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눔글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눔글꼴은 산돌커뮤니케이션 등에서 제작된 폰트 시리즈로, 다양한 종류와 굵기, 그리고 특징을 가진 글꼴들을 포함한다. 2008년에 처음 공개되어 나눔고딕, 나눔명조, 나눔손글씨, 나눔바른고딕, 나눔스퀘어 등 여러 글꼴이 출시되었다. 각 글꼴은 사용 목적과 스타일에 따라 디자인되었으며, 옛한글 지원, 잉크 절약 기능 등을 갖춘 변형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글 글꼴 - 맑은 고딕
    맑은 고딕은 윈도우 비스타부터 기본 한글 글꼴로 사용된 훈민정음 기반의 글꼴이며, KS X 1001의 모든 특수 문자와 한글 11172자를 지원하고 클리어타입 렌더링을 최적화했지만 백슬래시 기호 표시 문제점이 있다.
  • 한글 글꼴 - 바탕체
    바탕체는 붓글씨체를 바탕으로 가독성을 높인 세리프체 글꼴로, 동아일보 명조체 공모를 시작으로 발전하여 현재 윈도우용으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네이버의 서비스 - 네이버 뉴스
    네이버 뉴스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뉴스 서비스로, 뉴스 스탠드와 뉴스 라이브러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뉴스 스탠드는 이용률 저조 등의 문제점을 겪고, 뉴스 라이브러리는 과거 신문 기사를 제공한다.
  • 네이버의 서비스 - 네이버페이
    네이버페이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및 모바일 결제 서비스로, 간편 결제 기능과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 삼성페이 연동 등의 주요 기능을 제공하며, 체크카드와 신용카드 출시 및 다양한 이벤트와 제휴를 통해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나눔글꼴
글꼴 정보
나눔고딕 예시
종류산세리프
제작자산돌, 네이버
폰트 회사네이버
라이선스SIL 오픈 폰트 라이선스
개요
이름 (한글)나눔글꼴
이름 (로마자 표기)Nanum Geulkkol
종류고딕체, 명조체
제작산돌커뮤니케이션, 폰트릭스
의뢰네이버
라이선스OFL 1.1
공개일2008년 10월 9일
파일 종류트루타입

2. 종류

산돌커뮤니케이션에서 제작하였다. 2008년에 보통(Regular), 굵은(Bold) 형태, 2009년에 아주 굵은(Extra Bold) 형태, 2011년에 얇은(Light) 형태가 공개되었다. 한글 11,172자, 한자 4,888자를 지원한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샌돌커뮤니케이션에서 디자인했으며, 이탤릭체 없이 세 가지 굵기로 제공된다. 샌드르 커뮤니케이션(Sandoll Communication)에서 개발되어,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릴리즈되었다.

==== 나눔고딕 코딩 ====

2009년 1월 22일, 나눔고딕 글꼴을 개발자들이 쓰기 편리하게끔 하고 고정폭으로 만든 "나눔고딕 코딩글꼴"을 공개하였다. 이 글꼴은 나눔고딕이 가지는 글꼴의 특징과 거의 같으며, 개발 시 비슷한 문자를 구별하기 쉽도록 일부(예: 숫자 0, 로마자 l과 i 등)가 변경되었다. 고정폭 형태의 나눔고딕이다. 이탤릭체 없이 두 가지 굵기를 지원한다.

==== 나눔명조 ====

폰트릭스에서 제작한 나눔명조는 2008년에 기본(Regular), 굵은(Bold) 형태가, 2009년에는 아주 굵은(Extra Bold) 형태가 공개되었다. 나눔고딕 글꼴과는 달리 한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 나눔손글씨 ====

2010년 10월 9일, 나눔글꼴 3.0에 "나눔손글씨"가 포함되었다. 붓체와 펜체 총 두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붓으로 쓴 듯한 서체와 펜으로 쓴 듯한 서체의 두 종류이다.

==== 나눔에코 (나눔고딕 에코, 나눔명조 에코) ====

2011년 나눔고딕 에코와 나눔명조 에코가 공개됐다. 에코폰트(Ecofont)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개발되었으며, 잉크를 절약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나눔고딕, 나눔명조에 구멍이 뚫려있는 글꼴로, 잉크를 절약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나눔바른고딕 ====

2013년 10월 1일 네이버가 공개한 글꼴로 폰트릭스에서 디자인하였다. 모바일에서 잘 보일 수 있는 특징을 연구하여 만들었다. 2013년에 보통, 굵은 형태, 2014년에 얇은 형태와 아주 얇은(Ultra Light) 형태가 공개되었다. 한글 11,172자, 한자 4888자, 영문 94자, KS약물 986자가 포함되어 있다.

==== 나눔바른고딕 옛한글, 나눔명조 옛한글 ====

2014년 10월 1일 공개된 나눔바른고딕과 나눔명조의 확장판으로, 옛한글 1,610,328자가 추가되었다.

==== 나눔바른펜 ====

2014년 10월 1일 공개되었다. 정직하게 꾹꾹 눌러 쓴 듯한 손글씨체이다. 기존 나눔손글씨에 비하여 정체에 더 가까운 고딕을 바탕으로 한 서체이다.

==== 나눔스퀘어 ====

나눔스퀘어는 산돌커뮤니케이션에서 제작하였다. 2016년 2월 2일 공개되었고, 반듯한 직선으로 제목에 어울리는 글꼴이다. 한글 2,350자, 영문 94자, KS약물 986자가 포함되어 있다.

2. 1. 나눔고딕

산돌커뮤니케이션에서 제작하였다. 2008년에 보통(Regular), 굵은(Bold) 형태, 2009년에 아주 굵은(Extra Bold) 형태, 2011년에 얇은(Light) 형태가 공개되었다. 한글 11,172자, 한자 4,888자를 지원한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샌돌커뮤니케이션에서 디자인했으며, 이탤릭체 없이 세 가지 굵기로 제공된다.

샌드르 커뮤니케이션(Sandoll Communication)에서 개발되어,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릴리즈되었다. 이 글꼴은 4,888자의 한자에 대응한다.

2. 1. 1. 나눔고딕 코딩

2009년 1월 22일, 나눔고딕 글꼴을 개발자들이 쓰기 편리하게끔 하고 고정폭으로 만든 "나눔고딕 코딩글꼴"을 공개하였다. 이 글꼴은 나눔고딕이 가지는 글꼴의 특징과 거의 같으며, 개발 시 비슷한 문자를 구별하기 쉽도록 일부(예: 숫자 0, 로마자 l과 i 등)가 변경되었다.

나눔고딕과 유사하지만, 개발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009년에 출시되었다. 고정폭 형태의 나눔고딕이다. 이탤릭체 없이 두 가지 굵기를 지원한다.

나눔고딕을 개발자용으로 만든 글꼴로, 2009년에 출시되었다.

2. 2. 나눔명조

폰트릭스에서 제작한 나눔명조는 2008년에 기본(Regular), 굵은(Bold) 형태가, 2009년에는 아주 굵은(Extra Bold) 형태가 공개되었다. 나눔고딕 글꼴과는 달리 한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2. 3. 나눔손글씨

2010년 10월 9일, 나눔글꼴 3.0에 "나눔손글씨"가 포함되었다. 붓체와 펜체 총 두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붓으로 쓴 듯한 서체와 펜으로 쓴 듯한 서체의 두 종류이다.

2. 4. 나눔에코 (나눔고딕 에코, 나눔명조 에코)

2011년 나눔고딕 에코와 나눔명조 에코가 공개됐다. 에코폰트(Ecofont)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개발되었으며, 잉크를 절약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나눔고딕, 나눔명조에 구멍이 뚫려있는 글꼴로, 잉크를 절약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2. 5. 나눔바른고딕

2013년 10월 1일 네이버가 공개한 글꼴로 폰트릭스에서 디자인하였다. 모바일에서 잘 보일 수 있는 특징을 연구하여 만들었다. 2013년에 보통, 굵은 형태, 2014년에 얇은 형태와 아주 얇은(Ultra Light) 형태가 공개되었다. 한글 11,172자, 한자 4888자, 영문 94자, KS약물 986자가 포함되어 있다.

나눔바른고딕 Ultra Light (OTF 포함)은 'ㅁ'을 쳤을 때 'ㅂ'이 나오는 버그가 있으나 출시 5년 째인 현재까지도 수정이 안되고 있다.

2. 5. 1. 버그

나눔바른고딕 Ultra Light (OTF 포함)은 'ㅁ'을 쳤을 때 'ㅂ'이 나오는 버그가 있으나 출시 5년 째인 현재까지도 수정이 안되고 있다.

2. 6. 나눔바른고딕 옛한글, 나눔명조 옛한글

2014년 10월 1일 공개된 나눔바른고딕과 나눔명조의 확장판으로, 옛한글 1,610,328자가 추가되었다.

2. 7. 나눔바른펜

2014년 10월 1일 공개되었다. 정직하게 꾹꾹 눌러 쓴 듯한 손글씨체이다. 기존 나눔손글씨에 비하여 정체에 더 가까운 고딕을 바탕으로 한 서체이다.

2. 8. 나눔스퀘어

나눔스퀘어는 산돌커뮤니케이션에서 제작하였다. 2016년 2월 2일 공개되었고, 반듯한 직선으로 제목에 어울리는 글꼴이다. 한글 2,350자, 영문 94자, KS약물 986자가 포함되어 있다.

3. 역사

2008년에 나눔글꼴이 처음 공개되었으며, 2009년에는 제목용 글꼴인 나눔글꼴 EB(Extra Bold)를 포함한 나눔글꼴 2.0이 공개되었다. 2010년에는 나눔고딕에 한자 글꼴이 포함되고 나눔손글씨 붓체와 나눔손글씨 펜체가 포함된 나눔글꼴 3.0이 공개되었다. 2011년에는 기존 나눔글꼴에 얇은(Light) 버전이 추가되었고, 나눔고딕 및 나눔명조의 친환경 글꼴인 나눔글꼴 에코가 포함되었다. 나눔글꼴 에코는 기존 나눔고딕, 나눔명조보다 35% 잉크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구멍이 뚫려 있는 모양이다.

2013년에는 나눔바른고딕이 추가되었고, 2014년에는 얇은 나눔바른고딕 (나눔바른고딕 Light/Ultra Light), 옛한글을 표현 가능한 나눔바른고딕, 나눔명조 옛한글, 나눔바른펜이 추가되었다. 2016년에는 나눔스퀘어가 추가되었으며, 2017년 LG스마트월드에서 나눔글꼴 시리즈가 삭제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나눔글꼴 도움말:고객센터 http://help.naver.co[...]
[2] 웹사이트 Nanum Gothic https://fonts.google[...] Google 2019-01-14
[3] 웹사이트 Nanum Myeongjo https://fonts.google[...] Google 2019-01-14
[4] 웹사이트 OS X:Mountain Lion に組み込まれているフォント https://support.appl[...] Apple Inc. 2014-11-26
[5] 웹사이트 macOS Mojave に組み込まれているフォント https://support.appl[...] Apple Inc. 2018-10-29
[6] 웹인용 네이버 나눔글꼴 라이선스 안내 https://help.naver.c[...] 2019-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