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기름상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꼬리기름상어는 Heptranchias 속의 상어 종으로, 일곱 쌍의 아가미 틈새를 특징으로 한다. 전 세계 난대 해역에 분포하며, 주로 심해에서 서식한다. 두족류, 갑각류, 어류 등을 포식하며, 난태생 방식으로 번식한다. 인간에게는 무해하지만, 혼획되기도 하며, 고기에 약한 독성이 있다. 꼬리기름상어는 느린 번식 속도로 인해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어, 세계자연보전연맹에 의해 위기 근접종으로,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 의해 취약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락상어과 - 칠성상어
칠성상어는 칠성상어과에 속하는 상어로, 몸길이 최대 3.3m까지 자라고, 7개의 아가미 구멍과 검은 반점을 가지며, 전 세계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다양한 해양 생물을 포식하고, 인간에게 잠재적으로 위험하며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신락상어과 -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
뭉툭코여섯줄아가미상어는 뭉툭한 코와 여섯 쌍의 아가미를 가진 여섯줄아가미상어과의 상어로,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어류, 갑각류, 두족류 등을 먹고 난태생으로 번식하며 IUCN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종으로 분류된다. - 1788년 기재된 물고기 - 황다랑어
황다랑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노란색 지느러미가 특징적인 다랑어의 일종으로, 상업적 어획 및 스포츠 낚시 대상이지만 남획과 혼획 문제로 지속 가능한 어업 노력이 필요하다. - 1788년 기재된 물고기 - 병어
맛이 좋아 인도-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귀하게 여겨지는 병어는 한국에서 구이, 중국에서 찜이나 조림으로 요리되며, 쿠웨이트에서는 어획 금지될 정도로 인기가 높다.
꼬리기름상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Heptranchias perlo |
명명자 | Bonnaterre, 1788 |
이명 | Heptranchias angio Costa, 1857 Heptranchias dakini Whitley, 1931 Heptranchias deani Jordan & Starks, 1901 Heptrancus angio Costa, 1857 Notidanus cinereus pristiurus Bellotti, 1878 Squalus cinereus Gmelin, 1789 Squalus perlo Bonnaterre, 1788 |
영어 이름 | Sharpnose sevengill shark |
일본어 이름 | 에도아부라자메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강 | 연골어강 |
아강 | 판새아강 |
목 | 신락상어목 |
과 | 신락상어과 |
속 | 꼬리기름상어속 (Heptranchias) |
보존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준위협 (NT) |
평가 기준 버전 | IUCN 3.1 |
참고 자료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41823/2956343 Finucci, B. et al. 2020. Heptranchias perlo.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41823A2956343. |
분포 | |
![]() | |
생태 및 서식지 | |
서식지 | 심해 |
고생물학적 정보 | |
화석 기록 | 다니안 - 현세 |
참고자료 | http://strata.ummp.lsa.umich.edu/jack/showgenera.php?taxon=575&rank=class Sepkoski, Jack (2002). A compendium of fossil marine animal genera (Chondrichthyes entry). Bulletins of American Paleontology 364: 560. |
2. 분류
(내용 없음)
2. 1. 학명 및 명칭
속명 ''Heptranchias''는 그리스어로 '일곱'을 의미하는 ''heptra''와 '조이다'를 의미하는 ''agchein''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이 상어가 가진 일곱 쌍의 아가미 구멍을 가리킨다. 이 종의 다른 영어 일반명으로는 one-finned shark, perlon shark, sevengill cow shark, sevengilled Mediterranean shark, sevengilled shark, sharpnose seven-gill shark, snouted seven-gill shark, slender seven-gill shark 등이 있다.[4][12] 일부 학자들은 이 종이 독자적인 에도상어과(Heptranchiidae)로 분류해야 할 만큼 충분히 구별된다고 보기도 한다.[5][13]2. 2. 과 분류 논쟁
속명 ''Heptranchias''는 "일곱"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heptragrc와 "목을 조르다" 또는 "조이다"를 의미하는 agcheingrc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이 상어가 가진 일곱 쌍의 아가미 틈새를 가리킨다.[4][12] 이 종을 부르는 다른 영어 이름으로는 one-finned shark, perlon shark, sevengill cow shark, sevengilled Mediterranean shark, sevengilled shark, sharpnose seven-gill shark, snouted seven-gill shark, slender seven-gill shark 등이 있다.[4][12]일부 학자들은 이 종이 독자적인 과인 헤프탄키아스과(Heptranchiidae) 또는 에도상어과로 분류될 만큼 충분히 구별된다고 보기도 한다.[5][13]
3. 분포 및 서식지
태평양 북동부를 제외하고 거의 전 세계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지만, 비교적 희귀한 종이다.[20][21][4][12] 주로 심해의 해저 근처에서 생활하는 저서생물이며, 수심 1000m 깊이까지 발견된다.[20][2][11] 드물게 표층 가까이에서 발견되기도 하지만, 이는 다른 종과의 오인일 가능성도 있다.[20][21][2]
3. 1. 주요 분포 지역
꼬리기름상어는 북동 태평양을 제외한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지만, 비교적 희귀한 종이다.[20][21][4][12]구체적인 분포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서부 대서양''':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쿠바까지 (북부 멕시코만 포함), 그리고 베네수엘라에서 아르헨티나까지 발견된다.[4][12]
- '''동부 대서양''': 모로코에서 나미비아까지, 지중해를 포함하여 서식한다.[4][12] 2019년 9월에는 이탈리아 해안에서 사체가 발견되기도 했다.[11]
- '''인도양''': 남서부 인도, 알다브라 섬, 남부 모잠비크, 남아프리카 공화국 해역에서 보고된다.[4][12]
- '''태평양''': 일본에서 중국,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북부 칠레까지 알려져 있다.[4][12]
이 상어는 주로 수심 300m에서 600m 사이의 대륙붕 바깥쪽과 상부 대륙사면의 바닥 근처에서 생활하는 저서생물이지만, 드물게 표층 가까이나 수심 1000m 깊이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20][2][11] 해산 주변에 모여 서식하는 경향도 보인다.[2][11]
3. 2. 서식 환경
꼬리기름상어는 비교적 희귀한 종으로, 북동태평양을 제외한 전 세계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20][21][4][12] 구체적인 분포 지역은 다음과 같다.- 서부 대서양: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쿠바까지 (북부 멕시코만 포함), 베네수엘라에서 아르헨티나까지 발견된다.[4][12]
- 동부 대서양: 모로코에서 나미비아까지, 지중해를 포함하여 서식한다.[4][12] 2019년 9월에는 이탈리아 해안에서 사체가 발견되기도 했다.[11]
- 인도양: 인도 남서부 해안, 알다브라 환초, 모잠비크 남부, 남아프리카 공화국 해역에서 보고된다.[4][12]
- 태평양: 일본에서 중국,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북부 칠레까지 알려져 있다.[4][12]
주로 저서생물로서 300m에서 600m 사이의 수심에서 발견되며, 최대 1000m 깊이에서도 서식한다.[2][11] 보통 해저 근처에서 생활하지만, 드물게 표층 가까이에서 발견될 때도 있는데, 이는 다른 종과의 오인일 가능성도 제기된다.[20][21][2] 주로 대륙붕 바깥쪽과 상부 대륙사면, 해산 주변에서 발견된다.[2][11]
4. 형태
꼬리기름상어는 가늘고 긴 방추형의 몸과 좁고 뾰족한 머리를 가진 상어이다.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현존하는 상어 중 가장 많은 7쌍의 아가미 구멍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4][7][12][15][20][21][22] 자세한 신체적 특징과 어린 개체의 모습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4. 1. 신체 특징
몸길이는 보통 60cm에서 120cm 사이이며, 최대 1.4m까지 자란다. 평균적으로는 1m 전후이다. 몸은 가늘고 긴 방추형이며, 머리는 좁고 뾰족하다.[4][7][12][15]등쪽은 짙은 회색, 회갈색 또는 올리브색을 띠고 배쪽은 흰색 또는 더 밝은 색이다. 일부 개체는 몸에 어두운 반점이 있거나 지느러미 뒤쪽 가장자리가 밝다. 어린 상어는 옆구리에 어두운 반점이 있으며,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위엽 끝부분에 검은색 얼룩(반점)이 있다.[20][21][22][8][4][12][16] 눈은 매우 크고, 살아있는 개체에서는 녹색 형광 빛을 띤다.[20][21][22][4][7][12][15]
현존하는 상어 중 가장 많은 7쌍의 아가미 구멍이 목까지 이어져 있다. 첫 번째 아가미 구멍이 가장 크고 뒤로 갈수록 작아진다.[20][21][22][4][7][12][15]
입은 좁고 강하게 구부러져 있다. 위턱 양쪽에는 9~11개, 아래턱 양쪽에는 5개의 이빨이 있다. 위턱의 이빨은 가늘고 안쪽으로 구부러진 갈고리 모양이며 작은 측면 교두가 있다. 아래턱의 이빨은 넓은 빗 모양으로 6개의 교두를 가진다(대칭적인 정중선 이빨 제외).[20][21][22][4][7][12][15]
등지느러미는 1개만 있으며 작고 몸 뒤쪽(골반 지느러미 뒤)에 위치한다. 앞 가장자리는 직선이고 끝은 좁고 둥글며 뒤 가장자리는 오목하다. 가슴 지느러미는 작고 바깥쪽 가장자리가 약간 볼록하다. 뒷지느러미는 작고 가장자리가 거의 직선이다. 꼬리지느러미는 위엽이 길고 끝부분에 베어져 들어간 듯한 결각이 있다.[20][21][22][4][8][12][16]
꼬리자루는 길며, 등지느러미 기점에서 꼬리지느러미까지의 거리는 등지느러미 기저부 길이의 두 배 이상이다.[8][4][12][16] 피부 소치(피부 이빨)는 매우 얇고 투명하며 밀접하게 겹쳐 있다. 각 소치는 너비보다 길이가 더 길고, 뚜렷한 중앙 융기 하나와 두 개의 측면 융기를 가지며 가장자리 이빨로 끝난다.[8][4]
4. 2. 유어의 특징
어린 꼬리기름상어는 몸 옆면에 어두운 반점을 가지고 있으며,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위쪽 끝부분에 검은색 반점 또는 얼룩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8][4][12][16]5. 생태
꼬리기름상어는 두족류, 갑각류, 경골어류, 작은 상어 및 가오리류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을 먹이로 삼는다.[21][6] 비교적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서식하는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 역할을 한다.[6] 지역에 따라 먹이 구성에 차이가 나타난다. 동대서양의 그레이트 메테오 해산에서는 주로 경골어류와 두족류를 먹으며, 드물게 작은 연골어류도 포식한다. 튀니지 연안에서는 갑각류가 경골어류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 자원이다. 호주 연안에서는 주로 경골어류를 먹는데, 작은 개체는 ''Lepidorhynchus denticulatus''를 주로 먹고, 성장하면서 뱀장어류나 갈치과 어류를 더 많이 먹는 경향을 보인다.[6][14]
꼬리기름상어는 유영 능력이 뛰어나며, 주로 밤에 활동하고 먹이를 찾는다.[6][12] 자신보다 더 큰 상어에게 잡아먹힐 수 있다.[4] 알려진 기생충으로는 선충류인 ''아니사키스''(''Anisakis'') 속과 ''Contracaecum'' 속, 그리고 조충류인 ''Crossobothrium dohrnii'' 등이 있다.[4][12]
생식 방식은 난태생으로, 태반을 형성하지 않고 어미의 자궁 내에서 알을 부화시킨다.[21][4][12] 특별히 정해진 번식기는 없다.[4][12] 암컷은 한 번에 9마리에서 20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갓 태어난 새끼의 크기는 약 26cm이다.[21][4][12] 성적으로 성숙하는 크기는 수컷이 전체 길이 75cm에서 85cm 사이, 암컷이 90cm에서 100cm 사이이다.[21][4][8][16] 수컷의 경우, 성적 성숙이 시작되면 교미기(클래스퍼) 끝에 점액이 생기는 것으로 알 수 있다.[8][16]
6. 생식
꼬리기름상어의 생식 방식은 난태생이다.[8][21] 이는 태반 없이 어미의 몸 안에서 알을 부화시켜 새끼를 낳는 형태이다. 자세한 번식 과정과 특징은 아래 문단에서 설명한다.
6. 1. 번식 과정
꼬리기름상어의 생식 방식은 난태생이다.[8] 이는 태반을 형성하지 않고 어미의 자궁 안에서 알을 부화시키는 방식이다.[21] 뚜렷하게 정해진 번식기는 없다.[8] 암컷은 한 번에 9마리에서 20마리의 새끼를 낳으며,[21][8] 갓 태어난 새끼의 몸길이는 약 26cm이다.[8] 성적으로 성숙하는 시기의 몸길이는 수컷이 75cm에서 85cm 사이, 암컷이 90cm에서 100cm 사이이다.[21][8] 수컷의 경우, 클래스퍼(교미기) 끝에 점액이 만들어지는 것을 통해 성적 성숙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8][4]7. 인간과의 관계
꼬리기름상어는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무해한 것으로 여겨지지만,[3][12] 상업 어업, 특히 연승 어업이나 트롤 어업과 같은 심해 어업 과정에서 혼획되는 경우가 있다.[21][2][11] 이렇게 잡힌 꼬리기름상어는 주로 어분이나 상어 간유의 원료로 이용된다.[4][7][15]
7. 1. 위협
꼬리기름상어는 비교적 크기가 작고 일반적으로 깊은 수역에 서식하기 때문에 인간에게 무해한 상어로 분류된다.[3][12] 하지만 저인망이나 연승 어업, 트롤 어업과 같은 특정 심해 상업 어업에서 혼획되는 경우가 있으며, 어업의 직접적인 대상은 아니다.[21][2][11]그물에 걸린 상어를 배 위로 끌어올릴 때 물릴 수 있으며,[21] 포획될 경우 매우 활동적이고 물려는 경향을 보인다.[8][16] 그러나 작은 크기 때문에 사람에게 실질적인 위협을 가하지는 않는다.[8][16]
꼬리기름상어의 살코기는 품질이 좋다고 알려져 있지만,[4][7][12][15] 약한 독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21][4][7][12][15] 식용으로는 잘 이용되지 않는다. 대신 어분이나 상어 간유의 원료로 사용된다.[4][7][15]
일본에서는 드물게 사육되기도 한다.[2][11] 2010년 5월 28일 시즈오카현 히가시이즈정 앞바다의 사가미만 정치망에서 어획된 개체가 시모다시의 시모다 해중 수족관에서 며칠간 사육된 기록이 있으며,[17] 2016년 3월 17일에는 누마즈시의 이즈・미토 씨 파라다이스에서도 포획되어 사육되었다.[18]
7. 2. 한국과의 관계
한국의 저인망이나 저연승어업 과정에서 혼획되기도 하지만, 주요 어업 대상 종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직접적인 위협을 가하지는 않지만, 그물에 걸린 상어를 인양하는 과정에서 물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고기에는 약한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8. 보전 상태
꼬리기름상어는 번식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심해 어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지역에서는 개체 수가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2][11]
8. 1. 국제적 평가
꼬리기름상어는 번식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지속적인 심해 어업이 이루어지는 지역에서는 개체 수가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2][11] 이러한 우려를 반영하여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이 종의 보전 상태를 위기 근접종[2] 또는 취약종[11]으로 평가하였다.2018년 6월, 뉴질랜드 보존부(Department of Conservation)는 뉴질랜드 위험 분류 시스템(New Zealand Threat Classification System)에 따라 꼬리기름상어를 At Risk – Naturally Uncommoneng으로 분류하였으며, "데이터 부족"과 "해외 안전"이라는 단서를 달았다.[9][19]
참조
[1]
학술지
A compendium of fossil marine animal genera (Chondrichthyes entry)
http://strata.ummp.l[...]
2008-01-09
[2]
간행물
Heptranchias perlo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03-03
[3]
웹사이트
Heptranchias perlo ::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https://www.flmnh.uf[...]
2016-04-04
[4]
웹사이트
Biological Profiles: Sharpnose Sevengill Shark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Ichthyology Department
2009-02-16
[5]
웹사이트
Hexanchiformes: Cow Sharks
http://www.elasmo-re[...]
ReefQuest Centre for Shark Research
2009-02-17
[6]
학술지
Feeding ecology of two high-order predators from south-eastern Australia: the coastal broadnose and the deepwater sharpnose sevengill sharks
2008-11-19
[7]
Fishbase species
[8]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9]
서적
Conservation status of New Zealand chondrichthyans (chimaeras, sharks and rays), 2016
https://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10]
학술지
A compendium of fossil marine animal genera (Chondrichthyes entry)
http://strata.ummp.l[...]
2008-01-09
[11]
Iucn
Heptranchias perlo
2020
[12]
웹사이트
Heptranchias perlo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https://www.flmnh.uf[...]
2024-07-02
[13]
웹사이트
Order Hexanchiformes Cow Sharks — 4 species
http://www.elasmo-re[...]
ReefQuest Centre for Shark Research
2024-07-02
[14]
학술지
Feeding ecology of two high-order predators from south-eastern Australia: the coastal broadnose and the deepwater sharpnose sevengill sharks
2008-11-19
[15]
Fishbase species
[16]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17]
웹사이트
“エドアブラザメ”について
http://shimoda-aquar[...]
下田海中水族館
2010-06-09
[18]
Facebook post
[19]
서적
Conservation status of New Zealand chondrichthyans (chimaeras, sharks and rays), 2016
https://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
Iucn
[21]
웹사이트
Biological Profiles: Sharpnose sevengill shark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Ichthyology Department
2010-09-07
[22]
웹사이트
Heptranchias perlo
http://www.fishbase.[...]
FishBase
2010-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