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독교 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학교는 기독교 교리에 기반한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이다. 기독교 학교는 기독교 교파들이 교리 교육을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긴 전통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일제강점기에 군국주의의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현재 미국, 캐나다, 유럽,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다. 각 지역의 기독교 학교는 종교적, 교육적 철학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가지며, 학교의 교육 과정과 특징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학교 - 정신여자고등학교
    정신여자고등학교는 1887년 애니 엘러스에 의해 설립된 대한민국의 사립 고등학교이며, 일제강점기 폐교되었다가 1947년 재인가를 받았고, 잠실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여 많은 저명한 동문을 배출하였다.
  • 기독교 학교 - 안티오키아 학파
    안티오키아 학파는 초기 기독교 시대 안티오키아를 중심으로 형성된 신학 학파로, 유일신 사상 강조 및 역사적 성경 해석에 기여했으나, 그리스도의 인성 강조로 신인 양성 분리 문제를 야기했으며, 에페소스 공의회 이후 위상이 약화되었으나 칼케돈 공의회 이후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 내 유일한 신학 학교로 자리매김했다.
기독교 학교
개요
유형사립학교
종교적 제휴기독교
교육 단계유치원 ~ 12학년 (일반적)
특징기독교적 가치관과 신앙을 교육 과정에 통합
역사 및 배경
설립 동기기독교적 세계관에 따른 교육 제공, 공립학교의 세속적 가치에 대한 대안
특징성경적 가르침, 기도, 예배 등의 종교 활동 포함
교육 과정
특징일반적인 학문 과목 외에 성경 공부, 기독교 윤리, 종교 역사 등을 포함
목표학생들의 영적 성장과 학문적 성취를 동시에 추구
기타
특징다양한 교단 및 교회의 지원을 받아 운영
홈스쿨링 네트워크와 연계되기도 함
미션 스쿨 형태로 운영되기도 함

2. 역사

출진 학도 장행회 (1943년 10월 21일)에서의 아오야마가쿠인의 분열 행진


국방 헌금으로 육군에 헌납된 전투기 도지샤호(전시기의 기독교주의 학교는 폐교를 피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전쟁 협력에 참여했다.)


가톨릭 계열 학교는 '가톨릭 학교'라고도 불린다. 일본에서는 일본 가톨릭 학교 연합회(가톨릭 계열), 기독교 학교 교육 동맹(프로테스탄트 계열)등의 기독교 학교 연합 조직이 있다.

가톨릭 계열 학교는 수도회가 설립하는 경우가 많아 중학교·고등학교에서는 전통적으로 남녀 분반 (남자 학교·여자 학교)가 주류였지만, 일본에서는 저출산으로 인해 학교 경영상의 이유로 남녀 공학화하는 학교가 늘고 있다.

일본에서는 중고 일관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가 많고, 대규모 기독교 학교에서는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교육 기관을 갖추고 '에스컬레이터식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 법인도 있다. 초·중·고등학교에서는 한 학급당 인원을 적게 한 소수 인원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도 많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단기 대학 외에도, 살레시오 공업 고등 전문학교와 같이 고등 전문학교를 설립하는 예도 있다. 기독교 교회가 전통적으로 힘을 쏟아온 교육·보육, 의료·간호, 복지 등의 분야 전문학교(전문학교·각종 학교)도 다수 존재하며, 간호사나 보육사 등을 육성한다. 이러한 전문학교는 기독교 계열 대학이나 병원의 부속 학교로 설치되는 경우도 많다.

학교 외에도 기독교 계열의 사립 유치원이나 보육원이 다수 존재한다. 기독교인이 적은 일본에서는 교회에 병설된 유치원이나 보육원의 보육료(수업료)가 교회의 재정을 지탱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쇼와 초기 군국주의가 대두하고 교육 및 사상 분야에서 국가주의가 강화되면서 기독교 학교는 어려운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

전후, 연합군 최고사령부는 기독교 학교에서 행해지던 신앙의 자유에 반하는 행위를 문제 삼아, 일본 정부에 대학, 전문학교, 중등 학교 등 81개 학교에서 전시 중 해직자 및 커리큘럼 개폐 등에 대한 조사를 명령했다. 릿쿄 대학에서는 전시 중에 기독교 학교로서의 특색을 없애고, 전후에도 신앙의 자유 회복을 강구하지 않아, 당시 총장, 중학부 교장, 학생감 외 8명에게 즉시 해직, 공직 추방 처분이 내려졌고,[72] 이사회는 새로운 체제로 재건되어 갔다.[73]

2. 1. 기원과 발전

전통적으로, 많은 기독교 교파들은 교리 교육을 아이들의 교육 형성에 필요한 부분으로 여겨왔다. 엠마누엘 교회 연합회는 아이들의 마음과 정신을 형성하는 책임이 하나님으로부터 부모에게 우선적으로 주어졌다고 믿으며, 이를 위해 보호받는 기독교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고 가르친다.[2] 이러한 이유로, 기독교 교회들은 전 세계에 학교를 설립해왔다.

기독교 학교는 기독교인 또는 기독교주의를 지지하는 자가 관리·운영(설립자나 교장)하며, 성경이나 기독교 신학 관련 과목이 있고, 미사·예배 등의 활동을 종교 교육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등,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독교주의 학교는 성경 교육, 영어를 비롯한 어학 교육, 인문 과학, 사회 과학, 자연 과학으로 구성되는 리버럴 아츠 교육을 해왔으며, 특히 여자 교육에 있어 개척적인 역할을 해왔다.[55][56]

리버럴 아츠는 기독교 이념에 기초하여, 그리스·로마의 학문을 7개의 교과로 집대성한 '자유 7과'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등 교육 기관인 대학은 기독교주의에 입각하여 발전해 왔다. 자유 7과는 문법, 수사학, 논리학으로 구성된 트리비움(삼과)과 산술, 천문학, 기하학, 음악으로 구성된 쿼드리비움(사과)으로 구성되며, 이를 배우면 중세 최고위에 있던 신학을 배울 수 있었다. 13세기 이후 중세 대학에서는 자유 7과가 신학, 법학, 의학의 각 전문 학부로 진학하기 위한 학예 학부(교양 학부)의 핵심 교과가 되었고, 현재 대학 교육의 기반이 되었다.[50][57]

오늘날 기독교주의 학교는 성직자를 육성하는 신학교와는 달리, 교육 이념이 기독교에 기초한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이며, 기독교 신앙을 강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신자가 아니어도 배울 수 있다. 일본 대학의 약 10%가 기독교주의 대학이지만, 일본에는 크리스천이 1% 미만이므로, 대학 외에도 중학교, 고등학교 등 많은 기독교주의 학교에서 교직원과 학생 대부분이 크리스천이 아니다.[58] 세계에서는 크리스천이 세계 인구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며, 일본과 달리 교직원과 학생 중 크리스천 비율이 높다.[59][60]

2. 2. 한국의 기독교 학교

제공된 소스와 하위 섹션은 '한국의 기독교 학교' 섹션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일제강점기 일본 내 기독교 학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따라서 현재 주어진 정보로는 '한국의 기독교 학교'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추가적인 한국 기독교 학교에 대한 자료가 필요합니다.

2. 2. 1. 일제강점기 (15년 전쟁 시기)

1932년 (쇼와 7년) 조치 대학에서 야스쿠니 신사 참배 거부 사건이 일어났다. 1935년 (쇼와 10년) 6월 도지샤 고등상업학교에서 신단 사건이, 같은 해 7월 릿쿄 대학에서 채플 사건이 발생했으며, 아마미오섬에서는 가톨릭 탄압으로 오시마 고등여학교가 폐교되었다.[61]

쇼와 10년대에 들어서면서, 어진을 받는 것에 소극적이었던 기독교 학교들은 문부성의 지도를 받아 봉안전 또는 봉안고를 건설하여 어진을 받게 되었다.[62] 메이지가쿠인 예배당의 동남쪽에는 현재도 봉안고의 흔적이 남아있다.[63]

이 시기에는 기독교 학교에 대한 배속 장교의 압박도 점차 심해졌다. 1940년 (쇼와 15년) 5월 17일, 도호쿠가쿠인의 배속 장교가 크리스찬 학생에게 "그리스도와 천황 폐하 중 누가 더 위대한가"라고 질문하자, 학생 측이 분개하여 논쟁이 벌어지는 사건이 일어났다. 도호쿠가쿠인 당국은 이 일이 표면화되는 것을 두려워하여 "원만 종결책"을 강구, 원장이 직접 황군 중심주의, 황도 정신을 훈시하는 "일본적 기독교주의"를 채택하게 되었다.[64]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기독교 학교는 더욱 심한 압박을 받았다. 전시 방침에 따르지 않는 교사들이 퇴직을 강요당하고 교과 개폐 등이 이루어졌다. 교명 변경을 강요당한 학교도 있었다. (예: 페리스 와영 여학교→요코하마 야마테 여학원[65], 후렌도 여학교→세이유 여학교[66] 등)

1943년 (쇼와 18년)부터 1944년 (쇼와 19년)에 걸쳐 프로테스탄트 여러 교파의 신학교 통폐합이 진행되어, 아오야마가쿠인과 간세이가쿠인의 신학부도 폐지되었다.[67][68][69] 도지샤 대학의 신학과는 학도 출진으로 수업 계속이 불가능해져, 대학에 남은 신학자들의 연구 활동으로 명맥을 유지할 뿐이었다.[70][71]

3. 지역별 현황

기독교 학교는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각 지역의 역사, 문화, 종교적 배경에 따라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 '''유럽:'''
  • '''영국:''' 종교 학교라고 불리며, 잉글랜드 교회가 역사적으로 많은 학교를 제공해왔다. 1944년 교육법을 통해 국가 교육 시스템에 부분적으로 통합되었으며, 종교적 배경에 관계없이 학생을 수용하지만, 종교 학교는 해당 신앙을 가진 지원자에게 우선권을 주기도 한다. 사립 기독교 학교는 드물지만, 태형을 유지하려 한 리버풀 기독교 친교 학교와 같이 전국적으로 존재한다.
  • '''네덜란드:''' 1917년의 평화 협정 이후 종교 학교와 공립학교가 동일한 재정 지원을 받게 되었다. 종교 학교는 별도 교육으로 분류되어 일반 학교와는 다른 기관에서 운영된다. 2006년 기준으로 초등학교 4,955개, 고등학교 1,054개, 대학교 및 단과대학 309개가 있다.
  • '''러시아:''' 러시아 정교회가 주요 기독교 형태로, 1884년 "교회-교구 학교 규정"을 통해 초등 교육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카잔 중앙 세례 타타르 학교(1863년 설립), 심비르스크 중앙 추바시 학교(1868년 설립) 등 소수 민족에게 정교회를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 아카데미와 같이 해외 거주자 자녀를 위한 개신교 학교도 있다.

  • '''오세아니아:''' 19세기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교회에 의해 설립되어 오랜 역사를 지니며, 오늘날 오스트레일리아 사립 학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현대 개신교 기독교 학교 운동은 네덜란드 이민자들의 노력으로 시작되었으며, 1950년대 학부모 단체들이 기독교 학교 설립을 주도했다. 성공회 학교 오스트레일리아, 기독교 학교 오스트레일리아, 루터교 교육 오스트레일리아(LEA), 기독교 교육 전국, 오스트레일리아 기독교 학교 협회 등이 주요 상위 조직이다.

  • '''아프리카:''' 기독교 선교 단체들이 다른 학교가 없는 지역에 학교를 설립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기독교적 맥락에서 교육을 제공한다. 퓨 리서치 센터의 2016년 연구에 따르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무슬림기독교인 간의 교육 수준 격차가 큰데, 이는 식민지 시대 기독교 선교사들이 세운 교육 시설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 '''아시아:'''
  • '''이스라엘:''' 기독교 학교는 높은 교육 수준으로 유명하며, 아랍계 기독교인이 이스라엘에서 교육 수준이 가장 높은 집단 중 하나가 되는 데 기여했다. 많은 드루즈무슬림 학생들도 이스라엘 기독교 학교에 다닌다.
  • '''레바논:''' 16세기부터 드루즈 봉건 가문이 가톨릭 및 개신교 선교사들을 환영하며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파크르 앗딘 2세 통치하에 인쇄기가 도입되었고, 레바논 산 전역에 학교가 설립되었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베이루트 아메리카 대학교와 생 조셉 대학교가 설립되는 등 문학과 정치 활동도 활발해졌다.


틴타젤의 과거 교회 학교


글래스고의 세인트 알로이시우스 칼리지(RC)


오군 주 오타에 있는 코버넌트 대학교


레이네의 라틴 총대주교 학교


안투라의 생 조셉 칼리지

3. 1. 북아메리카

캐나다에서는 종교 교육에 대한 공적 자금 지원이 허용되며 때로는 의무화되기도 한다.[17] 캐나다의 많은 기독교 학교는 특정 기독교 분파와 관련이 없는 비종파적이다. 다른 학교는 가톨릭, 개신교, 정교회 등 특정 분파와 관련이 있는 종파적이다. 이 중 가톨릭 학교가 정부로부터 가장 많은 자금을 지원받으며, 많은 학교가 커리큘럼의 세속적 및 종교적 구성 요소 모두에 대해 자금을 지원받는다.[17]

역사적으로 캐나다의 '기독교 학교'는 사립 가톨릭 또는 개신교 단체에서 운영했다. 공교육이 발전하면서 다수(일반적으로 개신교) 신앙은 공립 학교에서, 소수 신앙(일반적으로 가톨릭)은 별도의 학교에서 담당하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캐나다 사회가 점점 더 종교 다원주의를 띠게 되면서 공립 학교는 점차 세속화되었다.

대부분의 주에서는 원래 각 학군에 가톨릭 학생과 비가톨릭 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육 위원회가 있었다. 많은 주에서 이를 폐지했지만, 온타리오, 앨버타, 서스캐처원노스웨스트 준주는 이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두 학교는 일반적으로 '가톨릭 학교 위원회'와 '공립 학교 위원회'로 불린다.

많은 비가톨릭 기독교인들은 가톨릭 신앙을 실천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가치관과 기준을 선호하여 자녀를 별도의 가톨릭 학교에 보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학생들은 특정 종교 교육 수업에서 면제된다. 미국 모델은 일부 사립 학교에서도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개신교 종파에서 운영한다.

캐나다의 공립 학교 위원회(가톨릭 위원회와 구별됨)는 현대에는 일반적으로 종교적 관련성이 없지만, 여전히 지역 사회 내 기독교인을 위한 종교 교육을 수용할 수 있다. 이는 개별적인 특수 목적 기독교 학교를 설립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세속적인 학교 내에서 종교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관행은 앨버타에서 매우 널리 퍼져서 많은 사립 기독교 학교가 공립 시스템 내에서 "대안 기독교 프로그램"으로 지역 공립 지구에 흡수되었다. 현재 이들은 완전 자금 지원을 받는 공립 학교로 운영되면서 철학, 커리큘럼 및 직원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가톨릭 학교와 어느 정도 동등성을 확보했다.

이러한 사립 학교는 국제 기독교 학교 협회(Association of Christian Schools International), 국제 기독교 학교(Christian Schools International)등 여러 다른 조직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온타리오 기독교 학교 연합(Ontario Alliance of Christian Schools) 및 프레리 기독교 학교 협회(Prairie Association of Christian Schools)와 같은 지방 조직도 있다.

3. 1. 1. 미국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주(州) 정부가 지원하는 교육 시스템에서 종교를 가르치지 않지만, 학교는 종교를 공부하려는 학생들에게 다른 모든 과외 활동과 마찬가지로 종교를 공부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1] 미국에서는 400만 명이 넘는 학생, 즉 12명 중 약 1명의 어린이가 종교 학교에 다니고 있으며, 그들 대부분은 기독교인이다.[1][3] 미국에는 많은 종교 교파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학교들의 교육 및 종교 철학에는 큰 다양성이 존재한다.[1]

실로 기독교 학교(Shiloh Christian School), 아칸소주 스프링데일.


남침례교(Southern Baptist Convention)는 남침례교 기독교 학교 연합에 소속된 다양한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4]

가톨릭 교회는 미국에서 가장 큰 기독교 교육 시스템을 운영한다.[1] 2011년 기준으로, 약 220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6,841개의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가 있으며, 대부분은 개별 교구본당에서 관리한다.[1][5]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미국 내 주요 보수 루터교)는 미국에서 가장 큰 개신교 학교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2018년 기준으로, LCMS는 1,127개의 유아 교육 센터와 유치원, 778개의 초등학교, 87개의 고등학교를 운영하며, 20만 명 이상의 학생들을 교육하고 21,000명의 교사가 가르치고 있다. LCMS가 운영하는 루터교 학교는 홍콩중국 본토에도 있다.[6] 위스콘신 복음주의 루터교 시노드는 2018년 기준으로 현재 403개의 유아 교육 센터, 313개의 초등학교, 25개의 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7]

미국 성공회는 약 1,200개의 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약 50개가 고등학교이다.[8] 이 학교들은 사립학교 학생의 약 2% 또는 미국 전체 학교 인구의 0.22% (115,000명)를 교육하고 있다.[1][9] 비교적 소수의 성공회 학교가 있지만, 매사추세츠주의 그로턴 스쿨과 뉴햄프셔주의 세인트 폴 스쿨과 같은 많은 학교들은 미국 예비 학교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10] 성공회 학교는 로마 가톨릭 학교보다 외부의 통제를 거의 받지 않는 독립 학교일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 많은 성공회 고등학교의 연간 등록금은 15000USD를 훨씬 넘으며, 이는 비종교 사립 학교의 평균보다 약간 높고, 비 로마 가톨릭 종교 학교의 평균(연간 약 7100USD)보다 훨씬 높으며, 로마 가톨릭 고등학교의 평균(연간 약 6000USD)의 두 배 이상이다.[11]

연합감리교회와 앨러게니 웨슬리안 감리교 연합은 미국 전역에서 종교 학교와 대학을 운영하고 있다.[12][13]

미국 내 많은 보수주의 복음주의자들은 "기독교 학교"라는 용어를 보수적인 복음주의 교단과 관련된 학교에 한정하여 사용하며, 특히 가톨릭 학교를 배제하는 경우가 많다.[14] 이러한 보수적인 복음주의 학교는 사립으로 운영되며, 종종 교회나 교단과 연계되어 있다. 자녀가 자신의 교회 원리에 따라 교육받기를 원하는 부모는 자녀를 그러한 학교에 보낼 수 있지만, 학교가 교회의 지원을 받거나 정부가 지원하는 학교 선택 또는 교육 바우처 프로그램의 일부가 아닌 한, 수업료를 지불해야 한다. 일부 미국 복음주의 학교는 크고 재정적으로 넉넉하지만, 다른 학교는 작고 지역 사회 자원 봉사자에게 의존한다.[1]

일부 복음주의 학교, 특히 근본주의 단체가 후원하는 학교는 정부의 자금 지원과 보조금을 받지 않는다. 이는 정부가 학교(및 잠재적으로 교회의) 운영을 더 많이 감시하고 법률을 제정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정부가 학교의 운영(그리고, 아마도 낙태 또는 동성애와 같은 논쟁적인 주제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을 지시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예시는 보조금을 받는 대가로 주 시민권법을 준수해야 하는 요구 사항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입학에 종교적 요구 사항을 필수로 하거나 학생이 종교 예배 참석을 거부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기독교 학교와 충돌할 수 있다. 학교가 정부의 자금을 전혀 받지 않더라도, 여전히 주 교육 과정, 학생 학업 성취 기준 및 주에서 의무화한 표준화된 시험 점수(해당하는 경우)를 준수해야 한다. 또한 교실 내 교육 품질 및 교사 자격에 대한 정부 규제 기관의 표준 검사를 받아야 하며, 이는 교실 방문을 포함할 수 있다. 정부의 자금을 받지 않는 것은 복음주의 학교에 대한 정부의 관리를 피하지만, 정부의 감독을 제거하지는 않는다.[1]

또 다른 주요 복음주의 학교 연합은 국제 기독교 학교 연합회(ACSI)이다. ACSI는 약 100개국에서 5,300개의 회원 학교를 운영하며, 약 120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1] 1972년에 설립된 미국 기독교 학교 협회는 많은 보수적인 복음주의 학교를 결집시킨다. 회원들은 성경 문자주의, 창조론, 에큐메니즘 거부를 기반으로 하는 ''신앙 고백''에 동의한다.[15] AACS 회원 학교는 10만 명 이상의 학생을 수용하며, 워싱턴에서 활발한 로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 다른 복음주의 학교 연합은 국제 기독교 학교(CSI)로, 약 500개의 학교와 10만 명의 학생이 있다.[1] 미국 복음주의 학교 사이에서 일어나는 한 가지 움직임은 전통적 교육으로 알려진 전통적인 과목과 교육 형태로의 회귀이다. 이 성장하는 움직임은 고전 기독교 학교 협회가 대표하는 고전 기독교 학교 운동으로 알려져 있으며, 230개 이상의 학교와 대학, 약 34,000명의 학생이 있다.[1]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큰 개신교 학교 시스템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교육 시스템이다.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는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총 6,709개의 교육 기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120만 명이 넘는 학생들이 있다. 북미 지역 교육부는 미국, 캐나다, 및 버뮤다에서 1,049개의 학교와 65,000명의 학생을 관리하고 있다.[16][1]

보수 메노나이트, 구교 메노나이트, 그리고 아미쉬 그룹은 모두 자체 사립 학교를 운영하며 1960년대 초부터 자체 커리큘럼을 출판해 왔다. 동방 정교회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또한 미국 전역에서 사립 교구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1]

3. 1. 2. 캐나다

위니펙 매니토바에 있는 메노나이트 형제 칼리지 인스티튜트


캐나다에서 종교 교육에 대한 공적 자금 지원은 허용되며 때로는 의무화되기도 한다. 캐나다의 많은 기독교 학교는 비종파적이며, 이는 특정 기독교 분파와 관련이 없음을 의미한다. 다른 학교는 종파적이며, 특정 분파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가톨릭, 개신교, 정교회이거나 다른 종파를 따를 수 있다. 이 중 가톨릭 학교가 정부로부터 가장 많은 자금을 지원받으며, 많은 학교가 커리큘럼의 세속적 및 종교적 구성 요소 모두에 대해 자금을 지원받는다.[17]

역사적으로, 캐나다의 ''기독교 학교''는 사립 가톨릭 또는 개신교 단체에서 운영했다. 공교육이 발전함에 따라 다수(일반적으로 개신교) 신앙은 공립 학교에 의해, 소수 신앙(일반적으로 가톨릭)은 별도의 학교에 의해 대표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캐나다 사회가 점점 더 종교 다원주의를 띠게 되면서 공립 학교는 점점 더 세속화되었다.

대부분의 주에는 원래 각 학군에 가톨릭 학생과 비가톨릭 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육 위원회가 있었다. 많은 주에서 이를 폐지했지만, 온타리오, 앨버타, 서스캐처원 및 노스웨스트 준주는 이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두 학교는 일반적으로 ''가톨릭 학교 위원회''와 ''공립 학교 위원회''로 불린다.

많은 비가톨릭 기독교인들은 가톨릭 신앙을 실천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가치관과 기준을 선호하여 자녀를 별도의 가톨릭 학교에 보낸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학생들은 특정 종교 교육 수업에서 면제된다.

미국 모델은 일부 사립 학교에서도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개신교 종파에서 운영한다.

캐나다의 공립 학교 위원회(가톨릭 위원회와 구별됨)는 현대에는 일반적으로 종교적 관련성이 없지만, 여전히 지역 사회 내 기독교인을 위한 종교 교육을 수용할 수 있다. 이는 개별적인 특수 목적 기독교 학교를 설립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세속적인 학교 내에서 종교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관행은 앨버타에서 매우 널리 퍼져서 많은 사립 기독교 학교가 공립 시스템 내에서 "대안 기독교 프로그램"으로 지역 공립 지구에 흡수되었다. 현재 이들은 완전 자금 지원을 받는 공립 학교로 운영되면서 철학, 커리큘럼 및 직원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가톨릭 학교와 어느 정도 동등성을 확보했다.

이러한 사립 학교는 여러 다른 조직과 관련될 수 있다. 일부는 국제 기독교 학교 협회(Association of Christian Schools International)와 관련이 있고, 일부는 국제 기독교 학교(Christian Schools International)와 관련이 있으며, 일부는 다른 조직과 관련이 있다. 또한 온타리오 기독교 학교 연합(Ontario Alliance of Christian Schools) 및 프레리 기독교 학교 협회(Prairie Association of Christian Schools)와 같은 지방 조직도 있다.

3. 2. 유럽

유럽의 기독교 학교는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영국에서는 교회 학교를 일반적으로 종교 학교라고 부른다. 2012년 기준으로 잉글랜드 전체 관리 학교의 33.75%, 아카데미의 23.13%가 종교 학교였으며, 총 6,830개 기관에 달했다.[18] 잉글랜드 교회는 역사적으로 잉글랜드 전역에 많은 학교를 제공해 왔으며, 이러한 학교들은 부분적으로 국가 교육 시스템에 흡수되었다. 교회는 재정 지원과 인력 지원을 받는 대가로 학교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 학교들은 종교적 배경에 관계없이 학생들을 받아들여야 하지만, 학생 수가 초과될 경우 해당 종교를 가진 지원자에게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2017년 2월 현재, 잉글랜드에는 3,731개의 국립 학교와 906개의 아카데미가 교회 학교이다.[19] 잉글랜드의 모든 초등학교의 약 4분의 1이 잉글랜드 교회 학교이며, 현재 1,500만 명이 잉글랜드 교회 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했다.[20]

사립 기독교 학교는 상대적으로 드물지만, 전국에 걸쳐 존재한다. 예를 들어, 리버풀 기독교 친교 학교는 1999년에 금지된 태형 및 기타 신체적 처벌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40개 학교의 지원을 받아 캠페인을 벌여 2001년에 전국적인 헤드라인을 장식하기도 했다.[21]

네덜란드에서는 1806년부터 1917년까지 공립학교의 기독교적 성격과 운영 방식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19세기 후반, 학교 투쟁이 절정에 달했고, 이는 정치의 주요 쟁점이 되었다. 1917년의 평화 협정 이후 종교 학교와 공립학교는 모두 동일한 재정 지원을 받게 되었다. 종교 단체 기반 학교는 별도 교육으로 간주되어 일반 학교와는 별개의 기관에 의해 운영된다. 2006년 후반기 네덜란드의 기독교 학교 현황은 다음과 같다.

유형
초등학교4,955개
고등학교1,054개
대학교 및 단과대학309개
총계6,318개



러시아에서는 러시아 정교가 주요 기독교 형태이다. 정교회는 1884년 "교회-교구 학교 규정"에 따라 초등 교육에 체계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이후 20년 동안 농민들이 시작한 많은 사설, 불법 "문자 해독 학교"도 교회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22] 정교회는 러시아 소수 민족 사이에서 정교회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카잔 중앙 세례 타타르 학교(1863년 설립)[23], 심비르스크 중앙 추바시 학교(1868년 설립)[24]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해외 거주자의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개신교 관련 학교도 있는데,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 아카데미(1993년 설립) 등이 있다.

3. 2. 1. 영국



영국에서 교회 학교는 일반적으로 종교 학교라고 불린다. 2012년 잉글랜드의 모든 관리 학교의 33.75%와 모든 아카데미의 23.13%가 종교 학교였으며, 총 6,830개 기관이었다.[18]

잉글랜드 교회는 역사적으로 잉글랜드 전역에 많은 학교를 제공하는 기관이었다. 이러한 학교('잉글랜드 교회 학교'라고 불림)는 부분적으로 국가 교육 시스템에 흡수되었으며(1944년 교육법), 교회는 자금 지원 및 인력 지원에 대한 대가로 학교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했다. 이러한 학교는 종교적 배경에 관계없이 학생들을 받아들여야 하지만, 학생 수가 초과될 경우 관련 신앙의 지원자에게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으며 종종 그렇게 한다. 2017년 2월 현재, 잉글랜드에는 3,731개의 국립 학교와 906개의 아카데미가 교회 학교이다.[19] 잉글랜드의 모든 초등학교의 약 4분의 1이 잉글랜드 교회 학교이며, 오늘날 살아있는 1,500만 명이 잉글랜드 교회 학교에 다녔다.[20]

교회 운영 학교의 가용성과 국립 학교에서의 종교 활동에 대한 관용 때문에, 사립 기독교 학교는 상대적으로 드물지만, 전국에 존재한다. 더 큰 학교 중 하나인 리버풀 기독교 친교 학교는 1999년에 금지된 태형 및 기타 신체적 처벌을 사용할 권리를 유지하기 위해 다른 40개 학교의 지원을 받아 캠페인을 벌였을 때 2001년에 전국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그들은 학교 내 규율의 쇠퇴를 막으려 했다.[21] 다른 기독교 학교로는 랭커셔의 킹스폴드 기독교 학교, 브리스톨의 카멜 기독교 학교, 런던의 그랜지우드 독립 학교, 에든버러의 매너필즈 기독교 학교, 레스터의 엠마누엘 기독교 학교, 더비 & 월솔, 그리고 우스터의 리버 학교 등이 있다.

3. 2. 2.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는 공립학교가 기독교적이어야 하는지,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1806년부터 1917년까지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19세기 후반에는 이 학교 투쟁이 절정에 달했고, 투표권 및 지방 제도와 함께 정치의 주된 쟁점이 되었다. 1917년의 평화 협정으로 이 세 가지 문제 대부분이 해결된 이후로 종교 학교와 공립학교는 모두 동일한 재정 지원을 받게 되었다. 종교 단체에 기반을 둔 학교는 별도 교육(bijzonder onderwijs)의 한 유형으로 간주되며, 일반 학교와는 별개의 자체 기관에 의해 운영된다.

2006년 후반기에 네덜란드에는 다음과 같은 기독교 학교가 있었다.

유형
초등학교4,955개
고등학교1,054개
대학교 및 단과대학309개
총계6,318개


3. 2. 3. 러시아

러시아 정교는 러시아에서 행해지는 주요 기독교 형태이다. 정교회는 1884년 "교회-교구 학교 규정"에 따라 러시아에서 초등 교육 분야에 체계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그 후 20년 동안, 농민들이 시작한 많은 사설, 불법 "문자 해독 학교"도 교회의 통제를 받게 되면서 정규화되었다.[22] 직접적인 교회 통제를 받지 않는 사립 정교 학교는 러시아 소수 민족 사이에서 정교회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대표적인 예로는 1863년에 설립된 카잔 중앙 세례 타타르 학교[23] 또는 1868년에 설립된 심비르스크 중앙 추바시 학교가 있다.[24]

또한 1993년에 설립된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 아카데미와 같이 해외 거주자의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개신교 관련 학교도 있다.

3. 3.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 지역의 기독교 학교는 19세기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교회에 의해 설립되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오늘날 오스트레일리아 사립 학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현대 개신교 기독교 학교 운동은 네덜란드 이민자들의 노력으로 시작되었으며, 1950년대에 학부모 단체들이 기독교 학교 설립을 주도했다.

1957년, 자유 개혁 교회는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아마다일에 존 칼빈 학교를 설립했고,[25]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올버니(1962)와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주 론세스턴(1965)에도 학교를 설립했다. 오스트레일리아 개혁 교회는 1962년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주 킹스턴에 첫 학교를 열었다.[27] 이 학교들은 초기에는 전국 기독교 학부모 통제 학교 연합에 소속되었으며,[28] 이후 기독교 교육 전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자유 개혁 학교는 해당 교단 출신 학생만 등록을 허용했지만, 개혁 교회에서 시작된 학교는 다양한 개신교 배경의 학부모 단체가 운영하며 공립 학교에 대한 대안으로 기독교 신앙을 교육 과정에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는 다른 교회의 기독교인들도 정부 학교에 대한 우려로 기독교 학교 설립에 참여했으며,[29] 이 시기에는 교회 자체에서 학교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네덜란드나 개혁 교회와 관련이 없는 학부모 단체들도 학부모 통제 학교 모델을 채택하여 전국적인 연합체와 협력하기도 했다.

주요 상위 조직으로는 성공회 학교 오스트레일리아, 기독교 학교 오스트레일리아,[30] 루터교 교육 오스트레일리아(LEA),[31] 기독교 교육 전국,[32] 오스트레일리아 기독교 학교 협회[33] 등이 있다.

3. 3. 1. 오스트레일리아

교회 학교(Parochial school)는 19세기 동안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교회에 의해 설립되었다. 오랜 전통을 가진 이 학교들은 오늘날에도 오스트레일리아의 사립 학교 또는 독립 학교 부문의 대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현대 개신교 기독교 학교 운동은 수십 년 동안 자국에서 기독교 학교를 다녔던 네덜란드인의 인구 이동 노력을 통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시작되었다.[25] 대부분은 네덜란드 기원의 오스트레일리아 개혁 교단(오스트레일리아 기독 개혁 교회 또는 오스트레일리아 자유 개혁 교회, 때로는 네덜란드 개혁 교회라고 잘못 불리기도 하는데, 이 이름은 네덜란드, 남아프리카 공화국스리랑카에서 사용되지만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사용되지 않음)에 속해 있었다. 1950년대에 이 이민자들은 기독교 학교를 설립하려는 학부모 단체를 설립했고,[26]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에 정부 지원 없이 처음으로 학교가 문을 열었다.

자유 개혁 교회는 1957년 12월 2일에 70명의 학생으로 문을 연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주 아마다일에 존 칼빈 학교를 설립했다. 그 후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주 올버니(1962)와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주 론세스턴(1965)에 학교가 설립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개혁 교회(1990년대에 이르러서야 이름 앞에 '기독교'를 추가)는 1962년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주 킹스턴에 첫 학교를 열었다.[27] 이들의 첫 학교는 당시 전국 기독교 학부모 통제 학교 연합(National Union of Christian Parent-Controlled Schools)으로 알려진 전국 기구에 소속되었으며,[28] 나중에 기독교 학부모 통제 학교 유한 회사(Christian Parent Controlled Schools Ltd.)(CPCS)가 되었고, 2008년에는 다시 기독교 교육 전국(Christian Education National)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자유 개혁 학교가 해당 교단 출신의 학생만 등록하는 반면, 개혁 교회에서 시작된 학교는 다양한 개신교에 속한 학부모 단체가 운영했으며, 이들은 공동의 목표를 위해 함께 일했다. 이 학교들은 공립 학교(정부 지원)에 대한 불만으로 설립된 것이 아니라, 이러한 학부모들이 기독교 신앙을 학교 전체 교육 과정에 적극적으로 통합하는 학교를 원했기 때문이다. 학교는 교회의 감독과는 별도로 학부모 단체에서 운영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다른 여러 교회의 기독교인들은 정부 학교의 기준과 사회 변화에 대해 점점 더 우려하게 되었고, 대안적인 교육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기독교 학교를 설립하기 시작했다.[29] 이 단계에서 많은 학교가 학부모 단체가 아닌 교회 자체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개혁 교회 외부의 여러 학부모 단체가 학부모 통제 학교 모델을 연구하여 채택했으며, 네덜란드나 개혁 교회와 관련이 없지만, 관련이 있는 많은 학교와 전국적으로 제휴했다.

주요 상위 조직으로는 성공회 학교 오스트레일리아, 기독교 학교 오스트레일리아,[30] 루터교 교육 오스트레일리아(LEA),[31] 기독교 교육 전국(구 기독교 학부모 통제 학교 유한 회사),[32] 및 오스트레일리아 기독교 학교 협회[33]가 있다. 이 마지막 단체는 주로 기독교 교육 전국을 위한 정치 자문 및 로비 그룹으로 기능하며, 독립적으로 회원으로 활동하는 여러 기독교 학교도 지원한다.

3. 4.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에서 기독교 선교 단체들이 학교를 설립했으며, 이는 종종 다른 학교가 없는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학교들은 일반적으로 기독교적 맥락에서 완전한 교육을 제공한다. 나이지리아에서는 리빙 페이스 교회가 코버넌트 대학교,[34] 랜드마크 대학교,[35] 페이스 아카데미를 포함한 여러 교육 기관을 설립했다.[36]

퓨 리서치 센터가 2016년에 실시한 종교와 교육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무슬림과 기독교인 간에 교육 수준의 크고 광범위한 격차가 존재한다"고 밝혀졌다. 이 지역의 무슬림 성인들은 기독교인보다 훨씬 덜 교육받았는데,[37] 학자들은 이러한 격차가 식민지 시대에 기독교 선교사들이 신자들을 위해 세운 교육 시설 때문이라고 추정한다.[37]

3. 5. 아시아



아시아 지역, 특히 이스라엘레바논을 중심으로 기독교 학교들이 발전해 왔다. 이스라엘의 기독교 학교는 높은 교육 수준으로 유명하며, 아랍계 기독교인들이 이스라엘에서 교육 수준이 가장 높은 집단 중 하나가 되는 데 기여했다.[38] 이는 텔아비브 대학교의 한나 다비드의 연구 결과에서도 나타난다. 많은 드루즈무슬림 학생들도 학교의 우수한 성적 때문에 이스라엘의 기독교 학교에 다닌다.[41][42]

레바논에서는 16세기부터 드루즈 봉건 가문이 프란체스코 수도회, 예수회 등 가톨릭 및 개신교 선교사들을 환영하며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43] 파크르 앗딘 2세 통치 하에 인쇄기가 도입되었고, 레바논 산 전역에 학교가 설립되었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개신교 선교사들이 드루즈 지역에 학교와 교회를 세웠고, 일부 드루즈개신교 기독교로 개종하기도 했다.[45] 1870년에는 많은 기독교 학교가 레바논에 설립되어 르네상스(나흐다)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으며, 학교, 대학교, 극장, 인쇄소 설립으로 이어졌다.[46][48][47] 베이루트 아메리카 대학교와 생 조셉 대학교가 설립되는 등 문학과 정치 활동도 활발해졌다.[48]

3. 5. 1.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교의 한나 다비드의 연구 "아랍계 기독교인은 새로운 이스라엘 유대인인가? 이스라엘 아랍계 기독교인의 교육 수준에 대한 고찰"에 따르면, 아랍계 기독교인이 이스라엘 인구 중 교육 수준이 가장 높은 집단인 요인 중 하나는 기독교 교육 기관의 높은 수준이다.[38] 이스라엘의 기독교 학교는 이 나라 최고의 학교 중 하나이며, 아랍 학교 부문의 4%만을 차지하지만, 이스라엘 아랍인 대학생의 약 34%가 기독교 학교 출신이며,[38] 이스라엘 아랍인의 약 87%가 하이테크 분야에서 기독교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39][40]

드루즈무슬림이 이스라엘의 기독교 학교에 다니는 이유는, 기독교 학교가 성적이 우수하고 이 나라 최고의 학교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41][42]

3. 5. 2. 레바논



16세기부터 드루즈 봉건 가문은 프란체스코 수도회, 예수회, 카르멜회, 라자르회와 같은 가톨릭 선교사뿐만 아니라 개신교 선교사도 환영했으며, 이들은 모두 교육과 문해력 확산에 기여했다.[43] 파크르 앗딘 2세의 통치하에 인쇄기가 도입되었으며, 예수회 사제와 가톨릭 수도사들은 레바논 산 전역에 학교를 열도록 장려받았다. 1791년 교황 비오 6세는 바시르 줌블라트에게 편지를 보내 마론파가 슈프 지역에 더 많은 교회를 짓도록 허락한 것에 감사를 표했다.[44]

19세기와 20세기 동안, 개신교 선교사들은 드루즈의 거점에 학교와 교회를 세웠고, 일부 드루즈개신교 기독교로 개종했다.[45] 1870년, 많은 기독교 학교가 레바논에 문을 열었고, 이들은 르네상스(나흐다)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이로 인해 학교, 대학교, 극장 및 인쇄소가 설립되었다.[46][48][47] 19세기 나머지 기간 동안 드루즈마론파 그룹은 오스만 제국을 자유화하려는 시도와 관련된 경제적, 문화적 발전에 집중하면서 상대적으로 안정된 시기를 보냈으며, 이로 인해 베이루트 아메리카 대학교(시리아 개신교 대학)와 생 조셉 대학교가 설립되었고 문학 및 정치 활동이 번성했다.[48]

4. 교육 과정 및 특징

전통적으로 많은 기독교 교파들은 교리 교육을 아이들의 교육 형성에 필요한 부분으로 여겨왔다. 보수적 성결 운동의 감리교 교파인 엠마누엘 교회 연합회는 아이들의 마음과 정신을 형성하는 책임이 하나님으로부터 부모에게 우선적으로 주어졌다고 믿으며, 이를 위해 보호받는 기독교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고 가르친다.[2] 이러한 이유로 기독교 교회들은 전 세계에 학교를 설립해왔다.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종교가 주(州)에서 자금을 지원하는 교육 시스템에서 가르쳐지지 않지만, 학교는 종교를 공부하려는 학생들에게 다른 모든 과외 활동과 마찬가지로 종교를 공부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1] 400만 명이 넘는 학생, 즉 12명 중 약 1명의 어린이가 종교 학교에 다니고 있으며, 그들 대부분은 기독교인이다.[1][3] 미국에는 많은 종교 교파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학교의 교육 및 종교 철학에는 큰 다양성이 존재한다.[1]

미국 내 많은 보수주의 복음주의자들은 "기독교 학교"라는 용어를 보수적인 복음주의 교단과 관련된 학교에 한정하여 사용하며, 특히 가톨릭 학교를 배제하는 경우가 많다.[14] 이러한 보수적인 복음주의 학교는 사립으로 운영되며, 종종 교회나 교단과 연계되어 있다. 자녀가 자신의 교회 원리에 따라 교육받기를 원하는 부모는 자녀를 그러한 학교에 보낼 수 있지만, 학교가 교회의 지원을 받거나 정부가 지원하는 학교 선택 또는 교육 바우처 프로그램의 일부가 아닌 한, 수업료를 지불해야 한다.

일부 복음주의 학교, 특히 근본주의 단체가 후원하는 학교는 정부의 자금 지원과 보조금을 받지 않는다. 이는 정부가 학교 운영을 더 많이 감시하고 법률을 제정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정부가 학교의 운영을 지시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학교가 정부의 자금을 전혀 받지 않더라도, 여전히 주 교육 과정, 학생 학업 성취 기준 및 주에서 의무화한 표준화된 시험 점수를 준수해야 한다. 또한 교실 내 교육 품질 및 교사 자격에 대한 정부 규제 기관의 표준 검사를 받아야 한다.[1]

주요 복음주의 학교 연합으로는 국제 기독교 학교 연합회(ACSI)가 있으며, 약 100개국에서 5,300개의 회원 학교를 운영하며, 약 120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1] 1972년에 설립된 미국 기독교 학교 협회는 많은 보수적인 복음주의 학교를 결집시키며, 성경 문자주의, 창조론, 에큐메니즘 거부를 기반으로 하는 ''신앙 고백''에 동의한다.[15] 또 다른 복음주의 학교 연합은 국제 기독교 학교(CSI)로, 약 500개의 학교와 10만 명의 학생이 있다.[1] 미국 복음주의 학교 사이에서 일어나는 한 가지 움직임은 전통적 교육으로 알려진 전통적인 과목과 교육 형태로의 회귀이며, 고전 기독교 학교 협회가 대표한다.

캐나다에서 종교 교육에 대한 공적 자금 지원은 허용되며 때로는 의무화되기도 한다. 캐나다의 많은 기독교 학교는 비종파적이며, 이는 특정 기독교 분파와 관련이 없음을 의미한다. 다른 학교는 종파적이며, 특정 분파와 관련이 있다. 이 중 가톨릭 학교가 정부로부터 가장 많은 자금을 지원받으며, 많은 학교가 커리큘럼의 세속적 및 종교적 구성 요소 모두에 대해 자금을 지원받는다.[17]

역사적으로, 캐나다의 '기독교 학교'는 사립 가톨릭 또는 개신교 단체에서 운영했다. 공교육이 발전함에 따라 다수(일반적으로 개신교) 신앙은 공립 학교에 의해, 소수 신앙(일반적으로 가톨릭)은 별도의 학교에 의해 대표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캐나다 사회가 점점 더 종교 다원주의를 띠게 되면서 공립 학교는 점점 더 세속화되었다.

대부분의 주에는 원래 각 학군에 가톨릭 학생과 비가톨릭 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육 위원회가 있었으나, 많은 주에서 이를 폐지했지만, 온타리오, 앨버타, 서스캐처원 및 노스웨스트 준주는 이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두 학교는 일반적으로 '가톨릭 학교 위원회'와 '공립 학교 위원회'로 불린다. 많은 비가톨릭 기독교인들은 가톨릭 신앙을 실천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가치관과 기준을 선호하여 자녀를 별도의 가톨릭 학교에 보낸다.

미국 모델은 일부 사립 학교에서도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개신교 종파에서 운영한다. 캐나다의 공립 학교 위원회(가톨릭 위원회와 구별됨)는 현대에는 일반적으로 종교적 관련성이 없지만, 여전히 지역 사회 내 기독교인을 위한 종교 교육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립 학교는 여러 다른 조직과 관련될 수 있다. 일부는 국제 기독교 학교 협회(Association of Christian Schools International)와 관련이 있고, 일부는 국제 기독교 학교(Christian Schools International)와 관련이 있으며, 일부는 다른 조직과 관련이 있다. 또한 온타리오 기독교 학교 연합(Ontario Alliance of Christian Schools) 및 프레리 기독교 학교 협회(Prairie Association of Christian Schools)와 같은 지방 조직도 있다.

기독교 학교는 성경이나 기독교 신학과 관련된 과목이 있으며, 학교 행사로 미사·예배 등의 종교 교육을 실시하는 등,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독교주의 학교는 영어를 대표로 하는 어학 교육을 비롯해, 인문 과학, 사회 과학, 자연 과학으로 구성되는 리버럴 아츠 교육을 해왔지만, 특히 리버럴 아츠는 '사람을 자유롭게 하는 학문'이라고도 불리며[55], 여자 교육에 있어서 개척적인 역할을 해왔다.[56]

리버럴 아츠는 기독교의 이념에 기초하여, 기존의 그리스·로마의 학문을 7개의 교과로 집대성하여 정해진 '자유 7과'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등 교육 기관인 대학은 기독교주의에 입각한 생각으로 만들어지고 발전해 왔다. 자유 7과 중, 문법, 수사학, 논리학으로 구성된 하위 과목인 트리비움(삼과)과 산술, 천문학, 기하학, 음악으로 구성된 상위 과목인 사과를 배우면, 중세 최고위에 있던 신학을 배울 수 있었다. 13세기 이후의 중세 대학에서는 기독교의 이념에 기초한 자유 7과가 신학, 법학, 의학의 각 전문 학부로 진학하기 위한 과정이었던 학예 학부(교양 학부)의 핵심적인 교과가 되었고, 현재에 이르는 대학 교육의 기반이 되었다.[50][57]

현재의 기독교주의 학교는 성직자를 육성하는 신학교와는 달리, 교육 이념이 기독교에 기초한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라는 것으로, 기독교의 신앙을 강요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신자가 아니어도 문제없이 배울 수 있는 학교이다. 일본 대학의 약 10%가 기독교주의 대학이지만, 일본에는 크리스천이 1% 미만이기 때문에, 대학 외에도 중학교, 고등학교 등, 많은 기독교주의 학교에서 교직원을 비롯해 학생의 대부분이 크리스천이 아니다.[58] 세계에서는 크리스천이 세계 인구의 약 3분의 1(21억 7천만 명/2010년 시점)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과는 달리 세계의 학교에서는 교직원과 학생 중 크리스천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59][60]

가톨릭 계열 학교를 특히 '가톨릭 학교'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일본에서는 기독교주의 학교의 연합 조직으로, 가톨릭 계열의 일본 가톨릭 학교 연합회, 프로테스탄트 계열의 기독교 학교 교육 동맹이 있다.

가톨릭 계열 학교는 수도회가 설립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히 중학교·고등학교에서는 전통적으로 남녀 분반 (남자 학교·여자 학교)가 주류이지만, 일본에서는 근년의 저출산의 영향으로, 학교 경영상의 이유로 남녀 공학화하는 학교가 늘고 있다.

일본에서는 중고 일관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가 많고, 대규모 기독교 학교에서는 유치원부터 대학까지의 교육 기관을 갖추고, 이른바 '에스컬레이터식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 법인도 있다. 초·중·고등학교에서는 한 학급당 인원을 적게 한 소수 인원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도 많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단기 대학 외에도, 살레시오 공업 고등 전문학교와 같이 고등 전문학교를 설립하는 예도 있다. 또한 전문학교도 다수 존재한다. 특히 기독교 교회가 전통적으로 힘을 쏟아온 교육·보육, 의료·간호, 복지 등의 분야가 많고, 간호사나 보육사 등의 육성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전문학교는 기독교 계열의 대학이나 병원의 부속 학교로 설치되는 경우도 많다.

또한 학교 외에도, 기독교 계열의 사립 유치원이나 보육원이 다수 존재한다. 기독교인이 적은 일본에서는 교회에 병설된 유치원이나 보육원의 보육료(수업료)가, 교회의 재정을 지탱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5. 관련 단체


  • 미국 기독교 학교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Christian Schools)
  • 국제 기독교 학교 협회(Association of Christian Schools International)
  • 고전 기독교 학교 협회(Association of Classical Christian Schools)
  • 국제 기독교 학교(Christian Schools International)
  • 전국 대학 모델 학교 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University-Model Schools)
  • 나사렛 국제 교육 협회(Nazarene Inter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 일본 가톨릭 학교 연합회
  • 기독교학교교육동맹

참조

[1] 웹사이트 Christian School https://www.k12acade[...] K12Academics 2014-02-06
[2] 서적 Guidebook of the Emmanuel Association of Churches Emmanuel Association 2002
[3] 뉴스 Making the case for parochial schools http://www.boston.co[...] 2004-05-09
[4] 간행물 MEMBER SCHOOLS DIRECTORY https://nacschools.o[...] Southern Baptist Association of Christian Schools 2022-10-22
[5] 간행물 Catholic Schools Statistics And Background: 2011-2012 http://www.usccb.org[...]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13-01-19
[6] 웹사이트 Lutheran School Statistics 2017-2018 School Year https://www.lcms.org[...] Lutheran Church–Missouri Synod 2018-08-13
[7] 웹사이트 WELS Numbers https://wels.net/abo[...]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8-08-13
[8] 간행물 Facts & Figures http://www.episcopal[...] National Association of Episcopal Schools 2013-01-19
[9] 간행물 Facts and Studies http://www.capenet.o[...] Council for American Private Education 2013-01-19
[10] 문서 Q108671720
[11] 간행물 Facts and Studies http://www.capenet.o[...] Council for American Private Education 2013-01-19
[12] 서적 The A to Z of the Holiness Movement Scarecrow Press 2010-04-01
[13] 웹사이트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s & Colleges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NASCUMC) https://www.gbhem.or[...] General Board of Higher Education and Ministry 2018-08-13
[14] 문서 Diversity in Christian Schools Education Next Summer 2001
[15] 웹사이트 Statement of Faith - American Association of Christian Schools http://www.aacs.org/[...] 2012-10-16
[16] 웹사이트 Adventist Education http://nadeducation.[...] 2013-02-18
[17] 웹사이트 Guide to Christian Education in Canada http://www.ourkids.n[...]
[18] 웹사이트 Maintained faith schools https://www.gov.uk/g[...] 2012-04-26
[19] 웹사이트 Types of Church School https://churchofengl[...] 2017-04-08
[20] 웹사이트 Church Schools and Academies Information https://churchofengl[...] 2017-04-08
[21] 뉴스 Forty private schools ask judges to back caning https://www.telegrap[...] 2001-11-02
[22] 서적 Classroom and empire: the politics of schooling Russia's Eastern nationalities, 1860-1917 McGill-Queen's Press - MQUP
[23] 문서 2001
[24] 문서 2001
[25] 서적 A Church En Route: 40 Years Reformed Churches of Australia Reformed Churches Publishing 1991
[26] 문서 A Church En Route
[27] 문서 A Church En Route
[28] 문서 A Church En Route
[29] 문서 A Church En Route
[30] 웹사이트 Welcome - Christian Schools Australia http://www.csa.edu.a[...] 2016-08-27
[31] 웹사이트 Lutheran Education Australia http://www.lutheran.[...] 2009-09-10
[32] 웹사이트 Home http://www.cen.edu.a[...] 2016-08-27
[33] 웹사이트 Home http://www.aacs.net.[...] 2016-08-27
[34] 웹사이트 C.U {{!}} David Oyedepo Ministries International http://domi.org.ng/e[...] 2012-05-02
[35] 웹사이트 Landmark University {{!}} Home https://lmu.edu.ng/ 2019-12-16
[36] 웹사이트 Faith Academy {{!}} David Oyedepo Ministries International http://domi.org.ng/e[...] 2019-12-16
[37] 웹사이트 Religion and Education Around the World http://assets.pewres[...] Pew Research Center 2016-12-13
[38] 웹사이트 Demonstration of Christian Schools in Jerusalem - Holy Land Christian Ecumenical Foundation http://hcef.org/7907[...] 2016-09-05
[39] 웹사이트 With schools starved of funds, Christians question their future in Israel http://www.middleeas[...] 2016-09-05
[40] 뉴스 Why Angry Christians in Israel Are Crying Discrimination - Features http://www.haaretz.c[...] 2016-09-05
[41] 서적 Palestinian Christians in Israel: State Attitudes towards Non-Muslims in a Jewish State Routledge
[42] 웹사이트 Israel: Hundreds protest against 'discriminatory' school funding for Christians https://www.i24news.[...] i24NEWS 2022-04-27
[43] 서적 Dangerous Gifts: Imperialism, Security, and Civil Wars in the Levant, 1798-1864 Oxfo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A to Z of the Druzes Rowman & Littlefield
[45] 서적 The Arab Americans Greenwood Publishing Group
[46] 서적 Lebanon 1860–1960: A Century of Myth and Politics la University of Michigan
[47] 서적 Christian Communities in the Arab Middle East: The Challenge of the Future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016-10-21
[48] 서적 Handbook of Asian States: Geography – History – Culture – Politics – Economy LIT Verlag Münster
[49] 웹사이트 Christian School https://www.k12acade[...] K12Academics 2024-08-16
[50] 문서 『自由七科』 https://kotobank.jp/[...] 小学館「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51] 문서 아이비・리그에 속하는 8개의 대학 중, 코넬 대학만이 무종파 대학으로서 설립되었지만, 그 외 7개의 대학은 기독교 각 종파에 의해 설립된 대학이다.
[52] 문서 『アメリカにとって大学とは何か―アメリカにおける大学観の変遷』 https://note.com/wak[...] PLANETS 公式note 2020-06-11
[53] 문서 『ニューヨークの大学とユダヤ人哲学者の系譜』 https://note.com/wak[...] PLANETS 公式note 2020-09-02
[54] 간행물 アメリカにおけるリベラルアーツ教育とは https://repo.lib.tut[...] 豊橋技術科学大学
[55] 뉴스 『리베ラルアーツ「전혀 배우지 않는 사람, 배우는 사람」의 큰 차이』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ONLINE 2022-09-24
[56] 간행물 女子補導団の研究 http://hdl.handle.ne[...] 早稲田大学 教育・総合科学学術院
[57] 문서 『自由七科』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小項目事典」
[58] 웹사이트 『기독교주의대학(미션스쿨)소개(1)』 https://christianpre[...] Christian Press
[59] 뉴스 『이스람교도, 2100년에는 최대 세력 세계의 종교 인구 예측』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5-04-06
[60] 뉴스 「무종교」가 세계의 제3세력, 일본에서는 인구의 반수 차지=조사』 https://jp.reuters.c[...] Reuters 2012-12-19
[61] 문서 鹿児島純心高等女学校設立に至る、鹿児島のカトリック高等女学校の遍歴 https://www.k-junshi[...] 학교법인鹿児島純心女子学園
[62] 문서 奉安庫 https://ef.kwansei.a[...] 학교법인関西学院
[63] 문서 明治学院礼拝堂(白金チャペル) https://shiryokan.me[...] 明治学院歴史資料館
[64] 서적 東北学院の歴史 河北新報出版センター
[65] 웹사이트 戦時体制から敗戦、復興へ|フェリス女学院の歩み|学校法人フェリス女学院 https://www.ferris.j[...]
[66] 문서 官報 https://dl.ndl.go.jp[...] 1943-03-22
[67] 서적 青山学院九十年史
[68] 웹사이트 神学部(関西学院事典) | 関西学院大学 https://www.kwansei.[...]
[69] 문서 양교에서의 신학 교육은 전후 신제대학 발족 시에 재개되었지만, 아오야마가쿠인대학 문학부 신학과는 1977년에 폐지되었다.
[70] 서적 同志社九十年小史 学校法人同志社
[71] 서적 日本プロテスタント神学校史 いのちのことば社 2013
[72] 뉴스 学院総長ら八人を罷免 朝日新聞 1945-10-29
[73] 웹사이트 立教学院創立130周年記念展「立教学院と戦争-揺れた建学の精神」 https://www.rikkyo.a[...]
[74] 웹인용 Christian School https://www.k12acade[...] K12Academics 2020-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