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잔은 14세기 초 오키나와 오오자토의 아지 쇼사츠도가 건국한 류큐 왕국의 3개의 산 중 하나이다. 쇼사츠도는 에이소 왕의 아들인 오오자토 왕자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난잔은 1429년 츄잔의 쇼하시에게 멸망할 때까지 존속했으며, 난잔성은 왕의 거성이었다. 난잔은 명나라와 조공 무역을 했으며, 멸망 이후 류큐 왕국 시대에는 행정 기능이 없는 3개의 부 중 하나로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세이 제도의 역사 - 오키나와 전투
오키나와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미군이 일본 본토 침공을 위해 오키나와에서 벌인 격전으로, 일본군의 치열한 저항과 가미카제 공격으로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낳았으며, 미군 승리로 끝났지만 현재까지 오키나와 미군 기지 존속의 원인이 되었다. - 난세이 제도의 역사 - 방언찰
방언찰은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표준어 사용 강요를 목적으로 학교, 직장, 군대 등에서 시행된 제도로, 방언 사용 금지와 벌칙 부과를 통해 언어적 다양성 억압 및 지역 문화 훼손을 야기했다. - 류큐국 - 슈리성
슈리성은 13~14세기에 건설되어 류큐 왕국의 왕궁이자 행정 중심지였으며, 여러 차례 화재와 파괴를 겪고 복원 과정을 거쳐 2000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2019년 화재로 소실되었고, 2026년 완공을 목표로 복원 작업이 진행 중이다. - 류큐국 - 미류수호조약
미류수호조약은 미국이 류큐를 일본 본토 진출의 거점으로 삼기 위해 1854년 류큐 왕국과 체결한 조약으로, 양국 간 평화와 우호 관계, 주권 존중, 외교 및 통상 관계 수립 등을 내용으로 하지만, 복잡한 배경으로 인해 실효 여부에 논란이 있다. - 아시아의 옛 나라 - 소련
소련은 1922년 결성되어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사회주의 연방 국가였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함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991년 해체되었다. - 아시아의 옛 나라 - 만주국
만주국은 1931년 일본 제국이 만주사변으로 세운 괴뢰국가로, 푸이를 황제로 옹립했으나 일본 관동군이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했고, 오족협화와 왕도낙토를 내세웠지만 일본 침략 전쟁의 수단으로 이용되었으며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하다 1945년 일본 패망으로 멸망 후 중화인민공화국 영토가 되었다.
난잔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공식 명칭 | 남산국 |
일반 명칭 | 남산 |
정부 형태 | 군주제 |
수도 | 전기: 시마조에오자토(현 난조시) |
공용어 | 오키나와어 |
종교 | 류큐 종교 |
지도 | |
![]() | |
역사 | |
건국 | 14세기 초 |
멸망 | 류큐 통일 |
멸망 날짜 | 1429년 |
멸망 후 사건 | 일본 침공 |
멸망 후 날짜 | 1609년 4월 5일 |
역대 국왕 | |
국왕 | 오후사토 (1337년–1396년) |
국왕 | 오우에이시 (1388년–1402년) |
국왕 | 오우오우소 (1403년–1413년) |
국왕 | 타로마이 (1415년–1429년) |
2. 역사
14세기 초, 오오자토의 아지인 쇼사츠도가 주변 아지들을 통합하여[5] 난잔 왕의 자리에 올라 난잔을 건국했다. 난잔 왕 오오자토 아지는 에이소 왕의 다섯째 아들인 오오자토 왕자의 직계로 여겨진다.[6]
건국 후, 쇼사츠도는 오 에이시에게 왕호를 빼앗겼다고 전해진다. 1385년 (홍무 18년) '''산난 왕''' 오오소가 "류큐국 산난 왕"의 사인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으며[8], 명나라에 총 22회 조공했다.
1429년, 타로메이 치세 때, 츄잔 왕 쇼하시에게 멸망했다.[9] 산난 왕 사인의 행방은 알 수 없다. 쇼하시의 아버지는 난잔 왕국 사시키의 아지였으며, 쇼 부자는 츄잔 삿토 왕조를 멸망시키고, 이어서 호쿠잔, 난잔까지 멸망시켰다. 왕의 거성은 난잔성이었다.[10]
2. 1. 산잔 시대: "산난 왕"
1314년 타마구스쿠가 아버지 에이지로부터 오키나와 전체의 족장 역할을 물려받았으나, 카리스마 부족으로 인해 오자토 영주를 비롯한 여러 족장들이 반발하였다. 오자토 영주는 남쪽으로 이동하여 오자토 성을 거점으로 난잔을 건국하였다.[5] 난잔은 작은 영토와 제한된 자원에도 불구하고, 해상 무역과 오자토 성의 유리한 위치 덕분에 약 1세기 동안 생존했다.1372년 츄잔이 명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은 후, 난잔도 호쿠잔과 함께 유사한 상업적 지위를 얻었으나, 조공 사절단당 한 척의 배만 보낼 수 있었다. 그 후 약 30년 동안 난잔에서 중국으로 19번, 호쿠잔은 9번, 츄잔은 52번의 조공 사절단이 파견되었다.[7][8] 이러한 사절단은 오키나와와 중국 정부 간의 공식적인 무역으로 제한되었지만, 다른 두 왕국에서처럼 난잔 관리들이 사적인 무역과 밀수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1381년경, 한 난잔 사절은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도자기를 구입하기 위해 은을 중국으로 가져온 것으로 심하게 질책받았다.
1429년, 타로메이의 치세 때, 츄잔 왕 쇼하시에 의해 멸망했다.[9]
2. 2. 명나라와의 관계
난잔은 명나라와 조공 무역을 통해 교류하였으며, 약 30년 동안 19번의 조공 사절단을 파견했다. 이러한 조공 무역은 오키나와와 중국 정부 간의 공식적인 무역으로 제한되었지만, 난잔 관리들이 사적인 무역과 밀수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1381년경, 한 난잔 사절은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도자기를 구입하기 위해 은을 중국으로 가져온 것으로 심하게 질책을 받기도 했다.1390년대에는 난잔 왕 오푸사토가 사망하고 그의 동생 야푸소가 권력을 잡으면서 명나라로부터 공식적인 인정을 받으려 노력했다. 1406년 츄잔 왕 분에이가 명나라 조정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임명되었고, 1415년 난잔 왕 타로마이가 이 영예를 받았다. 하지만 왕실 내 다툼으로 인해 난잔은 큰 권력을 얻지 못했다.
『류큐국지략 권4』에는 '''산난 왕'''으로서 오오소가 1385년 (홍무 18년)에 "류큐국 산난 왕"의 사인을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조공은 총 22회 실시되었다.
2. 3. 류큐 왕국에 의한 통일
1429년, 타로메이 치세 때, 츄잔 왕 쇼하시가 난잔을 멸망시켰다.[9] 산난 왕 사인의 행방은 알 수 없다.쇼하시의 아버지 쇼 시쇼는 난잔 왕국 사시키의 아지였으며, 쇼 시쇼와 쇼하시는 츄잔 삿토 왕조를 멸망시키고, 이어서 호쿠잔, 난잔까지 멸망시킨 셈이 된다.
난잔성은 왕의 거성이었다.[10]
2. 4. 통일 이후: 난잔부 (南山府)
류큐 왕국 시대에 난잔은 행정적 기능이 없는 왕국의 명목상 세 부(府) 가운데 하나였다.[1] 17세기 말 난잔은 마와시, 하에바루, 코친다, 오자토, 사시키, 치넨, 타마구스쿠, 마부니, 구시찬, 캰, 마카베, 타카미네, 카네구스쿠, 오로쿠, 토미구스쿠 등 15개 마기리(間切)로 구성되었다.[1]쇼케이 왕 통치 기간에 "산난"(山南)이라는 이름이 "난잔"(南山)으로 변경되었다.[1]
3. 역대 국왕
1389년?
1403년?
(1413년? ~ 1414년?)
오우오우소의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