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GSL)는 곰TV가 주최하고 운영한 스타크래프트 II e스포츠 리그로, 2010년 8월에 개최 계획이 발표되어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진행되었다. GSL은 2010년 총 상금 2억 원, 우승 상금 1억 원으로 시작하여 세계 최초의 스타크래프트 II 공식 리그라는 점과 한국e스포츠협회와의 중계권 갈등으로 인한 참여 선수 제한 등의 문제로 주목받았다. GSL은 2011년부터 GSL 스폰서십, 슈퍼 토너먼트, 월드 챔피언십, 블리자드 컵, GSTL 등의 다양한 형태로 대회를 진행했으며, 2014년부터는 WCS Korea의 역할을 수행했다. GSL은 2015년부터 SPOTV의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SSL)와 함께 병행 운영되었으며, 2016년까지 리그가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숲 (기업) - 프릭 업 스튜디오
    프릭 업 스튜디오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e스포츠 경기 및 방송 제작 스튜디오로, 곰TV 스튜디오에서 시작하여 아프리카TV에 인수된 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다양한 e스포츠 대회가 개최되고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와 아프리카TV 스타리그가 진행 중이다.
  • 숲 (기업) - 숲코리아
    숲코리아는 2005년 'W'로 시작해 2007년 아프리카TV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온라인 플랫폼으로, 2024년 글로벌 시장 확장을 목표로 SOOP으로 플랫폼명을 변경했지만, 서비스 확장 과정에서 선정성, 승부조작, 갑질 논란, 운영 미숙, 데이터 유출 등 여러 비판과 사건 사고를 겪었다.
  • 2010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청소년 올림픽
    청소년 올림픽은 15~18세 선수들이 참가하는 국제 스포츠 대회로, 올림픽 정신 함양과 미래 올림픽 선수 육성을 목표하며 하계·동계 대회로 나뉘어 4년마다 개최되고 문화·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국제적 교류와 올림픽 가치 교육을 강조한다.
  • 2010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AFC 풋살 클럽 챔피언십
    AFC 풋살 클럽 챔피언십은 아시아 최강 풋살 클럽을 가리는 대회로, 2010년 시작하여 코로나19 범유행 기간을 제외하고 매년 개최되며, 나고야 오션스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이란이 국가별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며, 최우수 선수, 득점왕, 페어플레이상 등 개인상도 수여된다.
  •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진행된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GSTL)는 한국 및 해외 팀들이 참여한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로, 단기 이벤트에서 시즌제로 전환되었으며 마지막 시즌은 Axiom-Acer가 우승했다.
  •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 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ch
    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ch는 2011년 2월부터 3월까지 진행된 GSL 세 번째 시즌으로, Code S와 Code A 리그 및 승강전으로 구성되어 장민철과 황강호가 각각 우승했으며, 곰TV 등 다양한 채널에서 한국어와 영어 중계로 방송되었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기본 정보
스포츠e스포츠 (스타크래프트 II)
게임스타크래프트 II: 공허의 유산
TG-인텔 오픈 시즌 1 ~ 2013 핫식스 시즌 1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망고식스 GSL ~ 2015 핫식스 시즌 3 (스타크래프트 II: 군단의 심장)
2016 핫식스 시즌 1 ~ (스타크래프트 II: 공허의 유산)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로고
창립일2010년 9월
주최 국가대한민국
웹사이트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공식 웹사이트
운영 및 관리
설립자정찬용
주관사곰TV (2010 ~ 2013)
곰exp (2014 ~ 2015)
아프리카TV (2016 ~ )
리그 정보
참가자 수코드 S 20명
최근 시즌 우승자강민수 (2023 시즌 3)
최다 우승자조성주 (8회)
이전 정보
가장 많은 챔피언조성주 (8회)

2. 리그 개막까지의 과정

2006년 12월부터 2008년 3월까지 MBC게임 스타리그를 후원한 곰TV는 2008년 2월부터 3월까지 XNOTE-인텔센트리노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을 개최하였으며, 2008년 4월부터 2009년 8월까지 곰TV 자체 스타크래프트 리그인 곰TV 클래식을 개최하였다.[28] 2010년 2월 18일 스타크래프트 II의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시작되었고, 곰TV는 5월 27일 블리자드와 블리자드 게임들의 e스포츠 방송에 대한 독점 계약을 체결하였다. 2010년 7월 27일 스타크래프트 II가 발매되고, 이어서 8월 5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의 개최와 운영계획을 발표한다.[29]

총 상금 2억원, 우승 상금 1억원이라는 e스포츠 사상 최대의 상금 규모는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며, 세계 최초의 스타크래프트 II 공식 리그였다. 하지만 한국e스포츠협회와의 중계권 갈등으로 인해 협회 소속 프로게이머들의 리그 참여가 불가능해 반쪽짜리 리그라는 우려를 받기도 했다. (리그에 참여하기 위해 이윤열, 임요환 등은 한국e스포츠협회를 탈퇴해야 했다.)[30] 리그 중계를 합의했던 온게임넷이 리그 개막 직전 중계를 포기하여, 게임 전문 채널이 아닌 곰TV 인터넷 방송, 연예 전문 채널 ETN, IPTV인 쿡TV로만 방송되었다. 해외 시청을 위한 시즌 티켓 가격이 비싸고 고화질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었다.[31]

3. 2010 GSL Pre-Season

2011년부터 진행되는 GSL 정규 투어에 앞서 선수들의 등급을 결정하기 위해 2010년에 3개의 시즌이 펼쳐졌다. 본선 진출자에게는 본선 성적에 따라 포인트를 부여하고, 포인트 랭킹에 따라 2011 정규 투어에서 코드 S와 코드 A 두 등급으로 나누어 참여하게 했다. 오픈 대회라는 취지에 맞게 만 12세 이상이면 누구나 대회에 참여할 수 있었다.[2]

첫 번째 리그인 TG삼보-인텔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1의 오프라인 예선전에는 2000여 명의 게이머가 참여했으며, 김원기가 당시 밸런스상으로 가장 불리하다는 평가를 받던 저그 종족으로 우승을 차지하며 큰 화제가 되었다. 결승전 당시 비가 오는 악조건 속에서도 3500여 명의 관객이 모였으며, 결승전 VOD는 사흘 만에 조회수 50만을 돌파하며 스타크래프트 II 리그의 흥행 가능성을 보였다.[33]

두 번째 리그인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2의 오프라인 예선전에는 전 대회보다 500여 명 더 많은 2500여 명의 게이머가 참가를 신청하여 예선전 일정이 4일로 연장되기도 했다. 박성준, 이윤열, 임요환 등 유명 스타크래프트 1 프로게이머들이 대회 참여를 밝히며 큰 화제가 되었고, 임요환이 출전한 64강전 경기에 시청자가 몰리며 방송 송출이 중단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날 총 생중계 시청자 수는 77만 4866명을 기록했다. 11월 13일에 벌어진 결승전에서 임재덕이정훈을 4대 3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세 번째 리그인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3에서 2011년 GSL 투어의 코드 S 선수와 코드 A 선수가 확정되었다. 인천광역시의 후원으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된 결승전에서 장민철박서용을 4대 1로 꺾으며 2010년의 마지막 오픈 리그를 프로토스의 우승으로 마무리 지었다.

4. 2011 GSL 투어

2011년 GSL은 GSL 스폰서십, 슈퍼 토너먼트, 월드 챔피언십, 블리자드 컵, GSTL의 5가지 형태의 대회로 구성되었다.[35]

2011년 GSL의 정규 리그는 코드 S와 코드 A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코드 S는 상위 32명의 선수로 구성된 최상위 리그였고, 코드 A는 그 다음 32명의 선수로 구성된 하위 리그였다. 코드 S 우승자는 GSL 챔피언으로 등극했다.

초기에는 코드 A 우승자가 자동적으로 코드 S에 진출했지만, 2011년 11월 시즌부터는 코드 A 우승자 대신 코드 S 토너먼트 진출자로 변경되었다. 코드 S에서 패배한 선수는 즉시 코드 A로 강등되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이 도입되었다.[3],[4]

경기는 강남구에 있는 GOMtv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강남구에 있는 GOMtv 스튜디오


2011년에 열린 GSL 정규 시즌, 월드 챔피언십, 슈퍼 토너먼트, 블리자드 컵의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연도토너먼트 이름우승자결승 결과준우승자
2011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1월정 "Mvp" 종현 (IM) (테란)4 - 0이 "MarineKing" 정훈 (Prime) (테란)
2011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3월장 "MC" 민철 (oGs) (프로토스)4 - 1박 "July" 성준 (ST) (저그)
2011LG 시네마 3D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5월임 "NesTea" 재덕 (IM) (저그)4 - 0송 "InCa" 준혁 (oGs) (프로토스)
2011펩시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7월임 "NesTea" 재덕 (IM) (저그)4 - 0황 "LosirA" 강호 (IM) (저그)
2011펩시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8월정 "MVP" 종현 (IM) (테란)4 - 1김 "TOP" 정훈 (oGs) (테란)
2011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10월문 "MMA" 성원 (SlayerS) (테란)4 - 1정 "Mvp" 종현 (IM) (테란)
2011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11월정 "jjakji" 지훈 (NSHoSeo) (테란)4 - 2이 "Leenock" 동녕 (FXO) (저그)
2011LG 시네마 3D 월드 챔피언십 서울정 "Mvp" 종현 (IM) (테란)4 - 2이 "MarineKing" 정훈 (Prime) (테란)
2011LG 시네마 3D GSL 슈퍼 토너먼트최 "Polt" 성훈 (Prime) (테란)4 - 0문 "MMA" 성원 (SlayerS) (테란)
20112011 블리자드 컵문 "MMA" 성원 (SlayerS) (테란)4 - 3박 "DongRaeGu" 수호 (MVP) (저그)


4. 1. GSL 스폰서십

2011 GSL은 GSL 스폰서십, 슈퍼 토너먼트, 월드 챔피언십, 블리자드 컵, GSTL의 5가지 형태의 대회로 구성되었다.[35]

2011 GSL은 1년간 총 7회 개최되는 대회를 근간으로, 상위 32명은 코드 S, 차순위 32명은 코드 A로 구분되었다.

  • '''코드 S'''
  • 상반기[36]: 32명의 선수들이 4인 1조로 8개 조를 이루어 풀리그를 통해 각 조 1~4위를 결정했다. 각 조 1, 2위는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하고, 3, 4위는 승격/강등전에 출전했다. 8강 진출자는 차기 시즌 시드를 받았다. 16강은 3전 2선승제, 8강, 4강은 5전 3선승제, 결승전은 7전 4선승제로 진행되었다.[37]
  • 하반기[38]: 32명의 선수들이 4인 1조로 8개 조를 이루어 듀얼토너먼트를 통해 각 조 1~4위를 결정했다. 각 조 1, 2위는 16강 토너먼트에 진출, 각 조 3위는 잔류, 4위는 승격/강등전에 출전했다. 16강 이후 방식은 상반기와 동일했다.

  • '''코드 A'''
  • 상반기[36]: 32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32강~4강은 3전 2선승제, 결승전은 7전 4선승제로 진행되었다. 상위 8위는 코드 S로 승격하기 위한 승격/강등전에 출전했다. 하위 16위는 코드 A에 잔류, 나머지 하위 32위는 코드 A 최종예선에 출전했다.[39]
  • 하반기[38]: 상반기와 동일하나, 우승자는 코드 S로 직행하고, 나머지 7명이 승격/강등전에 출전했다.

  • '''코드 B'''
  • 코드 B는 코드 A 최종예선전 참가를 위한 대회였다. 전 세계 모든 게이머가 참가 가능하며, 상위 172명이 코드 A 최종예선전에 진출했다. 해외 선수들은 래더 점수와 상관없이 코드 A 최종예선전에 참가 가능했다.[40]

  • '''승격/강등전'''
  • 상반기[36]: 코드 S 32강 탈락자(16명)와 코드 A 8강 진출자(8명) 총 24명이 출전했다. 코드 S 선수와 코드 A 선수가 3인 1조를 이루어 대결, 코드 S 조 3위와 코드 A 선수가 경기를 치렀다. 승자는 코드 S, 패자는 코드 S 조 4위와 경기를 치러 승자는 코드 S, 패자는 코드 A로 직행했다. 모든 경기는 3전 2선승제, 코드 A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대전 상대 지명권을 가졌다. 나머지 6조는 무작위로 결정되었다.
  • 하반기[38]: 코드 S 32강 각 조 4위(8명)와 코드 A 8강 진출자(7명) 총 15명이 출전했다. 코드 S 선수와 코드 A 선수가 5인 1조를 이루어 풀리그로 경기, 모든 경기는 단판, 각 조는 코드 S 3명과 코드 A 2명으로 구성되었다.[41] 상위 2명은 코드 S, 하위 3명은 코드 A로 직행했다.

  • '''코드 A 최종예선전'''
  • 코드 A 17~32위(16명), 코드 B 상위 172명, 해외 게이머 4명이 참가하여 192명이 토너먼트로 진행, 진출자들은 차기 코드 A에 진출했다. 92명씩 2개조로 진행, 2주 전 참가 신청을 해야 했다.

4. 2. 슈퍼 토너먼트

GSL 슈퍼 토너먼트는 코드 S와 코드 A 선수 모두 참가하는 대회로, 일부 해에 주최측이 사이드 이벤트로 개최했다. 2010년 슈퍼 토너먼트는 2억 2백만 한국 원의 상금을 걸고 64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참가자는 연간 GSL 포인트를 합산하여 결정되었다.[11] 2011년과 2017년부터 2022년까지도 슈퍼 토너먼트가 열렸다.

연도대회명우승자결승 결과준우승자
2011LG 시네마 3D GSL 슈퍼 토너먼트최 "Polt" 성훈 (Prime) (테란)4 - 0문 "MMA" 성원 (SlayerS) (테란)
20172017 HOT6 GSL 슈퍼 토너먼트 I김 "herO" 준호 (ROOT Gaming) (프로토스)4 - 2한 "aLive" 이석 (mYinsanity) (테란)
2017 HOT6 GSL 슈퍼 토너먼트 II이 "Rogue" 병렬 (Jin Air Green Wings) (저그)4 - 3김 "herO" 준호 (ROOT Gaming) (프로토스)
20182018 GSL 슈퍼 토너먼트 I김 "Stats" 대엽 (Splyce) (프로토스)4 - 3박 "Dark" 령우 (저그)
2018 GSL 슈퍼 토너먼트 II김 "Classic" 도우 (The Gosu Crew) (프로토스)4 - 3김 "sOs" 유진 (JinAir Greenwings) (프로토스)
20192019 GSL 슈퍼 토너먼트 I김 "Classic" 도우 (프로토스)4 - 1고 "GuMiho" 병재 (PSISTORM Gaming) (테란)
2019 GSL 슈퍼 토너먼트 II박 "Dark" 령우 (저그)4 - 0변 "TY" 태양 (Splyce) (테란)
20202020 아프리카TV GSL 슈퍼 토너먼트 I조 "Maru" 성주 (Jin Air Green Wings) (테란)4 - 3박 "Dark" 령우 (Dragon Phoenix Gaming) (저그)
2020 아프리카TV GSL 슈퍼 토너먼트 II조 "Trap" 성호 (프로토스)4 - 3김 "Stats" 대엽 (Afreeca Freecs) (프로토스)
20212021 아프리카TV GSL 슈퍼 토너먼트 I조 "Trap" 성호 (Afreeca Freecs) (프로토스)4 - 2박 "Zoun" 한솔 (Alpha X) (프로토스)
2021 아프리카TV GSL 슈퍼 토너먼트 II조 "Trap" 성호 (Afreeca Freecs) (프로토스)4 - 2박 "Zoun" 한솔 (Alpha X) (프로토스)
20222022 아프리카TV GSL 슈퍼 토너먼트 I주 "Zest" 성욱 (Dragon Phoenix Gaming) (프로토스)4 - 3박 "Dark" 령우 (Dragon Phoenix Gaming) (저그)
2022 아프리카TV GSL 슈퍼 토너먼트 II강 "Solar" 민수 (ONSYDE Gaming) (저그)4 - 3박 "Dark" 령우 (Dragon Phoenix Gaming) (저그)



대회는 5월에 개최되며, 64강부터 16강까지는 3전 2선승제, 8강과 4강은 5전 3선승제, 결승은 7전 4선승제로 진행된다.

4. 3. 월드 챔피언십

2011년 3월에 개최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스타크래프트 II 대회이다. 한국 대표 8명, 대만과 중국 대표 2명, 북미 대표 3명, 유럽 대표 3명(러시아 1명, 기타 유럽 2명)으로 구성된 총 16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16강 풀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35]

연도토너먼트 이름우승자결승 결과준우승자
2011LG 시네마 3D 월드 챔피언십 서울정 "Mvp" 종현 (IM) (테란)4 - 2이 "MarineKing" 정훈 (Prime) (테란)
20172017 GSL vs. the World이 "INnoVation" 신형 (테란)4 - 0변 "TY" 태양 (Splyce) (테란)
20182018 GSL vs. the World요나 "Serral" 소탈라 (ENCE eSports) (저그)4 - 3김 "Stats" 대엽 (Splyce) (프로토스)
20192019 GSL vs. the World요나 "Serral" 소탈라 (저그)4 - 2미코와이 "Elazer" 오고노프스키 (저그)


4. 4. 블리자드 컵

블리자드 컵은 1년간의 GSL 포인트 랭킹 상위 3명과 해외 메이저 7개 대회 우승자 7명을 초청하여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중복 선수가 있을 경우에는 GSL 포인트 랭킹에 따라 해당 자리를 채울 선수가 결정되었다.[2]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블리자드 컵이 개최되었다.

연도토너먼트 이름우승자결승 결과준우승자
20112011 블리자드 컵문 "MMA" 성원 (SlayerS) (테란)4 - 3박 "DongRaeGu" 수호 (MVP) (저그)
20122012 블리자드 컵이 "Life" 승현 (StarTale) (저그)4 - 2원 "PartinG" 이삭 (StarTale) (프로토스)
20132013 HOT6 컵정 "Rain" 윤종 (SKT T1) (프로토스)4 - 2김 "Soulkey" 민철 (웅진 Stars) (저그)
20142014 HOT6 컵김 "sOs" 유진 (JinAir Greenwings) (프로토스)4 - 1이 "MarineKing" 정훈 (MVP) (테란)


5. 2012 GSL 투어

2012년 GSL은 GSL 스폰서십, 블리자드 컵, GSTL의 3가지 형태의 대회로 구성되었다.[2]

2012년 투어는 토너먼트 형식을 약간 변경하여 시즌이 더 길어졌다. 시즌이 연장됨에 따라, 그 해에는 5개의 GSL 토너먼트만 열렸다.[5]

연도토너먼트 이름우승자결승 결과준우승자
20122012 Hot6ix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박 "DongRaeGu" 수호 (MVP) (저그)4 - 2정 "Genius" 민수 (MVP) (프로토스)
20122012 Hot6ix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정 "MVP" 종현 (LG-IM) (테란)4 - 3박 "Squirtle" 현우 (StarTale) (프로토스)
20122012 몽쉐어 J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안 "Seed" 상원 (LG-IM) (프로토스)4 - 1장 "MC" 민철 (SK Gaming) (프로토스)
20122012 Hot6ix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4이 "Life" 승현 (StarTale) (저그)4 - 3정 "MVP" 종현 (LG-IM) (테란)
20122012 Hot6ix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5권 "Sniper" 태훈 (MVP) (저그)4 - 3고 "Hyun" 석현 (TSL) (저그)
20122012 블리자드 컵이 "Life" 승현 (StarTale) (저그)4 - 2원 "PartinG" 이삭 (StarTale) (프로토스)


  • 2012 Hot6ix GSL 시즌 5는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IPL 5에서 열렸다.

6. 2013 GSL 투어

2013년 GSL은 GSL 스폰서십, 핫식스컵, GSTL의 3가지 형태의 대회로 구성되었다.[35] 기존의 블리자드 컵은 핫식스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2013년 스타크래프트 II 국내 리그 우승자 및 준우승자들이 참가했다.

2013년, GSL과 온게임넷 스타리그(OSL)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WCS)의 한국 예선 리그를 "WCS 코리아"라는 이름으로 공동 운영했다.[6]

연도토너먼트 이름우승자결승 결과준우승자
20132013 Hot6ix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신 "RorO" 노열 (삼성 KHAN) (저그)4 - 2강 "Symbol" 동현 (AZUBU) (저그)
20132013 WCS 코리아 시즌 1 MANGOSIX GSL김 "Soulkey" 민철 (웅진 Stars) (저그)4 - 3이 "INnoVation" 신형 (STX SouL) (테란)
20132013 WCS 코리아 시즌 3 JOGUNSHOP GSL백 "Dear" 동준 (SouL) (프로토스)4 - 2어 "soO" 윤수 (SK Telecom T1) (저그)
20132013 HOT6 컵정 "Rain" 윤종 (SKT T1) (프로토스)4 - 2김 "Soulkey" 민철 (웅진 Stars) (저그)


7. 2014 GSL 투어

2014년에는 WCS Korea가 GSL로 일원화되면서, WCS 코리아라는 명칭은 사라지고 GSL이라는 명칭만 사용하게 되었다. 또한, WCS 시즌 파이널과 블리자드컵이 폐지되었고, GSL 스폰서십 글로벌 대회와 핫식스컵이 개최되었다.[7]

새로운 GSL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 '''코드 A'''
  • 48강에서 패배하면 예선으로 탈락한다.
  • 48강 각 조 1, 2위는 코드 S로 직행한다.
  • 승강전은 폐지되었다.
  • '''코드 S'''
  • 16강까지 탈락자는 다음 시즌 코드 A로 강등된다.
  • 8강 진출자는 다음 시즌 코드 S에서 시작한다.
  • '''예선전'''
  • 전 세계 모든 게이머가 참가 가능하다.
  • 예선 상위 24명이 코드 A에 진출한다.


연도토너먼트 이름우승자결승 결과준우승자
20142014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주 "Zest" 성욱 (KT Rolster) (프로토스)4 - 3어 "soO" 윤수 (SKT T1) (저그)
20142014 HOT6 GSL 글로벌 토너먼트주 "Zest" 성욱 (KT Rolster) (프로토스)4 - 3원 "PartinG" 이삭 (SKT T1) (프로토스)
20142014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김 "Classic" 도우 (SKT T1) (프로토스)4 - 2어 "soO" 윤수 (SKT T1) (저그)
20142014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이 "INnoVation" 신형 (SKT T1) (테란)4 - 2어 "soO" 윤수 (SKT T1) (저그)
20142014 HOT6 컵김 "sOs" 유진 (JinAir Greenwings) (프로토스)4 - 1이 "MarineKing" 정훈 (MVP) (테란)


8. 2015 GSL 투어

2015년, GSL과 SPOTV가 새롭게 설립한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SSL)는 대한민국에서 프로 경기의 중심으로서 서로 병행하여 운영되었다. 각 리그는 한 해 동안 세 시즌을 진행하여 총 6개의 개인 리그 시즌이 열렸다.[8]

연도회차리그 명칭우승자경기 결과승패 현황준우승자
2015262015 GSL 시즌 1이승현4 : 3승승패승패패승원이삭
2015272015 스베누 GSL 시즌 2정윤종4 : 1승패승승승한지원
2015282015 핫식스 GSL 시즌 3이신형4 : 2패승승패승승한지원


9. 2016 GSL 투어

GSL과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SSL)는 2016년에도 대한민국에서 병행 리그로 운영되었다.[9] 각 리그는 한 해 동안 두 시즌을 진행하여 총 4개의 개인 리그 시즌이 열렸으며, 각 리그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시즌의 결승 진출자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시즌 크로스 파이널 이벤트에서 경기를 치렀다.[9] WCS 2016을 위한 GSL 첫 번째 시즌에 앞서 두 개의 GSL 프리 시즌 토너먼트가 열렸으며, 각 토너먼트의 우승자는 메인 대회에 시드를 부여받았다.[10]

연도토너먼트 이름우승자결승 결과준우승자
20162016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주 "Zest" 성욱 (KT Rolster) (프로토스)4 - 2변 "TY" 태양 (KT Rolster) (테란)
20162016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변 "ByuN" 현우 (테란)4 - 1김 "sOs" 유진 (JinAir Greenwings) (프로토스)


10. 블리자드 컵 (2011, 2012)

2011년과 2012년에 블리자드 컵이 개최되었다. 1년간의 GSL 포인트 랭킹 상위 3명과 해외 메이저 7개 대회 우승자 7명을 초청하여 총 10명의 선수가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했다. 중복 선수가 있을 경우에는 GSL 포인트 랭킹에 따라 선수를 결정했다.[2]

11. GSL vs. the World

GSL vs. the World는 매년 개최되는 이벤트로, 한국을 제외한 세계 상위 8명의 선수와 한국 상위 8명의 선수가 대결하는 대회이다. 이 대회는 한국 대 세계 팀 토너먼트와 16강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된다.

12. 해설

영어 해설 방송은 수년 동안 댄 "아르토시" 스템코스키와 닉 "테이스테이" 플롯이 담당했으며, 이 조합은 "테이스토시스"로 알려졌다. 이들은 토너먼트의 주요 흥행 요소로 여겨졌으며, 영어권 시장에서 e스포츠 해설의 새로운 기준을 세우는 데 기여했다. 이들은 "팬들이 가장 좋아하는 해설자"로 칭찬받았으며, 그들의 해설은 이 분야에서 상징적인 것으로 평가받았다. 아르토시(Artosis)는 2022년 10월 2022 GSL S3 결승전을 마지막으로 한국을 떠나 캐나다로 이주했다.[14] 2023년부터 현재까지는 테이스테이(Tasteless)와 라이언 "스테이트" 비스벡(Ryan "State" Visbeck)이 해설을 맡고 있다.

13. 역대 결승전

width="15"|정규 시즌bgcolor=#98fb98 width="15"|월드 챔피언십bgcolor=#87cefa width="15"|슈퍼 토너먼트bgcolor=#f5deb3 width="15"|블리자드/HOT6 컵bgcolor=#add8e6 width="15"|오픈 시즌



연도토너먼트 이름우승자결승 결과준우승자
2010TG-인텔 스타크래프트 II 오픈 시즌1김 "Fruitdealer" 원기 (TSL) (저그)4 - 1김 "Rainbow" 성제 (ST) (테란)
2010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오픈 시즌2임 "NesTea" 재덕 (IM) (저그)4 - 3이 "MarineKing" 정훈 (Prime) (테란)
2010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오픈 시즌3장 "MC" 민철 (oGs) (프로토스)4 - 1박 "Rain" 서용 (TSL) (테란)
2011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1월정 "Mvp" 종현 (IM) (테란)4 - 0이 "MarineKing" 정훈 (Prime) (테란)
2011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3월장 "MC" 민철 (oGs) (프로토스)4 - 1박 "July" 성준 (ST) (저그)
2011LG 시네마 3D 월드 챔피언십 서울정 "Mvp" 종현 (IM) (테란)4 - 2이 "MarineKing" 정훈 (Prime) (테란)
2011LG 시네마 3D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5월임 "NesTea" 재덕 (IM) (저그)4 - 0송 "InCa" 준혁 (oGs) (프로토스)
2011LG 시네마 3D GSL 슈퍼 토너먼트최 "Polt" 성훈 (Prime) (테란)4 - 0문 "MMA" 성원 (SlayerS) (테란)
2011펩시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7월임 "NesTea" 재덕 (IM) (저그)4 - 0황 "LosirA" 강호 (IM) (저그)
2011펩시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8월정 "MVP" 종현 (IM) (테란)4 - 1김 "TOP" 정훈 (oGs) (테란)
2011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10월문 "MMA" 성원 (SlayerS) (테란)4 - 1정 "Mvp" 종현 (IM) (테란)
2011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11월정 "jjakji" 지훈 (NSHoSeo) (테란)4 - 2이 "Leenock" 동녕 (FXO) (저그)
20112011 블리자드 컵문 "MMA" 성원 (SlayerS) (테란)4 - 3박 "DongRaeGu" 수호 (MVP) (저그)
20122012 Hot6ix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박 "DongRaeGu" 수호 (MVP) (저그)4 - 2정 "Genius" 민수 (MVP) (프로토스)
20122012 Hot6ix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정 "MVP" 종현 (LG-IM) (테란)4 - 3박 "Squirtle" 현우 (StarTale) (프로토스)
20122012 몽쉐어 J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안 "Seed" 상원 (LG-IM) (프로토스)4 - 1장 "MC" 민철 (SK Gaming) (프로토스)
20122012 Hot6ix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4이 "Life" 승현 (StarTale) (저그)4 - 3정 "MVP" 종현 (LG-IM) (테란)
20122012 Hot6ix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5권 "Sniper" 태훈 (MVP) (저그)4 - 3고 "Hyun" 석현 (TSL) (저그)
20122012 블리자드 컵이 "Life" 승현 (StarTale) (저그)4 - 2원 "PartinG" 이삭 (StarTale) (프로토스)
20132013 Hot6ix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신 "RorO" 노열 (삼성 KHAN) (저그)4 - 2강 "Symbol" 동현 (AZUBU) (저그)
20132013 WCS 코리아 시즌 1 MANGOSIX GSL김 "Soulkey" 민철 (웅진 Stars) (저그)4 - 3이 "INnoVation" 신형 (STX SouL) (테란)
20132013 WCS 코리아 시즌 3 JOGUNSHOP GSL백 "Dear" 동준 (SouL) (프로토스)4 - 2어 "soO" 윤수 (SK Telecom T1) (저그)
20132013 HOT6 컵정 "Rain" 윤종 (SKT T1) (프로토스)4 - 2김 "Soulkey" 민철 (웅진 Stars) (저그)
20142014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주 "Zest" 성욱 (KT Rolster) (프로토스)4 - 3어 "soO" 윤수 (SKT T1) (저그)
20142014 HOT6 GSL 글로벌 토너먼트주 "Zest" 성욱 (KT Rolster) (프로토스)4 - 3원 "PartinG" 이삭 (SKT T1) (프로토스)
20142014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김 "Classic" 도우 (SKT T1) (프로토스)4 - 2어 "soO" 윤수 (SKT T1) (저그)
20142014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이 "INnoVation" 신형 (SKT T1) (테란)4 - 2어 "soO" 윤수 (SKT T1) (저그)
20142014 HOT6 컵김 "sOs" 유진 (JinAir Greenwings) (프로토스)4 - 1이 "MarineKing" 정훈 (MVP) (테란)
20152015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이 "Life" 승현 (KT Rolster) (저그)4 - 3원 "PartinG" 이삭 (yoe Flash Wolves) (프로토스)
20152015 SBENU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정 "Rain" 윤종 (mYinsanity) (프로토스)4 - 1한 "ByuL" 지원 (CJ Entus) (저그)
20152015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이 "INnoVation" 신형 (SKT T1) (테란)4 - 2한 "ByuL" 지원 (CJ Entus) (저그)
20162016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주 "Zest" 성욱 (KT Rolster) (프로토스)4 - 2변 "TY" 태양 (KT Rolster) (테란)
20162016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변 "ByuN" 현우 (테란)4 - 1김 "sOs" 유진 (JinAir Greenwings) (프로토스)
20172017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김 "Stats" 대엽 (Splyce) (프로토스)4 - 2어 "soO" 윤수 (저그)
20172017 HOT6 GSL 슈퍼 토너먼트 I김 "herO" 준호 (ROOT Gaming) (프로토스)4 - 2한 "aLive" 이석 (mYinsanity) (테란)
20172017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고 "GuMiho" 병재 (PSISTORM Gaming) (테란)4 - 2어 "soO" 윤수 (저그)
20172017 GSL vs. the World이 "INnoVation" 신형 (테란)4 - 0변 "TY" 태양 (Splyce) (테란)
20172017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이 "INnoVation" 신형 (테란)4 - 3김 "sOs" 유진 (프로토스)
20172017 HOT6 GSL 슈퍼 토너먼트 II이 "Rogue" 병렬 (Jin Air Green Wings) (저그)4 - 3김 "herO" 준호 (ROOT Gaming) (프로토스)
20182018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조 "Maru" 성주 (Jin Air Green Wings) (테란)4 - 2김 "Stats" 대엽 (Splyce) (프로토스)
20182018 GSL 슈퍼 토너먼트 I김 "Stats" 대엽 (Splyce) (프로토스)4 - 3박 "Dark" 령우 (저그)
20182018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조 "Maru" 성주 (Jin Air Green Wings) (테란)4 - 0주 "Zest" 성욱 (프로토스)
20182018 GSL vs. the World요나 "Serral" 소탈라 (ENCE eSports) (저그)4 - 3김 "Stats" 대엽 (Splyce) (프로토스)
20182018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조 "Maru" 성주 (Jin Air Green Wings) (테란)4 - 3변 "TY" 태양 (Splyce) (테란)
20182018 GSL 슈퍼 토너먼트 II김 "Classic" 도우 (The Gosu Crew) (프로토스)4 - 3김 "sOs" 유진 (JinAir Greenwings) (프로토스)
20192019 마운틴 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조 "Maru" 성주 (Jin Air Green Wings) (테란)4 - 2김 "Classic" 도우 (Splyce) (프로토스)
20192019 GSL 슈퍼 토너먼트 I김 "Classic" 도우 (프로토스)4 -1고 "GuMiho" 병재 (PSISTORM Gaming) (테란)
20192019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박 "Dark" 령우 (저그)4 - 2조 "Trap" 성호 (Jin Air Green Wings) (프로토스)
20192019 GSL vs. the World요나 "Serral" 소탈라 (저그)4 - 2미코와이 "Elazer" 오고노프스키 (저그)
20192019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이 "Rogue" 병렬 (Jin Air Green Wings) (저그)4 - 0조 "Trap" 성호 (Jin Air Green Wings) (프로토스)
20192019 GSL 슈퍼 토너먼트 II박 "Dark" 령우 (저그)4 - 0변 "TY" 태양 (Splyce) (테란)
20202020 아프리카TV GSL 슈퍼 토너먼트 I조 "Maru" 성주 (Jin Air Green Wings) (테란)4 - 3박 "Dark" 령우 (Dragon Phoenix Gaming) (저그)
20202020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변 "TY" 태양 (Afreeca Freecs) (테란)4 - 0"Cure" 도욱 (Dragon Phoenix Gaming) (테란)
20202020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이 "Rogue" 병렬 (Jin Air Green Wings) (저그)4 - 1김 "Stats" 대엽 (Afreeca Freecs) (프로토스)
20202020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변 "TY" 태양 (Afreeca Freecs) (테란)4 - 2조 "Maru" 성주 (Jin Air Green Wings) (테란)
20202020 아프리카TV GSL 슈퍼 토너먼트 II조 "Trap" 성호 (프로토스)4 - 3김 "Stats" 대엽 (Afreeca Freecs) (프로토스)
20212021 아프리카TV GSL 슈퍼 토너먼트 I조 "Trap" 성호 (Afreeca Freecs) (프로토스)4 - 2박 "Zoun" 한솔 (Alpha X) (프로토스)
20212021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이 "Rogue" 병렬 (Dragon Phoenix Gaming) (저그)4 - 1조 "Maru" 성주 (Team NV) (테란)
20212021 아프리카TV GSL 슈퍼 토너먼트 II조 "Trap" 성호 (Afreeca Freecs) (프로토스)4 - 2박 "Zoun" 한솔 (Alpha X) (프로토스)
20212021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박 "Dark" 령우 (Dragon Phoenix Gaming) (저그)4 - 1조 "Trap" 성호 (Afreeca Freecs) (프로토스)
20212021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김 "Cure" 도욱 (Dragon Phoenix Gaming) (테란)4 - 2주 "Zest" 성욱 (Dragon Phoenix Gaming) (프로토스)
20222022 아프리카TV GSL 슈퍼 토너먼트 I주 "Zest" 성욱 (Dragon Phoenix Gaming) (프로토스)4 - 3박 "Dark" 령우 (Dragon Phoenix Gaming) (저그)
2022202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이 "Rogue" 병렬 (Dragon Phoenix Gaming) (저그)4 - 2장 "Creator" 현우 (Team NV) (프로토스)
2022202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김 "herO" 준호 (Dragon Phoenix Gaming) (프로토스)4 - 1조 "Maru" 성주 (ONSYDE Gaming) (테란)
2022202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조 "Maru" 성주 (ONSYDE Gaming) (테란)4 - 0신 "RagnaroK" 희범 (AlphaX) (저그)
20222022 아프리카TV GSL 슈퍼 토너먼트 II강 "Solar" 민수 (ONSYDE Gaming) (저그)4 - 3박 "Dark" 령우 (Dragon Phoenix Gaming) (저그)
20232023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조 "Maru" 성주 (ONSYDE Gaming) (테란)4 - 2김 "Cure" 도욱 (Club NV) (테란)
20232023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조 "Maru" 성주 (ONSYDE Gaming) (테란)4 - 2박 "Dark" 령우 (DKZ Gaming) (저그)
20232023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강 "Solar" 민수 (ONSYDE Gaming) (저그)4 - 1고 "GuMiho" 병재 (Cloud9) (테란)
20242024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조 "Maru" 성주 (Team Vitality) (테란)4 - 1김 "herO" 준호 (DKZ Gaming) (프로토스)
20242024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박 "Dark" 령우 (Talon Esports Gaming) (저그)4 - 2조 "Maru" 성주 (Team Vitality) (테란)



Code A 토너먼트는 2011년에만 별도로 개최되었다. 2011년 11월에 형식에 변화가 생겨, Code A는 별도의 토너먼트가 아닌, Code S 본선 토너먼트로 바로 진출하는 예선전이 되었다.

연도토너먼트 이름우승자결승전 결과준우승자
2011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1월김 "TOP" 정훈 (oGs) (테란)4 - 3변 "Byun" 현우 (ZeNex) (테란)
20112nd Gen. Intel Core Global StarCraft II League March영어|2nd Gen. Intel Core Global StarCraft II League March영어|황 "LosirA" 강호 (IM) (저그)4 - 3김 "SuperNoVa" 영진 (oGs) (테란)
2011LG 시네마 3D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5월최 "Bomber" 지성 (ST) (테란)4 - 2정 "MVP" 종현 (IM) (테란)
2011펩시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7월김 "Puzzle" 상준 (ZeNEX) (프로토스)4 - 2김 "Tassadar" 정훈 (NSHoSeo) (프로토스)
2011펩시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8월김 "GanZi" 동주 (SlayerS) (테란)4 - 3이 "MarineKing" 정훈 (Prime) (테란)
2011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10월이 "Curious" 원표 (ST) (저그)4 - 0김 "Oz" 학수 (FXO) (프로토스)



특별 토너먼트의 챔피언은 GSL 챔피언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연도토너먼트 이름우승자결승 결과준우승자
2010GomTV 올스타 초청 토너먼트 2010한 "Kyrix" 준 (제니스) (저그)2 - 0이 "MarineKing" 정훈 (프라임) (테란)
2011아레나 오브 레전드이 "MarineKing" 정훈 (프라임) (테란)4 - 1박 "DongRaeGu" 수호 (MVP) (저그)
2011아레나 오브 레전드: 팀 에이스 초청 토너먼트정 "MVP" 종현 (IM) (테란)3 - 2김 "GanZi" 동주 (SlayerS) (테란)
2012아레나 오브 레전드: 콩들의 왕박 "DongRaeGu" 수호 (MVP) (저그)4 - 1황 "LosirA" 강호 (IM) (저그)


14. 팀 리그 (GSTL) (2011-2013)

GOMTV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GSTL)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운영되었다. 2011년 말부터 2012년까지는 KeSPA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와 경쟁 관계에 있었다. 2013년 말 마지막 이벤트를 끝으로 팀 리그 운영은 중단되었다.

15. 외국인 선수 숙소

GOMTV는 코드 A 진출을 시도하는 외국인 선수들을 위해 숙소를 운영했으며, 최대 8명까지 수용 가능했다. 이 숙소는 2012년 11월에 폐쇄되었다.[2]

16. 기타

2023년에는 GSL의 규모가 축소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2023년 첫 번째 토너먼트 예선은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는데, 이는 블리자드가 더 이상 상금 지원을 하지 않기 때문으로 추정된다.[12] 하지만 첫 번째 시즌이 끝난 후, 이 결정은 번복되어 2023년 후반 시즌에는 다시 스튜디오에서 경기가 개최되었다.[13]

참조

[1] 뉴스 GSL 2016 to be run by AfreecaTV http://www.thescoree[...] thescore esports 2015-12-26
[2] GOMTV GOMTV http://www.gomtv.net[...]
[3] 웹사이트 GOMTV presents GSL November http://www.gomtv.net[...] 2011-10-26
[4] 웹사이트 New GSL Format http://www.gomtv.net[...] 2011-10-26
[5] 웹사이트 GomTV 2012 GSL Tour Changes - Korean http://thisisgame.co[...] 2011-12-11
[6] 블로그 Blizzard's announcement of the 2013 WCS season http://us.battle.net[...]
[7] 기사 Blizzard's article about 2014 WCS http://wcs.battle.ne[...]
[8] 웹사이트 ESL Pro Tour StarCraft II - One Tour. One Story http://wcs.battle.ne[...] 2023-10-25
[9] 웹사이트 ESL Pro Tour StarCraft II - One Tour. One Story http://wcs.battle.ne[...] 2023-10-25
[10] 웹사이트 2016 GSL Pre-Season http://www.teamliqui[...]
[11] GOMTV News http://www.gomtv.net[...]
[12] Youtube Afreeca YouTube post of February 24 https://www.youtube.[...]
[13] 게시글 tl.net post, May 18 https://tl.net/forum[...]
[14] 뉴스 Artosis, StarCraft's esports casting godfather, moves on https://www.washingt[...] 2022-10-17
[15] 웹사이트 Press Release: GSL October Final at BlizzCon http://www.gomtv.net[...] 2011-10-27
[16] 웹사이트 Arena Of Legends - The King of Kongs http://www.gomtv.net[...] 2011-12-27
[17] 웹사이트 Axiom-Acer ceases partnership in light of GSTL being discontinued in 2014 https://www.gamespot[...]
[18] Youtube GOMTV Foreigner House Tour https://www.youtube.[...]
[19] 기사 Teamliquid article reporting the closing (EN) https://tl.net/forum[...]
[20] 기사 Thisigane article reporting the closing (KR) http://www.thisisgam[...]
[21] 뉴스 MLG and the GSL Create Groundbreaking League Exchange Program http://www.majorleag[...] 2011-05-13
[22] 뉴스 Fenix Will Join Naniwa and Thorzain in Korea http://www.majorleag[...] 2011-07-30
[23] 웹사이트 Official MLG Statement Regarding the Naniwa Code S Issue http://www.majorleag[...] 2011-12-15
[24] 웹사이트 GSL Partners with IPL http://www.gamebreak[...] 2012-05-22
[25] 기사 MLG CEO on Kespa Deal http://www.gamespot.[...]
[26] 웹사이트 GOMTV presents Blizzard CUP http://www.gomtv.net[...] 2011-12-11
[27] GOMTV GOMTV http://www.gomtv.net[...]
[28] 뉴스 http://www.fomos.kr/[...] 2010-10-09
[29] 뉴스 http://www.fomos.kr/[...] 2010-10-09
[30] 뉴스 http://www.fnnews.co[...]
[31] 뉴스 http://esports.daily[...]
[32] 웹인용 http://www.playxp.co[...]
[33] 뉴스 http://www.gamemeca.[...]
[34] 웹인용 http://esports.gomtv[...]
[35] 웹인용 http://esports.gomtv[...] 2010-12-29
[36] 문서 소니 에릭슨 Jan ~ LG 시네마 3D May
[37] 문서 소니 에릭슨 Jan 리그는 16강도 조별리그로 진행되었음
[38] 문서 펩시 July ~ 소니 에릭슨 Oct
[39] 문서 LG 시네마 3D May부터 4강은 5전 3선승제로 진행
[40] 문서 래더 어뷰징 사건으로 인하여 인원 제한 방식을 폐지하고 선착순 출석 체크하는 것으로 변경
[41] 문서 코드 A 준우승자는 코드 S로 처리
[42] 문서 소니 에릭슨 Nov ~ 2012 핫식스 시즌 5
[43] 문서 전 시즌 8강 진출자 8명+전 시즌 코드A 3라운드 승자 12명+전 시즌 승격/강등전 상위 10명+후원사 시드권자 2명
[44] 문서 소니 에릭슨 Nov는 단판제로 진행
[45] 문서 코드 A 최종 예선전 상위 16명+전 시즌 승격/강등전 하위 20명+해외 시드권자 4명
[46] 문서 다른 말로 코드 S 진출 결정전으로 부름
[47] 문서 단, 코드 S 와 코드 A 선수는 제외하며, 해외 선수들도 자격 제한 없음
[48] 문서 코드 A 2라운드 패자 16명+코드 A 3라운드 패자 12명
[49] 문서 다만 강등자의 수는 상황에 따라 유연한 적용이 가능하다. (해당 시즌 포기자의 발생 등의 변수)
[50] 문서 우선 참여 조건은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마스터리그 1,000점 이상의 아마추어 선수들을 포함하여
[51] 문서 다만 진출자의 수는 상황에 따라 유연한 적용이 가능하다.
[52] 문서 2013 핫식스 시즌 1 ~ 2013 WCS 코리아 시즌 3 GSL
[53] 문서 전 시즌 8강 진출자 8명+전 시즌 코드A 3라운드 승자 12명+전 시즌 승격/강등전 상위 12명
[54] 문서 코드 A 최종 예선전 상위 22명+전 시즌 승격/강등전 하위 18명
[55] 문서 주최측 사정에 따라 변동 가능
[56] 문서 스타리그의 경우는 GSL 코드 S
[57] 문서 정확히는 지역 변경
[58] 문서 우선 참여 조건은 스타크래프트 II: 군단의 심장 마스터 리그 300점 이상의 아마추어 선수들을 포함하여 협회 및 연맹 소속 선수 전원이며 선착순 576명 (코드 A 1라운드 탈락자 24명 포함)이나, 부족시 해당 신청자들을 추가로 예선에 참여 가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