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콜라스 그룬트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스 그룬트비는 덴마크의 루터교 목사이자 시인, 철학자, 교육자이며, 덴마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그는 1800년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아이슬란드어와 아이슬란드 사가를 연구했다. 그는 1825년 신앙의 자유를 호소하는 저서를 발표하여 설교 금지 처분을 받았으며, 1848년에는 덴마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자유를 위한 발언을 했다. 그룬트비는 민중 고등학교 설립을 주창하며 교육 운동을 전개했고, 기독교 사상과 교육 사상, 정치 사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그의 저서로는 《북유럽 신화》, 《교회의 대답》, 《세계 연대기》 등이 있으며, 덴마크 중흥의 국부로 일컬어진다.

2. 일생

니콜라스 프레데릭 세베린 그룬트비(보통 N. F. S. 그룬트비로 불림)는 덴마크 셸란 지역의 작은 섬마을 우드뷔에서 루터교 목사인 요한 오토센 그룬트비의 아들로 태어났다.[5] 가까운 사람들은 그를 니콜라스가 아닌 프레데릭이라고 불렀다. 그는 독실한 루터교 집안에서 자랐으며, 그의 어머니는 고대 북유럽 신화와 전통을 존경했다. 그는 유럽 계몽주의 전통에 따라 교육받았지만, 독일 낭만주의북유럽의 고대 역사에 영향을 받았다.

N. F. S. 그룬트비 (1831년)


그는 3세부터 5세까지 부모를 따라 프로이센 왕국의 수도 베를린에서, 5세부터 6세까지는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6세 때 덴마크로 귀국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코펜하겐 대학교 신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5] 루터교 목사 자격을 얻은 후에는 고향 교회에서 농민들의 신앙을 지도하였다. 1791년 유틀란트 중부의 티레고드로 보내져 목사 라우리드 스빈트 펠트와 함께 살며 공부했고, 1798년부터 오르후스 대성당 학교에서 공부하여 졸업하고, 1800년 코펜하겐으로 가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1801년 코펜하겐 대학교에 입학했다.[5] 대학교 생활이 끝나갈 무렵, 아이슬란드어아이슬란드 사가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1805년, 랑엘란드 섬의 한 집에서 가정교사로 일자리를 얻었다. 그 후 3년 동안 자유 시간을 이용하여 윌리엄 셰익스피어, 프리드리히 쉴러, 피히테 등 작가들을 연구했다. 1802년, 그의 사촌인 철학자 헨리크 스테펜스는 코펜하겐으로 돌아와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의 가르침을 전했다. 그의 강의와 아담 고틀로프 욀렌슐레거의 초기 시는 그룬트비에게 문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주었다.

1808년 《북유럽 신화(Nordens mythologi)》라는 시집을 발표하여 시인으로 등단하였다. ''에다의 노래에 관하여''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북유럽 신화》와 1809년의 장편 드라마 ''북유럽 영웅의 멸망''은 성공을 거두었다.

빌헬름 비센이 제작한 그룬트비 동상(프레데릭 교회)


1825년 《교회의 대답》을 발표하여 신앙의 자유를 주장하며 설교 금지 처분을 받기도 했다.[7] 1810년 종교적 위기를 겪으며 강경한 루터교 신앙으로 개종했고, 1812년 저서 ''세계 연대기''를 통해 유럽 역사를 신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려 했으나, 많은 논란을 일으켜 동료들과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6]

1825년 헨리크 니콜라이 클라우센의 주장에 반박하는 ''교회의 반박''을 출판하여 성경 중심의 신학을 옹호했다. 이로 인해 명예훼손으로 기소되어 벌금형을 받고 7년간 설교가 금지되었다. 이 기간 동안 영국을 방문하여 고대 영어를 연구했다.[7] 1832년 설교 활동을 재개한 그룬트비는 1839년 바르토프 병원 목사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봉직했다. 그는 ''덴마크 교회를 위한 노래 작품'' 등 다수의 찬송가를 작사/작곡 및 편집하여 덴마크 교회 예배에 큰 영향을 주었다.[8][9] 그의 찬송가는 정통 루터교의 느린 리듬 대신 국민 시인들의 찬송가로 대체되었다.

그룬트비의 신학은 '살아있는 말씀'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그는 성서 중심의 신학에서 벗어나, 각 교회가 독립적인 공동체로 활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848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무소속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국방의 의무, 신앙,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를 옹호했다. 모든 국민이 토지를 소유할 권리를 주장하며, 국민 생활 개선을 위한 민중고등학교 설립을 제안했다. 같은 덴마크인 쇠렌 키르케고르실존주의 철학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동심 사랑을 옹호했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며, 땅을 사랑하자"고 호소하며 덴마크 개혁 운동을 주도하여, "덴마크 중흥의 국부(國父)"로 불린다.

그룬트비는 소뢰 아카데미를 개혁하여 실용적인 기술과 국가의 역사, 시를 가르치는 대중적인 학교로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1848년 왕의 죽음과 정치적 격변으로 인해 이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10] 그의 교육 철학은 시험 없는 교육, 자유, 창의성, 협동, 발견을 중시하는 것이었다. 그는 강요 대신 인간의 창의성을 발휘하는 교육을 강조했다.[11]

2. 1. 생애 초기

니콜라스 프레데릭 세베린 그룬트비(보통 N. F. S. 그룬트비로 불림)는 덴마크 셸란 지역의 작은 섬마을 우드뷔에서 루터교 목사인 요한 오토센 그룬트비의 아들로 태어났다.[5] 가까운 사람들은 그를 니콜라스가 아닌 프레데릭이라고 불렀다. 그는 독실한 루터교 집안에서 자랐으며, 그의 어머니는 고대 북유럽 신화와 전통을 존경했다. 그는 유럽 계몽주의 전통에 따라 교육받았지만, 그의 이성에 대한 믿음은 독일 낭만주의북유럽의 고대 역사에 영향을 받았다.

그는 3세부터 5세까지 부모를 따라 프로이센 왕국의 수도 베를린에서, 5세부터 6세까지는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6세 때 덴마크로 귀국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코펜하겐 대학교 신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5] 루터교 목사 자격을 얻은 후에는 고향 교회에서 농민들의 신앙을 지도하였다.

1791년 그는 유틀란트 중부의 티레고드로 보내져 목사 라우리드 스빈트 펠트와 함께 살며 공부했다. 1798년부터 오르후스 대성당 학교에서 공부하여 졸업하고, 1800년 코펜하겐으로 가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1801년 코펜하겐 대학교에 입학했다.[5] 대학교 생활이 끝나갈 무렵, 그룬트비는 아이슬란드어아이슬란드 사가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1805년, 그룬트비는 랑엘란드 섬의 한 집에서 가정교사로 일자리를 얻었다. 그 후 3년 동안 그는 자유 시간을 이용하여 윌리엄 셰익스피어, 프리드리히 쉴러, 피히테 등 작가들을 연구했다. 1802년, 그의 사촌인 철학자 헨리크 스테펜스는 코펜하겐으로 돌아와 프리드리히 빌헬름 요제프 셸링의 가르침을 전했다. 그의 강의와 아담 고틀로프 욀렌슐레거의 초기 시는 그룬트비에게 문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주었다.

1808년에는 《북유럽 신화(Nordens mythologi)》라는 시집을 발표하여 시인으로 등단하였다. 그의 첫 작품인 ''에다의 노래에 관하여''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북유럽 신화''와 1809년의 장편 드라마 ''북유럽 영웅의 멸망''은 성공을 거두었다.

2. 2. 저술 및 민족 운동

1825년 《교회의 대답》을 발표하여 신앙의 자유를 주장하며 설교 금지 처분을 받기도 했다.[7]

1848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무소속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국방의 의무, 신앙,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를 옹호했다. 모든 국민이 토지를 소유할 권리를 주장하며, 국민 생활 개선을 위한 민중고등학교 설립을 제안했다.

같은 덴마크인 쇠렌 키르케고르실존주의 철학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동심 사랑을 옹호했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며, 땅을 사랑하자"고 호소하며 덴마크 개혁 운동을 주도하여, "덴마크 중흥의 국부(國父)"로 불린다.

2. 3. 신학적 여정 및 교육 사상

그룬트비는 1810년 종교적 위기를 겪으며 강경한 루터교 신앙으로 개종했다. 그는 아버지의 교구에서 은퇴하여 사제로 활동하며, 1812년 저서 ''세계 연대기''를 통해 유럽 역사를 신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려 했다. 이 책은 많은 논란을 일으켜 동료들과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6]

1825년에는 헨리크 니콜라이 클라우센의 주장에 반박하는 ''교회의 반박''을 출판하여 성경 중심의 신학을 옹호했다. 이로 인해 명예훼손으로 기소되어 벌금형을 받고 7년간 설교가 금지되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영국을 방문하여 고대 영어를 연구했다.[7]

1832년 설교 활동을 재개한 그룬트비는 1839년 바르토프 병원 목사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봉직했다. 그는 ''덴마크 교회를 위한 노래 작품'' 등 다수의 찬송가를 작사/작곡 및 편집하여 덴마크 교회 예배에 큰 영향을 주었다.[8][9] 그의 찬송가는 정통 루터교의 느린 리듬 대신 국민 시인들의 찬송가로 대체되었다.

그룬트비의 신학은 '살아있는 말씀'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그는 성서 중심의 신학에서 벗어나, 각 교회가 독립적인 공동체로 활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그룬트비는 민중고등학교 설립을 통해 교육 운동을 전개했다. 그는 쇠퇴하는 소뢰 아카데미를 개혁하여 실용적인 기술과 국가의 역사, 시를 가르치는 대중적인 학교로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1848년 왕의 죽음과 정치적 격변으로 인해 이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10]

그의 교육 철학은 시험 없는 교육, 자유, 창의성, 협동, 발견을 중시하는 것이었다. 그는 강요 대신 인간의 창의성을 발휘하는 교육을 강조했다.[11]

3. 주요 사상

그룬트비는 신학, 교육,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사상을 남겼다.

그는 평생에 걸쳐 발전시킨 기독교 신학 사상을 통해 "살아있는 말씀"의 권위와 각 교회의 독립적인 공동체 활동을 강조했다. 헨리크 니콜라이 클라우센과의 논쟁을 통해 성경 해석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확고히 했다.[7]

교육 분야에서 그룬트비는 민중 고등학교 설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소뢰 아카데미 개혁을 주장하며, 학자 양성보다는 사회와 대중의 삶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을 육성하는 교육을 강조했다. 그는 자유, 시, 창의성, 그리고 지혜, 연민, 동일시, 평등과 같은 가치를 중시했다.[10][11]

정치 분야에서 그룬트비는 1848년 코펜하겐에서 무소속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국방의 의무, 신앙,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를 옹호했다. 그는 모든 사람이 자신의 토지를 소유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으며, 국민 생활 개선을 위한 민중고등학교 창설을 제안했다.[1]

3. 1. 기독교 사상

그룬트비의 신학 사상은 평생에 걸쳐 발전했으며, 여러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 1810년 "기독교적 각성"을 시작으로, 만년에는 회중적이고 성례전적인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사상과 학문적 신학 사이의 거리를 반영하여 스스로를 신학자가 아닌 목사라고 불렀다.[7] 그의 신학은 사도적 해설보다 "살아있는 말씀"의 권위를 강조했으며, 각 교회의 독립적인 공동체 활동을 옹호했다.

1825년, 그룬트비는 헨리크 니콜라이 클라우센의 프로테스탄트교와 로마 가톨릭 교리, 의식, 헌법에 관한 작품에 대한 응답으로 소책자 ''교회의 반박''(Kirkens Gienmæle)을 출판했다. 코펜하겐 대학교 신학 교수였던 클라우센은 성경이 기독교의 주요 기반이지만, 그 자체로는 전체 의미를 충분히 표현하지 못한다고 주장하며, 교회를 "일반적인 종교성을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의 공동체"로 묘사했다.[7] 이에 대해 그룬트비는 클라우센을 반기독교 교사로 비난하고, 기독교는 성경에서 파생된 것이며 학자들에 의해 설명될 이론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신학자들의 성경 해석 권위에 의문을 제기했다.[7]

3. 2. 교육 사상: 민중고등학교

그룬트비는 민중 고등학교의 사상적 아버지였지만, 그의 교육에 대한 생각은 다른 초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쇠퇴하고 있는 소뢰 아카데미를 대학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고등 교육과는 다른 형태를 목표로 하는 대중적인 학교로 개혁할 것을 주장했다. 그는 학식이 풍부한 학자를 양성하기보다는 대학이 학생들을 사회와 대중의 삶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교육해야 한다고 믿었다. 따라서 실용적인 기술뿐만 아니라 국가의 시와 역사도 교육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해야 했다.[10] 이 아이디어는 크리스티안 8세 왕의 통치 기간 동안 실행에 매우 근접했는데, 그의 아내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의 캐롤라인 아말리에는 그룬트비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1848년 군주의 죽음과 이 해와 그 다음 해 덴마크의 극적인 정치적 발전은 이러한 계획을 종식시켰다. 그러나 그 당시 그룬트비의 지지자 중 한 명인 크리스텐 콜드가 이미 최초의 민중 고등학교를 설립했다.

그룬트비의 학교 개혁에 대한 야망은 민중 고등학교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그는 또한 스웨덴 예테보리에 있는 세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상징적인 교차점에 위치할 대 북유럽 대학교(열정 학교)를 설립하는 것을 꿈꿨다. 그의 학교 프로그램의 두 기둥, 생명 학교(민중 고등학교)와 열정 학교(대학교)는 삶의 매우 다른 지평을 목표로 했다. 대중 교육은 주로 국가적이고 애국적인 이해의 지평 내에서 가르쳐야 하지만, 항상 더 넓은 문화적이고 상호 문화적인 관점을 향해 열린 마음을 유지해야 하며, 대학은 엄격하게 보편적인, 즉 인간적이고 과학적인 관점에서 작업해야 했다.[10]

그룬트비의 모든 교육학적 노력의 공통 분모는 교육 생활의 모든 분야에서 자유, 시, 훈련된 창의성의 정신을 증진하는 것이었다. 그는 지혜, 연민, 동일시 및 평등과 같은 가치를 증진했다. 그는 시험을 포함한 모든 강요에 반대했는데, 시험은 인간의 영혼을 죽이는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대신 그룬트비는 삶의 보편적인 창조 질서에 따라 인간의 창의성을 발휘할 것을 옹호했다. 오직 ''기꺼이 하는 손만이 가벼운 일을 한다''. 그러므로 자유, 협력 및 발견의 정신이 개인, 과학 및 시민 사회 전체에서 불붙여져야 했다.[11]

3. 3. 정치 사상

1848년 덴마크 수도 코펜하겐에서 무소속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국방의 의무, 신앙,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를 옹호하는 발언을 했다.[1] 그는 모든 사람이 자신의 토지를 소유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국민 생활 개선을 위한 민중고등학교 창설을 제안했다.[1]

4. 유산 및 영향

그룬트비는 세 번 결혼했으며, 마지막 결혼은 76세 때였다. 그의 아들 스벤 그룬트비는 덴마크의 이야기시(발라드)를 수집하고 편집하는 일을 했다.

4. 1. 덴마크 문화에 끼친 영향

쇠렌 오뷔에 키르케고르(Søren Aabye Kierkegaard)실존주의 철학 이론을 극찬하였으며, 같은 덴마크인 작가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Hans Christian Andersen)의 동심 사랑을 극찬하기도 한 그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며, 땅을 사랑하자..."라고 호소하며, 척박한 조국 덴마크를 개척하여 덴마크를 세계적인 아름다운 나라로 개혁하는데 크게 이바지하여, "덴마크 중흥의 국부(國父)"라 일컬어진다.[17]

그룬트비 교회

  • 그룬트비 교회는 덴마크 건축가 페데르 빌헬름 옌센-클린트가 그룬트비를 기념하기 위해 설계한 것으로, 코펜하겐 비스페베르 지역에 있다. 신고딕 표현주의 양식으로 지어진 이 교회는 노란 벽돌로 지어졌으며 1940년에 완공되었다.
  • 나이지리아에 있는 그룬트비 국제 중등학교 또한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남녀공학 사립 중등학교이다.
  • 그의 찬송가 ''De Levendes Land''는 2006년 덴마크 문화 캐논의 문학 부문에 포함된 ''Lyrikantologi''의 항목으로 선정되었다.[17]
  • 그룬트비안 포럼은 코펜하겐 중심부 바르토브에 있다. 1898년에 설립되었으며, 그룬트비주의를 배경으로 하는 종교 운동이다.


닐스 스코브고르가 제작한 화강암 조각상은 1932년 바르토르브 중앙 안뜰에 설치되었다. 이 조각상은 생명의 샘 옆에 무릎을 꿇고 있는 그룬트비를 묘사하고 있다.

4. 2.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그룬트비의 민중고등학교 운동은 시험과 경쟁 위주의 한국 교육 시스템에 대한 비판과 대안 모색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의 교육 철학은 대안 교육 및 평생 교육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민족 정체성 확립, 시민 교육, 공동체 의식 함양 등 한국 사회가 당면한 과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그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며, 땅을 사랑하자..."라고 호소하며 조국 덴마크를 개혁하여 "덴마크 중흥의 국부(國父)"로 칭송받는다.[17]

5. 주요 저작


  • ''북유럽 신화'' (1808)[6]
  • ''북유럽 영웅의 멸망'' (1809) - 장편 드라마[6]
  • ''세계 연대기'' (Kort Begreb af Verdens Krønike i Sammenhæng, 1812)[6]
  • ''로스킬레 라임''(''로스킬데의 운율''; 1813)[6]
  • ''로스킬데 사가''[6]
  • ''단네-비르케'' (1816년~1819년) - 편집자이자 기고가[6]
  • ''Bjovulfs Drape'' (1820) - 베오울프의 최초 현대어 번역본[12]
  • ''교회의 반박'' (Kirkens Gienmæle, 1825)[7]
  • ''덴마크 교회를 위한 노래 작품'' (1837년~1841년)[8]
  • ''피닉스'' (1840) - 고대 영어 시 덴마크어 번역[9]
  •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의 위대한 유산"
  • "Det kimer nu til julefest"


그룬트비의 세속 문학 작품은 9권의 저작집으로 간행되었으며, 처음 7권은 그의 둘째 아들 스벤 그룬트비(Svend Grundtvig)가 편찬했다. 그의 찬송가는 5권의 『그룬트비 찬송가집』에 수록되어 있다. 그룬트비의 저작 전집은 홀거 베그트루프(Holger Begtrup)의 10권 전집인 "Udvalgte Skrifter"이다.[6]

주요 전집 및 선집은 다음과 같다.

제목편집자출판사출판 연도
Grundtvigs Sang-Værk 1–6Magnus Stevns 외Det danske Forlag1948–64
Poetiske Skrifter 1–9Svend Grundtvig 외Karl Schönberg og Hyldendal1880–1930
Udvalgte Skrifter 1–10Holger BegtrupGyldendal1904–09
Værker i Udvalg 1–10Hal Koch, Georg ChristensenGyldendal1940–46


참조

[1] 웹사이트 Nikolai Frederik Severin Grundtvig https://snl.no/Nikol[...] Store norske leksikon 2015-12-15
[2] 서적 Building the Nation: N.F.S. Grundtvig and Danish National Identity McGill-Queen's Press
[3] 웹사이트 Nikolai Frederik Severin Grundtvig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Denmark 2015-12-15
[4] 웹사이트 Grundtvig Sought a Transformed Denmark http://www.christian[...] Christianity.com 2015-12-15
[5] 웹사이트 N.F.S.Grundtvig http://www.forfatter[...] Forfatterweb 2015-12-15
[6] 간행물 NFS Grundtvig https://web.archive.[...] Arkiv for Dansk Litteratur 2007-08-08
[7] 간행물 Kirkens Gienmæle https://web.archive.[...] Arkiv for Dansk Litteratur 2007-08-09
[8] 웹사이트 Vartovs historie http://www.grundtvig[...] Grundtvig. dk 2015-12-15
[9] 웹사이트 Vartov kirkes bygningshistorie http://www.grundtvig[...] Grundtvig. dk 2015-12-15
[10] 웹사이트 N.F.S.Grundtvig – A Life Recalled http://samples.pubhu[...] University of Aarhus 2015-12-15
[11] 웹사이트 N. F. S. Grundtvig, folk high schools and popular education http://infed.org/mob[...] YMCA George Williams College 2015-12-15
[12] 웹사이트 Hofembedsmand – Bülow, Johan, 1751–1828 https://runeberg.org[...] Dansk biografisk Lexikon 2015-12-15
[13] 논문 Grundtvig, Bede and the Testimony of Antiquity
[14] 논문 Before Irenaeus. The Making of Grundtvig the Medievalist
[15] 논문 The Recovery of England's 'skrinlagt fortid' — a Progress Report
[16] 웹사이트 Biografi – Nik. Fred. Sev. Grundtvig https://web.archive.[...] Arkiv for Dansk Litteratur 2015-12-15
[17] 웹사이트 Litteratur: Lyrikantologi https://web.archive.[...] Ministry of Culture 2013-01-30
[18] 웹사이트 Nikolai Frederik Severin Grundtvig, Renewer of the Church http://lutheransaint[...] Field Guide To Lutheran Saints 2015-12-15
[19] 웹사이트 Grundtvig Tekstoplysninger Tekstbeskrivelse https://web.archive.[...] danske litterære tekster efter 1800 2015-12-15
[20] 간행물 NFS Grundtvig http://www.adl.dk/ad[...] Arkiv for Dansk Litteratur 2007-08-08
[21] 간행물 Kirkens Gienmæle http://www.adl.dk/ad[...] Arkiv for Dansk Litteratur 2007-08-09
[22] 논문 Grundtvig, Bede and the Testimony of Antiquity
[23] 논문 Before Irenaeus. The Making of Grundtvig the Medievalist
[24] 논문 The Recovery of England's 'skrinlagt fortid' — a Progress Report
[25] 웹사이트 Litteratur: Lyrikantologi http://kum.dk/Docume[...] Ministry of Culture 2013-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