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근육적 기독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육적 기독교는 육체적 강인함과 도덕적, 영적 강인함을 연결하는 기독교 사상이다. 19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어 스포츠와 운동을 통해 기독교적 가치를 실현하려는 문화적 경향으로 나타났다. 사도 바울의 운동 비유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1762년 장 자크 루소의 저서 《에밀》에서 체육의 중요성이 언급된 이후 구체화되었다. "근육적 기독교"라는 용어는 1857년 찰스 킹슬리의 소설 《2년 전》 서평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찰스 킹슬리와 토머스 휴스 등은 이 사상의 주요 원칙을 제시했다. 영국, 미국, 호주, 아시아, 아프리카 등 다양한 국가로 확산되었으며, 피에르 드 쿠베르탱의 올림픽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현대에는 남성성의 위기와 맞물려 재조명받고 있으며, 스포츠 선교, 기독교 학교 체육 활동 등을 통해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기독교 - 옥스퍼드 운동
    옥스퍼드 운동은 1833년 영국 국교회 내 고교회파 인사들이 교회의 권위를 옹호하고 국가의 교회 간섭에 반대하며 시작한 문서 운동으로, 초대 교회와 교부들의 전통에서 교회의 독립성 근거를 찾고 성공회를 보편교회로 이해하는 교회론을 제시했으나, 주요 인물들의 로마 가톨릭 개종으로 종결되었다.
  • 젠더와 기독교 - 기독교 평등주의
    기독교 평등주의는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신자가 동등한 은사와 사역의 부르심을 받았다고 믿는 성경적 관점으로, 갈라디아서 3장 28절과 같은 구절을 근거로 남녀의 동등한 봉사를 주장하며, 퀘이커교, 감리교회 등 다양한 교파와 "남성, 여성, 그리고 하나님"과 같은 단체들의 지지를 받는다.
  • 젠더와 기독교 - 댄버스 선언
  • 1850년대 신조어 - 경찰국가
    경찰국가는 경찰이 강력한 권한으로 국민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국가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시대와 국가에서 나타났고, 현대에는 전자 기술을 활용한 형태로도 존재하며, 개인의 자유와 국가 안보 사이의 균형에 대한 정치적 관점에 따라 정의가 달라진다.
  • 1850년대 신조어 - 국가주의
    국가주의는 개인의 자유보다 국가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이념으로, 야경국가부터 전체주의까지 다양한 형태를 띠며, 사회 질서 유지, 도덕·문화 강제, 민족주의, 국수주의와 관련되어 경제 및 사회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근육적 기독교
개요
정의근육적 기독교
설명신앙과 남성적 이상을 결합한 19세기에 시작된 기독교 운동
기원19세기
핵심 가치남성다움
기독교적 헌신
스포츠
애국심
역사적 배경
시대적 맥락산업화 시대의 사회적 변화와 남성성의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등장
주요 인물찰스 킹즐리
토마스 휴즈
헨리 드러먼드
발전 과정영국에서 시작되어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영어권 국가로 확산
특징 및 영향
주요 특징스포츠와 신체 활동을 통한 도덕적, 정신적 성장 강조
남성적 리더십과 사회적 책임 강조
기독교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한 사회 개혁 운동
영향YMCA와 같은 청소년 운동 단체 설립에 기여
스포츠를 통한 선교 활동 촉진
남성성의 건강한 모델 제시
비판적 시각
비판 내용지나치게 남성 중심적이고 여성 혐오적이라는 비판
제국주의와 결합되어 백인 우월주의를 정당화했다는 비판
폭력적인 스포츠를 미화하고 경쟁을 조장한다는 비판
현대적 재해석
현대적 의미건강한 남성성과 기독교적 가치관의 조화 추구
사회적 약자를 위한 봉사 및 사회 참여 강조
스포츠를 통한 공동체 의식 함양
관련 단체프라미스 키퍼스
애슬리츠 인 액션
펠로우십 오브 크리스천 애슬리츠
관련 용어
관련 개념사회복음주의
기독교 민족주의
남성성
참고 문헌
참고 도서《Sport, Spirituality, and Religion》
《101 Things Everyone Should Know about Theodore Roosevelt》
《Religion in Sociological Perspective》
《Christianity's Dangerous Idea》
《Men and Masculinities: a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Encyclopædia, Volume 1》
참고 논문筋肉的キリスト教徒とジェントルマン:概念の変容過程の問題とかかわって (근육적 기독교도와 신사: 개념의 변용 과정의 문제와 관련하여)
기타
관련 인물라ルフ 코너
관련 주제정치적 견해

2. 기원과 배경

근육적 기독교는 기독교 신앙과 신체 단련을 결합하려는 경향으로, 그 기원은 신약성서를 쓴 사도 바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바울은 신앙생활의 어려움을 운동 경기에 비유하곤 했다.[9]

18세기 계몽주의 시대, 장 자크 루소는 그의 저서 《에밀, 또는 교육에 관하여》에서 체육 교육이 도덕적 성품 형성에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근육적 기독교 사상의 발전에 기여했다.[10] 당시 기독교에서는 금욕주의가 만연하여 신체적 욕구와 아름다움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고, 카타리파와 같은 일부 종파에서는 육체를 완전히 부패한 것으로 여기기도 했다.[8] 이러한 배경 속에서 루소의 주장은 신체 단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후 근육적 기독교 운동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YMCA의 피트니스 센터에 있는 벽화는 경건함과 신체 건강을 강조한다.

2. 1. 용어의 정의와 어원

"근육적 기독교(Muscular Christianity)"라는 용어는 1857년 2월 21일 《Saturday Review》지에 실린 변호사 T. C. 샌더스의 찰스 킹슬리 소설 《2년 전》 서평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9][11] 이 용어는 이보다 약간 앞서 나타났다.[12] 킹슬리는 이 서평에 답하며 이 용어가 "불쾌하지는 않더라도 고통스럽다"고 표현했지만, 나중에는 때때로 긍정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14]

근육적 기독교는 스포츠, 특히 단체 스포츠의 영적인 가치를 강조한다. 킹슬리는 "경기는 단순히 육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에도 기여한다"라고 말했다.[15] 19세기 영국의 유명 인물에 대한 기사에서는 존 맥그리거를 "이 시대, 혹은 다른 어떤 시대가 낳은 가장 훌륭한 근육적 기독교의 표본"이라고 요약했다.[16]

2. 2. 토머스 휴스와 찰스 킹슬리

토머스 휴스는 찰스 킹슬리와 동시대 인물로, 그의 저서 《옥스퍼드에서의 톰 브라운》을 통해 근육적 기독교의 주요 원칙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20] 그는 남성의 신체가 훈련되고 복종되어야 하며, 약자를 보호하고 정의로운 대의를 진전시키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약자 보호 개념은 가난한 사람들의 고통에 대한 당시 영국 사회의 관심과 이웃에 대한 기독교적 책무와 관련이 있었다.[1]

베일러 대학교 교수 리처드 앤드류 메이어는 토머스 휴스의 근육적 기독교에 대한 여섯 가지 정의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22]

  • 남자의 몸은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졌다.
  • 훈련받아야 한다.
  • 복종되어야 한다.
  • 약자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
  • 모든 정의로운 대의를 진전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땅을 정복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근육적 기독교"라는 용어는 킹슬리의 소설 《2년 전》에 대한 변호사 Thomas Collett Sandars|토머스 콜레트 산다스영어의 서평을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65][67] 킹슬리는 이 말을 "싫은 의도로 쓴 것은 아니지만, 읽기에 거북하다"라고 답했지만,[69] 나중에는 종종 즐겨 사용했다.[70] 휴스는 《톰 브라운의 학교생활》에서 "근육질의, 강인한, 단련된 육체를 얻는 데 좋은 것"이라 말하며,[71] 근육적 기독교인은 육체를 단련하고 율법을 지켜 약자를 돕고, 정의를 추구하며, 신이 준 땅을 복종시키는 데 사용해야 한다고 했다.[72]

킹슬리는 스포츠, 특히 단체 경기가 육체뿐만 아니라 도덕적 건전성도 육성한다고 믿었다.[73] 19세기 스포츠맨 John MacGregor (sportsman)|존 맥그리거영어는 경건한 크리스천, 진지한 독지가, 열정적인 운동선수라는 세 가지 면모를 모두 갖춘 근육적 기독교의 표본으로 여겨졌다.[74]

하지만 이 개념은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어떤 평론가는 "진지함"과 "근육적 기독교"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진지'하고 '근육질'인 남자들이 필사적으로 하는 조롱이, 남자다운 것 전부에 쏟아지고 있다"라고 비판했다.[75]

3. 각국의 근육적 기독교

근육적 기독교는 19세기에 영국에서 시작되어 여러 국가로 확산되었다.


  • '''유럽''': 1901년까지 영국에서 근육적 기독교는 큰 영향력을 가졌다. 어떤 이는 "영국인은 한 손에는 소총, 한 손에는 성경을 들고 세계를 간다"고 칭찬하며, "우리가 근육적 기독교가 무엇을 해왔는가 묻는다면, 대영 제국을 가리킬 것이다"라고 말했다.[78]
  • '''북미''': 미국에서는 YMCA에 운동 경기가 더해지면서[83][84] 농구배구의 발명으로 이어졌다. 싱클레어 루이스의 소설 『엘머 갠트리』에서는 근육적 기독교가 패러디되기도 했다. 라인홀트 니버와 같은 신학자들과는 맞지 않아 미국의 주류 개신교에서는 쇠퇴해 갔다. 그럼에도 복음주의 조직에서 그 영향이 엿보인다.[85] 21세기에는 존 파이퍼와 같은 신칼뱅주의 목사들이 "남성적 기독교"를 만들어냈다. 파이퍼는 "하나님은 남성적인 분위기를 기독교에 부여하셨다"고 주장하고 있다.[86] 2012년에는 팀 티보우, 매니 파퀴아오와 같은 운동선수들이 신앙을 공유함으로써 근육적 기독교를 체현하게 되었다.[87][88]
  •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종교적 요소가 충분히 인식되지는 않았지만, 1860년까지 잘 정착되었다.[26]



  • '''아시아''': 엘우드 브라운은 필리핀 YMCA 체육 지도자로, 필리핀에서 근육적 기독교를 홍보했으며, 극동 선수권 대회를 공동 창설했다.[36] 일본 학자 아베 이쿠오는 일본의 스포츠 문화가 근육적 기독교와 무사도 윤리의 혼합으로 발전했다고 주장했다.[37] 근육적 기독교는 스와미 비베카난다의 "근육질 힌두교"와 힌두 민족주의 이념에도 영향을 미쳤다.[38] 북미 YMCA는 인도 신체 문화를 재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9][40]
  • '''아프리카''': 근육적 기독교는 19세기 후반 식민지 선교 학교를 통해 아프리카에 전파되었다.[41] 스포츠는 많은 선교 학교에 직접적으로 통합되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애덤스 칼리지와 같은 선교 학교가 영향을 주었다.[41]

3. 1. 영국

근육적 기독교라는 사상은 산업화도시화 속에서 영국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영국의 기독교인들은 사랑과 부드러움과 같은 수동적인 미덕을 포함한 청교도적인 영향의 결과로 신자들 사이에서 남성다움이 감소하는 것을 우려했고,[23] 이는 근육적 기독교가 문화적 트렌드가 되도록 만들었다. 이는 특정 인물에 의해 시작된 것이 아니라, 교회와 많은 개별 기독교 인물들에 의해 지지되었고, 이들은 이를 다른 교구로 전파했다. 당시에는 육체적 훈련이 다른 사람들을 위한 봉사에 필요한 지구력을 길러주고, 육체적 강인함이 도덕적 강인함과 훌륭한 인격으로 이어진다고 믿어졌다. 기독교인들은 점점 운동 경기가 덜 도덕적인 출구를 찾는 대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좋은 배출구가 될 수 있다고 느꼈다. 또한 스포츠는 새로운 교인을 교회로 모집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교회는 자체 스포츠 팀을 결성하기 시작했고, 교회 자체 또는 주변에 관련 시설을 건설했다.

1844년 런던에서 YMCA가 시작되었지만, 뉴욕의 YMCA가 설립된 1869년까지는 스포츠 시설을 갖추지 못했다.[24] YMCA는 전국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1894년, 성공회 목사 아서 오스본 몽고메리 제이 목사는 런던 동부의 교회인 홀리 트리니티 쇼어디치 지하에 권투 링이 있는 체육관을 건설하고 권투 클럽을 조직했으며, 크고 인기 있는 권투 토너먼트를 개최했다. 이와 유사한 권투 봉사 프로그램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영국과 미국의 빈민층 또는 노동자 계층 지역의 다양한 교파의 기독교 교회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러한 봉사 활동은 많은 남성, 특히 젊은 남성을 권투뿐만 아니라 봉사를 받도록 이끌었다.

1901년까지, 근육적 기독교는 영국에서 충분히 영향력이 있어서 한 작가는 "한 손에는 소총을, 다른 손에는 성경을 들고 세상을 헤쳐나가는 영국인"을 칭찬하고, "우리의 근육적 기독교가 무엇을 했는지 묻는다면, 우리는 대영 제국을 가리킨다"고 덧붙일 수 있었다.[25]

3. 2. 미국

미국에서 근육적 기독교는 처음에는 사립 학교에서 나타났고, 이후 YMCA와 드와이트 L. 무디와 같은 복음주의자들의 설교에서 나타났다.[27] 학자 아이렌 아누스는 미국의 근육적 기독교의 성장을 여성 해방, 미국으로의 이민 유입, 블루칼라 노동자 증가, 백인 앵글로색슨 개신교도 남성들의 화이트칼라 노동자화 등 미국 전역의 광범위한 사회 변화와 연결시켰다. 이러한 요인들은 미국 백인 남성들 사이에서 남성성에 대한 불안감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했다.[28]

베일러 대학교 학자 폴 푸츠는 근육적 기독교의 목적을 스포츠를 성화하는 수단으로 요약하며, "스포츠에 도덕적, 종교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스포츠의 신체 활동을 승인했다"고 설명했다. 근육적 기독교인들은 스포츠가 단순한 오락이나 레크리에이션이 아니라, 기독교적 인격을 개발하고 성장시키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29] 예일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아메리카 원주민 미식축구 코치 아모스 알론조 스태그는 이러한 믿음을 바탕으로 "기독교적 이상"을 장려하고자 했다.[29]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소심한 선한 사람이 유용할 수 있는 범위는 매우 제한적이다"라고 믿으며, 근육적 기독교의 대표적인 지지자였다.[31][32]

1910년 YMCA 지도자 프레드 스미스가 조직한 남성과 종교 전진 운동은 근육적 기독교의 예시로 제시된다. 이 운동은 복음 전파, 성경 공부, 소년 사역, 선교, 사회 봉사 활동을 했으며, 미국 전역에서 대규모 부흥회와 캠페인을 개최하여 약 150만 명의 남성이 참여했다.[33][34]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전쟁의 참혹함으로 인해 기독교 전반에 대한 환멸이 생기면서 근육적 기독교의 인기는 감소했다.[23] 그러나 기독교 운동가 협회, 액션 운동가, 약속 지킴이와 같은 복음주의 단체들을 통해 그 영향력은 지속되었다.[30]

3. 3. 오스트레일리아

근육적 기독교는 19세기에 다른 나라로도 퍼져나갔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종교적 요소가 충분히 인식되지는 않았지만, 1860년까지 잘 정착되었다.[81]

3. 4. 아시아

엘우드 브라운은 필리핀 YMCA 체육 지도자로, 필리핀에서 근육적 기독교를 적극적으로 홍보했으며, 1914년부터 1934년까지 열린 극동 선수권 대회를 공동 창설하는 데 기여했다.[36] 일본 학자 아베 이쿠오는 현대 스포츠 윤리와 일본의 스포츠 문화가 19세기와 20세기 초 기독교 선교사와 서구 교사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주장했다. 아베에 따르면, 일본의 스포츠 문화는 근육적 기독교와 무사도 윤리의 혼합으로 발전했다.[37]

근육적 기독교는 스와미 비베카난다의 "근육질 힌두교"와 힌두 민족주의 이념, 특히 신체적 기량과 남성성에 대한 그의 강조에도 영향을 미쳤다.[38] 북미 YMCA는 인도 신체 문화를 재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일부 남아시아 전통 스포츠를 채택하고 현대 요가 형성을 지원하는 동시에 서양 스포츠를 인도에 도입했다.[39][40]

한국의 경우, 일제강점기 하에서 기독교는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독립운동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신체적 강인함과 정신적 강인함을 강조하는 근육적 기독교의 이념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해방 이후에도 한국 교회는 스포츠 선교 등을 통해 근육적 기독교의 정신을 이어가고 있다.

3. 5. 아프리카

피터 알레기에 따르면, 근육적 기독교는 19세기 후반 식민지 선교 학교를 통해 아프리카에 전파되었다.[41] 스포츠는 근육적 기독교를 장려하기 위해 많은 선교 학교에 직접적으로 통합되었는데, 이는 행정가와 선교사들이 축구와 같은 스포츠가 많은 동일한 가치를 공유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41]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애덤스 칼리지와 같은 선교 학교가 미친 영향은 축구 선수들의 인구 통계를 통해 나타났는데,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스포츠 클럽 구성원 중 상당수가 기독교 아프리카인이었다.[41]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관행은 특정 스포츠에서 벗어나 일반적인 체육으로 바뀌었다.

근육적 기독교는 식민지화로 인해 아프리카 전역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남자는 가정의 가장이 되어야 했고, 이러한 구조가 붕괴되고 있다고 여겨졌다. 유럽 축구팀의 도입과 함께 근육적 기독교를 가져온 것은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 서구식 학교가 설립된 것이었다. 축구는 어린 소년들에게 자제력, 공정함, 명예, 성공을 가르치는 것으로 여겨졌다.[42] 또한, 그들을 훈련되고 건강하며 도덕적인 시민으로 성장시키는 것이었다.[41] 이러한 축구 클럽의 목적은 어린 소년들에게 이상적인 특성을 심어주는 것뿐만 아니라, 그들을 서구 세계의 강한 군인과 옹호자로 만드는 것이었다.[41] 선교 학교는 모든 학생이 경기를 하도록 하기 위해 축구를 프로그램에 통합한 최초의 학교 중 하나였다. 이는 아프리카 학생들을 기독교 세계로 더 쉽게 전환시키기 위해 아프리카 문화와 서구 문화를 융합하려는 것이었다.

1914년 이전에 아마짐토티 훈련소(Amanzimtoti Training Institute)로 알려진 애덤스 칼리지는 남부 및 중앙 아프리카에서 최초이자 가장 큰 선교 학교 중 하나였다. 이 학교는 슈팅 스타(Shooting Stars)라는 축구팀으로 중요했다. 이 팀은 이 지역의 다른 팀들과의 경쟁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다른 선교 학교들은 크리켓이나 럭비와 같은 다른 스포츠에서의 성공으로 더 잘 알려져 있었다.[41]

4. 영향과 현대적 의의



피에르 드 쿠베르탱올림픽 운동은 근육적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다.[85] 19세기 말, 근육적 기독교는 미국의 사립학교와 YMCA 등에서 나타났고, 드와이트 L. 무디와 같은 전도사들의 설교에도 등장했다.[82] YMCA에 운동 경기가 더해지면서, 농구배구가 발명되기도 했다.[83][84]

21세기에는 남성성의 위기에 대한 인식과 함께 근육적 기독교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팀 티보, 매니 파퀴아오 등 유명 운동선수들이 근육적 기독교를 대표하는 인물로 꼽힌다.[87][88] 존 파이퍼와 같은 신칼뱅주의 목사들은 '남성적 기독교'를 강조하며 근육적 기독교의 현대적 변용을 보여준다.[86] 파이퍼는 "하나님은 남성적인 분위기를 기독교에 부여하셨다"고 주장한다.[86]

현대 한국 사회에서 근육적 기독교는 스포츠 선교, 기독교 학교 체육 활동, 일부 기독교 단체의 활동 등을 통해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과도한 남성성 강조는 성차별 논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건강한 신앙과 균형 잡힌 인격 함양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참조

[1] 서적 Sport, Spirituality, and Religion https://mdpi.com/boo[...] MDPI, Basel 2019-11-22
[2] 서적 101 Things Everyone Should Know about Theodore Roosevelt Adams Media 2014
[3] 서적 Religion in Sociolog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Pine Forge Press 2011-08-01
[4] 서적 Christianity's Dangerous Idea https://books.google[...] HarperOne 2011-08-01
[5] 서적 Men and Masculinities: a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Encyclopædia, Volume 1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8-01
[6] 간행물 The Noetic Effect Of Sanctification: An Application Of Van Til's Epistemology To Personal Sanctification Through Colossians 1:15 - 3:10 http://dx.doi.org/10[...] Theological Research Exchange Network (TREN)
[7] 논문 Connections between Body and Soul: the Asceticism of Medieval Saints 2009
[8] 서적 Heresy and Authority in Medieval Europe http://dx.doi.org/10[...] 1980-01-01
[9] 서적 Sport and spirituality Taylor & Francis 2007
[10] 논문 The Development of Muscular Christianity in Victorian Britain and Beyond http://moses.creight[...]
[11] 서적 Muscular Christianity: Evangelical Protestants and the Development of American Sport https://archive.org/[...] BridgePoint Books
[12] 논문 Pastoral Theology: Power in the Pulpit https://books.google[...] 2011-04-19
[14] 서적 Letters and Memoirs of His Life, vol. II Scribner's
[15] 서적 Health and Education Macmillan and Co 2011-06-13
[16] 논문 'Rob Roy' MacGregor https://books.google[...] 2012-03-14
[17] 논문 Reviews: Essays Sceptical and Anti-Sceptical on Problems Neglected or Misconceived, by Thomas DeQuincey https://books.google[...] 2012-01-30
[18] 논문 News of the Week https://books.google[...] 2012-01-30
[19] 논문 Argumentum Baculinum https://books.google[...] 2012-01-30
[20] 간행물 Imperial Muscular Christianity: Thomas Hughes's Biography of David Livingstone Palgrave Macmillan UK 1998
[22] 웹사이트 Contemporary American sport, muscular Christianity, Lance Armstrong, and religious experience https://www.research[...] 2010
[23] 서적 Muscular Christianity: Manhood and Sports in Protestant America 1880-1920 Harvard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The YMCA First Opened Gyms to Train Stronger Christians https://www.smithson[...] 2022-03-25
[25] 서적 Our Public Schools: Their Influence on English History; Charter House, Eton, Harrow, Merchant Taylors', Rugby, St. Paul's Westminster, Winchester https://books.google[...] Swan Sonnenschein & Co 2009-11-09
[26] 논문 Muscular Christianity in the Antipodes: Some Observations on the Diffusion and Emergence of a Victorian Ideal in Australian Social Theory http://www.la84found[...] 2011-12-04
[27] 서적 Shaking the World for Jesus: Media and Conservative Evangelical Cul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웹사이트 The YMCA First Opened Gyms to Train Stronger Christians https://www.smithson[...] 2020-02-22
[29] 웹사이트 Muscular Christianity and Moral Formation Through Sports https://blogs.baylor[...] 2022-12-20
[30] 서적 Muscular Christianity: Manhood and Sports in Protestant America, 1880–1920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1] 뉴스 Muscular Christianity and American sport's undying love of violence https://www.theguard[...] 2020-02-22
[32] 웹사이트 Muscular Christianity: Its History and Lasting Effects https://www.artofman[...] 2019-05-06
[33] 문서 L. Dean Allen, "Rise Up, O Men of God: The 'Men and Religion Forward Movement' and the 'Promise Keepers' (Macon, GA: Mercer University Press, 2002)
[34] 문서 Fred Smith, ed. A Man's Religion (New York: Association Press, 1913)
[35] 논문 Indian Clubs and Colonialism: Hindu Masculinity and Muscular Christianity https://www.cambridg[...] 2004
[36] 논문 Muscular Christianity and the Western Civilizing Mission: Elwood S. Brown, the YMCA, and the Idea of the Far Eastern Championship Games https://academic.oup[...] 2015-06-01
[37] 서적 Muscular Christianity and the Colonial and Post-Colonial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9-13
[38] 문서
[39] 학위논문 Counterflows of knowledge : the transnational circulation of physical culture practices between India and the West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https://open.librar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19
[40] 뉴스 Shape of the nation https://www.livemint[...]
[41] 서적 African Soccerscapes: How a Continent Changed the World's Game Ohio University Press 2010
[42] 문서
[43] 웹사이트 'Muscular Christianity' Influenced the Creation of the Modern Olympics https://www.christia[...] 2018-02-08
[44] 웹사이트 Putting the "Muscular" Back in Muscular Christianity http://www.psycholog[...] 2020-02-22
[45] 웹사이트 Tim Tebow's 'Muscular Christianity' https://nymag.com/ne[...] 2012-08-31
[46] 뉴스 Tim Tebow Brings In a New Wave of Christian Athleticism http://www.christian[...]
[47] 뉴스 KU professor researching Naismith, religion and basketball http://www.news.ku.e[...] University of Kansas 2012-03-13
[48] 뉴스 John Piper: God Gave Christianity a 'Masculine Feel' http://www.christian[...]
[49] 서적 Manhood in America: A Cultur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50] 문서 Godliness and Good Learning 1961
[51] 문서 アメリカにおける muscular Christianity とその実践 ―YMCA 体育の歴史に着目して― https://www.waseda.j[...] 早稲田大学 2013年
[52] 문서 ウィズダム英和辞典 “muscular” 三省堂
[53] 문서 健康の殿堂 ―19 世紀後半のアメリカにおける YMCA と「筋骨たくましいキリスト教」― https://www.waseda.j[...] 2015年
[54] 문서 グローバルな身体文化の淵源を描き出す http://booklog.kinok[...] 2010年
[55] 문서 『日本のスポーツにみる社会化の過程・高校野球分析をもとに』 第1章「スポーツとは何か」 http://www.hmt.u-toy[...] 1996年
[56] 논문 筋肉的キリスト教徒とジェントルマン:概念の変容過程の問題とかかわって https://hdl.handle.n[...] 豊田 : 愛知工業大学 1990-03
[57] 문서 1998-04-08
[58] 문서 2007-01-23
[59] 문서 2003-12-01
[60] 서적 101 Things Everyone Should Know about Theodore Roosevelt 2014
[61] 문서 2012
[62] 문서 2008
[63] 문서 2004
[64] 성경 『使徒行伝』20章24節
[65] 문서 Muscular Christianity in the modern age https://books.google[...]
[66] 문서 2005
[67] 문서 1999
[68] 문서 1852-12
[69] 문서
[70] 문서 1889
[71] 인용
[72] 인용
[73] 인용 1879
[74] 인용 1895
[75] 서적 Reviews: ''Essays Sceptical and Anti-Sceptical on Problems Neglected or Misconceived'', by Thomas DeQuincey https://books.google[...]
[76] 서적 News of the Week https://books.google[...]
[77] 서적 Argumentum Baculinum https://books.google[...]
[78] 기타 1901
[79] 기타 2010-11-20
[80] 기타 2010-01-05
[81] 간행물 Muscular Christianity in the Antipodes: Some Observations on the Diffusion and Emergence of a Victorian Ideal in Australian Social Theory http://www.la84found[...] 1987-05
[82] 기타 2004
[83] 서적 Pan-Asian Sports and the Emergence of Modern Asia, 1913-1974 http://nuspress.nus.[...] NUS Press
[84] 서적 スポーツがつくったアジア 筋肉的キリスト教の世界的拡張と創造される近代アジア 一色出版 2017-11
[85] 기타 2001
[86] 기타 2012
[87] 기타 2012
[88] 기타 2012-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