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점 (가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점은 물건을 팔기 위해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는 행위 또는 그러한 사람을 의미하며, 행상인, 보부상 등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노점은 이동성이 특징이며, 역사적으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존재해 왔다.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판매 형태, 상품, 지역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노점은 사회적, 경제적 역할을 수행하지만, 불법 영업, 기존 상인과의 갈등, 위생 문제 등과 같은 문제점도 존재한다.
전통적으로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국가들의 사회·경제 구조에 깊이 뿌리내렸던 노점 행위는 최근 수십 년간 선진국으로 확산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노점상은 완전히 합법적인 형태부터 불법적인 형태까지 다양하게 존재하며, 엄격하게 비공식 경제에만 국한되지는 않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비공식적인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2. 정의
노점상에 대한 사회-인류학적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8]
M. 메네게티(M. Meneghettiita)는 글로벌 사회의 비공식 노점 행위를 특정 개인이나 집단이 겪는 사회적, 법적,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어려움에 적응하고 기능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복잡하고 유연한 대리 행위로 분석했다.[8]
한국에서는 관청의 허가를 받지 않은 노점은 불법으로 간주된다.[50] 이에 따라 정부는 이러한 불법 노점을 단속하고 있다.[51]
2. 1. 용어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노점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노점상은 "물건을 팔기 위해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는 사람"을 의미하며[1], 일종의 길거리 판매상이다. 동의어로는 행상인, 보부상, 채프먼(chapman|채프먼eng) 등이 있으며, 영국에서는 채소 장수라는 용어도 사용된다.[1] 영어권에서는 호커(hawkereng) 또는 페들러(peddlereng) 등으로 불린다.
노점상은 이동성을 특징으로 하여 다른 유형의 길거리 판매상과 구별된다. 예를 들어, 보부상은 공공장소에 임시 판매대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고, 채소 장수는 주로 신선한 농산물을 판매하는 반면, 노점상은 솔이나 조리 도구처럼 썩지 않는 물품을 판매하는 경향이 있다.[1] 제품 시연이나 상세한 설명이 동반될 경우, 노점상은 때때로 시연자 또는 판매원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
사회 평론가 헨리 메이휴는 영국에서 노점상 또는 행상인이 매우 오래된 직업 중 하나라고 언급하며, 과거에는 주로 직물을 다루었다고 설명했다. 메이휴는 노점상, 행상인, 보부상을 한 무리의 순회 판매원으로 분류했으며, 노점상과 행상인 사이의 명확한 구분을 찾기 어렵다고 보았다.[2] 메이휴는 1861년 기준으로 영국에 14,038명, 스코틀랜드에 2,561명, 웨일스에 624명의 허가된 행상인이 있었다고 추산했다.[2]
일본에서 '노점'(露店|로텐jpn)은 도로, 광장 등 길 위에 임시 점포를 설치하고 주로 현금 거래를 하는 가게를 통칭한다.[44]
3. 역사

행상인은 고대, 혹은 그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로마에서는 문학, 법률, 그림 자료 등을 통해 행상인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3] 로마인들은 행상인을 지칭하는 특정 용어 없이, '돌아다니는 사람'이라는 의미의 암불라토르(ambulator|암불라토르lat), 키르키토르(circitor|키르키토르lat)나 이동 연예인까지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키르쿨라토르(circulator|키르쿨라토르lat), 사업 관리자를 뜻하는 인스티토르(institor|인스티토르lat)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렀다. 연구에 따르면 행상인과 노점상은 로마의 유통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이들은 주로 저렴한 가격에 일상 음식을 판매했으며, 상업적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사원, 극장, 목욕탕, 포럼 주변에 모여들었다. 그들의 거리 외침은 거리 생활의 일부였으나, 종종 달갑지 않은 소음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로마 사회에서 행상인들은 소매업 전반에 대한 경멸적인 시선에서 자유롭지 못했으며, 사회적 지위가 낮아 특권층으로부터 경멸적인 용어로 불리곤 했다.[4]
중세 시대의 행상인이나 보따리장수에 대한 문헌 기록이나 그림 자료는 비교적 드물다.[5] 이들은 상인과는 다른 사회적 지위를 가졌으며, 사회적으로 주변적인 존재로 인식되었다.[6] 그러나 12세기와 13세기 잉글랜드 기록에 따르면, 부지런한 행상인은 짐꾼으로 시작하여 점차 부유한 도매상이나 상인으로 성장하는 경우도 있었다.[7]
런던의 노점상들은 19세기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들은 조직적이지는 않았지만 암묵적인 규칙 속에서 도시 곳곳에서 활동했으며, 그들의 거리의 외침은 어디서나 들을 수 있었다.[23][24] 청량음료 회사인 R. White's Lemonade는 1845년 로버트 화이트와 메리 화이트 부부가 손수레에 음료를 싣고 런던 남부를 돌며 판매하면서 시작되었다.[25] 또한, 간식 빵인 잉글리시 머핀을 집집마다 방문하여 판매하는 '머핀맨' 역시 19세기 런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행상인의 모습이었다.[26]
일본에서는 아침 시장이나 정기 시장 등에서 시절 상품을 팔던 연잎 장사나, 번화가에서 길거리 공연을 하던 마술사, 곡예사 등이 오늘날 포장마차(야타이)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에도 시대에는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한 방편이었던 棒手売|봇테후리jpn와 같은 행상이나, 음식을 중심으로 발달했던 포장마차(지붕, 판매대, 간이 주방 설비, 손님용 의자까지 갖춘 형태) 등이 노점의 기원으로 꼽힌다.
도쿄도에서는 1949년, GHQ 공안과의 지시에 따라 공공 도로 위의 노점을 철거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도쿄도 지사, 경시 총감, 소방 총감의 연명으로 정리 통고서가 발부되었으며, 이 조치에서 신문 판매, 복권 판매, 구두닦이 등 일부 업종과 특정 지역은 제외되었다.[44] 이로 인해 약 6,000개의 노점이 폐업하거나 다른 곳으로 이전해야 했다.[45]
3. 1. 한국의 노점 역사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의 노점 역사'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법률 및 규제
세계 각국에서는 노점상에 대한 다양한 법률 및 규제가 존재한다.
4. 1. 한국의 노점 관련 법률
한국에서 따로 관청의 허가를 받지 않은 노점은 불법이다.[50] 때문에 한국에서는 이러한 불법 노점에 대하여 단속을 하고 있다.[51]5. 사회적, 경제적 역할
노점은 전통적으로 글로벌 사우스의 여러 국가에서 사회 및 경제 구조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 왔으며, 최근 수십 년 동안에는 가장 발전한 국가들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노점상의 운영 방식은 완전히 합법적인 경우부터 불법적인 경우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8], 현대 사회에서는 비공식 경제 영역에 가까운 형태로 운영되는 경향이 관찰되기도 한다.
사회-인류학적 연구에 따르면 노점상은 활동의 합법성이나 제도적 인정 여부에 따라 '인정된 노점상', '일시적 노점상', '은밀한 상인'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운영 장소의 고정 여부에 따라 고정된 장소에서 운영하는 '고정 노점상', 임시 구조물을 활용하는 '반고정 노점상', 여러 장소를 이동하며 운영하는 '이동 노점상'으로 나눌 수도 있다.[8]
사회학자 M. 메네게티(M. Meneghetti)는 비공식적인 노점 활동이 때로는 사회적, 법적, 문화적, 경제적 또는 정치적 어려움에 직면한 개인이나 집단이 현실에 적응하고 상황을 개선해 나가는 유연한 대처 방식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8] 이는 노점이 특정 상황에서 개인이나 공동체의 생존 전략이자 사회경제적 활동의 한 형태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5. 1. 긍정적 측면
노점상은 특히 글로벌 사우스의 많은 국가에서 중요한 사회경제적 역할을 담당하며, 최근에는 선진국에서도 그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노점상은 여러 긍정적인 측면을 지닌다.우선, 상품과 서비스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여 서민들의 생활비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의 여러 대도시 지역에서는 노점상의 상품 가격이 일반 상점보다 낮아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중요한 구매처가 된다.[9][10] 이는 서민 경제의 순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노점상은 경제적으로 취약한 개인이나 집단에게 생계를 유지하고 경제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한다. 사회학자 M. 메네게티(M. Meneghetti)는 비공식 경제 영역에서의 노점 활동이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이들이 현실에 적응하고 상황을 개선해 나가는 유연한 방식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8] 이는 실업 상태에 있거나 소득이 낮은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경제적 자립을 돕는 중요한 사회 안전망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 노점상은 도시 공간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아프리카나 북아메리카의 대도시 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노점상들은 다양한 음식, 음료, 수공예품 등을 판매하며 거리에 생동감을 더하고 독특한 분위기를 형성한다.[9][10][40][41] 이러한 다채로운 볼거리와 먹거리는 도시의 매력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하며, 관광객을 유인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5. 2. 부정적 측면
노점 행위는 완전히 합법적인 형태부터 완전히 불법적인 형태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점차 비공식적인 극단으로 향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노점 행위가 반드시 비공식 경제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불법적이거나 규제받지 않는 형태로 운영될 가능성을 내포한다. 사회-인류학적 연구에서는 활동의 정당성이 결여된 '은밀한 상인' 유형을 분류하기도 하는데[8], 이는 노점 운영의 잠재적인 문제점을 시사한다.6. 지역별 현황
노점상 혹은 행상인은 고대부터 존재해 온 상업 형태이다. 고대 로마에서는 행상인을 지칭하는 특정 용어는 없었으나, ambulator|암불라토르la(돌아다니는 사람), circitor|키르키토르la(돌아다니는 사람), circulator|키르쿨라토르la(이동 연예인 포함), institor|인스티토르la(사업 관리자)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3] 이들은 주로 사원, 극장, 목욕탕, 포럼 주변에서 저렴한 음식을 판매하며 유통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했다. 하지만 거리 외침은 종종 소음으로 여겨졌고, 로마 사회에서 소매업 전반에 대한 경시 풍조와 함께 행상인 역시 낮은 사회적 지위로 인식되어 특권층에게 경멸적인 취급을 받기도 했다.[4]
중세 시대의 행상인과 보따리 장수는 상인과는 다른 사회적 지위를 가졌으며 주변적인 존재로 여겨졌다.[6] 그러나 12세기와 13세기 잉글랜드 기록에 따르면, 근면한 행상인은 신분 상승을 통해 부유한 상인이 될 수도 있었다.[7]
19세기 런던에서는 노점상이 전성기를 맞이했다. 조직적이지는 않지만 도시 곳곳에서 활동하며 그들의 거리의 외침은 흔하게 들을 수 있었다.[23][24] R. White's Lemonade와 같은 회사는 1845년 손수레에 음료를 싣고 다니며 판매하는 노점에서 시작되었으며,[25] 잉글리시 머핀을 집집마다 판매하는 머핀맨도 흔한 풍경이었다.[26]
6. 1. 아시아
방글라데시의 수도 다카에서는 작은 찻집이나 푸츠카, 쳇포티 같은 인기 있는 음식 가판대 형태의 노점상들이 대학 캠퍼스, 버스 터미널, 시장 등 공공장소에서 시민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13] 이러한 노점상은 특히 도시 빈곤층에게 중요한 식량 공급원이 되며, 다카 비공식 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고용 기회를 제공한다.동남아시아에서는 다양한 노점 음식을 찾아볼 수 있다. 필리핀,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등지에서는 부화 직전의 오리알 요리인 발롯이 인기리에 판매되며, 시럽을 곁들인 연두부 요리 타호 역시 흔하게 볼 수 있다. 중국과 홍콩의 노점에서는 어묵, 쇠고기 경단, 부차이꼬, 구운 밤, 취두부 등을 주로 판매한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서는 노점 문화가 크게 발달하여, 많은 노점상들이 호커 센터라는 지정된 공간에 정착하여 영업하고 있다.
미얀마에서는 양곤의 차이나타운 노점상이 유명하며, 저녁 시간이 되면 보도 양쪽에 노점들이 길게 늘어서는 모습을 볼 수 있다.[48]
인도네시아의 노점 음식은 일반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도시 곳곳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 노점 음식은 대체로 맛이 강하고 매운 편이며, 튀김, 볶음밥, 볶음면, 프라이드 치킨 등이 주를 이룬다. 또한, 미트볼 수프인 박소, 소토 같은 국물 요리, 과일 샐러드인 루작도 인기가 많다. 많은 인도네시아 음식에는 땅콩 소스가 곁들여지는데, 가도가도, 케토프락, 사테 등이 대표적이다.[49]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노점은 정부의 규제 없이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위생 문제 등으로 노점 음식 문화를 규제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21] 반면, 홍콩에서는 임대 또는 면허를 받은 노점상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이동식 음식 문화가 위축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22] 홍콩에서는 단속 경찰을 피해 도망치는 노점상을 묘사하는 '자우 꿰이'(走鬼|zǒu guǐ중국어, 직역: 귀신에게서 도망치다)라는 속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6. 1. 1. 인도


인도의 주택 및 도시 빈곤 완화부에 따르면, 인도에는 약 1,000만 명의 노점상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는데, 뭄바이에는 25만 명, 델리에는 20만 명, 콜카타에는 15만 명 이상, 아흐메다바드에는 10만 명이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노점상 대부분은 도시로 이주한 이민자나 일자리를 잃은 해고 노동자들이다. 이들은 하루 평균 10시간에서 12시간씩 일하지만 여전히 빈곤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1990년대 이후 대부분의 소매업 분야에서 면허-허가 라지 제도가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노점상 분야에서는 이러한 규제가 인도 관료주의 속에서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뭄바이의 경우처럼 면허 발급 상한선(14,000개)이 현실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여, 많은 노점상들이 불법적으로 영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는 지역 경찰이나 시 당국에 의한 뇌물 수수, 갈취, 괴롭힘, 과도한 벌금 부과, 갑작스러운 퇴거 등의 위험에 노출되는 결과를 낳고 있다. 특히 콜카타에서는 과거 노점상이 인지 가능한 보석 불허 범죄로 취급되기도 했다.[11][12][13]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노점상들은 스스로 노동조합이나 협회를 조직하여 권익 보호에 나서기 시작했으며, 여러 NGO(비정부 기구)들도 이들을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델리에 본부를 둔 인도 전국 노점상 협회(NASVI)는 715개의 노점상 조직, 노동조합, NGO가 연합한 단체이다.[11] 콜카타에는 벵골 호커 협회와 캘커타 호커스 남성 연합이라는 두 개의 주요 노동조합이 활동하고 있다.
노점상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12년 9월에는 오랫동안 요구되어 온 노점상(생계 보호 및 노점 판매 규제) 법안이 로크 사바(인도 의회 하원)에 제출되었다. 이 법안은 노점상에게 사회 보장과 생계권을 보장하고, 만연한 면허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규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4][15] 법안은 2013년 9월 6일 로크 사바를 통과했고, 2014년 2월 19일에는 라지야 사바(상원)의 승인을 받았다.[16][17][18] 최종적으로 2014년 3월 4일 인도 대통령의 재가를 받아 법률로 제정되었다.[19] 그러나 2017년 4월 기준으로 이 법을 실제로 시행한 주는 단 3곳에 불과했다. 또한 이 법은 공공 공간과 노점상에 대한 관리 권한을 시 당국에 넘겨주었는데, 이는 노점상들이 행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려는 본래 취지와 달리, 오히려 더 엄격한 감시와 통제에 놓이게 하여 노점상들의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20]
6. 1. 2. 일본
일본에서 노점은 주로 도로, 광장 등 공공장소에서 간이 점포를 설치하고 영업하는 형태를 띤다.에도 시대에는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한 방편으로 행상(棒手売|봇테후리일본어)이 이루어졌으며, 음식을 중심으로 한 포장마차( 屋台|야타이일본어)도 성행했다. 당시의 포장마차는 지붕과 판매대는 물론, 간이 주방 설비와 손님용 의자까지 갖춘 형태였다. 또한, 과거 시(市)나 연일(縁日) 등에서 시절 상품을 팔던 상인이나 길거리 공연을 하던 마술사, 곡예사 등도 현재 포장마차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1949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을 점령 통치하던 GHQ는 공공 도로 위의 노점을 철거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에 따라 도쿄도 지사, 경시 총감, 소방 총감의 공동 명의로 노점 정리 통고서가 발부되었다. 다만, 산타마 지역, 도서부, 아사쿠사 공원 내 노점과 신문, 복권 판매, 구두닦이 업종은 이 정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44] 이 조치로 인해 약 6,000개의 노점이 문을 닫거나 다른 곳으로 이전해야 했다.[45]
현재 일본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노점 형태는 다음과 같다.
- '''구두닦이''': 서양식 가죽 구두 문화가 도입된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에서도 직업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후 부흥기에는 생계 수단으로 흔히 볼 수 있었으나, 생활 양식의 변화와 함께 현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 '''점쟁이''': 과거에는 노점이 주된 형태였으나, 최근에는 고정된 점포를 가진 경우도 많다. 하지만 여전히 도심에서는 좌판 하나로 노점에서 영업하는 점쟁이를 볼 수 있다.
- '''칼갈이''': 일본식 칼, 재단 가위, 일본 면도칼 등을 갈아주는 직업이다. 목수 등 칼 가는 기술이 서툴거나 고가의 칼을 가진 사람들이 주로 이용했다. 과거에는 어느 마을에서나 상점가 등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서 흔히 볼 수 있었으나, 현재는 금속상 등이 겸업하는 정도로 그 수가 크게 줄었다.
- '''군밤 노점''': 축제에서도 볼 수 있지만, 역 앞 등에서 상시적으로 영업하는 경우가 많다. 도쿄 가부키자 앞의 군밤 노점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는 중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노점 형태이다.
6. 2. 유럽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아카데미아 다리 근처 광장 등에서는 아프리카계와 아시아계 상인들의 노점상이 유명하다.[46] 프랑스 파리의 클리냥쿠르에는 약 3,000개의 노점상이 늘어서 있으며, 파리에서 가장 큰 규모의 벼룩시장이 형성되어 있다.[47]6. 3. 라틴 아메리카

라틴 아메리카의 노점상은 현지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로 vendedores ambulantes|벤데도레스 암불란테스es("이동 판매상") 또는 단순히 ambulantes|암불란테스es로 알려져 있으며, 이 용어는 이탈리아에서도 사용된다. 아르헨티나에서는 manteros|만테로스es라고 불리며, 브라질에서는 camelôs|카멜로스pt라고도 한다. 일부 ambulantes|암불란테스es는 고정된 장소에 자리를 잡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이동식이다. 일부 노점상들은 가가호호로 상품을 판매하기도 한다.[27] Puestos|푸에스토스es는 시장 노점 또는 가판대를 의미한다.
노점상은 다양한 규제와 수수료에 직면하며,[28] 기존 상인과의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뇌물 수수도 문제이며, 많은 판매상이 불법적으로 영업을 한다.[29] 관광객이나 쇼핑객이 몰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노점상들은 구역을 정하고 숫자를 제한하기도 하지만, 상품을 훔치는 도둑도 문제일 수 있다.[30]
쿠바 음악과 라틴 아메리카 음악에서 pregón|프레곤es(발표 또는 거리 판매자의 외침)은 거리 판매자가 상품을 외치는 소리(canto de los vendedores ambulantes|칸토 데 로스 벤데도레스 암불란테스es)에 기반한 노래 유형이다.[36]
안티구아 과테말라에서는 마야인(카치켈족 포함) 및 라디노 민족 출신의 많은 여성들이 수공예품을 판매한다. 일부는 huipil|우이필es(블라우스) 및 corte|코르테es(치마 형태의 직물)와 같은 직물을 판매한다.[30]
멕시코시티의 노점상은 아스텍 시대부터 존재해 왔으며, 정부는 이를 통제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2007년에는 도심 거리의 노점상들을 정비했으나, 수천 명의 노점상들이 여전히 불법적으로 존재하고 있다.[37] 2003년에는 멕시코시티에 199,328명의 노점상이 있는 것으로 추산되었다.[38] 오아하카에는 많은 토르티야 노점상들이 있다.[27] 오아하카에서는 상품을 사서 이윤을 남기고 되파는 사람들을 regatones|레가토네스es(흥정꾼)라고 부른다.
페루에서는 2021년 12월 아레키파에서 노점상들을 상대로 물대포가 사용되었다. 많은 노점상들은 선인장, bordado|보르다도es(자수) 및 pollera|폴레라es(자수 치마)를 포함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시골 지역에서 온다.[39]
6. 3. 1.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의 노점상들은 담요를 뜻하는 스페인어 단어 mantaes에서 유래한 manteros|만테로스es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다양한 제품을 비공식적으로 판매하며, 대부분 담요 위에 상품을 놓고 판매한다. 만테로스는 주로 서류가 없는 불법 이민자이거나 인신매매 피해자로, 강제 노동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31] 이들은 온세 기차역, 레티로 기차역, 플로리다 거리와 같이 유동 인구가 많은 장소의 인도에서 활동한다. 이러한 상행위는 일반 소매점과의 불법적인 경쟁을 유발하기도 한다.[31] 아베야네다 거리의 상점들은 만테로스의 존재로 인해 크리스마스 및 연휴 기간에 2억아르헨티나 페소의 손실을 볼 것으로 추산하기도 했다.[32]
아르헨티나 중소기업 연맹(Confederación Argentina de la Mediana Empresaes, CAME)에 따르면, 2013년 12월 기준으로 온세 지역에서만 463명의 만테로스가 활동했으며, 이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전체 만테로스의 16.8%에 해당한다. 당시 부에노스아이레스 전체 만테로스의 하루 총 판매액은 3억아르헨티나 페소, 온세 지역은 5200만아르헨티나 페소에 달했으며, 만테로스 한 명은 하루에 2천아르헨티나 페소에서 3.5천아르헨티나 페소를 벌 수 있었다.[31] 만테로스는 종종 다른 지역 소매점들의 암묵적인 도움을 받기도 하는데, 일부 소매점들은 창고 사용이 금지되어 있음에도 밤에 만테로스의 상품을 보관해주기도 한다.[31]
부에노스아이레스 시 정부는 일반적으로 경찰 급습을 통해 만테로스를 단속하려 하며, 인도에서 이들을 몰아내고 상품을 압수한다. 경찰은 2014년 1월, 만테로스의 상품을 보관하는 불법 창고에 대한 35건의 압수 수색을 성공적으로 실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단속에도 불구하고 만테로스는 급습 후 며칠, 때로는 몇 시간 만에 다시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정부는 지속적인 단속을 통해 만테로스를 지원하는 조직을 약화시키려 하고 있다.[31] 만테로스는 정부의 급습에 시위로 대응하기도 한다.[33]
6. 3. 2. 브라질

'''카멜루'''(camelô|카멜루por)는 브라질 주요 도시에서 노점상을 가리키는 브라질 포르투갈어 단어이다.
법 집행 기관은 종종 카멜루와 충돌하는데, 이는 주로 아시아에서 수입된 저품질 제품 판매, 보도와 보행자 통행을 방해하는 등 공공 장소를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문제, 그리고 허가받은 소매상이 지불하는 것과 동일한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이유 때문이다. 카멜루의 존재는 높은 실업률의 결과로 여겨지기도 하며, 이들의 생활 방식은 "준실업" 상태로 묘사되기도 한다. 많은 카멜루는 자신이 판매하는 제품이 저품질임을 알면서도 높은 가격을 매기는 경우가 있다.
이 단어는 "저품질 상품 상인"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camelot''에서 유래했으며, "마헤테이루"(marreteiro|마헤테이루por)라는 용어도 때때로 사용된다. 카멜루와 소위 "아물란치"(ambulante|아물란치por)의 차이점은 카멜루는 특정 보도에 고정된 "상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아물란치는 지역 전체를 돌아다니며 상품을 판매한다는 점이다.
6. 4. 북아메리카
(내용 없음)7. 유형
노점상은 물건을 팔기 위해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는 길거리 판매상을 의미한다.[1] 행상인, 보부상 등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노점상은 특히 이동성을 특징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공장소에 임시 판매대를 설치하는 보부상 등과는 구별된다. 또한, 노점상은 주로 솔이나 조리 기구처럼 썩지 않는 물품을 판매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채소 장수는 신선한 농산물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제품 시연이나 상세한 설명이 동반될 경우, 노점상은 시연자나 판매원으로 불리기도 한다.
사회 평론가 헨리 메이휴는 노점상 또는 보부상이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무역 형태 중 하나이며, 과거에는 주로 직물을 다루었다고 언급했다. 메이휴는 노점상, 행상인, 보부상을 모두 순회 판매원으로 분류하면서도 이들 간의 명확한 구분이 어렵다고 보았다. 그는 1861년 당시 영국에 14,038명, 스코틀랜드에 2,561명, 웨일스에 624명의 허가받은 보부상이 있었다고 추정했다.[2]
노점상은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 영업하는 시간대, 가게의 형태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7. 1. 상품에 따른 분류
주로 음료나 음식, 거리 공연 이외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점상을 다룬다. 음식과 음료 관련 노점상은 포장마차 문서를, 거리 공연 관련 노점상은 거리 공연 문서를 참조하면 좋다.
잡화 노점상
- 휘발유 판매: 주로 오토바이를 주요 교통수단으로 사용하고 오토바이 택시가 활성화된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볼 수 있다. 페트병 등에 휘발유를 소분하여 길가에서 판매하는 형태이다.
- 꽃 판매: 역사적으로 오래된 형태의 노점상이며, 문학 작품 등에서도 자주 등장한다. 현대에는 일부 개발 도상국에서 아동 노동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기도 한다.
- 담배 판매: 개발 도상국을 중심으로 가판대나 선반에 담배를 진열해 판매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인도나 필리핀 등에서는 담배를 갑 단위가 아닌 한 개비 단위로 판매하기도 한다.
- 과자 판매: 껌, 사탕, 양념된 땅콩 등 다양한 종류의 과자를 판매하며, 주로 개발 도상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지하철 내부를 돌아다니며 판매하기도 한다. 꽃 판매와 마찬가지로 아동 노동 문제와 연관되기도 한다.
- 지도 판매: 중화인민공화국 등의 국가에서는 기차역, 공항, 항구, 버스터미널 등 교통 요충지에서 지도를 판매하는 노점상을 자주 볼 수 있다. 지하철 안에서 판매하거나 신문 판매를 겸하는 경우도 있다.
- 교자, 완탕 판매: 중국에서는 길거리에서 직접 만들면서 생으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서비스 노점상
- 신체 측정: 서양의 유원지나 축제에서 볼 수 있던 유료 체중계가 인도와 동남아시아 등지로 퍼져나가 개인이 노점 형태로 운영하는 경우가 있다. 고정된 장소에서 하거나 이동하며 영업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키까지 측정 가능하고 이동이 편리한 경량 기계가 보급되면서 중국 등에서도 이동식 신체 측정 노점상을 볼 수 있다.
- 혈압 측정: 중남미 지역의 공원 등에서 휴일에 자주 볼 수 있으며, 주로 정식 자격을 갖춘 간호사가 부수입을 위해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 이발소: 개발 도상국의 공원이나 길거리에서 야외 영업을 하는 이발소를 흔히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머리카락을 자르는 서비스만 제공하지만, 드물게 물통 등을 이용해 면도나 샴푸까지 해주는 곳도 있다.
- 잔털 제거: 이발소에서 겸하는 경우도 있지만, 물이 부족하거나 없는 환경에서는 두 개의 실을 꼬아 잔털을 뽑거나 알코올 등으로 잔털을 태워 제거하는 방식의 노점상도 존재한다.
- 마사지: 중화권 국가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보통 손님을 의자에 앉혀 상반신 위주로 마사지를 제공한다. 동남아시아의 해변 휴양지에서는 수건과 오일만 가지고 해수욕객에게 전신 마사지를 제공하는 간편한 형태의 영업도 이루어진다.
- 네일 케어: 마사지사가 겸업하는 경우가 많으며, 별도 요금을 받는다.
- 귀 청소: 중국의 쓰촨성이나 구이저우성 등지에서 전문적으로 귀 청소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점상을 볼 수 있다.
- 기타 수리 및 기술 서비스:
- 타이어 펑크 수리
- 의류 수선 (리폼)
- 집 수리, 리모델링, 도색 (특히 중국에서는 동종 업자들이 특정 장소에 모여 손님을 기다리는 경우가 많음)
- 가방, 신발 수선
- 조리기구 주물 제작 및 보수
- 열쇠 복사
7. 2. 일본 노점의 형태
노점은 출점하는 날, 시간대, 가게의 구조, 입담 등에 따라 분류된다.[44]; 출점일
: 상설 또는 일상적으로 출점하는 것(평일 노점), 연일 등 정해진 날에 출점하는 것, 견본시나 박람회 등에 임시로 출점하는 것이 있다.[44]
; 시간대
: 노점을 여는 시간대에 따라 아침 시장, 낮 가게, 밤 가게로 나뉜다.[44]
; 가게의 구조
: 가게의 구조에는 삼촌(三寸), 소점(小店), 비타, 포장마차 등이 있다.[44]
:* 삼촌 - 연일의 야키소바 가게처럼 대(臺)를 사용하는 점포[44]
:* 소점 - 삼촌보다 작은 대를 사용하는 점포[44]
:* 비타 - 땅에 돗자리 등을 깔고 상품을 진열하여 판매하는 점포[44]
:* 포장마차 - 주로 음식점에서 사용된다[44]
; 입담
: 입담이 있는 탄카(啖呵売)와 말하는 것이 거의 없는 무탄카(ナシオト)가 있다.[44]
8. 노점 문화와 관련된 문제점 및 해결 방안
한국에서 관청의 허가를 별도로 받지 않은 노점은 불법이며,[50] 이에 따라 단속이 이루어지고 있다.[51] 노점 운영과 관련된 구체적인 문제점 및 해결 방안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8. 1. 문제점
한국에서 관청의 허가를 받지 않고 운영하는 노점은 불법으로 간주된다.[50] 이러한 이유로 한국에서는 허가 없이 운영되는 불법 노점에 대해 단속을 시행하고 있다.[51]8. 2. 해결 방안
한국에서는 관청의 허가를 받지 않은 노점은 원칙적으로 불법으로 간주된다.[50] 이에 따라 허가 없이 운영되는 노점에 대해서는 단속이 이루어지고 있다.[51]전통적으로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국가들의 사회경제 구조에 깊이 뿌리내렸던 노점상은 최근 수십 년간 선진국으로 확산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노점상은 완전히 합법적인 형태부터 불법적인 형태까지 넓은 스펙트럼 위에 존재하며, 그 활동이 반드시 비공식 경제 영역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비공식적인 형태로 운영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노점상에 대한 다양한 사회-인류학적 연구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회적 역할이나 제도적 인정 여부에 따라 합법적이거나 제도적으로 인정받는 '인정된 노점상', 활동이 산발적이고 종종 인정을 받지 못하는 '일시적 노점상', 활동의 정당성이 부족한 '은밀한 상인'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이동성에 따라 고정된 장소에서 운영하는 '고정 노점상', 임시 구조물을 사용하는 '반고정 노점상', 여러 장소를 이동하며 운영하는 '이동 노점상'으로 구분된다.
M. 메네게티(M. Meneghetti)에 따르면, 비공식 노점 행위는 때때로 특정 개인이나 집단이 겪는 사회적, 법적, 문화적, 경제적 또는 정치적 어려움(실제적이든 인식된 것이든)에 적응하고 기능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복잡하고 유연한 대리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8] 이러한 점은 노점 문제 해결을 위해 단속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을 고려한 접근 방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Hawker
https://www.collinsd[...]
[2]
서적
London Labour and the London Poor
1861
[3]
간행물
Representations of food hawkers in Ancient Rome
Routledge
2016
[4]
간행물
Representations of food hawkers in Ancient Rome
Routledge
2016
[5]
서적
Medieval Market Morality: Life, Law and Ethics in the English Marketplace, 1200–15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6]
서적
Medieval Market Morality: Life, Law and Ethics in the English Marketplace, 1200–15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7]
서적
Medieval Market Morality: Life, Law and Ethics in the English Marketplace, 1200–15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8]
서적
Sogni sospesi: vite ambulanti e vulnerabilità nelle strade del mondo. Uno studio etnografico in Colombia.
https://www.amazon.i[...]
2023
[9]
뉴스
Why African cities are full of street vendors and hawkers – and how we can create better jobs
http://mgafrica.com/[...]
2017-11-14
[10]
웹사이트
Lagos Street Vendors and Informal Economy in Africa {{!}} Africa from Africa
http://blog.iese.edu[...]
2017-11-14
[11]
뉴스
Street Vendors: Tabled in Parliament's last session, this Bill could bring security to our urban poor
http://www.livemint.[...]
Mint, Lounge
2012-11-02
[12]
뉴스
Reclaiming the city for street vendors
http://www.thehindu.[...]
2012-11-03
[1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bip.org.b[...]
2018-09-09
[14]
뉴스
Bill in Lok Sabha to protect rights of street vendors
http://articles.econ[...]
The Economic Times
2012-09-06
[15]
뉴스
Govt introduces street vending bill in Lok Sabha
https://timesofindia[...]
2012-09-07
[16]
뉴스
Street Vendors Bill passed in Rajya Sabha
http://www.thehindu.[...]
2014-02-20
[17]
뉴스
Parliament nod to bill to protect rights of urban street vendors
http://economictimes[...]
2014-02-20
[18]
뉴스
Street Vendors (Protection of Livelihood and Regulation of Street Vending) Bill, 2012 passed by Lok Sabha
http://pib.gov.in/ne[...]
2014-02-20
[19]
웹사이트
Gazette Notification
http://egazette.nic.[...]
Gazette of India
2014-03-07
[20]
논문
Laws Pertaining to the Rights of Street Vendors in India: An Analysis
2015
[21]
웹사이트
Street foods in developing countries: lessons from Asia
https://www.fao.org/[...]
2024-03-23
[22]
서적
Hong Kong Legal Principles: Important Topics for Students and Professionals
2006
[23]
서적
The Victorian Underworld
Penguin
1970
[24]
서적
London Labour and the London Poor
1851–1861
[25]
서적
Principles of Marketing
Pearson Education
2010
[26]
서적
Oxford Companion to Food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7]
서적
The Peasant Marketing System of Oaxaca, Mexico
https://books.google[...]
[28]
웹사이트
Diario de sesiones – Uruguay. Asamblea General. Cαmara de Representantes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2018-03-26
[29]
서적
Reconstructing Criminality in Latin America
https://books.google[...]
[30]
서적
Economies and the Transformation of Landscape
https://books.google[...]
[31]
뉴스
Manteros, mafias y delitos
http://www.lanacion.[...]
2014-02-12
[32]
뉴스
Flores: la policía metropolitana desalojó a los manteros de Avellaneda con balas de goma
http://www.lanacion.[...]
2014-02-12
[33]
뉴스
Después de los cortes matinales, los manteros volvieron a protestar por la noche
http://www.lanacion.[...]
2014-02-12
[34]
웹사이트
Jamaica Glossary of Terms
http://www.jamaicans[...]
[35]
논문
A Theory of Petty Trading: The Jamaican Higgler
https://www.jstor.or[...]
1996
[36]
서적
Diccionario enciclopédico de la música en Cuba
La Habana
2007
[37]
뉴스
"Toreros", un mal del Centro Histórico
http://www.maspormas[...]
Más por Más
2013-02-18
[38]
간행물
Redes sociales y comercio en vía pública en la Ciudad de México
https://www.academia[...]
[39]
서적
Gender and the Boundaries of Dress in Contemporary Peru
https://books.google[...]
[40]
웹사이트
The Stadium Vendor Hierarchy
http://www.joesports[...]
[41]
웹사이트
Nine Famous Baseball Stadium Vendors
https://web.archive.[...]
Mentalfloss.com
2013-08-18
[42]
서적
A Dictionary of Old Trades, Titles and Occupations
https://www.scribd.c[...]
Countryside Books
2005
[43]
뉴스
Attacked An All-Hot Man
1913-11-21
[44]
논문
都市空間における露店の意義の再考 原宿表参道における出店の実態から
https://doi.org/10.1[...]
公益社団法人 日本都市計画学会
[45]
서적
増補新版 現代世相風俗史年表 昭和20年(1945)-平成20年(2008)
河出書房新社
[46]
서적
るるぶイタリア’17
JTB
[47]
서적
るるぶパリ’16
JTB
[48]
서적
るるぶミャンマー(2015)
JTB
[49]
뉴스
インドネシア、露天商は商魂たくましく
https://www.sankeibi[...]
SankeiBiz
2021-09-16
[50]
문서
대한민국 도로교통법 68·71·72조 등과 식품위생법 22조 참조
[51]
뉴스
서울시 불법노점 대대적 정비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연합뉴스 인용)
2003-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