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태효는 1967년 서울특별시 출생으로, 서강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학사, 코넬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 시카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초빙연구원, 게이오대학 연구교수, UC 버클리 방문교수, 국립외교원 교수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한일 관계, 한미일 관계 연구를 진행했다. 이명박 정부에서 청와대 대외전략비서관, 대외전략기획관을 역임하며 비핵, 개방 3000, 베를린 구상,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에 기여했다. 윤석열 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교안보 분과위원으로 참여해 담대한 구상을 입안하고, 초대 국가안보실 제1차장으로 재임 중이다. 대북 문제에 원칙주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교수 - 서왕진
서왕진은 조국혁신당 정책위원회 의장, 광주광역시당위원장, 최고위원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환경, 노동, 사회 복지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혁신정책연구원 원장으로서 윤석열 정부의 정책을 비판하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현재 조국혁신당에서 활동 중이다. - 대한민국의 교수 - 김수연 (교수)
김수연 교수는 쇼호스트, 케이미디어스쿨 대표, 디지털융합교육원 서울지회장, 한국메타버스ESG연구원 교수로 활동하며 4차 산업혁명 관련 강연과 저술,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농어촌 특산물 홍보, 챗GPT, 메타버스, NFT 등 미래 기술 관련 저서 출간 및 관련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국가안보실 차장 - 김현종
김현종은 대한민국의 법률가, 통상 전문가, 정치인, 외교관으로,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과 법학을 전공하고 미국 로펌 변호사, 홍익대학교 교수, 외교통상부 통상전문관 등을 거쳐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통상교섭본부장, 주UN 대한민국 대표부 대사, 국가안보실 제2차장, 대통령 외교안보특별보좌관 등을 역임하며 한미 FTA 체결을 주도했고 황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 - 대한민국의 국가안보실 차장 - 김규현
김규현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외무고시 합격 후 외교통상부 북미1과장, 주미국 대사관 참사관 등을 거쳐 박근혜 정부에서 외교부 제1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 등을 역임했고 윤석열 정부에서 국가정보원장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했다. - 대한민국의 정무직공무원 - 홍남기
홍남기는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출신으로,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을 주도했고,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정무직공무원 - 이용택 (1930년)
이용택은 대한민국불교청소년교화연합회 회장, 대한지적공사 사장 등을 역임하고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장학 및 문화 복지 사업에도 기여한 인물이다.
김태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책 | 국가안보실 제1차장 |
대수 | 7 |
임기 | 2022년 5월 10일~ |
전임 | 서주석 |
대통령 | 윤석열 |
총리 | 한덕수 |
출생일 | 1967년 2월 23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직업 | 외교관 |
경력 |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실 대외전략비서관 |
학력 | 시카고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
2. 생애
1967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법조인 김경회다.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코넬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 시카고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시카고 대학교 박사 과정 지도 교수는 존 미어샤이머였다.[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초빙연구원, 게이오대학 연구교수, 미국 UC Berkeley 방문교수, 외교부 국립외교원 교수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2][3] 교수 재직 당시 한일 관계, 한미일 관계 및 한미일 협력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4][5]
이명박 정부에서 41세에 청와대 대외전략비서관으로 임명되어 비핵·개방·3000, 베를린 구상,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에 주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대외전략기획관으로 승진하였다.[6]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교안보 분과위원으로 합류하여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인 담대한 구상을 입안하였다.[7][8] 윤석열 정부 초대 국가안보실 제1차장으로 재임 중이며, 김성한 국가안보실장과 갈등설이 있었다.[9]
2. 1. 학력 및 학위
서강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학사 학위를, 코넬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시카고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시카고 대학교 박사 과정 지도교수는 존 미어샤이머였다.[1]2. 2. 교수 경력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초빙연구원으로 재직했다.[2] 이후 게이오대학 연구교수, 미국 UC Berkeley 방문교수, 외교부 국립외교원 교수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3] 교수 재직 당시 한일 관계, 한미일 관계 및 한미일 협력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였다.[4][5]2. 3. 이명박 정부 활동
이명박 정부에서 41세의 젊은 나이로 청와대 대외전략비서관에 임명되었다. 비핵·개방·3000, 베를린 구상,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 등 주요 정책 결정에 참여하였고, 이후 수석급인 대외전략기획관으로 승진하였다.[6]2. 4. 윤석열 정부 활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교안보 분과위원으로 합류하였으며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인 담대한 구상을 입안하였다.[7][8] 윤석열 정부 초대 국가안보실 제1차장으로 임명되었다. 재임 도중 김성한 국가안보실장과 갈등설이 일기도 하였다.[9]3. 기조
김태효는 대북 문제에 있어 원칙주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웹인용
더 이상 '미상발사체'는 없다…돌아온 MB의 외교 황태자 [김인엽의 대통령실 사람들]
https://www.hankyung[...]
2024-08-30
[2]
뉴스인용
[프로필] 김태효 안보실 1차장…MB '외교실세' 지낸 전략통
https://www.yna.co.k[...]
연합뉴스
[3]
웹인용
교원정보
https://skb.skku.edu[...]
2024-08-30
[4]
저널
한일관계 민주동맹(Democratic Alliance)으로 거듭나기
https://scholar.kyob[...]
2006-07
[5]
웹인용
한반도 유사시 미일 동맹 내 일본의 군사적 역할:역사적 경위와 제도화 양상을 중심으로
https://www.ifans.go[...]
2024-08-30
[6]
웹인용
‘MB 정부 외교안보 과외교사’ 김태효, 대북정책 설계자로 ‘컴백’
https://www.donga.co[...]
2024-08-30
[7]
웹인용
[인물탐구] 윤 대통령에 영향 미치는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과 김영호 통일부 장관
https://jmagazine.jo[...]
2024-08-30
[8]
웹인용
MB 비핵·개방 3000 창안자…돌아온 김태효
https://www.joongang[...]
2024-08-30
[9]
웹인용
김태효 ‘독주’와 김성한 ‘신중론’ 충돌이 빚은 외교 대혼선
https://www.sisajour[...]
2024-08-3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군인권센터 "특검 수사 대상자가 대령 진급"…고비마다 김동혁과 밀착 통화
9월 수시재산 공개…이창수 재산 49억 신고
고위 공직 145명 재산 공개…김상호 대통령실 비서관 60억 원 최대
임성근 부부, 김 목사와의 만남 인정…'구명 로비' 의혹 수사 확대
'VIP 격노' 실체 확인해 출범 이유 증명한 순직해병 특검, 과제는?
채 상병 특검, ‘격노설 확인’ 최대 성과…김건희 특검 수사도 도와
‘VIP 격노’ 실체·수사외압 흐름 규명…구명로비 의혹 밝혀 ‘윤’까지 닿을까
윤석열의 ‘양심수 코스프레’가 노리는 것[아침햇발]
조국 사면에 취임 뒤 최저지지율…논란 일었던 역대 특별사면은? [정치BAR]
[단독] 삼부토건, 윤석열 사우디 방문 직전 ‘컨설턴트’ 계약…‘사전 교감’ 의구심
해병특검, 'VIP 격노 회의' 참석 김용현 오는 6일 소환 조사
해병특검 한달만에 '윤 격노' 실체 규명…구명로비 의혹 해소될까
“대통령의 격노” 확인한 특검, ‘혐의자 축소 외압’ 집중 규명한다
“윤석열, 사단장 처벌하면 안 된다고 여러 번 강조”···채상병 특검팀, 진술 확보
[속보] 조태용도 ‘윤석열 격노’ 인정...채 상병 특검 “회의서 화냈다” 진술 확보
조태용도 2년 만에 '윤 격노' 인정…해병특검, 목격자 4명 확보
'외압 지시' 수첩 확보…조태용 17시간 고강도 조사
검찰은 ‘군사기밀’이라며 재판 제출 거부…감사원은 ‘보도자료’로 공개
조태용, 오늘 해병특검 출석…'윤 격노' 인정할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