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전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술 전략은 조직의 사업 전략을 기술을 통해 실현하고 기술 투자가 사업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성공적인 기술 전략은 계획 문서화 및 성공 지표 개발을 포함하며, 회사의 사명과 비전에 기여하고 조직의 전반적인 사업 전략 내에 통합된다. IT 전략은 IT 기능이 사업 전략을 형성하고 지원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가치 창출, 전달 및 포착에 대한 질문에 답변해야 한다. IT 전략은 ITCM과 IT-OM으로 구성되며, ITSM, TOGAF, COBIT 등의 프레임워크를 통해 단순화될 수 있다. 기술 전략 문서는 비기술적 이해 관계자와 IT 직원을 대상으로 하며, 마케팅 계획과의 연계가 중요하다. 기술 전략의 실행은 변화 관리 프레임워크를 따르며, 전사적 아키텍처를 언급하지만 중복되지는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술 전략 - 프로세스-아키텍처-최적화 모델
인텔의 CPU 개발 로드맵인 프로세스-아키텍처-최적화 모델은 공정 기술, 아키텍처, 최적화의 세 단계를 거치며, 최신 공정 기술과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를 통해 성능과 전력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 기술 전략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은 산업 기술 지원 효율화를 위해 설립되어,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중소기업의 기술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며, 국제 기술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대한민국의 글로벌 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기관이다. - 전략적 경영 - 경쟁 우위
경쟁 우위는 기업이 경쟁사보다 뛰어난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능력으로, 원가 우위나 제품 차별화 우위를 통해 확보되며, 기업 아이덴티티, 핵심 역량, 외부 환경 변화, 그리고 공정한 경쟁 환경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 전략적 경영 - 팀
팀은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상호 의존적인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집단이며, 팀워크를 통해 집단적 성과를 내고, 목적, 활동, 상호 의존성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기술 전략 | |
---|---|
기술 전략 개요 | |
정의 | 기술 전략은 조직의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기술의 개발 및 활용을 관리하는 계획임. |
목표 | 경쟁 우위 확보, 혁신 촉진, 효율성 향상 등을 목표로 함. |
구성 요소 | 기술 로드맵 기술 투자 계획 기술 인력 개발 계획 |
주요 영역 | |
정보 기술 전략 (IT 전략) | 조직의 정보 기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계획. |
디지털 전략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모델, 프로세스, 고객 경험을 혁신하는 전략. |
연구 개발 전략 (R&D 전략) | 새로운 기술 개발 및 기존 기술 개선을 위한 계획. |
기술 전략의 중요성 | |
경쟁 우위 확보 | 차별화된 기술 역량을 구축하여 경쟁사 대비 우위를 확보. |
혁신 촉진 |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활용하여 혁신적인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 |
효율성 향상 | 기술을 활용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효율성을 향상. |
위험 관리 | 기술 변화에 따른 위험을 예측하고 관리. |
의사 결정 지원 |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통해 효과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 |
기술 전략 수립 단계 | |
환경 분석 | 내부 역량 분석 외부 환경 분석 (기술 동향, 경쟁 환경 등) |
목표 설정 | 기술 전략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목표 설정. |
전략 수립 |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 및 실행 계획 수립. |
실행 | 수립된 전략 및 실행 계획을 실행. |
평가 및 개선 | 전략 실행 결과를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 |
참고 자료 | |
관련 서적 | Aligning Enterprise, System, and Software Architectures Information Technology Control and Audit, Third Edition CTOs at Work Strategy Execution |
관련 웹사이트 | Information Technology Strategy Overview |
2. 역사
정보기술`(IT)` 전략은 정보 기술을 기업의 사업(비즈니스)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침과 계획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개인용 컴퓨터`(PC)`나 회계 소프트웨어를 도입하는 것을 넘어, 비즈니스 운영과 깊이 관련된 중요한 요소로 이해해야 한다.
성공적인 기술 전략은 조직의 사업 전략과 긴밀하게 연계되어야 하며,[6][7] 기술 투자가 사업 목표 달성에 기여하도록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는 사업 전략이 기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6] 사업과 IT 간의 정렬 상태를 평가하고 기술 로드맵을 정의하는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8]
IT 전략의 중요성은 공급망 관리`(SCM)`나 고객 관계 관리`(CRM)`와 같은 시스템에서 잘 드러난다. SCM은 재고 정보 등을 기업의 경계를 넘어 공급망 전체에서 공유하는 방식이며, CRM은 고객 정보를 수집하고 축적하여 사업 결정에 반영하는 활동이다. 이러한 활동들은 정보 기술 없이도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정보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훨씬 높은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IT 전략은 이러한 분야에서 정보 기술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침, 계획, 실행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단순히 "정보 기술을 도입하자"는 구호는 IT 전략이라고 할 수 없다. 진정한 IT 전략은 기업의 구체적인 사업 전략에 기반해야 하며, 실행 가능성을 염두에 둔 구체성을 갖추어야 한다.
3. 효과적인 전략
또한, 효과적인 전략은 기술을 통해 어떻게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경쟁 우위 확보로 연결하여 관리(포착)하며, 최종적으로 시장과 고객에게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포함해야 한다. 단순히 IT 시스템 도입을 넘어, 공급망 관리(SCM)나 고객 관계 관리(CRM)처럼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혁신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구체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업 전략에 기반하고 실행 가능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계획만이 진정한 IT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3. 1. 목표 설정 및 사업 전략과의 연계
성공적인 기술 전략은 계획 수립 시 가정한 내용을 명확히 기록하고 성공 여부를 측정할 지표를 개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6] 이는 조직의 사명을 중심으로 전략을 세워, 세부 계획들이 조직 전체의 목표와 목적에 부합하도록 보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6] 기술 전략 설계의 핵심 목표는 사업 전략이 기술을 통해 실현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술 관련 투자가 사업 방향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성공적인 기술 전략이란 회사의 사명과 비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조직의 전반적인 사업 전략 안에 통합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7]
현재 및 미래의 사업 전략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다양한 기준에서 사업과 IT의 연계 수준을 평가하며,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찾아내고, 기술 발전 로드맵과 관련 예산을 정의하는 데 도움을 주는 프레임워크(예: ASSIMPLER[8])가 존재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은 핵심 사항들을 포함한다.
전략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려면 가치를 어떻게 창출하고, 전달하며, 확보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담고 있어야 한다.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최신 기술 동향을 꾸준히 추적하고, 기술 발전 방향과 시장 침투 양상의 변화를 예측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조직 운영에 통합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가치를 확보하는 단계에서는 경쟁 우위를 어떻게 확보하고 유지할 것인지, 기술 표준이 중요한 시장에서 어떻게 경쟁할 것인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가치 전달 단계에서는 기업이 수립된 전략을 어떻게 실행에 옮기고, 전략적 의사결정을 내리며, 결정적인 행동을 취할 것인지를 명확히 정의해야 한다. 전략적 정렬 과정은 관리자들이 구체적인 실행 과제에 집중하여 가치를 성공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 단계별 절차이다.
IT 전략은 정보 기술을 기업의 사업(비즈니스) 운영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관한 구체적인 방침과 계획을 의미한다. 이는 다소 추상적인 전사적 차원의 전략보다는, 더 구체적인 개별 사업 전략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경우가 많다. 흔히 IT 전략이라고 하면 개인용 컴퓨터(PC)나 회계 패키지 소프트웨어 도입 등을 떠올리기 쉽지만, 실제로는 단순히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도입하는 것을 넘어 비즈니스 운영 방식과 깊숙이 관련된 영역이라고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재고 정보를 기업 내부뿐만 아니라 공급망 전체에서 공유하는 공급망 관리(SCM) 시스템이나, 고객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업 활동에 반영하는 고객 관계 관리(CRM) 시스템 등은 정보 기술 없이도 구현할 수는 있지만, 정보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훨씬 높은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처럼 특정 사업 분야에서 정보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방침, 지침, 계획 수립 및 실행 등 정보 기술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 전체를 IT 전략이라고 부른다.
단순히 "정보 기술을 도입하자"와 같은 구호만으로는 IT 전략이라고 할 수 없으며, 반드시 사업 전략에 근거하고 실제 실행을 염두에 둔 구체성을 갖추어야 비로소 진정한 IT 전략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3. 2. 가치 창출, 전달 및 관리
효과적인 기술 전략은 가치를 어떻게 창출하고, 전달하며, 포착(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답을 제시해야 한다.
가치 창출을 위해서는 기술 동향을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기술의 발전 방향과 시장 침투 양상의 변화를 예측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조직에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가치 포착 단계에서는 확보한 기술 우위를 통해 어떻게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유지할 것인지, 그리고 기술 표준이 중요한 시장에서 어떻게 경쟁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가치 전달은 수립된 전략을 실제로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은 전략 실행 방안, 전략적 의사 결정 과정, 그리고 결정적인 행동 계획을 명확히 정의해야 한다. 전략적 정렬 프로세스는 관리자들이 구체적인 실행 과제에 집중하여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 단계별 과정이다.
이러한 가치 활동은 사업 전략과 긴밀하게 연계되어야 한다. 기술 전략 설계의 주요 목표는 사업 전략이 기술을 통해 실현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술 투자가 사업 목표와 일치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6] 성공적인 기술 전략은 단순히 회사의 사명과 비전에 기여하는 것을 넘어, 조직의 전반적인 사업 전략 내에 통합되어 상호 지원을 받아야 한다.[7] IT 전략 정렬은 IT 기능이 사업 전략을 형성하고 지원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IT의 사명, 목표, 계획이 사업의 그것들과 얼마나 잘 부합하고 상호작용하는지를 나타낸다. 다양한 매개변수에서 사업-IT 정렬을 평가하고, 격차를 식별하며, 기술 로드맵 및 예산을 정의하는 프레임워크(예: ASSIMPLER[8])도 존재한다.
따라서 IT 전략은 단순히 새로운 IT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공급망 관리(SCM)나 고객 관계 관리(CRM)와 같이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이 IT 전략의 핵심이다. 단순히 "정보 기술을 도입하자"는 구호가 아니라, 사업 전략에 기반하여 실행 가능성을 염두에 둔 구체적인 계획만이 진정한 IT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4. (IT) 기술 전략의 메타 모델
적용성 명세서(eng, SOA) 접근 방식에 맞춰, IT 전략은 Haloedscape IT 전략 모델에서 제안하는 IT 역량 모델(eng, ITCM)과 IT 운영 모델(eng)로 구성된다.
IT 전략은 정보 기술을 기업의 사업(비즈니스)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관한 구체적인 방침과 계획이다. 이는 보다 추상적인 전사 전략보다는 구체적인 사업 전략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경우가 많다. 흔히 PC나 회계 패키지 소프트웨어 도입 등을 IT 전략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더 넓은 범위로 비즈니스와 깊이 관련된 부분을 다룬다고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재고 정보 등을 기업의 벽을 넘어 공급망 전체에서 공유하는 공급망 관리(SCM), 고객 정보를 수집·축적하여 사업에 피드백하는 고객 관계 관리(CRM) 등은 정보 기술을 사용하지 않아도 실현 가능하지만, 정보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효율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분야에 어떻게 정보 기술을 사용할 것인가, 그 방침·지침·계획·실시 등을 포함한 정보 기술에 관한 일련의 작업을 가리켜 IT 전략이라고 한다.
단순히 "정보 기술을 도입하자" 등의 구호는 IT 전략이라고 하지 않으며, 사업 전략에 기반한, 실행을 염두에 둔 구체성을 갖추어 비로소 IT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5. (IT) 기술 전략의 프레임워크
IT 전략은 정보 기술을 기업의 사업(비즈니스)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관한 구체적인 방침이나 계획을 의미한다. 이는 추상적인 전사 전략보다는 구체적인 사업 전략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경우가 많다. 흔히 IT 전략이라고 하면 단순히 개인용 컴퓨터(PC)나 회계 패키지 소프트웨어 도입 등을 떠올리기 쉽지만, 실제로는 비즈니스와 깊이 관련된 부분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9]
예를 들어, 재고 정보를 기업 내부뿐 아니라 공급망 전체에서 공유하는 공급망 관리(SCM)나, 고객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업에 반영하는 고객 관계 관리(CRM) 등은 정보 기술 없이도 가능하지만, 정보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훨씬 높은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분야에서 정보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방침, 지침, 계획, 실행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을 IT 전략이라고 부른다.
IT 전략 수립 과정은 IT 서비스 관리(ITSM)[10], 전사적 아키텍처 개발(TOGAF), 거버넌스(COBIT)와 같은 프레임워크를 통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IT 전략은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의 각 수평 계층에 적용되고 지원되는 수직적 IT 서비스 형태로 모델링되기도 한다.[9]
단순히 "정보 기술을 도입하자"와 같은 구호는 IT 전략이라고 할 수 없다. 진정한 IT 전략은 사업 전략에 기반하여 실행을 염두에 둔 구체성을 갖추어야 한다.
6. (IT) 기술 전략의 일반적인 구조
IT 전략은 정보 기술을 기업의 사업(비즈니스)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관한 구체적인 방침 및 계획이다.[1] 이는 추상적인 전사 전략보다는 구체적인 사업 전략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경우가 많다. 단순히 PC나 회계 소프트웨어를 도입하는 것을 넘어, 비즈니스와 깊이 관련된 활동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1]
예를 들어, 공급망 관리(SCM)는 재고 정보를 기업 외부와 공유하여 공급망 전체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고, 고객 관계 관리(CRM)는 고객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업에 활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활동들은 정보 기술 없이도 가능하지만, 정보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훨씬 높은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IT 전략은 이러한 분야에서 정보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방침, 계획, 실행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한다.[1] 단순히 "정보 기술을 도입하자"는 구호가 아니라, 사업 전략에 기반하고 실행을 염두에 둔 구체성을 갖추어야 비로소 IT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1]
일반적으로 IT 기술 전략 문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섹션으로 구성된다. 각 세부 내용은 해당 문서의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 개요: 전략 요약, 목표, 범위, 비즈니스 연계성, 자원 등
- 내부 역량: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기존 시스템, 아키텍처, SWOT 분석 등
- 외부 요인: 외부 변화, 사용자 기대(Ajax, 오픈 소스 등), 신규 프로젝트 요구 등
- 기회: 비용 절감/효율 증대 기회, 기술 발전 영향(무어의 법칙, ROI) 등
- 위협: 경쟁 환경 분석, 리스크 요인 등
- IT 조직 구조 및 거버넌스: 역할과 책임, IT 거버넌스 등
- 마일스톤: 주요 일정, 결과물, 성과 지표 등
6. 1. 개요
성공적인 기술 전략은 계획의 가정을 문서화하고 성공 지표를 개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6] 이는 조직의 사명을 중심으로 전략을 수립하여, 세부 계획들이 조직 전체의 목표와 목적에 부합하도록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6] 기술 전략 설계의 핵심 목표는 사업 전략이 기술을 통해 실현될 수 있도록 하고, 기술 관련 투자가 사업 방향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성공적인 기술 전략이란 회사의 사명과 비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조직의 전반적인 사업 전략 안에 통합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7]기술 전략 문서의 '개요' 섹션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며, 전체 IT 전략을 요약하는 역할을 한다.
- IT 전략 요약: 전체 전략의 핵심 내용을 간략하게 제시한다.
- 조직적 이점: 기술 전략 실행을 통해 조직이 얻을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이점을 설명한다.
- 프로젝트 목표 및 범위: 해당 기술 전략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목표와 추진 범위를 명확히 한다.
- 참여 방식 및 방법론: 전략 수립 및 실행 과정에 참여하는 방식과 적용될 방법론을 기술한다.
- 전반적인 비즈니스 전략과의 관계: 현재 기술 전략이 조직의 전체 사업 전략과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보여준다.
- 자원 요약: 전략 실행에 필요한 자원을 요약하여 제시한다.
- 인력: 필요한 인적 자원 규모 및 구성
- 예산: 예상되는 예산 규모
- 주요 프로젝트 요약: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될 핵심 프로젝트 목록
6. 2. 내부 역량
- IT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관리: 정보 기술 부서에서 관리하는 현재 프로젝트의 목록과 상태를 다룬다. 각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위한 투자 수익률(ROI) 및 일정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단, 미래 지향적인 전략 문서 내에서는 현재 프로젝트 상태를 보고하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을 수 있다.
- 기존 애플리케이션 지원: 현재 지원 중인 기존 애플리케이션 목록과 이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자원 수준을 명시한다.
- 아키텍처 및 방법론: IT 솔루션 구현을 위한 아키텍처 방향과 방법론을 기술한다.
- SWOT 분석: 현재 IT 부서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SWOT 분석을 수행하며, 다음 내용을 포함한다.
- 강점: 현재 IT 부서가 보유한 강점을 분석한다.
- 약점: 현재 IT 부서가 가진 약점을 분석한다.
6. 3. 외부 요인
- 조직 외부에서 발생하는 변화 요약
- 사용자의 기대치 상승
- * 예: Ajax 기술로 인한 고품질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성장
- * 예: 오픈 소스 학습 관리 시스템의 가용성
- 조직에서 요청한 새로운 IT 프로젝트 목록.
6. 4. 기회
기술 전략의 '기회' 섹션에서는 새로운 비용 절감이나 효율성 증가를 가져올 수 있는 기회들을 설명한다.[6] 예를 들어, 단기 프로젝트에 활용 가능한 전문 서비스 계약자 목록과 같은 구체적인 방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무어의 법칙과 같이 기술 발전에 따라 더 낮은 비용으로 더 빠른 프로세서, 네트워크, 저장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현상이 조직의 기술 ROI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설명하는 내용도 다룬다.6. 5. 위협
기술 전략의 위협 섹션에서는 조직의 수익성이나 경쟁력을 떨어뜨릴 수 있는 파괴적인 요인들을 분석하고 설명한다. 또한, 경쟁업체들이 정보기술(IT)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내용도 포함된다.6. 6. IT 조직 구조 및 거버넌스
- IT 조직 역할 및 책임
- IT 역할 설명
- IT 거버넌스
6. 7. 마일스톤
기술 전략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중간 목표 지점인 마일스톤을 설정한다. 이는 월별, 분기별, 또는 연 단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정기적인 검토 날짜를 포함한다.각 마일스톤은 다음 요소들을 명확히 해야 한다.
- '''마일스톤 이름:''' 각 단계를 식별할 수 있는 명칭
- '''결과물:''' 해당 마일스톤 달성 시 완료되어야 하는 구체적인 산출물이나 성과
- '''지표:''' 마일스톤 달성 여부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준
7. 대상
기술 전략 문서는 일반적으로 조직 내 사업 계획에 관련된 비기술적 이해 관계자를 대상으로 작성된다. 따라서 기술적인 전문 용어나 정보 기술 약어의 사용은 지양해야 한다.
IT 전략은 내부 IT 직원들과도 공유되어야 한다. 많은 조직에서는 이전 연도의 전략 문서를 내부 IT 부서에 회람하여 피드백을 받는다. 이렇게 수집된 피드백은 새로운 연간 IT 전략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된다.
8. 구현
기술 전략의 실행은 일반적으로 변화 관리 체계 안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기업의 전략이나 조직의 계획된 변화를 실행할 때 따르는 일반적인 절차와 유사하다. 기본적으로 이 과정은 관리자가 감독하고 지시하며, 목표 조직을 확보하는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11] 예를 들어, 새로운 기술을 체계적으로 검토할 때, 이 방식을 사용하면 해당 기술이 사업에 얼마나 관련성이 있고 어떤 기회를 제공하는지 명확한 평가 기준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술 도입의 타당성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7]
9. 전략과 전사적 기술 아키텍처의 관계
기술 전략 문서는 일반적으로 전반적인 전사적 아키텍처를 언급하지만, 내용을 중복해서 다루지는 않는다. 기술 전략은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 정보 기술 시스템의 논리적 아키텍처에 대한 개략적인 보기
- 정보 기술 시스템의 물리적 아키텍처에 대한 개략적인 보기
- 기술 합리화 계획
IT 전략은 정보 기술을 기업의 사업(비즈니스)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침이나 계획을 의미한다. 이는 추상적인 전사 전략보다는 구체적인 사업 전략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경우가 많다. 흔히 IT 전략이라고 하면 PC나 회계 소프트웨어 도입 등을 떠올리기 쉽지만, 단순히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도입하는 것을 넘어 비즈니스와 깊이 관련된 부분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재고 정보 등을 기업의 경계를 넘어 공급망 전체에서 공유하는 공급망 관리(SCM)나, 고객 정보를 수집·축적하여 사업에 피드백하는 고객 관계 관리(CRM) 등은 정보 기술 없이도 실현 가능하지만, 정보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분야에서 정보 기술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방침, 지침, 계획, 실행 등을 포함하는 정보 기술 관련 작업을 IT 전략이라고 부른다.
단순히 "정보 기술을 도입하자"와 같은 구호만으로는 IT 전략이라고 할 수 없다. 사업 전략에 기반하고 실행을 염두에 둔 구체성을 갖추어야 비로소 IT 전략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참조
[1]
서적
Aligning Enterprise, System, and Software Architectures
IGI Global
[2]
서적
Information Technology Control and Audit, Third Edition
CRC Press
[3]
웹사이트
Information Technology Strategy Projects
http://informationte[...]
2010-07-31
[4]
서적
CTOs at Work
Apress
[5]
서적
Strategy Execution
[6]
서적
The Power of Convergence: Linking Business Strategies and Technology Decisions to Create Sustainable Success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7]
서적
Management of Technology: Perception and opportunities
Chapman & Hall
[8]
웹사이트
ASSIMPLER EA Framework - Making Life Simpler for an Enterprise
https://www.linkedin[...]
[9]
서적
Essential strategy and enterprise architecture : strategy and enterprise architecture for business-aligned, SOA-based IT solution developed through different phases of preliminaries & foundation, business architecture, information system architecture, application & data architecture, platform & technology architecture
Haloedscape Haves
[10]
웹사이트
Definition: ITSM (IT Service Management) • Join Us! »
https://servicemanag[...]
2017-12-21
[11]
서적
The Strategic Management of Technology: A Guide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Chandos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