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길리아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길리아드는 메릴린 로빈슨의 소설로, 아이오와주의 가상 마을 길리아드를 배경으로 회중교회 목사 존 에임스가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소설은 칼뱅주의 신학, 노예제 폐지 운동, 가족 간의 갈등과 화해, 용서와 같은 주제를 다루며, 미국 역사와 사회적 맥락을 배경으로 한다. 출간 이후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BBC와 뉴욕 타임스 등에서 21세기 최고의 소설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오와주를 배경으로 한 소설 -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는 로버트 제임스 월러의 소설로, 1965년 여름 아이오와주 매디슨 카운티에서 사진작가 로버트 킨케이드와 주부 프란체스카 존슨의 짧고 강렬한 사랑을 그린다.
  • 퓰리처상 픽션 부문 수상작 - 노인과 바다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소설 《노인과 바다》는 84일 동안 고기를 잡지 못한 노인 어부 산티아고가 거대한 청새치와 사투를 벌이는 이야기로, 불굴의 의지를 보여주지만 상어떼의 공격으로 뼈만 남게 되는 비극적인 상황과, 퓰리처상과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성공, 그리고 다양한 해석과 논쟁을 낳는 작품이다.
  • 퓰리처상 픽션 부문 수상작 -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가 1960년에 발표한 소설 《앵무새 죽이기》는 1930년대 앨라배마주 메이콤을 배경으로 어린 소녀 스카웃의 시선을 통해 인종차별과 편견, 인간의 존엄성을 그리고, 흑인 남성 톰 로빈슨 재판을 통해 사회 부조리를 드러내며 성장 과정에서 마주하는 현실과 용기, 동정심 등의 주제를 탐구하는 성장 소설이자 남부 고딕 소설로, 퓰리처상을 수상하고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지만 인종차별적 묘사 논란도 있다.
  • 1950년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 - 더 리더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소설 《더 리더》는 15세 소년 미하엘 베르크와 연상의 여성 한나 슈미츠의 사랑을 통해 독일 과거사 청산 문제를 다루며,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경비원 출신인 한나의 과거가 드러나면서 기억, 역사, 도덕적 책임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는 작품으로, 동명의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1950년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 - 꼬마 니콜라
    꼬마 니콜라는 1956년 르네 고시니가 글을 쓰고 장자크 상페가 그림을 그린 만화로 시작하여 소설, 영화,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주인공 니콜라의 시선으로 어른들의 세계를 풍자하는 유머와 개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길리아드
기본 정보
제목길리아드
원제Gilead
저자매릴린 로빈슨
삽화가해당사항 없음
표지 미술가해당사항 없음
국가미국
언어영어
시리즈4부작 중 첫 번째
장르소설
출판사파라, 스트라우스 앤 지루
출판일2004년 11월 4일
미디어 유형인쇄 (하드커버 및 페이퍼백)
페이지 수256쪽
ISBN978-0-374-15389-2
OCLC56645678
DDC813/.54 22
LCCPS3568.O3125 G55 2004
이전 작품해당사항 없음
다음 작품

2. 집필 배경

《길리아드》는 작가 메릴린 로빈슨의 신학적, 역사적 관점을 바탕으로 집필되었다. 로빈슨은 장 칼뱅기독교 강요를 비롯한 칼뱅주의 신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소설을 통해 칼뱅주의의 진정한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했다.[20][2] 소설의 배경에는 노예제 폐지운동, 남북 전쟁, 스페인 독감 등 미국의 역사적 사건들이 등장한다.[3]

2. 1. 작가의 신학적 영향

메릴린 로빈슨은 장 칼뱅기독교 강요를 비롯한 칼뱅주의 신학의 영향을 받아 이 소설을 집필했다.[20] 로빈슨은 칼뱅주의가 미국 문화와 역사에서 잘못 이해되고 있다고 비판하며, 《길리아드》를 통해 칼뱅주의의 진정한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했다.[2] 아이작 와츠의 찬송시가 회중교회 전통에 기여한 점을 언급하며, 아이작 뉴턴의 영향도 지적했다.[20]

2. 2. 역사적 배경

길리아드는 구약성경 창세기 31장 21절에 나오며 '고백의 언덕'이란 뜻으로, 소설에서는 아이오와주의 테이버라는 실제 도시를 모델로 했다.[3] 이 지역은 노예제 폐지운동으로 유명하다.[3] 소설 속 화자의 할아버지는 테이버 출신의 회중교회 목사이자 노예제 폐지운동가였던 존 토드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3]

소설에는 존 브라운의 노예 해방 운동, 남북 전쟁, 스페인 독감 등 미국의 역사적 사건들이 배경으로 등장한다. 에임스 할아버지는 남북전쟁에 참여했으며, 당시 '진지 열병'이라 불리던 장티푸스를 앓기도 했다.[3] 존 에임스는 스페인 독감 시기에 설교를 태웠다는 내용을 편지에 담기도 했다.[3]

3. 등장인물

길리아드의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존 에임스: 이 소설의 화자이자 주인공으로, 길리아드의 회중교회 목사이다. 70대의 노인인 그는 아들에게 자신의 삶, 가족, 신앙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은 편지를 남긴다. 에임스 목사는 김대중 전 대통령처럼 화해와 용서의 정신을 강조하며, 과거의 아픔을 극복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자 한다.
  • 에임스의 할아버지: 노예제 폐지운동에 헌신한 인물로, 아이오와주 테이버에서 회중교회 목사로 활동했다. 지하 철도의 지휘자로 활동하며, 존 브라운에게 무기와 물자를 제공하기도 했다.[3]
  • 에임스의 아버지: 할아버지와는 달리 기독교 평화주의자였다.

3. 1. 존 에임스

이 소설의 화자이자 주인공은 길리아드의 회중교회 목사인 존 에임스이다. 70대의 노인인 그는 자신의 삶과 가족, 신앙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은 편지를 아들에게 남긴다. 그는 자신의 직업을 "당신에게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무시해도 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좋은 기본적인 감각을 주는 것"이라고 묘사하며, 이를 아들에게 물려줄 중요한 지혜 중 하나라고 쓴다.

에임스 목사는 김대중 전 대통령처럼 화해와 용서의 정신을 강조하며, 과거의 아픔을 극복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자 한다. 특히, 그는 아들 존 에임스 보우턴(잭)에 대한 불신과 질투를 극복하고 진정한 애정과 용서를 베풀게 된다.

그의 할아버지는 미국 노예제 폐지 운동가이자 게릴라 활동가였으며, 미국 남북 전쟁에서 북군 군목으로 복무했다.[1] 반면, 에임스의 아버지는 기독교 평화주의자였다. 이러한 가족사는 에임스 목사의 신학적 고민과 갈등의 배경이 된다. 그는 존 칼뱅의 ''기독교 강요''를 비롯한 다양한 신학 서적과 루트비히 안드레아스 포이어바흐와 같은 철학자의 사상을 탐구하며 자신의 믿음을 정립해 나간다.[1]

에임스 목사는 아내 릴라와 아들에 대한 사랑, 그리고 길리아드 마을의 소박한 일상 속에서 삶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발견한다. 그는 주변 세상의 작은 경이로움에 감사하며, 평범하고 비극적인 것에서 매력을 찾는 삶의 태도를 아들에게 전하고자 한다.

3. 2. 에임스의 할아버지와 아버지

에임스의 할아버지는 노예제 폐지운동에 헌신한 인물이었다. 그는 아이오와주 테이버라는 도시에서 회중교회 목사로 활동했는데, 이 도시는 노예제 폐지운동으로 유명한 곳이었다.[3] 할아버지는 지하 철도의 지휘자로 활동하며, 노예 해방 운동가인 존 브라운에게 무기와 물자를 제공하기도 했다.[3] 또한 남북 전쟁에도 참전했다.[3]

에임스의 아버지는 할아버지와는 달리 기독교 평화주의자였다.

4. 줄거리

이 책은 존 에임스가 자신의 삶과 아버지, 할아버지와의 기억을 아들과 공유하는 이야기이다. 세 사람 모두 아이오와주 길리아드에서 회중교회 목사로 같은 직업을 가지고 있었다. 존 에임스는 자신의 직업을 얻기 어렵고 달성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아들에게 물려줄 수 있는 중요한 지혜 중 하나가 직업에 대한 것이라고 쓴다.

에임스의 아버지는 기독교 평화주의자였지만, 할아버지는 과격한 미국 노예제 폐지 운동가였다. 할아버지는 미국 남북 전쟁 이전에 존 브라운과 함께 게릴라 활동을 했고, 남북 전쟁에서는 북군 군목으로 복무하며 교인들에게 참전을 독려했다.[1] 에임스는 할아버지가 "자신의 사람들을 설교하여 전쟁에 참여시켰다"라고 회상한다.[1] 할아버지는 전쟁에서 오른쪽 눈을 잃고 돌아왔으며, 이후 오른쪽 눈이 하나님과 소통하는 신성한 연결 고리였다는 칭호를 얻었다.

할아버지는 젊은 시절 가족의 모든 소유물을 다른 사람에게 주거나, 피 묻은 셔츠를 입고 총을 든 채 설교하는 기이한 행동으로 기억된다. 아버지의 진정한 성격은 할아버지의 무덤을 찾는 일화를 통해 드러난다. 에임스는 번개로 불탄 침례 교회 유적에서 아버지로부터 '성찬'을 받은 기억을 떠올린다.

소설에서 에임스의 첫 번째 아내 루이자는 딸 레베카(앤젤린)를 낳다가 사망하고, 딸 역시 얼마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난다. 에임스는 가족의 죽음을 오랫동안 슬퍼하며, 특히 장로교 목사이자 오랜 친구인 보우턴 목사의 번성하는 가족과 비교하며 회상한다.

수년 후, 에임스는 어느 오순절 일요일에 교회에 나타난 릴라를 만나게 된다. 에임스는 릴라에게 세례를 베풀고, 두 사람의 관계는 발전하여 릴라가 청혼하기에 이른다. 에임스가 회고록을 쓰는 동안, 보우턴의 아들 존 에임스 보우턴(잭)이 20년 만에 마을로 돌아온다. 잭은 과거 가난한 가정의 소녀를 유혹하고 버린 죄책감으로 마을을 떠났었다.

소설의 긴장감은 에임스가 잭 보우턴을 불신하고, 특히 릴라와 아들과의 관계를 의심하는 데서 비롯된다. 그러나 결말에서 잭 보우턴은 테네시 출신의 흑인 여성과 사실혼 관계에 있었지만, 인종 차별 법 때문에 가족과 함께 살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잭은 에임스가 죽음을 앞두고 릴라에게 안정을 제공했다는 점을 암시하며, 릴라의 비극에 공감한다.

이야기 속에는 에임스의 신학적 갈등이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한다. 할아버지의 남북 전쟁 참여, 삶의 외로움, 형과 아버지의 믿음 상실, 사람들의 고난, 그리고 용서해야 할 대상인 잭 보우턴에 대한 적대감과 질투심 등이 그것이다. 에임스는 존 칼뱅의 ''기독교 강요''와 무신론자 루트비히 안드레아스 포이어바흐 등 성경, 신학자, 철학자의 글을 인용하며 자신의 갈등을 설명한다.[1]

에임스는 깊은 공감 능력을 가진 인물로 묘사되며, 고통과 한계, 실패를 인식하면서도 평온한 마음으로 회고록을 쓴다. 그는 아내, 아들, 길리아드 마을과의 작고 개인적인 행복과 평화의 순간에서 초월적인 비애를 느끼고, 세상의 아름다움에 기뻐하며 삶의 마지막 순간에 작은 경이로움을 감상한다. 소설은 현재의 현실을 즐기는 것의 중요성을 가르치며, 에임스는 아들이 "오래 살고… 이 가치 없는 세상을 사랑하기"를 바란다고 말한다. 그는 평범하고 일상적인 것에서 매력을 느끼며, 삶의 목적은 감사하고 고마워할 만한 것들을 찾는 것이라고 여긴다. 책의 마지막에서 에임스는 잭 보우턴의 실제 상황을 알고 진정한 애정과 용서를 느끼게 된다.

5. 주제

《길리아드》는 아이오와주의 가상 마을 길리아드를 배경으로, 3대에 걸친 목사 가문의 이야기를 다룬 소설이다. 주인공 존 에임스는 자신의 삶과 신앙, 그리고 가족 간의 관계를 회고하며 아들에게 편지를 쓰는 형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 소설은 장 칼뱅기독교 강요에 기반한 칼뱅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믿음, 구원, 은총 등 기독교의 핵심 교리를 탐구한다.[20] 에임스는 신앙과 이성, 종교와 과학 사이의 조화를 추구하며, 종교적 신념이 개인의 삶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성찰한다.

에임스 가문은 미국 노예제 폐지 운동과 미국 남북 전쟁 등 미국의 역사적 격변기를 겪으며, 세대 간의 갈등과 화해를 경험한다. 에임스의 할아버지는 노예제 폐지 운동에 적극 참여한 인물이었고,[1] 에임스의 아버지는 기독교 평화주의자였다. 이러한 서로 다른 신념은 세대 간의 갈등을 야기하지만, 결국 가족 구성원들은 서로를 이해하고 용서하며 화해를 이룬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길리아드는 구약성경 창세기에 나오는 '고백의 언덕'이라는 뜻으로, 아이오와주의 테이버를 모델로 했다.[3] 이 지역은 노예제 폐지운동으로 유명하며,[3] 소설 속 할아버지의 이야기는 존 토드 목사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3]

에임스는 친구 아들 잭 보우턴과의 관계를 통해 용서와 화해의 의미를 깨닫는다.[1] 잭 보우턴은 인종 차별로 인해 고통받는 인물로, 에임스는 그의 아픔에 공감하며 진정한 화해를 건넨다. 이는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사회적인 화해와 용서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5. 1. 종교와 신앙

이 소설은 장 칼뱅기독교 강요를 바탕으로 한 칼뱅주의 신학을 다루며, 믿음, 구원, 은총 등 기독교의 핵심 교리를 탐구한다.[20] 작가 메릴린 로빈슨은 칼뱅의 신학을 의도적으로 인용했다고 밝혔다. 주인공 존 에임스는 신앙과 이성, 종교와 과학 사이의 조화를 추구하며, 종교적 신념이 개인의 삶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에임스는 아버지와 할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목회자로서의 삶을 회고하며, 자신의 직업이 "당신에게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무시해도 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좋은 기본적인 감각을 주는 것"이라고 묘사한다. 에임스의 할아버지는 미국 노예제 폐지 운동가이자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북군 군목으로 활동했던 인물로, 과격한 신념과 행동으로 가족에게 영향을 미쳤다. 에임스는 할아버지의 신앙과 자신의 신앙 사이에서 갈등하며, 루트비히 안드레아스 포이어바흐와 같은 무신론 철학자의 사상도 탐구한다.[1]

소설 속에서 에임스는 아내와 아들을 통해 삶의 아름다움과 평범함 속의 소중함을 깨닫는다. 그는 "오래 살고… 이 가치 없는 세상을 사랑하기"를 바라며, 일상의 작은 기쁨에 감사하는 삶의 태도를 보여준다.

5. 2. 가족과 세대 간의 갈등과 화해

《길리아드》는 3대에 걸친 에임스 가문의 이야기를 다룬다. 존 에임스는 아버지와 할아버지와의 관계를 회상하며, 아들에게 기억과 유산을 남기고자 한다. 세 사람 모두 아이오와주 길리아드에서 회중교회 목사로 봉직했다. 존 에임스는 자신의 직업이 "무엇이 요구되고 무엇을 무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감각"을 주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에임스의 아버지는 기독교 평화주의자였던 반면, 할아버지는 미국 노예제 폐지 운동에 적극 참여한 인물이었다. 할아버지는 미국 남북 전쟁 이전에 존 브라운(노예 폐지 운동가)과 함께 게릴라 활동을 벌였고, 전쟁 중에는 북군 군목으로 복무하며 교인들에게 참전을 독려했다.[1] 할아버지는 전쟁에서 한쪽 눈을 잃었지만, 남은 한쪽 눈으로 날카로운 시선을 보내는 것으로 유명했다.

이처럼 서로 다른 신념과 가치관은 세대 간의 갈등을 상징한다. 에임스 가문 3대의 이야기는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과 화해, 사랑과 용서를 보여준다. 이는 급격한 변화를 겪은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세대 간의 갈등과 유사하며, 서로를 이해하고 포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5. 3. 노예제 폐지 운동과 사회 정의

길리아드는 구약성경 창세기 31장 21절에 나오는 '고백의 언덕'이라는 뜻으로, 아이오와주의 테이버라는 실제 도시를 모델로 했다.[3] 이 지역은 노예제 폐지운동으로 유명하다.[3] 소설 속 화자의 할아버지는 테이버 지역의 회중교회 목사인 존 토드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는데,[3] 존 토드는 지하 철도의 지휘자였으며, 존 브라운이 노예들을 해방시키는 데 사용한 무기와 물자를 보관하기도 했다.[3]

5. 4. 용서와 화해

에임스는 오랫동안 미워했던 친구의 아들 잭 보우턴의 உண்மையான 사정을 알게 된 후, 그를 진심으로 용서하고 애정을 느끼게 된다.[1] 잭 보우턴은 인종 차별 법 때문에 흑인 아내 및 아들과 함께 살 수 없었고, 그의 가족은 아내의 가족으로부터 거부당하는 고통을 겪고 있었다. 에임스는 잭 보우턴의 고통에 공감하며, 그에게 진정한 화해를 건넨다. 이는 과거의 아픔을 극복하고 미래로 나아가는 중요한 발걸음이다.

이러한 개인적인 용서와 화해는 사회적인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한국 사회는 5.18 민주화운동과 같은 과거사 문제로 인해 여전히 갈등을 겪고 있다.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고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서로를 이해하고 용서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에임스와 잭 보우턴의 화해는 이러한 노력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시이다.

6. 평가

이 책은 출간 당시와 이후 많은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도서 목록을 집계하는 사이트인 《가장 위대한 책들》에 따르면, 이 책은 "역대 233번째로 위대한 책"이다.[11] 2015년 1월에 발표된 BBC 컬처가 실시한 미국 문학 평론가 설문 조사에서, 《길리아드》는 2000년 이후 쓰인 4번째로 위대한 소설로 선정되었다.[12] 2019년에는, 이 소설이 《가디언》이 선정한 21세기 최고의 책 100권 목록에서 2위를 차지했다.[13] 같은 해 11월 5일, 《BBC 뉴스》는 《길리아드》를 100개의 가장 영향력 있는 소설 목록에 포함시켰다.[14] 전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이 소설을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작품 중 하나로 꼽았다. 2024년에는 이 소설이 《뉴욕 타임스》가 선정한 21세기 최고의 책 100권 목록에서 10위를 차지했다.[15]

''길리아드''는 존 칼빈, 칼뱅주의, 그리고 청교도에 대한 현대의 오해를 바로잡는 텍스트로 인정받고 있다. 로빈슨은 "그리스도인의 자유"라는 제목의 강연에서 "미국 문화사에서 일어난 일 중 하나는 존 칼빈이 매우 잘못 표현되었다는 것입니다. 그 결과, 그가 영향을 미친 미국 문화의 부분들도 매우 잘못 표현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2]

이 소설은 또한 문학에서의 기독교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쟁의 초점이 되었다. 빅토리아 대학교미국 문학 교수인 크리스토퍼 더글러스는 ''길리아드''가 "[...] '기독교 노예 제도'의 복잡성에서 적절하게 정화된 "현대 기독교 다문화 정체성을 구축한다고 주장한다.[18]

전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이 소설을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작품 중 하나로 꼽았다. 2015년 9월 14일, 아이오와주 데모인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매릴린 로빈슨과 인터뷰를 진행했다.[19]

7. 한국어 번역

Gilead영어공경희 번역으로 2006년 9월 15일 지식의 날개에서 출간되었다.[1]

8. 후속작

로빈슨은 《길리아드》의 등장인물과 사건을 다룬 세 편의 후속 소설을 썼다. 《집》(2008)은 친구이자 이웃인 보턴 가족의 관점에서 《길리아드》의 사건을 재조명한다. 《릴라》(2014)는 릴라의 관점에서 에임스와의 만남과 결혼을 다룬다. 《잭》(2020)은 보턴 가족의 문제아인 잭의 이야기를 다루며, 그의 가족에게 알려지지 않은 유색 인종 여성과의 관계를 자세히 설명한다.

참조

[1] 서적 Gilead https://archive.org/[...] Picador
[2] 웹사이트 The Freedom of a Christian http://vimeo.com/207[...] 2011-03-06
[3] 웹사이트 Gilead https://www.bookbrow[...] 2023-10-04
[4] 웹사이트 Gilead http://www.metacriti[...] 2023-01-14
[5] 웹사이트 Gilead https://bookmarks.re[...] 2024-01-16
[6] 웹사이트 Gilead By Marilynne Robinson http://www.bookmarks[...] 2023-01-14
[7] 서적 GILEAD {{!}} Kirkus Reviews https://www.kirkusre[...]
[8] 웹사이트 GILEAD by Marilynne Robinson https://www.publishe[...] 2024-07-31
[9] 뉴스 Acts of Devotion https://www.nytimes.[...] 2004-11-28
[10] 뉴스 Gilead: is John Ames as good as he wants his readers to believe he is? https://www.theguard[...] 2018-01-16
[11] 웹사이트 Gilead https://thegreatestb[...] 2024-02-16
[12] 웹사이트 The 21st Century's 12 greatest novels http://www.bbc.com/c[...] 2015-01-19
[13] 웹사이트 The 100 best books of the 21st century https://www.theguard[...] 2019-09-21
[14] 뉴스 100 'most inspiring' novels revealed by BBC Arts https://www.bbc.com/[...] 2019-11-05
[15] 웹사이트 The 100 best books of the 21st century https://www.nytimes.[...] 2024-07-12
[16] 서적 The Death of Adam Houghton Mifflin 1998
[17] 뉴스 John Calvin Got a Bad Rap https://www.nytimes.[...] 1999-02-07
[18] 간행물 Christian Multiculturalism and Unlearned History in Marilynne Robinson's Gilead 2011
[19] 웹사이트 President Obama & Marilynne Robinson: A Conversation in Iowa http://www2.nybooks.[...] 2015-09-24
[20] 웹인용 March 18, 2005 ~ Interview: Marilynne Robinson March 18, 2005 Religion & Ethics NewsWeekly PBS https://www.pbs.org/[...] 2023-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