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 범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성 범씨는 중국 낭야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범승조는 원나라에서 예부시랑을 지냈으며, 1274년 고려 충렬왕 때 제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에 와서 나주에 정착했다. 범유수는 고려 시대 문하시랑을 지냈으며 여진족 토벌에 공을 세워 금성군에 봉해졌다. 금성 범씨는 전라남도 나주시의 옛 지명인 금성을 본관으로 사용하며, 주요 인물로는 범세동, 범기생, 범경문 등이 있다.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금성 범씨는 3,663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성 범씨 - 숙의 범씨
조선 철종의 후궁인 숙의 범씨는 궁녀로 입궐하여 철종의 승은을 입고 영혜옹주를 낳았으며, 숙의에 봉해진 후 철종 사후 궐 밖에서 생활하다 사망하여 서삼릉 경내 후궁 묘역에 묻혔다.
금성 범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가문 이름 | 금성 범씨 |
이칭 | 나주 범씨 |
관향 | 전라남도 나주시 |
시조 | 범승조 |
역사 | |
창성 시기 | 미상 |
시조 | 범승조 |
범승조 설명 | 당나라에서 신라로 귀화 |
본관 유래 | 범승조가 금성(나주)에 정착 |
주요 인물 | 범유휴 |
인구 통계 | |
2015년 인구 | 3,782명 |
주요 인물 | |
고려 시대 | 범유휴(范有睢) |
조선 시대 | 범세동 범기생 범경문 숙의 범씨 범대순 범택균 |
기타 | |
집성촌 |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광주광역시 북구 생룡동 전라남도 장성군 남면 덕성리 |
2. 역사
금성 범씨의 시조 범승조(范承祖)는 중국 낭야 사람으로 원나라에서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냈다. 1274년(고려 원종 15년) 충렬왕 비인 제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로 와서 진해진(鎭海鎭:지금의 나주)에 정착하였다. 그는 당시 북송 정이천(程伊川)의 『역전(易傳)』, 주자(朱子)의 『사서집주(四書集註)』, 『백가예설(百家禮說)』등 많은 문헌을 가지고 들어와 널리 보급하였다고 전한다. 그의 아들 범유수(范有睢)는 고려 때에 문하시랑(門下侍郞)에 올랐으며, 1334년(충숙왕 3)에 지휘사(指揮使)가 되어 여진족 토벌에 공을 세워 일등공신(一等功臣)으로 책록되었고 금성군(錦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2. 1. 시조 및 기원
금성 범씨(錦城范氏)의 시조 범승조(范承祖)는 중국 낭야(瑯琊) 사람으로 원나라에서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냈다. 1274년(고려 원종 15년)에 충렬왕 비인 제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로 와서 진해진(鎭海鎭:지금의 나주)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그는 당시 북송 정이천(程伊川)의 『역전(易傳)』, 주자(朱子)의 『사서집주(四書集註)』, 『백가예설(百家禮說)』 등 많은 문헌을 가지고 들어와 널리 보급하였다고 전한다. 그의 아들 범유수(范有睢)는 고려 때에 문하시랑(門下侍郞)에 올랐으며, 1334년(충숙왕 3)에 지휘사(指揮使)가 되어 여진족 토벌에 공을 세워 일등공신(一等功臣)으로 책록되었고 금성군(錦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2. 2. 고려 시대
금성 범씨(錦城范氏)의 시조 범승조(范承祖)는 중국 낭야(瑯琊) 사람으로 원나라에서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냈다. 1274년(고려 원종 15년)에 충렬왕 비인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를 따라 고려로 와서 진해진(鎭海鎭:지금의 나주)에 정착하였다.[1] 그는 당시 북송 정이천(程伊川)의 『역전(易傳)』, 주자(朱子)의 『사서집주(四書集註)』, 『백가예설(百家禮說)』등 많은 문헌을 가지고 들어와 널리 보급하였다고 전한다.[1] 그의 아들 범유수(范有睢)는 고려 때에 문하시랑(門下侍郞)에 올랐으며, 1334년(충숙왕 3)에 지휘사(指揮使)가 되어 여진족 토벌에 공을 세워 일등공신(一等功臣)으로 책록되었고 금성군(錦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1]3. 본관
금성(錦城)은 전라남도 나주시의 옛 지명이다. 백제의 발라군(發羅郡)이었는데, 백제 멸망 후 당나라가 대방주(帶方州)를 설치하였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 이후 금산군(錦山郡) 또는 금성군(錦城郡)으로 부르며 무주(武州:광주)의 관할로 두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나주로 지명이 바뀌었고, 983년(성종 2)에 나주목이 설치되었다. 995년(성종 14)에는 나주진해군절도사(羅州鎭海軍節度使)가 되었다. 1018년(현종 9) 다시 나주목으로 고쳐 5개의 속군(무안‧담양‧곡성‧낙안‧남평)과 11개의 속현(철야‧반남‧안노‧복룡‧원율‧여황‧창평‧장산‧회진‧진원‧화순)을 거느렸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전라도 나주목 복룡(伏龍)의 속성(續姓)으로 범(汎)씨가 기록되어 있다.[1]
4. 주요 인물
- 범세동(范世東):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하였다가 고향으로 돌아갔다.
- 범기생(范起生): 조선 중기 의병장. 임진왜란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하였다.
- 범경문(范慶文): 조선 후기의 시인.
- 범윤덕(范潤德): 조선 후기 학자.
- 범대순(范大錞): 전남대학교 영문과 교수, 전남문인협회 회장 역임.
- 범택균(范澤均): 인천광역시 부시장 역임.
- 범희승(范熙承):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범기영: KBS 기자 겸 앵커.
- 숙의 범씨: 철종의 후궁.
4. 1. 역사 속 인물
- 범세동(范世東) : 자는 여명(汝明), 호는 복애(伏崖). 고려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덕녕부윤, 간의대부 등을 지냈다. 성리학을 연구하여 원천석과 함께 『화해사전』, 『동방연원록』을 편찬했다.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했다가 고향 광주광역시로 돌아갔으며, 조선 태종이 여러 번 벼슬을 권했으나 사양했다. 문충(文忠)의 시호를 받았으며, 여러 사당에 제향되었다.[1]
- 범기생(范起生, 1553년 ∼ 1593년) : 조선 중기 의병장. 임진왜란 때 김천일, 최경회, 고종후 등과 함께 왜군에 맞서 싸웠다. 진주성 전투에서 동생 범기봉과 함께 순절하였다. 사후 선무원종공신으로 녹훈되었고, 이조참의에 추증되었으며, 광주 복룡사에 배향되었다.[2]
- 범경문(范慶文, 1738년 ∼ 1800년) : 조선 후기 시인. 호는 검암(儉巖). 송석원시사 구성원들과 교류하며 창작활동을 했다. 저서로 『검암산인시집』이 있다.[3]
- 범윤덕(范潤德) : 호는 양성당(養性堂). 임헌회의 문인으로, 과거 공부 대신 후진 양성에 힘썼다.[4]
- 범대순(范大錞, 1930년 ~ 2014년) : 전남대학교 영문과 교수, 전남문인협회 회장 역임.
- 범택균(范澤均, 1932년 ~ ) : 前 인천시 부시장 역임.
- 범희승(范熙承, 1957년 ~ ) :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범기영(1976년~) : KBS 기자 겸 앵커.
4. 2. 현대 인물
- 범대순(1930년 ~ 2014년): 전남대학교 영문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전남문인협회 회장을 지냈다.
- 범택균(1932년 ~ ): 인천광역시 부시장을 역임했다.
- 범희승(1957년 ~ ):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 범기영(1976년 ~ ): KBS 기자 겸 앵커이다.
4. 3. 왕실 인척
철종의 후궁은 숙의 범씨이다.5. 항렬표
6. 집성촌
7. 인구
2015년 대한민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금성 범씨는 3,663명, 나주 범씨는 63명, 금산 범씨는 15명, 광주 범씨(光州 范氏)는 41명으로 집계되어 총 3,782명이다.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금성범씨 錦城范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0
[4]
웹사이트
범씨(范氏) 본관(本貫) 금성(錦城)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