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치 독일의 국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치 독일의 국기는 1920년 아돌프 히틀러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당기로 채택하면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붉은색 바탕에 흰색 원, 그 안에 검은색 하켄크로이츠를 배치한 디자인으로, 붉은색은 희생, 하켄크로이츠는 게르만족의 상징을 의미했다. 1933년 나치당이 정권을 잡은 후 독일 제국 시대의 삼색기와 함께 게양되었으며, 1935년에는 하켄크로이츠 깃발만이 국기로 지정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나치즘의 상징으로 여겨져 독일 및 유럽 여러 국가에서 공공 장소에서의 사용이 금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기 - 독일의 국기
독일 국기는 검은색, 빨간색, 금색 가로 줄무늬 삼색기로, 자유주의와 통일 독일을 상징하며, 1949년 서독과 동독, 그리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 독일의 기 - 동독의 국기
동독의 국기는 검정, 빨강, 금색 삼색기에 망치, 컴퍼스, 호밀 고리가 추가된 형태로, 1949년부터 1959년까지 서독과 동일한 국기를 사용하다가 변경되었으며, 서독에서 한동안 금지되기도 했다. - 나치 독일의 상징 - 하켄크로이츠
하켄크로이츠는 고대 게르만족의 행운을 상징하는 기호였으나 나치 독일의 상징으로 채택되어 아리아 인종 우월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나치즘의 상징으로 굳어져 서양에서는 금기시되며 독일에서는 사용이 법적으로 금지되었다. - 나치 독일의 상징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는 호르스트 베셀이 작사한 가사에 멜로디가 붙어 나치당의 상징적인 노래가 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 금지되었고 파시스트 운동 단체들에 의해 개작되어 사용되거나 극우 단체들에 의해 사용 및 패러디의 대상이 되었다. - 옛 국기 - 유고슬라비아의 국기
유고슬라비아의 국기는 범슬라브색인 파란색, 흰색, 빨간색의 가로 삼색기로 남슬라브족의 단결을 상징하며,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기에는 단순한 삼색기였으나 사회주의 정권 수립 후 붉은 별이 추가되었고, 현재는 유고슬라비아를 그리워하는 집회 등에서 사용된다. - 옛 국기 - 만주국의 국기
만주국의 국기는 1933년 만주국 국무원에서 채택된 오색기로, 각 색깔은 방위, 오행, 주요 민족을 상징하며 다민족 국가의 통합을 나타냈지만, 일본 제국의 영향력 아래 놓인 정치적 상황을 반영한다는 비판도 있다.
나치 독일의 국기 | |
---|---|
국기 정보 | |
용도 | 국기 |
비율 | 3:5 |
채택일 | 1935년 9월 15일 |
폐지일 | 1945년 5월 23일 |
디자인 | 적색 바탕에 흰색 원 안에 검은색 하켄크로이츠가 있는 가로형 국기 |
디자이너 | 아돌프 히틀러 |
국기 정보 (1933–1935) | |
별칭 | 나치 독일 국기 (1933–1935) |
용도 | 국기 |
비율 | 3:5 |
채택일 | 1933년 3월 14일 |
폐지일 | 1935년 9월 15일 |
디자인 | 검은색, 흰색, 빨간색의 가로 삼색기 |
2. 역사
1920년 아돌프 히틀러는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의 상징으로 하켄크로이츠를 채택하여 당기나 당장에 도입했다. 히틀러는 자신의 저서 『나의 투쟁』(1925년)에서 "빨간 배경에 흰 원, 그 중심에 검은 하켄크로이츠"로 디자인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깃발의 크기와 흰 원의 비율, 스와스티카의 모양과 두께에 대해서도 오랜 시간의 시행 착오를 거쳐 결정적인 비율을 발견했다고 한다.
히틀러는 제정 시대 독일 국기의 적·백·흑 삼색에 대해 "가장 신성한 재산"으로 여겨 찬성했으며,[16] "적색은 당 운동 기조의 사회적 이념, 백색은 민족 이념", 검은 스와스티카는 "아리아 인종"과 "반유대적인 창작 작품 이상"의 상징이라는 새로운 정의를 부여했다.[16]
1933년 나치 집권 후, 임시 조치로 독일 제국 시대와 같은 배색의 삼색기를 국기로 하고, 나치 당기인 하켄크로이츠 깃발과 함께 게양하도록 의무화했다.[17][18] 동시에,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흑적금 삼색기는 폐지되었다.
1935년 7월 26일, 미국 뉴욕 항에 정박 중이던 독일 객선 브레멘호에 게양되어 있던 하켄크로이츠 깃발이, 배에 탑승한 반파시즘 활동가에 의해 끌어 내려져 허드슨 강에 버려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미국 정부는 하켄크로이츠 깃발이 공식 국기가 아니므로 국기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밝혔다.[19]
같은 해 9월 15일, 뉘른베르크 당대회에서 새로운 "국기법" 제정이 발표되어 하켄크로이츠 깃발만을 국기로 하고, 삼색기는 "반동적"으로 간주되어 게양이 금지되었다. 헤르만 괴링은 이 대회에서, 옛 삼색기는 명예로운 것이지만, 지나간 시대의 상징이며, "반동주의자"에 의해 악용될 위협에 놓여 있다고 말했다. 다만, "흑백적" 배색은 "국가색"으로, 국방군의 헬멧용 데칼 등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하켄크로이츠 깃발은 나치즘과 파시즘의 상징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및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는 공공 장소에서의 게양이 법률로 금지되어 있다.
2. 1. 기원
1920년대, 아돌프 히틀러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공식 당기로 제정하면서 나치 독일의 국기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깃발의 붉은색 바탕은 국가를 위한 국민의 희생, 즉 붉은 피를 상징하며, 가운데 하켄크로이츠 문자는 고대 게르만족의 상징인 '룬 문자'의 한 종류였다. 1934년 히틀러가 수상에 취임하면서 독일 제국의 국기와 하켄크로이츠 기가 혼용되었으나, 바이마르 공화국이 공식적으로 붕괴하면서 하켄크로이츠 기만이 국기로 사용되었다.[1]나치당은 독일에서 만자를 사용한 유일한 정당은 아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여러 극우 민족주의 운동들이 만자를 채택했고, 이 상징은 인종적으로 "순수한" 국가라는 사상과 연관되었다.[1]
히틀러는 자신의 저서 나의 투쟁에서 나치 깃발 디자인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나는 무수한 시도 끝에 붉은색 바탕, 흰색 원, 그리고 가운데 검은색 만자가 있는 최종 형태를 확정했다. 오랜 실험 끝에 깃발의 크기와 흰색 원의 크기, 그리고 만자의 모양과 두께 사이의 정확한 비율도 찾았다."[1]
1933년 1월 30일 히틀러가 독일 총리로 임명된 직후, 바이마르 공화국의 흑-적-금 삼색기는 금지되었다. 1933년 3월 12일 결정으로 흑-백-적 제국 삼색 국기와 나치당 깃발, 두 개의 법적 깃발이 제정되었다.[2][3]
초기에 나치 깃발은 만자가 포함된 흰색 원을 깃발 중앙에 위치하도록 규정했다. 그러나 1933년 12월 20일, 해상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자 깃발의 중심에서 벗어난 버전을 허가하는 법령이 발표되었다.[6]
1935년 9월 15일,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 사망 1년 후, 나치 깃발은 독일의 국기이자 군함기가 되었다.[8] 이러한 변경의 한 가지 이유는 1935년 7월 26일 발생한 "''브레멘'' 사건" 때문일 수 있다. 뉴욕시의 시위대 그룹이 SS ''브레멘''호에 승선하여 깃대에서 나치당 깃발을 찢어 허드슨 강에 던져 버렸는데, 독일 대사의 항의에 미국 관리들은 만자는 독일 국기가 아니므로 가해자들이 처벌될 수 없다고 답변했다.[9]
새로운 깃발 법은 뉘른베르크법의 일부로, 1935년 뉘른베르크에서 열린 연례 당 대회에서 발표되었다.[8][10] 헤르만 괴링은 오래된 흑-백-적 깃발이 존경받기는 하지만 지나간 시대의 상징이며 "반동파"에 의해 사용될 위협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11]
2. 2. 나치 독일 국기로의 채택
1920년대, 아돌프 히틀러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공식 당기로 하켄크로이츠 기를 제정하였다. 깃발의 붉은색은 국가를 위한 국민의 희생을, 하켄크로이츠는 고대 게르만족의 상징을 의미했다. 1934년 히틀러 집권 후, 독일 제국의 국기와 하켄크로이츠 기가 혼용되다가 바이마르 공화국 붕괴와 함께 하켄크로이츠 기만이 국기로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철십자와 수직선이 겹쳐진 기가 군기로 사용되었으나, 나치 독일 붕괴 이후 서독과 동독에서는 하켄크로이츠 사용이 금지되었다.[1]히틀러는 그의 저서 ''나의 투쟁''에서 붉은색 바탕, 흰색 원, 그리고 가운데 검은색 만자가 있는 나치 깃발 디자인의 제작 과정을 설명했다.[1]
나치당 외에도 여러 극우 민족주의 운동들이 만자를 사용했으며, 이는 인종적으로 "순수한" 국가라는 사상과 연관되었다.[1]
1933년 1월 30일 히틀러가 독일 총리로 임명된 직후, 바이마르 공화국의 흑-적-금 삼색기는 금지되었다. 1933년 3월 12일 결정으로 흑-백-적 제국 삼색 국기와 나치당 깃발, 두 가지가 법적 깃발로 제정되었다.[2][3] 1933년 4월 29일, 빌헬름 프리크 내무장관은 모든 상선에 흑-백-적 군함기를 선미에, 나치당 깃발을 정박줄이나 우현 신호 돛대에 게양하도록 명령했다.[5]
초기 나치 깃발은 만자가 포함된 흰색 원을 중앙에 배치했으나, 1933년 12월 20일 해상용으로 만자가 중심에서 벗어난 버전을 허가하는 법령이 발표되었다.[6] 이는 깃발이 더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한 실용적인 결정이었다.[3][7]

1935년 9월 15일,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 사망 1년 후, 나치 깃발은 독일의 국기이자 군함기가 되었다.[8] 이는 1935년 7월 26일 발생한 "''브레멘'' 사건"의 영향도 있었는데, 뉴욕 시위대가 SS ''브레멘''호의 나치당 깃발을 찢어 허드슨 강에 던진 사건이었다. 독일 대사의 항의에 미국 관리들은 만자는 독일 국기가 아니므로 범죄 요건이 부재하다고 답변했다.[9] 새 깃발 법은 뉘른베르크법의 일부로 발표되었으며,[8] 1935년 뉘른베르크 당 대회에서 헤르만 괴링은 흑-백-적 깃발이 존경받지만 "반동파"에 의해 사용될 위협이 있다고 주장했다.[11]

히틀러는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의 상징을 공모하여 1920년 하켄크로이츠를 당기나 당장에 도입했다. 그는 『나의 투쟁』(1925년)에서 최종 디자인을 "빨간 배경에 흰 원, 그 중심에 검은 하켄크로이츠"로 정했으며, 깃발 크기와 흰 원의 비율, 스와스티카 모양과 두께도 오랜 실험 끝에 결정했다고 밝혔다.
히틀러는 제정 시대 독일 국기의 적·백·흑 삼색에 대해 "가장 신성한 재산"으로 여겨 찬성했으며,[16] "적색은 당 운동 기조의 사회적 이념, 백색은 민족 이념", 검은 스와스티카는 "아리아 인종"과 "반유대적인 창작 작품 이상"의 상징이라는 새로운 정의를 부여했다.[16]
1933년 나치 집권 후, 임시 조치로 독일 제국 시대와 같은 배색의 삼색기를 국기로 하고, 나치 당기인 하켄크로이츠 깃발과 함께 게양하도록 의무화했다.[17][18]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흑적금 삼색기는 폐지되었다.
1935년 7월 26일, 미국 뉴욕 항에 정박 중이던 독일 객선 "브레멘"의 하켄크로이츠 깃발이 반파시즘 활동가에 의해 허드슨 강에 버려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미국 정부는 하켄크로이츠 깃발이 공식 국기가 아니므로 국기 명예 훼손이 아니라고 답변했다.[19] 1935년 9월 15일, 뉘른베르크 당대회에서 새 "국기법"이 제정되어 하켄크로이츠 깃발만이 국기가 되었고, 삼색기는 "반동적"으로 간주되어 금지되었다. 헤르만 괴링은 옛 삼색기가 명예롭지만 지나간 시대의 상징이며 "반동주의자"에 의해 악용될 위협이 있다고 주장했다. "흑백적" 배색은 "국가색"으로, 국방군 헬멧용 데칼 등에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사용되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나치 독일이 패망하자 연합국 통제 위원회는 1945년 9월 20일에 첫 번째 법을 제정하여 제3제국의 모든 상징을 폐지하고 관련 법률을 모두 폐지했다.[13] 그 이후로 하켄크로이츠 깃발 소지는 여러 국가에서 금지되었으며, 특히 독일에서는 수입 또는 전시가 금지되었다.오늘날 나치 깃발은 독일 밖에서 네오 나치즘 지지자들과 동조자들에 의해 여전히 흔히 사용되는 반면, 독일 내에서는 네오 나치들이 나치 깃발 사용 금지 때문에 대신 독일 제국의 국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제국기에는 원래 인종차별적이거나 반유대주의적인 의미가 없었다.[14]
하켄크로이츠 깃발은 나치즘과 파시즘의 상징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대전 후의 독일 및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는 공공 장소에서의 게양은 법률로 금지되어 있다.
3. 상징
1920년 아돌프 히틀러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당기로 제정하면서 나치 독일의 국기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깃발의 붉은 색 배경은 국가를 위한 국민의 희생, 즉 붉은 피를 상징하며, 가운데 하켄크로이츠 문양은 고대 게르만족의 상징이자 '룬 문자'의 한 종류였다. 히틀러는 1934년 수상 취임 후, 독일 제국 국기와 하켄크로이츠 기를 혼용했으나, 바이마르 공화국 붕괴와 함께 하켄크로이츠 기만을 국기로 사용했다.[12]
히틀러는 나치 독일 국기 색상에 대해 "빨간색은 운동의 근본적인 사회적 사상을, 흰색은 민족적 사상을, 검은색 만자 문양은 아리아족과 "항상 반유대주의적인 창조적 작업의 이상"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12]
1933년 나치가 정권을 잡자, 독일 제국 시대와 같은 배색의 삼색기(Schwarz-Weiß-Rot|슈바르츠=바이스=로트|흑백적de)를 국기로 하고, 나치 당기인 하켄크로이츠 깃발과 함께 게양하도록 했다.[17][18]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흑적금 삼색기는 폐지되었다.
1935년 7월 26일, 미국 뉴욕 항에 정박 중이던 독일 객선 브레멘호에 게양된 하켄크로이츠 깃발이 반파시즘 활동가에 의해 허드슨 강에 버려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미국 정부는 하켄크로이츠 깃발이 공식 국기가 아니라는 이유로 독일 대사의 항의를 무시했다.[19]
같은 해 9월 15일, 뉘른베르크 당대회에서 하켄크로이츠 깃발만을 국기로 하는 새로운 "국기법"이 발표되었고, 삼색기는 "반동적"이라며 게양이 금지되었다. 헤르만 괴링은 옛 삼색기가 명예롭지만, "반동주의자"에 의해 악용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흑백적" 배색은 "국가색"으로, 국방군의 헬멧용 데칼 등에 계속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및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는 하켄크로이츠 깃발을 나치즘과 파시즘의 상징으로 간주하여 공공장소에서의 게양을 법률로 금지하고 있다.
4. 디자인의 변형
나치당의 깃발은 1920년대 중반 아돌프 히틀러가 직접 디자인하여 붉은 바탕에 흰색 원, 그리고 그 안에 검은색 만자를 배치한 형태였다. 히틀러는 자신의 저서 나의 투쟁에서 이 디자인의 확립 과정을 설명했다.[1]
1933년 히틀러 집권 이후, 기존 바이마르 공화국의 흑-적-금 삼색기는 폐지되고 흑-백-적 제국 삼색기와 나치당기가 함께 법적 국기로 지정되었다.[2][3]
center | 국기 | center | 설명 | ||
---|---|---|---|---|---|
-- | 북독일 연방 (1867–1871) 및 독일 제국 (1871–1919)의 깃발과 동일. | ||||
-- | 만자는 중앙에 위치. 1935년 이후 사용된 국기와는 달리 만자가 중심에서 벗어나 있음. |
초기 나치 깃발은 만자가 중앙에 위치했지만, 1933년 12월 20일 해상용 깃발은 만자를 중심에서 약간 벗어나게 하는 법령이 발표되었다.[6] 이는 깃발이 더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한 실용적인 조치였다.[3][7] 육상용 깃발은 양면에 "오른쪽을 향한" 만자가 있었지만, 해상용은 앞면에 "오른쪽을 향한" 만자, 뒷면에 "왼쪽을 향한" 만자를 표시했다.[3][7]
1935년 9월 15일,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 사후 나치 깃발은 독일의 유일한 국기이자 군함기가 되었다.[8] 이는 1935년 7월 26일 뉴욕에서 발생한 ''브레멘''호 사건의 영향도 있었다. 당시 시위대가 ''브레멘''호에 걸린 나치당기를 찢어 허드슨 강에 던졌는데, 미국 당국은 이를 정치적 상징에 대한 훼손으로 간주하여 처벌하지 않았다.[9] 새 깃발 법은 뉘른베르크법의 일부로 발표되었다.[8][10] 헤르만 괴링은 흑-백-적 깃발이 "반동파"에 의해 사용될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11]
1935년 9월 15일부터 만자가 중심에서 벗어난 깃발은 상선 깃발과 국기로 통합되었으며, 뒷면을 제외하고는 동일했다.[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 군인들은 만자가 중앙에 있는 버전을 "국기"로 오인하여, 많은 출판물에서 이 버전이 전쟁 말까지 사용되었다고 잘못 주장하기도 했다.[3]
5. 현대의 사용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나치 독일이 패망하자, 연합국 통제 위원회는 1945년 9월 20일에 첫 번째 법을 제정하여 제3제국의 모든 상징을 폐지하고 관련 법률을 모두 폐지했다.[13] 그 이후로, 하켄크로이츠 깃발 소지는 여러 국가에서 금지되었으며, 특히 독일에서는 수입 또는 전시가 금지되었다.
오늘날, 나치 깃발은 독일 밖에서 네오 나치즘 지지자들과 동조자들에 의해 여전히 흔히 사용되는 반면, 독일 내에서는 네오 나치들이 나치 깃발 사용 금지 때문에 대신 독일 제국의 국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제국기에는 원래 인종차별적이거나 반유대주의적인 의미가 없었다.[14]
6. 기 일람
6. 1. 나치 독일의 국기 및 당기
1920년, 아돌프 히틀러는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의 상징을 당원들에게 공모하여, 최종적으로 하켄크로이츠를 채택하여 당기나 당장에 도입했다. 히틀러는 자신의 저서 나의 투쟁(1925년)에서 "빨간 배경에 흰 원, 그 중심에 검은 하켄크로이츠"로 최종 디자인을 정했다고 밝혔다. 깃발 크기, 흰 원의 비율, 스와스티카 모양과 두께도 오랜 시행착오를 거쳐 결정했다고 한다.[16]히틀러는 제정 시대 독일 국기의 색인 적·백·흑을 유지한 이유에 대해, 병사로서 이 색들을 "가장 신성한 재산"으로 보았고 개인적인 취향에도 맞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16] 그는 이 삼색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는데, "적색은 당 운동의 사회적 이념, 백색은 민족의 이념", 검은 스와스티카는 "아리아 인종"과 "창작 작품의 이상"을 상징한다고 정의했다.[16]
1933년 나치 집권 후, 독일 제국 시대와 같은 배색의 삼색기를 국기로 하고, 나치 당기인 하켄크로이츠 깃발과 함께 게양하도록 했다.[17][18] 이와 동시에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흑적금 삼색기는 폐지되었다.
1935년 9월 15일, 뉘른베르크 당대회에서 하켄크로이츠 깃발만을 국기로 하는 새로운 "국기법"이 발표되었고, 삼색기는 "반동적"이라며 게양이 금지되었다. 헤르만 괴링은 옛 삼색기가 명예롭지만 지나간 시대의 상징이며, "반동주의자"에게 악용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흑백적" 배색은 "국가색"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국방군의 헬멧용 데칼 등에 계속 사용되었다.
하켄크로이츠 깃발은 나치즘과 파시즘의 상징으로 여겨져, 대전 후 독일 및 유럽의 많은 국가에서 공공장소 게양이 법률로 금지되어 있다.
6. 2. 군기 및 정부기
6. 3.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Swastika
https://encyclopedia[...]
2024-11-07
[2]
웹사이트
Erlaß des Reichspräsidenten über die vorläufige Regelung der Flaggenhissung
http://www.documenta[...]
1933-03-12
[3]
웹사이트
The German Swastika Flag 1933–1945
http://www.loeser.us[...]
2010-07-17
[4]
웹사이트
Third Reich 1933-1945 (Germany) Flags used 11 March 1933 - 15 September 1935
https://www.crwflags[...]
[5]
웹사이트
Erlaß über das Setzen der Hakenkreuzflagge auf Kauffahrteischiffen
http://www.documenta[...]
1933-04-29
[6]
웹사이트
Verordnung über die vorläufige Regelung der Flaggenführung auf Kauffahrteischiffen
http://www.documenta[...]
1933-12-20
[7]
웹사이트
Centred vs. Offset Disc and Swastika 1933–1945 (Germany)
http://flagspot.net/[...]
[8]
웹사이트
Reichsflaggengesetz (Eines der drei "Nürnberger Gesetze")
http://www.documenta[...]
1935-09-15
[9]
서적
Flags & standards of the Third Reich
Macdonald & Jane's
1975
[10]
뉴스
GERMANY: Little Man, Big Doings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1935-09-23
[11]
간행물
Statement by [[Hermann Göring]]
Völkischer Beobachter
1935-09-17
[12]
문서
Mein Kampf
http://gutenberg.net[...]
Project Gutenberg
[13]
웹사이트
Law N° 1 from the Control Council for Germany: Repealing of Nazi Laws
http://www.ena.lu/?d[...]
1945-08-30
[14]
웹사이트
Imperial German Flag
https://www.adl.org/[...]
[15]
웹사이트
Centred vs. Offset Disc and Swastika 1933-1945 (Germany)
http://flagspot.net/[...]
2021-11-14
[16]
문서
Mein Kampf
http://gutenberg.net[...]
Project Gutenberg
[17]
웹사이트
Erlaß des Reichspräsidenten über die vorläufige Regelung der Flaggenhissung
http://www.documenta[...]
1933-03-12
[18]
웹사이트
The German Swastika Flag 1933–1945
http://www.loeser.us[...]
2010-07-17
[19]
서적
Flags & standards of the Third Reich
Macdonald & Jane's
1975
[20]
간행물
Zeigen von Reichskriegsfahnen und Reichsfahnen wird verboten
https://www.senatspr[...]
ブレーメン州政府
2021-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