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종길은 1926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나 2017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시인, 영문학자이다. 고려대학교에서 영문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셰필드 대학교에서 영문학 연구를 수행했으며,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이미지즘의 영향을 받아 고전적인 우아함과 절제된 감정을 특징으로 하는 시를 썼으며, '성탄제'와 '고갯길' 등의 작품을 남겼다. 1947년 신춘문예 입선, 1978년 목월문학상, 2005년 고산문학상과 이육사시문학상, 2006년 청마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산문학대상 수상자 - 오탁번
오탁번은 1960년대 후반 등단하여 독특한 시 세계로 주목받고 한국 현대시에 큰 영향을 미친 시인이자 소설가, 평론가, 대학교수로, '철이와 아버지' 등의 대표작을 남기고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 고산문학대상 수상자 - 이근배
1940년 충청남도 당진에서 태어난 이근배는 신춘문예 4관왕을 기록하고 한국시인협회 회장과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시조 시인, 문학평론가이다. - 인촌상 수상자 - 윤석중
윤석중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아동문학 운동을 이끌고 수많은 동요와 동시집을 발표하며 한국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인촌상 수상자 - 이기백
이기백은 한국 고대사 연구에 기여하고 민족사학을 개척하며 한국사 대중화에 힘쓴 역사학자이며, 주요 저서로 《한국사신론》 등이 있고,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키는 등 한국사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 - 대한민국의 영문학자 - 도정일
도정일은 영문학자이자 사회운동가로, 경희대학교 교수, 도서관장,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문화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으나, 2016년 학력 위조 논란 이후 이를 인정했고, 저서로는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등이 있다. - 대한민국의 영문학자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김종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926년 11월 5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
사망일 | 2017년 4월 1일 |
직업 | 시인 |
언어 | 한국어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고려대학교 |
활동 기간 | 1947년 - |
장르 | 시 |
종교 | |
대표 작품 | 『성탄제』 |
배우자 | |
파트너 | |
자녀 | |
친척 | |
영향 | |
영향 받은 인물 | |
수상 | |
데뷔 작품 | 시 「문」 |
서명 | |
웹사이트 | |
관련 정보 | |
링크 | 김종길 - LTI Korea 자료 |
2. 생애
김종길(Kim Jong-gil영어)은 1926년 11월 5일 경상북도 안동(安東)에서 태어났다.[2] 그는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의 경상북도에서 태어난 것이다. 고려대학교에서 영문학(英文學)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셰필드 대학교(Sheffield University)에서 영문학 연구를 수행했다.[3] 김종길은 중구대학교, 경북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3]
그의 작품은 고전적인 품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청아한 이미지와 고전적인 품격이 그의 시의 특징으로 손꼽힌다. 그의 시는 언젠가 사라질 유한한 것들의 아름다움이 구성하는 세계와, 이 세상에서 순간적으로 존재하는 자아라는 두 축으로 나뉜다. 그는 세계와 자아의 대립적인 긴장 속에서 균형을 유지하려고 했으며 이러한 절제의 정신은 그의 고전적인 품격에 기반하고 있다. 시적 자아는 항상 대상과 감정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절제와 극기에는 그의 시적 감수성 속에 한시적인 전통, 또는 유교적인 정신이 뿌리내리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영문학자이면서 고전적인 소양을 겸비한 이 시인은 시론에서도 역시 고전적인 안정감과 균형 감각을 지니고 있어 학문적으로도 성과를 거두었다.
2017년 4월 1일 사망했다.[7]
2. 1. 출생 및 학력
김종길(金鍾吉)은 1926년 11월 5일 경상북도안동(安東)에서 태어났다.[2] 고려대학교에서 영문학(英文學)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셰필드 대학교(Sheffield University)에서 영문학 연구를 수행했다.[3]2. 2. 교육 활동
김종길은 고려대학교에서 영문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셰필드 대학교(Sheffield University)에서 영문학 연구를 수행했다.[3] 중구대학교, 경북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3]2. 3. 사망
김종길은 2017년 4월 1일에 사망했다.[4][7] 그는 1926년 11월 5일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나,[2] 고려대학교에서 영문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 셰필드 대학교에서 영문학 연구를 수행했으며, 중구대학교, 경북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3]3. 작품 세계
김종길의 시학은 명료성과 투명성 유지에 대한 집중적인 노력과 시적 이미지의 힘에 대한 숙련된 탐구로 특징지어진다. 그는 이미지가 시인과 독자 모두 진리에 대한 더 큰 이해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초월적인 가치를 지닌다고 믿었다. 따라서 그의 시적 방법론은 명확하고 구체적인 이미지를 매개로 기능하는 그의 삶에 대한 태도라는 맥락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1]
김종길의 작품은 이미지즘(Imagism)에서 비롯된 사상들을 성공적으로 통합했다. 이미지즘은 에이미 로웰(Amy Lowell), HD,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와 같은 시인들이 주창한 현대 시적 전통이며, 한국의 한시 전통과 선비 정신도 그의 작품에 반영되었다. 그러나 당시 다른 이미지즘 시와는 달리, 그의 작품은 고전적이거나 전통적인 우아함을 풍기며, 이는 작품에 완전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전통적인 우아함은 시인의 감정적 자제와 외부 세계로부터의 초연함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이러한 감정적 자제 외에도, 시인은 슬픔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예의범절의 미덕에 초점을 맞춘다. 예를 들어, "채점(Marking)"에서 시인은 갓 죽은 제자의 답안지를 조용히 채점하고 성적을 기록한다. 이러한 말없는 슬픔과 죽음에 대한 사색은 궁극적으로 독자에게 더 절제되고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김종길 시의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특징은 자제, 예의범절, 상상력을 함양함으로써 삶과 정신세계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보여주는 데 있다.[1]
- 시〈성탄제〉: 극심한 고통으로 사경을 헤매는 어린 화자에게 도움을 주는 아버지의 모습을 어른이 되어 깊이 회상하는 것을 형상화한 작품이다.[11]
- 시〈고갯길〉: 아버지를 여읜 슬픔을 절제된 언어와 구체적인 이미지를 통해 형상화한 작품이다. 짦고 간결한 언어 표현과 서리를 뒤집어써 하얗게 우거진 마른 풀의 모습, 차가운 봄 날씨, 허허로운 솔바람 소리 등의 구체적 이미지를 통해 아버지를 잃은 화자의 슬픔을 잘 드러내고 있다.[12]
김종길은 2007년 청마문학상, 2005년 이육사시문학상, 2005년 고산문학상을 수상했다.[5]
3. 1. 특징
김종길의 시는 명료성과 투명성을 추구하며, 이미지의 힘을 통해 진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했다. 그는 이미지가 시인과 독자 모두에게 초월적인 가치를 지닌다고 믿었다.[1] 그의 시는 이미지즘(Imagism)의 영향을 받았으며,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와 같은 시인들이 주창한 현대 시적 전통과 한국의 한시 전통, 선비 정신을 융합하여 고전적이고 전통적인 우아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은 시인의 감정적 자제와 외부 세계로부터의 초연함에서 잘 드러난다.[1]김종길은 슬픔을 절제된 방식으로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예를 들어, 〈채점(Marking)〉에서는 갓 죽은 제자의 답안지를 조용히 채점하며 슬픔과 죽음에 대한 사색을 보여준다. 이러한 절제된 표현은 독자에게 더 강한 인상을 남긴다.[1] 김종길 시의 특징은 자제, 예의범절, 그리고 상상력을 통해 삶과 정신세계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는 것이다.[1]
김종길은 2007년 청마문학상, 2005년 이육사시문학상, 2005년 고산문학상을 수상했다.[5]
3. 2. 주제 의식
김종길의 시는 명료성과 투명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하며 시적 이미지의 힘을 탐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는 이미지가 시인과 독자 모두 진리에 대한 더 큰 이해에 도달하게 하는 초월적 가치를 지닌다고 믿었다. 그의 시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이미지를 통해 삶에 대한 태도를 드러낸다.[1]그의 작품은 에이미 로웰, HD, 에즈라 파운드 등이 주창한 이미지즘의 영향을 받았으며, 한국 한시의 전통과 선비 정신 또한 반영되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고전적이고 전통적인 우아함을 지니며, 감정적 자제와 외부 세계로부터의 초연함을 통해 이를 드러낸다. 특히 슬픔을 전달하는 데 있어 예의범절의 미덕에 초점을 맞추는데, "채점(Marking)"에서 갓 죽은 제자의 답안지를 조용히 채점하는 모습이 그 예시이다. 이러한 절제된 슬픔과 죽음에 대한 사색은 독자에게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김종길 시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자제, 예의범절, 상상력을 통해 삶과 정신세계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보여주는 것이다.[1]
김종길은 2007년 청마문학상, 2005년 이육사시문학상, 2005년 고산문학상을 수상했다.[5]
3. 3. 대표작
김종길의 대표작으로는 시 〈성탄제〉가 있는데, 극심한 고통으로 사경을 헤매는 어린 화자에게 도움을 주는 아버지의 모습을 어른이 되어 깊이 회상하는 것을 형상화한 작품이다.[11] 시 〈고갯길〉은 아버지를 여읜 슬픔을 절제된 언어와 구체적인 이미지를 통해 형상화한 작품으로, 짧고 간결한 언어 표현과 여러 구체적인 이미지를 통해 아버지를 잃은 화자의 슬픔을 잘 드러내고 있다.[12]시집으로는 『성탄제』(聖誕祭)[8], 『하회에서』(河回で), 『황사현상』(黄砂現象) 등이 있다. 시론 및 평론집으로는 『시론』(詩論), 『진실과 언어』(真実と言語), 『한국시의 위상』(韓国詩の位相) 등이 있다.
4. 평가 및 수상
김종길은 1947년 「문(門)」으로 신춘문예에 입선하였다. 1978년 목월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96년에는 인천상을 수상하였다. 2005년에는 고산문학상과 제2회 이륙서사시문학상을 수상하였다. 2006년에는 청마문학상을 수상하였다.
4. 1. 문학적 평가
4. 2. 수상 경력
김종길은 1947년 「문(門)」으로 신춘문예에 입선하였다. 1978년 목월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96년에는 인천상(Inchon Award)을 수상하였다. 2005년에는 고산문학상과 제2회 이육사시문학상을 수상하였다. 2006년에는 청마문학상을 수상하였다.5. 저서
'''시집'''
- 1969년 성탄제(聖誕祭)[8]
- 1977년 하회에서(河回で)
- 1986년 황사현상(黄砂現象)
- 2004년 해가 많이 짧아졌다(日が短くなった)
- 2008년 해거름 이삭줍기(日暮れごろの落ち穂拾い)
'''문학평론'''
5. 1. 시집
- 1969년 성탄제(聖誕祭)[8]
- 1977년 하회에서(河回で)
- 1986년 황사현상(黄砂現象)
- 2004년 해가 많이 짧아졌다(日が短くなった)
- 2008년 해거름 이삭줍기(日暮れごろの落ち穂拾い)
- 1965년 시론(詩論)
- 1974년 진실과 언어(真実と言語)
- 1986년 한국시의 위상(韓国詩の位相)
5. 2. 시론 및 평론집
5. 3. 번역
스페인어와 독일어로 시를 번역했다.- Ya queda poca luz del diaes (김종길 시선)
- Nachtkerzede (달맞이꽃)
참조
[1]
웹사이트
Kim Jong-gil - LTI Korea Datasheet available at LTI Korea Library
http://klti.or.kr/ke[...]
[2]
웹사이트
김종길 시인, 예술인
http://people.search[...]
Naver
2013-11-21
[3]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4]
뉴스
Korea's most senior poet Kim Jong-gil dies at 91
https://www.koreatim[...]
2017-04-02
[5]
웹사이트
김종길 시인, 예술인 > 수상내역
http://people.search[...]
people.search.naver.com
2013-11-21
[6]
웹사이트
김종길
http://people.search[...]
2014-00-00 #날짜 정보 부족으로 0000-00-00으로 설정
[7]
뉴스
성탄제` 김종길 시인, 향년 91세 나이로 별세
http://news.mk.co.kr[...]
2017-04-02
[8]
웹사이트
김종길
http://terms.naver.c[...]
2014-00-00 #날짜 정보 부족으로 0000-00-00으로 설정
[9]
뉴스
http://www.hankookil[...]
[10]
백과사전
60년대의 문학
[11]
블로그
[12]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