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계 싱가포르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계 싱가포르인은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중국계 인구를 지칭하며, 싱가포르 통계청은 인종 또는 민족 집단으로 분류한다. 이들은 다양한 중국 방언 집단 출신으로 구성되며, 19세기부터 싱가포르의 역사와 발전을 함께 해왔다. 싱가포르 독립 이후, 중국계 싱가포르인은 싱가포르 사회의 주류를 이루며, 교육,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오늘날에도 언어, 종교, 문화 등에서 다양한 하위 집단으로 나뉘어 있으며, 싱가포르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의 민족 - 타밀족
타밀족은 주로 남인도와 스리랑카에 거주하며 타밀어를 사용하는 드라비다계 민족으로, 남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문화 중 하나를 가지고 있으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왕국과 시대를 거쳐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며 살아가고 있다. - 싱가포르의 민족 - 버마족
버마족은 미얀마의 다수 민족으로, 주로 이라와디강 유역에 거주하며 윈난성에서 이주하여 몬족과 퓨족을 흡수했고, 상좌부 불교를 믿으며 버마어를 사용하는 독특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이연걸
이연걸은 중국 무술 국가대표 5연패의 전설적인 무술가 출신 배우로, 영화 《소림사》 데뷔 후 《황비홍》 시리즈를 통해 세계적인 액션 스타로 발돋움했으며, 할리우드 진출 후에도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활발한 자선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중국계 싱가포르인 - 딕 리
딕 리는 페라나칸 가정 출신으로 런던에서 패션 디자인을 전공한 싱가포르의 다재다능한 예술가로, 음악, 연극, 영화,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아시아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계 싱가포르인 | |
---|---|
개요 | |
![]() | |
인구 | 2,675,521명 (2020년) |
거주 비율 | 싱가포르 거주 인구의 75.9% (2020년) |
언어 | 영어, 표준 중국어 (공식어), 호키엔어, 광둥어, 테오추어, 하카어, 하이난어, 호치우어, 헹화어, 말레이어 |
종교 | 불교, 기독교, 이슬람교, 도교, 무신론 |
관련 민족 | 외국 페라나칸, 화교, 유라시아계 싱가포르인,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중국계 필리핀인, 태국계 중국인 |
명칭 | |
중국어 간체 | 新加坡华人/华裔新加坡人 |
중국어 번체 | 新加坡華人/華裔新加坡人 |
병음 | Xīnjiāpō Huárén / Huáyì Xīnjiāpōrén |
말레이어 | Orang Cina Singapura |
영어 | Chinese Singaporeans |
관련 정보 | |
싱가포르인 관련 항목 | 아랍인 아르메니아인 호주인 미얀마인 중국계 페라나칸 중국 본토인 치티 유라시아인 필리핀인 인도인 일본인 자와위 페라나칸 유대인 한국인 말레이인 네팔인 파키스탄인 스리랑카인 타밀족 태국인 베트남인 |
2. 정의
싱가포르 통계청은 "중국인"을 인종 또는 "민족 집단"으로 정의하며, CMIO 모델에 따라 "말레이, 인도 및 기타"와 함께 분류한다.[5] 이들은 호키엔, 테오추, 해남인, 광동인, 하카, 헹화, 호치아 및 푸저우, 상하이, 북중국인 등 "중국계 출신자"로 구성된다.[6] 중국계 싱가포르인은 광범위한 세계 중국 공동체와의 소속 여부에 관계없이 "싱가포르의 중국 공동체"로 정의된다.
10세기 초부터 중국인들이 싱가포르에서 무역을 하고 정착했다는 증거가 있으며,[8][14] 10세기에서 14세기까지 섬에서 무역 활동과 중국인 거주자를 기록한 다양한 중국 기록도 있었다.[11] 싱가포르가 영국 무역항으로 건설되기 전에는 템공 압둘 라만(Temenggong Abdul Rahman)을 따르던 120명의 말레이인과 약 20~30명의 중국인이 섬에 거주했다.[24]
3. 역사
중국 제국 자료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초기 기록은 싱가포르를 "롱야먼"(龍牙門), "단마시"(單馬錫 또는 淡馬錫)로 칭했다. 이후 "시 라"(息辣), "시 르"(石叻) 또는 "시 리"(息力, 해협을 의미하는 "selat"의 경우)와 같은 다른 용어는 싱가포르 또는 주변 지역을 지칭했을 수도 있다.[7]
송나라 시대에 중국 상인 또는 무역상들이 이미 싱가포르를 방문했음을 나타내는 유물이 발견되었다.[8] 1225년 자오루구아가 저술한 중국 기록 ''주판지''(諸番志)는 중국 상선이 취안저우에서 싱가포르에 도착하는 모습과 다양한 중국의 무역 활동을 묘사했다.[9]
1330년경 섬을 방문한 중국 여행가 왕대연은 중국인들이 말레이인과 함께 거주하는 템마섹(淡馬錫, 말레이어 Temasek에서 유래)이라고 불리는 작은 말레이 정착지를 묘사했다.[11] 스리비자야의 쇠퇴 이후, 템마섹은 마자파힛과 시암에 의해 번갈아가며 점유되었지만, 1377년과 1391년의 침략으로 싱가포르는 파괴되었다. 그 후, 중국인들의 싱가포르 방문에 대한 중국 기록은 거의 없었다. 싱가포르는 1403년 중국 탐험가 정화의 해상 항해로 거슬러 올라가는 마오 쿤 지도에 단마시(Dan Ma Xi)로 표시되어 있다.[12]
19세기 중국 기록 ''남양예측''(南洋蠡測)은 싱가포르에 중국 무덤이 존재한다고 묘사했다("신지리포"(新忌利波)로 알려짐). 중국 무덤에는 후량과 송 공종의 시대가 기록된 글자와 비문이 있었다. 이것은 907년부터 1274년까지 일부 중국인들이 싱가포르에 정착하여 살고, 죽고, 매장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4][15]
스탬퍼드 래플스가 근대 싱가포르를 건설한 때부터 1942년 일본 점령까지, 싱가포르는 대영 제국의 식민지로 통치되었다. 영국이 처음 싱가포르에 도착했을 때 싱가포르 섬 주민 대부분은 어부, 선원 또는 해적이었고 작은 집에 살았다. 약 150명이었으며, 그중 120명이 말레이인이고 30명이 중국인이었다.[17]
싱가포르가 스트레이츠 정착지가 되었을 때 중국인은 극소수였지만, 싱가포르가 무역 기지가 된 후 첫 번째 중국인들은 주로 말라카와 페낭에서 왔다. 이들 중 많은 수가 페라나칸이었다. 대부분은 중국어와 말레이어를 구사할 수 있는 상인들이었지만, 일부는 영어 교육을 받고 영국인들과 소통할 수 있었다.[18] 1824년 싱가포르의 첫 번째 인구 조사 때 중국 이민자들은 페라나칸이거나 마카오, 광둥 및 푸젠 출신으로 기록되었다.[19]
중국인은 곧 싱가포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1826년 인구 조사에서 부기스인(1,242명)과 자바인(267명)을 제외하고 중국인(6,088명)이 말레이인(4,790명)보다 많았다.[20] 1830년대에 지배적인 집단이 되었고, 1849년에는 총 인구 52,891명의 52.8%가 중국인이었다.[23] 1901년에는 총 인구의 70%를 넘어섰고 그 이후로 그 수준을 유지했다.[22]
초기 싱가포르로 이주한 중국인들은 주로 남성이었다. 1826년 공식 인구 조사에 따르면 총 인구 13,750명 중 중국 남성은 5,747명이었지만 중국 여성은 341명에 불과했다.[20] 이 시기 싱가포르에 있던 중국 여성의 대부분은 말라카 출신의 뇨냐였으며, 중국 본토 여성은 이민을 자제하도록 권고받았다. 1837년에는 중국에서 직접 이민 온 중국 여성이 싱가포르에 없다는 점이 언급되었고, 1876년에도 싱가포르의 영국 관리는 남편과 함께 이민 온 품위 있는 중국 여성을 알지 못한다고 썼다.[23] 중국 사회의 성 불균형은 싱가포르에 계속해서 유입되는 미혼이거나 중국에 아내와 자녀를 남겨둔 남성 이민 노동자들로 인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19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 남성은 130,367명이었지만 중국 여성은 33,674명이었다.[21] 1890년대 후반까지도 싱가포르의 중국 인구 중 약 10%만이 싱가포르에서 태어났다.[22] 초기 이민 노동자들은 중국에 있는 가족에게 돈을 보내기 위해 일했으며, 많은 이들이 충분한 돈을 벌고 나면 중국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1920년대부터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싱가포르에 영구적으로 정착하기로 선택했다.[22] 사회적 태도 변화로 중국 여성들이 중국에서 더 자유롭게 이민할 수 있게 되면서, 성비는 20세기에 정상화되기 시작했다.[23] 1931~1947년 기간 동안 인구의 자연 증가가 순 이민자 수를 초과하기 전까지 이민은 싱가포르의 중국 인구 증가의 주요 원인이었다.[24]
1832년 싱가포르가 대영 제국 스트레이츠 정착지의 수도가 된 후, 자유 무역 정책에 매료된 중국 상인들이 이주해 왔다. 많은 이들이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왔으며, 한 해에 11,000명의 이민자가 기록되었다. 싱가포르는 스트레이츠 정착지의 농장과 광산에서 일하기 위해 온 다수의 중국 및 인도 이민자들의 입국 및 분산 지점 중 하나가 되었으며, 많은 이들이 계약이 만료된 후 싱가포르에 정착했다.[25] 대규모 노동력이 필요한 상업으로 인해 싱가포르에는 중국 쿨리 무역이 등장했다. 계약된 중국 광둥 노동자와 영국령 인도 제국 노동자들이 쿨리 무역업자들에 의해 계약되어 일하기 위해 싱가포르로 끌려왔다. 1860년 제2차 아편 전쟁에서 중국 쿨리 무역이 합법화되어 최고조에 달했다. 윌리엄 픽커링이 중국인 보호자가 된 후에야 싱가포르로의 쿨리 유입이 중단되었다. 1914년 쿨리 무역은 싱가포르에서 폐지되고 금지되었다.[26]
중국인의 대규모 싱가포르 유입은 많은 수의 중국 협회, 학교, 사찰 설립을 가져왔고, 1세기 안에 중국 이민자 인구는 말레이인을 초과했다. 이 기간 동안 유럽의 기독교 선교사들이 아시아인, 특히 중국인에게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했다.
페라나칸(일반적으로 영어 교육을 받은 수 세대에 걸친 동남아시아 중국인의 후손)은 싱가포르에서 "라오쿠"(老客, 옛 손님) 또는 "스트레이츠 중국인"으로 알려졌다. 그들 대부분은 대영 제국에 충성을 바쳤고 자신들을 "화교"로 간주하지 않았다. 19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중국에서 온 이민자들은 "신쿠"(新客, 새 손님)로 알려졌다. 그들 중 대다수는 쿨리, 증기선 노동자 등이었다. 일자리를 찾거나, 더 나은 생활 조건을 찾거나, 중국의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싱가포르로 왔다. 20세기 전반에 걸쳐 중국의 혼란과 전쟁으로 인해 많은 이들이 싱가포르로 탈출했다. 그들은 주로 푸젠, 광둥 및 하이난 성에서 왔으며 페라나칸과 달리 중국에 충성을 바쳤고 자신들을 "화교"로 간주했다.
1937년 중일 전쟁 발발은 싱가포르 화교들의 애국심을 고취시켜 일본 상품 불매 운동을 촉발시켰다.[1] 많은 화교들이 일본군에 맞서기 위해 중국으로 돌아갔고, 기업가들은 중국에 경제적 지원과 군사 장비를 제공했다.[1]
1942년 싱가포르 전투에서 일본이 승리한 후, 헌병대는 중국의 항일 전쟁을 지원한 화교들을 색출했다.[1] 헌병대의 숙칭 학살은 현지인들에게 공포감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가면을 쓴 정보원의 증언(대부분 개인적 원한에 의한 거짓 증언)을 바탕으로 자행되었다.[1] 림보셍이 이끈 제136부대와 같은 항일 저항 운동도 활발히 전개되었다.[1]
인종 폭동은 전후 초기, 특히 1965년 자치 정부 수립과 독립 사이에 흔하게 발생했다. 1964년 7월 21일, 무함마드의 탄생 기념 행사 중 대규모 폭동이 발생했다. 23명이 사망하고 454명이 부상당하는 등 사상자가 많았으며, 당시 총리 (리콴유)와 그의 내각을 축출하고 말레이시아 반도에서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개념의 추진을 막기 위한 정치적 의도에서 비롯되었다는 주장도 있었다.
1965년 싱가포르 독립 이후, 싱가포르는 더욱 인종적으로 조화로운 사회를 조성하기 시작했다. 싱가포르의 국가 정체성과 국가 건설이 이루어짐에 따라 싱가포르의 중국계는 임시 체류에서 싱가포르에 영구 정착하는 것으로 사고방식을 바꾸면서 싱가포르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싱가포르의 중국계는 시민권 측면에서 점차 "싱가포르인"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20세기 후반, 싱가포르는 노동력 증대를 위해 싱가포르 정부가 중국 대학에서 선발한 중국 이민자들이 대폭 증가했다.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 중국에서 온 중국계 이민자들은 일반적으로 "신이민(Xinyimin 新移民)"으로 알려졌다. 그들은 중국 각지에서 왔다.
3. 1. 1819년 이전
10세기 초부터 중국인들이 싱가포르에서 무역을 하고 정착했다는 증거가 있으며,[8][14] 10세기에서 14세기까지 섬에서 무역 활동과 중국인 거주자를 기록한 다양한 중국 기록도 있었다.[11] 싱가포르가 영국 무역항으로 건설되기 전에는 템공 압둘 라만(Temenggong Abdul Rahman)을 따르던 120명의 말레이인과 약 20~30명의 중국인이 섬에 거주했다.[24]
중국 제국 자료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초기 기록은 싱가포르를 "롱야먼"(龍牙門), "단마시"(單馬錫 또는 淡馬錫)로 칭했다. 이후 "시 라"(息辣), "시 르"(石叻) 또는 "시 리"(息力, 해협을 의미하는 "selat"의 경우)와 같은 다른 용어는 싱가포르 또는 주변 지역을 지칭했을 수도 있다.[7]
송나라 진종 (998–1022)과 송나라 인종 (1023–1063) 재위 기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중국 동전이나 도자기와 같은 유물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은 중국 상인 또는 무역상들이 이미 송나라 시대에 싱가포르를 방문했음을 나타낸다.[8]
1225년 자오루구아가 저술한 중국 기록 ''주판지''(諸番志)는 중국 상선이 취안저우에서 싱가포르에 도착하는 모습과 다양한 중국의 무역 활동을 명확하게 묘사했다.[9] 이 연대기에서 산포치 (스리비자야의 중국어 이름인 三佛齊)라는 장은 스리비자야에 도착하여 무역을 하기 전에 "링야먼"(凌牙門, 이것이 롱야먼과 같은지는 불분명함)을 통과하는 상선을 기록했다.[10]
1330년경 섬을 방문한 중국 여행가 왕대연은 중국인들이 말레이인과 함께 거주하는 템마섹 (淡馬錫, 말레이어 Temasek에서 유래)이라고 불리는 작은 말레이 정착지를 묘사했다.[11]
스리비자야의 쇠퇴 이후, 템마섹은 마자파힛과 시암에 의해 번갈아가며 점유되었지만, 1377년과 1391년의 침략으로 싱가포르는 파괴되었다. 그 후, 중국인들의 싱가포르 방문에 대한 중국 기록은 거의 없었다. 싱가포르는 1403년 중국 탐험가 정화의 해상 항해로 거슬러 올라가는 마오 쿤 지도에 단마시(Dan Ma Xi)로 표시되어 있다.[12] 오늘날 싱가포르에 정착한 초기 중국인 집단은 15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이 지역으로 이주하여 현지 여성과 결혼한 후손인 말라카와 리아우 출신의 페라나칸 중국인이었다.[13]
19세기 중국 기록 ''남양예측''(南洋蠡測)은 싱가포르에 중국 무덤이 존재한다고 묘사했다("신지리포"(新忌利波)로 알려짐). 중국 무덤에는 후량과 송 공종의 시대가 기록된 글자와 비문이 있었다. 이것은 907년부터 1274년까지 일부 중국인들이 싱가포르에 정착하여 살고, 죽고, 매장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4][15]
3. 2. 1819년 ~ 1937년
스탬퍼드 래플스가 근대 싱가포르를 건설한 때부터 1942년 일본 점령까지, 싱가포르는 대영 제국의 식민지로 통치되었다. 영국이 처음 싱가포르에 도착했을 때 싱가포르 섬 주민 대부분은 어부, 선원 또는 해적이었고 작은 집에 살았다. 약 150명이었으며, 그중 120명이 말레이인이고 30명이 중국인이었다.[17]
싱가포르가 스트레이츠 정착지가 되었을 때 중국인은 극소수였지만, 싱가포르가 무역 기지가 된 후 첫 번째 중국인들은 주로 말라카와 페낭에서 왔다. 이들 중 많은 수가 페라나칸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말레이시아에 거주한 중국인의 후손이었다. 대부분은 중국어와 말레이어를 구사할 수 있는 상인들이었지만, 일부는 영어 교육을 받고 영국인들과 소통할 수 있었다. ''스트레이츠 정착지의 중국인의 풍습''에서는 스트레이츠에서 태어난 중국인들이 중국인이 아닌 영국 국민으로 간주되며, 그들의 생활 방식이 더 서구화되었다고 묘사한다.[18] 1824년 싱가포르의 첫 번째 인구 조사 때 중국 이민자들은 페라나칸이거나 마카오, 광둥 및 푸젠 출신으로 기록되었다.[19]
중국인은 곧 싱가포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1826년 인구 조사에서 부기스인(1,242명)과 자바인(267명)을 제외하고 중국인(6,088명)이 말레이인(4,790명)보다 많았다.[20] 1830년대에 지배적인 집단이 되었고, 1849년에는 총 인구 52,891명의 52.8%가 중국인이었다.[23] 1901년에는 총 인구의 70%를 넘어섰고 그 이후로 그 수준을 유지했다.[22]
초기 싱가포르로 이주한 중국인들은 주로 남성이었다. 1826년 공식 인구 조사에 따르면 총 인구 13,750명 중 중국 남성은 5,747명이었지만 중국 여성은 341명에 불과했다.[20] 이 시기 싱가포르에 있던 중국 여성의 대부분은 말라카 출신의 뇨냐였으며, 중국 본토 여성은 이민을 자제하도록 권고받았다. 1837년에는 중국에서 직접 이민 온 중국 여성이 싱가포르에 없다는 점이 언급되었고, 1876년에도 싱가포르의 영국 관리는 남편과 함께 이민 온 품위 있는 중국 여성을 알지 못한다고 썼다.[23] 중국 사회의 성 불균형은 싱가포르에 계속해서 유입되는 미혼이거나 중국에 아내와 자녀를 남겨둔 남성 이민 노동자들로 인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19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 남성은 130,367명이었지만 중국 여성은 33,674명이었다.[21] 1890년대 후반까지도 싱가포르의 중국 인구 중 약 10%만이 싱가포르에서 태어났다.[22] 초기 이민 노동자들은 중국에 있는 가족에게 돈을 보내기 위해 일했으며, 많은 이들이 충분한 돈을 벌고 나면 중국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1920년대부터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싱가포르에 영구적으로 정착하기로 선택했다.[22] 사회적 태도 변화로 중국 여성들이 중국에서 더 자유롭게 이민할 수 있게 되면서, 성비는 20세기에 정상화되기 시작했다.[23] 1931~1947년 기간 동안 인구의 자연 증가가 순 이민자 수를 초과하기 전까지 이민은 싱가포르의 중국 인구 증가의 주요 원인이었다.[24]
1832년 싱가포르가 대영 제국 스트레이츠 정착지의 수도가 된 후, 자유 무역 정책에 매료된 중국 상인들이 이주해 왔다. 많은 이들이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왔으며, 한 해에 11,000명의 이민자가 기록되었다. 싱가포르는 스트레이츠 정착지의 농장과 광산에서 일하기 위해 온 다수의 중국 및 인도 이민자들의 입국 및 분산 지점 중 하나가 되었으며, 많은 이들이 계약이 만료된 후 싱가포르에 정착했다.[25] 대규모 노동력이 필요한 상업으로 인해 싱가포르에는 중국 쿨리 무역이 등장했다. 계약된 중국 광둥 노동자와 영국령 인도 제국 노동자들이 쿨리 무역업자들에 의해 계약되어 일하기 위해 싱가포르로 끌려왔다. 1860년 제2차 아편 전쟁에서 중국 쿨리 무역이 합법화되어 최고조에 달했다. 윌리엄 픽커링이 중국인 보호자가 된 후에야 싱가포르로의 쿨리 유입이 중단되었다. 1914년 쿨리 무역은 싱가포르에서 폐지되고 금지되었다.[26]
중국인의 대규모 싱가포르 유입은 많은 수의 중국 협회, 학교, 사찰 설립을 가져왔고, 1세기 안에 중국 이민자 인구는 말레이인을 초과했다. 이 기간 동안 유럽의 기독교 선교사들이 아시아인, 특히 중국인에게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했다.
페라나칸(일반적으로 영어 교육을 받은 수 세대에 걸친 동남아시아 중국인의 후손)은 싱가포르에서 "라오쿠"(老客, 옛 손님) 또는 "스트레이츠 중국인"으로 알려졌다. 그들 대부분은 대영 제국에 충성을 바쳤고 자신들을 "화교"로 간주하지 않았다. 19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중국에서 온 이민자들은 "신쿠"(新客, 새 손님)로 알려졌다. 그들 중 대다수는 쿨리, 증기선 노동자 등이었다. 일자리를 찾거나, 더 나은 생활 조건을 찾거나, 중국의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싱가포르로 왔다. 20세기 전반에 걸쳐 중국의 혼란과 전쟁으로 인해 많은 이들이 싱가포르로 탈출했다. 그들은 주로 푸젠, 광둥 및 하이난 성에서 왔으며 페라나칸과 달리 중국에 충성을 바쳤고 자신들을 "화교"로 간주했다.
3. 3. 1937년 ~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1937년 중일 전쟁 발발은 싱가포르 화교들의 애국심을 고취시켜 일본 상품 불매 운동을 촉발시켰다.[1] 많은 화교들이 일본군에 맞서기 위해 중국으로 돌아갔고, 기업가들은 중국에 경제적 지원과 군사 장비를 제공했다.[1]
1942년 싱가포르 전투에서 일본이 승리한 후, 헌병대는 중국의 항일 전쟁을 지원한 화교들을 색출했다.[1] 헌병대의 숙칭 학살은 현지인들에게 공포감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가면을 쓴 정보원의 증언(대부분 개인적 원한에 의한 거짓 증언)을 바탕으로 자행되었다.[1] 림보셍이 이끈 제136부대와 같은 항일 저항 운동도 활발히 전개되었다.[1]
3. 4. 1945년 이후
인종 폭동은 전후 초기, 특히 1965년 자치 정부 수립과 독립 사이에 흔하게 발생했다.
1964년 7월 21일, 무함마드의 탄생 기념 행사 중 대규모 폭동이 발생했다. 23명이 사망하고 454명이 부상당하는 등 사상자가 많았으며, 당시 총리 (리콴유)와 그의 내각을 축출하고 말레이시아 반도에서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개념의 추진을 막기 위한 정치적 의도에서 비롯되었다는 주장도 있었다.
1965년 싱가포르 독립 이후, 싱가포르는 더욱 인종적으로 조화로운 사회를 조성하기 시작했다. 싱가포르의 국가 정체성과 국가 건설이 이루어짐에 따라 싱가포르의 중국계는 임시 체류에서 싱가포르에 영구 정착하는 것으로 사고방식을 바꾸면서 싱가포르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싱가포르의 중국계는 시민권 측면에서 점차 "싱가포르인"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20세기 후반, 싱가포르는 노동력 증대를 위해 싱가포르 정부가 중국 대학에서 선발한 중국 이민자들이 대폭 증가했다.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 중국에서 온 중국계 이민자들은 일반적으로 "신이민(Xinyimin 新移民)"으로 알려졌다. 그들은 중국 각지에서 왔다.
4. 싱가포르의 중국계 단체
19세기와 20세기 초, 중국계 이주민들은 차이나타운과 같은 거주지에 정착했다. 이들은 방언에 따라 집단을 이루는 경향이 있었으며, 인근 중국 지역 출신들이 함께 모였다. 이로 인해 중국인들은 '호키엔 방', '테오체우 방', '광둥 방', '객가 방', '해남 방'과 같이 5개의 방언 집단(幫群, ''Bangqun''으로 알려짐)을 형성했다.
영국 식민지 시대에 식민 정부는 "중국인으로 중국인을 다스리는" 방식을 채택하여 중국 공동체를 다스리기 위해 중국 지도자들을 임명했다. 사실상 중국 공동체는 반자율적인 상태로 존재했으며, 새로운 중국 이민자들이 싱가포르에 정착하여 일자리와 숙소를 찾도록 도왔다.
많은 중국 시민 사회는 장례식이나 조상 숭배와 같은 중국 가족 종교 활동에 참여하며 종교적 기능도 수행했다. 이는 점차 싱가포르에서 중국 사원과 중국 씨족 협회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시간이 흐르면서 중국인들은 사업과 교육 분야에서 더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부유한 중국 사업가들은 1895년에 이화헌 클럽(怡和軒)과 싱가포르 중화 상공 회의소와 같은 상업 조직을 설립하여 중국인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넓히기 시작했다.[27] 1906년에 설립된 싱가포르 중화 상공 회의소는 영국 식민지 시대 동안 싱가포르 중국인들의 권리를 위해 싸우는 역할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싱가포르 중화 상공 회의소는 전쟁으로 황폐해진 중국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자금과 자원을 모으는 데 기여했다.
1960년대 싱가포르가 독립하면서, 싱가포르 정부는 인종 간 화합을 증진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싱가포르 국민 정체성이 강화되면서 중국 씨족 협회의 중요성은 점차 줄어들었고, 중국 공동체를 조직하고 다스리는 역할은 싱가포르 정부가 넘겨받았다.
4. 1. 역사적 배경
일반적으로 중국계 싱가포르인은 푸젠성, 광둥성, 하이난성 출신이다. 민난족(호키엔족, 차오저우족)과 광둥어족은 싱가포르 화교 인구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한다. 객가족, 헝화족, 푸저우족 및 기타 하위 집단이 나머지 대부분을 차지한다. 중국계 싱가포르인은 일반적으로 19세기에서 20세기 전반까지 중국 남부에서 온 비(非)중국계 이민자들의 후손이다. 1990년대와 21세기 초에 싱가포르는 중국의 다른 지역들로부터 세 번째 이민의 물결을 경험했다.10세기 초부터 싱가포르에서 중국인들이 무역을 하고 정착했다는 증거가 있었으며,[8][14] 10세기에서 14세기까지 섬에서 무역 활동과 중국인 거주자를 기록한 다양한 중국 기록도 있었다.[11] 싱가포르가 영국 무역항으로 건설되기 전에는 120명의 템공 압둘 라만(Temenggong Abdul Rahman)의 추종자들이었던 말레이인과 약 20~30명의 중국인이 섬에 거주했다.[24] 싱가포르가 영국 식민지가 된 후 중국 이주 노동자들이 유입되었지만, 초기의 싱가포르 중국인 이주민들은 대부분 남성이었는데, 충분한 돈을 벌면 중국에 있는 가족에게 돌아갔기 때문이다. 20세기 초중반에 상당수의 중국인들이 싱가포르에 영구적으로 정착하여 오늘날 싱가포르 중국인 인구의 대부분을 형성했다.[22]
중국 제국 자료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초기 기록은 싱가포르를 "롱야먼"(龍牙門), "단마시"(單馬錫 또는 淡馬錫)로 명명했다. 이후 "시 라"(息辣), "시 르"(石叻) 또는 "시 리"(息力, 해협을 의미하는 "selat"의 경우)와 같은 다른 용어는 싱가포르 또는 주변 지역을 지칭할 수도 있다.[7]
싱가포르에서 송나라 진종 (998–1022)과 송나라 인종 (1023–1063) 재위 기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중국 동전이나 도자기와 같은 유물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은 중국 상인 또는 무역상들이 이미 송나라 시대에 싱가포르를 방문했음을 나타낸다.[8]
1225년 자오루구아가 저술한 중국 기록 ''주판지''(諸番志)는 중국 상선이 취안저우에서 싱가포르에 도착하는 모습과 다양한 중국의 무역 활동을 명확하게 묘사했다.[9] 이 연대기에서 산포치 (스리비자야의 중국어 이름인 三佛齊)라는 장은 스리비자야에 도착하여 무역을 하기 전에 "링야먼"(凌牙門, 이것이 롱야먼과 같은지는 불분명함)을 통과하는 상선을 기록했다.[10]
1330년경 섬을 방문한 중국 여행가 왕대연은 중국인들이 말레이인과 함께 거주하는 템마섹 (淡馬錫, 말레이어 Temasek에서 유래)이라고 불리는 작은 말레이 정착지를 묘사했다.[11]
스리비자야의 쇠퇴 이후, 템마섹은 마자파힛과 시암에 의해 번갈아가며 점유되었지만, 1377년과 1391년의 침략으로 싱가포르는 파괴되었다. 그 후, 중국인들의 싱가포르 방문에 대한 중국 기록은 거의 없었다. 싱가포르는 1403년 중국 탐험가 정화의 해상 항해로 거슬러 올라가는 마오 쿤 지도에 단마시(Dan Ma Xi)로 표시되어 있다.[12] 오늘날 싱가포르에 정착한 초기 중국인 집단은 15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이 지역으로 이주하여 현지 여성과 결혼한 후손인 말라카와 리아우 출신의 페라나칸 중국인이었다.[13]
19세기 중국 기록 ''남양예측''(南洋蠡測)은 싱가포르에 중국 무덤이 존재한다고 묘사했다("신지리포"(新忌利波)로 알려짐). 중국 무덤에는 후량과 송 공종의 시대가 기록된 글자와 비문이 있었다. 이것은 907년부터 1274년까지 일부 중국인들이 싱가포르에 정착하여 살고, 죽고, 매장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4][15]
19세기와 20세기 초, 중국계 이주민들이 싱가포르에 처음 도착했을 때 차이나타운과 같은 거주지에 정착했다. 그들은 방언에 따라 집단을 이루는 경향이 있었으며, 인근 중국 지역 출신들이 함께 모였다. 이로 인해 중국인들은 5개의 방언 집단(幫群, ''Bangqun''으로 알려짐)을 형성했는데, 즉 '호키엔 방', '테오체우 방', '광둥 방', '객가 방', '해남 방'이 그것이다.
영국 식민지 시대 동안, 식민 정부는 "중국인으로 중국인을 다스리는" 방식을 채택했다. 그들은 중국 공동체를 다스리기 위해 중국 지도자들을 임명했다. 사실상, 중국 공동체는 반자율적인 상태로 존재했다. 중국 시민 사회는 새로운 중국 이민자들이 싱가포르에 정착하여 일자리를 찾고 숙소를 구하는 것을 도왔다.
많은 중국 시민 사회는 장례식이나 조상 숭배와 같은 중국 가족 종교 활동에 참여했으며 종교적 기능도 수행했다. 이것은 점차 싱가포르에서 중국 사원과 중국 씨족 협회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시간이 흐르면서 중국인들은 싱가포르에서 사업과 교육 분야에서 더 많은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부유한 중국 사업가들은 1895년에 이화헌 클럽(怡和軒)과 싱가포르 중화 상공 회의소와 같은 상업 조직을 설립하여 중국인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넓히기 시작했다.[27] 1906년에 설립된 싱가포르 중화 상공 회의소는 영국 식민지 시대 동안 싱가포르 중국인들의 권리를 위해 싸우는 역할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싱가포르 중화 상공 회의소는 전쟁으로 황폐해진 중국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자금과 자원을 모으는 데 기여했다.
싱가포르가 1960년대에 독립과 자율성을 얻은 후, 싱가포르 정부는 싱가포르에서 인종 간의 화합을 증진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서로 다른 언어와 종교적 배경을 가진 인종들이 서로 어울리고 함께 생활하도록 장려했다. 싱가포르 국민 정체성이 성장함에 따라 중국 이민자들은 임시 이민자에서 영구 정착민으로 생각하는 방식을 바꾸어 싱가포르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싱가포르 국민 정체성이 강화되면서 중국 씨족 협회는 점차 중요성이 줄어들었다. 중국 공동체를 조직하고 다스리는 그들의 역할은 싱가포르 정부가 넘겨받았다.
4. 2. 현재
일반적으로 중국계 싱가포르인은 푸젠성, 광둥성, 하이난성 출신이다. 민난족(호키엔족, 차오저우족)과 광둥어족은 싱가포르 화교 인구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한다. 객가족, 헝화족, 푸저우족 및 기타 하위 집단이 나머지 대부분을 차지한다. 중국계 싱가포르인은 일반적으로 19세기에서 20세기 전반까지 중국 남부에서 온 비(非)중국계 이민자들의 후손이다. 1990년대와 21세기 초에 싱가포르는 중국의 다른 지역들로부터 세 번째 이민의 물결을 경험했다.1960년대 싱가포르가 독립과 자율성을 얻은 후, 싱가포르 정부는 인종 간 화합을 증진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서로 다른 언어와 종교적 배경을 가진 인종들이 서로 어울리고 함께 생활하도록 장려했다. 싱가포르 국민 정체성이 성장함에 따라 중국 이민자들은 임시 이민자에서 영구 정착민으로 생각하는 방식을 바꾸어 싱가포르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싱가포르 국민 정체성이 강화되면서 중국 씨족 협회는 점차 중요성이 줄어들었고, 중국 공동체를 조직하고 다스리는 역할은 싱가포르 정부가 넘겨받았다.
오늘날, 모든 싱가포르의 씨족 협회는 싱가포르 종족 협회 연합회(SFCCA) 산하에서 운영되고 있다. 씨족 협회는 중국계 싱가포르인과 중국의 조상들의 고향을 연결해 준다. 싱가포르 중화 상공 회의소(SCCCI)는 중국계 비즈니스 커뮤니티의 이익을 지속적으로 돌보고 있으며, 중국 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중국 개발 지원 위원회는 SFCCA와 SCCCI, 이 두 조직에서 설립되어 중국 커뮤니티의 잠재력을 육성하고 개발하여 다민족 싱가포르의 지속적인 성공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 중화 서예 협회, 싱가포르 중화 오케스트라, 시옹 렝 음악 협회, 남양 유교 협회, 싱가포르 중화 오페라 연구소 등 다양한 중국 문화 단체와 싱가포르 불교 연합회, 도교 연합회(싱가포르) 및 싱가포르 불교 로지와 같은 주요 중국 종교 단체가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종교적 문제를 돌보고 있다.
이러한 모든 중국 단체는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경제, 문화 및 종교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 수행하고 있다.
5. 중국계 싱가포르인 하위 집단
일반적으로 중국계 싱가포르인은 푸젠성, 광둥성, 하이난성 출신이다. 민난족(호키엔족, 차오저우족)과 광둥어족은 싱가포르 화교 인구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한다. 객가족, 헝화족, 푸저우족 및 기타 하위 집단이 나머지 대부분을 차지한다. 중국계 싱가포르인은 19세기에서 20세기 전반까지 중국 남부에서 온 이민자들의 후손이며, 1990년대와 21세기 초에는 중국의 다른 지역들로부터 이민자들이 유입되었다.
집단 | 성/지역 | 조상 고향 | 1990년 | 2000년 | 2010년 | 2020년 |
---|---|---|---|---|---|---|
호키엔 (민난/호클로/장저우/아모이/친체우) | 푸젠성, 타이완 | 안시, 퉁안, 난안, 진장, 스스, 후이안, 융춘, 진먼, 룽하이, 핑허, 자오안 | 896,080 | 1,028,490 | 1,118,817 | 1,180,599 |
테오체우 | 광둥성 | 차오산, 차오안, 차오양, 제양, 라오핑, 청하이, 푸닝, 후이라이 | 466,020 | 526,200 | 562,139 | 583,963 |
광둥인 | 광둥성, 홍콩, 마카오 | 광저우, 자오칭, 포산, 주하이, 장먼, 양장, 둥관, 윈푸, 잔장, 선전, 마오밍, 중산 | 327,870 | 385,630 | 408,517 | 429,329 |
객가 | 광둥성, 푸젠성, 타이완 | 청샹현 (현재의 메이셴, 다푸, 허포, 후이저우, 단수이 (현재의 후이양), 융딩, 허위안, 룽옌시 서부, 루펑 | 155,980 | 198,440 | 232,914 | 259,153 |
하이난인 | 하이난성 | 원창, 하이커우, 충하이, 딩안, 원닝 | 148,740 | 167,590 | 177,541 | 183,312 |
푸저우 (푸저우) | 푸젠성 | 푸저우, 창러, 구톈 | 36,490 | 46,890 | 54,233 | 59,609 |
싱화 (푸톈) | 푸젠성 | 푸톈, 셴여우 | 19,990 | 23,540 | 25,549 | 26,702 |
상하이인 | 상하이 | 17,310 | 21,550 | 22,053 | 22,503 | |
푸칭 (푸칭) | 푸젠성 | 푸칭 | 13,230 | 15,470 | 16,556 | 17,070 |
기타 | 다양함 | 다양함 | 50,150 | 91,590 | 175,661 | 244,529 |
5. 1. 호키엔
민난족(호키엔족, 차오저우족)은 싱가포르 화교 인구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한다. 호키엔어(민난어)를 사용하는 하위 그룹은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거의 5분의 2를 차지한다. 이들은 민난 출신의 민남인으로, 혼혈 페라나칸 중국인과 푸젠성 남부 (샤먼, 취안저우, 장저우)에서 이주해 온 이민자들을 포함한다.이들은 싱가포르 호키엔어를 사용하며, 이는 샤먼 방언을 기준으로 하는데, 차오저우 방언과 부분적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하이난 방언과는 덜하다.[30] 호키엔 중국어는 해안 중국인들 사이의 공용어였으며,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만다린이 지배하기 전에는 말레이인과 인도인과 같은 다른 민족 집단에서도 중국인과의 의사 소통에 사용되었다.
타이완과 마찬가지로 호키엔인은 푸젠의 모든 지역에서 온 사람들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호키엔"은 푸젠 남부 해안의 민난(남부 민) 지역만을 지칭한다. 싱가포르 호키엔어에는 푸저우, 푸톈 등에서 온 북부 푸젠인들은 포함되지 않는다. 초기 호키엔 이주민들은 아모이 거리와 텔록 에어 거리에 정착하여 톈혹켕 사원 주변에 거주지를 형성했다. 그들은 이후 그곳에 씨족 본부(''호키엔 휘 콴'')를 설립했고, 나중에는 호키엔 거리와 차이나 스트리트 인근으로 확장했다. 호키엔인들은 싱가포르 강을 중심으로 한 초기 무역에서 가장 활발했다.

초기 정착민들이 중국 남부 해안에서 왔기 때문에 그들은 잔잔한 파도와 안전한 항해를 위해 기도했고, 바다를 잠재우고 바다를 건너는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하는 여신인 "천상의 성모" 또는 톈상성무(天上聖母, 천상성모)를 숭배했다. 따라서 톈혹켕 사원은 1840년 텔록 에어 거리에 세워져 톈상성무(天上聖母, 천상성모)에게 헌정되었으며, 호키엔 공동체의 활기찬 만남의 장소이자 중요한 집회 장소였다.[31] 다른 인기 있는 신으로는 커우 옹 야, 관 테 공, 관음 후드 초, 옹 야 공, 칭 슈이 주 시, 바오 셩 다 디, 탄 과안-콩, 복덕정신과 특히 옥황상제가 있으며, 음력 1월 9일은 옥황상제의 생일로 많은 중국인들이 음력에서 가장 중요한 날로 여긴다.[32]
강신술(乩童, jītóng, tâng-ki)의 전통적인 도교 관습 또한 인기가 있다. ''탕키''는 트랜스 상태에 들어가서 청원자를 위해 선택된 신을 채널링한다고 한다. 그 신은 축복을 내리는 것부터 신탁 상담, 액을 쫓는 것, 영적인 보호 및 부적을 제공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의 신성한 도움을 제공한다.
5. 2. 테오추
싱가포르의 테오추어 사용 하위 그룹은 싱가포르 중국인 인구의 약 5분의 1을 차지하며, 싱가포르에서 두 번째로 큰 남부 민어 방언 사용 그룹이다. 테오추어 화자는 호클로(민난/호키엔) 사람들과는 별개의 집단이다. 그들은 차오저우, 제양, 산터우와 같은 도시가 있는 광둥성 동부의 차오산 지역 출신이다.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북부 도시에서 기원했지만 중국 남부의 카운티 당국으로 유지하기 위해 그곳에 정착했다.테오추어 화자와 호키엔어 화자는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구별하며, 특히 영국 식민 시대 싱가포르 초기 정착 기간 동안에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테오추어는 19세기 동안 한동안 우위를 점했다. 푸젠성에서 대규모 이주가 오면서 이러한 상황이 바뀌었지만, 조호 해협 강변의 대부분의 중국인은 1980년대 HDB가 재개발을 시작할 때까지 테오추어인이었다. 스트레이츠 타임스는 호강에 테오추어 주민이 비교적 많이 집중되어 있다고 보도한다.
대부분의 테오추어는 19세기와 20세기 초에 싱가포르 강을 따라 차이나타운에 정착했다. 차이나타운에 정착한 테오추어인들은 상업과 어업에 종사했다. 한때 테오추어인이 지배했던 상업 부문에는 서클 로드와 사우스 브리지 로드가 포함된다. 다른 테오추어 사업가들은 북부 싱가포르와 조호르 바루의 울창한 숲에 감비어와 후추 농장을 설립했다. 중국인들은 처음에는 조호르 술탄의 승인을 받아 농장을 시작한 다음 ''강추''(江厝, jiāngcuò|강가 집중국어) 시스템을 개발했다. ''Chu''는 이 지역 농장 첫 번째 촌장의 씨족 이름이었다. 이러한 ''강추''는 도시 재개발 이전의 농장 지역이었던 초아 추 강, 림 추 강, 요 추 강과 같은 현대적인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초기 중국 이민자들은 씨족 및 언어 협회를 형성하기 위해 뭉쳤다. 이러한 씨족 협회(''콩시'')는 대부분 문맹인 중국 노동자들의 연합 역할을 했으며, 식민지 행정관 또는 고용주와의 거래에서 그들을 대표했다. 테오추어를 위한 가장 저명한 협회 중 하나는 1845년에 결성되어 여전히 운영되고 있는 응이안 콩시였다. 이 협회는 또한 싱가포르에서 가장 오래된 테오추 사원인 유에 하이 칭 사원을 관리한다.
5. 3. 광둥인
광둥어 사용 인구는 싱가포르 화교 인구의 약 15%를 차지한다. 이들은 홍콩과 중국 광둥성 남부 지역, 즉 광저우, 포산, 자오칭, 장먼, 마오밍, 중산, 윈푸, 선전, 양장, 주하이, 둥관 및 잔장에서 기원했다.[33]광둥어 사용자는 월어군에 속하는 여러 방언을 사용한다. '위에하이'는 광저우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권위 방언으로 간주된다. 다른 방언으로는 '루오광', '타이산어' 및 '거우양'이 있다.
20세기 초중반, 광둥어 사용자는 주로 전문직 종사자와 상인으로 활동했으며, 그들의 사업은 템플 스트리트, 파고다 스트리트, 모스크 스트리트의 상점가를 지배했다. 산수이 구 출신의 광둥어 여성들은 건설 현장에서 노동자로 일했으며 싱가포르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이들 삼수이 여성들은 20세기 초에 가족을 중국에 두고 싱가포르로 건너와 건설 현장에서 생계를 유지했다.[34] 장먼의 쓰이 구 출신의 광둥어 여성들은 삼수이 여성들과 유사한 검은색 머리 장식을 착용했으며 주로 케펠 항과 싱가포르 강을 따라 위치한 옛 항구의 조선소에서 일했다. 많은 광둥어 여성들은 부유한 사람들의 가구에서 마지(majie)로 일하기도 했다.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에 더 많은 광둥인이 홍콩에서 이주해 왔다.
오늘날, 광둥어 방언은 광둥계 중국인들 사이에서 여전히 보존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젊은 세대는 언어 개혁으로 인해 더 많은 표준 중국어를 구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광둥어는 주로 고령 세대가 대부분 단일 언어 구사자(만다린어를 거의 또는 전혀 구사하지 못하는 사람) 또는 이중 언어 구사자(방언과 함께 영어를 구사하는 사람)이며 삼중 언어 구사자(말레이어 및/또는 타밀어의 다른 공식 언어에서 추가적인 기본적인 언어 능력을 습득한 사람)이기 때문에, 서로 소통할 때 고령 세대와 젊은 세대를 연결하는 주요 공용어로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 2010년 현재, 싱가포르인들은 싱가포르 차이나타운이 많은 광둥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5. 4. 객가
잉포휘쿤은 싱가포르 최초의 객가 씨족 단체이다. 객가어를 사용하는 하위 집단은 싱가포르 화교 인구의 11.4%를 차지한다.[35] 그들 중 약 70%는 다부현 출신이다.[36]
싱가포르에는 20만 명이 넘는 객가가 있으며, 호키엔, 떼오추, 광동 다음으로 네 번째로 큰 방언 집단이다. 객가는 전당포, 전통 중국 의약품 상점, 안경점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7] 20세기 초 싱가포르로 온 많은 객가 여성들은 건설 현장에서 일했으며 삼수이 여성과 비슷한 머리 장식을 착용했으나, 객가 여성들은 빨간색 대신 검은색 머리 장식을 착용했다.
잉포휘쿤은 싱가포르에서 가장 오래된 씨족 단체이며, 씨족 회관은 싱가포르 중앙 업무 지구 내 아우트럼 계획 지구의 텔록 에어 스트리트에 있다. 2015년에는 객가 ''토루'' 복제품이 건설되었다. 싱가포르의 복제품은 Char Yong (Dabu) 협회, Eng Teng 협회, Foong Shoon Fui Kuan 등 3개의 객가 씨족을 위한 우산 기구인 퐁 윤 타이 협회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중국 본토 외부에 있는 유일한 토루 복제품이다.
싱가포르의 건국 아버지인 리콴유와 그의 아들인 리셴룽 총리는 각각 객가 출신의 4세 및 5세 싱가포르 화교였다. 리콴유 외에도 초여옥, 혼수이센, 하우윤충, 용육린을 포함한 많은 싱가포르의 1세대 지도자들이 객가 출신이었다.
5. 5. 기타
일반적으로 중국계 싱가포르인은 푸젠성, 광둥성, 하이난성 출신이다. 민난족(호키엔족, 차오저우족)과 광둥어족은 싱가포르 화교 인구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한다. 객가족, 헝화족, 푸저우족 및 기타 하위 집단이 나머지 대부분을 차지한다.[38] 이 하위 그룹은 중국계 싱가포르인 인구의 약 5%를 차지한다.하이난인은 하이난성 출신으로, 하이난어를 사용한다. 싱가포르의 하이난인은 주로 섬의 북동부, 원창시와 하이커우시와 같은 도시에서 기원했다. 19세기 말 싱가포르에 비교적 늦게 도착한 그들 중 대부분은 숙박업에서 가게 점원, 요리사, 웨이터로 일했다. 하이난식 치킨 라이스는 유명한 요리가 되었다. 그들은 또한 서양 요리로도 유명했는데, 초기 하이난 이민자 중 많은 사람들이 유럽 선박에서 요리사로 일했기 때문이다.
푸저우인과 푸젠인은 북동 푸젠성에서 기원했다. 그들은 동부 민어의 여러 방언을 사용한다. 싱화인은 중앙 푸젠(푸톈 시와 셴유 현)에서 기원했으며, 푸시안 민어를 사용한다.
대만 출신 중국계 싱가포르인과 그 후손은 주로 호키엔 및 하카 하위 그룹에 속한다. 그들은 약 3만 명(2012년)이며, 싱가포르 인구의 2% 미만을 차지한다.[38] 싱가포르에서는 인구가 적기 때문에 대만인은 방언이나 조상의 기원에 따라 호키엔, 하카와 같은 더 큰 인구 집단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새로운 대만 이민자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그룹을 형성했다. 그들은 대만 보통화, 대만 호키엔, 하카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타이페이, 신베이, 신주, 타이중, 타이난, 가오슝을 포함한 다양한 도시에서 기원한다.[38]
싱가포르 일본 문화 협회 부회장인 린샤오빈이 편집한 책에 따르면, "대만 은행"은 1912년부터 1925년까지 싱가포르에서 영업을 시작했다. 이 책은 또한 1932년 일본 통계에 따르면 말레이 반도(싱가포르 포함)에 약 105명의 대만인이 살고 있었다고 밝혔다. 싱가포르인들의 구두 증언에 따르면, 제2차 세계 대전 중 싱가포르 점령에 관련된 많은 "일본" 군인들은 사실 일본 제국 육군에서 복무한 대만인이었다. 비슷한 증언은 1950년대와 1960년대의 많은 중국어 교사가 대만에서 왔다는 것을 말해준다. 1965년 이후, 군사적 유대로 인해 싱가포르 군의 고위 장교로서 일부 대만 군인이 이민을 왔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투자자, 사업가, 학생들의 이민이 더 많이 시작되었다. 이들 중 대부분은 고등 교육을 받았으며 엔지니어링, 비즈니스, 투자, 연구 및 교육과 같은 전문 분야에 종사했다. 중국계 싱가포르인과 대만인 간의 결혼은 종종 대만 파트너가 싱가포르로 이주하여 시민권을 취득하는 결과를 낳았다.[39]
5. 6. 페라나칸
페라나칸 또는 '바바-뇨냐'는 초창기 중국-말레이 혼혈 이민자로, 말라카와 페낭에서 싱가포르로 이주해 왔다. 페라나칸은 하층 계급 탄카과 같이 여러 세대에 걸쳐 토착 말레이족, 부기스족, 발리족, 자바족 또는 백인과 광범위하게 혼혈하고 입양한 노예 자녀를 동화시킨 중국 혼혈 하위 집단의 후손이다. 소수의 주목할 만한 페라나칸은 스스로를 별도의 민족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과는 다른 독자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대다수는 재동화 이후 스스로를 싱가포르 화교로 분류하고 있다. 남성은 '바바'로, 여성은 '비빅스' 또는 '뇨냐'로 알려져 있다.[40]싱가포르의 페라나칸은 한때 게일랑의 말레이 정착지와 카통의 중국인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거주했는데, 이는 식민지 시대 싱가포르에서 영어, 말레이어, 호키엔어를 능숙하게 구사하여 (독립 이후 1980년대 이후 표준 만다린도 제3의 보조 언어로 습득) 사업 및 사회 집단의 중개인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많은 페라나칸과 호키엔계 중국인들은 혼잡한 싱가포르 시내(오늘날의 센트럴 비즈니스 디스트릭트)를 떠나 가족을 위해 탄종 카통의 이스트 코스트를 따라 해변 저택과 빌라를 지었다. 싱가포르 독립 이후 페라나칸은 섬 전역으로 이주했다.
많은 페라나칸이 17세기와 18세기 네덜란드, 포르투갈, 영국, 스페인의 동남아시아 식민지화 동안 로마 가톨릭교로 개종했는데, 이는 선교사들이 바타비아(오늘날의 자카르타)와 말레이 반도를 따라 거점을 설립하면서 이루어졌다.
5. 7. 새로운 중국 이민자
1990년 이전에는 베이징 및 중국 북부 출신의 만다린 화자와 상하이 및 중국 중부 태평양 연안 출신의 우 화자가 싱가포르 화교 인구의 2% 미만을 차지했다. 현재 만다린을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의 대부분은 1989년 싱가포르 정부가 이민법을 완화한 후 다른 그룹보다 훨씬 늦게 싱가포르로 이주했다.[41] 1970년대부터 시작된 싱가포르의 급속한 산업화 기간 동안 이들 중 상당수가 육체 노동직에 종사했다.[41] 이 때문에 이 세 번째 물결의 구성원들을 "신이민자"(新移民|신이민중국어)라고 부른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오늘날 중국 본토 그룹 사이의 공용어인 표준 만다린을 사용하며,[42] 다른 방언도 구사하는 경우가 많다. 1990년대 이후 싱가포르에서 공부하거나 일하기 위해 오는 중국 본토 사람들의 수가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많은 사람들이 잠시 머물다 중국으로 돌아갔지만, 결국 많은 사람들이 영구적으로 정착하여 싱가포르의 영주권자 또는 시민이 되었다.오늘날 새로운 중국 이민자에는 싱가포르 경제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일하는 이주 노동자가 포함되며, 블루칼라 노동자와 화이트칼라 노동자가 섞여 있고,[43] 학생들도 포함된다.[44][45]
6. 언어
전통적으로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각자의 모국어를 주요 소통 수단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오늘날 싱가포르 중국인의 언어는 영어, 싱글리시, 만다린, 싱다린(구어체 싱가포르 만다린), 호키엔, 조주, 광둥어, 객가어, 해남어 등 매우 다양하며, 대부분의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영어와 만다린어를 모두 구사하는 이중 언어 구사자이다.
1980년대 이전에는 영어 교육을 받은 중국계 싱가포르인들과 중국어(표준 중국어) 교육을 받은 중국계 싱가포르인들로 나뉘었다. 영어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영어를, 중국어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만다린어와 각자의 모국어를 사용했다.
1980년대 이후, 싱가포르의 모든 학교는 영어를 주 교육 매체로, 만다린어를 제2 언어로 사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1980년대 이후 교육받은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이론적으로 이중 언어 구사자이다.
영어는 싱가포르의 행정 및 비즈니스 분야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싱가포르가 영국의 식민지였던 역사에서 유래한다. 2010년에는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32.6%가 집에서 영어를 사용한다고 조사되었다.[46]
만다린은 중국계 싱가포르인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는 또 다른 언어이다. 싱가포르 정부는 1980년대에 만다린어 사용 장려 운동을 시작하여 만다린어를 한족들 사이의 공용어로 만들고자 했다.[47] 2010년에는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47.7%가 집에서 만다린어를 사용한다고 조사되었다.[46]
젊은 세대는 영어와 만다린어를 주로 사용하지만, 노년층은 호키엔, 광둥어 등 다른 중국어 방언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방언은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아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다.
최근 싱가포르에서는 어떤 언어를 선호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중국어 구사 능력 저하 문제로 정부의 중국어 교육 정책이 여러 번 개정되기도 하였다. 21세기 중국 경제의 부상으로 만다린어 유창성이 중요해지면서,[49] 영어와 만다린어는 계속해서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의 언어 상황을 지배할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에서는 만다린어가 아닌 다른 중국어 방언을 보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중국 씨족 협회는 각자의 시니트어 모국어를 전달하고 부활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젊은 세대의 호응을 얻고 있다.
7. 사회경제학
1960년대부터 1990년대 사이 싱가포르가 급속한 산업화를 겪으면서, 많은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빈곤에서 벗어나 중산층으로 성장했다. 이들은 생애 처음으로 사회적 상승 이동을 경험하게 되었다. 2000년에는 인도계 싱가포르인과 새로운 시민권 보유자에 이어 대학 졸업생 비율이 두 번째로 높았다.[96] 2008년에는 중국계 싱가포르인 학생의 86.2%가 O-레벨에서 최소 5과목 이상 통과했는데, 이는 말레이시아계 싱가포르인(59.3%)과 인도계 싱가포르인(73%)에 비해 높은 수치였다.[97]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22.6%가 학사 학위를 소지하고 있었는데, 이는 전국 평균(22.8%)보다는 낮지만 인도계 싱가포르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이었다.
2005년 기준으로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47.3%가 화이트칼라 직종에 종사하며, 이는 전국 평균(44.8%)보다 높다.[100] 노동력 참여율은 63.6%로 전국 평균 63.0%와 비교된다.[100]
싱가포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싱가포르 국민 총소득(GNP)의 80%에 기여하고 싱가포르 상장 기업의 81%를 지배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03][104][105][106][107][108] 많은 중국계 싱가포르 기업인과 투자자들은 화교 기업 네트워크인 대나무 네트워크를 통해 중국 내 사업과 투자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1990년 달러 기준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1990년 3080SGD에서 2000년 4170SGD로 증가했다. 2005년 조사에 따르면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월평균 소득은 3610SGD, 중위소득은 2500SGD로 국가 평균을 웃돌았다.
민족 집단 | 평균 가구 소득 (SGD) | 중위 가구 소득 (SGD) | ||
---|---|---|---|---|
2000년 | 2010년 | 2000년 | 2010년 | |
총계 | 4988 | 7214 | 3638 | 5000 |
중국계 | 5258 | 7326 | 3800 | 5100 |
말레이계 | 3151 | 4575 | 2709 | 3844 |
인도계 | 4623 | 7664 | 3438 | 5370 |
기타 | 7446 | 11518 | 4870 | 7432 |
7. 1. 교육
다른 민족들과 함께, 모든 사회적 배경과 직업을 가진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교육 수준, 소득, 기대 수명 및 기타 사회 지표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 1960년대에서 1990년대 사이 싱가포르의 급속한 산업화는 많은 사람들을 빈곤에서 벗어나게 했고, 많은 싱가포르인들을 위한 광범위한 중산층을 창출했다. 이 과정에서 급속한 경제 성장이 이루어지는 동안, 많은 중국인들은 생애 처음으로 사회적 상승 이동을 경험하기 시작했다. 2000년, 중국계 싱가포르인은 인도계 싱가포르인과 새로운 시민권 보유자에 이어 대학 졸업생 비율이 두 번째로 높았다.[96] 2008년, 중국계 싱가포르인 학생의 86.2%가 15세와 16세 학생이 치르는 시험인 O-레벨에서 최소 5과목 이상 통과했으며, 이는 말레이시아계 싱가포르인 59.3%와 인도계 싱가포르인 73%에 비해 높은 수치였다.[97]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22.6%가 학사 학위를 취득했는데, 이는 전국 평균(22.8%)보다 낮은 수치이며, 인도계 싱가포르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유지했다. 이는 싱가포르 인도인이 중국계 싱가포르인과 싱가포르 말레이인에 비해 대학 졸업생 비율이 더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인도 대학 졸업생의 비율 증가는 대부분 대학 졸업 자격을 갖춘 인도 영주권자의 유입에 기인했다. 2005년 인도 영주권자의 약 60%가 대학 졸업자였으며, 이는 2000년의 51%에서 증가한 수치이다.[98][99]
7. 2. 고용
2005년 기준으로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47.3%가 화이트칼라 직종에 종사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 평균인 44.8%보다 높다.[100] 노동력 참여율은 63.6%로 전국 평균 63.0%와 비교된다.[100] 이 수치는 2000년의 46.2%에서 증가한 것이며, 싱가포르의 3대 민족 중 화이트칼라 노동력 참여율이 가장 높았다.[101][102]7. 3. 경제
싱가포르 인구의 거의 4분의 3을 구성하는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싱가포르 GNP의 80%에 기여하고 싱가포르 상장 기업의 81%를 지배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03][104][105][106][107][108] 중국계 싱가포르 기업들은 화교 기업 네트워크인 대나무 네트워크의 일부이다.[109] 가족 및 문화적 유대관계를 공유하는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경제력이 커지면서, 많은 중국계 싱가포르 기업인과 투자자들이 씨족회를 통해 조상의 뿌리로 눈을 돌려 중국 유산에 다시 불을 붙이고 있다. 또한 중국 내 사업과 투자 기회를 모색하고 있으며, 부동산 개발과 투자를 통해 조상의 고향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무슬림 바다의 작은 중국 섬"으로 불리는 싱가포르는, 중국인들이 자신들을 "동양의 유대인"으로 여기도록 이끌었다.[110]1990년 달러로 측정한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1990년 3080SGD에서 2000년 4170SGD로 연평균 2.8% 증가했다. 2005년 싱가포르 인구조사에 따르면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월평균 소득은 3610SGD, 중위소득은 2500SGD로 국가 평균을 웃돌았다.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가구 및 중위소득은 2000년에 3대 민족 중 가장 높았으며, 2010년에는 인도계 싱가포르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111][112]
민족 집단 | 평균 가구 소득 (SGD) | 중위 가구 소득 (SGD) | ||
---|---|---|---|---|
2000년 | 2010년 | 2000년 | 2010년 | |
총계 | 4988 | 7214 | 3638 | 5000 |
중국계 | 5258 | 7326 | 3800 | 5100 |
말레이계 | 3151 | 4575 | 2709 | 3844 |
인도계 | 4623 | 7664 | 3438 | 5370 |
기타 | 7446 | 11518 | 4870 | 7432 |
8. 싱가포르 교육 시스템
다른 민족들과 함께, 모든 사회적 배경과 직업에서 온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교육 수준, 소득, 기대 수명 등 여러 사회 지표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 1960년대와 1990년대 사이 싱가포르의 급속한 산업화는 많은 사람들을 가난에서 구해냈고 광범위한 중산층을 만들어 주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중국인들은 생애 처음으로 상승하는 사회적 유동성을 경험하기 시작했다.[96] 2008년 중국계 싱가포르 학생들의 86.2%가 15세, 16세들이 치르는 시험인 O-레벨에서 최소 5개의 합격점을 얻었는데, 이는 말레이시아계 싱가포르인(59.3%)과 인도계 싱가포르인(73%)에 비해 높은 수치였다.[97]
201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22.6%가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다만, 인도계 싱가포르인이 중국계 싱가포르인보다 대학 졸업자 비율이 더 높았는데, 이는 대학 자격을 갖춘 인도 영주권자가 유입된 영향이 컸다. 2005년 인도 영주권자의 약 60%가 대학을 졸업했는데, 이는 2000년의 51%에서 증가한 것이다.[98][99]
8. 1. 중국어 교육 시스템
싱가포르의 중국어 교육은 19세기에 초기 중국 이민자들이 설립한 구식 사립 중국 학교(쓰수 私塾)로 시작되었다. 이 학교들은 주로 민남어와 같은 다양한 남부 중국 방언을 사용하여 중국 고전을 가르쳤다. 1920년대, 중국의 신문화 운동의 영향으로, 싱가포르의 많은 중국 학교들이 수업 방식을 만다린어로 바꾸기 시작했다. 영국 식민지 시대 동안, 식민 정부는 일반적으로 싱가포르의 중국인 커뮤니티가 자체적인 중국어 교육 시스템을 조직하고 개발하도록 허용했다. 1930년대와 1940년대에는 대중의 기부와 자금 지원으로 더 많은 중국 단체들이 더 많은 중국 학교를 설립하기 시작했다. 1953년, 싱가포르 호키엔 회관의 회장 탄 라크 세는 싱가포르에 최초의 해외 중국어 교육 대학교(난양 대학교)를 조직하고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이는 싱가포르에 잘 구조화된 중국어 교육 시스템(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그러나 1960년대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의 좌익 공산주의 이념은 싱가포르의 자본주의 정책과 충돌했다. 서구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싱가포르 정부는 영어를 주요 공용어 및 실무 언어로 만드는 기본 정책을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이 좌익 정치 사상에 영향을 받는 것을 막기 위해, 싱가포르는 영어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중국어 교육을 종식시키려 했다. 한편으로는 경제적 이유로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이 영어 학교에 다니도록 장려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산주의를 비난하는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영어 실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중국어 교육을 받은 싱가포르인들은 종종 차별을 겪었고 싱가포르에서 직업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대다수의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더 나은 직업 전망을 위해 자녀들을 영어 학교에 보냈고, 이로 인해 중국어 학교의 등록 학생 수가 매년 감소했다. 이러한 모든 요인(정부의 편향된 정책 포함)은 결국 싱가포르에서 중국어 교육 시스템이 폐지되도록 만들었다.
1980년대 초부터, 싱가포르 정부는 점차적으로 싱가포르의 중국어 교육 시스템을 폐지했다. 중국어 및 도덕 교육 과목을 제외하고, 모든 과목은 영어로 가르친다. 그러나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이 모국어(중국어) 문화를 유지하고 보존하도록 하기 위해, 싱가포르 정부는 모든 학교에서 중국어 교육을 시행했다. 비록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여러 남부 중국 씨족에 속해 있고 다양한 남부 중국 방언을 사용했지만, 모든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제2 언어"로 중국 표준어를 배워야 했다. 싱가포르는 또한 특별 지원 계획 학교를 설립했다. 이 학교들은 이전에는 전통적인 중국어 학교였으며, 중국어 및 문화 인재를 양성하는 임무를 맡았다. 싱가포르의 중국어 과목은 단순히 중국어를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중국 문화적 가치를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에게 전달하는 임무도 맡았지만, 전혀 성공하지 못했다. 싱가포르에서 중국어 교육이 지속되었기 때문에,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일반적으로 간단한 중국어를 말하고, 읽고, 쓸 수 있다. 그러나 싱가포르의 중국어 교육 시스템 파괴는 젊은 세대의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이 점차적으로 그들의 유산과 뿌리를 잃게 만들고 있다.
9. 문화
대부분의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조상이 중국 남부 출신이기 때문에, 푸젠성, 광둥성, 하이난성 등 중국 남부 문화와 더 가깝다. 특히 싱가포르의 다양한 남부 중국 방언, 관습, 문화, 종교적 관습에서 이러한 특징이 잘 나타난다.
싱가포르는 중화권 밖에서 중국어가 활발하게 사용되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이다. 싱가포르의 인프라와 환경은 서구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다양한 중국어, 싱가포르 전역의 다양한 중국어 글, 다양한 중국 언론 및 엔터테인먼트 매체, 번성하는 중국 대중 문화, 다양한 중국 문화 단체, 중국 문화 축제, 중국 오페라, 중국 종교 활동, 중국 서점 등 중국 문화의 여러 측면이 곳곳에 존재한다.[1]
중국계 싱가포르인과 중국 본토의 중국인 사이에는 사고방식, 문화, 언어에서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 중국인들은 세계관에서 중화주의를 보이는 반면,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영어 교육을 받고 해협 식민지의 영국 식민지였던 역사로 인해 서구의 영향을 받았다. 이로 인해 현지 중국계 싱가포르 문화는 남부 중국 문화, 현지 싱가포르 문화(다른 민족 문화의 영향을 받음) 및 서구 문화가 혼합된 형태를 띤다.
싱가포르의 중국계 커뮤니티는 일부 전통적인 중국 종교 및 민속 관습을 보존하고 있지만, 이는 문화 대혁명 이후 중국에서는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특히 싱가포르 남부 중국 이민자들의 후손들이 행하는 지역 의례 및 의식에서 두드러지며,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남부 지역에서 특정 전통 종교 관습이 부활하는 데 기여했다.
9. 1. 건축
중국계 싱가포르인은 조상이 중국 남부 출신이기 때문에 싱가포르 건축은 푸젠성, 광둥성, 하이난성 등 중국 남부 문화와 가깝다. 싱가포르에는 중국 문화의 여러 측면이 존재하는데, 다양한 중국어 표기, 중국 언론 및 엔터테인먼트 매체 등이 그 예이다.9. 2. 언어적 영향
대부분의 중국계 싱가포르인은 조상이 중국 남부 출신이기 때문에, 푸젠성, 광둥성, 하이난성 등 중국 남부 문화와 더 가깝다. 특히 싱가포르의 다양한 중국 남부 방언, 관습, 문화, 종교적 관습에서 이러한 특징이 잘 나타난다.싱가포르는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지만, 중화권 밖에서 중국어가 활발하게 사용되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이다. 싱가포르의 인프라와 환경은 겉으로 보기에는 서구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싱가포르 곳곳에서 중국 문화의 특정 측면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다양한 중국어 방언, 싱가포르 전역의 중국어 간판, 다양한 중국 언론 및 엔터테인먼트 매체, 번성하는 중국 대중문화, 다양한 중국 문화 단체, 중국 문화 축제, 중국 오페라, 중국 종교 활동, 중국 서점 등이 그 예이다.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중국 표준어와 기타 중국어를 사용하며, 이는 싱가포르에서 다른 언어 사용 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싱글리시는 문법, 구문, 어휘 면에서 싱가포르 호키엔어와 싱가포르 표준중국어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1]
9. 3. 종교
대부분의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조상이 중국 남부 출신이기 때문에, 푸젠성, 광둥성, 하이난성 등 중국 남부 문화와 더 가깝다. 이것은 싱가포르의 다양한 남부 중국 방언, 관습, 문화, 종교적 관습에서 특히 두드러진다.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싱가포르 화교 인구의 40.4%가 불교, 25.7%가 무종교, 21.6%가 기독교(개신교, 로마 가톨릭교 포함), 11.6%가 도교, 0.8%가 기타 종교를 믿는다고 응답했다.[79] 자세한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
종교 | 인원 (2020년) | 비율 |
---|---|---|
불교 | 1,052,114 | 40.4% |
무종교 | 669,097 | 25.7% |
기독교 | 562,681 | 21.6% |
로마 가톨릭교 | 184,158 | 7.1% |
개신교 및 기타 기독교 | 378,703 | 14.5% |
도교 | 303,095 | 11.6% |
이슬람교 | 11,953 | 0.5% |
기타 종교 | 7,761 | 0.3% |
대다수의 싱가포르 화교는 불교 또는 도교 신자로 등록되어 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기독교 신자와 무종교를 표방하는 이들이 소폭 증가했다. 싱가포르에서는 중국 민간 신앙이 중국 조상 숭배와 특정 수호신 숭배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도교로 분류된다. 중국 조상 숭배는 화교 사이에서 중요한 전통 관습이며, 도교 신자, 대부분의 중국 불교 신자 및 일부 무종교 중국인들이 여전히 흔히 행하고 있다. 싱가포르에는 1,000개 이상의 중국 사원이 있으며,[80] 톈혹껙 사원, 위에하이칭 사원, 홍산스 사원, 탄시총수 사원, 관음동후드초 사원, 시옹림 사원 등이 유명하다.
9. 4. 음식
초기 중국 이민자들은 현지 환경(예: 사용 가능한 재료)에 맞게 많은 중국계 싱가포르 요리를 개조하여, 엄밀히 말해 주류 중국 요리로 간주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요리들은 지역 중국계 싱가포르의 풍미와 맛을 나타냈다. 바쿠테, 미 포크, 반 미안, 하카 용 타우 후, 차 퀘이 테오, 치총판, 호키엔 미, 해남 닭고기 밥, 하카 레이 차, 완톤 미, 포피아와 같은 대부분의 지역 중국계 싱가포르 요리는 싱가포르 전역의 푸드 센터에서 여전히 쉽게 찾을 수 있다. 일부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중국 불교나 다른 중국 종교 전통을 신봉할 수 있기 때문에 채식주의자이기도 하다. 21세기 중국 전역에서 새로운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싱가포르 차이나타운 또는 사천 요리나 동북 중국 요리와 같은 싱가포르의 다른 지역의 중국 식당에서 다양한 지역 풍미와 맛을 가진 중국 요리를 찾을 수 있다.[1]9. 5. 중국어 미디어
싱가포르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중국어 국영 무료 방송 지상파 텔레비전 미디어 방송국 (미디어콥 TV 채널 8 및 미디어콥 TV 채널 U), 케이블 텔레비전 (스타허브 TV 및 싱텔 TV) 및 라디오 채널 (미디어콥 라디오 캐피탈 95.8FM 포함)을 통해 중국어가 보급된다. 호키엔 및 광둥어와 같은 다른 중국 방언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미디어는 채널 8과 옥토에서 일부 방송을 제외하고, 싱가포르 주류 중국어 미디어에서 일반적으로 검열된다.[3] (예: 비누 오페라와 노년층을 위한 정부 지원 미니 중국 방언 쇼) 그리고 라디오 채널 캐피탈 95.8FM에서 방송된다. 그러나 타이완의 타이완 호키엔 미디어와 홍콩의 광둥어 미디어는 싱가포르의 소매점에서 쉽게 판매되며 가라오케 라운지에서도 제공된다. 싱가포르의 일부 케이블 텔레비전 채널 (예: 스타허브 TV)은 또한 중국 기반의 중국어 미디어 (예: CCTV-4 중국 국제 채널 (아시아)) 및 홍콩의 광둥어 미디어 (예: TVB Jade 위성 채널 (동남아시아))를 제공하기 시작했다.[3];중국 언론
싱가포르의 주요 중국어 신문은 두 개의 가장 오래된 중국어 신문을 합병하여 설립된 ''연합조보''(Lianhe Zaobao)이다.[3] ''연합조보''는 싱가포르의 중국 문학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 이 외에도 ''연합조보 선데이''(Lianhe Zaobao Sunday), ''연합만보''(Lianhe Wanbao), ''신민일보''(Shin Min Daily News), ''마이 페이퍼''(My Paper)(영어와 중국어 모두 인쇄), ''zbCOMMA''(早报逗号), ''엄지 척''(Thumbs Up) 및 ''엄지 척 주니어''(Thumbs Up Junior)와 같은 다른 신문이 있다.[3]
9. 6. 문학
싱가포르는 중국어로 된 문학계가 활발하다. 싱가포르 작가 협회(新加坡作家协会)는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의 문학 작품을 모은 선집인 싱가포르 중국 문학 저널(新华文学)을 정기적으로 발행한다. 유진, 왕룬화(王润华), 류돤진(刘瑞金), 룽쯔(蓉子) 등 다수의 작가(또는 시인)들이 싱가포르 중국 문학계에 기여했다.싱가포르 중국 문학은 싱가포르의 이민과 사회·역사적 변화를 반영했다. 싱가포르는 독립 이전 말라야의 일부였으므로 싱가포르 중국 문학은 말레이시아 중국 문학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초기 중국 이민자들은 중국 학교와 중국 언론의 설립과 함께 문학 작품을 창작하기 시작했다.
싱가포르의 초기 중국 문학 잡지인 ''신 국민 잡지''(新國民雜志), ''남풍''(南風), ''싱가포르의 빛''(星光) 등은 전쟁 전 시대 이민자들의 생활상을 묘사했다.
1950년대에는 싱가포르의 대부분의 작가들이 싱가포르의 모든 사회 분야의 생활상을 묘사한 문학 작품을 발표했다. 이 문학 작품들은 지역 중국 속어를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독특한 지역화된 문학 작품을 창작했다. 당시 활발하게 활동한 작가로는 먀오슈(苗秀), 야오쯔(姚紫), 자오룽(赵戎) 및 쉬쉬(絮絮) 등이 있다.
1965년 싱가포르 독립 이후, 싱가포르의 중국 문학은 말레이시아 중국 문학에서 분리되어 자체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1]
9. 7. 축제
푸젠성, 광둥성, 하이난성 등 중국 남부 문화의 영향을 받아, 싱가포르에서는 다양한 중국계 방언, 관습, 문화, 종교적 관습을 찾아볼 수 있다. 싱가포르는 중화권 밖에서 중국어가 활발하게 사용되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이며, 싱가포르 곳곳에서 중국 문화의 다양한 측면을 발견할 수 있다. 여기에는 다양한 중국어, 중국어 글, 중국 언론 및 엔터테인먼트 매체, 중국 대중 문화, 중국 문화 단체, 중국 문화 축제, 중국 오페라, 중국 종교 활동, 중국 서점 등이 포함된다.싱가포르에서는 춘절, 청명절, 단오절, 중원절, 중추절, 손오공 탄신일, 구황대제 축제, 동지 등 다양한 전통 중국 축제가 기념된다. 이 중 춘절은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싱가포르의 중국 축제 풍습은 중국 본토 및 대만과 비교하여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중추절 기간에 등불을 들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중국 본토와 대만에서는 음력 1월 15일에만 등불을 들고 다닌다. 또한 음력 9월에는 쿠수 섬으로 연례 순례가 이루어지며, 중국 신자들은 섬에 있는 투아 펙 콩 사원과 세 개의 케라마트 신사를 방문한다.[81]
9. 8. 음악
''신야오''는 싱가포르 특유의 노래 장르이다.[82]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사이에 싱가포르에서 등장하여 유명해진 현대 만다린 보컬 장르이다.[83] ''신야오'' 노래는 싱가포르인이 작곡하고 부르며, 우정이나 사랑 이야기와 같은 주제에 대한 그들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매개체이다.싱가포르는 또한 번창하는 중화 팝 음악계가 있으며, JJ 린, 쑨옌쯔, 차이젠야 등 만다팝 아티스트를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싱가포르는 또한 2013년 타이완에서 시작된 스프링 웨이브 싱가포르 뮤직 페스티벌을 포함하여 중화 음악 콘서트와 페스티벌을 개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9. 9. 중국 본토와의 문화 비교
대부분의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조상이 중국 남부 출신이기 때문에, 그들의 문화는 푸젠성, 광둥성, 하이난성 등 중국 남부 문화와 더 가깝다. 특히 싱가포르의 다양한 남부 중국 방언, 관습, 문화, 종교적 관습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진다.싱가포르는 중화권 밖에서 중국어가 활발하게 사용되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이다. 싱가포르의 인프라와 환경은 서구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다양한 중국어, 중국어 글, 중국 언론 및 엔터테인먼트 매체, 중국 대중 문화, 중국 문화 단체, 중국 문화 축제, 중국 오페라, 중국 종교 활동, 중국 서점 등 중국 문화의 여러 측면이 곳곳에 존재한다.
중국계 싱가포르인과 중국 본토의 중국인 사이에는 사고방식, 문화, 언어에서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 중국인들은 세계관에서 중화주의를 보이는 반면,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영어 교육을 받고 해협 식민지의 영국 식민지였던 역사로 인해 서구의 영향을 받았다. 이로 인해 현지 중국계 싱가포르 문화는 남부 중국 문화, 현지 싱가포르 문화(다른 민족 문화의 영향을 받음) 및 서구 문화가 혼합된 형태를 띤다.
싱가포르의 중국계 커뮤니티는 일부 전통적인 중국 종교 및 민속 관습을 보존하고 있지만, 이는 문화 대혁명 이후 중국에서는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특히 싱가포르 남부 중국 이민자들의 후손들이 행하는 지역 의례 및 의식에서 두드러지며,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남부 지역에서 특정 전통 종교 관습이 부활하는 데 기여했다.
싱가포르 표준 중국어와 중국 본토 표준 중국어 억양 사이에도 뚜렷한 차이가 있다. 구어체로 많은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싱글리쉬와 싱다린의 혼성어를 사용하거나 영어와 중국어 또는 방언 사이에서 코드 스위칭을 한다.[84] 호키엔어, 潮州語(Teochew), 광동어 등 싱가포르의 많은 현지 중국어 방언은 대부분 문화적으로 동화되어 중국에서 사용되는 것과 다르지만, 서로 이해할 수 있다.
2016년 싱가포르 현지인과 주변의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싱가포르 현지인의 52%가 두 그룹이 비슷한 문화를 공유한다고 응답했다.[85]
최근 몇 년 동안 중국계 싱가포르인과 최근 중국 본토 이민자들은 미묘한 관계를 맺어왔다. 이러한 관계의 이유는 다양하지만, 작가 양페이둥(Yang Peidong)은 조상이 남부 중국 이민자인 대다수의 싱가포르인과 중국 각지에서 온 새로운 중국 이민자들 간의 문화적 차이를 언급했다. 또한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자신을 중국인이라기보다는 싱가포르인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86][87]
10. 미디어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중국어로 된 정보를 얻고 문화를 즐긴다.
텔레비전 채널로는 채널 8과 채널 U가 대표적이다. 채널 8은 1963년부터 방송을 시작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종합 엔터테인먼트 채널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채널 U는 2001년에 개국하여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고 있다.
라디오 방송국으로는 YES 933, CAPITAL 958, LOVE 972 등이 있다. YES 933은 만다린 팝과 케이팝을 중심으로 한 인기 음악을 방송하며, CAPITAL 958은 클래식 히트곡과 뉴스, 토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LOVE 972는 성인 취향의 음악과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일간 신문으로는 연합조보가 가장 대표적이다. 1923년 남양상보로 창간된 이래 싱가포르에서 가장 오래되고 영향력 있는 중국어 신문으로 자리 잡았다.
10. 1. 텔레비전
채널 | 주파수 | 이름 | LCN | 언어 | 화면 형식 | 유형 | 방송 지역 | 송신기 위치 | 24시간 | 다중화 | 개국일 |
---|---|---|---|---|---|---|---|---|---|---|---|
31 | 554MHz | 채널 8 | 3HD | 중국어 | HDTV (1080i영어 16:9) | 종합 엔터테인먼트 | 싱가포르 조호르바루/조호르바루 구 (말레이시아) 바탐/바탐섬, 리아우 제도 (인도네시아) | 부킷 바톡 송신 센터 | MUX2 미디어코프(Mediacorp) 부킷 바톡 송신 센터 | 1963년 8월 31일 (시험 방송) 1963년 11월 23일 (공식 방송) | |
33 | 570MHz | 채널 U | 7HD | 중국어 | HDTV (1080i영어 16:9) | 청소년 종합 엔터테인먼트 | 싱가포르 조호르바루/조호르바루 구 (말레이시아) 바탐/바탐섬, 리아우 제도 (인도네시아) | 부킷 바톡 송신 센터 | MUX3 미디어코프(Mediacorp) 부킷 바톡 송신 센터 | 2001년 5월 6일 |
10. 2. 라디오
주파수 (조호르바루, 싱가포르, 바탐섬) | TRP (kW) | 방송국 | RDS | 언어 | 장르 | 방송 지역 | 송신소 | 개국일 |
---|---|---|---|---|---|---|---|---|
93.3 MHz | 6 | YES 933 | YES_933_ | 중국어 | Top 40 (CHR) (만다린 팝/케이팝) | 싱가포르 조호르바루 (말레이시아) 바탐섬, 리아우 제도 (인도네시아) | 부킷 바톡 송신 센터 | 1990년 1월 1일 |
95.8 MHz | 10 | CAPITAL 958 | CAPTL958 | 클래식 히트 (C-pop) 뉴스/토크 | 1937년 3월 1일 (British Malaya Broadcasting Corporation하의 Radio Singapore and Chinese Service) | |||
97.2 MHz | 6 | LOVE 972 | LOVE_972 | 성인 컨템포러리 (만다린 팝) 인포테인먼트 | 1994년 9월 23일 |
10. 3. 일간 신문
신문 | 언어 | 형식 | 창간 | 평균 일일 발행 부수 | 순위 |
---|---|---|---|---|---|
연합조보 | 중국어 | 중국어 일간지 중 가장 오래된 브로드시트 싱가포르 최고의 중국어 일간지 | 1923년 9월 6일 (남양상보로 창간) 1929년 1월 15일 (성주일보로 창간) | 999,995,991 (인쇄물 + 디지털) | #1 |
11. 주요 인물
- 탄톡생: 싱가포르의 임시 카피탄 차이나(중국계 커뮤니티의 정부 임명 수장)이자 탄톡생 병원의 설립자이다.
- 탄킴칭: 중국계 커뮤니티의 카피탄 차이나를 역임했으며, 일본, 시암, 러시아의 영사였으며, 시암 왕실의 일원이었다.
- 탄카키: 저명한 중국계 사업가이자 자선가, 중국계 커뮤니티 지도자였다.
- 리콩치안: 저명한 중국계 사업가이자 자선가, 리 재단의 설립자,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부유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 탄락세: 저명한 중국계 사업가이자 자선가, 1950년대 난양 대학교 설립자이다.
- 리춘센: 저명한 중국계 사업가이자 자선가, 저명한 불교 신자 지도자였다.
- 쿠텍푸앗: 말라얀 뱅킹의 설립자, 영국 은행 스탠다드차타드의 최대 단일 주주였으며 굿우드 그룹을 소유했다.
- 쾽홍퐁: 기업가이자 홍룽그룹의 설립자이다.
- 고쳉리앙: Wuthelam Holdings의 설립자이다.
- 심웡후: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로지의 설립자, CEO, 회장이다.
- 위초야우: 싱가포르 유나이티드 오버시즈 은행 (UOB) 및 United Industrial Corporation (UIC)의 명예 회장이다.
- 쾽렝벵: 홍룽그룹 싱가포르의 회장이다.
- 청에악총: 저명한 사업가이자 자선가이다.
- 탄킴센: 중국계 커뮤니티 지도자 (호키엔)이자 싱가포르 최초의 중국계 치안 판사였다.
- 시유친: 중국계 커뮤니티 지도자 (테오체우), "갬비어 왕"으로도 알려져 있다.
- 림니순: 중국계 커뮤니티 지도자 (테오체우), 이순(Yishun) 타운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간엥센: 중국계 사업가이자 자선가, 나중에 그의 이름을 따서 개명된 학교를 설립했다.
- 어본하우: 호카 중국계 기업가이자 자선가, 호랑이 연고의 설립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 송옹시앙: 중국계 커뮤니티 지도자였다.
- 네오아오티우: 싱가포르 림 추 강 지역 개발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 림보셍: 제2차 세계 대전 중 저명한 사업가이자 레지스탕스 투사, 싱가포르의 전쟁 영웅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2020
https://www.singstat[...]
2021-06-16
[2]
문서
Note that while the ''English'' term is ambiguous between "Chinese" (Han) culture and "Chinese" (PRC) nationality, the ''Chinese'' terms listed here refer specifically to those of Han Chinese descent.
[3]
웹사이트
Population in Brief 2015
http://www.nptd.gov.[...]
2015-09
[4]
웹사이트
Population Trends 2011
http://www.singstat.[...]
2012-05-07
[5]
서적
Race Rules in Singapore, Singapore: State and Society
https://www.research[...]
2015
[6]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2010 Statistical Releas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 Language and Religion
https://www.singstat[...]
Department of Statistics, 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Republic of Singapore
2016-09-01
[7]
웹사이트
有关"新加坡"地名的考证 一口气读完新加坡(连载1)
http://blog.sina.com[...]
[8]
웹사이트
新加坡华语戏曲的发端
http://lunwen.5151do[...]
2010-11-11
[9]
웹사이트
"狮城"新加坡地名文化(Singapore local geographical culture)
http://www.zgchb.com[...]
2010-11-10
[10]
서적
Chau ju-kua: his work on the Chinese and Arab trade in the twelfth and thirteenth centuries : entitled Chu-fan-chi
https://archive.org/[...]
Imperial Academy of Sciences
1911
[11]
서적
The Golden Khersonese: Studies in the Historical Geography of the Malay Peninsula before A.D. 1500
University of Malaya Press
[12]
서적
The Golden Khersonese: Studies in the Historical Geography of the Malay Peninsula before A.D. 1500
University of Malaya Press
[13]
서적
Crossroads (2nd Edn): A Popular History of Malaysia and Singapore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14]
웹사이트
《南洋蠡测》 / 颜斯综著
http://libapps2.nus.[...]
[15]
서적
新加坡古事記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16]
서적
Chapters on Asia: selected papers from the Lee Kong Chian Research Fellowship (2014–2016)
National Library Board, Singapore.
2018
[17]
서적
Political and statistical account of the British settlements in the Straits of Malacca, viz, Pinang, Malacca and Singapore: with a state with a history of the Malayan states on the Peninsula of Malacca.
https://eresources.n[...]
J. Murray
2020-05-06
[18]
웹사이트
The manners and customs of the Chinese of the Straits Settlements
http://sgebooks.nl.s[...]
Mission Press
1879
[19]
웹사이트
First Census of Singapore is Taken – January 1824
http://eresources.nl[...]
[20]
서적
Twentieth century impressions of British Malaya: its history, people, commerce, industries, and resources
https://archive.org/[...]
1907
[21]
서적
Census of the British empire. 1901
https://archive.org/[...]
1906
[22]
서적
Rickshaw Coolie: A People's History of Singapore, 1880–1940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03-06-30
[23]
간행물
Population Trends in Singapore, 1819–1967
1969-03
[24]
서적
The Population of Singapore
https://books.google[...]
ISEAS Publishing
2012-06-30
[25]
서적
Twentieth century impressions of British Malaya: its history, people, commerce, industries, and resources
https://archive.org/[...]
1907
[26]
서적
A general history of the Chinese in Singapore
https://www.worldcat[...]
Singapore Federation of Chinese Clan Associations
2019
[27]
웹사이트
新加坡怡和轩俱乐部(Singapore Ee Ho Hean Club)
http://news.xinhuane[...]
2011-02-12
[28]
웹사이트
Edmund Lee Eu Fah, "''Profile of the Singapore Chinese Dialect Groups''", Social Statistic Section, Singapore Department of Statistics (2000)
http://www.howardsco[...]
2010-01-22
[29]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2010: Basic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ttp://www.singstat.[...]
[30]
문서
Minnan
http://www.glossika.[...]
[31]
웹사이트
THIAN HOCK KENG - OUR FAITH
http://thianhockkeng[...]
2020-06-25
[32]
웹사이트
THIAN HOCK KENG - TRADITIONS AND CULTURES
http://thianhockkeng[...]
2020-06-25
[33]
뉴스
Learn more about Toishanese food and culture in Singapore HeritageFest video | the Straits Times
https://www.straitst[...]
2021-04-28
[34]
서적
Remembering the Samsui women : migration and social memory in Singapore and China
https://www.worldcat[...]
2015
[35]
웹사이트
Overview Singapore
http://www.intercult[...]
2010-11-18
[36]
뉴스
Lee Kuan Yew: The pride of a tiny village in China
https://www.straitst[...]
2016-03-23
[37]
서적
Chinese dialect groups: traits and trades
https://books.google[...]
Opinion Books
1990
[38]
웹사이트
overseas Taiwanese population (Overseas Communities Affair Council, Republic of China)
http://www.ocac.gov.[...]
2014-06-03
[39]
웹사이트
他們來自另一個島嶼 (They come from another island)
http://www.zaobao.co[...]
zaobao.com
2011-01-10
[40]
웹사이트
Gateway to Peranakan Culture
http://www.asiapacbo[...]
AsiaPac Books
2014-12-03
[41]
논문
Chinese migrant workers in Singapore: An analysis based on interviews
https://www.research[...]
2010
[42]
웹사이트
Why Chinese nationals and Singaporeans don't get along
https://www.asiaone.[...]
AsiaOne
2013-03-27
[43]
서적
International Migration in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04-12-27
[44]
웹사이트
Is bond-free S'pore scholarship just 'a stepping stone' for China students?
https://www.asiaone.[...]
AsiaOne
2008-11-20
[45]
논문
Chinese Migration to Singapore: Discourses and Discontents in a Globalizing Nation-State
https://www.research[...]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Royal Holloway, University of London
2013-03-01
[46]
서적
Table 4 Resident Population Aged 5 Years and Over by Language Most Frequently Spoken at Home
http://www.singstat.[...]
2011-01-12
[47]
웹사이트
Envisioning Chinese Identity and Multiracialism in Singapore
http://www.iasdr2009[...]
2011-02-14
[48]
문서
Lionel Wee, (2006). The semiotics of language ideologies in Singapore.
[49]
뉴스
Rpt-Feature-Eyeing China, Singapore sees Mandarin as its future
https://www.reuters.[...]
2009-09-16
[50]
간행물
Profile of the Singapore Chinese Dialects
http://www.howardsco[...]
2010-10-18
[51]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2020 Statistical Release 1
https://www.singstat[...]
2021-12-18
[52]
서적
Changing Education Profile of Singapore Population
http://www.singstat.[...]
Singapore Department of Statistics
2012-05-07
[53]
웹사이트
Singapore government dodges Malay education issue again
http://asiancorrespo[...]
Asian Correspondent
2012-05-07
[54]
서적
Key Indicators
http://www.singstat.[...]
Government of Singapore
2012-05-26
[55]
서적
Education and Language
http://www.singstat.[...]
Singaporean Statistics Bureau
[56]
서적
Key Indicators
http://www.singstat.[...]
Government of Singapore
[57]
논문
The Resident Labour Fource
http://s3.amazonaws.[...]
[58]
논문
The Resident Labour Fource
http://www.singstat.[...]
[59]
서적
World On Fire
https://archive.org/[...]
Knopf Doubleday Publishing
[60]
서적
World On Fire
https://archive.org/[...]
Knopf Doubleday Publishing
[61]
웹사이트
동남아의 중국인과 중국문화
https://www.aseankor[...]
ASEAN-Korea Centre
2022-07-14
[62]
문서
Chua (2003), p. 47.
[63]
서적
Managing Across Diverse Cultures in East Asia: Issues and Challenges in a Changing Globalized World
Routledge
[64]
서적
The Chinese Diaspora: Space, Place, Mobility, and Identity (Why of Wher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65]
논문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Global Reach of Chinese Family Firms in Singapore
[66]
서적
Chinese Capitalism in a Global Era: Towards Hybrid Capitalism
Routledge
[67]
서적
East Asian Transformation: On the Political Economy of Dynamism, Governance and Crisis
Routledge
[68]
서적
Asian Firms: History, Institutions and Management
Edward Elgar Publishing
[69]
서적
China's Communist Revolutions: Fifty Yea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Routledge
[70]
서적
Overseas Chinese Entrepreneurship and Capitalist Development in Southeast Asia
Palgrave Macmillan
[71]
서적
Entrepreneurs
http://www.chaihah.c[...]
Far Eastern Economic Review
1998-02-12
[72]
웹사이트
Chinese of Indonesia, Malaysia and the Philippines –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http://www.faqs.org/[...]
Faqs.org
2012-04-23
[73]
서적
Asian Brand Strategy: How Asia Builds Strong Brands – Martin Roll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04-23
[74]
서적
Business Networks in Asia: Promises, Doubts, and Perspectives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2-04-23
[75]
서적
Business Networks in Asia: Promises, Doubts, and Perspectives
Praeger
[76]
서적
The Bamboo Network: How Expatriate Chinese Entrepreneurs are Creating a New Economic Superpower in Asia
https://archive.org/[...]
Martin Kessler Books, Free Press
1996-01-01
[77]
저널
Education and Language
http://www.singstat.[...]
2012-05-07
[78]
서적
Households smaller but more affluent
http://www.spp.nus.e[...]
The Straits Times
2012-05-10
[79]
웹사이트
20% of Singapore residents have no religion, an increase from the last population census
https://www.channeln[...]
2021-06-16
[80]
웹사이트
NUS-led crowdsourcing project to map over 1,000 Chinese temples here
https://www.straitst[...]
straitstimes.com
2020-12-19
[81]
웹사이트
Pilgrimage to Kusu Island
https://www.roots.go[...]
[82]
웹사이트
Xinyao | Infopedia
https://eresources.n[...]
[83]
문서
Miller, Terry E and Sean Williams. In The Garland Handbook of Southeast Asian Music. New York: Routledge, 2008.
[84]
저널
Code-switching in the Classroom: A Taboo Norm
http://singteach.ni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2007-10
[85]
저널
The Integration of International Chinese Students Into Local Singaporean Community (page 80)
http://www.davidpubl[...]
James Cook University Singapore
2016
[86]
웹사이트
Why Chinese nationals and S'poreans don't always get along
http://www.singapoli[...]
[87]
웹사이트
Why Chinese nationals and S'poreans don't always get along (Part 2)
http://www.singapoli[...]
[88]
웹인용
Census 2020
https://www.singstat[...]
2021-06-16
[89]
웹인용
Population in Brief 2015
http://www.nptd.gov.[...]
2016-02-14
[90]
웹인용
Population Trends 2011
http://www.singstat.[...]
2012-05-07
[91]
웹인용
新加坡华语戏曲的发端
http://lunwen.5151do[...]
2010-11-11
[92]
웹인용
《南洋蠡测》 / 颜斯综著
http://libapps2.nus.[...]
2022-07-10
[93]
서적
The Golden Khersonese: Studies in the Historical Geography of the Malay Peninsula before A.D. 1500
https://archive.org/[...]
w:University of Malaya|University of Malaya Press
[94]
서적
The Population of Singapore
https://books.google[...]
ISEAS Publishing
2012-06-30
[95]
서적
Rickshaw Coolie: A People's History of Singapore, 1880–1940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03-06-30
[96]
서적
Changing Education Profile of Singapore Population
http://www.singstat.[...]
Singapore Department of Statistics
2012-05-07
[97]
웹인용
Singapore government dodges Malay education issue again
http://asiancorrespo[...]
Asian Correspondent
2012-05-07
[98]
서적
Key Indicators
http://www.singstat.[...]
Government of Singapore
2012-05-26
[99]
서적
Education and Language
http://www.singstat.[...]
Singaporean Statistics Bureau
[100]
서적
Key Indicators
http://www.singstat.[...]
Government of Singapore
[101]
저널
The Resident Labour Fource
http://s3.amazonaws.[...]
[102]
저널
The Resident Labour Fource
http://www.singstat.[...]
[103]
서적
China's Communist Revolutions: Fifty Yea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Routledge
[104]
서적
Overseas Chinese Entrepreneurship and Capitalist Development in Southeast Asia
Palgrave Macmillan
[105]
서적
Entrepreneurs
http://www.chaihah.c[...]
Far Eastern Economic Review
1998-02-12
[106]
웹인용
Chinese of Indonesia, Malaysia and the Philippines –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http://www.faqs.org/[...]
Faqs.org
2012-04-23
[107]
서적
Asian Brand Strategy: How Asia Builds Strong Brands – Martin Roll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2005-10-17
[108]
서적
Business Networks in Asia: Promises, Doubts, and Perspectives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1999
[109]
서적
The Bamboo Network: How Expatriate Chinese Entrepreneurs are Creating a New Economic Superpower in Asia
https://archive.org/[...]
Martin Kessler Books, Free Press
1996-01-01
[110]
서적
Business Networks in Asia: Promises, Doubts, and Perspectives
https://archive.org/[...]
Praeger
1999
[111]
저널
Education and Language
http://www.singstat.[...]
2012-05-07
[112]
서적
Households smaller but more affluent
http://www.spp.nus.e[...]
The Straits Times
2012-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