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인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인숙은 1963년 서울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1983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상실의 계절'이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신경숙, 공지영과 함께 386세대를 대표하는 여성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이상문학상, 동인문학상, 대산문학상 등 주요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불꽃', '먼 길', '바다와 나비', '안녕, 엘레나' 등 30권이 넘는 책을 출판했다. 특히 해외 거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주로 선보였으며, 소설 '먼 길'은 영어로 번역된 유일한 "해외 거주자" 한국 소설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순원문학상 수상자 - 김훈 (소설가)
    김훈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1994년 등단 후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며 문명을 얻었고, 간결하고 힘 있는 문체와 인물 내면 묘사가 특징이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고,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전업 작가가 되었다.
  • 황순원문학상 수상자 - 박완서
    박완서는 한국 전쟁의 비극, 분단 현실, 소시민적 삶, 물질만능주의 비판, 여성 문제 등을 주제로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여러 문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진명여자고등학교 동문 - 정영애
    정영애는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학 박사 출신 여성학자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한국여성학회 등에서 활동했으며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주요 직책을 맡아 여성 권익 신장과 관련된 정책을 추진하고 여성 현안을 다루었다.
  • 진명여자고등학교 동문 - 나혜석
    나혜석은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이자 신여성, 작가, 여성운동가로서,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자유로운 삶을 주장하며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예술적 업적은 최근 재평가되고 있다.
  • 동인문학상 수상자 - 김훈 (소설가)
    김훈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1994년 등단 후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며 문명을 얻었고, 간결하고 힘 있는 문체와 인물 내면 묘사가 특징이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고,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전업 작가가 되었다.
  • 동인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김인숙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인숙, 2011 서울 국제 도서전에서
본명김인숙
출생일1963년
국적대한민국
직업작가
언어한국어
학력
모교연세대학교
경력
활동 기간1983년 - 현재
작품 활동
장르소설
데뷔 작품'상실의 계절'
주요 작품'바다와 나비'
'모텔 알프스'
수상
수상 내역한국일보 문학상
현대문학상
이상문학상
동인문학상

2. 생애

1963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13] 다섯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호스티스였던 어머니 밑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2] 진명여자고등학교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으며,[13][2] 대학 시절에는 민중문화연합 산하의 굿패 '해원'에서 활동하기도 했다.[13]

1983년, 연세대학교 재학 중이던 20세에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상실의 계절'이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13][4] 김인숙은 1960년대에 태어나 1980년대에 대학을 다니고 1990년대에 30대를 보낸 이른바 386세대 작가로 분류된다.[3] 신경숙, 공지영과 함께 당시 주목받던 새로운 여성 작가 그룹의 일원으로 꼽힌다.[3]

그는 이상문학상, 동인문학상, 대산문학상 등 대한민국의 주요 문학상을 모두 수상했으며, 30권이 넘는 책을 출판했다.[5] 초기 작품인 ''불꽃''(1985) 등에서는 개인적인 갈등과 번민을 다루었으나, 이후 학생 운동사를 다룬 ''79~80년의 겨울과 봄 사이''(1987)와 노동 현장의 경험을 담은 보고 문학 ''함께 걷는 길''(1989) 등을 통해 역사적 현실 문제에 정면으로 맞서는 모습을 보였다. 1990년대 이후의 작품에서는 자본주의 사회 속 평범한 사람들의 내면을 그린 ''백칼과 사랑''(1993), 호주 이주민들의 삶을 통해 정착하지 못하는 이들의 상처를 그린 ''머나먼 길''(1995), 내면의 상처를 극복하고 성숙한 사랑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그린 ''꽃의 기억''(1999) 등 일상 공간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에 주목하고 있다.

2010년대에는 중국에서 생활했으며, 2011년 봄에는 딸과 함께 다롄에서 거주하기도 했다.[6]

3. 작품 세계

김인숙의 작품은 한국인 해외 거주자들의 경험을 비중 있게 다룬다는 특징이 있다. 대표적으로 1990년대 호주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소설 『먼 길』은 출간된 해에 한국일보 문학상을 수상했으며,[7] 영어로 번역된 유일한 "해외 거주자" 한국 소설이기도 하다.[8]

그녀는 2003년 『바다와 나비』로 이상문학상을, 2010년에는 『안녕, 엘레나』로 동인문학상을 수상하는 등 문학성을 인정받았다.

초기 작품에서는 개인적 고뇌와 사회 현실을 다루었으나, 1990년대 이후로는 점차 일상 속 평범한 인물들의 내면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인다.

최근작인 『미칠 수 있겠니, 이 삶에』는 대규모 지진과 쓰나미를 다루고 있는데, 작가는 일본 대지진 직후 출간하는 것이 시기적으로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출판을 연기하기도 했다.[9]

3. 1. 초기 (1980년대)

1985년 작 『불꽃』까지의 초기 작품에서는 주로 개인적인 갈등과 번민을 다루었다.[1] 이후 1980년대 후반에는 사회 현실 문제로 관심을 확장하여, 학생 운동사를 다룬 『79~80년의 겨울과 봄 사이』(1987년)와 노동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보고 문학 『함께 걷는 길』(1989년) 등을 발표했다.[1][2] 이 시기 작품들은 당대의 역사적 현실을 정면으로 다루는 경향을 보였다.[2]

3. 2. 중기 (1990년대)

1980년대까지 학생 운동(『79~80년의 겨울과 봄 사이』, 1987)이나 노동 현장(『함께 걷는 길』, 1989) 등 역사적 현실에 정면으로 맞서는 작품을 선보였던 김인숙은 1990년대에 들어 작품 세계의 변화를 맞이한다. 이 시기부터는 거대 담론 대신 일상 공간을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내면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 주요 작품으로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내면을 그린 『백칼과 사랑』(1993), 호주 이주민의 삶을 통해 정착하지 못하는 이들의 상처를 감성적으로 표현한 『머나먼 길』(1995), 내면의 상처를 극복하고 성숙한 사랑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그린 『꽃의 기억』(1999)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을 통해 김인숙은 개인의 내면과 상처, 그리고 일상 속의 관계를 섬세하게 탐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3. 3. 후기 (2000년대 이후)

1990년대 이후 발표된 작품들에서는 일상적인 공간을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인다.

4. 수상

wikitext

연도상 이름수상작
1983조선일보 신춘문예「상실의 계절」 (입선)
1984유주현 문학상
1993대한민국 문학예술상
1995한국일보 문학상「머나먼 길」
1996이산 문학상
2000현대문학상「개교기념일」[14]
2003이상 문학상「바다와 나비」[15]
2005이수 문학상
2006대산문학상「그 여자의 자서전」
2010동인문학상「안녕, 엘레나」
2012황순원 문학상「빈집」


5. 작품 목록

김인숙은 초기 작품 『불꽃』(1985) 등에서는 개인적인 갈등과 번민을 주로 다루었으나[11], 이후 대한민국 학생 운동사를 다룬 『'79~'80 겨울에서 봄 사이』(1987)나 노동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보고 문학 『함께 걷는 길』(1989) 등을 통해 역사적 현실에 정면으로 맞서는 모습을 보였다. 1990년대 이후로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내면(『칼날과 사랑』, 1993), 호주 이주민들의 삶을 통해 정착하지 못하는 이들의 상처(『먼 길』, 1995), 내면의 상처를 극복하고 성숙한 사랑으로 나아가는 과정(『꽃의 기억』, 1999) 등 일상 공간 속 개인의 삶과 내면에 주목하고 있다.

5. 1. 장편 소설

김인숙은 초기 작품에서는 개인적인 갈등과 번민을 주로 다루었으나[11], 이후 대한민국 학생 운동사를 다룬 『'79~'80 겨울에서 봄 사이』(1987)나 노동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함께 걷는 길』(1989) 등을 통해 역사적 현실에 주목하는 모습을 보였다. 1990년대 이후로는 자본주의 사회 속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내면, 호주 이주민의 삶을 통해 정착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상처(『먼 길』, 1995), 내면의 상처를 극복하고 성숙해가는 과정(『꽃의 기억』, 1999) 등 일상 공간 속 개인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연도제목
1983년『혈통』
1985년『불꽃』[11]
1987년79~80 겨울에서 봄 사이』
1989년『함께 걷는 길』
1993년『그래서 너를 안는다』
1993년『칼날과 사랑』
1995년『먼 길』
1999년『꽃의 기억』
2000년『개교기념일』
2001년『브라스밴드를 기다리며』
2002년『우연』
2005년『그 여자 자서전』
2009년『안녕, 엘레나』
2010년『소현』
2011년『미칠 수 있겠니』


5. 2. 단편 소설

연도제목비고
1985년불꽃[11]
1987년79~80 겨울에서 봄 사이
1989년함께 걷는 길
1993년칼날과 사랑
1995년먼 길
1998년유리 구두
2000년개교기념일
2001년브라스밴드를 기다리며
2002년우연
2009년꽃의 기억
안녕, 엘레나
2011년미칠 수 있겠니


  • 가까운 불빛
  • 부정
  • 봄이 오면

5. 3. 르포

김인숙은 1980년대에 사회 현실을 깊이 있게 다룬 르포 성격의 작품들을 발표했다. 1987년에는 대한민국 학생 운동사를 다룬 『79~80년의 겨울과 봄 사이』를 출간했으며, 1989년에는 노동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보고 문학 『함께 걷는 길』을 선보였다. 이 시기의 작품들은 개인적인 문제보다는 당대의 역사적 현실에 주목하며 사회 문제에 정면으로 맞서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5. 4. 번역 작품


  • ''[https://www.amazon.com/dp/1878282972 긴 여정]'' (MerwinAsia, 2010)
  • ''자상'' (ASIA PUBLISHERS, 2013)
  • ''숨, 악몽'' (김훈아 역, 트랜스뷰, 2011)
  • ''안녕, 엘레나'' (와다 게이코 역, 서사관관방, 한국 여성 문학 시리즈, 2016)

참조

[1] 웹사이트 Kim In Sook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2] 웹사이트 창비- 김인숙 http://www.changbi.c[...] 2012-08-29
[3] 간행물 MerwinAsia Emerges on the Translation Scene List Magazine 2011
[4] 웹사이트 창비- 김인숙 http://www.changbi.c[...] 2012-08-29
[5] 뉴스 http://www.koreahera[...] Korea Herald Online
[6] 간행물 MerwinAsia Emerges on the Translation Scene List Magazine 2011
[7] 뉴스 Kim In-suk writes on Korean expatriate experience http://view.koreaher[...] The Korea Herald
[8] 서적 The Long Road MerwinAsia 2010
[9] 뉴스 http://www.koreahera[...] Korea Herald Online
[10] 웹사이트 NAVER(韓国語) http://people.search[...] 2014
[11] 문서 韓国現代文学大辞典 2014
[12] 웹인용 네이버 인물정보 '김인숙' http://people.search[...] 2014-09-02
[13] 웹사이트 두산백과 '김인숙' https://terms.naver.[...]
[14] 웹사이트 두산백과 '개교기념일' https://terms.naver.[...]
[15] 웹사이트 두산백과 '바다와 나비'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