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마여신 카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꼬마여신 카린》은 코게돈보가 그린 일본 만화로, 2002년부터 나카요시에서 연재를 시작하여 인기에 힘입어 장편으로 이어졌다. 만화는 총 7권으로 발매되었으며, 속편인 《꼬마여신 카린 chu》도 7권으로 출판되었다. 2007년에는 TV 도쿄 계열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었으며, 원작과 설정을 혼합한 스토리를 선보였다. 작품은 소녀들의 성장, 우정, 신화적 요소를 결합한 독특한 설정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한국에서도 애니메이션 방영 이후 팬덤이 형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카요시의 만화 - 카드캡터 사쿠라
《카드캡터 사쿠라》는 CLAMP의 만화 작품으로, 초등학생 소녀 키노모토 사쿠라가 크로우 카드를 모으는 이야기를 다루며, 만화, 애니메이션 등으로 제작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 나카요시의 만화 - 다!다!다!
《다!다!다!》는 NASA에 파견된 부모님으로 인해 절에서 동거하게 된 중학생 강예나와 민우주가 우주 아기 루다와 시터펫 바바와 함께 펼치는 육아 이야기를 그린 카와무라 미카의 만화로,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로도 방영되어 아동용 애니메이션으로서의 재미와 가족의 의미를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 2002년 만화 - 딸기 100%
딸기 100%는 카와시타 미즈키가 연재한 연애 만화로, 중학생 마나카 준페이가 딸기 팬티 소녀를 찾아 여러 히로인과 관계를 맺는 이야기를 다루며,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주간 소년 점프에 연재되었다. - 2002년 만화 - 에어 기어
에어 기어는 오! 그레이트가 창작한 만화 시리즈로, 에어 트랙을 중심으로 폭풍족들이 하늘의 왕을 향해 질주하고 배틀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 사테라이트 - 나가토 유키짱의 소실
《나가토 유키짱의 소실》은 《凉宮ハルヒシリーズ》를 기반으로, 소심한 나가토 유키가 교통사고 후 다른 인격이 나타나면서 쿈, 아사쿠라 료코 등 주변 인물들과 관계를 맺고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 사테라이트 - 페어리 테일
마시마 히로의 판타지 만화 《페어리 테일》은 마도사 길드 '페어리 테일'을 중심으로 멸룡 마도사 나츠와 성령 마도사 루시를 비롯한 동료들이 의뢰를 수행하며 성장하는 모험 이야기이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꼬마여신 카린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장르 | 마법소녀 |
만화 | |
제목 | 카미차마 카린 |
작가 | 코게 돈보 |
출판사 | 고단샤 |
영문 출판사 | 도쿄팝 |
대상 독자 | 소녀 |
잡지 | 나카요시 |
연재 기간 | 2003년 1월 ~ 2005년 10월 |
권수 | 7권 |
만화 목록 | 카미차마 카린 단행본 목록 |
TV 애니메이션 | |
감독 | 안노 타카시 |
제작사 | 사테라이트 |
방송사 | TV 도쿄 |
방영 기간 | 2007년 4월 6일 ~ 2007년 9월 29일 |
화수 | 26화 |
에피소드 목록 | 카미차마 카린 에피소드 목록 |
만화 (카미차마 카린 Chu) | |
제목 | 카미차마 카린 Chu |
작가 | 코게 돈보 |
출판사 | 고단샤 |
영문 출판사 | 델 레이 만화 |
대상 독자 | 소녀 |
잡지 | 나카요시 |
연재 기간 | 2007년 4월 6일 ~ 2008년 4월 |
권수 | 7권 |
만화 (카미차마 카린+) | |
제목 | 카미차마 카린 + (플러스) |
작가 | 코게 돈보 |
출판사 | 고단샤, 브로콜리 |
연재 | 코미데지+ 와 나카요시 러블리에서 연재 |
2. 역사
《꼬마여신 카린》은 나카요시 2002년 12월호부터 연재되었다. 처음에는 단편이었으나 독자들의 인기에 힘입어 장편 연재로 전환되었다. 2006년 6월호부터는 《꼬마여신 카린chu》로 제목을 바꾸어 속편을 연재했고, 2008년 5월호까지 총 7년간 연재되었다.[6]
2007년 4월 6일부터 TV 도쿄에서 애니메이션으로도 방영되었다.[7] 애니메이션 방영에 맞춰 코미데지+(플렉스 코믹스/소프트뱅크 크리에이티브) vol.7과 vol.9에서 예외편 《꼬마여신 카린+》가 연재되었다. (vol.9에 게재된 최종화는 페이지 순서가 잘못되어 vol.10에서 사과 만화와 함께 다시 게재되었다.)[7]
연재 종료 후에도 나카요시 러블리에서 번외편이 게재되기도 했다.[8]
2. 1. 원작 만화 연재
나카요시 2002년 12월호부터 연재되었다.[6] 처음에는 단편이었으나, 독자들의 예상을 뛰어넘는 인기에 힘입어 장편 연재로 전환되었다.[7] 코단샤에서 단행본으로 발매되었으며, 총 7권으로 완결되었다. 2006년 6월호부터는 제목을 '꼬마 여신 카린 chu'로 바꾸어 속편을 연재했으며,[6] '카미chu', '카미카리chu' 등으로 불린다. '꼬마 여신 카린 chu' 역시 단행본 7권으로 발매되었다.2007년 4월 6일부터 TV 도쿄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면서, '코미데지+(플렉스 코믹스 / 소프트뱅크 크리에이티브)' vol.7과 vol.9에서 예외편인 '꼬마 여신 카린+'가 연재되기도 했다.[7] (vol.9에 게재된 최종화는 페이지 순서가 잘못되어 vol.10에서 사과 만화와 함께 다시 게재되었다.)[7] 연재 종료 후에도 '나카요시 러블리'에서 번외편이 비정기적으로 게재되었다.[8]
한국에서는 학산문화사에서 '메이퀸 코믹스' 레이블로 정식 발매하였다.
2. 2. 애니메이션 방영
2007년 4월 6일부터 9월 28일까지 TV 도쿄 계열에서 매주 금요일 오후 5시 30분부터 저녁 6시까지 방영되었다. 원작 만화와는 달리, '꼬마여신 카린'과 '꼬마여신 카린 chu'의 내용을 섞어서 하나의 이야기로 만들었다.제작은 사테라이트가 맡았다.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16:9 레터 박스 사이즈로 방송되었고,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BS 재팬에서는 16:9 풀 와이드로 방송되었다. 하지만, 하이비전이 아닌 표준 화질이었기 때문에 "HV" 마크는 표시되지 않았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방송 모두 자막 방송을 지원했으며, 총 26화로 구성되었다.
# | 제목 | 첫 방영일 |
---|---|---|
01 | 카린 쨩의 신비한 반지 | 2007년 4월 6일 |
02 | 카린 쨩, 신이 되다[1] | 2007년 4월 13일 |
03 | 히메카 쨩의 비밀[2] | 2007년 4월 20일 |
04 | 시이 쨩과의 재회[3] | 2007년 4월 27일 |
05 | 카즈네 군의 중간고사 대작전[4] | 2007년 5월 4일 |
06 | 도스 코이, 학교 축제에서의 사랑[5] | 2007년 5월 11일 |
07 | 학교 축제 댄스[6] | 2007년 5월 18일 |
08 | 반지가 사라졌다[7] | 2007년 5월 25일 |
09 | 수수께끼의 전학생은 멋있다[8] | 2007년 6월 1일 |
10 | 밋치의 두근두근 온천 투어[9] | 2007년 6월 8일 |
11 | 수수께끼의 빛에 의해 함께 붙어버리다[10] | 2007년 6월 15일 |
12 | 안녕, 카린 쨩의 첫사랑[11] | 2007년 6월 22일 |
13 | 카즈네 군의 러브러브 데이트!? | 2007년 6월 29일 |
14 | 해변 | 2007년 7월 6일 |
15 | 서머타임 블루스 | 2007년 7월 13일 |
16 | 선물은 수수께끼의 반지 | 2007년 7월 20일 |
17 | 키리카 선배의 고백 | 2007년 7월 27일 |
18 | 라이벌은 왕자님 카즈네 | 2007년 8월 3일 |
19 | 로맨틱 극장은 아무도 기다리지 않는다 | 2007년 8월 10일 |
20 | 어서 와, 밋치 | 2007년 8월 17일 |
21 | 히메카 쨩과 점치는 안경남 | 2007년 8월 25일 |
22 | 카즈네 군과 축제? | 2007년 9월 1일 |
23 | 카라스마의 집 방문 | 2007년 9월 8일 |
24 | 여기저기, 안경남이 어디에나 있다 | 2007년 9월 15일 |
25 | 제우스의 반지 미궁 | 2007년 9월 22일 |
26 | 시간의 미궁에서 길을 잃은 사람들 | 2007년 9월 29일 |
'''하나조노 카린'''(花園 花鈴)은 본 작품의 주인공으로, 세이에이학원 사쿠라가오카중학부 1학년이다. 부모에게 물려받은 반지로 아테나(지혜의 여신)와 아프로디테(사랑의 여신)의 힘을 빌려 신화(神化)한다. 밝고 적극적이며, 보이즈 러브 만화를 그리는 취미가 있다.[11] 사실은 쿠조 카즈토의 아내 쿠조 스즈카로, 히메카의 친엄마이자 카즈네와는 태어나기 전부터 부부였다.
3. 등장인물
'''쿠조 카즈네'''(九条 和音)는 카린과 함께 신화하는 소년으로, 아폴론(태양신)과 우라노스(천공신)의 힘을 빌린다. 왼손잡이이며, 벌레를 싫어한다. 쿠조 카즈토의 클론으로, 딸인 히메카와 아내인 카린을 지키려 한다.
'''쿠조 히메카'''(九条 姫香)는 카즈네의 사촌이자 카린의 친구로, 차분하고 상냥하며 요리가 특기이다. 벌레를 좋아하며, 쿠조 카즈토와 쿠조 스즈카의 딸로, 카즈네와 카린의 딸이기도 하다.
'''카라스마 키리오'''(烏丸 キリオ)는 사쿠라가오카 학원의 회장으로, 주인공들을 시험하고 캠퍼스 밖에서 그들과 싸운다.
'''카라스마 키리카'''(烏丸 霧火)는 키리오의 쌍둥이 여동생으로, 젊은 남자로 그려졌으며 키리오의 쌍둥이 형제이다.
'''냐케/시짱'''은 카린이 키우던 고양이로, 첫 번째 시리즈 초반에 죽었다.
'''니시키오리 미치루'''(錦織 みちる)는 영국에서 온 전학생으로, 카린, 카즈네, 히메카와 함께 살았다.
'''이미영'''은 카린의 친구이다.
'''사쿠라이 유우키'''(桜井 優生)는 카린의 친구이다.
'''카라스마 히메카'''(烏丸 妃路)는 키리오와 키리카의 또 다른 반쪽 존재이다.
'''아미'''는 카린의 친구이다.
'''쿠조 카즈토'''(九条 和人)는 카즈네와 히메카의 아버지이다.
'''카라스마 키리히코'''(烏丸 桐彦)는 키리오와 키리카의 아버지이다.
'''카즈사'''(和佐)는 카린의 친구이다.
'''큐짱'''(キューちゃん)은 카린의 친구이다.
'''스즈네'''(鈴音)는 ''꼬마여신 카린 chu''에서부터 등장하는 인물로, 카린과 카즈네의 아들이자 히메카의 "남동생"이다.
'''쿠가 진'''(久我 神)은 ''꼬마여신 카린 chu''에서부터 등장하는 인물로, 자신감 넘치는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아버지의 "명예"를 되찾고 싶어한다.
'''카라스마 리카'''(烏丸 リカ)는 ''꼬마여신 카린 chu''에서부터 등장하는 인물이다.
'''츠츠미 신겐'''(堤 信玄)은 ''꼬마여신 카린 chu''에서부터 등장하는 인물이다.
'''카즈네즈'''(和音ーズ)는 카즈네의 팬클럽이다.
'''밋치리앙'''(ミッチリアン)은 미치루의 팬클럽이다.
'''jin's'''는 진의 팬클럽이다.
3. 1. 주요 등장인물
이름 | 성우 (일본) | 성우 (한국) | 설명 | |
---|---|---|---|---|
하나조노 카린 | 나카하라 마이 | 이지영 | 본 작품의 주인공. 세이에이학원 사쿠라가오카중학부 1학년. 14세(7월 3일생), 게자리. 부모가 어릴 적 사망하여 이모에게서 자람. 공부, 운동 모두 특기가 없어 이모에게 꾸중을 듣고, 애완동물 시짱마저 죽어 풀이 죽음. 카즈네를 만나 그의 집에서 살게 됨.[11] 부모에게 물려받은 반지로 신이 되며 "아이 엠 갓 | "이라고 외침. 아테나와 아프로디테의 힘을 빌림. 밝고 적극적이며 이모부에게 가라테를 배움. 사실은 쿠조 카즈토의 아내 쿠조 스즈카로, 히메카의 친엄마이자 카즈네의 아내. |
쿠조 카즈네 | 사와시로 미유키 | 손정아 | 세이에이학원 사쿠라가오카중학부 1학년. 카린이 이모와 살 때 만난 소년. 13세(2월 1일생), 물병자리, 왼손잡이. 학원에서 팬클럽이 있을 정도로 인기. 벌레를 싫어해 자주 기절. 카린과 같이 신화, 아폴론과 우라노스의 힘을 빌림. 카린과 자주 싸우지만, 사실은 그녀를 소중히 생각. 신화 후 쓰러지지만, 카린을 위해 계속함. 쿠조 카즈토의 클론이며 히메카의 아버지. | |
쿠조 히메카 | 시타야 노리코 | 하미경 | 카즈네의 사촌이라고 하는 미소녀. 14세(3월 14일생), 물고기자리. 요리가 특기. 카즈네와 반대로 벌레를 좋아함. 카즈네의 반쪽 존재로 키리오에게 표적. 쿠조 카즈토와 스즈카 사이의 딸, 카즈네와 카린의 딸. | |
카라스마 키리오 | 아사누마 신타로 | 정명준 | ||
카라스마 키리카 | 카이다 유키 | 이명선 | ||
냐케/시짱 | 카토 나나에 | 이윤희 | ||
니시키오리 미치루 | 이시다 아키라, 와카쇼 미유키(6살) | 김광국 | ||
이미영 | 무라이 카즈사 | |||
사쿠라이 유우키 | 요시노 히로유키 | 김광국 | ||
카라스마 히메카 | 요시즈미 코즈에 | 하미경 | ||
쿠조 카즈토 | 시무라 토모유키→치바 스스무 | |||
카라스마 키리히코 | 키리이 다이스케 | |||
카즈사 | 미야자키 우이 | |||
스즈네 | 코야마 키미코 | |||
쿠가 진 | 스즈키 타츠히사 | |||
카라스마 리카 | 요시즈미 코즈에 | 이명선 |
3. 2. 조연
다음은 꼬마여신 카린의 등장인물이다.이름 | 성우 | 설명 |
---|---|---|
하나조노 카린 | 나카하라 마이 / 이지영 | 주인공. 부모에게 물려받은 반지로 아테나(지혜의 여신)와 아프로디테(사랑의 여신)의 힘을 빌려 신화(神化)한다. 밝고 적극적이며, 보이즈 러브 만화를 그리는 취미가 있다. 쿠조 카즈토의 아내 쿠조 스즈카로, 카즈네와는 태어나기 전부터 부부였다. |
쿠조 카즈네 | 사와시로 미유키 / 손정아 | 카린과 함께 신화하는 소년. 아폴론(태양신)과 우라노스(천공신)의 힘을 빌린다. 왼손잡이이며, 벌레를 싫어한다. 쿠조 카즈토의 클론으로, 딸인 히메카와 아내인 카린을 지키려 한다. |
쿠조 히메카 | 시타야 노리코 / 하미경 | 카즈네의 사촌이자 카린의 친구. 차분하고 상냥하며 요리가 특기이며, 벌레를 좋아한다. 쿠조 카즈토와 쿠조 스즈카의 딸로, 카즈네와 카린의 딸이기도 하다. |
카라스마 키리오 | 아사누마 신타로 / 정명준 | |
카라스마 키리카 | 카이다 유키 / 이명선 | |
냐케 / 시짱 | 카토 나나에 / 이윤희 | |
니시키오리 미치루 | 이시다 아키라, 와카쇼 미유키(6살) / 김광국 | |
이미영 | 무라이 카즈사 | |
사쿠라이 유우키 | 요시노 히로유키 / 김광국 | |
카라스마 히메카 | 요시즈미 코즈에 / 하미경 | |
아미 | ||
쿠조 카즈토 | 시무라 토모유키→치바 스스무 | |
카라스마 키리히코 | 키리이 다이스케 | |
카즈사 | 미야자키 우이 | |
큐짱 | 아카키 스스무 |
- 꼬마여신 카린 chu에서부터 등장하는 인물
- 그 외의 인물
이름 | 설명 |
---|---|
카즈네즈 | |
밋치리앙 | |
jin's |
4. 용어
; 신화(神化)
: 신화(神化)반지로 신으로 변신하는 능력.
; 신화(神化)반지
: 신화를 하기 위해서 쓰는 반지. 쿠조 카즈히토가 카라스마 키리히코에게서 히메카를 지키기 위해 신화(神化)데이터를 이용해 만들었다.
; 카오스의 씨앗
: chu에서 등장하는 씨앗으로, 카라스마 리카가 사용하며 카오스의 꽃으로 성장한다.
; 크로노스의 시계
: chu에서 등장하며, 애니메이션 오프닝에서도 등장한다. 미래와 과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카린은 chu에서 신화(神化)반지를 제외하고도 이 물건이 있어야만 변신을 할 수 있다. 신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반지는, 쿠죠 카즈네의 아버지(쿠죠 카즈토)가 만들어낸 소형 장치이다. 부모가 없고, 신화의 반지를 가지고 있으며, 십대일 경우에만 인간의 육감을 끌어낼 수 있다.
5. 미디어 믹스
コゲどんぼ|코게돈보일본어의 만화 ''꼬마여신 카린''은 총 7권으로 발행되었다. 작가 코게 돈보는 1권에서 카린의 "나는 신이다"라는 대사가 원래는 개그로 시작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꼬마여신 카린''은 원래 2개의 챕터로 구성된 단편이었으나, 예상 밖의 인기로 연재가 계속되었다고 한다. 이야기는 속편 시리즈인 ''꼬마여신 카린 츄''에서 계속 이어졌으며, 마찬가지로 일본에서 일반판과 특별판으로 7권이 발행되었다. 특별판은 일반판과 동일한 기본적인 내용을 담고 있지만, 만화 수집가들에게 매우 가치 있는 추가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다.
''꼬마여신 카린''의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각색은 2007년 4월 6일에 시작되었다.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 제작사 사테라이트(Satelight)에서 제작했다. 방영된 에피소드는 다음과 같다.
5. 1. 관련 상품
コゲどんぼ|코게돈보일본어의 만화 ''꼬마여신 카린''은 소녀 취향의 변신 히로인 작품으로, 애니메이션화되어 평일 저녁 시간대에 방영되었다. 장난감으로 상품화할 만한 아이템이 많이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장난감 전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코게 돈보는 자신의 블로그에서 "원래 6개월짜리 애니메이션이었고, 장난감 등은 만들지 않는 방침이었다"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실제로 방송 기간이 6개월이라도 장난감 전개를 한 애니메이션은 많이 존재한다.[1]메이퀸코믹스에서 발행한 단행본은 다음과 같다.
권 | 발행일 |
---|---|
꼬마여신 카린 (1) | 2003년 12월 29일 |
꼬마여신 카린 (2) | 2004년 2월 16일 |
꼬마여신 카린 (3) | 2004년 4월 13일 |
꼬마여신 카린 (4) | 2004년 8월 25일 |
꼬마여신 카린 (5) | 2005년 2월 25일 |
꼬마여신 카린 (6) | 2005년 6월 25일 |
꼬마여신 카린 (7) | 2006년 1월 15일 |
5. 1. 1. DVD
일본에서 발매된 DVD는 다음과 같다. 초회 한정판에는 특전 부록이 포함되어 있다.[1]권 | 발매일 | 셀 버전 | 렌탈 버전 | 초회 한정 특전 부록 | 영상 특전 |
---|---|---|---|---|---|
1 | 2007년 7월 20일 | PCBG-51075 | コゲどんぼ|코게돈보일본어가 새로 그린 단편 만화와 설정 자료 등을 첨부한 소책자 44p | 오프닝 〈암흑천국〉 논크레딧 버전 | |
2 | 2007년 8월 17일 | PCBG-51076 | PCBG-71076 | DVD 박스 | 엔딩 〈아네모네〉 논크레딧 버전 |
3 | 2007년 9월 19일 | PCBG-51077 | PCBG-71077 | 미니캐릭터 스티커 | 오프닝 〈암흑천국〉 논크레딧 온 에어 버전 |
4 | 2007년 10월 17일 | PCBG-51078 | PCBG-71078 | 미니캐릭터 스티커 | 엔딩 〈공중미로〉 논크레딧 버전 |
5 | 2007년 11월 21일 | PCBG-51079 | PCBG-71079 | 미니캐릭터 스티커 | DVD TVCM집 1 |
6 | 2007년 12월 19일 | PCBG-51080 | PCBG-71080 | 미니캐릭터 스티커 | DVD TVCM집 2 |
7 | 2007년 12월 28일 | PCBG-51080 | PCBG-71080 | コゲどんぼ|코게돈보일본어가 새로 그린 단편 만화 (사랑과 정의의 학생회장 키리오 vs 애송이신, 꼬마여신 카린+ 파이널)로 코믹스 미수록의 단편 만화 | 오프닝 〈암흑천국〉 최종화 논크레딧 버전, 엔딩 〈아네모네〉 최종화 논크레딧 버전, 논텔롭 오프닝(가사 추가), 방송 영상집 |
5. 2. 서적
꼬마여신 카린일본어의 단행본은 일본에서 여러 출판사를 통해 발매되었다.'''메이퀸코믹스'''를 통해 2003년 12월 29일부터 2006년 1월 15일까지 총 7권이 발행되었다.
권수 | 발행일 |
---|---|
1 | 2003년 12월 29일 |
2 | 2004년 2월 16일 |
3 | 2004년 4월 13일 |
4 | 2004년 8월 25일 |
5 | 2005년 2월 25일 |
6 | 2005년 6월 25일 |
7 | 2006년 1월 15일 |
'''KC 디럭스'''판은 2003년 9월 5일부터 2005년 12월 6일까지 총 7권이 발매되었다. 각 권에는 ISBN 번호가 부여되었다.
권수 | ISBN | 발행일 |
---|---|---|
1 | ISBN 4-06-334759-1 | 2003년 9월 5일 |
2 | ISBN 4-06-334830-X | 2003년 12월 5일 |
3 | ISBN 4-06-334858-X | 2004년 3월 5일 |
4 | ISBN 4-06-334895-4 | 2004년 7월 2일 |
5 | ISBN 4-06-334951-9 | 2004년 12월 6일 |
6 | ISBN 4-06-372005-5 | 2005년 4월 30일 |
7 | ISBN 4-06-372108-6 | 2005년 12월 6일 |
'''나카요시 KC'''판은 꼬마여신 카린chu일본어라는 제목으로 2006년 9월 6일부터 2008년 7월 4일까지 총 7권이 발매되었다.
권수 | ISBN | 발행일 |
---|---|---|
1 | ISBN 4-06-364119-8 | 2006년 9월 6일 |
2 | ISBN 4-06-364133-3 | 2006년 12월 28일 |
3 | ISBN 978-4-06-364145-5 | 2007년 4월 6일 |
4 | ISBN 978-4-06-364152-3 | 2007년 7월 6일 |
5 | ISBN 978-4-06-364163-9 | 2007년 9월 20일 |
6 | ISBN 978-4-06-364175-2 | 2008년 2월 6일 |
7 | ISBN 978-4-06-364188-2 | 2008년 7월 4일 |
'''프리미엄 KC'''판은 꼬마여신 카린chu일본어의 특장판으로, 2006년 9월 6일부터 2008년 7월 4일까지 총 7권이 발매되었다. 일반판과 동일한 내용이지만, 만화 수집가들을 위한 추가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권수 | ISBN | 발행일 |
---|---|---|
1 | ISBN 4-06-362063-8 | 2006년 9월 6일 |
2 | ISBN 4-06-362072-7 | 2006년 12월 28일 |
3 | ISBN 978-4-06-362076-4 | 2007년 4월 6일 |
4 | ISBN 978-4-06-362083-2 | 2007년 7월 6일 |
5 | ISBN 978-4-06-362093-1 | 2007년 9월 20일 |
6 | ISBN 978-4-06-362099-3 | 2008년 2월 6일 |
7 | ISBN 978-4-06-362116-7 | 2008년 7월 4일 |
원작자 코게 돈보는 1권에서 카린의 "나는 신이다"라는 대사가 원래는 개그로 시작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꼬마여신 카린일본어은 원래 2개의 챕터로 구성된 단편이었으나, 예상 밖의 인기로 연재가 계속되었다고 한다.
6. 평가 및 영향
かみちゃまかりん|카미챠마 카린일본어은 소녀들의 성장과 우정, 그리고 신화적 요소를 결합한 독특한 설정으로 호평을 받았다. 특히, 여성 캐릭터들이 주체적으로 활약하는 모습을 그려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
애니메이션 잡지 "애니미디어(アニメディア)"(학연)의 2007년 1월호 "애니메이션화했으면 하는 원작 작품 랭킹"에서 8위에 랭크되기도 했다.[1]
한국에서는 애니메이션 방영 이후 팬덤이 형성되었다. 진보 정당 지지층 사이에서는 주인공 카린의 성장 서사와 사회적 메시지에 공감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참조
[1]
웹사이트
Kamichama Karin Chu GN 3 - Review
https://www.animenew[...]
2022-03-15
[2]
웹사이트
Kamichama Karin Comics from Tokyopop
https://atomicavenue[...]
2018-03-03
[3]
웹사이트
"''Kamichama Karin Chu'' 1 by Koge-Donbo"
http://www.randomhou[...]
Del Rey Manga
2008-07-30
[4]
웹사이트
"''Kamichama Karin Chu'' 2 by Koge-Donbo"
http://www.randomhou[...]
Del Rey Manga
2008-07-30
[5]
웹사이트
あにてれ:かみちゃまかりん
http://www.tv-tokyo.[...]
TV Tokyo
2010-04-12
[6]
웹사이트
あにてれ:かみちゃまかりん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
2022-12-14
[7]
웹사이트
コミデジ+
https://www.broccoli[...]
2019-10-28
[8]
블로그
ブログ兼、業務日誌。
https://web.archive.[...]
2019-10-28
[9]
뉴스
北國新聞
2007-04-10
[10]
뉴스
北國新聞
2007-10-02
[11]
서적
1권 1/3스페이스 참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