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남기는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출신으로, 제2대 국무조정실장과 제47대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했다. 1960년 강원도 춘천에서 태어나 한양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영국 샐퍼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행정고시 합격 후 기획재정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정책보좌관, 이명박 정부에서 복권위원회 사무처장, 박근혜 정부에서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 등을 거쳤다. 문재인 정부에서 국무조정실장을 역임하다가, 2018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재난지원금 지급 방식을 두고 여당과 갈등을 겪었으며, 2021년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맡기도 했다. 그는 소득주도성장론을 옹호하면서도,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 - 윤지오
윤지오는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작가이며, 장자연 사건의 증언자로 활동하며 재조사 촉구에 기여했지만 증언의 신빙성 논란이 있었고, 《13번째 증언》을 출간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미래창조과학부 차관 - 이석준 (1959년)
이석준은 1959년생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재무부 등에서 공직을 수행하고 기획재정부 제2차관, 국무조정실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제회계기준재단 이사회 이사, NH농협금융지주 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홍남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60년 7월 29일 |
출생지 | 강원도 춘천시 |
본관 | 남양 |
학력 | 한양대학교 경제학 학사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샐포드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
군 복무 | 제2국민역 (만성 간염) |
종교 | 천주교 |
친척 | 남양 홍씨 참조 |
주요 경력 | |
직책 | 국무총리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국무조정실장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 |
국무총리 권한대행 임기 | 2021년 4월 17일 ~ 2021년 5월 13일 |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임기 | 2018년 12월 11일 ~ 2022년 5월 9일 |
국무조정실장 임기 | 2017년 5월 11일 ~ 2018년 11월 9일 |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 임기 | 2016년 1월 18일 ~ 2017년 5월 10일 |
대통령 | 문재인, 박근혜 |
국무총리 | 이낙연, 정세균, 김부겸, 황교안 |
전임자 | 정세균 (국무총리 권한대행)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석준 (국무조정실장) 이석준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 |
후임자 | 김부겸 (국무총리)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민원기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 |
기타 | |
소속 정당 | 무소속 |
가족 | 2남 |
서훈 | 녹조근정훈장 |
웹사이트 | 기획재정부 홈페이지 |
2. 생애
홍남기는 1960년 7월 29일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에서 교육자 집안에서 태어났다.[33] 그의 부모는 이북 출신으로 한국 전쟁 때 함경남도 원산과 황해도 해주에서 피란선을 타고 경상남도 부산으로 갔다가 국제시장에서 만난 뒤 춘천에 정착했다고 하며 부유한 학구파 집안에서 자랐다.[33] 그의 근본은 남양 홍씨 당홍계로 고려 귀족 집안이다.[33]
1979년 춘천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84년에 한양대학교 경제학과에서 학사 학위 취득했고, 1986년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금융증권전공으로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병역판정검사에서 결핵으로 재검 대상으로 분류됐으며, 1985년 3월에 1급 현역병 입영 판정을 받았으나 10월 공무원 채용 신체검사에서 간염 보균자 판정을 받았고, 1986년 12월에 다시 검사를 받은 결과 만성 간염이 6개월 이상 이어져 제2국민역으로 편입됐다.[33]
1986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경제기획원의 대외경제조정실 행정사무관으로 공직을 시작했다. 1992년에는 영국 솔퍼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개발경제학과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33] 1999년에는 미국 워싱턴주 정부 예산성에 1년동안 파견돼 근무했다.[33][34]
노무현 정부에서 2003년 박봉흠 기획예산처 장관 비서관, 2006년 변양균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보좌관을 역임했다.
이명박 정부에서 2010년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 사무처장 시절 당첨금을 20년간 분할 지급하는 연금복권520 발행을 주도했다. 2011년 기획재정부 대변인과 2012년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을 거쳐 2013년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1분과에 파견됐다.
박근혜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정책조정수석비서관실 기획비서관,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을 역임했다.
1960년 강원도 춘천시 출생이다.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후, 영국의 샐퍼드대학교(University of Salford) 대학원에서 경제학을 수료했다.[24]
1986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기획예산처(현 기획재정부)에 입성했다. 2006년 노무현 정부 시절 대통령비서실 경제정책수석실에서 정책보좌관을 역임했고, 기획재정부로 복귀한 후에도 대변인, 정책조정국장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2015년 박근혜 정부 시절 다시 대통령비서실 경제정책수석실에서 정책보좌관을 역임했다. 2016년 1월 미래창조과학부로 자리를 옮겨 제1차관을 지냈고, 2017년 국무조정실장을 역임했다. 2018년 문재인 정부에서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취임했다.[24]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 당시에는 저소득층에 재난지원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결국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주장이 받아들여져 전 국민에게 지급되었다. 또한 대주주에 대한 주식 양도소득세 기준을 다음 해부터 10억 원에서 3억 원으로 낮추는 방침이었으나, 더불어민주당은 2년 유예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최종적으로 여당의 의견이 관철되었다. 여당과의 의견 충돌이 끊이지 않고, 자신의 주장이 잇따라 받아들여지지 않자 11월 3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사표를 제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사표를 수리하지 않고 유임을 요청했다.[25]
2021년 4월 16일 정세균 국무총리의 사임에 따라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역임했다.[26] 같은 해 5월 13일 김부겸 국무총리 임명동의안이 국회에서 가결됨에 따라 국무총리 권한대행직에서 물러났다(기획재정부 장관은 유임).[27]
2. 1. 출생 및 성장 배경
홍남기는 1960년 7월 29일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에서 교육자 집안에서 태어났다.[33] 그의 부모는 한국 전쟁 때 함경남도 원산과 황해도 해주에서 피란선을 타고 경상남도 부산으로 갔다가 국제시장에서 만난 뒤 춘천에 정착했다고 하며 부유한 학구파 집안에서 자랐다.[33] 남양 홍씨 당홍계로 고려 귀족 집안의 후손이다.[33]2. 2. 학력
1979년 춘천고등학교를 졸업했다.[24] 1984년 한양대학교 경제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21] 1986년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금융증권전공으로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21] 1992년 영국 솔퍼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개발경제학과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21][24]2. 3. 병역
2. 4. 공직 경력
홍남기는 1986년 제29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경제기획원 대외경제조정실 협력정책과에서 공직을 시작했다.[24] 1999년에는 기획예산처 예산총괄과 서기관으로 근무했고,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 참사관을 역임하였다.노무현 정부에서 기획예산처 장관 비서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보좌관을 역임했다.[24] 이명박 정부에서는 복권위원회 사무처장, 기획재정부 대변인 및 정책조정국장을 역임했다.[24] 박근혜 정부에서는 대통령비서실 정책조정수석비서관실 기획비서관,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을 역임했다.[24] 2017년 5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국무조정실장을 역임하였다.
2. 5.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국무조정실장으로 임명되었다.[35][36] 2018년 11월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지명되어,[35][36] 12월 4일 인사청문회를 거쳐 12월 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청문보고서가 채택되었다.[37] 12월 10일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취임하여 임기를 시작하였다.[38]홍 부총리는 김수현 청와대 정책실장과 매주 금요일 경제 현안을 조율하기로 하였으며, 자영업자, 소상공인, 기업, 노동계, 시민단체 등 다양한 계층과의 소통을 약속하였다.[39] 최저임금 결정 구조를 구간설정위원회와 결정위원회로 이원화하는 방안을 검토하며, 구간설정위원회가 최저임금 인상 구간을 정하고 결정위원회가 이 구간 내에서 최저임금액을 결정하는 시스템을 구상했다.[40]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경기침체 극복을 위해 재난지원금 지급 방식을 두고 여당과 갈등을 겪었다. 여당은 전국민 지급을, 홍남기는 80% 지급을 주장했으나, 여당이 전국민 재난지원금을 당론으로 확정하며 홍남기는 국회 여야 합의를 전제 조건으로 내걸었다.
2021년 4월 정세균 국무총리 사임으로 2021년 5월까지 국무총리 직무대행을 역임했다.
3. 정책 및 입장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론에 대해서는 "소득 분배 왜곡, 양극화, 계층 이동 단절 등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해 계속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생활비를 줄이고 사회안전망을 확충하는 것도 실질 소득 증대를 위한 중요한 방향"이라고 옹호하였다.[41] 그러나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주 52시간 단축에 대해서는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과세 형평성 측면에서 대주주 과세 기준을 10억에서 3억으로 정하는 시행령을 고수하여 범국민적 비판을 받았다.[42] 공무원 증원에는 찬성하는 입장을 밝혔고, 부동산 과세와 관련해서는 "보유세 인상은 찬성, 거래세 인하는 신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41]
홍남기는 여러 차례에 걸쳐 기본소득 도입에 대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기본소득이 재정 책임성을 심각하게 악화시키면서도 현행 사회 안전망을 효과적으로 대체하지 못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이유로 전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채택되지 않았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6]
2019년 1분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함에 따라, 한국 정부는 관계 장관들을 긴급 소집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경제부총리는 “국내외 경제 환경이 당초 예상보다 악화되고 있다”고 설명하며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하여 성장률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미중 무역 분쟁과 브렉시트 등으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제 상황은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있으며,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위기감을 드러냈다.[28]
2020년 3월 31일, 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가 참석한 화상회의에 참석했다.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에 따른 세계적 금융 안전망 강화를 위해 “각국 중앙은행 간 통화스왑 확대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29]
2021년 1월, 홍남기는 코로나19 4차 지원금과 팬데믹으로 피해를 입은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자 재정 책임성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국의 국가부채 대 GDP 비율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홍남기는 누적 부채가 미래 세대에게 부담이 된다고 강조했다.[15][16][17][18][19]
3. 1. 경제 정책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론에 대해서는 "소득 분배 왜곡, 양극화, 계층 이동 단절 등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해 계속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생활비를 줄이고 사회안전망을 확충하는 것도 실질 소득 증대를 위한 중요한 방향"이라고 옹호하였다.[41] 그러나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주 52시간 단축에 대해서는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과세 형평성 측면에서 대주주 과세 기준을 10억에서 3억으로 정하는 시행령을 고수하여 범국민적 비판을 받았다.[42] 공무원 증원에는 찬성하는 입장을 밝혔고, 부동산 과세와 관련해서는 "보유세 인상은 찬성, 거래세 인하는 신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41]
홍남기는 여러 차례에 걸쳐 기본소득 도입에 대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기본소득이 재정 책임성을 심각하게 악화시키면서도 현행 사회 안전망을 효과적으로 대체하지 못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이유로 전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채택되지 않았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6]
2019년 1분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함에 따라, 한국 정부는 관계 장관들을 긴급 소집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경제부총리는 “국내외 경제 환경이 당초 예상보다 악화되고 있다”고 설명하며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하여 성장률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미중 무역 분쟁과 브렉시트 등으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제 상황은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있으며,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위기감을 드러냈다.[28]
2020년 3월 31일, 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가 참석한 화상회의에 참석했다.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에 따른 세계적 금융 안전망 강화를 위해 “각국 중앙은행 간 통화스왑 확대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29]
2021년 1월, 홍남기는 코로나19 4차 지원금과 팬데믹으로 피해를 입은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자 재정 책임성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국의 국가부채 대 GDP 비율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홍남기는 누적 부채가 미래 세대에게 부담이 된다고 강조했다.[15][16][17][18][19]
3. 2. 재정 정책
홍남기는 재정 건전성을 중시하는 입장을 견지했다.[20] 기본소득 도입에 대해서는 재정 책임성을 악화시키고 현행 사회 안전망을 대체할 수 없다는 이유로 반대했다.[6] 2021년 1월, 코로나19 4차 지원금 논의 과정에서 재정 책임성을 강조하며, 국가 재정을 "국고를 지키는" 엄중한 의무라고 표현했다.[15][16][17][18][19]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론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41]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은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과세 형평성 측면에서 대주주 과세 기준을 10억에서 3억으로 정하는 시행령을 고수하여 비판을 받았다.[42]
2020년 3월 31일 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화상회의에서는 코로나19에 따른 세계적 금융 안전망 강화를 위해 “각국 중앙은행 간 통화스왑 확대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29]
2019년 1분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자, 관계 장관들을 긴급 소집하여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하여 성장률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28]
3. 3. 대일 정책
2019년 7월 1일 일본 정부는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사실상의 보복 조치로 한국에 대한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를 발표했다.[30] 유기EL에 사용되는 불화폴리이미드 등 3개 품목에 대해 개별 심사·허가 방식으로 전환하고, 여름 중으로 한국을 '백색국가(ホワイト国)' 지정에서 제외하는 문제를 논의했다.[30]7월 4일 홍남기는 한국 라디오에 출연하여 일본 정부의 조치가 "강제징용에 대한 사법 판단에 대한 경제적 보복 조치"라고 비판하며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31] 또한 "세계무역기구(WTO) 협정 위반이며, 당연히 WTO에 판정을 요청해야 한다"고 밝혔다.[31]
4.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홍남기 "100조짜리 자영업 손실보상법, 현실적으로 불가"
http://news.khan.co.[...]
2021-01-25
[2]
웹사이트
홍남기, 두 번째 '장수 경제부총리'... 30일로 재임 660일째
http://www.sisa-news[...]
2020-10-12
[3]
웹사이트
‘홍남기표’ 정책은 없지만…그럼에도 843일 최장수 부총리
http://www.hani.co.k[...]
2021-03-31
[4]
웹사이트
새 경제수장 홍남기 내정자는 누구?…진보·보수정권서 靑 근무
https://www.hankyung[...]
2018-11-09
[5]
웹사이트
靑 "이낙연 총리가 홍남기 부총리로 강력 추천"(종합)
http://news.einfomax[...]
2018-11-09
[6]
웹사이트
홍남기 "기본소득 도입한 나라 없다…지금은 할 상황 아니다"
https://imnews.imbc.[...]
2020-06-16
[7]
웹사이트
S. Korea to maintain stock taxation base for major shareholders: finance minister
https://en.yna.co.kr[...]
2020-11-03
[8]
웹사이트
민주당 유예 주장…정부 '대주주 3억원' 입장 고수
https://www.asiae.co[...]
2020-10-24
[9]
웹사이트
홍남기 "대주주 논란 책임지고 사퇴"…與 "무책임" 질타 [종합]
https://www.hankyung[...]
2020-11-03
[10]
웹사이트
Hong tenders resignation, which President Moon rejects
https://koreajoongan[...]
2020-11-03
[11]
웹사이트
South Korea’s Moon Rejects Finance Minister’s Offer to Quit
https://news.bloombe[...]
2020-11-10
[12]
웹사이트
문 대통령 "홍남기 부총리, 경제회복 이끌 적임자…재신임"
http://www.hani.co.k[...]
2020-11-10
[13]
웹사이트
청와대, 홍남기 해임 국민청원에 "경제 모범국가 만들겠다"...사실상 거부
https://www.etnews.c[...]
2020-11-10
[14]
웹사이트
[한줄뉴스] 靑 '홍남기 해임청원' 거부…"경제 적임자" 外
http://www.yonhapnew[...]
2020-11-10
[15]
웹사이트
Finance Chief to Review Steps to Compensate Businesses Hit by Shutdowns
http://world.kbs.co.[...]
2021-01-23
[16]
웹사이트
홍남기 "곳간지기, 국민이 요청한 의무"…정치권과 힘겨루기 계속될 듯
https://www.seoul.co[...]
2021-01-23
[17]
웹사이트
홍남기 "전 국민 재난지원금→적자 국채→미래 세대 부담"
https://news.imaeil.[...]
2021-01-23
[18]
웹사이트
Finance Minister: Too Early to Discuss 4th Round of Emergency Relief Handouts
http://world.kbs.co.[...]
2021-01-23
[19]
웹사이트
Finance ministry faces tough calls over further spending amid pandemic
https://en.yna.co.kr[...]
2021-01-23
[20]
웹사이트
떠나는 홍남기, 마지막까지 "재정 건전성 지켜야"
https://m.khan.co.kr[...]
2022-05-09
[21]
웹사이트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http://english.moef.[...]
2020-05-01
[22]
뉴스
韓国政府、対応を協議=午後に立場発表か-日本の対韓輸出規制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19-07-01
[23]
웹사이트
손실보상제 둘러싼 洪家 전쟁
https://news.nate.co[...]
2021-01-30
[24]
웹사이트
이낙연
https://people.searc[...]
NAVER人物検索
2020-11-09
[25]
뉴스
洪楠基経済副総理が辞表提出も 文大統領は受理せず
https://world.kbs.co[...]
2020-11-04
[26]
뉴스
文大統領、丁世均国務総理と卞彰欽国土交通部長官の辞表を受理=韓国
https://www.wowkorea[...]
2021-04-16
[27]
뉴스
新首相に元行政安全相の金富謙氏 韓国国会が任命同意案を可決
https://jp.yna.co.kr[...]
2021-05-13
[28]
뉴스
韓国が緊急閣僚会議 経済副首相「あらゆる政策総動員」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4-25
[29]
웹사이트
韓国経済副首相、G20会議で中央銀行間の通貨スワップ拡大を提案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0-04-01
[30]
뉴스
韓国への輸出規制を強化、政府発表 韓国は対抗措置も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7-01
[31]
뉴스
"断固として対応"韓国経済副首相、日本へ報復検討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7-04
[32]
뉴스인용
홍남기 “군면제, 공직 생활하며 가슴 속에 늘 부담” …만성간염 때문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8-11-09
[33]
뉴스인용
[Who Is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http://www.businessp[...]
비즈니스포스트
2018-12-11
[34]
뉴스인용
'국정조정 사령탑' 홍남기 국무조정실장…경험 풍부한 정책통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7-05-11
[35]
뉴스인용
[일문일답] 홍남기 "경제영역 협치 노력하겠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8-11-09
[36]
뉴스인용
국회, 12월 4일 홍남기 부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개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8-11-27
[37]
뉴스인용
국회 기재위, 홍남기 경제부총리 후보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8-12-07
[38]
웹인용
홍남기 부총리 10일 취임…내년 경제정책방향·인사폭 관심
http://biz.chosun.co[...]
2018-12-09
[39]
웹인용
홍남기 취임 일성 "최저임금 보완…김수현 매주 만나겠다"
https://www.joongang[...]
2018-12-12
[40]
뉴스인용
홍남기 "최저임금 결정구조 이원화, 비중있게 검토 중"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8-12-28
[41]
웹인용
홍남기 "소득주도 성장 계속 해야… 최저임금 방향 맞지만 과속엔 우려"
http://news.chosun.c[...]
2018-12-03
[42]
웹인용
홍남기 후보자 “최저임금·근로시간 단축이 경제에 악영향”
http://www.asiatoday[...]
2018-12-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홍남기 전 경제부총리, DB하이텍 사외이사 취업승인
앞날 내다보는 삼성?…문재인 정부 고위직들 사외이사 영입
정부 "가상통화 거래 투명화"…거래소 폐쇄 안될듯 – 바이라인네트워크
정부는 가상통화 거래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육성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거래소 폐쇄보다는 불법 행위 단속과 보안 강화에 집중하며, 가상통화 과세 방안도 검토 중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