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송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송편은 멥쌀가루를 반죽하여 소를 넣고 찐 한국의 전통 음식이다. 햅쌀로 빚은 송편은 차례상에 올리며, 지역과 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서울은 조개 모양, 황해도와 강원도는 손가락 자국을 낸 모양이 특징이며, 팥, 깨, 콩, 밤 등을 소로 사용한다. 송편은 추석에 가족과 이웃 간에 나누어 먹으며, 풍요와 소원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석 음식 - 적 (음식)
    고기를 꼬챙이에 꿰어 굽거나 기름에 지진 한국 요리인 적(炙)은 맥적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 재료와 조리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고 고기, 생선, 채소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다.
  • 추석 음식 - 밴새
    밴새는 주로 북한과 중국 옌볜에서 먹는 음식으로, 북한에서는 추석에 잎 가루 반죽에 소를 넣어 쪄 먹고, 옌볜에서는 춘절에 나물 만두 형태로 먹으며, 찹쌀가루 등으로 만들어 다양한 방식으로 섭취하는 한편, 대중문화에서 기괴한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 소를 넣은 떡 - 부꾸미
    부꾸미는 찹쌀가루와 멥쌀가루 반죽에 팥고물을 넣어 지져 만든 한국 전통 음식이다.
  • 소를 넣은 떡 - 개피떡
    개피떡은 찹쌀가루 반죽에 거피팥소를 넣어 만드는 떡으로, 갑피병 또는 가피떡에서 유래했으며, 쑥, 참취, 적송 내피 등으로 다양한 색을 내고, 로스앤젤레스 지역 한인들은 녹두 소를 넣은 변형을 즐겨 먹는다.
  • 떡 - 백설기
  • 떡 - 시루떡
    시루떡은 멥쌀이나 찹쌀을 주재료로 여러 곡물과 함께 찌는 한국 전통 떡으로, 만드는 방법에 따라 설기떡과 켜떡으로 나뉘며 고사떡이나 잔치 등 다양한 행사에 사용된다.
송편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송편
송편
종류
관련 음식추석
영양 정보
1인분8개
열량220 kcal
한국어 정보
한국어송편
로마자 표기songpyeon
일본어 정보
일본어 (가타카나)ソンピョン
일본어 (히라가나)しょうへい
재료
주재료쌀가루, 솔잎
부재료소금, 참기름, 참깨, , , 녹두, 밤
조리 정보
제공 온도15-25 °C

2. 역사

송편은 한국 가정의 추석 명절에 꼭 필요한 음식이다. 전통적으로 갓 수확한 쌀로 만든 송편은 차례 때 풍성한 수확에 감사하며 조상에게 바치는 음식이었다.[13] 또한 송편은 가족이나 이웃과 나누어 먹었는데, 이는 존경의 표시이자 불운을 막으려는 노력이었다.[14]

송편은 갓 수확한 과일이나 토란 등과 함께 차례상에 올려졌다. 이 음식들은 각각 하늘, 땅, 땅속의 열매를 상징한다.[15] 햅쌀로 만든 '햅쌀 송편'은 차례상과 묘소에만 올렸다. 송편은 색깔에 따라 흰 송편, 쑥 송편, 솔잎 송편 등으로 나뉘며, 속에는 콩, 팥, 깨, 밤, 대추 등을 넣는다.[13] 솔잎을 넣어 만든 송기 송편도 별미다.[12] 지역에 따라 모양도 다른데, 서울은 조개 모양, 황해도와 강원도는 손가락 자국을 낸 큰 모양이다.

송편은 달과 소원을 상징하기도 해서, 만들 때 소원을 빌기도 한다.[13] 예쁜 송편을 빚으면 좋은 배우자를 만나거나 예쁜 아기를 낳는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16]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정월 망월에 농가에서 송편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12] 농가에서는 풍년을 기원하며 곡식 이삭을 장대에 매달아 두었다가, 중화절 (2월 1일)에 이 곡식으로 송편을 빚어 노비들에게 나이 수대로 나누어 주었다. 이때 송편은 '나이떡'이라고도 불렸다.[12] 음력 8월 추석에는 햅쌀로 송편을 만들어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했다는 풍습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12]

2. 1. 의자왕 설화와 송편의 모양

송편이 보름달이 아닌 반달 모양을 갖게 된 이유에 대한 많은 이야기가 있다. 가장 흔한 믿음은 한국의 조상들이 둥근 모양의 보름달은 기울기만 할 수 있지만, 반달은 채워질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풍요와 번영의 징조로 여겨진다.[7] 송편은 속을 채워 접기 전에는 보름달 모양과 같지만, 접으면 반달 모양으로 변한다.[2]

이와 관련하여 의자왕 시대의 역사적인 일화가 전해진다. 백제 마지막 왕 의자왕 때 왕 앞에 "백제가 망한다"라고 말하는 귀화가 나타났고, 귀화가 사라진 곳을 파보니 거기서 "백제는 보름달이고 신라는 반달이다"라는 글자가 새겨진 거북이가 나타났다. 왕은 그 의미를 알 수 없어 점쟁이에게 점을 쳐보니 "보름달은 언젠가 기울지만 반달은 차오른다"—즉, 백제는 몰락하고 신라는 번영한다는 의미라고 해석했지만, 불쾌하게 여긴 왕은 점쟁이를 처형했다. 그리고 백제는 충실하게 번영하고 신라는 절반만 차오르고 쇠퇴한다는 신하의 말에 따랐다. 그러나 점점 소문이 서민들에게 퍼지면서 신라 사람들은 나라의 번영을 바라며 반달 모양의 떡을 만들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송편의 모양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12]

또 다른 한국 일화는 송편을 예쁘게 빚는 사람은 좋은 배우자를 만나거나 예쁜 아기를 낳을 것이라고 한다.[8]

3. 종류

송편은 소와 색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멥쌀가루를 반죽할 때 넣는 재료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는데, 흰색은 아무것도 넣지 않은 것이고, 쑥을 넣으면 녹색, 송기를 넣으면 붉은색, 치자를 넣으면 노란색이 된다. 속 재료로는 팥, 콩, 깨, 밤, 대추, 꿀 등이 사용된다.

서울에서는 송편을 조개처럼 빚는 반면, 황해도강원도 등지에서는 손가락 자국을 내어 크게 만든다. 최근에는 꽃이나 호박 모양 등 창의적인 형태로 만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송편은 반달 모양이며, 솔잎을 깔고 쪄내어 독특한 맛과 향을 낸다.

3. 1. 소에 따른 분류

송편은 소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주로 사용되는 재료는 다음과 같다.

  • 팥고물
  • 깨고물
  • 콩고물
  • 대추


최근에는 , 녹두, , 깨 또는 꿀 등을 넣어 만들기도 한다.[13]

3. 2. 색에 따른 분류

송편은 색깔에 따라 흰송편, 쑥송편, 솔기송편 등으로 나뉜다. 최근에는 다양한 색깔과 모양의 송편이 만들어지고 있다. 서울은 작고 오색, 즉 다섯 가지 색깔을 가진 송편으로 유명하며, 흰색, 갈색, 분홍색, 녹색, 노란색의 다섯 가지 색깔은 자연의 조화를 나타낸다.

색깔재료
흰색색소 첨가물 없음
갈색계피
분홍색딸기 또는 오미자 시럽
녹색
노란색치자 씨앗[13]


3. 3. 지역별 분류

충청도는 이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는 호박을 이용한 호박 송편으로 유명하다. 호박을 말려 가루로 만든 후 쌀가루와 섞어 반죽을 만든다.[3] 떡은 종종 작은 호박 모양으로 만들어지며, 그 결과 밝은 색깔과 달콤한 맛을 가진다.

강원특별자치도감자와 참나무의 도토리가 풍부하여 감자 송편과 도토리 송편으로 유명하다. 이 떡들은 각각 감자 전분과 도토리 가루로 만들어진다.[7] 이 지역의 송편은 일반적으로 손가락으로 눌러 만든 굴곡이 있는 평평한 모양이며, 강릉시에서는 떡에 손자국을 남기기도 한다.[9]

경상도에서 만들어지는 송편은 다른 지역의 송편보다 크기가 더 크다. 이 지역에서 인기 있는 송편 종류는 찐 모시 잎을 삶아 떡에 넣어 더 건강하게 만든 모시 송편이다.[3]

제주도의 전통적인 송편 소는 완두콩을 설탕에 절인 것이다. 송편은 때때로 화산 분화구처럼 움푹한 중심을 갖도록 모양을 만들며, 찐 후에 팬에 굽는 경우가 많다.[7]

전라남도의 송편은 때때로 전분을 함유하는데, 이는 쌀가루와 혼합하여 떡 반죽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전라남도는 또한 천연 염료로 만들어 손이나 틀을 사용하여 꽃 모양을 내는 꽃송편으로도 유명하다.[7]

서울은 작고 오색, 즉 다섯 가지 색깔을 가진 송편으로 유명하다. 흰색, 갈색, 분홍색, 녹색, 노란색의 다섯 가지 색깔은 자연의 조화를 나타낸다. 흰색 송편은 색소 첨가물이 없지만, 다른 색깔들은 계피(갈색), 딸기 또는 오미자 시럽(분홍색), (녹색), 치자 씨앗(노란색)과 같은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다.

평안도의 전통적인 송편은 조개송편이다. 이 송편의 이름은 조개 모양에서 유래되었으며, 소는 참깨, 설탕, 간장으로 구성된다.[5]

4. 만드는 법

송편은 쌀가루를 소금과 뜨거운 물로 반죽하여 만든다. 반죽이 부드러워질 때까지 충분히 반죽한다.[12][13] 반죽을 작은 조각으로 떼어내어 둥글게 굴린 다음, 엄지손가락으로 가운데를 눌러 움푹하게 만든다.[13] 선택한 소를 움푹한 곳에 넣고 공 모양으로 다시 닫아 모양을 낸다.[13] 떡은 솔잎 위에 올려 약 20~30분 동안 찐다.[3][13] 찐 떡은 찬물에 헹궈 쫄깃한 식감을 유지하고, 물기를 닦아낸 후 참기름을 발라 마무리한다.[3][13]

솔잎 위에 떡을 찌면 독특한 맛과 향이 나며, 떡이 쪄지는 동안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3][15] 또한 소나무는 다량의 피톤치드를 생성하므로, 이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죽이고, 테르펜의 존재로 인한 부패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7][13]

동의보감에 따르면, 솔잎은 음식에 약효를 발휘한다고 한다.[5][14]

5. 문화적 의미

송편은 한국의 추석 명절에 빠질 수 없는 음식이다. 전통적으로 송편은 갓 수확한 쌀로 만들어 차례(차례)라는 조상 숭배 의식에서 풍성한 수확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추석 아침에 조상에게 올렸다.[3] 송편은 또한 가족 구성원과 가까운 이웃에게도 제공되는데, 이는 존경의 표시이며 가족 내의 불운을 피하려는 노력으로 여겨진다.[5][6]

송편은 갓 수확한 과일과 토란을 포함한 다른 음식과 함께 상에 차려지는데, 이 세 가지 음식은 각각 하늘의 열매, 땅의 열매, 지하의 열매를 상징한다.[7]

송편은 달과 소원을 상징한다고 하며, 사람들은 송편을 만들고 먹으면서 소원을 빌곤 한다.[3] 송편이 보름달이 아닌 반달 모양을 갖게 된 이유에 대한 많은 이야기가 있는데, 가장 흔한 믿음은 한국의 조상들이 둥근 모양의 보름달은 기울기만 할 수 있지만, 반달은 채워질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풍요와 번영의 징조로 여겨진다.[7] 송편은 속을 채워 접기 전에는 보름달 모양과 같지만, 접으면 반달 모양으로 변한다.[2]

송편의 반달 모양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백제 의자왕 시대의 역사적인 일화에서 유래한다. 그 일화에서, 거북이가 "신라는 반달이다"라고 새겨진 등을 하고 궁궐에 나타났는데, 이는 왕국에 대한 희망찬 미래를 나타내는 것이었다.[2]

또 다른 한국 일화는 송편을 예쁘게 빚는 사람은 좋은 배우자를 만나거나 예쁜 아기를 낳을 것이라고 한다.[8]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송편은 정월 망월 날 농가에서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12] 농가에서는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로 집집마다 긴 장대에 곡물의 이삭을 매달아 정문 입구에 세워두었다가, 중화절 (2월 1일)에 이것으로 송편을 만들어 노비에게 나이 수대로 나눠주는 풍습이 있었고 이때 송편은 '''나이떡''' (세떡)이라고도 불렸다.[12] 그리고 음력 8월 추석에는 햅쌀로 송편을 만들어 차례를 지내고, 조상 묘소를 찾아 성묘를 했다고 하며 이 풍습이 그대로 현재의 추석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12]

6. 갤러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Food Recipes - Songpyeon http://www.hansik.or[...] Korean Food Foundation 2017-04-21
[2] 웹사이트 한식진흥원 : Where does this Songpyeon come from? http://www.hansikmag[...] 2023-03-16
[3] 뉴스 Enjoy Flavors of Songpyeon https://www.koreatim[...] 2019-12-08
[4] 웹사이트 Regional Variances of Songpyeon, a Chuseok Staple https://guide.michel[...] 2023-03-16
[5] 웹사이트 Korean recipes: Songpyeon varieties across Korea, part 1 http://www.korea.net[...] 2019-12-08
[6] 웹사이트 10 Secrets About Korean Thanksgiving Food https://chuseok.org/[...]
[7] 웹사이트 Regional Variances of Songpyeon, a Chuseok Staple https://guide.michel[...] 2019-12-08
[8] 웹사이트 Traditional Korean Holiday, Chuseok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7-07-02
[9] 웹사이트 Korean recipes: Songpyeon varieties across Korea, part 2 http://www.korea.net[...] 2019-12-08
[10] 웹사이트 Korean Food Recipes - Songpyeon http://www.hansik.or[...] Korean Food Foundation 2017-04-21
[11] 웹사이트 韓食のレシピ - ソンピョン (松餅) http://www.hansik.or[...] 韓食財団 2020-10-11
[12] 뉴스 [생활 속 종교문화] 달을 닮은 ‘송편’ 왜 반달 모양? http://www.newscj.co[...] 천지일보 2020-10-07
[13] 뉴스 Enjoy Flavors of Songpyeon http://www.koreatime[...] 2019-12-08
[14] 웹사이트 Korean recipes: Songpyeon varieties across Korea, part 1 http://www.korea.net[...] 2019-12-08
[15] 웹사이트 Regional Variances of Songpyeon, a Chuseok Staple https://guide.michel[...] 2019-12-08
[16] 웹사이트 Traditional Korean Holiday, Chuseok http://english.visit[...] 한국관광공사 2017-07-02
[17] 웹사이트 Korean recipes: Songpyeon varieties across Korea, part 2 http://www.korea.net[...] 2019-12-08
[18] 뉴스 [생활 속 종교문화] 달을 닮은 ‘송편’ 왜 반달 모양? http://www.newscj.co[...] 천지일보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