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권순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순장은 조선 시대의 인물로, 형조참판 권진기의 장남이다. 1624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의금부도사 등을 지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강화도로 피난하여 의병을 모집했으나, 강화산성이 함락되자 김상용과 함께 화약에 불을 질러 자결했다. 사후 지평과 좌찬성에 증직되었으며, 강화도 충렬사에 제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병자호란 참전 군인 사망자 - 김익겸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청나라에 항거하다 분신자결한 김익겸은 사헌부 지평에 증직되고 충렬사에 제향되었으며, 인경왕후의 아버지 김만기와 소설가 김만중의 아버지이다.
  • 병자호란 참전 군인 사망자 - 슈무루 양구리
    슈무루 양구리는 16세기 후반 동해여진 쿠르카부 출신으로 누르하치의 사위가 되어 여진족 통일 전쟁, 명나라 및 조선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나 병자호란 당시 조선 침략의 선봉에서 광교산 전투에서 전사한 후 무훈왕으로 추봉된 인물이다.
  • 조선의 장군 - 정발 (1553년)
    정발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1579년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으며, 1592년 임진왜란 때 부산진 첨사로서 왜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하여 충렬공 시호를 받고 좌찬성이 추증, 동래 충렬사에 배향되었다.
  • 조선의 장군 - 최경회
    최경회는 조선 중기 무신이자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화순에서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싸우다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하여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선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 충의라는 시호를 받았다.
  • 1607년 출생 - 야규 미쓰요시
    야규 미쓰요시는 도쿠가와 쇼군을 섬긴 야규 무네노리의 아들이자 신음류 검술의 대가로, 쇼군의 검술 사범을 지냈으며 해임 후 12년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츠키노쇼"를 저술했고 복직 후 감찰관으로 활동하다 고향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삶과 검술은 대중문화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었다.
  • 1607년 출생 - 이치히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딸 이치히메는 다테 마사무네의 아들 다테 다다무네와 약혼했으나 요절하여 혼인하지 못했다.
권순장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 이름權順長
출생일'1607년 12월 7일'
사망일'1637년 2월 16일'
출생지조선 경기도 고양군
거주지조선 한성부
사망지조선 경기도 강화유수부 강화산성
배우자전주 이씨 부인
자녀1남 1녀(맏아들 권시경, 막내딸 권두영)
분야유교
성리학
국적조선
당파무소속
효원(孝元)
시호충렬(忠烈)
본관안동(安東)
가문 정보
부모권진기(부), 고성 남씨 부인(모), 경주 이씨 부인(계모)
친인척이구원(장인), 이시만(큰 매제), 홍재원(막내 매제), 권극중(친할아버지), 의령 남씨 부인(친할머니), 남언경(외할아버지), 이정직(법적 형식상 외할아버지뻘), 권덕여(친증조부), 퇴기 기첩 다만(친증조모), 고성 이씨 부인(적증조모), 평산 신씨 부인(계적증조모)
형제4남 2녀 중 장남(첫째), (동복 남동생 권순열, 이복 첫째 남동생 권순경, 이복 막내 남동생 권순후)
경력
복무조선 의병대
참전병자호란
작위조선의 의금부 도사
임금인조 이종
재임 기간'1625년 10월~1625년 12월'
계급조선군 의병 결사대 의병장
작위2조선의 건원릉 참봉
임금2인조 이종
재임 기간2'1625년 12월~1626년 2월'
복무 기간'1636년 12월~1637년 2월'

2. 생애

권순장(權順長|권순장중국어)은 1624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625년 음서로 천거되어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를 거쳐 건원릉참봉(健元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1626년 사직하였다. 이후 학문에 전념하다가 1636년 12월 청나라 군이 조선을 침공한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두 아우 권순열(權順悅)·권순경(權順慶)과 함께 어머니를 모시고 강화도로 피난, 강화산성을 지키고 청나라 군을 물리치고자 의병을 모집하였다. 1637년 2월 16일 오전 강화산성 남문(江華山城 南門)에서 김익겸[5]이 분신 자결하여 사기를 북돋웠고, 청나라 군과 접전을 벌였다. 그러나 같은 날 오후 강화산성이 함락되자 김상용[6]과 함께 화약에 불을 질러 분신 자결하였다.

사후 지평(持平)과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었고, 강화도 충렬사에 제향되었다.

2. 1. 가족 관계와 별칭

안동 권씨형조참판을 지낸 권진기(權盡己)의 4남 2녀 가운데 장남(첫째 아들)이다. 는 효원(孝元)이며 시호(諡號)는 충렬(忠烈)이다.

2. 2. 직계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 - 사망비고
조부권극중1558년 ~ 1653년
조모남난(南蘭)1561년 ~ ?몰년도 미상, 1640년대 초반 사망 추정
부친권진기(權盡己)1578년 ~ 1629년참판(參判) 역임
모친고성 남씨? ~ 1614년남언경의 딸
본인권순장(權順長)1607년 ~ 1637년
부인전주 이씨? ~ 1637년이구원(李久源)의 딸, 지사(知事) 역임[4]
아들권시경(權是經)1625년 ~ 1708년
권두영(權杜英)1628년 ~ ?
동복 여동생안동 권씨1609년 ~ 1637년전주 이씨 이시만(李時萬)의 처, 감사(監司) 역임
동복 남동생권순열(權順悅)1611년 ~ 1637년슬하 2녀
동복 여동생안동 권씨1613년 ~ 1637년남양 홍씨 홍재원(洪載源)의 처
계모경주 이씨? ~ 1633년이정직의 딸
이복 남동생권순경(權順慶)1616년 ~ 1637년슬하 1녀
이복 남동생권순후(權順厚)1620년 ~ 1637년슬하 자녀 없음


2. 3. 일생

1624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이듬해 1625년 음서로 천거되어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를 거쳐 건원릉참봉(健元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1년 후 1626년 사직하였다. 이후 학문에 전념하다가 1636년 12월 청나라 군이 조선을 침공한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두 아우 권순열(權順悅)·권순경(權順慶)과 함께 어머니를 모시고 강화도로 피난, 강화산성을 지키고 청나라 군을 물리치고자 의병을 모집하였다. 1637년 2월 16일 오전 강화산성 함락 직전 김익겸[5]강화산성 남문(江華山城 南門)에서 24세로 분신 자결하여 사기를 북돋웠고, 청나라 군과 접전을 벌였다. 그러나 같은 날 오후 1637년 2월 16일(음력 1월 22일) 강화산성이 함락되자 77세의 김상용[6]과 함께 화약에 불을 질러 분신 자결하였으니, 향년 31세였다.

두 남동생 권순열(權順悅, 동복 아우, 당시 27세)과 권순경(權順慶, 이복 아우, 당시 22세)도 전사하였고, 아내와 두 여동생, 막내 이복 남동생 권순후(權順厚, 당시 18세)도 이 소식을 듣고 모두 스스로 목을 매어 자결하였다.

2. 4. 사후

사후 그는 지평(持平)과 좌찬성(左贊成)에 증직(贈職)되었고, 강화도 충렬사에 제향되었다.

3. 관련 전기 자료


  • 조복양, 《송곡집》 권10, 증 사헌부 지평 권 공 묘지명[1]

참조

[1] 문서 음력 10월 19일
[2] 문서 음력 1월 22일
[3] 서적 송곡집
[4] 문서 익양군 (1488년)의 고손녀
[5] 문서 김만중의 아버지이다.
[6] 문서 김상헌의 형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