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르간도지휘사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르간도지휘사사는 명나라가 흑룡강 유역에 설치한 군사 행정 기구로, 1409년에 설치되어 1435년에 폐지되었다. 명 태조 주원장의 북벌 이후, 흑룡강 지역의 부족들이 명에 귀순하며 원나라의 제도를 참고하여 설치를 요청하였고, 영락제는 이시하를 파견하여 아무르강 유역을 관리하도록 했다. 누르간도사는 영녕사를 건립하고, 사할린 섬 등지에서 조공을 받았으며, 명나라 문화의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행정 구역 - 요동도지휘사사
    요동도지휘사사는 1388년 명나라가 요동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군사 행정 기관으로, 위소를 관할하며 군사 방어와 여진족 회유 정책을 수행했고, 명나라 국방 시스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멸망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누르간도지휘사사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누르간 도지휘사사
원어 명칭奴兒干都指揮使司
로마자 표기Nú'érgān dūzhǐhuī shǐsī
IPAnu ru (g)ə(n)
역사
성립1409년
해체1435년
주요 사건설치 (1409년)
주요 사건해체 (1435년)
지리
수도티르
1409년 명나라의 행정 구역; 누르간 도지휘사는 북동쪽에 위치함.
1409년 명나라의 행정 구역; 누르간 도지휘사는 북동쪽에 위치함.
언어
공용어중국어
여진어

2. 역사

명나라 태조 주원장의 북벌 이후, 흑룡강 누르간 지역에서 이전에 원나라에 귀부했던 부락 수장들이 명나라에 귀순하며 원나라의 정동원수부 제도를 참고하여 책봉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1409년 설치된 누르간도사는 1435년에 철폐되었다.[15] 누르간도사는 명나라의 만주 지배 기간 동안 중요한 기관으로, 아무르강 하류 부족들이 명나라에 명목상 동맹을 맺도록 하였다.[18][20] 누르간에는 이시하가 관음보살을 모시는 영녕사를 건립하였는데, 영녕사비에 한문, 몽골문, 여진문으로 건립 기록이 남아있다.[17]

이시하의 마지막 임무는 누르간 추장의 퇴위와 아들의 즉위와 관련되어 있었다. 1432년 이시하는 이 행사에 참석하여 관인을 전달하고 복속의 의미로 선물을 주었다.[19][22] 이때 이시하의 선단은 대형선박 50척과 병사 2,000여 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북경에 오래 살고 있던 새로운 추장을 티르(Tyr)로 데려갔다.[23]

17세기 중국의 유라시아 지도. 누르간(奴兒干)은 일본 북쪽에 회색으로 묘사되어 있다.


명나라가 사할린과 아무르강 지역에서 조공을 받을 때 니브흐 여성들은 족 명나라 관료들과 결혼했다.[10][11] 1409년 티르에 영녕사가 누르간 전초 기지와 함께 세워진 이후, 명나라는 사할린 원주민 족장들에게 위진푸(정복 담당 관리), 지휘 천사(부사령관), 지휘 통지(부지휘관), 지휘사(사령관)와 같은 직함을 수여하였다. 명나라는 1437년 족장 알링게, 투오링하, 산치하, 자루하로부터 조공을 받았다. 사할린 원주민 족장직은 부자 상속되었고, 아들들은 아버지와 함께 우리에허로 왔다.

명나라 관료들은 조공을 바친 사할린 아이누족, 윌타족, 니브흐족에게 해당 계급에 맞는 비단 제복을 하사했다. 연해주 지역에는 사할린 원주민들을 위한 명나라의 "피정복 민족을 위한 제도" 시행자들이 있었다. 사할린은 이 무역을 통해 본토 아시아에서 철제 도구를 받았고, 1456년부터 1487년까지 퉁구스계 집단이 합류했다. 지역 원주민 계층에는 명나라에서 부여한 정치적 관직이 통합되었다.

만주에서 명나라의 지배로 인해 중국 설날, "중국 신", 용, 소용돌이, 두루마리와 같은 중국식 모티프와 농업, 축산, 난방, 철제 냄비, 비단, 면화와 같은 물질적 재화와 같은 중국 문화 및 종교적 영향이 우데게족, 울치족, 나나이족과 같은 아무르 원주민들 사이로 퍼져 나갔다.[13]

2. 1. 설립 배경

명나라 태조 주원장의 북벌 이후, 흑룡강 누르간 지역에서 이전에 원나라에 귀부했던 부락 수장들이 명나라에 귀순하며 원나라의 정동원수부 제도를 참고하여 책봉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1403년(영락 원년), 명 성조 주체는 건주위를 설치하고 아하추를 지휘사로 삼았다. 형추 등은 누르간(현재의 러시아 니콜라예프스크 티르)에 가서 부락들을 정식으로 초무하여 명나라의 동쪽 영역이 확대되었다. 같은 해 음력 12월에는 올자위를 설립했다.

1404년(영락 2년)에는 누르간 등에 기미위소를 설치하였고, 이후 현지에 130여 개의 위소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 위소들은 누르간도사와는 직접적인 속하 관계는 아니었다. 1405년(영락 3년)에는 모련위를 설치하였고, 1408년(영락 6년)에는 여진 지역에 자재주와 안락주를 설치하여 여진인을 초무하였다.

1409년(영락 7년), 영락제는 만주 남부 지역의 해서여진건주여진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이시하에게 아무르강 유역 원정을 준비하도록 명령하였다. 이는 누르간여진에게 명나라의 권위를 보여주고 이들을 명나라와의 관계에 편입시키는 한편, 명나라의 동몽골 원정 시 누르간인들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다.[19]

1413년 이시하는 사할린섬 연안을 방문하여 지역 부족장에게 명나라 관직을 주기도 하였다.[20]

일부 자료에 따르면, 영락 연간에 제야강 하구에서 아무르강 하류 연안 왼쪽(북서쪽) 아이훈에 약 20년간 중국 요새가 있었다고도 전해진다. 명나라 시대 아이훈은 청나라 시대 아이훈의 반대편 강둑에 있었다.[21]

2. 2. 누르간도사 설치와 운영

1409년 명나라 영락제만주 남부 지역 해서여진건주여진과의 관계를 구축한 후, 환관 이시하에게 아무르강 유역 원정을 준비하도록 지시하였다. 이를 통해 영락제는 누르간 지역의 여진인들에게 명의 권위를 보이고 이들을 명과의 관계에 편입시키는 한편, 명이 동몽골 원정 시 누르간인들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고자 하였다.[19] 같은 해, 명목상으로는 누르간도사가 설치되었으며, 1435년에 철폐되었다.[15]

1403년 명 성조(成祖)는 건주위(建州衛, 현재의 흑룡강성 동녕시東寧市 부근)를 설치하고 아하추를 지휘사(指揮使)로 삼았다. 형추(邢樞) 등이 누르간(奴兒干, 원 정동원수부 옛터, 현재의 러시아 니콜라예프스크Nikolayesk 티르Tyr)에 전유하여 부락들을 정식으로 초무했다. 이로써 명의 동쪽 영역이 확대되었다. 같은 해 12월(음력), 올자위(兀者衛, 현재의 흑룡강성 수화시綏化市 부근)를 설립했다.

1404년 누르간 등의 기미위소(羈縻衛所)를 세웠고, 이후 현지에서 잇달아 130여 개의 위소를 세웠다. 그러나 이러한 위소들과 누르간도사 사이에는 속하 관계가 아니었다. 1405년 모련위(毛憐衛, 현재의 길림성吉林省 도문시圖們市 부근)를 세웠다. 1408년, 여진 지역에 자재주(自在州, 현재의 요녕성遼寧省 요양시遼陽市), 안락주(安樂州, 현재의 요녕성 개원시開原市 북쪽)를 세우고 여진인을 초무했다.

1413년 이시하는 사할린섬 연안을 방문하여 지역 부족장에게 명의 관직을 주었다.[20] 또한 관음보살을 모시는 영녕사(永寧寺)를 설립하였는데, 영녕사 건립은 영녕사비(永寧寺碑)에 한문, 몽골문, 여진문으로 기록되어 있다.[17] 누르간도사는 명대 만주 지배 기간 동안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최소한 아무르강 하류 부족들이 명조에 명목상 동맹을 맺도록 하였다.[18][20]

일부 자료에서는 영락 연간에 제야강 하구로부터 아무르강 하류 연안 왼쪽(북서쪽) 아이훈(Aigun, Aihun, 璦琿)에 약 20년간 중국 요새가 있었다고 전한다. 명대 아이훈은 청대 아이훈의 반대편 강둑에 있었다.[21]

이시하의 마지막 사절단 임무는 누르간 추장의 퇴위와 아들의 즉위와 관련되어 있다. 1432년 이시하는 이 행사에 참석, 관인을 전달하고 복속의 의미로 선물을 주었다.[19][22] 이때 이시하의 선단은 대형선박 50척과 병사 2,000여 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북경에 오래 살고 있던 새로운 추장을 티르(Tyr)로 데려갔다.[23]

2. 3. 폐지와 그 이후

누르간도지휘사사는 1409년에 설치되었지만 1435년에 폐지되었다.[1] 러시아 티르 인근 누르간에는 1413년 이시하(Išiqa)가 관음보살을 모시는 불교 사찰 영녕사(永寧寺)를 창건했다.[2] 영녕사비에는 영녕사 창건 기록이 중국어, 몽골어, 여진 문자로 새겨져 있다.[3] 누르간도지휘사사는 명나라의 만주 지배 기간 동안 중요한 기관으로, 아무르 강 하류 유역 부족들이 명나라에 형식적으로나마 충성을 바치게 했다.[4][6]

1409년, 영락제는 이미 해서여진, 건주여진 등 남부 만주 부족들과 관계를 맺고 있었고, 이시하에게 아무르강 하류 지역 원정을 준비하도록 명령했다. 이는 야인여진에게 명나라의 힘을 과시하고 명나라와 관계를 맺도록 유도하며, 명나라가 동몽골과 전쟁을 벌일 때 야인여진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다.[5]

1413년, 이시하는 사할린 섬 해안을 방문하여 지역 추장에게 명나라 칭호를 수여했다.[6]

일부 자료에 따르면, 영락제 시대에 아무르 강 하구에서 제야 강 입구 하류 왼쪽(북서쪽) 기슭에 약 20년 동안 중국 요새가 존재했다. 이 명나라 시대 아이군은 훗날 청나라 시대에 옮겨진 아이군과 강 건너편에 있었다.[7]

이시하의 마지막 임무는 누르간 추장의 은퇴와 그의 아들을 후계자로 "취임"시키는 것이었다. 1432년, 이시하는 이 행사에 참석하여 새로운 추장에게 권위의 인장을 수여하고 부하 추장들에게 선물을 주었다.[5][8] 이시하의 함대는 2,000명의 병사가 탑승한 50척의 대형 선박으로 구성되었으며, 새로운 추장(당시 북경 거주)을 티르로 데려왔다.[9]

3. 조공과 교역

명이 사할린과 아무르강 유역으로부터 조공을 받았을 때, 사할린의 니브흐인 여성들은 한족 명나라 관료와 결혼하였다.[24][25] 1308년 원나라와의 전쟁이 끝난 후, 아이누로부터 조공을 받기 위해 복라하(卜羅河), 낭가르(Nanghar), 올렬하(兀列河)와 같은 원나라 초소가 설치되었다. 15세기에는 영락제가 누르간도사를 설치하고 영녕사를 세우면서, 사할린과 아무르강 유역의 명나라 전초기지들은 사할린 아이누, 윌타인, 니브흐인으로부터 가죽을 조공으로 받았다. 명나라는 올렬하에 기지를 설치하고 사할린 원주민 수장들에게 위진무(衛鎭撫), 지휘첨사(指揮僉事), 지휘동지(指揮同知), 지휘사(指揮使) 등의 관직을 주었으며, 1431년에는 사할린의 지휘첨사 알리거(Alige)로부터 담비 가죽 조공을 받았다. 1437년에는 추장 알링거(Alingge), 퉈링하(Tuolingha), 산적합(散赤哈), 차로합(劄魯哈)로부터 조공을 받았다. 사할린 원주민 부족들 내 추장 지위는 아버지로부터 아들에게 세습되었으며, 아들은 아버지와 함께 올렬하로 왔다.

조공을 받은 후, 명나라는 사할린 아이누, 윌타, 니브흐에게 지위에 따라 비단 관복을 주었다. 연해주 지역에는 사할린 원주민들을 위해 명나라의 "피정복 민족을 위한 제도" 시행자들이 있었다. 1456-1487년에 걸쳐 퉁구스 집단이 이 무역에 뛰어들면서, 사할린은 이 무역을 통해 내륙 아시아로부터 온 철기를 받았다. 지역 원주민 위계에는 명나라에서 부여한 정치적 관직이 통합되었다.

사할린의 명나라 제도는 청나라에도 이어졌다.[26]

만주에서 명나라의 지배로 인해 중국 설날, "중국 신", 용, 소용돌이, 두루마리와 같은 중국식 모티프와 농업, 축산, 난방, 철제 냄비, 비단, 면화와 같은 물질적 재화와 같은 중국 문화 및 종교적 영향이 우데게, 울치, 나나이족과 같은 아무르 원주민들 사이로 퍼져 나갔다.[27]

4. 문화적 영향

만주의 명나라 지배로 인해 중국 설날, "중국 신", 용, 소용돌이, 두루마리와 같은 중국식 모티프, 농업, 축산, 난방, 철제 냄비, 비단, 면화와 같은 물품이 우데게족, 울치족, 나나이족과 같은 아무르 원주민들 사이로 퍼져 나갔다.[27][13] 명이 사할린과 아무르강 유역으로부터 조공을 받았을 때, 니브흐 여성들은 한족 명나라 관료들과 결혼했다.[24][25][10][11]

5. 평가 및 의의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Ch'ing Empire to 18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서적 女真語言文字研究 Wenwu Chubaneshe
[4]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Columbia University Press
[5]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Volume I (A-L)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6] 서적 Perpetual Happiness: The Ming Emperor Yongl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7] 서적 Description géographique, historique, chronologique, politique et physique de l'empire de la Chine et de la Tartarie chinoise http://web2.bium.uni[...] P.G. Lemercier
[8] 문서
[9] 서적 The Eunuchs in the Ming Dynast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0] 문서
[11] 저널 Indigenous Diplomacy: Sakhalin Ainu (Enchiw) in the Shaping of Modern East Asia (Part 1: Traders and Travellers) https://apjjf.org/20[...] 2020-11-15
[12] 서적 The Conquest of Ainu Lands: Ecology and Culture in Japanese Expansion,1590-18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
[13]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4] 웹인용 明代为何称辽东以北为奴儿干(Nurgan)?这个词源出何处? – 知乎 https://www.zhihu.co[...] 2016-04-11
[15] 서적 The Ch'ing Empire to 18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서적 女真語言文字研究 Wenwu Chubaneshe
[18]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Columbia University Press
[19]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Volume I (A-L)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 서적 Perpetual Happiness: The Ming Emperor Yongl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1] 서적 Description géographique, historique, chronologique, politique et physique de l'empire de la Chine et de la Tartarie chinoise http://web2.bium.uni[...] P.G. Lemercier
[22] 문서
[23] 서적 The Eunuchs in the Ming Dynast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4] 문서
[25] 저널 Indigenous Diplomacy: Sakhalin Ainu (Enchiw) in the Shaping of Modern East Asia (Part 1: Traders and Travellers) https://apjjf.org/20[...] 2020-11-15
[26] 서적 The Conquest of Ainu Lands: Ecology and Culture in Japanese Expansion,1590-18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
[27]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