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낭충봉아부패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낭충봉아부패병은 꿀벌 유충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Sacbrood virus (SBV)와 Chinese Sacbrood virus (CSBV)가 원인이다. 감염된 유충은 백색에서 회황색, 갈색을 거쳐 암갈색으로 변하며 부패하는 특징을 보인다. 2009년 대한민국 토종벌에서 CSBV가 처음 보고되었으며, 꽃을 통한 전파가 유력하다. 현재까지 치료제 및 예방약이 개발되지 않아, 격리, 소각, 소독 등 예방 위주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2. 원인 및 증상

낭충봉아부패병은 피코르나바이러스과 Sacbrood virus (SBV)가 원인이며, 주로 애벌레에 발생한다. 감염되면 애벌레는 물주머니처럼 부패하며 말라 죽는데, 이 때문에 '낭충봉아부패병'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감염 초기에는 유충이 백색에서 회황색으로 변하고, 병이 진행되면 머리부터 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변하며, 결국 암갈색이 된다.[1]

정확한 전염 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꽃을 통해 벌통 사이에 전파되는 것으로 보인다.[1] 바이러스에 오염된 벌집, 벌기구, 도봉, 벌쏠림 등을 통해서도 확산될 수 있다.[1] 감염된 벌이 꽃가루와 꽃꿀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꽃에 바이러스를 묻히고, 이를 다른 벌이 다시 수집하면서 전파된다.[1] 벌통 내에서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꽃가루와 꽃꿀을 먹은 애벌레와 안일벌이 바이러스를 증식시키고, 죽은 애벌레 사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다른 벌들이 감염된다.[1]

바이러스는 애벌레 체내에서 증식하여 번데기가 되기 전에 죽게 만들며, 보통 한 마리당 1,000만 개 이상의 바이러스 입자가 증상을 일으킨다. 하지만 애벌레가 없으면 바이러스는 증식할 수 없고, 건조한 환경에서는 빠르게 비활성화된다.

2. 1. 원인체

낭충봉아부패병의 원인체는 피코르나바이러스과 Sacbrood virus (SBV)이며 ssRNA 바이러스이다.

양봉에 낭충봉아부패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토종벌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다르다. Sacbrood virus는 양봉에만, Chinese Sacbrood virus (CSBV)는 토종벌에만 낭충봉아부패병을 일으킨다.

2. 2. 감염 경로

낭충봉아부패병의 정확한 전염 경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꽃을 통해 벌통 간에 전파되는 것이 거의 확실해 보인다.[1]

바이러스에 오염된 벌집, 벌기구, 도봉, 벌쏠림, 관리자 등을 통해서도 확산될 수 있다.[1] 벌들의 일상적이고 정상적인 활동 중 감염 봉군에서 미감염 봉군으로의 확산 과정과 봉군 내에서의 확산 과정은 다음과 같다.[1]

# 감염된 밖일벌이 꽃에서 꽃가루/꽃꿀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꽃에 바이러스를 묻혀둔다. 일부는 바이러스를 묻힌 꽃가루/꽃꿀을 벌통으로 가져간다.[1]

# 미감염 봉군의 미감염 밖일벌이 1의 꽃에서 바이러스가 포함된 꽃가루/꽃꿀을 수집해간다. 이 과정에서 미감염 밖일벌이 감염될 수도 있다.[1]

# 벌통속에 들여온 바이러스가 포함된 꽃가루/꽃꿀을 안일벌과 애벌레가 먹는다.[1]

# 바이러스를 먹은 안일벌과 애벌레의 몸 속에서 바이러스가 증식하여 그 수가 엄청나게 늘어난다.[1]

# 감염된 애벌레는 죽는다. 감염된 안일벌의 분비물 먹이를 먹은 애벌레가 감염돼 죽는다(분비물 먹이에 바이러스가 섞여나옴).[1]

# 이 질병으로 죽은 애벌레 사체를 내다버리는 안일벌이 감염된다. 감염된 안일벌은 당분간 안일을 더 하면서 애벌레를 감염시키거나 밖일벌로 전환된다. 밖일벌로 전환되면 1로 순환한다.[1]

종합해보면, 벌통 안과 밖이 맞물린 바이러스의 확대 재생산 과정이다.[1]

2. 3. 증상

감염 초기에는 유충이 백색에서 회황색으로 변한다. 병세가 진행됨에 따라 머리부터 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변하며, 최종적으로 암갈색으로 변해 건조, 폐사한다. 폐사한 유충은 물주머니와 같이 부패하는 특징을 보이는데, 이 때문에 '낭충봉아부패병'이라는 이름이 붙었다.[1]

바이러스 병원체가 애벌레 체내에서 증식하여 번데기로 발육하기 전에 죽게 하는데, 보통 한 마리당 1,000만 개 이상의 바이러스 입자로 인해 피해 증세가 나타난다. 그러나 애벌레가 없는 상태가 되면 바이러스가 증식할 수 없고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면 급속도로 활성을 잃게 된다.

3. 역학 및 피해 현황

囊蟲蜂兒腐敗病|낭충봉아부패병중국어은 꿀벌의 유충에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대한민국에서는 2009년에 토종벌(재래꿀벌)에서 중국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CSBV)가 보고되었다.[1] 이 바이러스는 아시아 대륙에 토착하여 오랜 세월 동안 재래꿀벌과 함께 진화해온 것으로 보인다.[1]

국내에서는 2009년 봄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며, 2010년 9월 현재 약 90%의 토종벌이 폐사한 것으로 추정된다.[1]

2010년도 대한민국 피해 규모를 보면, 한국토봉협회는 충청, 전라, 강원 지역의 2만 5천여 토종벌 사육 농가에서 5만 5천여 통의 토종벌이 감염되어 폐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농림수산식품부 집계에 따르면, 2010년 한 해 동안 전체 41만 8천 군(1군은 벌통 하나로 대략 1만 마리의 벌이 산다)의 39.9%인 16만 6천649군에서 토종벌이 폐사하거나 감염되었다. 이로 인해 토종꿀 생산량이 급감하여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고, 벌이 사라진 지역에서는 자연 수정이 어려워져 과수 및 화훼 농가에 2차 피해가 우려된다.[4]

3. 1. 아시아 국가의 발생 현황

대한민국에서는 2009년에 토종벌(재래꿀벌)에서 중국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CSBV)가 보고되었다.[1] 이 바이러스는 아시아 대륙에 토착하여 오랜 세월을 재래꿀벌과 함께 진화해온 것으로 보인다.[1] 1981년 태국에서 발견된 이래 인도, 파키스탄, 네팔 그리고 재래꿀벌이 분포하는 거의 모든 아시아 국가에서 재래꿀벌과 함께 발견되고 있다.[1] 안일벌의 분비선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통해 유충에게 감염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1]

국내에서는 2009년 봄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2010년 9월 현재 약 90%의 토종벌이 폐사한 것으로 추정된다.[1] 이 전염병이 발생한 벌터에서는 약 한 달 안에 모든 봉군이 감염되며 약 두 달이면 모두 폐사한다.[1] 바이러스가 벌터에 도착하지 않아야 봉군이 살아남을 수 있으며, 일단 바이러스가 도착했다면 현재로서는 예방과 치료가 불가능한 실정이다.[1]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반경 6km 안의 모든 토종벌을 살처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1]

3. 2. 2010년도 대한민국 피해 규모

한국토봉협회에 따르면 충청, 전라, 강원 지역의 2만 5천여 토종벌 사육 농가에서 5만 5천여 통의 토종벌이 낭충봉아부패병에 감염되어 폐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의 조사 결과, 전북 남원, 순창, 임실 지역 3개 농가 중 감염이 심한 농가는 봉군의 70% 이상이 이 병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2]

농민신문은 강원, 충북, 전남, 전북, 경남 등 전국 토종벌 농가의 39.9%(7월 말 기준)가 피해를 입었다고 보도했다.[3]

농림수산식품부 집계에 따르면 2010년 들어 전체 41만 8천 군의 39.9%인 16만 6천649군에서 토종벌이 폐사하거나 감염되었다. 1군은 벌통 하나로 대략 1만 마리의 벌이 산다. 2009년 5월 강원도에서 처음 발병된 이 병은 2010년 충남, 충북과 경남을 거쳐 전남, 전북까지 확산되었다. 이미 강원도에서는 토종벌의 절반이 피해를 입었다. 생산량 급감으로 토종꿀 가격이 크게 상승하는 것은 물론 벌이 사라진 지역은 자연 수정이 어려워져 과수 및 화훼 농가에 2차 피해가 우려된다.[4]

4. 진단 및 방제

낭충봉아부패병은 현재까지 치료제 및 예방약이 개발되지 않아, 감염된 봉군은 격리 및 소각 처리해야 한다.[5] 감염되지 않은 봉군에 대해서는 질병 확산 방지를 위해 주변과 벌통, 봉기구 등에 삼종염 계열의 소독약을 매일 뿌려야 한다.[5] 또한 꿀벌에게 비타민, 미네랄, 프로폴리스 등을 설탕물이나 꿀물에 타서 직접 분무하여 영양을 충분히 공급해 주어야 한다.[5]

개량 벌통은 통풍이 잘 되고 내부 관찰이 쉬워 초기 발견이 용이하며, 벌집 이동과 여왕벌 격리가 쉽다. 감염이 확인된 상황에서는 애벌레를 제거하고, 꿀벌의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화분떡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한다. 또한 감염되지 않은 봉군에서 여왕벌을 양성하여 교체하는 것이 피해 방지를 위한 중요한 예방법이다.

방역 지침으로는 감염 봉군을 철저히 격리하여 소각하고,[1] 오염된 주변 환경을 철저히 소독해야 한다.[1] 감염 의심 벌이 발견되면 즉시 가축방역기관에 신고하고, 봉군 이동을 통제해야 한다.[1] 건강한 봉군에 대해서는 질병 확산 방지를 위해 주변 환경과 봉기구들에 소독약을 매일 뿌리고,[1] 꿀벌에게 깨끗하고 미지근한(약 37°C) 1% 소금물(소금 10g에 물 1L)과 영양제를 충분히 급여해야 한다.[1] 일단 마을에 전염병이 발생하면 개별 봉군의 감염 예방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초기에 반경 6km 안의 모든 토종벌을 살처분해야 인접 지역으로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1]

4. 1. 치료 및 예방 대책

현재까지 낭충봉아부패병에 대한 치료제 및 예방약은 개발되지 않았다. 따라서 감염된 봉군은 철저히 격리하여 소각처리해야 하며, 더 이상 감염원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5] 건강한 봉군에 대해서는 질병 확산 방지를 위해 주변과 벌통 바깥, 봉기구 등에 삼종염 계열의 소독약을 매일 뿌려야 한다.[5] 또한 꿀벌에게 사료용 비타민, 미네랄 합제, 프로폴리스 등을 설탕물이나 꿀물에 타서 직접 분무하여 영양을 충분히 공급해 주어야 한다.[5] 세균의 2차 감염을 막기 위해 사료용 항생제인 테라마이신(옥시테트라싸이클린) 등을 소문에 뿌려주는 방법도 있다.[5]

일부 양봉 농가에서는 쑥 발효액을 예방용 소독약 및 치료용 사양액으로 사용하여 효과를 보았다는 보고가 있다.[5] 또한, 산양삼의 사포닌 추출물을 먹이로 제공하여 낭충봉아부패병이 사라졌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6]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의 효과는 과학적으로 명확히 검증되지 않았으며, 2010년 9월 현재까지 제대로 된 치료법으로 보고된 바는 없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낭충봉아부패병 치료 약제 평가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7]

4. 2. 개량 벌통을 이용한 봉군 관리

개량 벌통은 통풍이 잘 되고 내부 관찰이 쉬워 초기 관찰이 가능하며 벌집 이동과 여왕벌 격리가 쉽다. 낭충봉아부패병 감염이 확인된 상황에서는 증식 원인인 애벌레를 제거하는 일이 중요하며 꿀벌의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단백질원인 화분떡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감염되지 않은 봉군에서 여왕벌을 양성하여 여왕벌을 교체하는 것이 피해 방지를 위한 중요한 예방법이다.

4. 3. 방역 지침

감염 봉군은 철저히 격리하여 소각한다.[1] 소각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감염원으로 작용하여 전염되기 때문에 감염 봉군은 반드시 소독 소각처리해야 한다. 또한 낭충봉아부패병에 오염된 주변 환경에 대하여 다른 농가로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농장을 철저히 소독해야 한다.[1]

낭충봉아부패병 감염 의심 벌 발견 시 즉시 가축방역기관에 신고하고, 전염 방지를 위하여 봉군 이동을 통제해야 한다.[1] 낭충봉아부패병은 꿀벌 애벌레에 감염되는 바이러스 질병으로 세계적으로 아직 치료제 및 예방약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1]

건강한 봉군에 대해서는 질병 확산 방지를 위하여 예방적 조치가 필요하다.[1] 건강 봉군 주변 환경과 봉기구들에 구제역 소독약으로 사용되는 삼종염 계열, 구연산 제제 등 바이러스를 죽이는 소독약을 매일 뿌려야 한다. 소독제 사용 시 꿀에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1]

꿀벌에게 영양제를 충분히 급여해야 한다.[1] 꿀벌에게 깨끗하고 미지근한(약 37°C) 1% 소금물(소금 10g에 물 1L)을 벌통 가까운 곳에 매일 공급해야 한다.[1] 사료첨가용 비타민, 미네랄 합제를 구입하여 설탕물이나 꿀물에 타서 벌에게 직접 분무한다.[1] 화분 떡을 충분히 공급한다.[1] 프로폴리스(양봉원에서 구입 가능)를 설탕물이나 꿀물에 타서 벌에게 직접 분무한다.[1]

일단 마을에 이 전염병이 도착하면 개별 봉군의 감염 예방은 거의 불가능하다.[1] 봉군 이동을 막고 초기에 반경 6km 안의 모든 토종벌을 살처분해야 인접 지역으로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1]

5. 더불어민주당의 대응 및 정책 (가칭)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출력도 없으므로, 이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뉴스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0-09-07
[2] 뉴스 http://news.naver.co[...] 뉴시스 2010-09-07
[3] 웹인용 농민신문 (2010.9.15) https://web.archive.[...] 2010-09-15
[4] 뉴스 http://news2.kukinew[...] 국민일보 2010-09-14
[5] 간행물 농림수산식품부 보도자료 http://www.mifaff.go[...] 농림수산식품부 2010-09-13
[6] 뉴스 http://app.yonhapnew[...] 연합뉴스 2010-08-19
[7] 뉴스 꿀벌 바이러스질병 평가시스템 세계 첫 개발 http://www.newdaily.[...] 뉴데일리 2011-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