가장 초기의 문서로, 3세기 동안 아람어 사용 시리아에서 시작되었지만 곧 그리스어와 라틴어 버전으로 퍼졌다. 이 문서는 주교에게 여성을 위한 사역을 위해 여성을 임명하고, 이교도 때문에 집사를 보낼 수 없는 가정에 여집사를 보낼 수 있다고 촉구한다. 또한 주교는 집사를 그리스도로, 여집사를 성령으로 간주하여 그들의 지위를 나타내야 한다고 말한다.[13][14]

니케아 1차 공의회 19조에서는 여집사가 안수를 받지 않았으므로 평신도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명시했다.[15] 451년 칼케돈 공의회는 여성이 40세가 될 때까지 여집사로 임명되어서는 안 된다고 규정했다. 여집사에 대한 가장 오래된 서품식은 5세기의 사도적 헌장에서 발견된다.[16] 주교가 여집사에게 안수하고 집사의 사역을 위해 성령을 간구하는 것을 묘사하며, 예식과 기도가 포함된 전체 버전은 서기 780년의 바르베리니 코덱스에서 발견되었다. 이 전례 매뉴얼은 여집사를 위한 서품 예식을 제공하며, 이는 남성을 집사로 서품하는 예식과 거의 동일하다.[17] 다른 고대 필사본도 동일한 예식을 확인한다.[18] 그러나 필립 샤프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여집사를 서품하기 위해 수행된 의식이 "단순한 엄숙한 헌신과 축복"이라고 기록했다.[19]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식에 대한 신중한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이 의식이 오늘날의 용어로 완전히 성사였다고 설득되었다.[20]

올림피아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대주교의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지지자 중 한 명으로, 5세기 동안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여집사로 알려졌다.[6][21] 유스티니아누스는 6세기 중반 동서 지역의 성직자에 관한 법률에서 남성과 여성을 병렬적으로 집사로 언급했다. 그는 또한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에서 봉사하도록 규제된 사람에 여성을 집사로 포함하여 남성과 여성을 함께 집사로 나열한 다음 남성이 100명, 여성이 40명인 집사를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계속되는 전례와 목회적 역할의 증거는 콘스탄티누스 7세의 10세기 의식 매뉴얼(De Ceremoniis|De Ceremoniisla)에 의해 제공되며, 이 매뉴얼은 하기아 소피아에 여집사를 위한 특별한 공간을 언급하고 있다.[6]

메노나이트는 여집사를 성별하는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35] 모라비안 교회의 친첸도르프 백작은 1745년에 여집사 성별을 시작했다.[36][37] 1559년 세단 공국의 앙리 로베르 드 라 마르크 공작에 의해 설립된 자선 처녀회는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여집사 단체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그들은 그러한 명칭으로 불리지 않았다.[35]

19세기 중반, 테오도어 플라이드너와 그의 아내 프리데리케 뮌스터가 1836년 카이저스베르트에 최초의 권사 모자원을 설립하면서 독일에서 근대 권사 운동이 시작되었고,[35] 메노나이트 교도들의 권사 제도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운동은 루터교, 성공회, 감리교를 중심으로 유럽, 북미, 아시아 등 세계 각지로 확산되었다. 권사들은 5년간 봉사하며 숙식, 유니폼, 용돈, 평생 간호를 제공받았다. 이들의 훈련은 간호, 아동 보육, 사회 사업, 가사 등에 중점을 두어 결혼 생활을 준비하는 데 기여했다. 1890년까지 유럽에는 5,000명이 넘는 권사가 있었으며, 주로 독일, 스칸디나비아, 영국에서 활동했다.[40]

스위스에서는 1842년 에샬랑에 권사 기관이 설립되었고,[41][42] 프랑스에서는 1841년 파리에 "Diaconesses de Reuilly"라는 개신교 권사회가 설립되었다.[43] 스트라스부르에서도 1842년에 권사회가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쟁 지역의 권사들은 큰 피해를 입었고, 동유럽이 공산화되면서 많은 권사회가 문을 닫았다. 1947년, DIAKONIA 세계 연맹이 설립되었고,[44] 1957년에는 독일에 46,000명의 권사와 10,000명의 준회원이 있었다. 미국과 캐나다에는 1,550명의 권사가 있었으며, 그중 절반은 감리교 소속이었다.[45]

각국의 권사 운동은 다음과 같다:

국가내용
덴마크루이세 코링이 독일, 스웨덴, 프랑스의 권사 기관을 조사한 후, 1863년 코펜하겐에 권사 기관을 설립했다.[46][47]
영국1862년 엘리자베스 페라드가 최초의 여성 집사가 되었고,[48] 1861년 노스 런던 여성 집사 기관을 설립했다. 1887년 이자벨라 길모어는 공동체에 속하지 않은 여성 집사들의 부흥을 이끌었다.[49]
스코틀랜드그리젤 배일리가 1888년 최초의 여성 집사가 되었고,[50] 1894년 그녀를 기념하는 병원이 개원했다.
핀란드1867년 헬싱키에 디아코니사 학교가 설립되었으며,[53] 세실리아 블롬크비스트가 최초로 훈련받은 디아코니사였다.
노르웨이1866년 카틴카 굴베르크가 카이저스베르트에서 훈련받고 돌아와 1869년 크리스티아니아 권사 하우스를 설립하고, 최초의 전문 간호 프로그램을 시작했다.[54][55][56]
스웨덴1851년 에르스타 디아코니가 설립되었고, 마리아 세데르셸드가 초대 기관장이자 최초의 권사가 되었다.[57]
미국윌리엄 파사반트가 4명의 여집사를 미국에 처음 데려왔다.[59] 1884년 필라델피아의 독일인들이 병원을 운영하기 위해 독일에서 7명의 수녀를 데려왔다. 1895년 루터교는 여집사 서품을 승인했다.[60] 사회 복음 운동의 영향으로 여집사들은 대도시 이민자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힘썼다.[64] 1888년 신시내티에 여집사 병원이 설립되었다.[67] 루시 라이더 마이어는 감리교에서 여집사 직책을 부활시킨 인물로 평가받는다.[68] 1907년 안나 알렉산더는 감독교회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집사가 되었다.[70] 메노나이트 교도들은 1908년 베델 디코네스 홈 및 병원 협회를 설립했다.[71]
캐나다1890년 감리교가 여집사단을 설립하는 것을 고려했고, 1894년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72] 1926년 연합 교회 훈련 학교가 설립되었다.[73]
미크로네시아 연방1982년 아델린 노다가 코스라에에서 최연소 집사로 임명되었다.[75][76]
오스트레일리아장로교와 감리교는 권사를 두고 있었고, 1991년 남녀 모두를 집사로 임명하는 데 동의했다. 1992년 베티 매튜스가 최초로 집사로 임명되었다.
뉴질랜드1903년 더니든에 디코네스 훈련원이 설립되었고, 크리스타벨 던컨이 권사 활동을 시작했다.[79] 1965년 여성이 목사로 안수받는 것이 허용되면서 권사 제도는 1975년에 종료되었다.
필리핀DIAKONIA 세계 연맹의 4개 회원 단체가 있다.



20세기 초, 간호 및 사회 사업과 같은 역할이 전문화되면서 권사 운동의 사명은 약화되었다.

2. 1. 초대 교회

로마서 16장 1절(서기 58년)에는 "우리 자매 뵈뵈를 너희에게 추천하노니, 그녀는 겐그레아 교회의 일꾼입니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여기서 '일꾼'에 해당하는 원문 그리스어 단어는 οὖσαν διάκονονgrc()이다. 이 단어는 대부분 '하인'을 의미하지만, 교회의 직책인 '집사'를 가리키기도 한다. 학자들은 이 구절이 공식적인 직책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봉사하는 사람을 뜻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22]

디모데전서 3장 8-13절에는 집사의 자격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여성들도 마찬가지로 진지하고, 비방하지 않으며, 절제하고, 모든 일에 충실해야 합니다"라는 구절이 남성 집사에 대한 내용 중간에 등장한다. 여기서 '여성들'이라는 단어는 남성 집사의 아내를 가리킬 수도 있고, 여성 집사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동일한 그리스어 단어 διακονοιgrc가 남성과 여성을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여성 집사로의 전환은 언어학적으로 가능하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의 교회 법령에는 διάκονοι γυναῖκεςgrc(, "집사 여성")라는 표현이 나타난다.[23] 크리소스토무스[24]와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르[25] 같은 초기 그리스 교부들도 이러한 해석을 지지했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서기 150~215년)는 고린도전서 9장 5절에 대한 주석에서 여성 집사에 대해 언급하며, 디모데전서 3장 11절에 나오는 여성 집사에 대한 지시 사항을 알고 있다고 밝혔다.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게네스 (서기 184~254년)는 로마서 16장 1-2절에 나오는 뵈뵈에 대해 언급하며, 여성이 교회에서 집사로 임명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도 헌장은 주교가 여집사에게 안수하고 성령을 간구하는 것을 묘사하며, 여집사를 성령으로 간주하여 교회 계층에서 그들의 두드러진 지위를 나타내야 한다고 말한다.[14]

니케아 1차 공의회 19조에서는 여집사가 안수를 받지 않았으므로 평신도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명시했다.[15] 칼케돈 공의회 (451년)에서는 여성이 40세가 될 때까지 여집사로 임명되어서는 안 된다고 규정했다. 가장 오래된 여집사 서품식은 5세기의 사도적 헌장에서 발견된다.[16]

5세기 동안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여집사로 알려진 올림피아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대주교의 친구이자 지지자였다.[6][21] 유스티니아누스는 6세기 중반 동서 지역의 성직자에 관한 법률에서 남성과 여성을 병렬적으로 집사로 언급했다. 그는 또한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에서 봉사하도록 규제된 사람에 여성을 집사로 포함했다.[6]

2. 2. 중세 시대

사도들의 가르침은 집사와 여집사의 역할을 더 자세히 논의하는 가장 초기의 문서로, 3세기 동안 아람어 사용 시리아에서 시작되었지만 곧 그리스어와 라틴어 버전으로 퍼졌다. 여기서 저자는 주교에게 "여성을 위한 사역을 위해 여성을 임명하십시오. 이교도 때문에 집사를 그들의 여성들에게 보낼 수 없는 가정이 있지만 여집사는 보낼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많은 문제에서 여집사의 직무가 필요합니다."[13]라고 촉구하며, 주교는 집사를 그리스도로, 여집사를 성령으로 간주하여 교회 계층에서 그들의 두드러진 지위를 나타내야 한다고 하였다.[14]

여집사들은 니케아 1차 공의회 19조에도 언급되어 있는데, "그들은 안수를 받지 않았으므로 평신도들 사이에만 포함되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15] 451년 칼케돈 공의회는 여성이 40세가 될 때까지 여집사로 임명되어서는 안 된다고 규정했다. 여집사에 대한 가장 오래된 서품식은 5세기의 사도적 헌장에서 발견된다.[16] 주교가 여집사에게 안수하고 집사의 사역을 위해 성령을 간구하는 것을 묘사하고 있으며, 예식과 기도가 포함된 전체 버전은 서기 780년의 바르베리니 코덱스에서 발견되었다. 이 전례 매뉴얼은 여집사를 위한 서품 예식을 제공하며, 이는 남성을 집사로 서품하는 예식과 거의 동일하다.[17] 다른 고대 필사본도 동일한 예식을 확인한다.[18] 그러나 필립 샤프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여집사를 서품하기 위해 수행된 의식이 "단순한 엄숙한 헌신과 축복"이라고 기록했다.[19]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식에 대한 신중한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이 의식이 오늘날의 용어로 완전히 성사였다고 설득되었다.[20]

올림피아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대주교의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지지자 중 한 명으로, 5세기 동안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여집사로 알려졌다.[6][21] 유스티니아누스는 6세기 중반 동서 지역의 성직자에 관한 법률에서 남성과 여성을 병렬적으로 집사로 언급했다. 그는 또한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에서 봉사하도록 규제된 사람에 여성을 집사로 포함하여 남성과 여성을 함께 집사로 나열한 다음 남성이 100명, 여성이 40명인 집사를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계속되는 전례와 목회적 역할의 증거는 콘스탄티누스 7세의 10세기 의식 매뉴얼(De Ceremoniis|De Ceremoniisla)에 의해 제공되며, 이 매뉴얼은 하기아 소피아에 여집사를 위한 특별한 공간을 언급하고 있다.[6]

비잔틴 교회에서 여성 집사는 교회 내에서 전례적 기능과 목회적 기능을 모두 수행했다.[6] 이 여성들은 세례 지원자를 가르치고, 여성의 세례를 돕고, 여성을 교회 예배에 참여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다른 여성들을 섬겼다.[26] 또한 교회 구성원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했으며, 수감자종교 박해를 받는 사람들의 신체적, 정서적, 영적 필요를 돌보았다.[27] 질병이나 출산으로 집에 머물러야 하는 여성들에게 파견되었고, 여성의 신성한 도유와 세례를 집행하는 중요한 성사적 의무를 수행했다. 여성 성가대를 책임지는 사람에게도 집사 서품이 적절했는데, 이는 전례적 의무였다. Vita Sanctae Macrinae|Vita Sanctae Macrinaela(성 마크리나의 생애)의 증거에 따르면 램파디아가 여성 성가대를 담당했다. 일부에서는 그들이 성찬례의 집전자였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이러한 관행은 무효로 여겨졌다.[28]

여성 집사의 직무는 개신교, 동방 교회, 동방 정교회의 일부 교회에서 일반적으로 임명직이 아닌 사람의 직무이며, 특히 여성에 대한 목회에 종사하고, 제한적인 전례적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어원은 그리스어 디아코노스(διάκονος)로, 사제를 돕는 "부제"를 의미하며, 기독교의 신약성경에 자주 등장한다. 부제의 기원은 예수 그리스도 시대부터 서양에서는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비잔틴 시대 초기부터 중기에 걸쳐 콘스탄티노폴리스예루살렘에 존재했으며, 서유럽의 교회에도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비잔틴 시대 초기부터 중기에 걸친 비잔틴 교회에서 여성을 포함한 부제직은 성직자의 주요한 비임명직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있다.

2. 3. 종교 개혁 시대

메노나이트는 여집사를 성별하는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35] 모라비안 교회의 친첸도르프 백작은 1745년에 여집사 성별을 시작했다.[36][37]

1559년 세단 공국의 앙리 로베르 드 라 마르크 공작에 의해 설립된 자선 처녀회는 최초의 프로테스탄트 여집사 단체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그들은 그러한 명칭으로 불리지 않았다.[35] 영국의 비국교도들은 1610년대에 암스테르담의 수도회에서 여성 집사를 부활시키려다 실패했다.

1840년대에 독일의 개신교도들 사이에서 여성 집사 제도의 부활이 시작되어 북유럽, 네덜란드, 영국, 미국으로 퍼져나갔다. 루터교는 특히 적극적이었으며, 이들의 기여는 많은 병원에서 찾아볼 수 있다. 1836년, 독일의 목사 테오도어 플리드너(Theodor Fliedner)에 의해 근대적인 여성 집사(디아코네스) 제도가 만들어졌다. 이 제도는 미혼으로 평생 독신인 기독교 여성들이 각종 시설과 교회에서 사회적 봉사에 헌신하도록 하였고, 봉사녀들은 각각 "어머니의 집"(Mutterhaus)에 속하여 훈련을 받고 파견되었으며, 의식주는 모두 보장받았다.

이 운동은 1910년경에 정점에 달했지만, 이후 세속화로 인해 유럽의 종교성이 쇠퇴하고, 간호사사회복지사의 전문화로 젊은 여성들에게 다른 직업 기회가 제공되면서 점차 쇠퇴해 갔다. 그러나 여성 집사는 루터교나 감리교 등의 기독교 교파에서 봉사를 계속하고 있으며, 봉사를 시작하기 전에 여성 집사로 성별된다. 여성 집사의 직무는 개신교, 동방 교회, 동방 정교회의 일부 교회에서 일반적으로 임명직이 아닌 사람의 직무이며, 특히 여성에 대한 목회에 종사하고, 제한적인 전례적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2. 4. 근대 권사 운동

19세기 중반, 독일에서 시작된 근대 권사 운동은 테오도어 플라이드너와 그의 아내 프리데리케 뮌스터가 1836년 카이저스베르트에 최초의 권사 모자원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어,[35] 메노나이트 교도들의 권사 제도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운동은 루터교, 성공회, 감리교를 중심으로 유럽, 북미, 아시아 등 세계 각지로 확산되었다.

권사들은 5년간 봉사하며 숙식, 유니폼, 용돈, 평생 간호를 제공받았다. 이들의 훈련은 간호, 아동 보육, 사회 사업, 가사 등에 중점을 두어 결혼 생활을 준비하는 데 기여했다. 1890년까지 유럽에는 5,000명이 넘는 권사가 있었으며, 주로 독일, 스칸디나비아, 영국에서 활동했다.[40]

스위스에서는 1842년 에샬랑에 권사 기관이 설립되었고,[41][42] 프랑스에서는 1841년 파리에 "Diaconesses de Reuilly"라는 개신교 권사회가 설립되었다.[43] 스트라스부르에서도 1842년에 권사회가 설립되었다. 이 세 권사회는 현재까지도 병원, 노인 요양, 영적 활동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쟁 지역의 권사들은 큰 피해를 입었고, 동유럽이 공산화되면서 많은 권사회가 문을 닫았다. 7,000명의 권사가 서독으로 피난했다.

1947년, DIAKONIA 세계 연맹이 설립되었고,[44] 1957년에는 독일에 46,000명의 권사와 10,000명의 준회원이 있었다. 미국과 캐나다에는 1,550명의 권사가 있었으며, 그중 절반은 감리교 소속이었다.[45]

각국의 권사 운동은 다음과 같다:

국가내용
덴마크루이세 코링이 독일, 스웨덴, 프랑스의 권사 기관을 조사한 후, 1863년 코펜하겐에 권사 기관을 설립했다.[46][47]
영국1862년 엘리자베스 페라드가 최초의 여성 집사가 되었고,[48] 1861년 노스 런던 여성 집사 기관을 설립했다. 1887년 이자벨라 길모어는 공동체에 속하지 않은 여성 집사들의 부흥을 이끌었다.[49]
스코틀랜드그리젤 배일리가 1888년 최초의 여성 집사가 되었고,[50] 1894년 그녀를 기념하는 병원이 개원했다.
핀란드1867년 헬싱키에 디아코니사 학교가 설립되었으며,[53] 세실리아 블롬크비스트가 최초로 훈련받은 디아코니사였다.
노르웨이1866년 카틴카 굴베르크가 카이저스베르트에서 훈련받고 돌아와 1869년 크리스티아니아 권사 하우스를 설립하고, 최초의 전문 간호 프로그램을 시작했다.[54][55][56]
스웨덴1851년 에르스타 디아코니가 설립되었고, 마리아 세데르셸드가 초대 기관장이자 최초의 권사가 되었다.[57]
미국윌리엄 파사반트가 4명의 여집사를 미국에 처음 데려왔다.[59] 1884년 필라델피아의 독일인들이 병원을 운영하기 위해 독일에서 7명의 수녀를 데려왔다. 1895년 루터교는 여집사 서품을 승인했다.[60] 사회 복음 운동의 영향으로 여집사들은 대도시 이민자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힘썼다.[64] 1888년 신시내티에 여집사 병원이 설립되었다.[67] 루시 라이더 마이어는 감리교에서 여집사 직책을 부활시킨 인물로 평가받는다.[68] 1907년 안나 알렉산더는 감독교회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집사가 되었다.[70] 메노나이트 교도들은 1908년 베델 디코네스 홈 및 병원 협회를 설립했다.[71]
캐나다1890년 감리교가 여집사단을 설립하는 것을 고려했고, 1894년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72] 1926년 연합 교회 훈련 학교가 설립되었다.[73]
미크로네시아 연방1982년 아델린 노다가 코스라에에서 최연소 집사로 임명되었다.[75][76]
오스트레일리아장로교와 감리교는 권사를 두고 있었고, 1991년 남녀 모두를 집사로 임명하는 데 동의했다. 1992년 베티 매튜스가 최초로 집사로 임명되었다.
뉴질랜드1903년 더니든에 디코네스 훈련원이 설립되었고, 크리스타벨 던컨이 권사 활동을 시작했다.[79] 1965년 여성이 목사로 안수받는 것이 허용되면서 권사 제도는 1975년에 종료되었다.
필리핀DIAKONIA 세계 연맹의 4개 회원 단체가 있다.



20세기 초, 간호 및 사회 사업과 같은 역할이 전문화되면서 권사 운동의 사명은 약화되었다. 20세기 말 유럽의 세속화는 교회 관련 여성 단체의 약화를 초래했지만,[38] 오늘날 권사들은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하고 있다.[3][4]

3. 한국의 여성 집사(권사)

존 웨슬리가 시작한 권사 제도는 미국 감리교회를 거쳐 한국의 감리교회와 장로교회에 도입되었다. 1746년 존 웨슬리는 목회자를 도와 설교, 신앙적 권면, 심방 등을 하는 권사(exhorter, 권고하는 자) 직분을 만들었다.[35] 1939년 미연합감리교회는 권사라는 명칭을 없앴지만, 평신도가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했다. 한국 감리교회에서는 이들을 견습 또는 권도사라고 불렀다.[35]

1955년 제40회 예수교장로교총회에서 봉사를 잘하는 여성에게 권사 직분을 주기 시작했다.[1]

1836년 독일의 테오도어 플리드너(Theodor Fliedner) 목사는 미혼으로 평생 독신인 기독교 여성들이 각종 시설과 교회에서 사회 봉사에 헌신하는 여성 집사(디아코네스) 제도를 만들었다. 이들은 "어머니의 집"에서 훈련받고 파견되었으며, 의식주를 보장받았다. 이 운동은 1910년경 정점에 달했다가 세속화와 간호사, 사회복지사 전문화로 쇠퇴했지만, 루터교, 감리교 등에서는 여성 집사 봉사가 계속되고 있다.[7]

3. 1. 한국 감리교회

존 웨슬리는 1746년 목회자를 도와 설교, 신앙 권면, 심방 등을 하는 권사(exhorter) 제도를 만들었다.[35] 이 제도는 미국 감리교회를 통해 한국 감리교회에 전래되었다.[35] 1939년 미연합감리교회는 권사라는 명칭을 없앴지만, 평신도들이 그 기능을 그대로 수행하도록 하였다. 한국 감리교회에서는 이들을 견습 또는 권도사라고 불렀다.[35]

3. 2. 한국 장로교회

1955년 제40회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총회에서 여성의 직분으로 권사를 주기 시작했다.[1] 권사 제도는 존 웨슬리가 1746년 만든 권사(exhorter, 권고하는 자) 직분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미국 감리교회를 거쳐 한국 감리교회와 장로교회에 도입되었다.[1] 감리교에서는 이들을 견습 또는 권도사라고 불렀다.[1]

여성 집사의 직무는 개신교, 동방 교회, 동방 정교회 일부 교회에서 임명직이 아닌 사람이 맡는 직무로, 여성에 대한 목회와 제한적인 전례적 역할을 수행한다.[4] 여성 집사(디아코네스) 제도는 1836년 독일의 테오도어 플리드너(Theodor Fliedner) 목사에 의해 시작되었는데, 미혼의 기독교 여성들이 각종 시설과 교회에서 사회 봉사에 헌신하도록 하였다.[6] 이들은 "어머니의 집"에서 훈련을 받고 파견되었으며, 의식주를 보장받았다.[6] 이 운동은 1910년경 정점에 달했다가 세속화와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직업의 전문화로 쇠퇴했지만, 루터교나 감리교 등에서는 여성 집사의 봉사가 계속되고 있다.[7]

3. 3. 한국 사회와 여성 집사(권사)

19세기부터 시작된 개신교 여성 봉사 직분인 권사는 한국 사회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특히, 여성의 사회 참여가 제한적이었던 시기에 권사는 교회와 사회에서 봉사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했다.

한국전쟁 이후, 권사들은 전쟁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돕고, 사회 복지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들은 병원, 고아원, 양로원 등에서 봉사하며, 사회의 취약 계층을 돌보는 데 힘썼다.

1980년대 민주화 운동 시기에는 일부 권사들이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여 사회 정의 실현에 기여하기도 했다.

현대 사회에서 권사는 교회 내 봉사뿐만 아니라, 사회 봉사, 환경 운동, 인권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여성 권사의 역할과 지위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며, 일부 교단에서는 여성에게 목사 안수를 허용하지 않아 여성 권사의 역할이 제한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권사는 한국 사회에서 여성 리더십의 중요한 모델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들의 사회 참여와 봉사 활동은 한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4. 현대 교회의 여성 집사

현대 교회에서 여성 집사, 즉 권사는 일반적으로 임명직이 아닌 직무를 맡으며, 특히 여성에 대한 목회 활동에 종사하고 제한적인 전례적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3][4] '권사'의 어원은 그리스어 '디아코노스(διάκονος)'로, 사제를 돕는 '부제'를 의미하며, 기독교 신약성경에 자주 등장한다.

19세기 중반 독일에서 시작된 권사 운동은 루터교, 성공회, 감리교를 중심으로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이 운동은 여성들에게 교회 내에서 봉사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빅토리아 시대 영국북유럽에서는 권사의 역할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20세기 초, 간호사사회복지사와 같은 역할이 전문화되면서 가볍게 훈련된 아마추어를 활용하려던 권사 운동의 사명은 약화되었다. 20세기 말 유럽의 세속화는 모든 교회 관련 여성 단체를 약화시켰지만,[38] 오늘날 권사들은 많은 기독교 교파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 수행하고 있다.[3][4]

4. 1. 교단별 현황

개신교, 동방 교회, 동방 정교회 등에서 여성 집사, 즉 권사는 일반적으로 임명직이 아닌 직무를 맡는다. 이들은 특히 여성에 대한 목회 활동에 종사하며, 제한적인 전례적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권사'의 어원은 그리스어 '디아코노스(διάκονος)'로, 사제를 돕는 '부제'를 의미하며, 기독교 신약성경에 자주 등장한다. 부제의 기원은 예수 그리스도 시대부터 서양에서는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비잔틴 시대 초기부터 중기에 걸쳐 콘스탄티노폴리스예루살렘에 존재했으며, 서유럽 교회에도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비잔틴 교회에서는 여성을 포함한 부제직이 성직자의 주요 비임명직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는 증거가 있다.

19세기 중반 독일에서 시작된 권사 운동은 루터교, 성공회, 감리교를 중심으로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1836년 독일의 목사 테오도어 플리드너(Theodor Fliedner)는 근대적인 여성 집사(디아코네스) 제도를 만들었다. 이 제도를 통해 미혼으로 평생 독신인 기독교 여성들이 각종 시설과 교회에서 사회적 봉사에 헌신하게 되었다. 이들은 '어머니의 집'(Mutterhaus)에 소속되어 훈련을 받고 파견되었으며, 의식주는 모두 보장받았다.

20세기 초, 간호사사회복지사와 같은 역할이 전문화되면서 가볍게 훈련된 아마추어를 활용하려던 권사 운동의 사명은 약화되었다. 20세기 말 유럽의 세속화는 모든 교회 관련 여성 단체를 약화시켰지만,[38] 오늘날 권사들은 많은 기독교 교파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 수행하고 있다.[3][4] 여성 집사는 봉사를 시작하기 전에 여성 집사로 성별된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2016년 8월, 여성 부제의 역사를 연구하고 여성의 부제 서품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여성 부제에 관한 연구 위원회를 설립했다.[31]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오늘날까지도 수녀를 여성 부제로 서품하고 있으며, 마지막 수도원 여성 부제는 립시메 사수니안 수녀(2007년 사망)였다. 2017년 9월 25일에는 24세의 아니-크리스티 만벨리안이 수세기 만에 테헤란의 성 사르키스 모 교회에서 첫 번째 평신도 여성 부제로 서품되었다.[32] 러시아 정교회는 20세기까지 여성 수도원 부제를 두었다. 그리스 정교회의 성 시노드는 2004년 여성 수도원 "여성 부제" 서품을 복원했다.[33] 2016년 11월 16일,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의 성 시노드 역시 실제로 여성 부제, 즉 부제 후보를 복원했다.[34]

4. 2. 역할과 과제

현대 사회의 변화는 여성 집사, 즉 권사의 역할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세기 중반 독일에서 시작된 권사 운동은 루터교, 성공회, 감리교 등 여러 교파로 확산되었다. 이 운동은 여성들에게 간호, 사회 사업 등 전문적인 역할을 제공했지만, 20세기 초 이러한 역할들이 전문화되면서 권사 운동은 점차 약화되었다.

20세기 말, 유럽의 세속화는 교회 관련 여성 단체들을 약화시켰지만[38], 오늘날에도 권사들은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3][4] 19세기 아메리카와 유럽의 영적 부흥은 중산층 여성들이 권사 봉사에 헌신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했으며, 빅토리아 시대 영국과 북유럽에서는 권사의 역할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았다.

1836년, 테오도어 플라이드너와 그의 아내 프리데리케 뮌스터는 독일 카이저스베르트에 최초의 권사 모자원을 설립했다.[35] 이 모자원은 여성들에게 숙식, 유니폼, 용돈, 평생 간호를 제공하며 5년간 봉사하도록 했다. 이후 권사 제도는 영국[39]스칸디나비아로 확산되었고, 1890년까지 유럽에는 5,000명이 넘는 권사가 있었다.[4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유럽의 공산화로 인해 많은 권사회가 문을 닫았지만, 1947년 DIAKONIA 세계 연맹이 설립되면서 권사 운동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44] 1957년에는 독일에만 46,000명의 권사와 10,000명의 준회원이 있었고, 미국과 캐나다에도 1,550명의 권사가 활동했다.[45]

오늘날 권사들은 사회 복음 운동의 영향을 받아 대도시의 새로운 이민자들의 삶을 개선하고, 여성 노동자 보호, 공공 보건 및 위생 서비스 확립, 가난한 어머니와 자녀에 대한 사회적 지원 개선 등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64][65][66]

4. 3. 여성 리더십

여성 집사 제도는 교회 내 여성 리더십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여성 집사는 교회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바울 서신(서기 55-58년경)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7]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7]오리게네스[8]와 같은 초기 기독교 작가들도 여성 집사의 사역을 언급했다. 2세기 초, 플리니우스 더 영거의 편지는 여성 집사의 존재를 증명하는 세속적 증거를 제공한다.

4세기 교부들, 예를 들어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9],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우스[10], 요한 크리소스토모스[11], 니사의 그레고리우스[12]는 여집사의 사역을 당연하게 여겼다. 3세기에 시리아에서 시작된 사도들의 가르침은 집사와 여집사의 역할을 상세히 설명하며, 여성 집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3]

제1차 니케아 공의회(325년)는 여성 집사를 평신도로 규정했지만,[15] 칼케돈 공의회(451년)는 여성 집사의 연령을 40세로 제한하는 등 여성 집사 제도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5세기 사도적 헌장에는 여성 집사 서품 예식이 기록되어 있으며,[16] 이는 남성 집사 서품 예식과 유사했다.[17]

5세기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대주교의 친구이자 지지자였던 올림피아스는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여성 집사였다.[6][21] 6세기 중반,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는 법률을 통해 남성과 여성 집사를 동등하게 언급했으며,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에서 봉사하는 여성 집사의 수를 40명으로 규정했다.[6]

19세기 중반, 독일에서 시작된 권사 운동은 루터교, 성공회, 감리교 등 여러 교파로 확산되었다. 이 운동은 여성들에게 교회 내에서 봉사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빅토리아 시대 영국북유럽에서는 권사의 역할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았다.

현대에는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여성 집사의 역할이 지속되고 있다.[3][4] 이들은 여성에 대한 목회 활동과 제한적인 전례적 역할을 수행한다.

5. 논란과 쟁점

여성 집사 제도는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존재해 왔으나, 그 역할과 성경적 근거, 사회적 의미에 대한 논란은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여성 안수 문제는 기독교 내에서 오랜 논쟁거리였으며, 성경 해석과 사회적 역할 변화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5. 1. 여성 안수 문제

알브레히트 뒤러의 '아담과 이브'(1504)


여성 안수는 기독교 내에서 오랜 논쟁거리였다.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여집사 직분이 존재했으며,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7], 오리게네스[8] 등 초기 교부들도 이를 언급했다. 플리니우스 더 영거의 편지에서도 여성 집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9][10][11][12]

사도들의 가르침에서는 주교에게 "여성을 위한 사역을 위해 여성을 임명하십시오. 이교도 때문에 집사를 그들의 여성들에게 보낼 수 없는 가정이 있지만 여집사는 보낼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많은 문제에서 여집사의 직무가 필요합니다."[13]라고 권고하며, 여집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니케아 1차 공의회에서는 여집사가 안수를 받지 않았으므로 평신도에 속한다고 언급했지만[15], 칼케돈 공의회는 40세 이상 여성에게 여집사 직분을 허용했다.[16] 5세기 사도적 헌장에는 여집사 안수식이 묘사되어 있으며[17], 바르베리니 코덱스에는 남성 집사 서품 예식과 거의 동일한 여집사 서품 예식이 기록되어 있다.[18]

올림피아스는 5세기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활동한 영향력 있는 여집사였다.[6][21]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법률을 통해 남성과 여성을 동등하게 집사로 언급했으며,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에는 남성 100명, 여성 40명의 집사를 두도록 규정했다.[6]

비잔틴 교회에서 여성 집사는 세례 지원자를 가르치고, 여성의 세례를 돕고, 여성을 교회 예배에 참여시키는 등 다양한 사역을 감당했다.[26] 또한 교회 구성원 간의 중재, 수감자종교 박해를 받는 사람들을 돌보는 일도 맡았다.[27]

그러나 4세기 이후 서방에서는 여성 집사의 역할이 변화했고, 콘스탄티누스 1세 이후 기독교가 제도화되면서 여성의 지도력은 약화되었다.[6] 오랑주 공의회(441년)와 오를레앙 공의회(533년)는 여성 집사 서품을 금지했다.

비잔틴 교회에서도 12세기 성상 파괴 시대를 거치며 여성 서품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이는 월경하는 여성에 대한 엄격한 전례적 제한과 전례적 부결정 신학의 발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6]

여성 집사 제도는 1910년경에 정점에 달했지만, 이후 세속화로 인해 유럽의 종교성이 쇠퇴하고, 간호사사회복지사의 전문화로 젊은 여성들에게 다른 직업 기회가 제공되면서 점차 쇠퇴해 갔다. 그러나 여성 집사는 루터교나 감리교 등의 기독교 교파에서 봉사를 계속하고 있다. 여성 집사는 봉사를 시작하기 전에 여성 집사로 성별된다.

2016년 로마 가톨릭교회는 여성 부제에 관한 연구 위원회를 설립하여 여성 부제 서품 가능성을 연구하기 시작했다.[31]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현재도 수녀를 여성 부제로 서품하고 있으며[32], 러시아 정교회그리스 정교회도 여성 수도원 부제 서품을 복원하거나 고려하고 있다.[33][34]

5. 2. 성경적 근거 논쟁

성경에서 여성 집사에 대한 언급과 해석은 다양하다. 로마서 16장 1절에는 겐그레아 교회의 일꾼인 뵈뵈가 언급되는데,[22] 이 구절에 사용된 "디아코노스"(διάκονος)라는 단어는 '일꾼' 또는 '집사'로 번역될 수 있다. 이 단어가 교회의 직책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다.[22]

디모데전서 3장 8-13절에는 집사의 자격 조건이 나오는데, 11절의 "여자들"이라는 구절은 여성 집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6] 초기 교부들인 크리소스토무스[24]와 테오도르[25]는 이 구절을 여성 집사로 해석했다.

초기 교부들의 기록에서도 여성 집사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는 고린도전서 9장 5절에 대한 주석에서 여성 집사의 존재를 언급하며, 디모데전서 3장 11절을 여성 집사에 대한 가르침으로 해석했다. 오리게네스는 로마서 16장 1-2절의 뵈뵈를 여성 집사로 보았다.

사도 헌장에는 여성 집사에게 안수하며 성령을 간구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6]

5. 3. 사회적 역할 논쟁

여집사는 개신교, 동방 교회, 동방 정교회 일부에서 목회와 제한적인 전례 역할을 수행하는 직무이다. 이 직무는 대개 임명직이 아닌 사람에게 주어진다.[6] 여집사는 그리스어 디아코노스(διάκονος)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사제를 돕는 "부제"를 의미하며 신약성경에 자주 등장한다.[6]

여집사는 예수 그리스도 시대부터 있었으며, 서양에서는 13세기까지, 비잔틴 초기부터 중기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예루살렘에 존재했다.[6] 서유럽 교회에도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비잔틴 교회에서 부제직(여성 포함)은 성직자의 주요 비임명직 중 하나였다.[6]

1610년대 영국의 비국교도들은 암스테르담 수도회에서 여성 집사직을 부활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 1840년대 독일 개신교도들 사이에서 시작된 근대적 여성 집사 부활 운동은 북유럽, 네덜란드, 영국, 미국으로 확산되었다. 루터교가 특히 적극적이었으며, 이들의 기여는 많은 병원에서 찾아볼 수 있다. 1836년 독일 목사 테오도어 플리드너(Theodor Fliedner)는 미혼으로 평생 독신을 유지하며 각종 시설과 교회에서 사회 봉사에 헌신하는 근대적 여성 집사(디아코네스) 제도를 만들었다. 이들은 "어머니의 집"(Mutterhaus)에서 훈련 및 파견되었고, 의식주를 보장받았다.[6]

이 운동은 1910년경 정점에 달했으나, 이후 세속화에 따른 유럽의 종교성 쇠퇴와 간호사, 사회복지사 전문화로 인해 쇠퇴했다. 그러나 여성 집사는 루터교, 감리교 등에서 봉사를 계속하며, 봉사 전 여성 집사로 성별된다.

6. 결론

여집사la(또는 여성 집사, 라틴어 또는 그리스어에서는 역할 구분이 없음)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바울의 서신(서기 55-58년경)에 나타난다.[7]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8]오리게네스[8]와 같은 초기 기독교 작가들은 그들의 사역을 언급했다. 2세기 초, 플리니우스 더 영거는 편지에서 "두 명의 하녀"를 고문하여 기독교인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냈다고 언급하며 여성 집사의 역할을 증명하는데, 이는 가장 초창기부터 동부 로마 제국의 일부 지역에 여집사 직책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9],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우스[10], 요한 크리소스토모스[11], 니사의 그레고리우스[12]와 같은 4세기의 교부들은 여집사의 사역을 사실로 받아들였다.

사도들의 가르침은 집사와 여집사의 역할을 더 자세히 논의하는 가장 초기의 문서이다. 3세기 동안 아람어 사용 시리아에서 시작되었지만 곧 그리스어와 라틴어 버전으로 퍼졌다. 이 문서에서 저자는 주교에게 "여성을 위한 사역을 위해 여성을 임명하십시오. 이교도 때문에 집사를 그들의 여성들에게 보낼 수 없는 가정이 있지만 여집사는 보낼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많은 문제에서 여집사의 직무가 필요합니다."라고 권고한다.[13] 주교는 집사를 그리스도로, 여집사를 성령으로 간주하여 교회 계층에서 그들의 두드러진 지위를 나타내야 한다.[14]

여집사들은 니케아 공의회 19조에도 언급되어 있는데, "그들은 안수를 받지 않았으므로 평신도들 사이에만 포함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15] 451년 칼케돈 공의회는 여성이 40세가 될 때까지 여집사로 임명되어서는 안 된다고 규정했다. 여집사에 대한 가장 오래된 서품식은 5세기의 사도적 헌장에서 발견된다.[16] 이 문서는 주교가 여집사에게 안수하고 집사의 사역을 위해 성령을 간구하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 예식과 기도가 포함된 전체 버전은 서기 780년의 바르베리니 코덱스에서 발견되었다. 이 전례 매뉴얼은 여집사를 위한 서품 예식을 제공하며, 이는 남성을 집사로 서품하는 예식과 거의 동일하다.[17] 다른 고대 필사본도 동일한 예식을 확인한다.[18] 필립 샤프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여집사를 서품하기 위해 수행된 의식이 "단순한 엄숙한 헌신과 축복"이라고 기록했지만,[19] 예식에 대한 신중한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이 의식이 오늘날의 용어로 완전히 성사였다고 확신한다.[20]

올림피아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대주교의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지지자 중 한 명으로, 5세기 동안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여집사로 알려졌다.[6][21]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6세기 중반 동서 지역의 성직자에 관한 법률에서 남성과 여성을 병렬적으로 집사로 언급했다. 그는 또한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에서 봉사하도록 규제된 사람에 여성을 집사로 포함하여 남성과 여성을 함께 집사로 나열한 다음 남성이 100명, 여성이 40명인 집사를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계속되는 전례와 목회적 역할의 증거는 콘스탄티누스 7세의 10세기 의식 매뉴얼(De Ceremoniisla)에 의해 제공되며, 이 매뉴얼은 하기아 소피아에 여집사를 위한 특별한 공간을 언급하고 있다.[6]

참조

[1] 서적 The Hidden History of Women's Ordination: Female Clergy in the West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 간행물 Female Deacons in the Byzantine Church 2004-06
[3] 웹사이트 Deaconess Ministry https://www.lcms.org[...] Lutheran Church—Missouri Synod 2021-06-16
[4] 웹사이트 For Deaconesses https://columbusaven[...] Columbus Avenue African Methodist Episcopal Zion Church
[5] 서적 In the Footsteps of Phoebe: A Complete History of the Deaconess Movement in the Lutheran Church—Missouri Synod Concordia Publishing House 2009
[6] 웹사이트 Deaconess & Home Missioner Ministry https://www.unitedme[...] United Methodist Women 2021-06-16
[7] 문서 Commentary on 1 Corinthians 9:5, Stromata 3,6,53.3-4.
[8] 문서 Commentary on Romans 10:17; Migne PG XIV col. 1278 A–C.
[9] 문서 Migne PG 42, cols 744–745 & 824–825
[10] 문서 I. Defarrari (ed.), Saint Basil: the Letters, London 1930, Letter 199.
[11] 문서 Migne PG 62, col. 553.
[12] 문서 Migne PL 46, cols 988–990.
[13] 웹사이트 Didascalia 16 § 1; G. Homer, The Didascalia Apostolorum, London 1929; http://www.womenpriests.org/minwest/didascalia.asp http://www.womenprie[...] 2011-09-27
[14] 서적 One ministry many roles: deacons and deaconesses through the centurie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5] 웹사이트 Canons of the Council of Nicea https://www.christia[...] 2021-03-27
[16] 문서 Apostolic Constitutions VIII, 19-20; F. X. Funk, Didascalia et Constitutiones Apostolorum, Paderborn 1905, 1:530.
[17] 웹사이트 The Ordination of Women Deacons/ Barberini gr. 336 http://www.womenprie[...] Womenpriests.org 2012-08-13
[18] 웹사이트 Many texts are now online:
[19] 웹사이트 Excursus on the Deaconess of the Early Church. https://www.ccel.org[...] ccel.org 2021-03-21
[20] 문서 R. Gryson, The Ministry of Women in the Early Church, Collegeville 1976; originally Le ministère des femmes dans l'Église ancienne, Gembloux 1972, esp. pp. 117–118; Y. Congar, 'Gutachten zum Diakonat der Frau', Amtliche Mitteilungen der Gemeinsamen Synode der Bistümer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s, Munich 1973, no 7, p. 37–41; C. Vaggagini, 'L'Ordinazione delle diaconesse nella tradizione greca e bizantina', Orientalia Christiana Periodica 40 (1974) 145–189 ; H. Frohnhofen, 'Weibliche Diakone in der frühen Kirche', Studien zur Zeit 204 (1986) 269–278; M-J. Aubert, Des Femmes Diacres. Un nouveau chemin pour l'Église, Paris 1987, esp. p. 105; D. Ansorge, 'Der Diakonat der Frau. Zum gegenwärtigen Forschungsstand', in T.Berger/A.Gerhards (ed.), Liturgie und Frauenfrage, St. Odilien 1990, pp. 46–47; A. Thiermeyer, 'Der Diakonat der Frau', Theologisch Quartalschrift 173 (1993) 3, 226–236; also in Frauenordination, W. Gross (ed.), Munich 1966, pp. 53–63; Ch. Böttigheimer, , 'Der Diakonat der Frau', Münchener Theologische Zeitschrift 47 (1996) 3, 253–266; P. Hofrichter, 'Diakonat und Frauen im kirchlichen Amt', Heiliger Dienst 50 (1996) 3, 140–158; P. Hünermann, 'Theologische Argumente für die Diakonatsweihe van Frauen', in Diakonat. Ein Amt für Frauen in der Kirche – Ein frauengerechtes Amt?', Ostfildern 1997, pp. 98–128, esp. p. 104; A. Jensen, 'Das Amt der Diakonin in der kirchlichen Tradition der ersten Jahrtausend', in Diakonat. Ein Amt für Frauen in der Kirche – Ein frauengerechtes Amt?', Ostfildern 1997, pp. 33–52, esp. p. 59; D. Reininger, Diakonat der Frau in der einen Kirche, Ostfildern 1999 pp. 97–98; P. Zagano, Holy Saturday. An Argument for the Restoration of the Female Diaconate in the Catholic Church, New York 2000; J. Wijngaards, Women Deacons in the Early Church, New York 2002, pp. 99–107.
[21] 웹사이트 From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First Series, Vol. 9. Edited by Philip Schaff. (Buffalo, NY: Christian Literature Publishing Co., 1889.) Revised and edited for New Advent by Kevin Knight. https://www.newadven[...]
[22] 문서 H. Schlier, Der Römerbrief, Freiburg 1977, pp. 440–441 (full discussion); same view in the commentaries by Th. Zahn, Der Brief des Paulus an die Römer, Leipzig 1925; E. Kühl, Der Brief des Paulus an die Römer, Leipzig 1913; M.J. Lagrange, Saint Paul, Épître aux Romains, Paris 1950; F. J. Leenhardt, L'Épître de saint Paul aux Romains, Neuchâtel 1957; H.W.Schmidt, Der Brief des Paulus an die Römer, Berlin 1962; O. Michel, Der Brief an die Römer, Göttingen 1963; E. Käsemann, An die Römer, Tübingen 1974. Major article: [[Gerhard Lohfink|G. Lohfink]], "Weibliche Diakone im Neuen Testament", in Die Frau im Urchristentum, ed. G. Dautzenberg, Freiburg 1983, pp. 320–338.
[23] 문서 Novella 6. 6 par. 1–10; 131. 23; 123.30, etc.; R. Schoell and G. Kroll, eds. Corpus iuris civilis, vol. III, Berlin 1899, pp. 43–45, 616, 662.
[24] 문서 Homily 11,1 On the First Letter to Timothy'; Migne, PG 63, col. 553.
[25] 문서 In Epistolas b. Pauli Commentarii, ed. H. B. Swete, Cambridge 1882, vol. II, pp. 128–129.
[26] 간행물 Ritual and Reconstructed Meaning: The Neonian Baptistery in Ravenna 1987
[27] 서적 Women in the church : a biblical theology of women in ministry InterVarsity Press
[28] 서적 The forgotten desert mothers : sayings, lives, and stories of early Christian women https://archive.org/[...] Paulist Press
[29] 서적 When women were priests : women's leadership in the early church and the scandal of their subordination in the rise of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Harper
[30] 웹사이트 Ordination of Women to the Diaconate in the Eastern Churches: Essays by Cipriano Vagaggini: Edited by Phyllis Zagano: 9780814683101: Litpress.org : Paperback http://www.litpress.[...] Litpress.org 2013-12-27
[31] 웹사이트 Francis institutes commission to study female deacons, appointing gender-balanced membership https://www.ncronlin[...] 2016-08-02
[32] 웹사이트 Historic Ordination: Tehran Prelacy of the Armenian Church Ordains Deaconess https://armenianweek[...] 2018-01-16
[3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esternorthod[...] 2008-08-31
[34] 웹사이트 -- [ Greek Orthodox ] -- http://www.patriarch[...]
[35] 서적 Deaconesses in Europe: And Their Lessons for America https://books.google[...] Hunt & Eaton 2019-12-30
[36] 서적 History of the deaconess movement in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Jennings and Pye 2019-12-30
[37] 간행물 Versions of Primitive Christianity: John Wesley's Relations with the Moravians in Georgia, 1735-1737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09
[38] 서적 Women and Citizenship in Britain and Ireland in the 20th Century: What Difference Did the Vote Make?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39] 문서 See Czolkoss, Michael: „Ich sehe da manches, was dem Erfolg der Diakonissensache in England schaden könnte“ – English Ladies und die Kaiserswerther Mutterhausdiakonie im 19. Jahrhundert. In: Thomas K. Kuhn, Veronika Albrecht-Birkner (eds.): ''Zwischen Aufklärung und Moderne. Erweckungsbewegungen als historiographische Herausforderung'' (= Religion - Kultur - Gesellschaft. Studien zur Kultur- und Sozialgeschichte des Christentums in Neuzeit und Moderne, 5). Münster 2017, pp. 255-280.
[40] 문서 Sister Mildred Winter, "Deaconess", in Julius Bodensieck, ed. ''The Encyclopedia of the Lutheran Church'' (Minneapolis: 1965) 659–64
[41] 문서 Biography of Louis Germond
[42] 웹사이트 Bienvenue à Saint-Loup http://www.saint-lou[...] 2017-12-22
[43] 웹사이트 Adolphe Monod and Caroline Malvesin http://www.monodgrap[...] 2020-10-05
[44] 웹사이트 DIAKONIA History Milestones https://diakonia-wor[...] 2023-07-05
[45] 문서 Winter, "Deaconess", in Julius Bodensieck, ed. ''The Encyclopedia of the Lutheran Church'' p. 662.
[46] 백과사전 Louise Conring http://denstoredansk[...] 2016-09-19
[47] 웹사이트 Louise Conring (1824 - 1891) http://www.kvinfo.dk[...] Kvinfo 2016-09-19
[48] 웹사이트 Deacons – Famous Deacons http://www.dace.org/[...] DACE.org 2010-11-19
[49] 서적 The beginning of women's ministry: the revival of the deaconess in the nineteenth-century Church of England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50] 문서 "Scotland's First Deaconess", by D. P. Thompson, A. Walker & Son Ltd, Galashiels 1946.
[51] 서적 Den privat-offentliga gränsen: Det sociala arbetets strategier och aktörer i Norden 1860–1940 https://books.google[...] Nordisk Ministerråd 2021-05-24
[52] 간행물 Women's Spirituality, Lived Religion, and Social Reform in Finland, 1860–1920 http://www.emanuel.r[...] 2016-12-21
[53] 서적 100 Faces from Finland: A Biographical Kaleidoscope FLS
[54] 문서 Diakinissehusets første hundre år, Nils Bloch-Hoell, Diakonissehuset i Oslo 1968
[55] 웹사이트 Vår historie http://www.ldh.no/om[...] Lovisenberg diakonale høgskole 2016-07-15
[56] 웹사이트 Henrik Thrap-Meyer https://nbl.snl.no/H[...] Norsk biografisk leksikon 2016-07-15
[57] 문서 Elisabeth Christiansson: "Först och framför allt själen" Diakonins tankevärld omkring år 1850. Sköndalsinstitutet 2003
[58] 문서 Elisabeth Christiansson: "Först och framför allt själen" Diakonins tankevärld omkring år 1850. Sköndalsinstitutet 2003
[59] 웹사이트 Olde Economie Financial Group http://www.oefgroup.[...] 2009-06-14
[60] 간행물 Frederick S. Weiser, "The Origins of Lutheran Deaconesses in America", ''[[Lutheran Quarterly]]'' (1999) 13#4 pp. 423–434.
[61] 웹사이트 Ordination to the Ministry of Word and Service https://download.elc[...] 2022-08-17
[62] 웹사이트 Rostered Ministers of the ELCA http://www.elca.org/[...] 2022-08-17
[63] 문서 Cheryl D. Naumann, ''In the Footsteps of Phoebe: A Complete History of the Deaconess Movement in the Lutheran Church–Missouri Synod'' (2009)
[64] 간행물 Laceye Warner, "'Toward The Light': Methodist Episcopal Deaconess Work Among Immigrant Populations, 1885–1910", ''Methodist History'' (2005) 43#3 pp. 169–182.
[65]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and Religion in North America https://books.google[...] Indiana U.P.
[66] 서적 Spirits of Protestantism: Medicine, Healing, and Liberal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U. of California Press
[67] 간행물 Ellen Corwin Cangi, "Krankenhaus, Culture and Community: The Deaconess Hospital of Cincinnati, Ohio, 1888–1920", ''Queen City Heritage'' (1990) 48#2 pp. 3–14.
[68] Youtube Lucy Rider Meyer http://www.gcah.org/[...]
[69] 웹사이트 Deaconess Alexander - Biography http://deaconessalex[...]
[70] 웹사이트 Anna Alexander http://www.satucket.[...] Satucket.com 2018-07-29
[71] 간행물 "Piety and Professionalism: The Bethel Deaconesses of the Great Plains" 1994
[72] 서적 Canadian Methodist Women, 1766–1925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73] 서적 Weaving a Changing Tapestry 2009
[74] 서적 "The Deaconess Movement" https://books.google[...] Indiana U.P. 2006
[75] 서적 Island of Angels: The Growth of the Church on Kosrae: Kapkapak Lun Church Fin Acn Kosrae, 1852-2002 https://books.google[...] Watermark Pub. 2005
[76] 서적 Glimpses into Pacific Lives: Some Outstanding Women (Revised). https://files.eric.e[...] Northwest Regional Educational Lab. 2021-10-25
[77] 웹사이트 Diakonia UCA http://diakonia.unit[...] 2023-07-05
[78] 웹사이트 Australian Anglican Diaconal Association https://www.aussiede[...] 2023-07-05
[79] 서적 By love serve: The story of the order of deaconess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New Zealand Presbyterian Book Room, Christchurch 1962
[8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6-06
[81] 웹사이트 Member Associations of DIAKONIA https://diakonia-wor[...] 2023-07-05
[82] 서적 The Hidden History of Women's Ordination: Female Clergy in the West.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83] 간행물 Fema (Cambridge Univ. Press, 2009)le Deacons in the Byzantine Church (Cambridge Univ. Press, 2009) https://www.cambridg[...]
[84] 웹사이트 Lutheran Church Missouri Synod https://www.lcms.org[...]
[85] 웹사이트 Deaconess Board (Columbus Avenue African Methodist Episcopal Zion Church) https://columbusaven[...]
[86] 서적 In the Footsteps of Phoebe: A Complete History of the Deaconess Movement in the Lutheran Church—Missouri Synod 2009
[87] 웹사이트 社会福祉法人:べテスダ奉仕女母の家 https://www.bethesda[...]
[88] 웹사이트 坂本道子著『ディアコニッセの思想と福祉実践 -ある奉仕女の人物史を中心に-』(教文館、2022年) https://www.kyobunkw[...]
[89] 웹사이트 교회용어사전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