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 성숙도 모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능력 성숙도 모델(CMM)은 조직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성숙도를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1980년대 미국 공군의 의뢰로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SEI)에서 개발되었으며, 왓츠 험프리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CMM은 조직의 프로세스를 5단계의 성숙도 수준으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핵심 프로세스 영역, 목표, 공통 특징, 핵심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CMM은 CMMI로 발전되었으며, 소프트웨어 개발뿐만 아니라 IT 서비스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모델은 성숙도 수준, 핵심 프로세스 영역, 목표, 공통 특징, 핵심 실천 방안으로 구성된다. 초기, 반복 가능, 정의됨, 관리됨, 최적화의 5단계로 프로세스 성숙도를 평가한다. 비판으로는 CMM에 따른 프로세스 성숙도가 반드시 성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 버전 관리
버전 관리는 파일 변경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며, 다양한 구조와 소스 관리 모델을 통해 협업을 지원하고,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 주기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 주기(SDLC)는 시스템 설계자와 개발자가 따르는 일련의 단계로, 예비 분석부터 폐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치며, 폭포수 모델, 시스템 분석 및 설계(SAD), 객체 지향 분석 및 설계(OOAD) 등 다양한 방법론을 포함한다. - 정보 기술 관리 - 전사적 자원 관리
전사적 자원 관리(ERP)는 기업의 자원과 업무 프로세스를 통합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시스템이며, 재무, 인사, 제조, 공급망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다루고, 기업의 의사 결정, 투명성, 세계화를 지원한다. - 정보 기술 관리 - 고객 지원
고객 지원은 기업이 고객의 문의, 불만, 문제 해결 요청 등에 대응하는 활동으로, 자동화와 다양한 방식을 통해 효율성을 높여 고객 만족도 및 충성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능력 성숙도 모델 | |
---|---|
기본 정보 | |
이름 | 능력 성숙도 모델 |
원래 이름 | Capability Maturity Model |
약자 | CMM |
유형 | 프로세스 개선 접근법 |
개발 | 카네기 멜론 대학교 |
개발 주체 |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 (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 SEI) 미국 국방부 |
첫 출시 | 1980년대 후반 |
상태 | 지원 중단 |
대체 | CMMI |
상세 정보 | |
목적 |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의 성숙도 평가 및 개선 |
성숙도 단계 | 초기 (Initial) 반복 (Repeatable) 정의 (Defined) 관리 (Managed) 최적화 (Optimizing) |
특징 | 핵심 프로세스 영역 (Key Process Areas, KPA) 정의 각 성숙도 단계별 목표 제시 지속적인 프로세스 개선 강조 |
영향 |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 개발 비용 절감 프로젝트 관리 효율성 증대 |
단점 | 관료주의적 경향 문서 작업 과다 변화에 대한 저항 |
관련 정보 | |
관련 모델 | SPICE ISO 9000 |
참고 자료 | CMMI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소프트웨어 공학 프로세스 개선 |
2. 역사
1980년대에 컴퓨터 사용이 보편화되고 기업들이 전산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당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는 초기 단계였고 표준화된 방법론이 거의 없었다. 이로 인해 프로젝트 실패가 빈번하게 발생했고, 컴퓨터 과학 분야는 아직 초기 단계여서 프로젝트 규모와 복잡성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웠다. 에드워드 요던[7], 래리 콘스탄틴, 제럴드 와인버그[8], 톰 드마코[9], 데이비드 파나스[10]와 같은 전문가들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 결과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5]
1980년대에 미국에서는 소프트웨어 하청업체가 참여한 군사 프로젝트들이 예산을 초과하거나 계획보다 늦어지는 문제가 자주 발생했다. 미국 공군은 이러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SEI)에 연구 자금을 지원했다.[5][10]
왓츠 험프리는 IBM에서 27년간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프로세스 성숙도 개념을 개발했다.[12] 1986년, 험프리가 IBM에서 은퇴하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SEI)에 합류하면서, 미국 국방부의 요청으로 소프트웨어 계약업체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프로세스 성숙도 프레임워크를 공식화하기 시작했다.
험프리는 필립 크로스비의 저서 "품질은 무료이다"에 나오는 품질 관리 성숙도 그리드를 기반으로 프레임워크를 만들었다.[13] 그는 조직이 특정 순서로 프로세스 문제를 해결하며 단계적으로 성숙한다는 독특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개별 개발 프로세스가 아닌 조직 내 소프트웨어 개발 관행 시스템의 단계적 진화를 기반으로 접근했다.
와츠 험프리의 역량 성숙도 모델(CMM)은 1988년에 처음 발표되었고,[14] 1989년에는 그의 저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관리''를 통해 출판되었다.[15] 역량 성숙도 모델의 전체 내용은 1991년에 시작되어 1993년 7월에 버전 1.1로 출판되었다.[3] 이후 1994년 마크 C. 폴크, 찰스 V. 웨버, 빌 커티스, 메리 베스 크리시스와 함께 쓴 책으로도 출판되었다.[4]
이후 여러 모델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능력 성숙도 모델 통합(CMMI) 프로젝트가 시작되었고, CMMI 모델이 CMM을 대체하게 되었다. 하지만 CMM은 여전히 이론적 프로세스 능력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16][17]
2016년, CMMI에 대한 책임은 정보 시스템 감사 및 통제 협회(ISACA)로 이전되었다. ISACA는 이후 2021년에 CMMI v2.0을 출시했고, 2023년에는 CMMI v3.0으로 업그레이드했다. CMMI는 이제 프로세스 아키텍처에 더 큰 중점을 두고 있으며, 현재 구독을 통해서만 사용할 수 있다.
2. 1.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필요성 대두
1980년대에 들어 컴퓨터 사용이 더욱 널리 퍼지고, 유연해졌으며 비용도 절감되었다. 기업들은 전산 정보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했고,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많은 프로세스들은 초기 단계에 있었으며, 표준이나 "모범 사례" 접근 방식이 거의 정의되지 않았다.그 결과, 성장은 성장통을 동반했다. 프로젝트 실패가 흔했고, 컴퓨터 과학 분야는 아직 초창기였으며, 프로젝트 규모와 복잡성에 대한 야망은 계획된 예산 내에서 적절한 제품을 제공하는 시장의 역량을 넘어섰다. 에드워드 요던[7], 래리 콘스탄틴, 제럴드 와인버그[8], 톰 드마코[9] 그리고 데이비드 파나스[10]와 같은 개인들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전문화하려는 시도로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과 책을 출판하기 시작했다.[5]
1980년대에 소프트웨어 하청업체가 참여한 여러 미국의 군사 프로젝트가 예산을 초과하고 계획보다 훨씬 늦게 완료되었거나, 아예 완료되지 못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미국 공군은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SEI)에 연구 자금을 지원했다.
2. 2. 미 국방부와 SEI의 역할
1980년대에 소프트웨어 하청업체가 참여한 여러 미국 군사 프로젝트가 예산을 초과하고 계획보다 훨씬 늦게 완료되거나, 아예 완료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미국 공군은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SEI)에 연구 자금을 지원했다.[5][10]왓츠 험프리는 IBM에서 27년간 경력을 쌓은 후, 프로세스 성숙도 개념을 개발하기 시작했다.[12] 1986년 험프리가 IBM에서 은퇴한 후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피츠버그에 위치한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에 합류하면서, 미국 국방부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SEI)에 의한 모델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미국 공군의 요청에 따라, 험프리는 국방부가 계약을 체결할 때 소프트웨어 계약업체의 역량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프로세스 성숙도 프레임워크를 공식화하기 시작했다.
공군 연구의 결과는 군대가 소프트웨어 하청업체의 프로세스 역량 성숙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모델이었다. 험프리는 이 프레임워크를 필립 크로스비(Philip B. Crosby)가 저서 "품질은 무료이다"에서 개발한 초기 품질 관리 성숙도 그리드를 기반으로 했다.[13]
2. 3. 왓츠 험프리와 CMM 개발
왓츠 험프리는 IBM에서 27년간 근무하면서 프로세스 성숙도 개념을 개발하였다.[12] 1986년, 험프리가 IBM에서 은퇴하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SEI)에 합류하면서, 미국 국방부의 요청으로 소프트웨어 계약업체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프로세스 성숙도 프레임워크를 공식화하기 시작했다. 이는 미국 공군이 소프트웨어 하청업체의 프로세스 역량 성숙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SEI)에 연구 자금을 지원한 결과였다.험프리는 이 프레임워크를 필립 크로스비의 저서 "품질은 무료이다"에 나오는 품질 관리 성숙도 그리드를 기반으로 만들었다.[13] 그는 조직이 특정 순서로 프로세스 문제를 해결하며 단계적으로 성숙한다는 독특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개별 개발 프로세스가 아닌 조직 내 소프트웨어 개발 관행 시스템의 단계적 진화를 기반으로 접근했다.
와츠 험프리의 역량 성숙도 모델(CMM)은 1988년에 처음 발표되었고,[14] 1989년에는 그의 저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관리''를 통해 출판되었다.[15]
역량 성숙도 모델의 전체 내용은 1991년에 시작되어 1993년 7월에 버전 1.1로 출판되었다.[3] 이후 1994년 마크 C. 폴크, 찰스 V. 웨버, 빌 커티스, 메리 베스 크리시스와 함께 쓴 책으로도 출판되었다.[4]
2. 4. CMMI로의 발전
미국 국방부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SEI)에 의한 모델 개발은 1986년 험프리가 IBM에서 은퇴한 후 카네기 멜론 대학교 피츠버그에 위치한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에 합류하면서 시작되었다. 미국 공군의 요청에 따라 그는 국방부가 계약을 체결할 때 소프트웨어 계약업체의 역량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프로세스 성숙도 프레임워크를 공식화하기 시작했다.[13]험프리는 이 프레임워크를 필립 크로스비가 저서 "품질은 무료이다"에서 개발한 초기 품질 관리 성숙도 그리드를 기반으로 했다.[13] 험프리의 접근 방식은 조직이 특정 순서로 프로세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기반으로 단계적으로 프로세스를 성숙시킨다는 독특한 통찰력 때문에 달랐다. 험프리는 개별 개발 프로세스의 성숙도를 측정하는 대신 조직 내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관행 시스템의 단계적 진화를 기반으로 접근했다.
와츠 험프리의 역량 성숙도 모델(CMM)은 1988년에[14] 출판되었고, 1989년에는 책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관리''로 출판되었다.[15] 조직은 원래 험프리와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의 동료들이 고안한 프로세스 성숙도 설문지와 소프트웨어 역량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5단계의 각 성숙도 수준에서 정의된 프로세스 영역과 관행의 집합으로서 역량 성숙도 모델의 전체 표현은 1991년에 시작되었으며, 1993년 7월에 버전 1.1이 출판되었다.[3] CMM은 1994년에 마크 C. 폴크, 찰스 V. 웨버, 빌 커티스, 메리 베스 크리시스에 의해 책[4]으로 출판되었다.
능력 성숙도 모델 통합(CMMI) 모델의 소프트웨어 개발 적용은 때때로 문제가 있었다. 조직 내 및 조직 전체에서 통합되지 않은 여러 모델을 적용하는 것은 교육, 평가 및 개선 활동에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능력 성숙도 모델 통합(CMMI) 프로젝트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 여러 모델을 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되었으며, 따라서 CMMI 모델은 CMM을 대체했지만, CMM은 공공 영역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이론적 프로세스 능력 모델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16][17]
2016년, CMMI에 대한 책임은 정보 시스템 감사 및 통제 협회(ISACA)로 이전되었다. ISACA는 이후 2021년에 CMMI v2.0을 출시했다. 2023년에는 CMMI v3.0으로 다시 업그레이드되었다. CMMI는 이제 일반적으로 프로세스 다이어그램으로 구현되는 프로세스 아키텍처에 더 큰 중점을 두고 있다. CMMI 사본은 현재 구독을 통해서만 사용할 수 있다.
3. 모델 구성
능력 성숙도 모델(CMM)은 원래 정부 계약자가 계약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구현하는 ''프로세스''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개발되었다. 이 모델은 Watts Humphrey의 저서 ''Managing the Software Process''(1989년)에 기술된 프로세스 성숙도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다.[2] 이후 1993년에 기사[3]와 1994년에 같은 저자의 책[4]으로 출판되었다.
CMM은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비롯되었지만, 일반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로도 사용되며, 전 세계 정부 기관, 상업 및 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5][6]
3. 1. 성숙도 모델
성숙도 모델은 조직의 행동, 관행 및 프로세스가 필요한 결과를 얼마나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하게 생성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일련의 구조화된 수준으로 볼 수 있다.성숙도 모델은 비교를 위한 벤치마크로, 이해를 돕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의 기반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점이 있는 서로 다른 조직의 비교 평가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MM의 경우 비교의 기반은 조직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가 된다.
3. 2. 구조
성숙도 모델은 조직의 행동, 관행 및 프로세스가 필요한 결과를 얼마나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하게 생성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일련의 구조화된 수준으로 볼 수 있다.성숙도 모델은 비교를 위한 벤치마크이자 이해를 돕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의 기반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점이 있는 서로 다른 조직의 비교 평가에 사용할 수 있다. CMM의 경우 비교의 기반은 조직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가 된다.
이 모델은 다음 다섯 가지 측면을 포함한다.
- '''성숙도 수준:''' 5단계 프로세스 성숙도 연속체로, 최상위(5단계) 수준은 프로세스 최적화와 지속적인 프로세스 개선의 조합을 통해 프로세스가 체계적으로 관리되는 이상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 '''핵심 프로세스 영역:''' 핵심 프로세스 영역은 함께 수행될 때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일련의 목표를 달성하는 관련 활동의 집합을 식별한다.
- '''목표:''' 핵심 프로세스 영역의 목표는 해당 핵심 프로세스 영역이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방식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상태를 요약한다. 목표 달성 정도는 조직이 해당 성숙도 수준에서 얼마나 많은 역량을 구축했는지 보여주는 지표이다. 목표는 각 핵심 프로세스 영역의 범위, 경계 및 의도를 나타낸다.
- '''공통 특징:''' 공통 특징에는 핵심 프로세스 영역을 구현하고 제도화하는 실천 방안이 포함된다. 공통 특징에는 수행 의지, 수행 능력, 수행 활동, 측정 및 분석, 구현 검증의 다섯 가지 유형이 있다.
- '''핵심 실천 방안:''' 핵심 실천 방안은 해당 영역의 구현 및 제도화에 가장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인프라 및 실천 방안의 요소를 설명한다.
3. 3. 성숙도 수준
SEI에 따르면, "조직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예측 가능성, 효과성 및 제어는 조직이 이 5단계로 올라갈수록 향상된다고 믿어집니다. 엄격하지는 않지만, 지금까지의 실증적 증거는 이러한 믿음을 뒷받침합니다."[18] 각 성숙도 수준에는 핵심 프로세스 영역이 있으며, 각 영역에는 목표, 헌신, 능력, 측정 및 검증의 다섯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레벨 건너뛰기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초기''' (Initial): 프로세스가 문서화되지 않고 역동적으로 변화하며, 사용자 또는 이벤트에 의해 임시방편적이고 반응적인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반복 가능''' (Repeatable): 일부 프로세스가 반복 가능하여 일관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정의됨''' (Defined): 표준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정의되고 문서화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됩니다.
- '''관리됨 (역량 있음)''' (Managed): 프로세스 메트릭을 사용하여 운영 조건에서 프로세스 목표 달성을 입증할 수 있습니다.
- '''최적화 (효율적)''' (Optimizing): 점진적이고 혁신적인 기술 변화/개선을 통해 프로세스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합니다.
2008년에서 2019년 사이에 주어진 평가의 약 12%가 성숙도 레벨 4와 5에 있었습니다.[19][20]
4. 비판
원래 이 모델은 정부 계약업체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목적에 사용되었고 적합할 수 있지만, 비판가들은 CMM에 따른 프로세스 성숙도가 반드시 성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Difference Between CMMI vs CMM
https://www.brighthu[...]
2010-04-27
[2]
논문
Characterizing the software process: a maturity framework
1988-03
[3]
논문
Capability maturity model, version 1.1
IEEE
1993-07
[4]
서적
The Capability Maturity Model: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Software Process
Addison-Wesley Professional
1994-01-01
[5]
웹사이트
What is the Capability Maturity Model? (CMM) {{!}} Process Maturity {{!}} FAQ
http://www.selectbs.[...]
2017-03-20
[6]
웹사이트
What is CMMI? A model for optimizing development processes
https://www.cio.com/[...]
2020-06-04
[7]
서적
1989. Modern Structured Analysis.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8]
서적
Quality Software Management: Anticipating Change. Vol. 1: Systems Thinking.
Dorset House Pub.
[9]
서적
Waltzing with Bears: Managing Risk on Software Projects
Dorset House Pub.
[10]
뉴스
CMMI-Six Sigma, their roots
http://pep-inc.com/2[...]
Process Enhancement Partners, Inc.
2011-01-23
[11]
논문
Managing the computer resource: A stage hypothesis
1973-07
[12]
웹사이트
People Capability Maturity Model (P-CMM) Version 2.0
http://resources.sei[...]
2001-06-30
[13]
서적
Quality is Free
https://archive.org/[...]
New American Library
[14]
논문
Characterizing the software process: A maturity framework
http://www.sei.cmu.e[...]
1988-03
[15]
서적
Managing the Software Process
Addison-Wesley
[16]
서적
Juran'S Quality Hb 6E
https://books.google[...]
McGraw-Hill Education (India) Pvt Limited
2010-08-26
[17]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ansformations in Engineering Education
Springer
[18]
문서
State of Michigan SDLC Appendix on CMM
http://www.michigan.[...]
[19]
웹사이트
CMMI Adoption Trends - 2019 Mid Year Update
https://cmmiinstitut[...]
2019-10-21
[20]
웹사이트
They Write the Right Stuff
https://www.fastcomp[...]
2020-02-15
[21]
문서
CMM is a registered service mark of Carnegie Mellon University (CM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