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붕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붕구는 황해도 옹진 출신의 불문학자로, 와세다대학교에서 공학과 정치 경제학을 전공하고 서울대학교에서 국문학과 불문학을 전공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한국 불어불문학회 창설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앙드레 지드, 앙드레 말로 등 프랑스 문학을 한국에 소개하며 현대 문학의 특성을 밝히고 한국 인문학의 방향을 제시하는 논문을 다수 발표했으며, 샤를 보들레르 연구는 국제적으로도 유명하다. 주요 저서로는 《작가와 사회》, 《보들레에르 평전》 등이 있으며, 다수의 프랑스 문학 작품을 번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불문학자 - 이인성 (소설가)
    이인성은 실험적인 문체와 독창적인 서술 기법으로 인간의 정체성과 의식의 세계를 탐구하는 한국의 소설가이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 대한민국의 불문학자 - 박정자 (교수)
    박정자는 미셸 푸코와 장 폴 사르트르 연구를 통해 인문학 대중화에 기여한 한국의 대표적인 인문학자이며, 푸코를 국내에 처음 소개하고 사르트르 철학 입문서를 저술하는 등 학술적 성과와 대중적 인지도를 동시에 얻었다.
  • 국민훈장 모란장 수훈자 - 정인승
    정인승은 일제강점기 국어학자로서 국어사전 편찬에 기여하고, 해방 후에는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으며,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후 건국훈장과 국민훈장을 수훈받았다.
  • 국민훈장 모란장 수훈자 - 손기정
    손기정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이자 체육인으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일본 대표로 출전해야 했으며, 광복 후에는 육상 지도자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체육 발전에 기여했다.
  • 황해남도 출신 - 김상돈
    김상돈은 일제 강점기 언론인 출신으로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 민주당 창당 참여, 민의원의원, 최초의 민선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 시절에는 미국으로 망명하여 반독재 운동을 전개한 정치인이다.
  • 황해남도 출신 - 장덕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교육자, 정치인이었던 장덕수는 와세다 대학교 유학 중 조선인 유학생 단체를 이끌고 신한청년당 결성에 참여했으며, 동아일보 주필과 고려공산당 상하이파 국내 지부 조직 등의 활동을 하였고, 광복 후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했으나 암살당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다.
김붕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붕구
김붕구 선생
본명김붕구
출생일1922년 5월 8일
사망일1991년 2월 11일
학력 및 경력
직업학자
학력불명
모교불명
경력불명
개인 정보
본관불명
종교불명
필명불명
활동 정보
활동 기간불명
장르불명
사조불명
수상불명
스승불명
제자불명
가족 관계
부모불명
배우자불명
동거인불명
자녀불명
형제불명
친지불명
기타 정보
주요 작품불명
영향 받은 인물불명
영향 준 인물불명
서명불명
묘비불명
묘소불명
웹사이트불명

2. 생애

김붕구는 황해도 옹진에서 태어났다. 와세다대학교에서 공학과 정치경제학을, 서울대학교에서 국문학과 불문학을 전공했다.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 불어불문학회 창설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약 40여 년간 앙드레 지드, 앙드레 말로, 마르셀 프루스트, 장 폴 사르트르, 알베르 카뮈, 생텍쥐페리 등 프랑스 문학을 한국에 소개했다.

프랑스 행동주의 문학과 실존주의를 소개하고 올바르게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힘썼으며, 많은 수필을 발표했다. 날카로운 분석과 핵심을 찌르는 비평, 세련된 문체로 한국 문학계 최초의 현대적 비평을 선보이며 '불문학 붐'을 일으켰다. 〈작가와 사회〉는 사회, 문학, 작가, 참여의 문제를 다루어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보들레르 연구와 평전은 국제적으로도 유명하며 현대문학과 시 연구의 필독서로 꼽힌다.

저서로는 《불문학산고》(1958), 《작가와 사회》(1959), 《보들레에르 평전》(1977), 《프랑스 문학사》(1979), 《상징주의 문학론》, 《한국인과 문학사상》, 《현실과 문학의 비원》(1960) 등이 있다. 루소의 《고백》,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장 폴 사르트르의 《문학이란 무엇인가》, 알베르 카뮈의 《반항인》, 앙드레 지드의 《지상의 양식》, 스탕달의 《적과 흑》, 보들레르의 《악의 꽃》, 앙드레 말로의 《왕성의 길》(1958), 《인간의 조건》, 생텍쥐페리의 《야간비행》, 쥘 르나르의 《홍당무》, 세르방의 《미국의 도전》 등을 번역했다. 에세이집으로는 《사랑과 만남의 기적》, 《서울과 파리의 마로니에》 등이 있다. 그의 번역서와 창작 에세이집은 정확한 번역과 수려한 문체로 유명하며 한국문학 연구에서도 널리 인용되고 있다.

2. 1. 학력

2. 2. 경력

1953년부터 1987년까지 서울대학교 교수와 불어불문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1991년 작고할 때까지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했다. 학술원 회원이었다. 대한민국 학술원 대상,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3. 학문적 업적

김붕구는 와세다대학교에서 공학과 정치 경제학을 전공하고 서울대학교에서 국문학과 불문학을 전공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3년부터 1987년까지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불어불문학회 창설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보들레르 연구와 평전은 국제적으로도 유명하며 현대문학과 시 연구의 필독서로 정평이 나 있다. 또한, 많은 수필을 발표하였고, 정확한 번역과 수려한 문체로 유명한 그의 번역서와 창작 에세이집은 한국문학 연구에서도 널리 회자되고 있다.

3. 1. 프랑스 문학 소개

김붕구는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약 40여 년간 《앙드레 지드와 프랑스문학》, 《앙드레 말로》, 《증언으로서의 문학》 등 앙드레 지드, 앙드레 말로, 마르셀 프루스트, 장 폴 사르트르, 알베르 카뮈, 생텍쥐페리 등의 문학을 한국에 소개하였다. 그는 현대 문학의 특성을 밝히고 한국 현대 문학과 인문학의 방향을 제시하는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으며, 프랑스 행동주의 문학과 실존주의를 소개하고 그 정당한 이해와 평가에 노력하였다.

그의 날카로운 분석과 정곡을 찌르는 비평, 세련된 문체는 한국 문학계 최초의 현대적 비평의 진수를 보이며 한국 인문학과 현대 문학의 방향을 주도하면서 한국 사회에 이른바 ‘불문학 붐’을 일으켰다.

3. 2. 비평 활동

정명환은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40여 년간 앙드레 지드, 앙드레 말로, 마르셀 프루스트, 장 폴 사르트르, 알베르 카뮈, 생텍쥐페리 등의 프랑스 문학을 한국에 소개하며 현대 문학의 특성을 밝혔다. 또한, 한국 현대 문학과 인문학의 방향을 제시하는 논문을 다수 발표하여 한국 문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프랑스 행동주의 문학과 실존주의를 소개하고 그 정당한 이해와 평가에 힘썼으며, 날카로운 분석과 정곡을 찌르는 비평, 세련된 문체로 한국 문학계 최초의 현대적 비평의 진수를 선보였다. 특히, 그의 논문 〈작가와 사회〉는 사회, 문학, 작가, 그리고 참여의 문제를 다루어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3. 3. 저서 및 역서

저서 및 역서출판사출판 연도
불문학산고신태양사1958
현실과 문학의 비원동양출판사1960
사랑과 만남의 기적과학사1976
보들레에르문학과지성사1977
한국인과 문학사상 (공저)일조각1962
작가와 사회일조각1959
프랑스 문학사(새로운) (공저)일조각1979
앙드레 말로의 왕성의 길신양사1958
앙드레 말로의 인간조건동아출판사1958
뤼뻬, 알베르 카뮈의 사상과 문학 1,2신양사1958
빅토르 위고의 사형수 최후의 날양문사1960
꾸르베, 프랑스 단편선을유문화사1960
알베르 카뮈반항인을유문화사1960
장 폴 사르트르의 말지문각1965
Roumegoux, Apprenons le français성문사1966
망디아르그, 오토바이신구문화사1968
세르방, 미국의 도전세대사1969
귀스타브 플로베르보바리 부인동화출판사1970
마르셀 프루스트스완의 사랑동화출판사1970
알베르 카뮈의 행복한 죽음과학사1971
장 폴 사르트르의 문학이란 무엇인가문예출판사1972
르네 데카르트방법서설박영사1974
샤를 보들레르악의 꽃민음사1974
그린, 레비아땅삼중당1976
장 폴 사르트르의 파리떼가정문고1977
쥘 르나르의 홍당무삼중당1977
가브리엘 마르셀의 존재와 소유微文出版社프랑스어1978
뿔레, 현대 비평의 이론홍성사1979
스탕달적과 흑범우사1997
앙드레 지드의 지상의 양식지식공작소2001


4. 논문


  • 「Gide와 현대프랑스문학(上)」, 『文理大學報』, 서울대학교, 1954
  • 「Gide와 현대프랑스문학(下)」, 『文理大學報』, 서울대학교, 1955
  • 「新文學 初期의 近代的 自我-春園의 경우」, 『한국인과문학사상』, 일조각, 1963
  • 「Fontenelle과 대비해본 春園의 계몽사상」, 『불어불문학연구』, 1965
  • 「현대문학에 있어서 engagement과 participation사상」, 1970
  • 「Sartre의 人間觀」, 『문학과지성』, 일조각, 1971
  • 「Sartre의 對他觀」, 『불어불문학연구』, 1972
  • 「Saint-Exup ry의 人間觀」, 『知性(5,6월호)』, 1972
  • 「詩人의 原初的 自我와 騎士精神」, 『文學과知性』, 일조각, 1975
  • Les Fleurs du Mal프랑스어 : Le Cycle de la Beauté virile, Revue de Corée, UNESCO, 1978
  • 「「惡의 꽃」의 (男性美)篇에 관하여」, 『문학과지성(통권31호)』, 문학과지성사, 1978
  • Les Fleurs du Mal프랑스어 : Le Cycle de la Beauté féminine, Revue de corée, UNESCO, 1979
  • 「『惡의 꽃』의 (女性美)篇에 관하여」, 『문학과지성(여름호)』, 문학과지성사, 1979
  • 「앙드레말로 연구」, 『인문논총』, 서울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81
  • 「앙드레말로의 大回歸와 逆離說-전기연구」, 『불어불문학연구』, 한국불어불문학회, 1985
  • 「앙드레말로 연구-이탈.집착의 대응구조와 숙명의 예시」, 『인문논총』, 서울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85

5. 한국 사회에 끼친 영향

정명환은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약 40여 년간 앙드레 지드, 앙드레 말로, 마르셀 프루스트, 장 폴 사르트르, 알베르 카뮈, 생텍쥐페리 등 프랑스 문학을 한국에 소개하며 현대 문학의 특징을 밝히고 한국 현대 문학과 인문학의 방향을 제시하는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다. 이는 한국 사회에 '불문학 붐'을 일으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정명환은 프랑스 행동주의 문학과 실존주의를 한국에 소개하고, 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평가를 위해 노력했다. 그의 저서 《작가와 사회》는 사회, 문학, 작가, 그리고 참여의 문제를 다루어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또한, 정명환은 한국 최초로 샤를 보들레르에 대한 연구와 평전을 발표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이는 현대 문학과 시 연구의 필독서로 자리 잡았다. 그의 날카로운 분석과 핵심을 찌르는 비평, 세련된 문체는 한국 문학계 최초의 현대적 비평의 정수로 평가받으며, 한국 인문학과 현대 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정명환은 정확하고 수려한 문체로 번역서를 출간하고 창작 에세이집을 발표하여 한국 문학 연구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