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라노 노리쓰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라노 노리쓰네는 헤이안 시대 말기,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다이라노 노리모리의 아들이다. 그는 미즈시마 전투, 이치노타니 전투, 야시마 전투 등 겐페이 전쟁의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다. 단노우라 전투에서 미나모토노 요시쓰네를 추격하다가 아키 형제와 함께 바다에 투신하여 생을 마감했지만, 생존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세 헤이시 - 다이라노 무네모리
다이라노 무네모리는 헤이안 시대 말기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아들이자 헤이케 정권의 수장으로, 기요모리 사후 헤이시 일문을 이끌었으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게 패배하여 몰락, 단노우라 전투 후 처형되었으며, 무능하고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헤이케 멸망의 원인으로 평가받는다. - 이세 헤이시 - 로노온카타
로노온카타는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첩인 토키와고젠에게서 태어난 '천하제일의 미녀'로 칭송받던 인물로, 후지와라노 카네마사의 첩이 되어 와곤 연주와 서예에 능통했으나, 헤이케 멸망 후 겐지의 포로가 되었고 역사적 존재 여부에 논란이 있다. - 1185년 사망 - 바스카라 2세
바스카라 2세는 12세기 인도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로, 우자인 천문대 책임자를 역임하며 《릴라바티》, 《비자가니타》, 《싯단타 시로마니》, 《카라나 쿠투할라》 등의 저서를 남겼고, 대수학, 미적분학, 삼각법 등에서 업적을 남겨 인도 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 1185년 사망 - 안토쿠 천황
안토쿠 천황은 겐페이 전쟁 중 다이라 씨 일족과 함께 피신하다 단노우라 전투에서 8세의 나이로 자결한 일본 제81대 천황으로, 그의 죽음은 겐페이 전쟁의 비극적인 종결을 상징하며 비운의 천황으로 기억된다. - 헤이케 - 다이라노 무네모리
다이라노 무네모리는 헤이안 시대 말기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아들이자 헤이케 정권의 수장으로, 기요모리 사후 헤이시 일문을 이끌었으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게 패배하여 몰락, 단노우라 전투 후 처형되었으며, 무능하고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헤이케 멸망의 원인으로 평가받는다. - 헤이케 - 로노온카타
로노온카타는 타이라노 키요모리의 첩인 토키와고젠에게서 태어난 '천하제일의 미녀'로 칭송받던 인물로, 후지와라노 카네마사의 첩이 되어 와곤 연주와 서예에 능통했으나, 헤이케 멸망 후 겐지의 포로가 되었고 역사적 존재 여부에 논란이 있다.
다이라노 노리쓰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이름 | 다이라노 노리쓰네 (平教経) |
이명 | 구니모리 (國盛) |
시대 | 헤이안 시대 말기 |
출생 | 에이랴쿠 원년 (1160년) |
사망 | 주에이 3년 2월 7일 (1184년 3월 20일), 또는 겐랴쿠 2년 3월 24일 (1185년 4월 25일) |
묘소 | 아카마 신궁의 칠성총 (七盛塚) |
관위 | 정5위하, 노토 태수(能登守, 노토노카미)、민부대보(民部大輔) |
씨족 | 간무 헤이시(桓武平氏), 고레히라류 이세 헤이시(維衡流 伊勢平氏) |
부모 | 아버지: 다이라노 노리모리(平教盛), 어머니: 후지와라노 스케노리(藤原資憲)의 딸 |
형제자매 | 미치모리(平通盛), 노리쓰네, 나리모리(業盛), 주카이(仲快), 미나모토노 미치치카(源通親)의 아내, 후지와라노 나리쓰네(藤原成経)의 아내, 노리코(教子) 등 |
배우자 | 우미 고젠(海御前)? |
자녀 | 불상 |
2. 생애
平 教経|다이라노 노리쓰네일본어는 헤이안 시대 말기의 무장이다. 《헤이케 이야기》에서는 "수많은 전투에서 한 번도 실수한 적이 없다", "왕성 제일의 강궁 정병"이라고 불리는 등 맹장이자 미나모토노 요시쓰네의 호적수로 그려진다.
수도 함락 후, 헤이케가 퇴세에 있는 와중에도 홀로 기세를 떨치며 미즈시마 전투, 로쿠가도 전투, 야시마 전투 등에서 겐지를 괴롭혔다. 단노우라 전투에서는 요시쓰네에게 덤벼들려 했으나, '''팔척 뛰기'''로 도망치는 바람에 실패하고, 결국 거한 2명을 껴안고 바다에 뛰어들어 자결했다.[4]
그러나 가마쿠라 막부 편찬서인 《아즈마카가미》에서는 이치노타니 전투에서 야스다 요시사다에게 죽임을 당하고 교토에서 옥문에 처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반면 《교쿠요》, 《다이고 잡사기》 등에는 이치노타니 생존설도 있어, 노리쓰네의 실상은 불명확한 점이 많다. 도쿠시마현 이야 지방에는 헤이케의 낙인으로서 이 지역을 개척한 것이 노리쓰네라는 설도 있다. 시코쿠·규슈에 전해지는 갓파 요괴 우미노마에는 노리쓰네의 아내 (혹은 어머니)의 화신이라고 전해진다.
2. 1. 출생과 초기 이력
에이랴쿠(永曆) 원년(1160년)에 다이라노 노리모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 이름은 구니모리(國盛)였고 노리쓰네라는 이름은 나중에 바꾼 것이다. 지쇼(治承) 3년(1179년) 노토 태수(能登守, 노토노카미)로 임관되었다. 구조 가네자네의 일기 《교쿠요》 요와 원년(1181년) 9월 11일자 기사에는 노리쓰네가 다른 사촌형제 다이라노 유키모리와 함께 호쿠리쿠(北陸)를 추토할 군대의 부장군으로서 하향할 것이라고 가네자네 본인이 전해들은 기록이 있다. 실제 노리쓰네는 호쿠리쿠에서의 싸움은 참전하지 않았다.※ 여기에 기재된 내용은 주로 군담소설 《헤이케 이야기》를 토대로 한 것이나, 말 그대로 군담소설이기에 모두 사실이라고는 할 수 없다.
2. 2. 겐페이 전쟁 참전
주에이 2년 5월, 구리카라 고개와 시노하라 전투에서 미나모토노 요시나카에게 패한 헤이케는 교토의 방비를 강화했다. 이때 노리쓰네는 형 미치모리와 함께 2천여 기를 이끌고 우지 강의 다리를 경호했다.[1] 그해 7월, 헤이케는 요시나카에게 밀려 교토를 떠나 사이고쿠(西國)로 근거지를 옮겼고, 노리쓰네도 일문과 함께 서쪽으로 향했다.이후 노리쓰네는 미즈시마 전투, 로쿠카도 전투, 야시마 전투 등에서 활약하며 쇠퇴해 가던 헤이케를 지탱하려 애썼다. 하지만 이치노타니 전투에서 헤이케가 대패하면서 형 미치모리를 잃었고, 노리쓰네의 생사 또한 불분명해졌다. 《아즈마카가미》에는 노리쓰네가 이치노타니 전투에서 전사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다른 사료에는 생존설도 존재한다.[1]
2. 2. 1. 미즈시마 전투 (1183년)
주에이 2년 윤10월, 미나모토노 요시나카는 사누키국(讚岐國) 야시마에 있던 헤이케 본영을 공략하기 위해 아시카가 요시키요(足利義清)를 대장으로 하는 군을 보내 빗추국(備中國) 미즈시마(水島)에서 항해할 준비를 시켰다. 헤이케의 부장군으로서 요격에 나선 노리쓰네는 "어찌 그리 맥없이 싸우려 하느냐? 홋코쿠(北國)에서 내려온 놈들에게 포로가 되어도 부끄럽지 않단 말이냐? 우리 편의 배를 묶어라!"며 크게 외치며, 1천여 척의 배를 모아 밧줄로 이어 맞추고 판자를 잇대어 평평하게 한 다음 말을 타고 판자 위를 건넌다는 전법으로 쳐들어갔다.[1] 노리쓰네가 선두에서 분전하여 적의 사무라이 다이쇼(侍大將) 운노 유키히로(海野幸廣)를 죽였고, 대장 아시카가 요시키요는 자신이 탄 배를 스스로 가라앉혀 자결함으로써 헤이케는 미즈시마 전투에서 승리한다.[1] 이 패전으로 요시나카의 헤이케 추토는 좌절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교토 안에서 신망을 잃고 고시라카와 법황과도 대립하게 된 요시나카는 주에이 3년 정월에 가마쿠라(鎌倉)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頼朝)가 보낸 미나모토노 노리요리(源範頼)ㆍ요시쓰네의 공격으로 패하고 전사하였다.2. 2. 2. 여섯 번의 전투 (1183년 ~ 1184년)
겐지끼리 항쟁을 벌이는 사이에 헤이케는 세력을 회복해 셋쓰국의 후쿠하라까지 진출했지만, 전통적으로 헤이케의 세력 거점이었던 사이고쿠에서조차 반(反)헤이케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었다. 헤이케가 점령하고 있던 시코쿠에서도 아와 국ㆍ사누키의 재청관인들이 겐지와 내통하고 비젠국 시모쓰이(下津井)에 있던 노리모리와 미치모리ㆍ노리쓰네 삼부자의 진에 병선 10여 척을 거느리고 쳐들어오자 노리쓰네는 "바로 어제까지 우리 말 먹일 꼴이나 베던 놈들이 주종(主從)의 신약을 저버리려 하다니 용납할 수 없다. 한 명도 남김없이 죽여버려라."며 작은 배 10척으로 출격해 간단히 쳐부수었다.[5]시코쿠 사람들은 아와지섬의 후쿠라(福良) 항으로 달아나, 그곳에 있던 미나모토노 요시쓰구(源義嗣)ㆍ요시히사(義久) 형제(미나모토노 다메요시의 아들)를 대장으로 삼고 성을 쌓아 맞서려 했지만 노리쓰네는 이마저도 쳐부수고, 요시쓰구를 전사시킨 뒤 요시히사를 생포(크게 부상을 입고 곧 자결), 반역한 130여 명을 모조리 처형한 뒤 추격군의 명부를 작성해 올렸다.[5]
이요국 호족 고노 미치노부(河野通信)가 겐지와 밀통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자 헤이케는 미치모리ㆍ노리쓰네 형제에게 이를 토벌하게 했다. 미치노부는 아키국에 있던 외숙부 누마타 지로(沼田次郞)와 합류해 누마타 성을 쌓고 농성을 벌였지만 야시마를 출발한 노리쓰네의 맹렬한 공격에 누마타 지로는 항복, 미치노부는 쫓겨나 홀로 이요로 달아났다.
아와지의 아마 다다카게(安摩忠景)가 헤이케에 반역하여 큰 배 두 척에 자금과 무기를 싣고 교토로 향하자, 노리쓰네는 작은 배 열 척으로 이를 추격해 격파하고 다다카게를 이즈미국으로 쫓아냈다. 기이국 사람 소노베 다다야스(園邊忠康)가 다다카게를 도와 맞섰으나 노리쓰네는 이마저도 쳐부수고 2백 명 남짓을 베었으며, 다다카게와 다다야스는 수도로 달아나 버렸다.
이요로 달아났던 고노 미치노부가 분고국 사람 우스키 고레타카(臼杵惟隆)ㆍ오가타 고레요시(緒方惟義) 형제와 합류해 2천여 명을 거느리고 비젠 국으로 건너가 이마키(今木) 성에 칩거했다. 노리쓰네는 2천여 기를 거느리고 이를 포위하고, 거듭 후쿠하라로부터 원군 수천 기를 얻어 공략했으며, 우스키ㆍ오가타ㆍ고노 세 사람은 달아났다.
이 여섯 번의 싸움을 누비며 노리쓰네는 쇠퇴해가던 헤이케를 지탱하려 애썼다. 이 일련의 전투들을 묶어 로쿠카도 전투(六ヶ度合戦)라고 한다.
2. 2. 3. 이치노타니 전투 (1184년)
주에이 3년(1184년) 2월 4일, 요시나카를 멸한 노리요리와 요시쓰네가 후쿠하라 공략에 나섰다. 헤이케는 후쿠하라 주변에 방어진을 쳤고, 노리쓰네는 형 미치모리와 함께 1만 기를 거느리고 히요도리고에의 높은 지대를 지켰다. 미치모리가 아내를 불러 이별을 아쉬워하자 노리쓰네는 "여기는 나를 보내야 할 정도의 위험한 전장입니다. 그런 여유작작한 마음가짐은 아무 도움도 안 됩니다."라고 나무랐다.결국 2월 7일에 벌어진 이치노타니 전투에서 헤이케는 치명적인 대패를 당했고, 일문의 대부분을 잃었으며, 노리쓰네의 형 미치모리도 여기서 전사했다.
가마쿠라 막부의 편찬서인 《아즈마카가미》는 노리쓰네도 이치노타니 전투에서 야스다 요시사다가 이끄는 군에 토벌되었고, 같은 달 13일에 죽은 다른 일문 사람들의 목과 함께 교토로 보내져 효수되었다고 기록했다. 하지만, 《교쿠요》에는 이때 교토에 효수된 사람들 가운데 노리쓰네만큼은 "죽지 않고 달아났다"는 풍문이 있음을 증언하고 있으며, 《다이고 잡사기》에는 노리쓰네가 단노우라 전투에서 자결했다고 적고 있다. 정작 《아즈마카가미》는 노리쓰네가 이치노타니에서 죽었다는 종전의 기록대로 단노우라 전투의 전황보고에 헤이케측의 전사자나 포로 가운데 어디에서도 노리쓰네의 이름을 찾아볼 수 없으며, 이치노타니 전투 이후의 노리쓰네의 생사에 대해서는 확실한 것이 없다.[1]
2. 2. 4. 야시마 전투 (1185년)
겐랴쿠 2년(1185년) 2월, 요시쓰네는 헤이케(平家)의 본거지인 사누키 국 야시마에 기습을 감행했다. 헤이케는 야시마를 버리고 배로 도망쳤지만, 예상과는 달리 요시쓰네가 적은 병력을 거느리고 있음을 알고 양측은 격렬하게 화살을 주고받았다. 노리쓰네는 해전은 복장이 간편해야 한다며 갑옷의 히타타레(直垂)를 입지 않고 가벼운 차림으로 싸웠고, 뛰어난 활솜씨로 적을 쏘아 맞히면서 빗나가는 것이 없었다. 요시쓰네의 게라이(家來)들이 주인을 지키려 전면에 나섰지만, "잔챙이는 빠져라!"고 하자마자 마구 화살을 쏘아 요시쓰네 측 10기를 쏘아 떨어뜨렸다. 이때 오슈 히라이즈미에서 요시쓰네를 따라와 참전한 사토 쓰구노부(佐藤継信)가 맨 앞에 서있다가 노리쓰네의 화살에 왼쪽 어깨를 맞고 말았다.[2][3]노리쓰네의 시동 기쿠오마루(菊王丸)가 그 목을 가지러 달려오는 것을 쓰구노부의 남동생 다다노부(忠信)가 쏘아 죽였다. 기쿠오마루는 노리쓰네의 죽은 형 미치모리를 섬기던 18세의 젊은이였는데, 노리쓰네는 이 기쿠오마루의 죽음을 애도하며 싸움을 그만두고 물러나 버렸다.
헤이케는 야시마를 버린 채 사촌형 다이라노 도모모리(平知盛)가 지키고 있던 나가토국(長門國) 히코시마(彦島)로 피했다. 요시쓰네는 수군을 짜서 히코시마로 밀고 들어왔다. 이미 배후지대인 규슈가 노리요리에게 제압된 상황에서 헤이케에게는 퇴로가 없었다.
2. 2. 5. 단노우라 전투 (1185년)
겐랴쿠 2년(1185년) 3월 24일, 헤이케와 겐지는 마지막 싸움이 될 단노우라 전투를 벌였다. 초반에는 수전에 익숙한 헤이케가 우세했지만, 요시쓰네의 뱃사공과 키잡이를 쏘는 전략과 아와 수군의 배신, 그리고 조수의 흐름이 바뀌면서 헤이케의 패배는 결정되었다.[1]《헤이케 이야기》의 '노리쓰네의 최후'(敎經最期) 대목에서는 노리쓰네의 죽음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큰어머니 니이노 아마와 안토쿠 천황 등을 비롯한 헤이케 일문의 사람들이 차례대로 바다에 뛰어들어 자살하는 와중에도 노리쓰네는 혼자서 싸움을 계속했다. 마구 화살을 쏘아서 반도 무사들을 쏘아 죽이고, 화살이 떨어지자 큰 칼과 작은 칼을 양 손에 잡고 적을 마구 베었다. 이를 본 도모모리가 사람을 시켜 "이제 결판이 다 난 싸움인데 뭐하러 그리 부질없는 살생으로 헛수고를 하느냐? 네 수준에 맞는 적들도 아니지 않으냐."라고 전했다. 그렇다면 적의 최고 대장과 서로 찔러 죽기로 결정한 노리쓰네는 배와 배를 옮겨 다니면서 적들을 헤치고 요시쓰네를 찾아 다녔다. 마침내 요시쓰네가 타고 있는 배를 찾아내고는 뜀박질로 이동하여 그를 잡으려 했지만, 요시쓰네는 노리쓰네를 피해 그가 뛰어오른 순간 자신의 배에서 여덟 척이나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배로 뛰어가 버렸다. 이것이 유명한 요시쓰네의 '''여덟 척 뛰기'''('''八艘飛び''', 야소토비)이다.

재주로는 요시쓰네를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한 노리쓰네는 그 자리에서 칼을 팽개치고 투구도 벗어던진 채 뱃전에 서서 "자, 공을 세우고 싶은 놈이 있으면 누구든 와서 이 노리쓰네를 잡아 보거라. 가마쿠라의 요리토모에게 가서 한 마디 해줘야 되겠구나."라고 크게 외쳤다. 군사들은 인왕과 같은 노리쓰네의 모습에 질려 나서는 자가 없었다. 이때 성인 남자 서른 명과도 맞설 힘을 지닌 장사로 알려져 있던 도사국 사람 아키노 타로 사네미쓰와 아키노 지로 형제 그리고 마찬가지로 힘이 센 장사로 알려진 그들의 노토가 노리쓰네를 산 채로 잡아 공훈을 세우고자 셋이서 한꺼번에 덤벼들었다. 노리쓰네는 눈깜짝할 사이에 노토를 걷어차 바다로 떨어뜨리고, 형제를 좌우 옆구리에 끼고 팔을 단단히 조인 채 "자, 이제 네놈들은 나와 함께 황천으로 가자꾸나"라고 외친 뒤 바다에 뛰어들었다. 향년 26세였다.
2. 3. 생존설
도쿠시마현 이야 지방의 전설에 따르면, 다이라노 노리쓰네는 단노우라 전투에서 죽지 않고 이야로 도망쳐 그곳에서 사망했다는 생존설이 전해지고 있다. 도쿠시마현ㆍ고치현의 신뢰할 만한 향토사에도 등장하는 노리쓰네의 행적은 다음과 같다.[3]안토쿠 천황과 함께 100여 기를 이끌고 시코쿠로 도망친 노리쓰네는 미즈시 촌(현재의 가가와현 히가시카가와시)에 잠시 잠복하였다. 이후 산을 넘어 이야 산에 들어간 노리쓰네는 이름을 어린 시절 이름인 구니모리로 고쳤다. 노리쓰네는 이야기를 개척하여 가문을 재건하려 했지만, 안토쿠 천황이 9세에 붕어하자 헤이케 부흥을 단념하고 이야에 정착했다. 20년 후에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자손은 아사 성(아사 가문 주택)을 칭하며, 지금도 헤이케의 붉은 깃발을 전하고 있다고 한다.[3]
3. 평가
『평가 이야기』에서는, 수많은 전투에서 무훈을 세워 "수많은 전투에서 한 번도 실수한 적이 없다", "왕성 제일의 강궁 정병"이라고 불리는 평가 제일의 맹장이자, 미나모토노 요시쓰네의 호적수적인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
수도 함락 후, 퇴세에 있는 평가 중 홀로 기세를 떨치며, 미즈시마 전투, 로쿠가도 전투, 야시마 전투에서 분전하여 겐지를 괴롭혔다. 마지막은 단노우라 전투의 패전 속에서 처절하게 싸우다, 미나모토노 요시쓰네에게 덤벼들려 하지만, '''팔척 뛰기'''로 도망쳐, 거한 2명을 껴안고 바다에 뛰어들어 죽었다.
하지만, 가마쿠라 막부 편찬서인 『아즈마카가미』에서는 노리쓰네는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 무장으로, 이치노타니 전투에서 가이 겐지의 일족인 야스다 요시사다의 군에게 죽임을 당하고, 교토에서 옥문에 처해진다. 한편, 『교쿠요』, 『다이고 잡사기』 등의 다른 사료에서는 이치노타니 생존설도 있어, 맹장이었다는 점을 포함해 노리쓰네의 실상에 대해서는 불명확한 점이 많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헤이케의 낙인으로서 도쿠시마현 이아 지방을 개척한 것은 노리쓰네라는 설마저 존재한다. 또한 시코쿠·규슈에 전해지는 갓파의 요괴 우미노마에는 노리쓰네의 아내 (혹은 어머니)의 화신이라고 전해진다[4]。
4. 관련 작품
- 가와무라 에리 「이상한 들판행」(『시미즈 거울』(아키타 쇼텐) 수록)
- 다케미야 케이코 『헤이케의 몰락자 전설 환상의 깃발』(주오코론신샤, 2004년 12월 20일 초판) 초출 「빅 골드」쇼가쿠칸 1998년 5월호~10월호 연재
:* 이야 평가 마츠리 헤세이 24년(2012년) 9월 30일~10월 31일의 리플렛에 이 만화의 일러스트 사용
- 『신・헤이케 이야기』(1972년, NHK대하드라마) (배역: 다카이치 타로)
참조
[1]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2]
서적
Legends of the Samurai
Overlook Duckworth
[3]
서적
The Tales of the Heike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4]
서적
日本妖怪大事典
角川書店
[5]
서적
源義経の合戦と戦略 ―その伝説と実像―
角川選書
[6]
웹사이트
徳島県の教経生存説ページ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