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넷웨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넷웨어는 1983년 처음 설계된 파일 공유 네트워크 운영 체제로, 초기에는 디스크 공유 방식 대신 파일 공유 방식을 사용하여 경쟁 제품들과 차별화를 이루었다. 넷웨어는 1990년대 초반까지 높은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발전했으나, 윈도우 NT 서버의 등장과 TCP/IP 프로토콜로의 전환 지연, 마케팅 전략 실패 등으로 쇠퇴했다. 넷웨어는 서버 중심의 설계를 특징으로, IPX/SPX 프로토콜과 NCP를 사용했으며, 이후 TCP/IP를 지원했다. NDS(Novell Directory Service)를 통해 중앙 집중식 사용자 관리 기능을 제공했으며, 성능과 안정성 면에서 강점을 보였다. 현재는 윈도우 서버, 리눅스 서버, 클라우드 서비스로 대체되어 사용이 제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벨 소프트웨어 - 모노 (소프트웨어)
    모노는 .NET Framework ECMA 표준을 준수하는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C# 컴파일러와 CLR 가상 머신을 포함하여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NET 기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지원하며, Xamarin에 의해 개발되다 마이크로소프트에 인수된 후 MIT 라이선스로 전환되었다.
  • 노벨 소프트웨어 - 노벨 오픈 엔터프라이즈 서버
    노벨 오픈 엔터프라이즈 서버는 기업 환경에서 네트워킹, 파일, 프린트 및 협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Novell에서 개발한 서버 운영 체제로, NetWare 및 SUSE Linux Enterprise Server를 기반으로 다양한 버전을 출시했으며, 64비트 아키텍처 지원, Mac 클라이언트 지원, 자동 업그레이드 기능, 통합 관리 콘솔 등의 기능을 제공했다.
  • 노벨 넷웨어 - IPX/SPX
    IPX/SPX는 노벨 NetWare 환경에서 사용된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IP와 유사한 IPX는 네트워크 계층, TCP와 유사한 SPX는 전송 계층 역할을 했으나, TCP/IP로 대체되어 현재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노벨 넷웨어 - IPX
    IPX는 노벨 넷웨어 운영체제에서 주로 사용된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설정이 간편하고 네트워크 내 장치 식별을 위해 특정 주소 체계를 사용하며 다양한 라우팅 프로토콜과 이더넷 프레임 형식을 지원했으나 현재는 TCP/IP로 대체되고 있다.
  • 네트워크 운영체제 - 시스코 IOS
    시스코 IOS는 시스코 시스템즈의 네트워크 장비 운영체제로, 라우터용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하드웨어 기능과 네트워킹 프로토콜에 적응하며 CLI를 통해 네트워크 기능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IOS XR, IOS XE 등 후속 운영 체제가 등장했다.
  • 네트워크 운영체제 - OpenWrt
    OpenWrt는 무선 라우터와 같은 임베디드 장치용 리눅스 기반 자유 소프트웨어 펌웨어로, opkg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통한 기능 확장과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며 LEDE 포크 프로젝트와의 재통합을 거쳐 발전해왔다.
넷웨어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개발사노벨
출시1983년
개발 중단
최신 버전6.5 SP8
최신 출시일2009년 5월 6일
종류네트워크 운영 체제
소스 모델사유 소프트웨어
커널 종류하이브리드 커널
사용자 인터페이스명령 줄 인터페이스, 텍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 플랫폼x86 (IBM PC 호환기종 및 PC-98), MIPS, DEC Alpha, SPARC, PowerPC
사용 언어영어, 일본어
후속Open Enterprise Server
웹사이트novell.com/netware
기타

2. 역사

넷웨어는 "디스크 공유가 아닌 파일 공유"라는 단순하지만 중요한 개념에서 출발했다. 1983년 넷웨어의 첫 버전이 설계되었을 때, 다른 경쟁 제품들은 공유된 직접 디스크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했다. 개별 파일 수준에서 접근을 제어하는 노벨(Novell)사의 방식은 1984년 IBM에 의해 그 우수성이 검증되면서 초기 성장에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

초기 넷웨어는 IPX/SPX라는 고유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했으나, 1990년대 말 인터넷의 확산과 함께 TCP/IP 프로토콜 지원이 중요해졌다. 이후 버전에서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인 IP 지원을 강화하고, NDS(Novell Directory Services)를 산업 표준인 DNS 및 DHCP 등과 통합하는 등 시대의 변화에 발맞춰 발전했다. 또한 자바 프로그램 및 CORBA 지원, 멀티프로세싱 지원 커널, 차세대 파일 시스템, 향상된 프린팅 서비스, 공개키 암호화 기법 및 SAS(Secure Authentication Services)와 같은 고급 보안 기능을 도입하며 기술적인 발전을 지속했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마이크로소프트윈도우 NT 등과의 경쟁 심화와 시장 환경 변화로 인해 점차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게 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83년 ~ 1990년대 초반)

넷웨어를 지원한다는 스티커가 붙은 네트워크 카드


넷웨어는 "디스크 공유가 아닌 파일 공유"라는 단순하지만 혁신적인 개념에서 출발했다. 1983년 넷웨어의 첫 버전이 설계되었을 때, 경쟁 제품들은 대부분 공유된 직접 디스크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개별 파일 수준에서 접근을 제어함으로써 파일을 잠그고 더 정교한 접근 제어를 구현하는 넷웨어의 방식은 1984년 IBM에 의해 그 우수성을 검증받았고, 이는 제품 확산에 큰 도움이 되었다.

넷웨어는 논리 볼륨과 유사한 형태의 '볼륨'으로 디스크 공간을 공유한다. DOS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워크스테이션은 특수한 상주 프로그램(TSR)을 실행하여 넷웨어 볼륨에 드라이브 문자를 매핑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로그인하여 볼륨을 매핑하며, 로그인 계정에 따라 접근 권한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전용 프린트 서버에 연결하여 로컬 프린터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넷웨어 개발은 슈퍼세트 소프트웨어(SuperSet Software)라는 그룹의 컨설팅 작업에서 시작되었다. 이 그룹은 드류 메이저(Drew Major), 데일 니버(Dale Neibaur), 카일 파웰(Kyle Powell)과 나중에 합류한 마크 허스트(Mark Hurst) 등 친구들이 모여 설립했으며, 이들의 작업은 1981년 10월 브리검 영 대학교(Brigham Young University)의 한 수업에서 비롯되었다. 1981년, 당시 노벨 데이터 시스템즈(Novell Data Systems)의 회장이었던 레이먼드 노다(Raymond Noorda)는 슈퍼세트 팀에게 노벨이 판매하던 모토로라 68000 기반 하드웨어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한 CP/M 디스크 공유 시스템 개발을 의뢰했다.

초기에는 CP/M-68K 기반의 S-Net이라는 하드 디스크 공유 시스템을 개발했으나, 개발팀은 CP/M의 한계를 인지하고 1983년, 새로 등장한 IBM 호환 PC를 위한 파일 공유 시스템 개발로 방향을 전환했다. 이 과정에서 개발팀은 네트워크 테스트와 기능 시연을 위해 스나이프스(Snipes)라는 텍스트 모드 게임을 만들었다. 이 게임은 상업용 PC 최초의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이후 등장한 이나 퀘이크 같은 멀티플레이어 게임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처음에는 ShareNet 또는 S-Net으로 불렸던 이 네트워크 운영 체제(NOS)는 나중에 노벨 넷웨어(Novell NetWare)라는 이름으로 정식 출시되었다. 넷웨어는 클라이언트-서버 간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는 패킷 기반 프로토콜인 NCP를 기반으로 했으며, 초기에는 노벨 고유의 IPX/SPX 프로토콜만을 사용하여 통신했다.

넷웨어라는 이름으로 출시된 최초의 제품은 1983년의 NetWare 68 (S-Net)이었다. 이 버전은 노벨의 독자적인 68000 기반 파일 서버 하드웨어에서 작동했으며 스타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사용했다. 이후 인텔 8086 기반 PC를 서버로 활용할 수 있는 NetWare 86이 출시되었고, 1985년에는 여러 서버를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Advanced NetWare 86으로 대체되었다.

NetWare 2.2용 플로피 디스크


1986년, 인텔 80286 프로세서의 등장은 넷웨어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노벨은 80286의 새로운 16비트 보호 모드와 멀티태스킹 기능을 활용한 Advanced NetWare 286 (또는 NetWare 2.''x'')을 출시했다. 80286 프로세서는 이전 8-/16비트 8088/8086 프로세서의 1MiB 메모리 제한을 넘어 최대 16MiB의 RAM을 지원했는데, 이는 넷웨어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기반이 되었다. 특히 늘어난 메모리를 디스크 캐싱에 활용하여 파일 접근 속도를 크게 높였고, 이는 안정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서버 기반 LAN 구축을 가능하게 했다. NetWare 2.''x''는 최소 2MiB의 RAM이 필요했으며, 추가 RAM은 FAT, DET(Directory Entry Table) 및 파일 캐싱에 사용되었다. 16비트 보호 모드는 80286 이후 모든 인텔 x86 프로세서에 구현되었으므로, NetWare 2.''x''는 80286 또는 그 이후 호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었다.

NetWare 286의 중요한 혁신 중 하나는 하드웨어 독립성이었다. 특정 업체의 하드웨어에 종속되지 않고, 인텔 80286 CPU와 MFM, RLL, ESDI, SCSI 등 다양한 종류의 하드 드라이브, 그리고 넷웨어 드라이버를 지원하는 여러 제조사의 네트워크 어댑터(출시 당시 18개 제조사 지원)를 조합하여 서버를 구축할 수 있었다. 서버당 최대 4개의 네트워크 카드( ARCNET, Token Ring, Ethernet 등 혼용 가능)를 지원했다. 운영 체제 설치는 필요한 기능에 따라 object module들을 선택하여 커널을 다시 컴파일(relinking)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MFM 하드 드라이브 설치 시에는 COMPSURF라는 독점적인 로우 레벨 포맷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NetWare 2.''x''에서 사용된 파일 시스템은 NWFS 286으로, 최대 256MB의 볼륨 크기를 지원했다. 이는 당시 DOS의 32MB 제한보다 훨씬 큰 용량이었다. 또한, 당시 PC 운영 체제에서는 보기 드물었던 메인프레임 및 미니 컴퓨터 시스템에서 영감을 받은 여러 안정성 기능들을 구현했다. SFT 기능에는 디스크의 불량 블록을 자동으로 재매핑하는 기능(당시 디스크에는 이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 않았음)이 포함된 표준 쓰기 후 읽기 확인(SFT-I) 및 소프트웨어 RAID1 (디스크 미러링, SFT-II)이 포함되었다. TTS는 선택적으로 불완전한 업데이트로부터 파일을 보호하는 기능으로, 단일 파일은 속성 설정만으로 보호 가능했고, 여러 파일에 대한 트랜잭션 및 제어된 롤백은 TTS API를 프로그래밍하여 구현할 수 있었다.

NetWare 286 2.''x''는 일반적으로 서버 역할을 하는 전용 PC가 필요했으며, 서버 부팅 시 DOS는 넷웨어 운영 체제 파일 `NET$OS.EXE`를 실행하기 위한 boot loader로만 사용되고 모든 메모리는 넷웨어에 할당되었다. 서버 자체에서는 DOS가 실행되지 않았다. 그러나 가격에 민감한 고객을 위해 "비전용(non-dedicated)" 버전도 사용할 수 있었다. 이 경우 DOS 3.3 이상이 메모리에 남아 있으며, 프로세서 시간은 DOS 및 NetWare 프로그램 간에 분할되어 서버 컴퓨터를 네트워크 파일 서버와 사용자 워크스테이션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었다. 모든 extended memory(1MiB 이상의 RAM)가 NetWare에 할당되므로 DOS는 640KiB로 제한되었다. EMM386과 같은 80386 이상 프로세서의 MMU를 사용하는 expanded memory 관리자는 작동하지 않았지만, 전용 플러그인 카드를 통한 8086 스타일의 확장 메모리는 가능했다. 시간 분할은 키보드 interrupt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므로 IBM PC 설계 모델을 엄격하게 준수해야 성능 저하를 피할 수 있었다.

초기 버전의 NetWare 286의 서버 라이선스는 키 카드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키 카드는 8비트 ISA 버스용으로 설계되었으며 ROM 칩에 일련 번호가 인코딩되어 있었다. 이 일련 번호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NetWare 소프트웨어의 일련 번호와 일치해야 했다. 특히 IBM MCA 버스를 사용하는 머신에 대한 하드웨어 기반을 넓히기 위해, 이후 버전의 NetWare 2.''x''에서는 키 카드가 필요하지 않게 되었고, 직렬화된 라이선스 플로피 디스크가 키 카드를 대신 사용했다.

라이선스는 일반적으로 100명의 사용자를 위한 것이었지만, 두 개의 ELS(Entry Level System) 버전도 사용할 수 있었다. 먼저 1987년에 5명의 사용자를 위한 ELS가 출시되었고, 1988년에는 8명의 사용자를 위한 ELS 2.12 II가 출시되었다.

1980년대 초중반, 마이크로소프트는 경쟁 프로토콜인 NBF를 기반으로 자체 LAN 시스템인 LAN Manager를 도입했다. 넷웨어와 경쟁하려는 초기 시도는 실패했지만, 이후 Windows for Workgroups에 향상된 네트워킹 지원이 포함되고 성공적인 Windows NT 및 Windows 95가 출시되면서 경쟁 구도가 변화하기 시작했다.

기업 내 LAN에서 클라이언트 OS가 MS-DOS 전성기였을 무렵, NetWare가 사용하는 IPX/SPX 프로토콜은 라우팅이 가능한 프로토콜이었던 반면, Windows 3.1 시대까지 마이크로소프트/IBM이 제공하는 OS는 독립 실행형 사용을 전제로 했고,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옵션이었으며, 옵션으로 제공되는 NetBIOS 프로토콜을 도입해도 라우팅이 불가능했다. 또한 동일 네트워크 상에서 255대까지만 관리할 수 있었다. 나중에 옵션으로 제공된 라우팅 가능한 마이크로소프트의 LAN Manager와 비교해도 NetWare는 네트워크 성능이 높았으며, LAN Manager 서버는 OS/2에서 작동했기 때문에 OS/2의 출시를 기다려야 했다.

IA-PC 서버(PC 기반 아키텍처)에서 작동하는 NOS 중에서 NetWare는 (서버 시작 시 DOS로 부팅하지만, 그 후) 부팅되는 NetWare 파일 시스템의 볼륨 관리를 통해 기존 볼륨을 삭제하지 않고 늘릴 수 있는 볼륨 동적 추가에 의한 확장성, FAT16에서는 불가능한 대용량 볼륨 관리, 8자 + 3자의 DOS 파일 이름 제한에 대해 NetWare 파일 시스템의 네임스페이스는 32자까지 사용 가능, 당시 저속이었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헤드 이동을 효율적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알고리즘의 채용, 디렉터리 서비스의 원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계정 관리에 의한 계정 단위 사용 용량 제한 및 접근 제한 부여 등 서버의 기능과 성능이 높았고,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스택 메모리 소비량이 적었기 때문에 실용적인 NOS로 선호되어 사용되었다 (NetWare의 서버 성능이 높다는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의 로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접근하는 것보다 NetWare 서버의 파일에 접근하는 것이 더 빠르다는 말까지 나왔다. 이는 다양한 디스크 접근 속도 향상 기법 외에도 서버의 메인 메모리를 광대한 디스크 캐시로 사용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요청마다 하드 디스크에 접근할 필요가 생기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LAN 보급이 빨랐던 미국에서는 NetWare 2.x 및 이후 3.x 버전이 한 시대를 풍미했다. 일본에서도 PC-9800 시리즈를 비롯한 국산 아키텍처 머신으로 이식되었다. 또한, UNIX System V에 NetWare의 서버 기능을 통합한 UnixWare도 출시되었다.

2. 2. 전성기 (1990년대 초반 ~ 1990년대 중반)

1990년에 출시된 넷웨어 3.x 버전은 여러 면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다. 가장 큰 변화는 32비트 보호 모드를 지원하여 이전 버전의 16 MiB 메모리 제한을 없애고 더 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지원할 수 있게 된 점이다. 넷웨어 3.x는 성능 향상을 위해 전체 FAT와 디렉터리 항목 테이블(DET)을 메모리에 캐시했다.

설치 과정 역시 이전 버전에 비해 훨씬 간단해졌다. 디스크 및 네트워크 지원은 필요할 때 로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인 NLM 형태로 제공되었다. NLM을 통해 바이러스 백신, 백업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웹 서버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었으며, 긴 파일 이름 지원도 NLM을 통해 이루어졌다.

파일 시스템도 새로워졌다. "NetWare 파일 시스템 386"(NWFS 386)은 볼륨 용량을 최대 1TB, 파일 크기를 최대 4GB까지 크게 확장했으며, 여러 개의 물리적 디스크 드라이브에 걸쳐 최대 16개의 볼륨 세그먼트를 구성할 수 있었다. 서버를 중단하지 않고도 볼륨 세그먼트를 추가하고 볼륨을 마운트할 수 있어 확장성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넷웨어 3.x의 NLM은 모두 프로세서 메모리 보호 수준인 "링 0"에서 실행되었다. 이는 최고의 성능을 제공했지만, 메모리 보호 기능이 없어 안정성 측면에서는 약점을 보였다. 넷웨어 3.x는 협력적 멀티태스킹 모델을 사용했기 때문에, NLM이 주기적으로 커널에 제어권을 넘겨주어야 했다. 만약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NLM이 있다면 시스템 전체가 멈추는 치명적인 오류(ABEND)를 일으킬 수 있었다. 서버 관리는 여전히 콘솔 기반 유틸리티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넷웨어 3 버전에서는 개선된 라우팅 프로토콜인 NLSP가 도입되어, 기존의 RIP보다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더 뛰어난 확장성을 제공했다.

이 시기 노벨은 타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1992년 10월에는 인증 프로그램을 개편했다. 2단계로 구성된 이 프로그램은 벤더들에게 호환성 가이드라인, 기술 지원, 테스트 도구 등을 제공했다. 첫 단계에서는 "Yes, it runs with NetWare" 로고 사용권을 무료로 제공했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7000USD의 신청비를 내면 "Yes, NetWare Tested and Approved" 로고 사용권과 함께 Novell Labs에서의 현장 테스트 등 더 폭넓은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2][3] 이 프로그램은 미국에서 시작되어 다음 해 영국으로 확대되었다.[4][5]

노벨은 또한 '''이동식 넷웨어'''(Portable NetWare)라는 OEM 버전을 제공했다. 이는 Data General, Hewlett-Packard, NCR Corporation, Sun Microsystems, Unisys 등 여러 OEM 업체들이 자사의 (주로 Unix) 운영체제에서 넷웨어의 파일 및 인쇄 공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6][7][8] 나중에 'NetWare for UNIX'로 알려진 이 버전은 C 언어로 작성되어 다른 플랫폼으로의 이식을 용이하게 했다.[9][10][11]

넷웨어 3.x가 사용되던 시기에 노벨은 최초의 고가용성 클러스터 시스템인 '''NetWare SFT-III'''를 선보였다. 이는 두 대의 물리적 서버가 하나의 논리적 서버처럼 동작하도록 완벽하게 미러링하는 공유 없음 아키텍처 기반의 시스템이었다. 한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서버가 중단 없이 서비스를 이어받을 수 있어 높은 안정성을 제공했다. SFT-III는 SMP 하드웨어를 지원하는 최초의 넷웨어 버전이기도 했다.

1993년에는 넷웨어 4.x 버전이 출시되면서 X.500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NDS(Novell Directory Services)가 도입되었다. NDS는 네트워크상의 모든 자원(사용자, 그룹, 프린터, 서버, 볼륨 등)을 하나의 분산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혁신적인 디렉터리 서비스였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네트워크 전체를 중앙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노벨은 NDS 도입을 장려하기 위해 넷웨어 4.10 버전의 가격을 이전 버전인 3.12와 비슷하게 책정하기도 했다.

1990년대 초중반, 기업 내 LAN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운영체제로 MS-DOS가 주로 사용되던 시기에 넷웨어는 시장을 지배하며 전성기를 누렸다. 당시 마이크로소프트IBM이 제공하던 NetBIOS 프로토콜은 라우팅 기능이 없어 소규모 네트워크에만 적합했던 반면, 넷웨어가 사용하는 IPX/SPX 프로토콜은 라우팅이 가능하여 대규모 네트워크 구축에 유리했다. 또한, 경쟁 제품이었던 마이크로소프트의 LAN Manager와 비교해도 넷웨어는 네트워크 성능이 우수했고, IA-PC 서버 환경에서의 기능적 장점도 많았다. 예를 들어, 볼륨 동적 확장, 대용량 볼륨 및 긴 파일 이름 지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접근 효율을 높이는 엘리베이터 알고리즘 채용, 상세한 계정 관리 및 접근 제어 기능 등은 넷웨어의 강력한 경쟁력이었다. 당시 "클라이언트의 로컬 하드 디스크보다 넷웨어 서버의 파일에 접근하는 것이 더 빠르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서버 성능이 뛰어났는데, 이는 서버의 메인 메모리를 적극적으로 디스크 캐시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넷웨어는 특히 LAN 보급이 빨랐던 미국 시장을 석권했으며, 일본PC-9800 시리즈와 같은 독자적인 아키텍처에도 이식되었다. 또한, UNIX System V에 넷웨어 서버 기능을 통합한 UnixWare도 출시되었다.

2. 3. 쇠퇴기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1990년대 말, 인터넷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TCP/IP 프로토콜이 근거리 통신망(LAN)의 표준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노벨은 이미 넷웨어 3.x(1992년경) 및 4.x(1995년경)에서 FTP 서비스, 유닉스 스타일의 LPR/LPD 인쇄, 자체 웹 서버 등 제한적인 TCP/IP 지원을 도입했지만, 넷웨어의 핵심인 파일 및 인쇄 공유 서비스는 여전히 고유 프로토콜인 IPX/SPX를 기반으로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이크로소프트는 Windows for Workgroups부터 네트워킹 지원을 강화하고, 이후 윈도우 NT와 Windows 95를 출시하며 넷웨어의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했다. 특히 윈도우 NT 서버는 넷웨어의 핵심 기능 일부를 제공하면서도 별도의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없이 윈도우 운영체제와 통합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는 기술 전문지 위주로 마케팅했던 노벨과 달리, 주요 잡지를 통해 비기술적인 경영진을 직접 공략하는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쳤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넷웨어의 시장 점유율은 점차 하락하기 시작했다.

노벨은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1998년 10월, 넷웨어 5.0을 출시하며 기본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IPX/SPX에서 TCP/IP로 전환했다. 이는 시장의 요구를 반영한 중요한 변화였으며, IPX/SPX도 계속 지원하여 기존 환경과의 호환성을 유지했다. 넷웨어 5.0에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 넷웨어를 위한 GUI 환경
  • 노벨 스토리지 서비스(NSS): 기존 넷웨어 파일 시스템을 대체 (기존 방식도 지원)
  • 넷웨어용 자바 가상 머신
  • 노벨 분산 인쇄 서비스 (NDPS): 네트워크 인쇄 인프라
  • ConsoleOne: 자바 기반 GUI 관리 콘솔
  • 디렉토리 기반 공개 키 기반 구조(PKIS) 서비스
  • 디렉토리 기반 DNS 및 DHCP 서버
  •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 지원
  • 노벨 클러스터 서비스 (NCS): 기존 SFT-III를 대체하며 특수 하드웨어나 동일 서버 구성 불필요
  • 오라클 8i (5 사용자 라이선스 포함)


넷웨어 4.x 패키지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미 많은 기업들이 넷웨어 서버를 윈도우 NT 서버로 교체하고 있었기 때문에, 넷웨어 5.0 출시 시점에는 시장 점유율 하락을 막기 어려웠다. 노벨은 넷웨어 4 운영 체제의 마지막 업그레이드인 넷웨어 4.2도 이 시기에 출시했다. 넷웨어 5 이상 버전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넷웨어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노벨 넷스토리지(Novell NetStorage) 기능도 지원했다.

2000년 1월에는 넷웨어 5.1이 출시되어 IBM WebSphere Application Server, 웹 기반 관리 도구인 넷웨어 관리 포털(이후 노벨 원격 관리자로 명칭 변경), FTP, NNTP, 스트리밍 미디어 서버, 웹 검색 서버, WebDAV 지원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

2001년 10월에는 넷웨어 6가 출시되었다. 이 버전은 서버 연결 수가 아닌 사용자 수를 기준으로 라이선스를 책정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사용자당 무제한 연결을 허용했다. 노벨 클러스터 서비스(NCS)도 최대 32개 노드까지 지원하도록 개선되었으며, 기본 제품에 2노드 클러스터링 라이선스가 포함되었다.

2003년 8월에는 넷웨어 6.5가 출시되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PHP, MySQL, OpenSSH 등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지원 강화
  • Bash 셸 및 wget, grep, awk, sed 등 유닉스 유틸리티 포팅을 통한 스크립팅 기능 제공
  • iSCSI 지원 (타겟 및 이니시에이터)
  • 가상 오피스: 웹 포털을 통한 이메일, 파일 저장소, 주소록 접근 기능
  • 도메인 컨트롤러 기능
  • 유니버설 비밀번호
  • DirXML 스타터 팩: 다른 eDirectory 트리, 윈도우 NT 도메인, Active Directory와의 사용자 계정 동기화
  • exteNd 애플리케이션 서버: Java EE 1.3 호환 애플리케이션 서버
  • 프린터 드라이버 프로필 및 사용 감사 지원
  • NX 비트 지원
  • USB 저장 장치 지원
  • 암호화된 볼륨 지원


넷웨어 6.5의 마지막 서비스 팩(SP8)은 2009년 5월에 출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지속적인 기능 개선과 변화 시도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넷웨어의 쇠퇴는 막을 수 없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세 외에도, 1990년대 말부터 리눅스FreeBSD 같은 무료 PC-UNIX 운영체제가 기업 서버 시장에서 실용성을 인정받기 시작하면서 넷웨어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특히 리눅스와 Samba를 이용한 파일 서버 구축이 용이해지고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AS)가 보급되면서, 파일 서버로서 넷웨어의 필요성은 크게 줄어들었다. 노벨이 가격 정책을 시장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조정하지 못한 점과 독립 리셀러 및 엔지니어와의 관계 악화로 인한 영업력 약화도 판매 부진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일본 시장에서는 상황이 더욱 복잡했다. 당시 노벨의 주요 주주였던 일본전기(NEC)의 영향력 아래, PC-9800 시리즈 시장 유지가 중요 과제로 여겨졌다. 이로 인해 비교적 성공적이었던 넷웨어 3.x 버전에 집중하면서 NEC용 넷웨어 4.x 버전과 윈도우용 클라이언트 개발이 지연되었다. 이는 DOS/V 호환 기종을 사용하던 다른 업체들이 자체적으로 영문판 클라이언트를 배포해야 하는 상황을 만들었다. Windows 95의 등장 이후 노벨 본사의 증자를 통해 일본 기업의 영향력은 줄었지만, 이미 넷웨어 4.x 이후 일본 내 마케팅은 크게 위축된 상태였다. 결국 노벨 재팬은 일본 내 서버 OS 경쟁에서 사실상 철수하고, 노벨 디렉토리 서비스(NDS)를 윈도우 NT 환경에 제공하며 디렉토리 서비스 시장에서 활로를 모색했지만, 윈도우 2000 서버의 Active Directory 등장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2000년대 후반 이후 넷웨어는 주로 기존 시스템 유지 보수나 디렉토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엔진, 거점 간 데이터 교환 등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2. 4. 이후 (2000년대 후반 ~ 현재)

1990년대 중반부터 Windows NT Server의 등장으로 넷웨어의 서버 시장 점유율은 크게 하락하기 시작했다. 특히 일본과 같이 LAN 보급이 상대적으로 늦었던 지역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다. 1990년대 말 리눅스 붐과 함께 리눅스FreeBSD와 같은 무료 PC-UNIX 운영체제가 기업 서버로 실용성을 인정받으면서 넷웨어의 퇴조는 결정적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노벨은 디렉터리 서비스에서 활로를 찾고자, 넷웨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던 NetWare Directory Service (NDS)를 '''Novell Directory Service'''로 이름을 바꾸고 Windows NT 환경에 제공하려 했다. 이는 확장성이 부족했던 NT 도메인 모델의 대안을 목표로 했으나, Windows 2000 Server에 탑재된 Active Directory의 등장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2003년 노벨은 넷웨어의 후속 제품으로 오픈 엔터프라이즈 서버(OES)를 발표했으며, 2005년 3월 첫 버전을 출시했다. OES는 기존 넷웨어의 주요 기능(디렉터리 서비스, 파일 및 인쇄 등)을 기본 플랫폼에서 분리하여, 리눅스 커널 또는 넷웨어 커널 위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노벨이 지미안(Ximian)과 독일의 수세(SUSE) 리눅스 배포 업체를 인수하면서, 회사는 점차 넷웨어에서 벗어나 리눅스 중심으로 전략을 전환하기 시작했다. 마케팅은 기존 넷웨어 사용자들이 향후 릴리스를 위해 리눅스 플랫폼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노벨은 OES를 리눅스 플랫폼에서만 출시하기로 결정하여 논란을 빚기도 했으나, 이후 넷웨어 사용자 지원을 최소 2015년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하며 입장을 완화했다. 그럼에도 많은 기존 넷웨어 고객들은 오픈 소스 리눅스 운영 체제 위에서 라이선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방식 대신, 레드햇(Red Hat) 등이 제공하는 완전한 오픈 소스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것을 선호했다.

2007년 10월 8일 출시된 OES 2는 Xen 하이퍼바이저 내에서 반가상화 게스트로 실행을 지원하는 NetWare 6.5 SP7과 SLES 10을 사용하는 새로운 리눅스 기반 버전을 포함했다. 주요 새로운 기능은 다음과 같다:

  • 64비트 지원
  • 가상화 지원 강화
  • Shadow Volume을 제공하는 동적 스토리지 기술
  • Windows용 도메인 서비스 (OES 2 서비스 팩 1에서 제공)


그러나 2000년대 후반에서 2010년대 초반에 이르러 무료 리눅스와 Samba 조합, 그리고 NAS(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의 보급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파일 서버나 스토리지를 구축할 수 있게 되면서, 파일 서버로서의 넷웨어 사용은 크게 줄어들었다.

노벨은 eDirectory, NSS 파일 시스템, NCP 프로토콜 등 넷웨어의 핵심 기능들을 SUSE Linux로 이식하여 OES를 통해 제공했다. OES2까지는 넷웨어 버전(6.5)과 리눅스 버전이 함께 패키지 형태로 제공되었으나, 넷웨어 커널 기반 OES2 개발은 2010년 3월 NetWare 6.5 SP8을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최종적으로 2017년 12월, NetWare 6.5 SP8에 대한 자체 지원마저 종료되면서, IPX/SPX 프로토콜과 함께 넷웨어는 사실상 단종되었다. 현재 넷웨어는 극히 제한적인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기업은 윈도우 서버, 리눅스 서버, 또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전환한 상태이다.

3. 특징



넷웨어는 디스크 공유 방식 대신 파일 공유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발전한 네트워크 운영 체제이다. 1983년 처음 등장했을 당시, 경쟁 제품들이 주로 사용하던 디스크 공유 방식과 달리, 넷웨어는 개별 파일 수준에서 접근을 제어하여 파일 잠금 및 세밀한 접근 제어를 구현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1984년 IBM에 의해 검증되면서 넷웨어의 확산에 기여했다.

넷웨어는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따른다. 서버에는 전용 운영 체제인 넷웨어 OS를 설치하고, MS-DOS, OS/2, Windows 등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PC에는 특수한 상주 프로그램(TSR) 형태의 전용 클라이언트 모듈(NetWare 클라이언트)을 설치하여 운영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로그인하여 서버의 디스크 공간을 넷웨어 볼륨(논리 볼륨과 유사) 형태로 공유받아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받아 로컬 드라이브처럼 사용했다. 파일 공유 외에도 전용 프린트 서버를 통해 프린터를 공유하는 기능도 제공했다.

넷웨어 OS는 처음부터 서버 역할에 특화되어 설계되었다. Windows NT나 유닉스 같은 범용 운영 체제와 달리, 서버 콘솔에서는 최소한의 조작만 가능했으며 대부분의 관리는 클라이언트 PC의 관리 도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드라이버프로토콜 스택 등을 NetWare Loadable Module (NLM)이라는 모듈 형태로 제공하여, 서버 재부팅 없이 동적으로 기능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했다. 이러한 서버 중심 설계와 모듈화 구조는 넷웨어의 높은 성능과 효율성에 기여했다. (자세한 내용은 서버 중심 설계 및 모듈화 문단 참고)

초기 넷웨어는 독자적인 IPX/SPX 프로토콜을 주로 사용했으나, 1990년대 중반 이후 인터넷과 TCP/IP 프로토콜이 확산되면서 TCP/IP 지원을 점차 강화했다. 넷웨어 5.0(1998년 출시)부터는 TCP/IP를 기본 프로토콜로 지원하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프로토콜 문단 참고)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넷웨어는 효율적인 파일 서비스, 최적화된 메모리 관리 등을 통해 뛰어난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하며 LAN 시장을 주도했다. (자세한 내용은 성능 및 안정성 문단 참고)

하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 마이크로소프트가 LAN Manager에 이어 Windows for Workgroups, Windows NT, Windows 95 등 네트워킹 기능이 강화된 운영 체제를 출시하면서 강력한 경쟁 상대로 부상했다. 특히 Windows NT는 넷웨어의 주요 기능을 운영 체제에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을 높였다. 노벨이 기술 전문가 위주로 마케팅한 반면, 마이크로소프트는 경영진을 대상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쳐 시장 점유율을 잠식했다. 노벨은 NetWare 4.10, 4.11(IntranetWare 번들 포함) 등을 출시하며 NDS(NetWare Directory Services) 통합, SMP 지원, TCP/IP 지원 강화 등으로 대응했지만, 시장 변화에 대한 대응과 가격 정책 등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점차 시장 지배력을 상실했다.

3. 1. 프로토콜

넷웨어는 초기에 네트워크 계층프로토콜IPX/SPX를,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로 '''NCP'''(넷웨어 코어 프로토콜)를 주로 사용했다.

IPX/SPX 프로토콜은 당시 널리 사용되던 NetBEUI와는 달리 라우팅 기능을 지원했으며, 넓은 주소 공간과 주소 자동 설정 기능 등 IPv6와 유사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LAN 환경에서 사용하기 편리했다. 넷웨어가 널리 사용되던 시기에는 기업 내 LAN 프로토콜의 사실상 표준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윈도우 95에서 기본 설치 프로토콜이 TCP/IP가 아닌 IPX/SPX와 NetBEUI였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

NCP는 네트워크 통신이 대부분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가정 하에 설계되어 통신 절차를 효율화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파일 읽기 작업이 요청-승인-승인 확인-데이터 전송-데이터 수신 확인-수신 확인 응답 등 여러 단계를 거치는 반면, NCP는 클라이언트의 읽기 요청에 대해 서버가 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작동했다. 모든 요청에는 고유한 시퀀스 번호가 부여되어, 클라이언트가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을 받지 못하면 동일한 번호로 요청을 다시 보내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단계를 줄여 응답 속도를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으로 LAN 환경에서도 TCP/IP를 기반으로 하는 인트라넷이 확산되면서, 기업들은 IPX/SPX와 TCP/IP라는 두 가지 프로토콜을 함께 관리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노벨은 넷웨어의 TCP/IP 지원을 강화했다. 초기에는 IP 패킷 내에 IPX/SPX 패킷을 넣어 전송하는 캡슐화 방식을 사용했으나, 1998년 10월 출시된 넷웨어 5부터는 TCP/IP를 기본 프로토콜로 지원하는 이른바 'Pure IP' 환경을 구현했다. 넷웨어 5 이후 버전에서도 IPX/SPX는 계속 지원되었지만, 중심은 TCP/IP로 이동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넷웨어의 시장 점유율 하락을 막지는 못했다.

3. 2. 서버 중심 설계

넷웨어는 처음부터 서버 역할에 특화된 운영 체제로 설계되었다. 이는 Windows NT나 유닉스와 같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범용 운영 체제와는 구별되는 특징이다. 넷웨어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서버에는 넷웨어 OS를, 클라이언트 PC(MS-DOS, OS/2, Windows 등)에는 전용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했다.

넷웨어 서버 자체의 콘솔 화면에서는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조작만 가능하도록 제한되었다. 파일 관리, 사용자 관리 등 대부분의 서버 관리 작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이언트 PC에서 전용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서버 자원을 파일 및 인쇄 서비스와 같은 핵심 기능 처리에 집중시키려는 설계 의도를 반영한다.

초기 넷웨어(버전 4.x 및 이전)는 서버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선점형 멀티태스킹, 가상 메모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지원하지 않았다. 대신, 운영 체제 상에서 실행되는 여러 프로세스들이 서로 양보하며 자원을 공유하는 협력적 멀티태스킹 방식으로 동작했다. 각 프로그램은 자신의 작업을 처리한 후 자발적으로 운영 체제에 제어권을 넘겨주는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다만, 이 방식은 특정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서버 전체가 멈출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또한, 하드웨어 드라이버나 프로토콜 스택과 같은 시스템 구성 요소들은 '''NLM'''(NetWare Loadable Module)이라는 모듈 형태로 제공되었다. 관리자는 서버를 재부팅하지 않고도 필요에 따라 NLM을 동적으로 로드하거나 언로드할 수 있어, 서버 운영의 유연성을 높였다. 아키텍처 측면에서는 NLM과 같은 모듈들을 커널 공간에 직접 배치하여, 메모리 간 데이터 복사로 인한 오버헤드를 최소화했다. 예를 들어, 디스크의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때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DMA를 통해 직접 전송함으로써 처리 속도를 향상시켰다.

3. 3. 모듈화

넷웨어 OS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모듈화된 구조이다. 드라이버프로토콜 스택 등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들이 NetWare Loadable Module (NLM)이라는 모듈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NLM들은 시스템 운영 중에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로드하거나 언로드하는 것이 자유롭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이 모듈들은 커널 공간에 직접 배치되어 작동하므로, 메모리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버헤드를 최소화하여 시스템 성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3. 4. 성능 및 안정성



넷웨어(NetWare)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후반까지 네트워크 운영 체제(NOS) 시장에서 다른 기술에 비해 뛰어난 성능을 보이며 시장을 장악했다. 당시 여러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마이크로소프트나 반얀(Banyan) 등의 제품보다 5배에서 10배 높은 성능 우위를 나타냈다.

넷웨어의 성능 우위는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에 기반한다.

  •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 및 캐싱: 넷웨어는 처음부터 충분한 RAM을 갖춘 서버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 NetWare 2.''x''는 80286 CPU의 16비트 보호 모드를 활용하여 최대 16MiB RAM에 접근할 수 있었다. 이는 당시 DOS의 32MB 볼륨 크기 제한이나 이전 8088/8086 프로세서의 1MiB 주소 공간 및 640KiB RAM 제한보다 훨씬 큰 용량이었다. 늘어난 RAM 용량은 디스크 캐싱에 충분히 활용되어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 NetWare 3.''x''는 32비트 보호 모드를 지원하여 16MiB 메모리 제한을 없애고 더 큰 하드 드라이브를 지원했다. 특히, 볼륨이 마운트될 때 전체 파일 할당 테이블(FAT)과 디렉토리 항목 테이블(DET)을 RAM으로 읽어들여 캐싱함으로써 파일 접근 속도를 높였다. 사용하지 않는 모든 RAM은 자동으로 활성 파일을 캐싱하는 데 사용되었다.
  • 변경된 데이터를 디스크에 쓰기 전에 잠시 캐시에 보관하는 지연된 쓰기 백(write-back) 방식을 사용하고, 디스크 요청을 효율적으로 재정렬하는 엘리베이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디스크 I/O 성능을 최적화했다. 이 때문에 예기치 않은 종료 시 데이터 손실 위험이 있어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 사용이 필수적이었다. NetWare 3.''x''부터는 캐시 지연 시간(기본 3.3초, 최소 0.5초, 최대 10초)을 조절하여 성능과 안정성 사이의 균형을 맞출 수 있었다.

  • 파일 서비스 모델: 초기 LAN 스토리지는 대부분 디스크 서버 모델을 사용했다. 클라이언트가 파일의 특정 블록을 읽으려면 디렉토리 검색부터 데이터 블록 읽기까지 여러 요청을 느린 LAN을 통해 보내야 했다. 반면 넷웨어는 파일 서비스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클라이언트는 파일 열기 및 데이터 요청만 보내고, 실제 디스크 검색 작업은 서버에서 고속으로 처리했다. 이 방식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고 응답 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 특수 목적 운영 체제 설계: 넷웨어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처리를 위해 처음부터 설계된 특수 목적 운영 체제였다. 윈도우 NT나 유닉스 같은 범용 운영 체제와 달리, 서버 자원을 파일 및 인쇄 서비스 같은 핵심 기능에 집중시켰다.
  • NetWare 4.x 이전 버전은 선점형 멀티태스킹 대신 협력적 멀티태스킹 방식을 사용했다. 이는 시스템 콜을 통한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동작하며, 프로세스가 자발적으로 제어권을 반환해야 했다. 이 방식은 선점에 따른 시간 손실이 적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잘못 작성된 프로그램(NLM)이 서버 전체를 멈추게 할 수 있는 위험(ABEND, Abnormal End)이 있었다.
  • NLM이라는 모듈 형식의 드라이버나 프로토콜 스택 등을 커널 공간에 직접 배치하여 메모리 전송 오버헤드를 최소화했다. 예를 들어, 디스크에서 버퍼로 DMA 전송을 수행하여 메모리 간 데이터 복사 없이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할 수 있었다.


넷웨어는 성능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도 제공했다.

  • 시스템 오류 허용 (SFT):
  • SFT-I: 쓰기 후 읽기 확인(write-after-read verification)과 자동 불량 블록 재매핑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했다.
  • SFT-II: 소프트웨어 기반의 RAID 1(디스크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여 디스크 오류 발생 시 데이터 손실을 방지했다.
  • SFT-III: NetWare 3.x에서 도입된 고가용성 클러스터 시스템으로, 두 대의 물리적 서버가 논리적으로 하나의 서버처럼 동작하며 실시간으로 미러링되었다. 한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서버가 중단 없이 서비스를 이어받았다. 공유 없음 아키텍처로 구현되었으며, 특수 하드웨어 없이 디스크 미러링이 가능했다.

  • 트랜잭션 추적 시스템 (TTS): 파일 업데이트 중 예기치 않은 중단이 발생해도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보호하는 기능이다. 단일 파일은 속성 설정만으로 보호할 수 있었고, 여러 파일에 걸친 트랜잭션 보호 및 롤백은 API를 통해 구현할 수 있었다.

  • 넷웨어 파일 시스템 (NWFS):
  • NWFS 286 (NetWare 2.''x''): 최대 256MB 볼륨을 지원했다.
  • NWFS 386 (NetWare 3.''x''): 볼륨 용량을 최대 1TB, 파일 크기를 최대 4GB까지 크게 확장했으며, 여러 물리 디스크에 걸쳐 볼륨 세그먼트를 구성할 수 있었다. 서버 작동 중에도 볼륨 세그먼트 추가 및 마운트가 가능하여 중단 없는 확장이 용이했다.
  • 저널링 파일 시스템 기능을 탑재하여 파일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였다.


NetWare 4.11 (IntranetWare)에서는 운영 체제의 설치, 운영, 속도 및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SMP 지원, GUI 기반 관리 도구(NetWare Administrator) 등이 도입되었다. 또한 TCP/IP 지원을 강화하여 인터넷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높였다.

4. 비판

넷웨어 286 2.x 및 3.x 버전에서 노벨의 시장 전략은 매우 성공적이어서, 윈도우 NT 서버가 출시되기 전에는 PC 기반 서버 시장의 90%를 점유했다고 주장할 정도였다.

그러나 몇 가지 기술적, 전략적 문제점이 지적된다. 첫째, 넷웨어 3.x 이후 버전은 서버 파일을 로드하기 위해 DOS 파티션이 필요했는데, 이는 시스템 관리에 추가적인 부담을 주었다. 또한, 윈도우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널리 사용되던 시기에도 넷웨어는 텍스트 기반 콘솔을 유지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졌다. 특히 새로운 사용자들은 윈도우 환경에 더 익숙했기 때문에 DOS 명령어를 배워야 하는 넷웨어 관리에 어려움을 느꼈다. 노벨은 초기에 넷웨어 286처럼 DOS 파티션 없이 자체 파티션에서 부팅하는 방식을 유지할 수도 있었으나, 이러한 지원은 넷웨어 6.5 버전의 지원 팩에서야 뒤늦게 추가되었다.

둘째, 노벨은 인터넷이 확산되던 1995년 즈음까지 TCP/IP 대신 독자적인 IPX/SPX 프로토콜을 주로 사용하여 인터넷 환경에 대한 적응이 늦었다. 이로 인해 넷웨어 서버는 라우팅이나 인터넷 접근 용도로 사용되기보다는 하드웨어 라우터나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FreeBSD 등), 윈도우 서버 등이 더 선호되었다.

셋째, 노벨 경영진의 결정은 독립적인 리셀러와 엔지니어들의 제품 추천 및 판매 활동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효과적인 영업망의 약화는 판매 부진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만들었다. 비록 일부 조직에서는 2010년대까지도 넷웨어를 사용했지만, x86 서버 플랫폼에서 파일 및 프린터 공유의 사실상 표준이었던 1990년대 중반부터 인기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넷째, 마이크로소프트1990년대 후반부터 윈도우 NT 서버를 앞세워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며 넷웨어의 시장 점유율을 잠식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주요 잡지를 통해 기술 전문가가 아닌 경영진을 직접 공략하는 전략을 사용한 반면, 노벨은 주로 IT 담당자들이 보는 기술 전문 잡지에 마케팅을 집중했다. 또한, 노벨은 시장 상황 변화에 맞춰 가격 구조를 유연하게 조정하지 못했고, 이는 판매 부진의 한 원인이 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윈도우 NT 서버의 부상과 더불어, 1990년대 말에는 리눅스 붐이 일어나 리눅스FreeBSD와 같은 무료 PC-유닉스가 기업 서버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넷웨어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특히 일본 시장에서는 상황이 더욱 좋지 않았다. 당시 노벨의 주요 주주였던 NEC의 영향으로, 일본 법인은 PC-9800 시리즈 시장 유지에 집중하느라 윈도우 95 시대에 중요했던 NetWare 4.x 버전과 관련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개발이 지연되었다. 이로 인해 다른 DOS/V 호환기 제조사들은 자체적으로 PC/AT 호환기용 영문판 클라이언트를 배포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윈도우 95가 부상하던 시기, 노벨 본사의 증자를 통해 일본 PC 기업들의 영향력은 줄었지만, NetWare 4.x 이후 일본 내 마케팅 활동은 현저히 위축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노벨은 서버 운영체제 시장에서의 경쟁 대신, 넷웨어의 강점이었던 디렉터리 서비스(NDS)에 집중하는 전략을 택했다. NDS(NetWare Directory Service)를 'Novell Directory Service'로 이름을 바꾸고 윈도우 NT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확장성이 부족했던 NT 도메인 모델의 대안이 되고자 했다. NDS는 윈도우 NT 환경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윈도우 2000 서버에 탑재된 액티브 디렉터리가 등장하면서 그 존재감을 크게 드러내지 못했다.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에 이르러 무료 리눅스와 Samba를 이용한 파일 서버 구축이 용이해지고 NAS(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 장비가 널리 보급되면서, 적은 비용으로 네트워크 파일 서버나 스토리지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문에 파일 서버로서 넷웨어를 이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졌고, 주로 디렉터리 서비스 엔진, 데이터베이스 엔진, 지점 간 데이터 교환(레플리케이터), 또는 특정 넷웨어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운영체제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뉴스 A Link for All Operating Systems https://www.nytimes.[...] 1989-05-14
[2] 간행물 Novell to roll out two-tier certification program https://link.gale.co[...] Ziff-Davis 1992-10-12
[3] 간행물 Determining NetWare support can take work—or a bad experience https://books.google[...] IDG Publications 1995-02-13
[4] 간행물 Minigrams https://link.gale.co[...] GlobalData 1993-06-08
[5] 간행물 NetWare application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IDG Publications 1993-10-04
[6] 간행물 Netware gets its first port to Unix https://archive.org/[...] 2024-11-21
[7] 간행물 Novell puts LAN foot down https://archive.org/[...] 2024-11-21
[8] 간행물 Atlantix, Altos Fill DOS-to-Unix Connectivity Gaps https://archive.org/[...] 2024-11-21
[9] 간행물 The Next Best Thing https://archive.org/[...] 2024-11-21
[10] 간행물 IBM-Novell: Strategic or convenient? https://archive.org/[...] 2024-11-21
[11] 서적 A Guide to NetWare for UNIX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PTR 2024-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