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천일은 1537년 나주에서 태어난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이다. 임진왜란 발발 후 의병을 일으켜 강화성을 거쳐 한성부를 공격하는 등 활약했으며, 명나라와의 강화에 반대하며 진주성 방어에 참여했다.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성이 함락되자 아들 김상건과 함께 남강에 투신하여 순국했다. 사후 선조는 좌천승을, 광해군은 영의정을 추증했으며, 유성룡은 그의 징비록에서 그를 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천 김씨 - 김도연 (정치인)
김도연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한국민주당 창당과 초대 재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대한민국 건국에 기여한 정치인으로, 야당 활동과 국무총리 지명, 한일 기본조약 반대 투쟁 등을 벌이다 건국공로훈장을 받았다. - 언양 김씨 - 김취려
김취려는 고려 시대 음관 출신 무신으로, 거란족 침입 격퇴와 반란 평정 등의 공을 세워 판병부사 시중에 이르렀고 고종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청렴결백하고 뛰어난 계략으로 전공을 세웠다는 평가를 받는다. - 언양 김씨 - 김기덕 (1934년)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대학교수였던 김기덕은 1961년 데뷔 후 66편의 영화를 연출하고 대종상 신인감독상을 수상했으며, 은퇴 후 서울예술대학교 영화과 교수로 재직했다. - 한국의 자살한 사람 - 김우진 (1897년)
김우진은 1897년 전라남도 장성에서 태어나 와세다 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극예술협회 등을 통해 표현주의 문예이론을 소개했으며, 윤심덕과 불륜 관계를 맺고 1926년 자살했다. - 한국의 자살한 사람 - 윤심덕
윤심덕은 일제강점기 한국 최초의 소프라노 가수이자 배우로, 극작가 김우진과의 비극적인 동반 자살과 함께 발매된 '사의 찬미'로 유명하며, 그녀의 삶은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김천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천일 |
한자 표기 | 金千鎰 |
로마자 표기 | Gim Cheon-il |
자 | 사중(士重) |
호 | 건재(健齋), 극념당(克念堂) |
시호 | 문렬(文烈) |
생애 | |
출생 | 1537년, 조선 전라도 나주목 |
사망 | 1593년 7월 27일, 조선 경상도 진주목 |
가족 | |
자녀 | 김상건(아들), 김상곤(아들) |
경력 | |
직업 | 문신, 의병장 |
기타 | |
본관 | 언양 김씨 |
2. 생애
김천일은 학문에 대한 관심이 많고 마음이 따뜻한 사람이었다.[1] 선조는 김천일이 32세가 되던 해에 그를 관료로 등용하지 못한 것을 안타깝게 여겼다.[2] 5년 후, 김천일은 관직에 등용될 것을 추천받았고, 성공적으로 관직에 나아갔다.[3] 이후 수년간 김천일은 선조의 훌륭한 신하 중 한 명으로 활약했다.[4]
사후, 1603년 선조는 김천일에게 좌찬성 칭호를 내렸고, 1610년 광해군은 영의정을 하사했다.[4] 나주의 정열사, 진주의 창렬사, 순창의 화산서원, 태인의 남고서원, 임실의 학정서원 등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열이다.
2. 1. 초기 생애
1537년 전남 나주군에서 진사(進士) 김언침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이항의 문하에서 수업하였다.[1] 1573년 학행으로 발탁되어 군기시 주부가 되었고, 이후 용안현감과 강원도·경상도의 도사를 역임하였다. 사헌부 지평 때 상소를 올렸다 좌천되어 외직으로 나갔으며, 1578년 임실 현감을 지냈다. 이후 담양 부사·한성부 서윤·수원 부사를 역임하였다.2. 2. 임진왜란과 의병 활동
1592년 임진왜란 때 나주에서 고경명, 최경회, 박광옥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킬 것을 호소하고, 5월 6일 의병을 일으켰다. 평안도를 향하다 왜적과 전투를 벌이며 수원 행산고성을 거쳐, 8월 전라병사 최원의 관군과 함께 강화성으로 들어갔다.그 공으로 장례원 판결사가 되고 창의사의 군호를 받았다. 왜군이 점령한 한성부에 결사대를 비밀리에 잠입시켜 싸우거나, 한강변의 여러 왜군 진지를 급습하는 등 크게 활약하였다. 이듬해 명나라 이여송의 군대가 개성으로 오고 있을 때, 이들에게 지형과 적의 형편 등을 알려 작전을 도왔다.
왜군이 남쪽으로 후퇴하기 시작하자, 이를 추격하여 1593년 음력 6월에 병마절도사 최경회 등과 진주성에 주둔하였다. 같은 해 명나라와 왜국 간에 강화가 제기되었을 때 이를 반대했다. 그 후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왜군이 대군을 이끌고 성벽을 넘어 들이닥쳤으나, 아군은 화살이 떨어지고 창검이 부러져 대나무 창으로 맞서 싸우다가 마침내 성이 함락되었다. 이에 그의 아들 김상건과 함께 남강에 투신하여 자살하였다.
유성룡은 《징비록》에서 “김천일은 의만 높고 재주가 없어서 졌다.”고 평가하였다.
1592년, 일본의 간파쿠인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명나라를 침략하기 위한 길목으로 한국을 침략했다. 그의 사무라이 군대는 초기에 성공을 거두어 한국 남부의 많은 지역을 점령했다. 당시 55세였던 중급 관리 김천일은 고향인 나주에서 300명의 작은 의병을 일으켰다. 그는 의병을 이끌고 북쪽으로 진군하며 도중에 병력을 모집하여 의주에 도착, 침략자로부터 선조 임금을 방어하려 했다. 대신 그들은 강화도에 주둔했다.
2. 3. 제2차 진주성 전투와 순절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나주에서 고경명, 최경회, 박광옥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킬 것을 호소하고, 5월 6일 의병을 일으켰다.[4] 수원 행산고성을 거쳐, 8월 전라병사 최원의 관군과 함께 강화성으로 들어갔다.[4] 그 공으로 장례원 판결사가 되고 창의사의 군호를 받았다.[4] 왜군의 점령하에 있던 한성부에 결사대를 비밀 잠입시켜 싸우거나, 한강변의 여러 왜군진을 급습하는 등 크게 활약하였다.[4] 이듬해 명나라 이여송의 군대가 개성으로 오고 있을 때, 이들에게 지형과 적의 형편 등을 알려 작전을 도왔다.[4]왜군이 남으로 후퇴하기 시작하자, 이를 추격하여 1593년 음력 6월에 병마절도사 최경회 등과 진주성에 주둔하였다.[4] 1593년 명나라와 왜국 간에 강화가 제기되었을 때 이를 반대했다.[4]
고니시 유키나가는 명나라 군사 고문 심유경에게 가토 기요마사가 전년도 전투의 복수를 위해 진주를 공격할 것이라고 알렸고, 심유경은 조선 군대에 진주를 포기하라고 조언했다. 그러나 김천일은 심유경의 조언을 따르지 않고 황진 등이 이끄는 조선 군인, 고종후가 이끄는 의병대와 합류하여 진주를 방어했다.[4] 진주는 가토 기요마사, 고니시 유키나가, 우키타 히데이에 및 기카와 히로이에가 이끄는 사무라이 군대에 의해 포위되었다.[4]
일본 지휘관들은 항복을 요구했지만, 김천일은 중국 증원군이 오고 있다고 답했다.[4] 그러나 심유경과 중국 장군들은 진주를 방어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왜군이 대군을 이끌고 성벽을 넘어 들이닥쳤으나, 아군은 화살이 떨어지고 창검이 부러져 대나무 창으로 맞서 싸우다가 마침내 1593년 7월 27일 성이 함락되었다.[4] 이에 그의 아들 김상건과 함께 남강에 투신하여 자결하였다.[4] 일본군은 남은 수비대를 학살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할아버지 | 김윤손(金潤孫) | |
아버지 | 김언침(金彦琛) | |
어머니 | 양성 이씨 | 이감(李瑊)의 딸 |
부인 | 김해 김씨 | 위원군수 김효량(金孝良)의 딸 |
아들 | 김상건(金象乾) | 1557~1593 |
손자 | 김영종(金永宗) | |
손녀 | 최득일(崔得一) | 출가 |
손녀 | 홍남주(洪南柱) | 출가 |
외증손자 | 홍이익(洪以益) | |
외증손자 | 홍이무(洪以武) | |
아들 | 김상곤(金象坤) | |
손자 | 김찬종(金纘宗) | |
증손녀 | 이담(李澹) | 출가 |
증손녀 | 나희(羅僖) | 출가 |
외현손 | 나천로(羅天老) | 진사 |
외현손 | 나천정(羅天鼎) | 진사 |
외현손 | 나천형(羅天亨) | 진사 |
외현손 | 나천태(羅天兌) | |
손녀 | 정립(鄭岦) | 출가 |
딸 | 정진명(鄭振溟) | 출가 |
4. 저서
《송천집》, 《건재유집》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1-09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1-09
[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1-09
[4]
웹사이트
김천일(金千鎰)
http://encykorea.aks[...]
2022-01-09
[5]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http://people.aks.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