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티는 주로 한가위 전날 밤에 만들어 추석 저녁에 달 구경을 하며 먹었던 풍속 음식이다. 찹쌀, 찰기장, 차조, 찰수수 등 햇곡식으로 만들었으며, 엿기름을 섞어 반죽하여 찌거나 익반죽하여 번철에 지져 먹었다. 찹쌀노티는 찹쌀가루에 엿기름을 섞어 찐 후 삭혀서 지지고, 기장노티는 찰기장을 가루로 빻아 엿기름과 섞어 찐 후 지진다. 수수노티는 찰수수를 익반죽하여 번철에 지져 만들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떡 - 백설기
  • 떡 - 시루떡
    시루떡은 멥쌀이나 찹쌀을 주재료로 여러 곡물과 함께 찌는 한국 전통 떡으로, 만드는 방법에 따라 설기떡과 켜떡으로 나뉘며 고사떡이나 잔치 등 다양한 행사에 사용된다.
  • 한국 요리 - 호박죽
    호박죽은 늙은 호박이나 단호박을 삶아 으깬 후 찹쌀가루 등을 넣어 끓여 만든 한국 전통 음식이다.
  • 한국 요리 - 애호박
    애호박은 한국 요리에서 볶음, 전, 찌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는 채소이며, 말린 형태인 호박고지는 볶음이나 나물로 조리되고 궁중 요리에도 사용된다.
노티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노티
노티
다른 이름노치
놋티
놋치
나라한국
지역황해도
평안도
나라별 요리한국 요리
종류
전병
지짐
코스간식
주 재료찹쌀·찰기장·차조·찰수수
엿기름
참기름
기타추석 음식

2. 풍속

한가위 전날 밤 솥뚜껑을 엎어놓고 노티를 지져서 단지항아리에 담아 두었다가, 다음 날인 추석 저녁에 꺼내어 꼬치에 꿴 뒤 달 구경을 하며 먹는 풍속이 있었다.[6] 이때 만든 노티는 저장성이 좋아 몇 달이 지나도 상하지 않아 성묘에 쓰거나 이듬해 여름까지 간식으로 먹기도 했다.[7] 가을걷이 때 하나씩 꺼내 먹으며 당분을 섭취하기도 했다.[6]

3. 만들기

노티는 햇곡식으로 만들며, 찹쌀, 찰기장, 차조, 찰수수 등 다양한 찰곡식이 사용된다.[4]

3. 1. 찹쌀노티

찹쌀가루에 엿기름을 섞어 물을 뿌린 다음 백설기 만들듯이 버무려 덩어리가 없게 비벼 찐다.[4][8] 찌는 대신 찹쌀가루를 익반죽하기도 한다.[3] 찐 떡이 식으면 엿기름을 더 섞어서 몇 시간 삭히고, 삭힌 반죽을 동글납작하게 빚어서 참기름을 두른 번철에 두 면이 노릇노릇하도록 지진다.[3][4][8] 설탕을 넣지 않아도 달지만,[2] 완전히 식힌 다음 설탕이나 꿀을 뿌려 단지에 넣었다가 며칠 지나서 노긋노긋해지면 먹는다.[7]

3. 2. 기장노티

불린 찰기장을 가루로 빻아 엿기름과 섞어 찐다.[7] 쪄낸 떡에 다시 엿기름을 버무려 삭힌 다음, 참기름을 두른 번철에 조금씩 떠놓고 약불로 지진다.[7]

3. 3. 수수노티

껍질을 벗겨 물에 불린 찰수수를 소쿠리에 받쳐 물기를 뺀 다음 가루로 빻아 소금 간을 한 다음 체에 내린다.[5] 수수 가루를 송편 반죽 정도로 익반죽한 뒤, 참기름을 두른 번철에 넓게 펴가면서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지진다.[5] 약한 불에서 천천히 오랫동안 지져 속까지 잘 익은 노티는 밑바닥이 평평한 그릇에 담아 모양을 바로한다.[5]

참조

[1] 웹인용 노티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7-11-14
[2] 웹인용 노티 http://www.doopedia.[...] (주)두산 2017-11-14
[3] 웹인용 노티 http://folkency.nfm.[...] 국립민속박물관 2017-11-14
[4] 웹인용 노치 https://web.archive.[...] 조선료리협회 2017-11-14
[5] 웹인용 수수노티 http://www.doopedia.[...] (주)두산 2017-11-14
[6] 웹인용 노치 https://web.archive.[...] 조선료리협회 2017-11-14
[7] 웹인용 노티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11-14
[8] 웹인용 찹쌀노치 https://web.archive.[...] 조선료리협회 2017-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