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치바나 긴치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치바나 긴치요는 1569년 다치바나 도세쓰의 외동딸로 태어난 여성 무장이다. 7세에 가문의 영주 자리를 물려받았으며, 뛰어난 통솔력과 용맹함으로 가문을 이끌었다. 임진왜란과 세키가하라 전투 등 격동의 시대를 거치며, 남편 다치바나 무네시게와 함께 활약했다. 그녀는 '서국 제일의 공주'로 불릴 만큼 미모를 겸비했으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여성 영웅으로 묘사되고 있다. 1602년 사망했으며, 현재 야나가와 삼주신사에 아버지, 남편과 함께 제신으로 모셔져 자애의 신으로 존경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벳키씨 - 다치바나 도세쓰
다치바나 도세쓰는 센고쿠 시대 오토모 가문을 섬긴 무장으로, 수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벼락을 베었다는 전설의 칼 '라이키리'와 가마를 타고 전장을 누빈 용맹함으로 이름을 떨친 인물이다. - 성주 - 양만춘
양만춘은 645년 당 태종의 침입 때 안시성을 지켜 고구려-당 전쟁에서 활약한 고구려 장수로, 역사 기록에는 이름이 불분명하나 명나라 소설을 통해 알려졌으며 안시성 전투의 공으로 영웅적 인물로 재조명된다. - 일본의 여자 통치자 - 이이 나오토라
이이 나오토라는 센고쿠 시대 도토미 이이 가문의 여성 영주로, 가문이 위기에 처하자 당주가 되어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동맹을 맺고 영지를 보존하는 데 힘썼으며, 그녀의 생애는 다양한 학설과 함께 여러 매체를 통해 재조명되고 있다.
다치바나 긴치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다치바나 긴치요 |
원어 이름 | 立花 誾千代 |
출생 | 1569년 9월 23일 |
출생지 | 지쿠젠국 다치바나 성 |
사망 | 1602년 11월 30일 |
사망지 | 히젠국 야나가와 |
가문 | 다치바나 씨 |
신호 | 瑞玉霊神 |
계명 | 光照院殿泉誉良清大禅定尼 |
아버지 | 다치바나 도세쓰 |
어머니 | 몬추쇼 아키토요의 딸 |
배우자 | 다치바나 무네시게 |
직책 | |
다치바나 씨 당주 | 1575년 ~ 1581년 |
다치바나 산성 성주 | 1575년 ~ 1581년 |
소속 | |
군 | 다치바나 씨 |
소속 | 오토모 씨 도요토미 씨 서군 가토 씨 |
군사 활동 | |
주요 전투 | 규슈 정벌 (1587년) 야나가와 성 공방전 (1600년) |
지휘 | 다치바나 산성 |
2. 생애
다치바나 긴치요(立花誾千代)는 오토모 가문(大友氏)의 가신(家臣)이자 '번개의 신'으로 알려진 다치바나 도세쓰(立花道雪)의 딸이었다. 어머니는 몬주쇼 아키토요(問注所鑑豊)의 딸이었다. 도세쓰는 긴치요가 자신의 상속자가 될 것이라고 측근들에게 말했다.
긴치요는 겨우 7세의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계승하여 어려운 시기에 일족을 이끌었다. 아버지로부터 성주 지위, 영토, 소유물, 그리고 유명한 검인 라이키리(雷切, 번개 베기)를 상속받았다.[2] 여성들을 모아 정예 경호대를 구성하고 성의 모든 처녀들에게 전투 기술을 훈련시켜 다른 일족의 공격에 대비했다.
1581년, 다카하시 쇼운의 장남 다치바나 무네시게(立花宗茂)를 도세쓰의 양자(사위 양자)로 맞이하여 긴치요 이후 도세쓰의 가계를 이어갔다.[1]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에 따라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지쿠고국 야나가와번(筑後柳河)을 받았다. 이후 오토모 가문의 가신 신분에서 히데요시의 직신으로 바뀌었다.
1587년 7월 20일, 긴치요는 다치바나 성을 떠나 미야나가(宮永)에 거처를 마련하고 “미야나가덴”(宮永殿)이라고 불리게 된다. 그 이유는 부부 불화로 기록되어 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무네시게는 오쓰 성 전투에 참전했다. 서군 패전 후, 해로로 규슈로 돌아와 1600년 10월 초순 야나가와 성에 들어갔다. 긴치요는 가신과 하인들을 이끌고 직접 무네시게를 맞이했다.
야나가와로 돌아온 무네시게는 10월 20일 미즈마군(三潴郡) 에가미(江上)·하치인(八院) 부근에서 나베시마군과 충돌한다(에가미 전투·하치인의 전투). 10월 22일에는 구로다 조스이(黒田孝高)의 군세가 미즈마군에 도착했다. 같은 날 도쿠가와 이에야스(家康)가 발급한 “신상 안도의 주인”(身上安堵の朱印)이 도착하여 전투는 평화로 향했다. 10월 25일 야나가와성은 개성되었다.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영토를 제압한 가토 기요마사가 야나가와로 진군했을 때, "미야나가관에 군세가 접근하면 모두 무장하고 공격해 올 것"이라는 말을 듣고 미야나가무라를 우회했다는 일화가 있다.[14][15][16]
무네시게가 개역되자 긴치요는 히고국(肥後国) 다마나군(玉名郡) 하라카무라(腹赤村)의 이치쿠라택(市蔵宅)에 거주했다. 기요마사는 긴치요에게 공손한 어투로 식량을 보냈다는 편지를 남겼다.
1602년 7월경부터 병을 앓고, 11월 30일에 사망했다. 향년 34세. 법명은 코쇼인덴 센요 료세이 다이젠죠니(光照院殿泉誉良清大禅定尼)이다. 긴치요의 죽음으로 아버지 도세쓰의 혈통은 단절되었다. 긴치요는 7월부터 학질을 앓다가 1602년 10월 17일에 사망했다고 한다.[17]
긴치요와 함께 이치쿠라택(市蔵宅)에 있던 어머니 니시히메(仁志姫)는 1616년 7월 11일 히고(肥後)에서 사망했다.[21]
긴치요의 보디사는 료세이사(良清寺)이며, 2016년에 젠도지(善導寺)에서 긴치요의 묘비가 발견되었다.[23]
1820년 6월 8일, 긴치요에게 '수옥영신(瑞玉霊神)', 남편 소모(宗茂)에게 '송음영신(松陰霊神)'의 신호(神號)가 내려졌다.[24] 1837년에는 긴치요에게 '조류대명신(照柳大明神)'의 어새(御璽)가 내려졌다.[25]
야나가와 성 북동쪽의 미하시라 신사(三柱神社)에 아버지 다치바나 도세쓰와 남편 소모와 함께 제신(祭神)으로서 모셔지고 있으며, 자애의 신으로서 존경받고 있다.[26]
2. 1. 어린 시절
1569년, 다치바나 도세쓰의 외동딸로 태어났다. 긴치요(誾千代)라는 이름에서 "誾"자는 "겸손한 사람의 말을 듣다"라는 뜻으로, 히젠의 승려 마스긴(増吟)이 지어주었다.[10] 1575년 7월 6일(덴쇼 3년 5월 28일) 아버지 도세쓰에게서 다치바나성의 성주 지위, 영토, 소유물과 명검 라이키리를 물려받아 7세의 나이로 다치바나 가문의 당주가 되었다.[2][11][12] 이는 전국 시대에서도 드문 사례로 알려져 있다.2. 2. 다치바나 가문 당주
다치바나 긴치요는 1575년 7월 6일, 7세의 나이로 다치바나성의 성주 지위, 영토, 재산, 그리고 유명한 검인 라이키리(雷切, 번개 베기)를 아버지 다치바나 도세쓰로부터 상속받았다.[2] 아버지 도세쓰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외동딸에게 성주 자리를 물려주기 위해 일반적인 남성 당주 상속 절차를 밟았다. 오토모 가문의 허락을 받아(1575년 8월 4일 오토모 소린, 요시쓰나의 승인을 받음) 긴치요를 다테하나 성의 성주로 삼았다.[11][12] 이는 전국 시대에서도 드문 사례였다.긴치요는 여성으로 구성된 정예 경호대를 조직하고, 성 안의 모든 처녀들에게 전투 기술을 훈련시켰다. 이는 방문객들에게 위엄을 보이고, 다른 가문이 영토를 공격할 경우에 대비하기 위함이었다.
1581년, 다카하시 쇼운의 장남 다치바나 무네시게를 양자로 맞아들여 결혼시켰다. 1582년 12월 13일에는 본성 서쪽 성에서 축하 행사를 열고 다테하나 성을 처음으로 사용했다.
1585년 11월 2일, 아버지 도세쓰가 네코오 성 전투에서 시마즈 가문과 싸우다 사망하자, 그의 유언에 따라 긴치요는 다치바나 가문의 영주가 되었다.
1586년 규슈 정벌에서 긴치요는 시마즈 가문에 맞서 싸웠다. 오토모 가문 문헌(大友家文書録)에는 긴치요가 여성들에게 총기를 지급하여 성문을 방어했다는 기록이 있다.[3]
2. 3.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
158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이후, 남편 무네시게는 오토모 씨로부터 독립하여 다이묘(大名)가 되었고, 다치바나 가문은 지쿠고국 야나가와 성을 하사받았다.[2] 긴치요는 무네시게와 별거하며 다치바나 성에 머물렀으며, 남편이 부재중일 때 영지 관리와 야나가와 성 지휘를 맡았다.1590년, 오다와라 공성전에 참전하였다.[2]
1592년, 임진왜란 발발 후, 남편 무네시게와 함께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의 지휘 아래 참전하였다.[4]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히젠국 나고야 성을 건설하여 조선 공격의 거점으로 삼았는데, 이 성은 긴치요의 거주지와 가까웠다. 히데요시는 남편이 없는 동안 긴치요를 몇 차례 성으로 초대했으나, 무장한 여성들과 함께 있는 긴치요를 보고 두려워하여 떠났다고 한다.[4]
임진왜란 이후, 긴치요는 남편과 이혼하고 불교 비구니가 되었다.
2. 4. 세키가하라 전투와 이후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남편 무네시게는 이시다 미쓰나리가 이끄는 서군에 가담하였으나, 긴치요는 이에 반대하였다.[5] 무네시게는 오미 국 오쓰 성 공격에 참여하였으나, 다카쓰구가 항복하면서 세키가하라 본 전투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서군 패배 소식을 들은 무네시게는 모리 데루모토에게 오사카 성에 틀어박힐 것을 건의했으나 거절당하고, 해로를 통해 규슈로 돌아와 10월 초 야나가와 성에 입성했다. 긴치요는 가신과 하인들을 이끌고 무네시게를 맞이했다.규슈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긴치요는 구로다 간베이와 가토 기요마사의 침략으로부터 오토모 씨를 방어했다. 세키가하라에서 서군이 패한 후, 나베시마 가쓰시게가 이끄는 동군이 진격해 오자, 긴치요는 여승들을 조직하여 무장 저항을 펼쳤다.[3] 야나가와 공방전에서 갑옷을 입고 홀로 맞서 싸우며 무네시게의 후위를 보호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했다.[6]
임진왜란 당시 무네시게와 동지였던 구로다와 가토는 긴치요의 저항에 이어, 긴치요와 무네시게에게 항복하여 시마즈 요시히로에 대한 원정에 함께할 것을 제안했다. 무네시게는 동의했지만,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규슈에서 더 이상의 전쟁을 원하지 않아 원정을 중단시켰다. 긴치요와 무네시게는 사면되었으나,[4] 미쓰나리의 패배 후 다치바나 가문은 영지를 몰수당했다. 무네시게는 긴치요에게 감사를 표했고, 두 사람은 각자의 길을 갔다.[3]
전투 후, 긴치요는 가토 기요마사의 보호를 받으며 구마모토 현 다마나 군의 농민 집에서 살았다. 기요마사는 긴치요에게 식량을 보냈다는 편지를 남겼는데, 공손한 어투는 그가 긴치요를 귀족 여성으로 대우했음을 시사한다.[7]
1602년 11월 30일, 긴치요는 34세의 나이로 병사하였다. 그녀는 후쿠오카 현 야나가와 시의 료세이사에 묻혔으며, 그녀의 죽음으로 아버지 다치바나 도세쓰의 혈통은 단절되었다.
3. 인물 및 평가
다치바나 도세쓰의 딸로 태어난 긴치요는 용맹하고 결단력 있는 여성이었다. 아버지로부터 성주 지위와 영토, 그리고 유명한 검인 라이키리(雷切, 번개 베기)를 상속받았다.[2] 아버지의 뒤를 이어 다치바나 씨족을 이끌었으며, 여성들로 구성된 정예 경호대를 조직하고 성의 모든 처녀들에게 전투 기술을 훈련시키는 등 뛰어난 통솔력을 보였다.[2]
"서국 제일의 공주"라고 불릴 정도로 미인이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철포와 나기나타 실력도 상당했다고 한다.[14][27] 세키가하라 전투 당시에는 직접 투구와 갑옷을 입고 출격하여 가토 기요마사 군을 위협해 진격 방향을 바꾸게 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14][28][16]
남편 다치바나 무네시게와의 불화설이 있지만, 일차 사료에는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은 없다.
4. 일화
-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 당시, 히젠 나고야 성(名護屋城)으로 긴치요를 불렀으나, 긴치요는 무장한 시녀들을 대동하고 나타나 히데요시를 겁먹게 했다고 한다.[14][27]
- 세키가하라 전투 당시, 긴치요는 갑옷을 입고 나기나타를 들고 여성 군대를 이끌어 나베시마 군(鍋島軍)과 가토 군(加藤軍)에 맞섰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4][28][16]
- 긴치요는 "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공주"로 불릴 만큼 미인이었으며, 아버지 도세쓰에게서 물려받은 무용에도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 『대우 가문 문서』에 따르면, "긴치요는 성 안의 시녀 50명 정도를 훈련시켜 전투가 시작되면 일제 사격을 가하여 적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 긴치요는 철포는 물론이고, 나기나타 실력도 상당했다고 한다.
- 무네시게가 임진왜란으로 부재 중일 때, 성의 방비는 긴치요가 맡았으며, 시녀들과 함께 무장하고 적의 공격에 대비했다고 한다.[14]
하지만 나고야 성 이야기 등은 확실한 사료로 뒷받침되지 않는 것도 많다.
5. 현대 문화 속 긴치요
센고쿠 시대 인물의 대중문화 속 모습 문서에 따르면, 다치바나 긴치요는 게임, 소설, 드라마 등 다양한 대중문화에서 매력적인 여성 캐릭터로 등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立花氏
http://www2.harimaya[...]
2019-04-08
[2]
웹사이트
立花家十七代が語る立花宗茂と柳川 人物紹介・系図
http://www.muneshige[...]
2019-04-08
[3]
웹사이트
立花 誾千代姫
http://ww2.tiki.ne.j[...]
2019-04-08
[4]
서적
立花宗茂
人物叢書
[5]
서적
100 Decisive Battles: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6]
서적
Samurai Women 1184–1877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2-01-20
[7]
웹사이트
立花家十七代が語る立花宗茂と柳川 宮永様跡とぼたもちさん
http://www.muneshige[...]
2019-11-02
[8]
웹사이트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御亡者様御名幷御寺等書上〕
https://clioapi.hi.u[...]
[9]
서적
戦国九州の女達
西日本新聞社
[10]
웹사이트
『井樓纂聞 梅岳公遺事』
https://kotenseki.ni[...]
[11]
서적
柳川市史
(불명)
[12]
서적
柳川の歴史4・近世大名立花家
[13]
서적
玉峯時代記
[14]
서적
柳川藩叢書
[15]
서적
旧柳川藩志
[16]
웹사이트
立花遺香
https://dl.ndl.go.jp[...]
[17]
서적
柳川市史
[18]
문서
柳川立花家文書4634
[19]
웹사이트
立花誾千代姫物語
http://shofuku.nobus[...]
[20]
서적
柳川市史史料編Ⅴ・近世文書(前編)
[21]
문서
問註所旧記
[22]
서적
立花宗茂
吉川弘文館
[23]
뉴스
誾千代姫(立花宗茂公の正室)墓を確認 供養塔文字に感嘆の声 久留米・善導寺 郷土会誌で紹介 柳川
http://www.ariake-ne[...]
有明新報
2016-02-18
[24]
서적
旧柳川藩志
[25]
문서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
[26]
웹사이트
三柱神社について of 成就・復活・縁結びの社(福岡県柳川市)
http://www13.plala.o[...]
2019-12-16
[27]
서적
旧柳川藩志
[28]
서적
旧柳川藩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