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동원 (195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동원은 1955년생으로, 독립 영화계에서 활동하며 사회 고발적인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온 영화 감독이다. 이장호, 정지영, 장선우에게서 감독 수업을 받았으며, 도시 빈민과 비전향 장기수, 일본군 위안부 등 인권 문제를 다룬 작품들을 주로 만들었다. 대표작으로는 비전향 장기수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송환》, 《63년의 기억》 등이 있으며, 《송환》으로 선댄스 영화제 표현의 자유 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강대학교 동문 - 정희진
    정희진은 여성학, 평화학 연구자이자 작가로서, 여성학 학위를 취득 후 한국여성의전화 활동, 강연, 저술 활동을 하며 녹색당 당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서강대학교 동문 - 유병재
    유병재는 1988년생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방송 작가, 배우, 감독으로, 《SNL 코리아》 '극한직업' 코너를 통해 이름을 알렸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독특한 유머 감각과 재치있는 입담으로 인기를 얻고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 - 이윤택
    이윤택은 대한민국의 연극 연출가이자 극작가, 시인으로 연희단거리패를 창단하여 한국 연극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미투 운동으로 성폭력 가해 사실이 드러나 연극계에서 퇴출되었으며, 문재인 전 대통령을 지지하여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오르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 - 유지태
    유지태는 1998년 영화 《바이 준》으로 데뷔하여 《올드보이》 등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인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마이 라띠마》를 연출한 영화 감독으로, 배우 김효진과 결혼하여 사회 활동과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유지태
    유지태는 1998년 영화 《바이 준》으로 데뷔하여 《올드보이》 등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인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마이 라띠마》를 연출한 영화 감독으로, 배우 김효진과 결혼하여 사회 활동과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봉준호
    봉준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플란다스의 개》로 데뷔하여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연출하며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김동원 (195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동원
출생일1955년 2월 24일
출생지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직업다큐멘터리 영화 감독
학력
출신 학교서강대학교
활동
활동 기간1988년–현재
수상
수상 내역2014년 제4회 김대중노벨평화영화상
기타
한국어 이름hangul: 김동원
hanja: !
rr: Gim Dong-won
mr: Kim Tong-wŏn
웹사이트씨네21 김동원 정보
영화진흥위원회KIM Dong-won

2. 생애

이장호, 정지영, 장선우에게서 감독 수업을 받은 뒤, 독립 영화계에서 활동하며 사회 고발적인 다큐멘터리 《상계동 올림픽》(1988), 《명성, 그 6일의 기록》(1997) 등을 만들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주요 관심사는 도시 빈민의 삶에 대한 것이었다.[4]

2004년에는 비전향 장기수를 그린 《송환》으로 선댄스 영화제에서 표현의 자유 상을 수상했다. 다큐멘터리 집단 푸른영상 대표를 맡고 있으며, 《송환》 이후로도 《다섯 개의 시선》(2005), 태평양 전쟁 일본군 위안부를 다룬 《끝나지 않는 전쟁》(2008) 등 인권 영화에 계속 관심을 보이고 있다.[4]

3. 작품 세계

김동원은 이장호, 정지영, 장선우에게서 감독 수업을 받은 뒤 독립 영화계에서 활동하며 《상계동 올림픽》(1988), 《명성, 그 6일의 기록》(1997) 등 사회 고발적인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주요 관심사는 도시 빈민의 삶에 대한 것이었다.

2004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비전향 장기수를 다룬 《송환》으로 표현의 자유 상을 받았다. 다큐멘터리 집단 푸른영상 대표를 맡고 있으며, 《다섯 개의 시선》(2005), 태평양 전쟁 일본군 위안부를 다룬 《끝나지 않는 전쟁》(2008) 등 인권 영화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4]

3. 1. 도시 빈민 문제

이장호, 정지영, 장선우에게서 감독 수업을 받은 뒤, 독립 영화계에서 활동하며 사회 고발적인 다큐멘터리 《상계동 올림픽》(1988), 《명성, 그 6일의 기록》(1997) 등을 만들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주요 관심사는 도시 빈민의 삶에 대한 것이었다.

3. 2. 비전향 장기수 문제

김동원은 2004년에 비전향 장기수를 다룬 《송환》으로 선댄스 영화제에서 표현의 자유 상을 수상했다. 《송환》은 김동원이 1992년부터 오랜 기간 동안 촬영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비평가들의 호평과 함께 극장에서도 개봉되어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에 모여 사는 비전향 장기수 출신 노인들이다. 김동원은 지인의 부탁을 받고 1992년 봄에 조선로동당 간부 출신의 공작원 김석형과 빈농 출신으로 남파 공작원을 실어나르다가 체포된 선박 부기관장 조창손을 봉천동으로 데려왔다. 영화 촬영 중이던 2000년에 이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송환되었다.[4][5][6]

《송환》은 대한민국에서 체포된 북한 간첩들의 삶을 기록하며, 30년 이상 대한민국의 감옥에 수감된 후 고향으로 돌아가는 여정을 담고 있다.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심혈을 기울여 완성한 이 작품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다큐멘터리로 평가받았다. 2004년 제24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에서 특별 언급상을, 제5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에서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으며, 2005년 제19회 프리부르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다큐멘터리상을 수상했다.[7][8]

3. 3. 일본군 위안부 문제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끝나지 않는 전쟁》(2008) 등 인권 영화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4]

4. 주요 작품 목록

김동원은 이장호, 정지영, 장선우 감독에게서 영화 연출 수업을 받았다. 이후 독립 영화계에서 활동하며 사회 고발적인 다큐멘터리 영화 《상계동 올림픽》(1988), 《명성, 그 6일의 기록》(1997) 등을 만들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11] 그의 주요 관심사는 도시 빈민의 삶이었다. 2004년에는 비전향 장기수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송환》으로 선댄스 영화제에서 표현의 자유 상을 수상했다. 다큐멘터리 제작 집단 푸른영상 대표를 맡고 있으며, 《송환》 이후로도 《다섯 개의 시선》(2005), 태평양 전쟁 일본군 위안부를 다룬 《끝나지 않는 전쟁》(2008) 등 인권 영화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4. 1. 감독


  • 《서울 예수》 (1986) (연출 부문)
  • 《제임스 메이》 (단편 영화, 1986)
  • 《상계동 올림픽》 (다큐멘터리 단편, 1988) (촬영 감독으로도 참여)[11]
  • 《죽음의 가장자리에서》 (단편 영화, 1990)
  •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단편 영화, 1991)
  • 《행당동 사람들》 (단편 영화, 1994)
  • 《하나가 된다는 것은 더 커지는 것이다, 우리는 하나가 될 것이다》 (단편 영화, 1995)
  • 《미디어 홍수 속의 사람들》 (단편 영화, 1995)
  • 《명동성당 6일간의 투쟁》 (단편 영화, 1997)
  • 《우리가 만들어가는 또 다른 세상: 행당동 사람들 2》 (단편 영화, 1999)
  • 《어떤 남자》 (단편 영화, 2001)
  • 《타켄 가족》 (단편 영화, 2001)
  • 송환》 (다큐멘터리, 2004)
  • 《만약 내가 너라면 2》 (옴니버스 영화): 종로, 겨울 (2006)
  • 《63년의 기억》 (다큐멘터리, 2008)

4. 2. 각본


  • 귀향 (다큐멘터리, 2004)
  • 만약 내가 너라면 2 (세그먼트: "종로, 겨울") (2006)

4. 3. 제작


  • 미디어 홍수 속의 사람들 (단편 영화, 1995년)
  • 보라색 손수건 (단편 영화, 1995년)

4. 4. 각색


  • 만약 당신이 나라면 2(옴니버스: "종로, 겨울") (2006년)
  • 63년의 시간(다큐멘터리, 2008년)

5. 수상 경력

연도작품비고
1997년부산국제영화제 선재상[4][5][6]
2004년서울독립영화제 대상[4][5][6]
2004년선댄스 영화제 표현의자유상[4][5][6]
2004년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심사위원특별상송환[4][5][6][7][8]
2004년춘사영화상 올해의 기획제작상[4][5][6]
2004년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특별 언급송환[7][8]
2005년프리부르 국제 영화제 최우수 다큐멘터리상송환[7][8]
2008년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드 최우수 다큐멘터리상63년의 기억[9][10]
2014년김대중노벨평화영화상[4][5][6]
2014년부일영화상 유현목 영화예술상


6. 학력

참조

[1] 웹사이트 KIM Dong-won https://www.koreanfi[...] 2016-01-25
[2] 웹사이트 Kim Dong Won's Film on North Korean Prisoners Held in South Korea http://asiasociety.o[...] 2016-01-26
[3] 웹사이트 Kim Dong Won http://www.docresi.o[...] 2016-01-28
[4] 웹사이트 Up close and personal with directors http://www.hancinema[...] 2016-01-25
[5] 웹사이트 Korean Film Fest Hit Lyons France http://www.hancinema[...] 2016-01-25
[6] 웹사이트 Kim Dong-won documentary awarded at Sundance http://www.koreanfil[...] 2016-01-29
[7] 웹사이트 Old Boy reigns at Critics Choice Awards http://www.koreanfil[...] 2016-01-25
[8] 웹사이트 'Repatriation' Wins at Fribourg Fest http://www.hancinema[...] 2016-01-25
[9] 웹사이트 Korean Films Premiering at 9th JIFF http://www.koreanfil[...] 2016-01-25
[10] 웹사이트 63 Years On and Good, Bad, and the Weird win international award http://www.koreanfil[...] 2016-01-25
[11] 웹사이트 63 Award-winning director Kim Dong Won screens ''63 Years On'' http://www.brandeis.[...] 2016-01-28
[12] 웹인용 김동원 http://www.cine21.co[...] 씨네21 2008-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