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게임 스타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BC게임 스타리그는 2001년 KPGA 투어부터 2011년 ABC마트 MSL까지 MBC게임에서 주관한 스타크래프트 개인 리그이다. MSL(MBCgame StarLeague)은 차기 MSL 진출자를 선발하는 서바이버 토너먼트와 MSL 본선으로 구성되었으며, 32강, 16강, 8강, 4강,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리그 방식은 원데이 듀얼,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3전 2선승제, 5전 3선승제 등이 사용되었다. 2002년 KPGA 투어 리그를 시작으로 다양한 스폰서십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역대 우승자로는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김택용, 이영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폐지 - 창조한국당
창조한국당은 유한킴벌리 사장 출신 문국현을 중심으로 창당되어 2007년 대선에서 4위를 기록하고 2008년 총선에서 3석을 얻었으나, 당내 갈등과 선거 부진으로 해산되었다. - 2012년 폐지 - 정통민주당
정통민주당은 2012년 3월에 창당되어 제3신당과 합당했으나, 같은 해 4월에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고,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원내 진출에 실패했다. - MSL - NATE MSL 2009
NATE MSL 2009는 SK커뮤니케이션즈가 후원하여 2009년 11월 26일부터 2010년 1월 23일까지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개인 리그이며, 이제동이 우승하고 이영호가 준우승하였다. - MSL - ABC마트 MSL 2011
ABC마트 MSL 2011은 ABC마트의 후원으로 2011년에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로, 이영호의 우승과 최연소 금배지 획득에도 불구하고 MBC 게임 폐국으로 MSL의 10년 역사가 막을 내렸다. - 2002년 설립 - 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 대륙의 거의 모든 독립국가를 회원국으로 하는 정부간 국제기구이며, 경제 통합과 정치적 안정을 증진시키고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목표로 하며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 2002년 설립 - 월드컵공원
월드컵공원은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한 대규모 생태공원으로, 과거 쓰레기 매립지였던 난지도를 복원하여 2002년 월드컵을 기념하며 평화의 공원, 하늘공원, 노을공원, 난지천공원, 난지한강공원 등 5개의 테마공원으로 조성되었다.
MBC게임 스타리그 | |
---|---|
개요 | |
![]() | |
종목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
국가 | 대한민국 |
창립 | 2002년 |
폐지 | 2012년 |
대체 리그 | 없음 |
이전 명칭 | KPGA 투어 |
주관 | MBC게임 |
리그 시작 | 2002년 2월 14일 |
참가자 수 | 32명 |
하위 리그 |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
마지막 우승자 | 이영호 (ABC마트 MSL 2011) |
최다 우승자 | 이윤열 (3회) 최연성 (3회) 마재윤 (3회) 김택용 (3회) 이영호 (3회) |
경기 장소 | 히어로센터 (코엑스) (2006년~2008년) 히어로센터 (문래동) LOOX (2008년~2012년) |
방송 채널 | MBC게임 |
상세 정보 | |
설립 연도 | 2002년 (2003년부터 MSL로 변경) |
2. 리그 방식
차기 MSL 진출자를 선발하는 대회로, 예선 진출자와 지난 시즌 MSL 탈락자들이 참여한다.[1] 초기에는 48명이 4명씩 12개 조로 나누어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09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1 (아발론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는 분리형 듀얼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나,[1] 효율성 문제로 2009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2부터 다시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회귀하였다.[2]
== MSL 본선 ==
MSL 본선은 지난 시즌 시드권자 8명과 서바이버 토너먼트를 통해 올라온 24명, 총 32명으로 구성된다. 조지명식은 프링글스 MSL 시즌 1부터 스틸 드래프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NATE MSL에서부터 지명권 숫자가 조정되었다. 조지명식 시드 순서는 지난 시즌 MSL 성적(1~8번 시드), MSL 본선 진출 횟수, MBC게임 A매치 다승, MBC게임 A매치 승률, KeSPA 랭킹 순(9~32번 시드)으로 결정된다.
시드별 지명 권한은 다음과 같다.
- 17~32번 시드: 빈 자리 중 자신의 자리 선택
- 16~9번 시드: 자신의 옆자리 변경 가능
- 8~3번 시드: 대진표를 최대 한 번 변경 가능
- 2번 시드: 대진표를 최대 두 번 변경 가능
- 1번 시드: 대진표를 최대 세 번 변경 가능
32강은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진행된다. 아발론 온라인 MSL 2009는 분리형 32강 듀얼 방식으로 진행했으나, NATE MSL 2009부터 다시 원 데이 듀얼로 회귀하였다.
순위선정 및 16강 편성은 다음과 같다.
- 승자전에서의 승자는 16강에 진출하면서 조 1위가 된다.
- 최종전에서의 승자는 16강에 진출하면서 조 2위가 된다.
- 최종전에서의 패자는 서바이버 토너먼트로 강등되면서 조 3위가 된다.
- 패자전에서의 패자는 서바이버 토너먼트로 강등되면서 조 4위가 된다.
- 16강은 별도의 조추첨이 없이 자동으로 조가 편성된다. 예(A조 1위 vs E조 2위, A조 2위 vs E조 1위)
16강부터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녹다운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 16강 : 분리형 3전 2선승제(당신은 골프왕 MSL 2004 이후 첫 분리형 3전 2선승제)
- 8강 : 로스트사가 MSL 2009까지는 임의 배치를 실시하지 않았으나, 아발론 온라인 MSL 2009부터 8강 랭킹별 재배치가 실시되었다. KeSPA 랭킹에 근거하여 진행되며, 분리형 5전 3선승제가 도입되었다.
- 4강전 및 결승전 : 5전 3선승제로 진행되며, 3, 4위 시드는 3, 4위전 없이 32강부터의 승률로 계산하여 결정된다. 8강 입상자도 승률로 계산하여 5~8번 시드를 받는다.
== 조지명식 ==
MSL 출전 선수는 지난 시즌 시드권자 8명과 서바이버 토너먼트를 통해 올라온 24명, 총 32명으로 구성되며, 조지명식은 프링글스 MSL 시즌 1부터 스틸 드래프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NATE MSL에서부터 지명권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지명권 숫자가 조정되었다. 32강 각 조에는 두 명의 선수가 고정된다. 17~32번 시드는 빈자리 중 자신의 자리를 선택한다. 19차 MSL 조지명식에서 9~16번 시드는 자신의 위치를 바꾸거나 옆 선수의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권한이 주어졌으며, 3~8번 시드는 대진표를 최대 한 번, 2번 시드는 대진표를 최대 두 번, 1번 시드는 대진표를 최대 세 번 바꿀 수 있었다. 지난 시즌과 달리 9~16번 시드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했다.
조지명식 시드 순서는 지난 시즌 MSL 성적(1~8번 시드), MSL 본선 진출 횟수, MBC게임 A매치 다승, MBC게임 A매치 승률, KeSPA 랭킹 순(9~32번 시드)으로 결정된다.
시드별 지명 권한은 다음과 같다.
- 17~32번 시드: 빈 자리 중 자신의 자리 선택
- 16~9번 시드: 자신의 옆자리 변경 가능
- 8~3번 시드: 대진표를 최대 한 번 변경 가능
- 2번 시드: 대진표를 최대 두 번 변경 가능
- 1번 시드: 대진표를 최대 세 번 변경 가능
이렇게 결정된 32강 조 편성에 따라 대진이 결정되며, 출전 선수들의 스케줄에 따라 조정된다. (32강이 분리형 듀얼 방식으로 바뀐 아발론 MSL 2009에서는 조별 순서대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 32강 ==
32강은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진행된다. 아발론 온라인 MSL 2009는 분리형 32강 듀얼 방식으로 진행했으나, NATE MSL 2009부터 다시 원 데이 듀얼로 회귀하였다.
순위선정 및 16강 편성은 다음과 같다.
- 승자전에서의 승자는 16강에 진출하면서 조 1위가 된다.
- 최종전에서의 승자는 16강에 진출하면서 조 2위가 된다.
- 최종전에서의 패자는 서바이버 토너먼트로 강등되면서 조 3위가 된다.
- 패자전에서의 패자는 서바이버 토너먼트로 강등되면서 조 4위가 된다.
- 16강은 별도의 조추첨이 없이 자동으로 조가 편성된다. 예(A조 1위 vs E조 2위, A조 2위 vs E조 1위)
== 16강전 ~ 결승전 ==
16강부터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녹다운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 16강 : 분리형 3전 2선승제(당신은 골프왕 MSL 2004 이후 첫 분리형 3전 2선승제)
- 8강 : 로스트사가 MSL 2009까지는 임의 배치를 실시하지 않았으나, 아발론 온라인 MSL 2009부터 8강 랭킹별 재배치가 실시되었다. KeSPA 랭킹에 근거하여 진행되며, 분리형 5전 3선승제가 도입되었다.
- 4강전 및 결승전 : 5전 3선승제로 진행되며, 3, 4위 시드는 3, 4위전 없이 32강부터의 승률로 계산하여 결정된다. 8강 입상자도 승률로 계산하여 5~8번 시드를 받는다.
2. 1.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차기 MSL 진출자를 선발하는 대회로, 예선 진출자와 지난 시즌 MSL 탈락자들이 참여한다.[1] 초기에는 48명이 4명씩 12개 조로 나누어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09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1 (아발론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는 분리형 듀얼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나,[1] 효율성 문제로 2009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2부터 다시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회귀하였다.[2]2. 2. MSL 본선
MSL 본선은 지난 시즌 시드권자 8명과 서바이버 토너먼트를 통해 올라온 24명, 총 32명으로 구성된다. 조지명식은 프링글스 MSL 시즌 1부터 스틸 드래프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NATE MSL에서부터 지명권 숫자가 조정되었다. 조지명식 시드 순서는 지난 시즌 MSL 성적(1~8번 시드), MSL 본선 진출 횟수, MBC게임 A매치 다승, MBC게임 A매치 승률, KeSPA 랭킹 순(9~32번 시드)으로 결정된다.시드별 지명 권한은 다음과 같다.
- 17~32번 시드: 빈 자리 중 자신의 자리 선택
- 16~9번 시드: 자신의 옆자리 변경 가능
- 8~3번 시드: 대진표를 최대 한 번 변경 가능
- 2번 시드: 대진표를 최대 두 번 변경 가능
- 1번 시드: 대진표를 최대 세 번 변경 가능
32강은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진행된다. 아발론 온라인 MSL 2009는 분리형 32강 듀얼 방식으로 진행했으나, NATE MSL 2009부터 다시 원 데이 듀얼로 회귀하였다.
순위선정 및 16강 편성은 다음과 같다.
- 승자전에서의 승자는 16강에 진출하면서 조 1위가 된다.
- 최종전에서의 승자는 16강에 진출하면서 조 2위가 된다.
- 최종전에서의 패자는 서바이버 토너먼트로 강등되면서 조 3위가 된다.
- 패자전에서의 패자는 서바이버 토너먼트로 강등되면서 조 4위가 된다.
- 16강은 별도의 조추첨이 없이 자동으로 조가 편성된다. 예(A조 1위 vs E조 2위, A조 2위 vs E조 1위)
16강부터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녹다운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 16강 : 분리형 3전 2선승제(당신은 골프왕 MSL 2004 이후 첫 분리형 3전 2선승제)
- 8강 : 로스트사가 MSL 2009까지는 임의 배치를 실시하지 않았으나, 아발론 온라인 MSL 2009부터 8강 랭킹별 재배치가 실시되었다. KeSPA 랭킹에 근거하여 진행되며, 분리형 5전 3선승제가 도입되었다.
- 4강전 및 결승전 : 5전 3선승제로 진행되며, 3, 4위 시드는 3, 4위전 없이 32강부터의 승률로 계산하여 결정된다. 8강 입상자도 승률로 계산하여 5~8번 시드를 받는다.
2. 2. 1. 조지명식
MSL 출전 선수는 지난 시즌 시드권자 8명과 서바이버 토너먼트를 통해 올라온 24명, 총 32명으로 구성되며, 조지명식은 프링글스 MSL 시즌 1부터 스틸 드래프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NATE MSL에서부터 지명권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지명권 숫자가 조정되었다. 32강 각 조에는 두 명의 선수가 고정된다. 17~32번 시드는 빈자리 중 자신의 자리를 선택한다. 19차 MSL 조지명식에서 9~16번 시드는 자신의 위치를 바꾸거나 옆 선수의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권한이 주어졌으며, 3~8번 시드는 대진표를 최대 한 번, 2번 시드는 대진표를 최대 두 번, 1번 시드는 대진표를 최대 세 번 바꿀 수 있었다. 지난 시즌과 달리 9~16번 시드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했다.조지명식 시드 순서는 지난 시즌 MSL 성적(1~8번 시드), MSL 본선 진출 횟수, MBC게임 A매치 다승, MBC게임 A매치 승률, KeSPA 랭킹 순(9~32번 시드)으로 결정된다.
시드별 지명 권한은 다음과 같다.
- 17~32번 시드: 빈 자리 중 자신의 자리 선택
- 16~9번 시드: 자신의 옆자리 변경 가능
- 8~3번 시드: 대진표를 최대 한 번 변경 가능
- 2번 시드: 대진표를 최대 두 번 변경 가능
- 1번 시드: 대진표를 최대 세 번 변경 가능
이렇게 결정된 32강 조 편성에 따라 대진이 결정되며, 출전 선수들의 스케줄에 따라 조정된다. (32강이 분리형 듀얼 방식으로 바뀐 아발론 MSL 2009에서는 조별 순서대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2. 2. 2. 32강
32강은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진행된다. 아발론 온라인 MSL 2009는 분리형 32강 듀얼 방식으로 진행했으나, NATE MSL 2009부터 다시 원 데이 듀얼로 회귀하였다.순위선정 및 16강 편성은 다음과 같다.
- 승자전에서의 승자는 16강에 진출하면서 조 1위가 된다.
- 최종전에서의 승자는 16강에 진출하면서 조 2위가 된다.
- 최종전에서의 패자는 서바이버 토너먼트로 강등되면서 조 3위가 된다.
- 패자전에서의 패자는 서바이버 토너먼트로 강등되면서 조 4위가 된다.
- 16강은 별도의 조추첨이 없이 자동으로 조가 편성된다. 예(A조 1위 vs E조 2위, A조 2위 vs E조 1위)
2. 2. 3. 16강전 ~ 결승전
16강부터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녹다운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16강 : 분리형 3전 2선승제(당신은 골프왕 MSL 2004 이후 첫 분리형 3전 2선승제)
- 8강 : 로스트사가 MSL 2009까지는 임의 배치를 실시하지 않았으나, 아발론 온라인 MSL 2009부터 8강 랭킹별 재배치가 실시되었다. KeSPA 랭킹에 근거하여 진행되며, 분리형 5전 3선승제가 도입되었다.
- 4강전 및 결승전 : 5전 3선승제로 진행되며, 3, 4위 시드는 3, 4위전 없이 32강부터의 승률로 계산하여 결정된다. 8강 입상자도 승률로 계산하여 5~8번 시드를 받는다.
3. 전신
3. 1. 2001년 KPGA 월별 투어
2001년 KPGA 투어는 프로게이머협회 주관으로 열린 첫 리그이다. 8월부터 12월까지 5개월 간 4개 대회가 열렸다. 이 시기에는 개인 리그만 존재했다.3. 2. 2002년 KPGA 투어 리그
2002년 KPGA 투어 리그는 MBC게임 주관 하에 열린 첫 리그이자, 4차례에 걸쳐 진행된 리그이다.4. 역대 MSL
wikitable
연도 |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
2002 | KPGA 1st Tour | BoxeR | YellOw |
2002 | 리복 KPGA 2nd Tour | NaDa | YellOw |
2002 | 펩시 트위스트 KPGA 3rd Tour | NaDa | Reach |
2002 | 배스킨라빈스 KPGA 4th Tour | NaDa | ChoJJa |
2003 | Stout MSL | Nal_rA | NaDa |
2003 | TriGem MSL | iloveoov | YellOw |
2004 | HanaFOS CENGAME MSL | iloveoov | NaDa |
2004 | SPRIS MSL | iloveoov | Kingdom |
2004 | You Are The Golf King MSL | GoRush | NaDa |
2005 | UZOO MSL | sAviOr | Reach |
2005 | LG CYON MSL | ChoJJa | sAviOr |
2006 | Pringles MSL | sAviOr | Nal_rA |
2006 | Pringles MSL Season 2 | sAviOr | Silver |
2006 | GomTV MSL | Bisu | sAviOr |
2007 | GomTV MSL Season 2 | Bisu | Stork |
2007 | GomTV MSL Season 3 | Mind | Bisu |
2008 | GomTV MSL Season 4 | Jaedong | Kal |
2008 | Arena MSL | fOrGG | Jaedong |
2008 | ClubDay Online MSL | Bisu | JangBi |
2009 | Lost Saga MSL | Luxury | JangBi |
2009 | Avalon MSL | Calm | Kwanro |
2009 | Nate MSL | Jaedong | FlaSh |
2010 | 하나대투증권 MSL | FlaSh | Jaedong |
2010 | BigFile MSL | FlaSh | Jaedong |
2010 | PDPop MSL | Hydra | Great |
2011 | ABC-Mart MSL | FlaSh | Zero |
4. 1. 2003년 MSL ~ 2005년 MSL
4. 1. 1. Stout MSL (2003)
- 리그기간 : 2003년 4월 17일 ~ 2003년 7월 19일
- MBC게임 최초의 MSL이다.
- 2002 스타우트&베스킨라빈스배 4차 KPGA 결승진출자(이윤열, 조용호)와, 2003 KTEC배 KPGA 위너스 챔피언십 결승진출자(홍진호, 임요환)에게 시드를 부여하였다.
-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을 도입하였다.
- 이윤열은 MBC게임 공식리그 4연속 결승에 진출하였다.
- 결승전 장소 : 여의도 한강시민공원 무대
- 결승전에 앞서 MSL 출범과 함께 시작된 이벤트전 Stout배 Again 2000 결승전이 진행되었다. (기욤 패트리 2:0 송병석)
- MBC게임 메이저 대회에서 최초의 프로토스 우승자가 나왔다. (\[\[강민 (프로게이머)|강민]])
- 이윤열은 개인리그 결승에서 처음으로 준우승을 기록하였다.
- 승자조에 올라온 선수에게 결승전 1승의 어드벤티지를 준 최초의 대회이다. (이후 폐지)
- 우승 강민, 준우승 이윤열, 3위 전태규 · 조용호
4. 1. 2. TG삼보 MSL (2003)
2003년 9월 4일부터 2003년 11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MSL이라는 명칭을 최초로 사용한 리그이다. 우승 상금은 2천만원으로 상승하였다. 메이저, 마이너 진출전을 통해 선수를 선발하였으며, MSL 최초로 맵에 스폰서 이름(Gauntlet TG)이 붙었다. 결승전 장소는 코엑스 태평양홀이었다.이 리그를 통해 최연성 시대가 개막되었다. 홍진호는 이 리그를 마지막으로 양대 메이저 대회 결승에 진출하지 못했다. 우승자는 최연성이고, 준우승은 홍진호이며, 3위는 이윤열과 이병민이 차지하였다.
4. 1. 3. 하나포스 센게임 MSL (2004)
- 리그기간: 2004년 1월 8일 ~ 2004년 4월 18일
- 우승 상금이 2500만원으로 확대되었다.
- 메이저 대회에 프로토스는 강민 단 1명만이 진출하였다. (IOPS 스타리그 박정석 1명 진출과 유사)
- 각 리그 결승전을 이틀에 걸쳐 치르는 챔피언스데이를 실시하였다.
- 미네랄을 뚫어 새로운 길을 확보하는 식의 컨셉을 사용한 맵(Detonation : LG IBM팀리그에서 먼저 사용)이 등장하였다.
- 결승전 장소: 서울 장충체육관 (프로배구 GS칼텍스 서울 KIXX의 홈 경기장)
- 최연성이 MSL 2연속 우승을 차지하였다.
- 우승 최연성, 준우승 이윤열, 3위 김정민 · 강민
4. 1. 4. Spris MSL (2004)
- 리그기간 : 2004년 5월 20일 ~ 2004년 8월 29일
- 맵 제작자 송기범이 Into the Darkness로 데뷔한 대회이다.
- 결승전 장소 : 서울 장충체육관 (프로배구 GS칼텍스의 홈 경기장)
- 최연성이 MSL 3연속 우승을 차지하였다.
- 우승 최연성, 준우승 박용욱, 3위 강민 · 이병민
4. 1. 5. 당신은 골프왕 MSL (2004)
- 리그기간 : 2004년 9월 30일 ~ 2005년 2월 6일
- 유일무이한 7전 4선승제의 결승전
- MSL 최초의 저그 우승(박태민)
- 공식맵으로는 최초로 'SCM드래프트'를 이용한 확장언덕이 이용됨 (Raid-Assault)
- 역대 MSL중 가장 긴 리그일정 진행
- 16강 3전2선승제 실시
- 승자조 8강 1차 야외무대 장소 : 코엑스 태평양홀 1층 특설무대(MBC게임 개인리그 최초로 결승전이 아닌 야외무대 경기)
- 승자결승, 패자준결승, 패자결승 5전3선승제 실시
- 결승전 장소 : 부산 사직실내체육관 (프로농구 부산 KT 소닉붐의 홈 경기장)
- 우승 박태민, 준우승 이윤열, 3위 서지훈 · 조용호
4. 1. 6. UZOO MSL (2005)
- 리그기간: 2005년 4월 21일 ~ 2005년 8월 6일
- 2기 프로게이머 협회가 발족하며 양 방송사 공식맵을 1개씩 공유하여 사용하였다. (Neo Requiem, Luna the Final)
- 결승전을 5전 3선승제, 16강 승패자 결정전을 단판으로 회귀하였다.
- 결승전 장소: 부산 해운대
- 마재윤이 우승하였고, 박정석이 준우승, 조용호 · 최연성이 3위를 기록하였다.
4. 1. 7. CYON MSL (2005)
- 리그기간 : 2005년 10월 6일 ~ 2006년 1월 14일
- 과거 공식맵 수정 재사용(Dark Sauron 2.0)
- MSL 사상 최초로 스폰서 없이 조지명식 진행
- 조 배정을 시드권자 8인이 비시드권자 8인을 지명
- 최초의 자체로고 도입
- 'Fight a Real Duel'이라는 슬로건 도입
- 사상최초의 공인리그 저그 대 저그 결승
- 결승전 장소 : 광주 염주체육관
- 조용호의 방송사 공식 개인리그의 최초이자 마지막 우승
- 우승 조용호, 준우승 마재윤, 3위 최연성 · 성학승
4. 2. 2006년 MSL ~ 2007년 MSL
4. 2. 1. 프링글스 MSL Season 1 (2006)

- 리그기간 : 2006년 4월 6일 ~ 2006년 7월 16일
- 스퀘어 지형을 이용한 수직언덕지형 도입(The Eye)
- 스틸드래프트 지명방식 도입
- 기존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을 소폭 수정
- 4강에서 패한 선수들은 3,4위전 없이 승률로 3위,4위 배정
- 진출한 선수의 절반이상이 SK텔레콤T1선수 (임요환, 최연성, 전상욱, 박태민, 윤종민, 김성제, 성학승, 박용욱)
- 결승전 장소 : 고양시 일산 KINTEX
- 맵 썸즈다운(드롭)제도 도입
- 우승상금 3000만원으로 확대
- 차기 MSL 시드권자가 종전 8명에서 4명으로 축소
- 우승 마재윤, 준우승 강민, 3위 전상욱 · 박용욱
4. 2. 2. 프링글스 MSL Season 2 (2006)

- 리그기간 : 2006-08-17 ~ 2006-11-11
- 최초로 두 번 연속으로 같은 스폰서가 지원한 MSL
- 스틸드래프트 조지명 방식의 보완
- 경기장을 세중게임월드에서 히어로 센터로 이전
- 임요환의 군입대 전 마지막 개인리그
- 임요환의 군입대로 와일드카드전 진행
- * 각조 3위 선수(강민, 원종서, 이윤열, 조용호)들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결, 최종 승자가 8강에 진출
- ** 4강: 강민 승 vs 원종서 패, 이윤열 승 vs 조용호 패, 결승: 강민 승 vs 이윤열 패
- 사상최초로 결승전을 군부대에서 개최 (당시 훈련병이었던 임요환 선수가 참관하여 화제를 낳음)
- 결승전 장소: 진주 공군교육사령부
- 결승전 축하공연으로 가수 배슬기 초빙
- 우승 마재윤, 준우승 심소명, 3위 강민 · 변은종
4. 2. 3. 곰TV MSL Season 1 (2007)
곰TV MSL Season 1은 2006년 12월 7일부터 2007년 3월 3일까지 진행된 MBC게임 스타리그이다. 인터넷 방송국인 곰TV와 케이블 방송국 MBC게임의 전략적 제휴로 진행되었다.이 리그에서는 반섬 맵이면서도 섬 맵 양상을 띈 맵(GomTV_DesertFox)이 등장하였다.
김택용은 양대리그 우승과 MSL 4회 우승을 노리던 마재윤을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2003년 Stout배 MSL 이후 약 4년 만에 프로토스가 우승한 대회이며, MSL 최초로 결승전에서 프로토스가 저그를 꺾고 우승한 사례이다.(스타리그에서는 2000년 프리챌배 스타리그에서 김동수가 봉준구를 3:0으로 꺾고 우승한 기록이 있다.) 이로서 김택용은 최연소 우승 기록을 경신했다 (이후 박성균이 최연소 우승 기록을 경신함).
강민은 프로토스 최초로 3연속 4강 진출을 기록하였다.
모션 그래픽 전문 스튜디오인 이미지베이커리가 MSL 그래픽 디자인과 오프닝 패키지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결승전은 서울 어린이 대공원 돔아트홀에서 개최되었으며, 그룹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가 축하공연을 하였다.
최종 결과는 우승 김택용, 준우승 마재윤, 3위 진영수 · 강민이다.
4. 2. 4. 곰TV MSL Season 2 (2007)
- 리그기간 : 2007년 5월 3일 ~ 2007년 7월 14일
- 곰TV의 장기후원 약속
- 서바이버를 폐지하며 32강으로 확대된 최초의 MSL
- 지난 시즌과 비교하여 최초로 모든 맵이 교체되었다.
- 주 2회 방송으로 변경(목요일, 토요일)
- 임요환이 32강에 진출했던 마지막 개인리그
- 일간스포츠가 주최사로 참여
- 개인리그 최초로 공군 ACE소속 프로게이머 출전(임요환)
- 종전 4강부터 적용했던 5전 3선승제를 8강부터 적용 (시드권은 4장에서 8장으로 늘어남)
- 슬로건을 'The Live'로 변경
- MSL 최초로 경기 중 실시간으로 경기 시간 표시 시작.
- 이주영의 군입대로 와일드카드전 진행
- * 16강 패자 8명(강민, 박정욱, 송병구, 이재호, 염보성, 최연성, 서지훈, 박성훈)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결, 최종승자가 8강 진출
- * 송병구가 최종 승자 자리를 차지함
- 최초로 본진 투가스와 자원회전률을 높인 지상맵 등장 (Desperado)
- 김택용 MSL 2연속 결승진출
- 결승전 장소 : 서울 어린이대공원 돔아트홀
- 김택용 MSL 2연속 우승
- MSL 최초의 프프전 결승이자 최초의 2연속 프로토스 우승
- 이미지베이커리가 제작한 오프닝이 '2008 BDA 월드 골드 어워즈(2008 BDA World Gold Awards)'에서 스포츠-오픈 부분 동상 수상
- 우승 상금을 5000만원으로 확대
- 결승전 축하 공연으로 가수 윤하 초빙
- 우승 김택용, 준우승 송병구, 3위 박태민·이성은
4. 2. 5. 곰TV MSL Season 3 (2007)
- 리그기간 : 2007년 9월 13일 ~ 11월 17일
- 32강 변경 이후 테란 최다 진출(18명).
- 최연소 우승기록 경신 (박성균) (이후 박카스 스타리그에서 이영호가 최연소 우승기록을 재경신하였다)
- 김택용 MSL 3연속 결승진출
- 2년 9개월(7시즌)만의 테란 결승진출 (박성균)
- 결승전 장소 : 서울 어린이 대공원 돔아트홀
- 결승전 축하공연으로 가수 브라운아이드걸스 초빙
- 3년 3개월(8시즌)만의 테란 우승 (박성균)
- 우승 박성균, 준우승 김택용, 3위 마재윤 · 서지훈
4. 3. 2008년 MSL ~ 2009년 MSL
4. 3. 1. 곰TV MSL Season 4 (2008)
- 리그기간 : 2008년 1월 3일 ~ 2008년 3월 8일
- 리그주제 : 'Face Off'.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24시간 무한채널 곰tv
- 전 대회 시드권자 8인 중 박성균, 한상봉 만이 16강 진출에 성공하였다.
- 오프닝 영상 중 슬로건이 뜬 장면에 있던 선수 전원 32강 탈락 (Face Off의 저주)
- * Face Off의 저주란, 말 그대로 오프닝 영상 중에 슬로건이 뜬 장면에 있던 선수는 모두 32강에서 탈락했다는 것을 말한다. 속칭 박선비의 저주라 불리면서 수많은 탈락자를 낳았다. (김택용, 마재윤, 이성은, 주현준, 박태민, 민찬기 등) 심지어 결승전 오프닝에서도 Face Off가 뜬 장면이 있던 김구현이 패배, 큰 파장을 낳기도 했다.
- 결승전 장소: 부산 BEXCO
- '''이제동''' '임요환, 이윤열, 강민, 최연성, 마재윤'에 이어 6번째로 양대리그 석권(온게임넷 스타리그 & MSL)
- 우승 이제동, 준우승 김구현, 3위 허영무 · 박성균
4. 3. 2. ARENA MSL (2008)
2008년 5월 1일부터 2008년 7월 26일까지 진행된 ARENA MSL은 SK LOOX(문래동)히어로센터에서 개최된 최초의 MSL이다. 리그 주제는 'The Eyes'이며, 스폰서 캐치프레이즈는 '최고의 스포츠 브랜드 아레나'였다.이번 리그에는 MBC게임 공식맵 제작자 송기범이 복귀하였고, TG삼보 MSL과 하나포스 CENGAME MSL의 공식맵으로 쓰였던 Enter the Dragon을 리메이크한 Tiamat(티아매트)가 공식맵으로 채택되었다. 곰TV MSL 시즌1 이후 4시즌만에 3인용맵 Athena가 등장했으며, 2007 곰TV MSL Season2 이후 두 번째로 지난 시즌에 사용된 4개의 공식맵을 모두 신규맵으로 교체했다. 경기는 목요일 6시 30분, 토요일 7시 30분에 진행되었다.
개인리그 최초로 4명의 프로토스(허영무, 오영종, 박영민, 윤용태)가 한 조에 속하게 되었다. (B조)
이제동은 MSL 2연속 결승에 진출했으며, 당신은 골프왕 5th MSL 이후 9시즌 만에 테란 대 저그의 결승전이 성사되었다. MSL로 바뀐 후 스프리스 MSL 이후 결승에서 같은 팀 선수간의 대결(박지수, 이제동은 르까프 오즈 소속)이 펼쳐졌다.
결승전은 ‘e스타즈 서울 2008’과 함께 서울 무역전시 컨벤션 센터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한강공원 잠실 야외수영장 특설무대에서도 관람할 수 있도록 2원 생중계로 진행되었다. (e스포츠 결승전 사상 최초 2원 생중계) 결승전 장소는 서울 무역전시 컨벤션 센터 & 한강공원 잠실 야외수영장 특설무대였다.
박지수는 생애 첫 개인리그 결승 진출 및 우승을 차지했다. MSL 오프닝을 제작하고 있는 이미지 베이커리에서 제작한 자막이 사용되었다. 르까프 오즈는 프로게임단 중 3번째로 개인리그 전 종족 우승자(오영종, 이제동, 박지수)를 배출하였다. 우승은 박지수, 준우승은 이제동, 3위는 이영호·박영민이 차지했다.
4. 3. 3.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 리그기간: 2008년 9월 11일 ~ 2008년 11월 22일
- 리그주제:END=AND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당신이 찾던 댄스 RPG, 클럽데이 온라인
-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 신맵 사용 (비잔티움) → MSL 본선에서는 기존의 맵이 수정된 '비잔티움2'를 사용
- 32강 개편 이후 저그 최소 진출 (5명)
- 32강 개편 이후 프로토스 최다 진출 (10명)
- 강민의 MSL 해설 데뷔
- 스프리스 MSL 이후 11시즌만에 저그 4강진출 실패
- 프링글스 MSL 시즌2 이후 6시즌만에 테란 4강진출 실패
- 2008년 10월 김동준의 군입대로 인해 이후 강민이 모든 클럽데이 온라인 MSL 해설을 담당
- 8강 4경기 모두 32강 리매치 (A조 김구현 vs 송병구, B조 허영무 vs 박명수, C조 김택용 vs 이성은, D조 윤용태 vs 이윤열) (B,C,D조는 32강의 승자전 리매치이며 A조만 32강 1경기의 리매치이다)
- 8강 경기 결과중 프로토스 VS 저그, 테란전에서 전부 3:0 스코어가 나옴
- 4강에 4프로토스 진출(김구현, 허영무, 김택용, 윤용태) - 한 종족이 4강을 독식
- 개인리그 최초로 4강에서 한 종족이 모든 자리를 차지(프로토스)
- 허영무 생애 첫 개인리그 결승진출
- 김택용 곰TV MSL 시즌3 이후 약 1여 년 만에 결승 진출
- 김택용 프로토스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MSL 4회 결승 진출
- 결승전 장소: 서울 광운대학교 대강당
- 결승전 날짜: 2008년 11월 22일 ( 허영무 vs 김택용 )
- 결승전 초대가수: 다이나믹듀오
- 김택용 프로토스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스타크래프트(부르드워) 개인리그 3회 우승
- SK텔레콤 T1은 최연성의 우승 이후 2년 8개월 만에 개인리그 우승자를 배출, T1 창단 5번째 개인리그 우승을 하였다.(그전에 SK텔레콤 T1의 전신, 동양 오리온에서 2회 우승)
- 우승 김택용, 준우승 허영무, 3위 윤용태 · 김구현
4. 3. 4. 로스트사가 MSL (2009)
2009년 1월 8일부터 2009년 3월 21일까지 진행된 로스트사가 MSL은 캐주얼 대전 게임 '로스트사가'를 스폰서로 하여 진행되었다. 32강 개편 이후 테란 진출자가 14명으로 최소를 기록했고, 공식맵 역사상 최초로 특수 사이즈(112x128)가 적용된 맵(Carthage)이 사용되었다. 또한 32강 개편 이후 처음으로 디펜딩 챔피언인 김택용이 32강에서 탈락하는 이변이 발생했다.허영무는 2시즌 연속 MSL 결승 진출에 성공했는데, 8강에서 이윤열을 3-2로, 4강에서 송병구를 3-0으로 꺾었다. 그러나 지난 시즌에 이어 2시즌 연속 테란의 4강 진출은 실패했다.
결승전은 2009년 3월 21일 어린이 대공원 돔 아트홀에서 열렸으며, 허영무는 2시즌 연속 MSL 준우승에 머물렀다. KTF 매직엔스(현 KT 롤스터)는 조용호의 CYON MSL 우승 이후 4년 만에 박찬수가 우승을 차지하며 MSL 우승자를 배출했다. 박찬수가 우승, 허영무가 준우승, 송병구와 김명운이 공동 3위를 기록했다.
4. 3. 5. 아발론 MSL (2009)
- 리그기간: 2009년 6월 4일 ~ 2009년 8월 30일
- MSL 3연속 게임 스폰서(클럽데이 온라인, 로스트사가, 아발론 온라인)
- 32강에 진출한 민찬기의 군 입대로 인한 와일드카드전 개최 (서바이버 토너먼트 2009 시즌1 최종전 탈락자들이 참여하며, 민찬기에게는 차기 시즌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드 수여)- 김창희가 최종 승자 자리 차지, MSL 진출
- 32강 조지명식에서 처음으로 지난 시즌 우승, 준우승 선수에게 맵 제거권 부여.
- 32강 체제가 도입된 지 2년 만에 리그 방식 전면 개편 단행(CYON MSL 이후 10시즌만에 MSL 로고 변경)
- 아일랜드 미디어 웍스에서 오프닝과 자막등의 프로그램 패키지 디자인 참여.
- 32강 B조에 4토스 조 형성 (허영무 - 김택용 - 윤용태 - 김구현)
- 2시즌 연속 디펜딩 챔프 32강 탈락 (박찬수), 역대 최초 우승자&준우승자 동시 32강 탈락 (박찬수, 허영무)
- CYON MSL 이후 10시즌만에 프로토스 4강 진출 실패
- 테란, ARENA MSL 이후 3시즌만에 4강 진출 성공(변형태)
- 김윤환(STX SOUL) 생애 첫 결승진출(4강 이제동(Z) 3-1 W)
- 한상봉(CJ 엔투스) 생애 첫 결승진출(역스윕)(4강 변형태(T) 3-2 W)
- 스타우트 MSL (이윤열 vs 전태규 패자결승)이후 MSL에서 리버스스윕 발생 (4강 변형태 vs 한상봉)
- 곰TV MSL S4이후 4시즌 만에 지방 결승
- 프링글스 MSL S2 이후 8시즌만에 저그vs저그전 결승 성립
- MSL 저그 대 저그전 3연속 3:1
- 김윤환 MSL 32강 체제 이후 최소패수(2패)로 우승
- 결승전 일자 및 장소 : 2009년 8월 30일 - 창원 실내 체육관 (프로농구 창원 LG 세이커스 홈 경기장)
- 김윤환(STX SOUL) 팀플서 개인 전환 후 첫 성공사례
- 결승전에서 강철승 출연한 드라마 밥줘 편집분 상영
- MSL 4번째 저그 챔피언 : 김윤환(박태민-조용호-이제동)
- 김윤환 첫 개인리그 우승
- 한상봉 첫 개인리그 준우승
- 우승 : 김윤환, 준우승 : 한상봉, 3위 : 변형태 · 이제동
4. 3. 6. NATE MSL (2009)
- 리그기간: 2009년 11월 26일 ~ 2010년 1월 23일
- 조지명식은 11월 5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스폰서 지정 및 WCG, IEF 관계로 2주 연기되어 11월 19일에 진행되었다.
- 네이트는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 이어 NATE MSL 2009의 스폰을 맡아 양대리그 스폰서가 되었다.
- 2010년 1월 23일에 열린 NATE MSL 결승전 3경기 도중 정전이 발생했다. 케스파는 리플레이 대신 녹화화면을 판독하여 7:3의 비율로 이제동선수가 우세하다고 판단, 이제동선수의 우세승을 판정하였다.
- 리그 시작 전 이벤트전으로 로얄로더 후보 9인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결을 펼치는 로얄로더 토너먼트가 열렸고, 김재춘이 우승했다.
- 조지명식 방식이 소폭 변경되었다.
- * 17~32위 : 기존과 동일
- * 16~9위 : 1회에 걸쳐 대진표 변경 가능. (이동 불가)
- * 3~8위 : 1회에 걸쳐 대진표 변경 가능.
- * 2위 : 2회에 걸쳐 대진표 변경 가능.
- * 1위 : 2회에 걸쳐 대진표 변경 가능. 중간 지명권(조지명식 중간에 대진 변경 가능) 수여
- 아레나 MSL(Tiamat)이후 5시즌 만에 스페이스 타일 맵이자 앞마당 이후 멀티가 모두 섬멀티인 맵(Ultimatum)이 등장했다.
- 공식 맵 중 2개가 정글 타일(Odd Eye, 투혼), 2개가 스페이스 타일(Ultimatum, Matchpoint)이었다.
- 3시즌 연속 디펜딩 챔프(김윤환)가 32강에서 탈락하였다.
- 4강 매치가 아발론 MSL 16강의 리매치 (이제동 vs 김구현, 이영호 vs 한상봉)로 펼쳐졌다.
- 이영호가 MSL 첫 결승에 진출하였다.
- 이제동은 아레나 MSL이후 4 시즌만에 결승에 진출하였다.
- 저그 종족이 2연속 우승을 차지하였다.
- 이제동이 저그 최초로 2회 MSL 우승을 달성하였다.
- 결승전 장소는 여의도 MBC D 공개홀 / MBC 가상 스튜디오였다. (결승전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했기 때문에 별도의 초대 가수는 없었다.)
- MSL 32강 본선에 저그가 최다 진출(16명)하는 기록을 세웠다.
- 우승 : 이제동, 준우승 : 이영호, 3위 : 한상봉 · 김구현
4. 4. 2010년 MSL ~ 2011년 MSL
4. 4. 1. 하나대투증권 MSL (2010)
2010년 4월 1일부터 2010년 5월 29일까지 진행된 하나대투증권 MSL은 여러가지 이변과 기록을 남겼다. MSL 사상 두 번째로 스폰서 없이 조지명식이 진행되었고, 기존의 팀별 1위 예선 면제권이 폐지되었다.MSL 최초로 육룡(도재욱, 송병구, 김구현, 김택용) 6명 전원이 합류했지만, 김택용이 MSL 징크스를 깨고 32강에서 탈락하는 등 대거 탈락하는 이변이 발생했다. 반면, 신 프로토스 라인으로 불리는 진영화, 김윤중이 16강에 진출했고, 신인 정종현과 신동원도 16강에 진출했다. 웅진테란 '웅테' 정종현은 생애 첫 MSL 8강에 진출했고, 올드 프로게이머 전상욱은 11시즌(4년)만에 MSL 8강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공식맵 최초로 아비터를 활용한 '클로킹 에그'가 트라이애슬론 맵에 적용되기도 했다.
이영호는 최초로 2연속 양대리그(스타리그, MSL) 결승에 진출하는 기록을 세웠으며, 결승전에서 이제동을 꺾고 5전제 트라우마를 극복하며 첫 MSL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이영호는 역대 테란 4번째로 양대 개인리그 동시 석권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다. 2연속 '리쌍록' 대진은 큰 화제를 모았다.
결승전은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에서 열렸으며, 결승장이 수용한 인원만 만여 명, 돌아간 인원만 천여 명 이상으로 MSL 역사상 가장 많은 팬들이 참여했다. 결승전 초대가수는 아이유였다. 우승은 이영호, 준우승은 이제동, 3위는 윤용태와 김윤환이 차지했다.
4. 4. 2. 빅파일 MSL (2010)
- 하나대투증권 MSL 결승전 종료 직후에 공식 발표되었다.
- 리그 기간은 2010년 7월 1일부터 2010년 8월 28일까지이다.
- 기존 오드아이2의 테저전 밸런스를 조정한 오드아이3가 사용되었다.
- 염보성이 양대 개인리그 사상 처음으로 8강에 진출하였다. (2:0 김택용)
- 3시즌 연속 리쌍록 결승이 성사되었다. (NATE MSL 2009, 하나대투증권 MSL, 빅파일 MSL 2010)
- 결승전 장소가 여의도 공원에서 인천 삼산월드체육관(프로농구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홈 경기장)으로 변경되었다.
- 이영호가 2연속 MSL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이영호 개인에게는 엄청난 영광이며, 당시 스타크래프트 팬들에게 큰 인상을 남겼다.
- 초대가수는 걸스데이였다.
- 우승: 이영호, 준우승: 이제동, 3위: 정명훈 · 이재호
16강 1경기 | 16강 2경기 | 16강 3경기 | 16강 4경기 |
---|---|---|---|
EffOrt (Z) 2:0 Midas (T) | FlaSh (T) 2:0 Violet (P) | Jaedong (Z) 2:1 Kal (P) | Light (T) 2:1 RorO (Z) |
16강 5경기 | 16강 6경기 | 16강 7경기 | 16강 8경기 |
Bisu (P) 0:2 Sea (T) | Stats (P) 1:2 Calm (Z) | FanTaSy (T) 2:0 Hyuk (Z) | Hero (Z) 1:2 fOrGG (T) |
8강 1경기 | 8강 2경기 | 8강 3경기 | 8강 4경기 |
FlaSh (T) 3:0 fOrGG (T) | Calm (Z) 0:3 FanTaSy (T) | Light (T) 3:1 EffOrt (Z) | Sea (T) 1:3 Jaedong (Z) |
4강 1경기 | 4강 2경기 | ||
FlaSh (T) 3:2 FanTaSy (T) | Light (T) 2:3 Jaedong (Z) | ||
결승전 | |||
FlaSh (T) 3:2 Jaedong (Z) |
4. 4. 3. 피디팝 MSL (2010)
- 리그 기간: 2010년 12월 16일 ~ 2011년 2월 19일
- 지난 시즌 우승자 이영호 MSL 32강 탈락
- 박지수 , 은퇴로 부전패
- 16강에서 테란 전멸
- 클럽데이 온라인 MSL에 이어 두 번째로 한 종족이 4강 독식 (저그)
- 아발론 MSL에 이어 다시 저그 vs 저그 결승전
- 삼성전자 칸 역사상 최초로 저그 결승 진출자 배출 (차명환)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저그의 마지막 우승 (신동원)
- 결승전 장소 : 연세대학교 대강당
- 결승전 초대가수 : 달샤벳
- 우승 : 신동원, 준우승 : 차명환, 3위 : 김명운 · 이제동
4. 4. 4. ABC마트 MSL (2011)
- 리그 기간: 2011년 4월 14일 ~ 2011년 6월 11일
- 역대 최강의 죽음의 조(DSL; 이제동, 이영호, 김택용, 염보성이 D조에 편성됨)가 이루어졌다.
- 박성균이 곰TV MSL 시즌4 이후 9시즌 만에 MSL 8강에 진출하였다.
- 이제동은 6시즌 연속 4강에 진출하였다. (아발론 - NATE - 하나대투증권 - 빅파일 - 피디팝 - ABC마트)
- 김명운은 생애 최초로 개인리그 결승에 진출하였다.
- 이영호가 MSL 3회 우승을 기록하면서 MSL로고 금배지를 획득하였다.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 슬램 달성)
- 결승전 장소 : 광운대학교 대강당
- 결승전 초대가수 : 에이핑크
- MBC게임에서 MBC뮤직으로 채널 이름과 장르가 변경되면서 이 대회는 MBC게임 마지막 MSL이 되었다.
- 우승 : 이영호, 준우승 : 김명운, 3위 : 이제동 · 신동원
16강 1경기 | 16강 2경기 | 16강 3경기 | 16강 4경기 |
---|---|---|---|
이제동 2 : 1 Stork | Light 1 : 2 Mind | Leta 2 : 1 Soulkey | Calm 2 : 1 Hyuk |
16강 5경기 | 16강 6경기 | 16강 7경기 | 16강 8경기 |
hero 0 : 2 김명운 | Horang2 1 : 2 박재혁 | Reality 1 : 2 이제동 | Really 1 : 2 Flash |
8강 1경기 | 8강 2경기 | 8강 3경기 | 8강 4경기 |
이제동 3 : 1 박재혁 | 김명운 3 : 2 Calm | Hydra 3 : 1 Mind | Flash 3 : 1 Leta |
4강 1경기 | 4강 2경기 | ||
이제동 1 : 3 김명운 | Hydra 0 : 3 Flash | ||
결승전 | |||
김명운 0 : 3 Flash |
5. 이벤트 리그
5. 0. 1. 2001년 KPGA 12월 챔피언십
- 리그 기간: 2001년 12월 27일 ~ 2002년 1월 24일
- 챔피언십으로 진행됨
- 성학승, 홍진호, 김정민, 강도경 등 4명의 선수가 풀리그를 통해 결승 진출자를 선발하기 위한 4강전을 치렀다.
- * 성학승은 3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가장 먼저 결승행을 확정, 홍진호, 김정민, 강도경은 1승 2패 동률로 재경기에 돌입했다.
- * 재경기에서 세 명의 선수는 다시 한번 동률을 이뤄 재재경기에 돌입했고, 결국 홍진호가 2승을 기록하며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오후 8시에 경기를 시작하여 새벽 2시에 경기를 마침)
- MBC게임 최초의 야외무대 결승
- 결승전 장소: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 먼저 3, 4위전이 진행된 뒤, 결승전 진행
- 우승 성학승, 준우승 홍진호, 3위 김정민, 4위 강도경
5. 0. 2. KTEC KPGA 위너스 챔피언십 (2003)
- 리그기간: 2003년 1월 23일 ~ 2003년 3월 22일
- MBC게임 최초이자 마지막인 KPGA투어 왕중왕전 성격의 위너스 챔피언십.
- 결승전 장소: 여의도 공원 (이때 올스타전으로 팬들과 함께하는 이벤트 경기를 진행)
- 우승 홍진호, 준우승 임요환, 3위 이윤열, 4위 박신영
5. 0. 3. KTF Bigi배 스타크래프트 4대천왕전 (2003)
- 리그기간 : 2003-01-29
MBC게임에서 펼쳐진 최초의 이벤트전이다.
5. 0. 4. Ladies MSL (2005)
- 리그기간 : 2005년 2월 17일 ~ 2005년 4월 7일
- 특이사항
- * 처음이자 마지막인 여성 MBC게임 스타리그
- * 총상금 800만원
- * 8강 더블엘리미네이션 3전 2선승제로 경기
- 우승 서지수, 준우승 김영미, 3위 이종미, 4위 강현
5. 0. 5. NATE Pre MSL 로얄로더 토너먼트 (2009)
2009년 11월 12일부터 2009년 11월 14일까지 차기 시즌 로열로더 9명이 진행한 이벤트성 토너먼트이다. 9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우승은 김재춘이 차지했으며, 준우승은 임정현, 3위는 김동현, 4위는 도재욱이었다.6. 역대 MSL 진출자 명단
역대 MSL 진출자는 굵은 글씨로 표시한다.
7. 역대 결승전 결과
연도 | 리그 및 스폰서 | 우승자 | 결과 | 준우승자 |
---|---|---|---|---|
2002 | 1차 KPGA | 임요환 | 3-1 | 홍진호 |
2002 | 리복배 2차 KPGA | 이윤열 | 3-2 | 홍진호 |
2002 | 펩시 트위스트배 3차 KPGA | 이윤열 | 3-0 | 박정석 |
2002 | 스타우트 & 베스킨라빈스배 4차 KPGA | 이윤열 | 3-2 | 조용호 |
2003 | 스타우트 MSL | 강민 | 3-0 | 이윤열 |
2003 | TG삼보 MSL | 최연성 | 3-0 | 홍진호 |
2004 | 하나포스 센게임 MSL | 최연성 | 3-2 | 이윤열 |
2004 | 스프리스 MSL | 최연성 | 3-2 | 박용욱 |
2004 | 당신은 골프왕 MSL[3] | 박태민 | 4-2 | 이윤열 |
2005 | UZOO MSL | 마재윤 | 3-1 | 박정석 |
2005 | CYON MSL | 조용호 | 3-1 | 마재윤 |
2006 | 프링글스 MSL S1 | 마재윤 | 3-1 | 강민 |
2006 | 프링글스 MSL S2 | 마재윤 | 3-1 | 심소명 |
2007 | 곰TV MSL S1 | 김택용 | 3-0 | 마재윤 |
2007 | 곰TV MSL S2 | 김택용 | 3-2 | 송병구 |
2007 | 곰TV MSL S3 | 박성균 | 3-1 | 김택용 |
2008 | 곰TV MSL S4 | 이제동 | 3-1 | 김구현 |
2008 | 아레나 MSL | 박지수 | 3-0 | 이제동 |
2008 | 클럽데이 온라인 MSL | 김택용 | 3-1 | 허영무 |
2009 | 로스트사가 MSL | 박찬수 | 3-1 | 허영무 |
2009 | 아발론 MSL | 김윤환 | 3-1 | 한상봉 |
2009 | 네이트 MSL | 이제동 | 3-1 | 이영호 |
2010 | 하나대투증권 MSL | 이영호 | 3-0 | 이제동 |
2010 | 빅파일 MSL | 이영호 | 3-2 | 이제동 |
2010 | 피디팝 MSL | 신동원 | 3-1 | 차명환 |
2011 | ABC마트 MSL | 이영호 | 3-0 | 김명운 |
8. 리그별 공식맵
MSL에서 사용된 공식 맵은 기본적으로 4개 맵을 원칙으로 한다.(2001년 KPGA 8,9월 투어, 2002년 KPGA 4차리그 제외)[6]
UZOO MSL부터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서로 1개씩 공통맵을 사용했고, 곰TV MSL 시즌2부터는 프로리그와 공통맵을 2가지씩 사용했다.[4]
- '''2001년 KPGA 8월 투어''': Universal Tripod, Symmetry of Psy, Back and Belly
- '''2001년 KPGA 9월 투어''': Universal Tripod, Symmetry of Psy, Plains to Hill
- '''2001년 KPGA 10월 투어''': Universal Tripod, Symmetry of Psy, Plains to Hill, Lost Temple
- '''2001년 KPGA 11월 투어''': Universal Tripod, Symmetry of Psy, Plains to Hill, Lost Temple
- '''2001년 KPGA 12월 챔피언십''': Universal Tripod, Symmetry of Psy, Plains to Hill, Lost Temple
- '''2002년 KPGA 투어 1차리그''': Wish Bone, Symmetry of Psy2, Plains to Hill1.07, River of flame
- '''2002년 리복배 KPGA 투어 2차리그''': Blade Storm, Indian Lament, Plains to Hill, River of flame
- '''2002년 펩시트위스트배 KPGA 3차리그''': Blade Storm, Indian Lament[5], Plains to Hill, River of flame
- '''2002년 스타우트 & 베스킨라빈스배 KPGA 4차리그''': Blade Storm, Acheron, Plains to Hill, River of flame, Face Off
- '''2003년 KTEC KPGA 위너스 챔피언십''': Blade Storm, Sauron, Plains to Hill (D), JRs Memory (J)
- '''[1차] 스타우트 MSL''': Charity, Dark Sauron, Gauntlet 2003, JRs Memory (J)
- '''[2차] TG삼보 MSL''': U-Boat, Enter the Dragon, Gauntlet_TG, JRs Memory (J)
- '''[3차] 하나포스 센게임 MSL''': U-Boat 2004, Enter the Dragon 2004, Luna, Detonation
- '''[4차] 스프리스 MSL''': Parallellines 3, Into the Darkness, Luna MBCGame, Detonation F
- '''[5차] 당신은 골프왕 MSL''': Raid-Assault, Into the Darkness II, Luna_당신은 골프왕, Arizona
- '''[6차] UZOO MSL''': Raid-Assault 2, Rush Hour_UZOO, Luna the Final, Neo Requiem
- '''[7차] CYON MSL''': Dark Sauron ll, Rush Hour ll, R-Point, Ride of Valkyries
- '''[8차] 프링글스 MSL 시즌1''': Pringles_The Eye, Rush Hour lll, Arcadia, 815 lll
- '''[9차] 프링글스 MSL 시즌2''': Longinus, Blitz_Pringles, Arcadia II, 신 백두대간
- '''[10차] 곰TV MSL 시즌1''': Longinus ll, Blitz X, Gom TV_Desert Fox, Reverse Temple
- '''[11차] 곰TV MSL 시즌2''': Desperado, Gom TV_Loki, Python, Monty Hall
- '''[12차] 곰TV MSL 시즌3''': ZodiAc, Gom TV_Loki ll, Python, Blue Storm
- '''[13차] 곰TV MSL 시즌4''': ZodiAc, Gom TV_Loki ll, Katrina, Blue Storm
- '''[14차] 아레나 MSL 2008''': Tiamat, Athena, Othello, Colosseum
- '''[15차] 클럽데이 온라인 MSL''': Athena 2, Byzantium 2, Medusa, Destination
- '''[16차] 로스트사가 MSL 2009''': Byzantium 2.3, 신 청풍명월, Destination, Carthage
- '''[17차] 아발론 MSL''': Byzantium 3, Carthage 3, 단장의 능선, Outsider
- '''[18차] NATE MSL 2009''': Odd-Eye, Ultimatum, 투혼, Match Point
- '''[19차] 하나대투증권 MSL 2010''': Odd-Eye 2, Triathlon, 투혼, Match Point
- '''[20차] 빅파일 MSL 2010''': Odd-Eye 3, Triathlon, 투혼, 폴라리스랩소디
- '''[21차] 피디팝 MSL 2010''': 벤젠, Triathlon, 서킷브레이커, 단테스피크
- '''[22차] ABC마트 MSL 2011''': 단테스피크SE, Monte Cristo, 서킷브레이커, 라만차
9. MSL 경기 기록
김동우와 김완철의 경기가 MBC게임 스타리그(MSL)의 첫 번째 경기였다.(2001 KPGA 8월 투어) 1000번째 경기는 박성훈과 윤용태의 경기였다.(Gom TV MSL S2) 이윤열은 172전 105승 69패로 최다전, 최다승, 최다패 선수이다. 최고 승률 선수는 이영호로, 69.8%이다.
10. MSL 기록
- '''최초의 MSL 우승''' - 임요환(2002 KPGA 1차 리그)
- '''최초의 MSL 3회 우승(양대 최초 3회 우승)''' - 이윤열(2002 KPGA 2차, 3차, 4차 리그)
- '''저그 최초의 MSL 우승''' - 박태민(당신은 골프왕 MSL 2004)
- '''프로토스 최초의 MSL 우승''' - 강민(스타우트 MSL 2003)
- '''최초의 저그 2회 우승''' - 이제동(곰TV MSL Season 4, NATE MSL 2009)[7]
- '''최초의 프로토스 3회 우승''' - 김택용(곰TV MSL Season 1, Season 2,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 '''양대 최초 세 종족 상대로 우승''' - 최연성 (TG 삼보 MSL ''VS 홍진호(Z)'', 하나포스 센게임 MSL 2004 ''VS 이윤열(T)'', 스프리스 MSL 2003 ''VS 박용욱(P)'')
- '''MSL 로얄로더 (첫 진출만에 우승)''' - 강민, 최연성, 김택용, 박성균
- '''MSL 최초의 동족전 결승''' - 최연성 vs 이윤열 (하나포스 센게임 MSL 2004)
- '''양대 방송 개인리그 최초의 저그 대 저그 결승전''' - 조용호 VS 마재윤 (CYON MSL 2005)
- '''MSL 최초의 토스 대 토스 결승전''' - 김택용 VS 송병구 (곰TV MSL Season 2)
- '''최초로 한 종족이 4강 독식''' -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 김구현 - 허영무, 윤용태 - 김택용 (4강 진출자 모두 프로토스)
- '''두 번째로 한 종족이 4강 독식''' - 피디팝 MSL 2010 : 이제동 - 신동원, 차명환 - 김명운 (4강 진출자 모두 저그)
- '''MSL 최다 결승 진출자''' - 이윤열(6회)
- '''MSL 연속 진출 최다 횟수''' - 김택용(14회)
- '''MSL 최연소 우승''' - 박성균 (만16세 1개월 14일 - 곰TV MSL Season 3)[8]
- '''스틸 드래프트 최하위권 순번 우승''' - 박성균(곰TV MSL Season 3 - 스틸드래프트 지명순번 31번)
- '''최초 양대리그 스폰서''' - NHN (NHN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당신은 골프왕 MSL 2004)
- '''최장기간 MSL 스폰서''' - 곰TV (곰TV MSL Season 1 ~ Season 4, 4시즌 연속 후원)
- '''양대 최초 단일리그 3연속 동일 대진의 결승''' - 이영호 vs 이제동 (NATE MSL 2009, 하나대투증권 MSL 2010, 빅파일 MSL 2010)
- '''MSL 최다우승''' - 이윤열, 최연성, 김택용, 이영호(3회 우승)[9]
- '''MSL 최다준우승''' - 이윤열, 홍진호, 이제동 (3회 준우승)
- '''프로토스 최후의 MSL 우승''' - 김택용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 '''저그 최후의 MSL 우승''' - 신동원 (피디팝 MSL 2010)
- '''테란 최후의 MSL 우승''' - 이영호 (ABC마트 MSL 2011)
- '''최후의 MSL 우승''' - 이영호 (ABC마트 MSL 2011)
11. MSL 경기장 및 해설자, 주관 방송사
11. 1. 경기장
2001년 KPGA 8월 투어부터 KTEC KPGA 위너스 챔피언십까지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MBC경영지원센터 2층 A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스타우트 MSL부터 프링글스 MSL 시즌1까지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세중게임월드에서 개최되었다. 프링글스 MSL 시즌2부터 곰TV MSL 시즌4까지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히어로센터에서 진행되었다. 아레나 MSL 2008부터 ABC마트 MSL 2011까지는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룩스 히어로센터에서 개최되었다.11. 2. 해설자
김철민 캐스터와 이승원, 김동준, 강민, 유대현, 한승엽, 정인호, 임성춘, 박상현이 해설을 담당했다. 2001년 KPGA 8월 투어부터 2002년 펩시트위스트배 3차 KPGA까지는 이현주와 임영수도 해설을 담당했다. 2002년 스타우트 & 배스킨라빈스배 4차 KPGA 엑스트라 매치에서는 성상훈, 매가 매치에서는 이준호가 해설을 맡았다. NATE MSL 2009에서는 목요일 저녁 7시 30분에 박상현 캐스터와 정인호, 임성춘 해설로 진행되었다. 피디팝 MSL 2010에서는 유대현과 임성춘이 해설진에 합류했다.12. MSL 우승자 상징
MSL에서 1회 우승을 하면 MSL 로고 은배지를 수여받고, 3회 우승을 하면 MSL 로고 금배지를 수여받는다.[10] MSL 로고 금배지는 이윤열, 최연성, 김택용, 마재윤, 이영호가 수상하였다.[10]
참조
[1]
기사
《포모스》MBC게임, 서바이버 토너먼트 진행 방식 변경
http://www.fomos.kr/[...]
포모스
[2]
기사
《포모스》서바이버 토너먼트, 원데이 듀얼토너먼트 방식으로 회귀
http://www.fomos.kr/[...]
포모스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