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산 디젤 스페이스 러너 7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닛산 디젤 스페이스 러너 7은 닛산 디젤(현 UD트럭)이 1990년대 초 7m급 HD급 소형 버스 시장 진출을 위해 개발한 버스 모델이다. 1994년에 정식 출시되어 U-EN210DAN형 모델을 채택했으며, 풀에어 서스펜션을 표준으로 적용했다. 1998년 배출 가스 규제 대응을 위해 마이너 체인지를 거쳤으나, 수요 부족으로 2003년에 후속 차종 없이 단종되었다. 모델로는 U-EN210DAN (1994년), KC-EN211DAN/KC-EN250DAN (1995년), KK-EN252DAN (1999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UD트럭의 버스 - 닛산 디젤 스페이스 러너 RA
닛산 디젤 스페이스 러너 RA는 UD트럭에서 생산한 대형 버스 차종으로, 미쓰비시후소트럭 버스와의 제휴를 통해 엔진을 공급받아 마이너 체인지 모델이 출시되었으나, 배출가스 규제와 차체 제작사의 해산으로 단종되었다. - UD트럭의 버스 - 닛산 디젤 스페이스 러너 A
닛산 디젤 스페이스 러너 A는 닛산 디젤에서 개발 및 생산한 스페이스 러너 시리즈의 버스 모델로, 다양한 모델 체인지를 거쳐 후지 중공업, 니시닛폰 차체 공업, 미쓰비시 후소 등의 차체를 사용했으며 2010년 단종되었다. - 1994년 도입된 자동차 - 토요타 RAV4
토요타 RAV4는 1994년 첫 출시 이후 다섯 세대에 걸쳐 생산되고 있는 콤팩트 SUV로, 전륜구동과 사륜구동 모델을 제공하며 가솔린, 디젤,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과 여러 차명으로 판매되고 일부는 테슬라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전기차 모델로도 출시되었다. - 1994년 도입된 자동차 - 아우디 A8
아우디 A8은 1994년부터 생산된 아우디의 플래그십 세단으로, 알루미늄 차체 기술인 아우디 스페이스 프레임(ASF)을 적용하여 경량화와 높은 강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며 메르세데스-벤츠 S 클래스, BMW 7 시리즈 등과 경쟁한다. - UD트럭 - 닛산 디젤 스페이스 러너 RA
닛산 디젤 스페이스 러너 RA는 UD트럭에서 생산한 대형 버스 차종으로, 미쓰비시후소트럭 버스와의 제휴를 통해 엔진을 공급받아 마이너 체인지 모델이 출시되었으나, 배출가스 규제와 차체 제작사의 해산으로 단종되었다. - UD트럭 - 닛산 디젤 스페이스 러너 A
닛산 디젤 스페이스 러너 A는 닛산 디젤에서 개발 및 생산한 스페이스 러너 시리즈의 버스 모델로, 다양한 모델 체인지를 거쳐 후지 중공업, 니시닛폰 차체 공업, 미쓰비시 후소 등의 차체를 사용했으며 2010년 단종되었다.
닛산 디젤 스페이스 러너 7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생산 기간 | 1994년-2003년 |
이전 모델 | 해당 없음 |
이후 모델 | 해당 없음 |
차종 | 버스 |
플랫폼 | 해당 없음 |
차체 스타일 | 버스 |
엔진 | 해당 없음 |
변속기 | 5단 수동 |
전장 | 7m |
전폭 | 해당 없음 |
전고 | 해당 없음 |
중량 | 해당 없음 |
축거 | 해당 없음 |
다른 이름 | 해당 없음 |
관련 차종 | 해당 없음 |
디자이너 | 해당 없음 |
별칭 | Nissan Diesel EN |
일본어 명칭 | 日産ディーゼル・スペースランナー7 (닛산 디이제루 스페에스란나아 나나) 日産ディーゼル・EN (닛산 디이제루 이이에누) |
2. 개발 배경
1994년 닛산 디젤 (현 UD트럭)은 7m급 HD급 소형 버스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스페이스 러너 7을 출시했다. 당시 7m급 소형 HD급 버스 시장은 히노 레인보우,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 미디, 이스즈 저니 Q 모델이 주도하고 있었기 때문에, 닛산 디젤의 시장 진출은 늦은 편이었다.
1994년 닛산 디젤(현, UD트럭)은 도쿄 모터쇼에서 길이 7m, 폭 2.3m의 HD급 소형 버스인 스페이스 러너 7을 발표했다. 이 모델은 히노 레인보우,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 미디, 이스즈 저니 Q보다 늦게 출시되었다. 풀에어 서스펜션을 표준으로 채택했고, 차체는 후지중공업과 서일본 차체 공업에서 제작된 차체 중 선택할 수 있었다.
닛산 디젤은 도쿄 모터쇼를 통해 길이 7m, 폭 2.3m의 HD급 소형 버스를 발표했고, U-EN210DAN형 모델을 채택하고 풀에어 서스펜션을 표준으로 채택했다. 차체는 후지중공업과 서일본 차체 공업에서 제작된 차체 중 선택이 가능했다. 1998년 배출 가스 규제 대응에 맞춰 마이너 체인지를 했으나, 수요가 적어 소량 생산되었고 2003년에 후속 차종 없이 단종되었다.
3. 모델
스페이스 러너 7은 배출 가스 규제에 따라 여러 차례 모델 변경이 이루어졌다.3. 1. U-EN210DAN (1994년)
1994년부터 출시된 모델로 FE6E형 엔진과 인터쿨러 터보 엔진인 FE6TA형 엔진을 탑재했다. FE6E형 엔진의 경우 배출 가스 규제에 준수한 스페이스 러너 7 모델만 탑재했다.
엔진 | 적용 |
---|---|
FE6E (195ps) | U-EN210DAN (1994년) |
FE6TA (235ps) | U-EN210DAN (1994년) |
3. 2. KC-EN211DAN/KC-EN250DAN (1995년)
1994년 배출 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1995년에 출시되었다. FE6E 엔진(195ps, KC-EN211DAN) 및 FE6TA 엔진(235ps, KC-EN250DAN)이 적용되었다. 이 엔진들은 훗날 닛산 디젤 스페이스 러너 RM, 닛산 디젤 스페이스 러너 RP 모델에도 적용되었다.모델명 | 엔진 | 출력 (ps) |
---|---|---|
KC-EN211DAN | FE6E | 195 |
KC-EN250DAN | FE6TA | 235 |
3. 3. KK-EN252DAN (1999년)
1998년 배출 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1999년에 출시되었다. FE6TA형 엔진(240ps)이 적용되었고, 수요 부족으로 소량만 생산된 후 2003년에 후속 차종 없이 단종되었다.
4. 단종
UD트럭에서 도쿄 모터쇼를 통해 길이 7m, 폭 2.3m의 HD급 소형 버스를 발표하였다. 히노 레인보우,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 미디, 이스즈 저니 Q 등 기존 모델에 비해 늦은 편이었다. 1994년에 스페이스 러너 7 모델로 정식 발매되었다. U-EN210DAN형 모델을 채택했고 풀에어 서스펜션을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차체는 후지중공업과 서일본 차체 공업에서 제작된 차체 중 선택이 가능했다. 1998년 배출 가스 규제 대응에 맞춰 마이너 체인지를 했으나 수요가 적어 소량 생산되었고, 2003년에 후속 차종 없이 단종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