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사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사도는 일본 무사 계급의 행동 규범으로, 가마쿠라 시대부터 시작되어 에도 시대에 이르러 유교, 불교, 신토의 영향을 받아 윤리적, 철학적으로 발전했다. 무사도는 충성, 명예, 용기, 자제 등을 강조하며, 20세기 초 니토베 이나조의 저서 《무사도: 일본의 정신》을 통해 서구 사회에 소개되었다. 현대에는 기업 경영, 무술, 개인의 삶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일본 사회와 문화에 깊이 스며들어 있다. 한국에서는 영화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의 시사회에서 무사도에 대한 언급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봉건제 - 오오쿠
오오쿠는 에도 시대 에도성 내 쇼군의 숙소로, 쇼군가의 여성들이 거주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공간이자 엄격한 계급 제도와 변화하는 구조, 막부 몰락과 함께 해체된 역사를 지닌 곳으로,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가 되고 있다. - 일본 봉건제 - 막번체제
막번체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 막부를 열고 다이묘를 통제하며 쇄국정책, 신분제도, 산킨코타이 등의 정책으로 막부의 권위를 유지한 약 260년간의 일본 통치 체제이다. - 17세기 신조어 - 상비군
상비군은 정규 급여를 받는 전문 군대로, 고대 아시리아에서 처음 창설되었으며, 스파르타, 진나라, 마우리아 제국, 로마 제국 등에서 운용되었고, 오스만 제국의 예니체리, 프랑스의 콩파니 돌드르낭스, 스페인의 테르시오, 영국의 뉴 모델 군 등이 대표적이지만, 높은 전문성과 즉각 대응 능력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유지비용이 든다. - 17세기 신조어 - 트윈테일
트윈테일은 머리카락을 양 갈래로 묶어 늘어뜨린 헤어스타일로, 17세기 피그테일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본 애니메이션 팬덤에서 인기를 얻어 주류 문화로 자리 잡았다. - 사상 - 사대주의
사대주의는 강한 세력을 숭배하고 맹목적으로 추종하며 자국의 것을 낮춰 보는 태도로, 문화 사대주의는 자국 문화를 낮게 평가하고 강대국의 문화를 동경하여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의미하며, 주체적인 문화 정체성 확립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사상 - 반군국주의
반군국주의는 군사력 강화 및 공격적인 전쟁 준비에 반대하는 사상으로, 국가 폭력과 군사적 폭력을 비판하며 징병 거부 등의 활동을 통해 평화주의 운동을 전개해왔다.
무사도 | |
---|---|
무사도 | |
![]() | |
개요 | |
다른 이름 | '무사의 길' '사도' (士道) '붓시도' |
로마자 표기 | Busido |
정의 | 무사의 도덕률 및 윤리 강령 |
기원 | 사무라이 계급의 윤리적 가치에서 유래 |
특징 | 명예 중시 충성심 강조 용기 숭상 검술 중시 자기 희생 강조 |
핵심 가치 | |
의(義) | 올바름, 정직함 |
용(勇) | 용기, 담대함 |
인(仁) | 관용, 동정심 |
예(禮) | 예의, 존중 |
성(誠) | 진실, 성실함 |
명예(名譽) | 명예, 자존심 |
충의(忠義) | 충성, 헌신 |
역사적 배경 | |
발전 시기 | 에도 시대에 제도화 |
영향 | 사무라이 문화 형성 일본 사회 윤리에 큰 영향 |
현대적 의미 | |
현대적 해석 | 리더십 원칙으로 적용 개인 수양의 규범으로 강조 기업 문화에 영향 |
논란 | 군국주의와의 연관성 비판 전통적 가치의 재해석 필요성 제기 |
관련 작품 | |
문학 | 니토베 이나조의 《무사도》 |
영화 | 7인의 사무라이, 라스트 사무라이 등 |
게임 | 고스트 오브 쓰시마 등 |
2. 역사적 배경
무사도는 이전 사무라이 규범을 공식화한 것으로, 성실성, 검소함, 충성심, 무술 숙련, 그리고 죽음에 이르는 명예를 강조했다.[4] 사무라이가 자신의 명예를 지키지 못하면 '''세푸쿠'''(의식적 자살)를 통해서만 회복할 수 있었다.[125]
부시도라는 용어는 근세 문헌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지만,[6] 시노비와 같은 일부 무사들의 불명예스러운 행위에 대해 혐오감을 느낀 엘리트 작가들과 역사가들 사이에서 명예 규범은 존재했다.[7] 전투에서의 명예는 싸우기 전에 자신의 가문과 혈통을 알리는 것, 무사 귀족 간의 싸움을 기마 궁술이나 검[10] 결투[11]로 제한하려는 시도, 속임수나 기만 없이 전설적인 인물이나 영웅처럼 행동하는 것 등으로 표현되었다.[16]
에도 시대의 평화로운 시대에 신유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신토와 선종 불교의 영향도 받아 지혜와 평화, 폭력의 균형을 이루었다. 무로마치 시대 (1336~1573) 동안 더욱 발전했고 에도 시대에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법으로 공식적으로 정의되고 적용되었다.[68]
엄격한 정의는 없으며, 규범에 대한 해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했다.[119] 부시도는 일본 역사를 통틀어 많은 변화를 겪었고, 19세기까지 다양한 일본 씨족들이 자신들의 방식으로 해석했다. 이는 단일 규범이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규범으로 묘사될 수 있는 기록되지 않은 구두적 기대의 연속이었으며, 같은 무사 귀족 집안에서도 더 많은 변형이 있을 가능성이 있었다.[14]
부시도라는 용어는 1899년 니토베 이나조의 저서 "부시도: 일본의 영혼"이 출판되면서 국제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많은 서구인들이 읽었다.[17]
2. 1. 가마쿠라 시대 (1185년 ~ 1333년)
가마쿠라 시대에 일본에서 무가 정권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무사의 지위가 확립되었다. 이와 함께 무사도의 원형이 되는 '궁마의 길'과 같은 무사들의 행동 규범이 나타났다. '궁마의 길'은 당시 무사들의 전투 방식에서 중요하게 여겨졌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1] 이는 쇼토쿠 태자, 미나모토노 요리미쓰, 미나모토노 요시이에(하치만타로)와 같은 초기 무사 영웅들의 전통적인 방법으로 여겨졌다.[45] 또한, '유미야 토루 미노 나라이'(弓矢取る身の習い, 활을 쏘는 사람들의 관습)라고도 불렸는데,[1] 이는 일상적인 훈련과 전쟁 경험에서 비롯된 이상적인 무사 행동에 대한 인식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40]10세기와 11세기 무렵부터 '무장의 길'(Tsuwamon no michi), '궁술의 길'(Kyûsen / kyûya no Michi), '궁마의 길'(Kyûba no Michi)과 같은 표현이 사용되기 시작했다.[46] 이러한 표현들은 무사도의 기원이 되는 관행을 가리키지만, 당시에는 어떤 도덕성과도 관련이 없었다. 이것들은 단지 실제 전투 훈련에 초점을 맞춘 관행이었으며, 넓은 의미에서 무사의 삶과 관련이 있었다.[46]
같은 시기에 중국에서 선종이 전래되어 무사 계급에 큰 영향을 주었다.
겐페이 전쟁(1180년 ~ 1185년)을 배경으로 하는 헤이케 이야기에는 이상적인 무사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48] 이 서사시에는 교양 있는 무사의 이상이 분명하게 나타나 있으며, 근세 초기 무사 사회의 상류층에서 적극적으로 추구되었고 일본 무장의 적절한 형태로 권장되었다. 신토, 불교, 도교, 유교의 영향은 무사도의 초기 발전에 영향을 주어, 그 규범에 따라 사는 사람들에게 종교적인 존중심을 심어주었다.[49]
겐페이 전쟁 이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1192년부터 가마쿠라에 막부라는 군사 정부를 설립하여 문벌 귀족으로부터 권력을 빼앗았다.[42]
2. 2. 무로마치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1336년 ~ 1603년)
무로마치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무로마치 문화를 바탕으로 무사를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양식이 발전하였다. 무예에서는 검술의 병법 삼대 원류가 나타났고, 예능에서는 노가쿠·다도 등이 무사들의 교양으로 자리 잡았다.[58] [68] 이 시기에는 아직 "무사도"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무사 특유의 가치관(미의식)·도덕관이 존재했다.센고쿠 시대의 혼란 속에서 무사들은 실리적이고 냉혹한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다케다 신겐(武田信玄), 우에스기 겐신(上杉謙信),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 등 유력 다이묘(大名)들이 등장하여 무력과 전략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다. 빈번하게 전투가 벌어졌고, 그 목적은 권력 확장이었다. 전투에서 적을 죽이는 행위는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여겨졌다.
일부 다이묘들은 선종과 유교의 영향을 받은 도덕규범에 대해 저술했다. 그러나 사무라이 사회에서는 명예를 제외하고는 도덕적 가치에 대한 강한 애착이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는 "만약 어떤 사람이 매일 무사도(武士道) 문제를 조사하지 않는다면, 용감하고 남성적인 죽음을 맞이하기 어려울 것이다."라고 하며 무사의 마음가짐을 강조했다.[60] 또한 시조 낭송을 금지하고 학문에 힘쓰며, 군사 문제에 관한 책을 읽고 충성과 효도의 미덕에만 주의를 기울일 것을 강조했다.[60] 나베시마 나오시게(鍋島直茂)는 "무사도는 죽는 데 미쳐 있는 것이다. 50명 이상이 그런 사람 한 명을 죽일 수 없었다."라고 하며 전투에서 목숨을 걸지 않고 죽는 것을 수치스러운 일로 여겼다.[60]
이 시대에는 명예, 무기, 전쟁이 일본 문화에서 최고의 중요성을 지녔으며,[61] 금전적 저축은 낮은 우선순위였다.[61]
2. 3. 에도 시대 (1603년 ~ 1868년)




일본은 에도 시대(1600년부터 19세기 중반까지) 2세기 반 동안 상대적인 평화를 누렸다. 국내외 분쟁이 없었던 도쿠가와 막부(1603년–1867년)는 사무라이 무사 가치의 측면을 성문화하여 일본 봉건법의 일부로 공식화했다.[67] 이러한 평화로운 시대는 무사도(武士道)가 '전투에서의 용기'에서 '도덕적 청렴성'으로 세련될 수 있게 했다.[1]
이 기간 동안 사무라이 계급은 국가의 치안 및 행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70]
'무사도'라는 용어가 처음 언급된 것은 1616년경 사무라이 고사카 마사노부(1527–1578)가 집필한 다케다류(무술 학교)의 경전 甲陽軍鑑(코요군칸)이다.[1] 20권으로 구성된 이 책에는 다케다 가문의 역사와 군사 전술이 담겨 있으며, 전투에서의 용기와 공적을 묘사한다.[1]
겐나 시대(1615–1624) 이후, 야마가 소코(1622–1685) 등은 유교 성리학의 도덕에서 "군자의 길"(士道, 시도)이라는 개념을 설명하며 새롭게 확립했다. 이로써 유교 윤리(예: "명예와 인간성", "효도")가 사무라이에게 요구되는 표준이 되었다.[74]
1642년, 야마가타 번 출신 모가미 씨의 전 신하였던 사무라이 사이토 치카모리(斎藤親盛, 1603–1674)가 집필한 가 출판되었다.[1][75] 5권으로 구성된 이 책은 사무라이 지식,[1] 일반인들의 지식, 유교, 불교 가르침 등 광범위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무사도의 이론적 측면을 설명하는 도덕적 계율을 포함한다.[1] '무사도'와 '무사도 정신'에 대한 최초의 도덕성 설명이 여기에 담겨 있으며,[1] 평민 사이에 '무사도 정신'을 보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1685년, 화가 히시카와 모로노부(1618–1694)가 그린 우키요에 책 가 출판되었다.[1] 간단한 설명과 함께 사무라이 무사의 영웅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 책의 제목에는 '무사도'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며, 어린이를 위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일반 대중에게 널리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1]
''葉隱(하가쿠레)''에는 18세기 초 야마모토 츠네토모(1659–1719)가 나베시마 나오시게의 손자인 나베시마 미츠시게의 전 家臣(가신)에 의해 무사도와 관련된 철학에 관한 전국 시대 가신 나베시마 나오시게(1537–1619)의 많은 말이 담겨 있다. "나는 무사의 길이 죽음임을 알았다"는 그의 말은 무사도가 명예와 명성에 중점을 둔 것을 요약한다.[79]
2. 4. 메이지 시대 이후 (1868년 ~ 현재)
메이지 유신으로 사무라이 계급은 폐지되었지만, 무사도는 일본인의 정신적 지주로 강조되었다.[27] 1900년 니토베 이나조가 저술한 《무사도: 일본의 정신》은 서구 사회에 무사도를 소개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142][143] 이 책에서 니토베 이나조는 근대 사회의 개인주의와 대비하여, 봉건 시대 무사들이 사회 전체에 대한 의무를 중요하게 여겼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미화된 해석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146]다이쇼 시대에는 "일본 자본주의의 아버지"라 불리는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상인의 도(무사도)를 주장했다.[131] 신도 무넨류와 호쿠신 일도류를 수련한 무사이기도 했던 그는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가신을 거쳐 메이지 시대 이후 사업가로 활동하며 수백 개의 기업 설립에 참여했다. 그의 저서 "논어와 산반"에서 그는 "사혼상재"(士魂商才, 무사의 정신과 상인의 재능)라는 말을 주창하며, 무사 정신을 경제 활동과 연결시키고 이기적인 상인들을 비판했다.
국가주의자들은 무사도를 일본 민족의 도덕, 국민 도덕과 동일시하려고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군국주의는 무사도를 전쟁 수행의 정신적 도구로 활용했다.
전후, 무사도는 비판적인 시각과 함께 재평가되었으며, 현대 일본 사회와 문화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1][113][116][118][117][109] 사업, 의사소통, 무술, 그리고 삶의 방식 등에서 무사도 정신이 강조되기도 한다.[119][110]
2009년 6월 10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영화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 시사회에서 마이클 베이 감독이 "트랜스포머 속에는 다른 사람을 위해 자기희생하는 영웅주의인 일본의 무사도를 담았다"라고 발언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147]
중화민국의 리덩후이 전 총통은 2001년 심장병 치료를 위해 일본을 방문하려 했을 때, 일본 외무성의 반대로 비자 발급이 지연되자 "옳다고 여겨 행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라는 무사도 정신을 언급하며 일본을 비판했다.[149] 그러나 동일본 대지진 당시 일본 국민들이 보여준 절도 있는 행동과 헌신적인 자기희생을 언급하며, 무사도 정신은 여전히 일본에 남아있다고 평가했다.[149]
3. 주요 특징
무사도(武士道)는 사무라이의 도덕 규범으로, 진실성, 검소함, 충성심, 무술 숙련, 그리고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명예를 강조했다.[4] 특히 "용기"와 "주군에 대한 충성심"을 중요하게 여겼다.[5] 이러한 규범은 가마쿠라 시대부터 에도 시대 이전 수 세기 동안 발전했다.[4]
16세기부터 20세기 사이에 무사도가 발전했지만, 그 기원은 10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주장도 있다. "무사도"라는 용어 자체는 근세 문헌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6] 시노비 등의 불명예스러운 행위에 대한 혐오감을 느낀 엘리트 작가들과 역사가들 사이에서 명예 규범이 존재했다.[7] 이는 사무라이의 불명예스러운 행동,[8] 새로운 은밀 작전과 첩보 기술,[7] 선종 불교 병사의 계율에 대한 반응으로 발전했다.[9]
전투에서의 명예는 싸우기 전에 자신의 가문과 혈통을 알리는 것, 무사 귀족 간의 싸움을 기마 궁술이나 검[10] 결투[11]로 제한하려는 시도 등으로 표현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신유교와 신토, 선종 불교의 영향을 받아 폭력과 평화의 균형을 이루었다. 이는 무로마치 시대 (1336~1573) 동안 더욱 발전했고, 에도 시대에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법으로 공식 정의되고 적용되었다.[68]
무사도에 대한 엄격한 정의는 없으며,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었다.[119] 19세기까지 여러 일본 씨족들이 자신들의 방식으로 해석하여, 단일 규범보다는 서로 다른 규범으로 묘사될 수 있는 기록되지 않은 구두적 기대의 연속이었다.[14]
"무사도"라는 용어의 초기 용례는 16세기 후반의 "무사의 거울"(The Military Mirror of Kai)에서 찾을 수 있다.[15] 1616년 고사카 마사노부가 저술한 고요 군칸, 1685년 화가 히시카와 모로노부의 우키요에 책, 1642년 사무라이 사이토 치카모리가 저술한 책에서도 나타난다.[1] "무사도"는 1899년 니토베 이나조의 "부시도: 일본의 영혼" 출판으로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17]
무사도는 일본의 사회, 경제 조직, 기업 행동, 무술 등에 영향을 미쳤다.[1]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무사도를 미래 시대에 필요한 것으로 설파했다.[108] 타이완에서는 이덩후이 전 중화민국 총통이 무사도에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109]
무사도 정신은 일본 무술에 존재하며,[119] 아이아이도, 검도 등은 무사도에서 철학을 이끌어낸다. 일본 자위대(JSDF)는 전투 훈련 명칭에 무사도를 상징적으로 사용한다.[122]
3. 1. 에도 시대 이전의 무사도
가마쿠라 시대에 일본에서 무가 정권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무사의 지위가 확립되었다. 이 시기에 선종이 중국에서 전래되어 무사 계급에 큰 영향을 주었다. "궁마의 도"(병(つわもの)의 도)라고 불리는 무사도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생활규범이 성립되었는데, 이는 서양에서 기사도가 성립된 시기와 겹친다.[4] 무사는 주군에 대한 충성보다 자신의 이익을 우선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개인적인 전투원의 생존술, 가문의 명예와 무용을 중시했다.[136]무로마치 시대부터 센고쿠 시대()에 걸쳐서는 무로마치 문화를 바탕으로 무사를 중심으로 하는 각종 양식이 발전했다. 무예에서는 검술의 병법 삼대 원류가 나타났고, 예능에서는 노가쿠·다도 등이 무사의 교양으로 발전했다. 이 시대에는 아직 "무사도"라는 말은 없었지만, 공가나 다른 사회 계급과는 다른 무사 특유의 가치관(미의식)·도덕관이 존재했다.
무사가 지켜야 할 도덕적 규범으로는 "궁마의 도"가 있었는데, 주종 관계, 예절, 무용, 염치, 질실을 중요하게 생각했다.[136]
"무사도"라는 말이 일본에서 처음으로 기록된 책은 에도 시대 초기의 서적인 『甲陽軍鑑』이다. 이 책은 다케다 가문 가신 카스가 토라쓰나(고사카 마사노부)의 구술 기록으로 여겨진다. 여기서의 무사도는 개인적인 전투원의 생존술로서, 무명을 높여 자신과 일족의 발전을 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후지도우 타카토라가 남긴 가훈에 나타난 것처럼, "무사는 칠도 주군을 바꾸지 않으면 무사라고 할 수 없다"는 말처럼 자신을 높이 평가해 주는 주군을 찾아 랑인이 되는 것도 긍정했다. 『북조오대기』에는 "무도의 사태 일언 없고. 마지막 한 개조에. 문무궁마의 도는 상이니. 시르스니 이르지 못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아사쿠라 소우테키의 말처럼 "무사는 개라고도 하고, 축생이라고도 하고, 이기는 것이 본이니이다"라는 말에 나타난 것처럼, 비겁하다는 비난을 받더라도 싸움에서 이기는 것이 중요하다는 냉엄한 철학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은 주로 무사로서의 생활 방식과 관련된 것이며, 각 집안의 가훈이자 가신으로서의 처세술과 같다. 보편적으로 이야기되는 도덕 대계로서의 "무사도"와는 다른 점이 있다.
에도 시대에는 무도라고도 불렸지만, 이는 나중에 무술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3. 2. 에도 시대의 무사도
에도 시대의 평화로운 시대에 신유교의 영향을 받아 유교 경전, 신토, 선종 불교의 가르침을 통해 지혜와 평화, 그리고 폭력의 균형을 이루었다. 이는 무로마치 시대 (1336~1573) 동안 더욱 발전했고, 에도 시대에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법으로 공식 정의되고 적용되었다.[68]엄격한 정의는 없으며, 규범에 대한 해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했다.[119] 부시도는 일본 역사를 통틀어 많은 변화를 겪었고, 19세기까지 여러 일본 씨족들이 자신들의 방식으로 해석했다. 이는 대부분 단일 규범이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규범으로 묘사될 수 있는 기록되지 않은 구두적 기대의 연속이었으며, 같은 무사 귀족 집안에서도 더 많은 변형이 있을 가능성이 있었다.[14]
일본은 에도 시대(1600년부터 19세기 중반까지) 동안 2세기 반 동안 상대적인 평화를 누렸다. 이 시기에는 국내외 분쟁이 없었다. 도쿠가와 사회의 이러한 평화로운 시대는 무사도가 '전투에서의 용기'에 대한 초점에서 '도덕적 청렴성'으로 세련될 수 있도록 했다.[1]
도쿠가와 막부(1603년–1867년)는 사무라이 무사의 가치의 측면을 성문화하여 일본 봉건법의 일부로 공식화했다.[67] 영지(藩, 한)에서 발행된 "가문 규범"과 무사의 올바른 행동을 묘사한 텍스트(하가쿠레 등) 외에도, 1615년 정부에 의해 최초의 무가쇼핫토(武家諸法度, 무가제법도)가 발표되었다. 이는 영주의 다이묘(大名)와 사무라이 무사 귀족에게 책임과 활동, 행동 규칙, 간소하고 단정한 복장, 공식 방문 시 적절한 공급 등을 규정했다.[68] 이러한 칙령은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에 의해 1629년과 1635년에 다시 발표되었다. 새로운 칙령은 쇼군의 권위와 통제력을 행사하려는 쇼군의 의지를 명확히 했다.[69] 사무라이의 검술 기술은 인격 함양 무술로 발전했다.[119]
이 기간 동안 사무라이 계급은 국가의 치안 및 행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70]
겐나 시대(1615–1624) 이후, "군자의 길"(士道, 시도)이라는 개념은 철학자이자 전략가인 야마가 소코(1622–1685) 등이 유교 성주학파의 도덕에서 이 가치를 설명하려고 시도하면서 새롭게 확립되었다. 최초로 유교 윤리(예: "명예와 인간성", "효도")가 사무라이에게 요구되는 표준이 되었다.[74]
1642년, 야마가타 번 출신 모가미 씨의 전 신하였던 사무라이 사이토 치카모리(斎藤親盛, 1603–1674)가 를 출판했다.[1][75] 가쇼키는 도덕적 계율을 포함한 사무라이 지식,[1] 일반 사람들의 지식, 유교, 불교의 가르침, 서술적인 내용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내용을 담은 5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사도의 이론적 측면을 설명하는 도덕적 계율이 있다.[1] 5번째 두루마리에는 사무라이가 한 중요한 정의가 있다.[1] 따라서 무사도와 '무사도 정신'에 대한 최초로 알려진 도덕성에 대한 설명은 가쇼키였다.[1] 가쇼키는 평민 사이에서 '무사도 정신'을 보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1685년, 화가 히시카와 모로노부(1618–1694)가 그린 우키요에 책 가 출판되었다.[1] 이 책은 사무라이 무사의 영웅적인 인기 이야기를 간단한 설명과 함께 보여준다.[1] 제목에는 '무사도'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며, 어린이를 위해 만들어졌다는 것은 일반 대중에게 널리 퍼져 있었음을 보여준다.[1]
''葉隱(하가쿠레)''에는 18세기 초 야마모토 츠네토모(1659–1719)가 나베시마 미츠시게의 전 家臣(가신)에 의해 무사도와 관련된 철학에 관한 전국 시대 가신 나베시마 나오시게(1537–1619)의 많은 말이 담겨 있다. 葉隱(하가쿠레)는 18세기 초에 편찬되었지만, 도쿠가와 막부(1867)가 끝날 때까지 나베시마 씨의 일종의 "비밀 가르침"으로 간직되었다.[78] "나는 무사의 길이 죽음임을 알았다"는 그의 말은 무사도가 모든 것보다 명예와 명성에 중점을 둔 것을 요약한 것이다.[79]
3. 3. 니토베 이나조의 무사도 (8가지 덕목)
니토베 이나조는 1900년 미국에서 ''Bushido: The Soul of Japan''영어[142][143]을 출판했다. 이 책은 시어도어 루스벨트, 존 F. 케네디 대통령 등 정치인 외에도 보이스카우트 창립자인 로버트 베이든파월 등 많은 해외 독자를 확보했으며, 1908년에 사쿠라이 히코이치로가 『무사도』[144]로 일본어 번역하여 출판했다.[145]니토베 이나조는 무사도를 "싸우는 귀족들이 그들의 직업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지켜야 할 방식"으로 정의했다.[119] 그는 무사도의 8가지 덕목으로 다음을 제시했다.[132] [3]
덕목 | 설명 |
---|---|
義|기일본어 | 모든 사람과의 거래에서 철저히 정직해야 한다. 다른 사람이 아닌 자신으로부터 정의를 믿어야 한다. 진정한 무사에게는 정직, 정의, 성실에 관한 모든 관점이 깊이 고려된다. 무사는 자신의 결정에 전적으로 헌신한다. |
勇|유일본어 | 거북이처럼 껍질 속에 숨어 있는 것은 전혀 사는 것이 아니다. 진정한 무사는 영웅적인 용기를 가져야 한다. 그것은 절대적으로 위험하다. 그것은 삶을 완전히, 충분히, 멋지게 사는 것이다. 영웅적인 용기는 맹목적이지 않다. 지적이고 강하다. |
仁|진일본어 | 강도 높은 훈련과 노력을 통해 진정한 무사는 빠르고 강해진다. 그들은 대부분의 사람들과 같지 않다. 그들은 선을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 힘을 기른다. 그들에게는 동정심이 있다. 그들은 모든 기회에 동료 인간을 돕는다. 기회가 생기지 않으면, 그들은 기회를 찾기 위해 노력한다. |
禮|레이일본어 | 진정한 무사는 잔인할 이유가 없다. 그들은 자신의 힘을 증명할 필요가 없다. 무사는 전투에서의 힘뿐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존경받는다. 무사의 진정한 힘은 어려운 시기에 분명해진다. |
誠|마코토일본어 | 무사가 행동을 하겠다고 말하면, 그것은 이미 완료된 것과 같다. 그들이 하겠다고 말한 것을 완수하는 것을 막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들은 약속을 해야 할 필요가 없다. 그들은 약속을 할 필요가 없다. 말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같은 행위이다. |
名誉|메이요일본어 | 무사에게는 명예와 인격의 심판관이 오직 하나뿐인데, 그것은 바로 자신이다. 그들이 내리는 결정과 그 결정이 실행되는 방식은 그들이 진정 누구인지를 반영한다. 자신으로부터 숨을 수 없다. |
忠義|추기일본어 | 무사는 자신이 한 모든 일과 한 모든 말, 그리고 그에 따른 모든 결과에 대해 책임이 있다. 그들은 자신들의 보살핌을 받는 모든 사람들에게 엄청난 충성심을 가지고 있다. 그들이 책임을 지는 모든 사람들에게 그들은 맹렬하게 충실하다. |
自制|지세이일본어 | (자제력, 극기) |
『무사도』에서는 외국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문화적 차이, 특히 꽃의 종류에 대한 설명을 언급하고 19세기 말의 철학과 과학적 사고방식을 사용하여 일본인이 일본 사회라는 틀 속에서 어떻게 살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섬나라 일본의 자연환경과 독특한 사계절의 변화가 일본인 정신의 토양을 형성했고, 그 결과 사무라이의 생활 태도와 신조가 모델 케이스로서 일본인 정신의 형성 과정을 명료한 구성과 언어로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무라이와 많은 일본인들은 자랑이나 오만을 싫어하고 충의를 신조로 삼았다는 점을 언급하며, 가족이나 친척에 대해서조차도 ‘어리석은 아내’, ‘어리석은 동생’이라고 부르는 것은 상대방에 대한 겸손의 표현이며, 이러한 미묘한 차이는 외국인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에 대해, 『기미가요』와 『고사기』를 영어로 번역한 베질 홀 챔벌린 등은 『무사도』의 내용을 비판했다.[146]
3. 4. 현대의 무사도
무사도는 현대 일본 사회에서 기업 경영, 스포츠, 개인의 삶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1] 이러한 무사도 정신은 자기희생, 책임감, 공동체 의식 등을 강조한다.[119][110]메이지 유신 이후 무사 계급은 사라졌지만, 청일 전쟁 이후 무사도는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국가주의자들은 무사도를 일본 민족의 도덕과 동일시하려 했다.
니토베 이나조는 무사가 봉건 사회 전체에 대한 의무를 지닌 존재로서 자신을 인식했다고 지적하며, 이를 근대 사회에서 개인이 사회 전체에 대한 의무를 지도록 교육하는 모델로 제시했다. 그러나 이러한 니토베의 생각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무사도의 사상적 핵심은 죽음을 삶의 전망 속에 포함시켜 허무주의를 극복하려는 데 있다는 견해도 있다.
분야 | 내용 |
---|---|
기업 경영 | 사업 관계, 신뢰, 존중, 조화 등의 개념은 무사도에 기반하며, 일본의 기적과 같은 경제 성장의 동력이 되었다.[1]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무사도를 미래 시대에 필요한 것으로 설파했다.[108] |
스포츠/무술 | 검도와 같은 현대 격투 스포츠는 무사도에서 철학을 이끌어낸다.[119] 아이키도, 유도 등 다양한 무술의 명예 규범에 영향을 주었다.[119] |
개인의 삶 | 가크트(Gackt)와 같은 일본의 음악가[118][117], 이등휘(Lee Teng-hui) 전 중화민국 총통[109] 등은 자신의 삶의 철학이 무사도와 유사하다고 밝혔다. |
사회 |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영웅들은 자기희생적인 모습으로 "사무라이 정신"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119] |
군사 | 일본 자위대(JSDF)는 전투 훈련 명칭 등에 무사도를 상징적으로 사용한다.[122] |
타이완에서는 무사도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가 남아있다.[111] 이덩후이 전 총통은 일본의 전통 가치를 존경했으며, 특히 무사도에 영향을 받았다.[109]
4. 관련 인물
- 야마가 소코(山鹿素行): 에도 시대의 유학자로, 무사도 체계화에 기여했다.[137] 무사가 (봉건) 사회 전체에 대한 책임을 지는 입장이며, (봉건) 사회 전체의 윤리를 맡는다고 주장했다.[138][139][140]
- 야마모토 쓰네토모(山本常朝): 에도 시대의 무사로, 《하가쿠레》의 저자이다.[141] "무사도란 죽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라는 구절로 유명하며, "무이무삼(無二無三)"으로 주인에게 봉공(奉公)하는 것을 강조했다.
- 니토베 이나조(新渡戸稲造): 메이지 시대의 사상가로, 《무사도: 일본의 영혼》의 저자이다.[142][143] 이 책을 통해 무사도를 국제적으로 널리 알렸다.[144][145]
-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 20세기 작가로, 무사도 정신을 강조했다. 그는 "침략주의나 군국주의는 처음부터 무사도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며, 무사도에서 말하는 인물이란 자존감이 확고하고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며 그 책임을 구현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5. 현대 사회에 끼친 영향
무사도는 일본 사회와 문화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쳤다. 군사적 성과,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무술, 의학, 사회복지 외에도 기업 행동을 촉진했다.[1] 역사적으로 20세기 자본주의 활동을 구조화한 사고방식으로, 일본 사업계의 사업 관계, 개인과 집단 간의 긴밀한 관계, 신뢰, 존중, 조화 등의 개념은 무사도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는 현대 일본의 산업 조화(ja:労使協調) 이념의 기원이 되며, 일본의 기적을 통해 1950년대와 1960년대 전후 시대에 아시아의 경제적 리더가 될 수 있도록 했다.[1]
실업가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무사도를 미래 시대에 필요한 것으로 설파했으며,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민주주의까지 일본 사업의 정신이 옹호되어 일본 경영에 필요한 중추가 되었다.[108] 무사도 정신을 기본으로 한 ‘사혼상재(士魂商才)’라는 말도 생겨났는데, 이는 돈을 숭배하는 사상에 빠지기 쉬운 정신을 경계하고, 상업적인 재능을 발휘함으로써 이상적인 경영자가 되는 것을 의미했다. 이러한 경영 철학 및 윤리는 서구에서도 전후에 발달하여, 왕도정치와 유사한 학문도 등장했다. 오늘날에는 기업 윤리가 중요해지면서 경영자와 전략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경영학 계열의 대학, 고등학교에서 표어로 채택하는 경우도 있다.
후지무라 신야는 학술 논문 "무사도 윤리: 기업 행동의 패러다임"에서 무사도 윤리를 조사했다. 무사도 원칙은 급속한 경제 성장이 현대 삶의 목표일 필요는 없음을 시사한다. 경제적 만족은 국내총생산 통계와 관계없이 달성될 수 있다. 후지무라에 따르면, "이러한 전통은 국가의 기업 문화에 스며들어 많은 사회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무사들이 실천한 평등주의적 원칙은 현대 사업 사회와 문화에 스며들었다. "세이힌(清貧)"과 같은 고결한 가난의 원칙은 권력과 자원을 가진 사람들이 부를 공유하도록 장려하여 국가적 성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무사도는 기업에 사회적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후지무라가 설명했듯이, "무사도가 명시하는 도덕적 목적은 호황과 불황을 초월한다... 일본 회사는 경영진이 직원을 걱정하고 직원이 경영진을 존중하는 가족과 같다고 종종 말한다. 따라서 무사도는 국가 정체성과 소속감의 기반의 일부이며, 일본인은 하나의 민족이며 함께 한다는 이상을 말한다."
타이완에서는 무사도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가 계속되었다.[111] 이덩후이 전 중화민국 총통은 전통적인 일본 가치를 존경했으며 무사도는 그에게 영향을 미쳤다.[109] 일제강점기 타이완에서 이덩후이는 학교에서 검도를 배우며 무사도와 일본의 "무사도 정신"에 깊은 영향을 받았고, 이는 그의 미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110] 그는 2003년 일본어로 된 책 "'부시도' 개요: 봉사의 의무란 무엇인가?"를 집필하여 일본의 무사 정신에 호소하여 경제 침체 중 일본의 사기를 높이려고 노력했다.[111]
무사도의 7가지 미덕을 활용하여, 사무라이 도(道)는 일본 성인 부부 간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기여하도록 새롭게 해석되었다. 2012년에 작성된 "부부 의사소통을 위한 부시도 매트릭스"는 상담 담당자가 성인들이 자기 성찰을 하고 배우자와 감정을 공유하도록 안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 활동은 "부시도 매트릭스 워크시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112] 저자들은 "부시도 미덕을 실천하면 개인적인 인식에서 부부 간의 인식으로 확대되는, 궁극적으로 개인적이고 대인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한다.[113]
2009년 6월 10일, 한국의 서울에서 열린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의 시사회에서, 마이클 베이 감독이 "트랜스포머 속에는 다른 사람을 위해 자기를 희생하는 영웅주의인 일본의 무사도를 담았다"라고 발언한 것이 논란을 불러일으켜, 한국인으로부터 왜색이라는 비판을 받았다.[147]
6. 한국의 관점
일제 강점기의 일본 군국주의는 무사도를 침략과 지배를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활용하였고, 이는 한국인들에게 무사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주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등 과거 일본과의 전쟁에서 무사들이 보인 잔혹한 행위는 한국인들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147]
현대 한국 사회에서는 책임감, 명예, 공동체 의식 등 무사도의 일부 긍정적인 가치를 수용하면서도, 일본 군국주의와 관련된 부정적인 측면은 경계해야 한다는 인식이 있다.
2009년 6월 10일 서울특별시에서 열린 영화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 시사회에서 마이클 베이 감독은 "트랜스포머에는 다른 사람을 위해 자기를 희생하는 영웅주의인 일본의 무사도가 담겨있다"고 발언하여 논란이 되었다. 이 발언은 한국인들로부터 왜색(倭色)이라는 비판을 받았다.[147]
참조
[1]
웹사이트
Bushidō: An Ethical and Spiritual Foundation in Japan
https://www.nippon.c[...]
2019-06-12
[2]
웹사이트
Jisho.org
https://jisho.org/wo[...]
2020-08-01
[3]
서적
Bushido, The Soul of Japan
https://www.gutenber[...]
Kodansha International
[4]
웹사이트
Bushido
https://www.britanni[...]
2023-03-04
[5]
서적
World History: Our Human Story
Sheridan Kentucky
2021-05-01
[6]
서적
The Zen of Japanese Nationalism
Donald Lopez
[7]
웹사이트
The Origins of Espionage
https://people.howst[...]
2024-04-18
[8]
웹사이트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 Samurai and a Ninja?
https://people.howst[...]
2024-04-18
[9]
서적
A Brief History of Japan: Samurai, Shogun and Zen: The Extraordinary Story of the Land of the Rising Sun
Tuttle Publishing
[10]
웹사이트
Bushido: Way of the Samurai
https://www.ngv.vic.[...]
National Gallery of Victoria
2024-04-18
[11]
웹사이트
Part 1: Introduction
http://people.cohums[...]
Ohio State University
[12]
웹사이트
Kamakura period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5-22
[13]
서적
A Brief History of Japan: Samurai, Shogun and Zen: The Extraordinary Story of the Land of the Rising Sun
Tuttle Publishing
[14]
웹사이트
How Samurai Work
https://people.howst[...]
2024-04-18
[15]
웹사이트
'The Military Mirror of Kai': Swordsmanship and a Medieval Text in Early Modern Japan
https://epublication[...]
Marquette University
2014-11-01
[16]
서적
Samurai: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worldcat.org[...]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Seeing Stars: Sports Celebrity, Identity, and Body Culture in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8]
웹사이트
Feudal and Modern Japan
https://archive.org/[...]
2024-04-22
[19]
서적
国語大辞典(新装版) (Kokugo Dai Jiten, Revised Edition)
Shogakukan
[20]
서적
大辞泉 (Daijisen)
Shogakukan
[21]
서적
大辞林 (Daijirin)
Sanseidō
[22]
서적
Nippo Jisho
https://books.google[...]
2022-06-06
[23]
서적
Nippo Jisho
https://books.google[...]
2022-06-06
[24]
웹사이트
Samurai Spirit
https://jisho.org/wo[...]
2021-06-14
[25]
간행물
The Dawn of the Samurai: Warrior Legends in Japanese History
[26]
논문
The Economic Rehabilitation of the Samurai in the Early Meiji Period
http://www.bakumatsu[...]
1960-04-19
[27]
웹사이트
Bushido: The Samurai Code of Honor
https://www.thecolle[...]
2022-01-27
[28]
웹사이트
つじ-ぎり【×辻斬り】
https://www.weblio.j[...]
2016-05-30
[29]
ubl
[30]
웹사이트
Samurai
https://www.worldhis[...]
2024-04-18
[31]
서적
A Brief History of Japan: Samurai, Shogun and Zen: The Extraordinary Story of the Land of the Rising Sun
Tuttle Publishing
[32]
서적
Breve historia de los samuráis
Nowtilus S.L.
[33]
웹사이트
Felice Beato Execution 1868 (ca)
http://www.luminous-[...]
2001-06-28
[34]
웹사이트
Martyrs List
http://www1.bbiq.jp/[...]
Twenty-Six Martyrs Museum
2010-01-10
[35]
웹사이트
Saint of the Day: St. Paul Miki and Companions
https://aleteia.org/[...]
2022-02-06
[36]
서적
Bushido: The Warrior's Code
https://www.gutenber[...]
Ohara Publications
[37]
harvp
[38]
웹사이트
Bushido: Military and Modern Socio-Cultural Significance
https://www.studocu.[...]
2018-09-14
[39]
서적
Bushido the Way of the Warrior Paperback
Magna Books
[40]
웹사이트
Samurai groups and farming villages
https://www.britanni[...]
[41]
학술지
Figures du samouraï dans l'histoire japonaise: Depuis Le Dit des Heiké jusqu'au Bushidô
https://www.cairn.in[...]
2008
[42]
서적
Kamakura-jidai
https://books.google[...]
[43]
서적
Warrior Rule in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harvnb
[45]
웹사이트
Encyclopaedia of Asian civilizations
https://www.worldcat[...]
[46]
harvnb
[47]
harvnb
[48]
서적
Flashing Steel: Mastering Eishin-Ryu Swordsmanship, 2nd edition
Blue Snake Books
[49]
웹사이트
Japanese Religions
https://spice.fsi.st[...]
[50]
서적
Curators of the Buddha
[51]
학술지
Bushidō in its Formative Period
1952
[52]
웹사이트
Kamakura and Nanbokucho Periods (1185–1392)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53]
뉴스
Imperial Japan saw itself as a 'warrior nation' – and the idea lingers today
http://theconversati[...]
The Conversation
2017-12-22
[54]
서적
Japan in the Days of the Samurai (Cultures of the Past)
Benchmark Books
[55]
서적
Japanese Proverbs and Saying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56]
서적
Bushido Zensho
[57]
서적
A History of Japanese Political Thought, 1600–1901
LTCB International Library Trust, International House of Japan
[58]
서적
Japanese Tokko Soldiers and Their Jisei
[59]
학술지
Notes on the Gunki or Military Tales: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the Impact of War on Folk Literature in Premodern Japan
https://scholarsarch[...]
1980-04-01
[60]
서적
Ideals of the Samurai: Writings of Japanese Warriors
Kodansha
[61]
학술지
Xavier and Tanegashima
1974
[62]
편지
https://sourcebooks.[...]
1552
[63]
서적
The life and letters of St. Francis Xavier
https://books.google[...]
Burns and Oates
[64]
웹사이트
A Samurai's Collection of Human Heads
https://www.youtube.[...]
Smithsonian Channel
2014-03-25
[65]
서적
Samurai The Story of Japan's Great Warriors
Prc Publishing Ltd
[66]
서적
[67]
웹사이트
Tokugawa shogunate
http://www.samuraima[...]
[68]
웹사이트
Bushido
https://www.treccani[...]
[6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Vol. 4: Early Modern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70]
서적
Bonds of civility : aesthetic networks and the political origins of Japanese culture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71]
서적
Battles of the Samurai
Arms and Armour Press
[72]
서적
The Japanese Political Thought of Uchimura Kanzō (1861–1930): Synthesizing Bushidō, Christianity, Nationalism, and Liberalism
https://books.google[...]
Edwin Mellen Press
[73]
서적
Samurai Wisdom: Lessons from Japan's Warrior Culture; Five Classic Texts on Bushido
Tuttle Publishing
[74]
서적
武士道の倫理 山鹿素行の場合
麗澤大学出版会
2006
[75]
인물
Showa Women's University Professor Akio Fukasawa (昭和女子大教授・深沢秋男)
[76]
웹사이트
Master Swordsman Miyamoto Musashi: The Man Behind The Book of Five Rings
https://www.nippon.c[...]
2019-07-25
[77]
서적
Re-Understanding Japan: Chinese Perspectives 1895–1945
University of Hawai'i Press
[78]
서적
The Samurai Series: The Book of Five Rings, Hagakure -The Way of the Samurai & Bushido – The Soul of Japan
ELPN Press
2006-11
[79]
서적
Soldiers of the Sun: The Rise and Fall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
[80]
서적
「日本人」という、うそ: 武士道精神は日本を復活させるか (ちくま文庫) Paperback Bunko
Chikuma Shobō
2015-10
[81]
서적
The Taming of the Samurai: Honorific Individualism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Harvard University Press
[82]
서적
Bushidō no gyakushū
Kōdansha
[83]
서적
Riben lun
Guangming Ribao Chuban She
[84]
논문
Bushidō or Bull? A Medieval Historian's Perspective on the Imperial Army and the Japanese Warrior Tradition
http://ejmas.com/jal[...]
1994-05
[85]
서적
Chūgoku ni okeru Nihon rikai no issokumen—'Bushidō'wo megutte
Kyōto Sangyō Daigaku ronshū: jinbun kagaku keiretsu, no. 46
2013
[86]
서적
Bushido et les conférences de Yamaoka Tesshu
Tokyo Koyûkan
[87]
서적
Bushido shi jûkô
Tokyo Meguro Shoten
[88]
서적
Inventing the Way of the Samurai: Nationalism, Internationalism, and Bushido in Modern Japan
https://www.amazon.c[...]
Oxford University Press
[89]
웹사이트
瘠我慢の説
http://www.aozora.jp[...]
[90]
웹사이트
许介鳞:日本「武士道」揭谜 (Japanese "Bushido" the mysteries exposed)
http://www.peacehall[...]
[91]
웹사이트
许介鳞:日本「武士道」揭谜
http://www.peacehall[...]
[92]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93]
웹사이트
Ogasawara Ritual Law
http://www.ogasawara[...]
[94]
참고문헌
[95]
웹사이트
No Surrender: Background History
http://www.wanpela.c[...]
[96]
웹사이트
Japan: No Surrender in World War Two
https://www.bbc.co.u[...]
[97]
서적
War Without Mercy: Race & Power in the Pacific War
[98]
서적
Why the Allies Won
[99]
서적
Tojo The Last Banzai
Da Capo Press
[100]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01-09-04
[101]
웹사이트
Bunker Hill CV-17
http://www.navsource[...]
[102]
서적
The Rising Sun: The Decline and Fall of the Japanese Empire 1936-1945
Random House
[103]
서적
The Rising Sun: The Decline and Fall of the Japanese Empire 1936–1945
Random House
[104]
서적
June 1944
https://archive.org/[...]
Blandford Press
[105]
서적
Military Trials of War Criminals in the Netherlands East Indies 1946–1949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106]
서적
Bushido: The Soul of Japan
Axiom Publishing
[107]
harvnb
[108]
서적
Bushido according to Shibusawa Eiichi: The Analects and Business and Samurais in the World
Amazon.com
[109]
웹사이트
Tokyo governor tearful when paying respects to late Taiwan president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20-08-06
[110]
뉴스
再發"參拜靖國神社"論 李登輝媚日情結大起底
http://tw.news.china[...]
兩岸網
2010-11-03
[111]
서적
「武士道」解題〔小学館文庫〕: ノーブレス・オブリージュとは ("Bushidō" kaidai : nōburesu oburīju to wa)
Shogakukan (小学館)
2006-04-06
[112]
harvnb
[113]
harvnb
[114]
harvnb
[115]
서적
Modern Bushido: Living a Life of Excellence
[116]
학술지
Kata – The true essence of Budo martial arts?
2016-06-25
[11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GACKT
http://www.jame-worl[...]
JaME World
2011-09-28
[118]
웹사이트
Gackt Speaks In This Exclusive 'Bunraku' Clip And Interview!
http://www.mtv.com/n[...]
MTV
2011-09-29
[119]
웹사이트
Samurai Spirit Still Animates Japan
https://www.nippon.c[...]
2011-12-06
[120]
서적
The Making of Modern Japan
Harvard University Press
[121]
웹사이트
Japan Self-Defense Force | Defending Japan
http://defendingjapa[...]
Defendingjapan.wordpress.com
[122]
웹사이트
Exercise Bushido Guardian comes to an end
https://www.defencec[...]
2019-10-14
[123]
서적
戦う者たちへ (日本の大義と武士道)
並木書房
2015-08-31
[124]
웹사이트
自衛隊よ、武士道に入れあげていると破滅するぞ (Self-Defense Forces, if you put it in Bushido, it will be ruined)
https://jbpress.isme[...]
2017-03-08
[125]
웹사이트
Bushido
https://www.britanni[...]
[126]
서적
The Code of the Samurai: A Modern Translation of the Bushido Shoshinshu of Taira Shigesuke
Tuttle
1999-09-15
[127]
웹사이트
ospreysamurai.com
http://www.ospreysam[...]
[128]
서적
Training the Samurai Mind: A Bushido Sourcebook
Shambhala
2008-05
[129]
서적
Modern Japan: A Historical Survey, Third Edition
Westview Press
2001-01
[130]
서적
Atsumori
[131]
서적
Technology and Industrial Development in Japan
Oxford University Press
[132]
웹사이트
Nitobe Inazo
https://wiki.samurai[...]
[133]
웹사이트
Monumenta Nipponica
http://monumenta.cc.[...]
[134]
일반
[135]
일반
[136]
웹사이트
弓馬の道とは
https://kotobank.jp/[...]
[137]
서적
日本古学派之哲学
冨山房
[138]
서적
山鹿語録
[139]
서적
武士道の倫理 山鹿素行の場合
麗澤大学出版会
[140]
일반
[141]
웹사이트
佐賀大学電子図書館 貴重書コレクション 葉隠
http://www.dl.saga-u[...]
[142]
서적
Bushido: The Soul of Japan
http://www.gutenberg[...]
[143]
웹사이트
グーテンベルク・プロジェクトの新渡戸稲造 『武士道』(英文)
http://www.gutenberg[...]
[144]
웹사이트
武士道 / 新渡戸稲造著,桜井彦一郎訳
{{NDLDC|758905/1}}
[145]
서적
武士道
岩波書店
[146]
간행물
近代国家日本が創り出した武士道
関西大学 准教授
2010-10
[147]
뉴스
왜색논란 휩싸인 트랜스포머, '안티 바람'
http://www.newdaily.[...]
2009-06-12
[148]
서적
「武士道」解題―ノーブレス・オブリージュとは
小学館
2003-03-01
[149]
뉴스
台湾が感動した安倍総理の友人発言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2013-05
[150]
웹사이트
髙橋昌明『武士の成立 武士像の創出』書評
https://www5a.biglob[...]
[151]
웹사이트
菅野覚明『武士道の逆襲』書評
http://www1.odn.ne.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