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치바나 무네시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1567년 태어난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모두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다치바나 도세쓰의 양자가 되어 가문을 상속받았으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하여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특히 벽제관 전투에서의 활약은 일본 제일의 용장이라는 칭송을 받았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는 다이묘로 복귀하는 드문 사례를 만들었다. 그는 문화적 소양도 뛰어나 다양한 기예에 능했으며, 백성들을 아끼는 인품으로 많은 이들에게 존경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나가와번주 (지쿠고국) - 다나카 요시마사
    다나카 요시마사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이시다 미쓰나리 체포 공로로 지쿠고국 야나가와 32만 석을 영지로 받아 야나가와 성하 도시 건설과 간척 사업에 힘썼다.
  • 다카하시씨 - 다카하시 모토타네
    다카하시 모토타네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다카하시 아키타네의 양자가 되어 휴가국 노베오카의 다이묘가 되었으며, 임진왜란과 세키가하라 전투에 참전 후 가이에키당했다.
  • 다카하시씨 - 다치바나 나오쓰구
    다치바나 나오쓰구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다치바나 쇼운의 아들이자 다치바나 무네시게의 동생이며, 오토모 씨를 섬기다 도요토미 가문의 직신이 되었고, 분로쿠·게이초의 역에 참전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후 낭인이 되었다가 도쿠가와 히데타다에 의해 하타모토가 되었고, 그의 후손은 미이케번 번주를 지냈다.
  • 다치바나씨 (무가) - 야나가와시
    야나가와시는 후쿠오카현 남부 지쿠고 평야에 위치하며 운하 관광으로 유명하고, 농업, 수산업, 제조업, 관광업이 발달한 도시로, 1952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2005년 주변 지역과 합병했다.
  • 다치바나씨 (무가) - 다치바나 긴치요
    다치바나 긴치요는 전국 시대 규슈의 다치바나 씨족 당주로서 뛰어난 지략과 용맹함으로 가문을 이끌었으며, 시마즈 씨족과의 전투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후에도 활약한 여성 영주이다.
다치바나 무네시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치바나 무네시게
본명센쿠마마루 (千熊丸)
이명다치바나 무네토라 (立花宗虎 또는 立花統虎)
출생일1567년 12월 18일
사망일1643년 11월 15일
향년75세
묘소도쿄 시시타야구의 엔만산 고토쿠지
후쿠오카현야나가와시의 후쿠곤지
관직
관위종5위하시종 → 종4위하, 히다노카미
추증종3위
막부
소속에도 막부쇼인반가시라 (게이초 8년 (1603년) - 게이초 12년 (1607년))
봉록
무쓰다나구라번 번주
지쿠고야나가와번 번주
가문
씨족다카하시씨
다치바나씨 (후지와라씨히데사토류오토모씨 지족)
가족 관계
아버지다카하시 시게타네 (쇼운)
어머니사이토 시게자네의 여동생, 소운인
양아버지다치바나 도세쓰
형제자매나오쓰구
가이/신게인 (다치바나 시게이에 부인)
오치요/에이초인 (오다베 무네후사 부인)
다이세인
가야/지코인 (다치바나 지카이에 부인, 후에 호소카와 오키모토 부인)
이설: 이치로마루 (무네시게)
이설: 모
배우자정실: 다치바나 긴치요 (다치바나 도세쓰의 딸)
계실: 야지마 히데요키의 딸, 야치코
계계실: 하무로 요리노부의 딸, 기쿠코
자녀양자: 다다시게
혼다 도시쓰구 부인
오노 시게타카 부인
가야
다테 무네카쓰 계실
나오
야지마 시게타케 부인
생애
시대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주군오토모 소린
요시무네
도요토미 히데요시
히데요리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이에미쓰
군사 경력
소속다치바나씨
오토모씨
도요토미씨
서군
도쿠가와 막부
주요 전투다자이후 전투
하라쓰루 전투
이와토 전투
아마쿠사 반란
규슈 정벌
오다와라 공성전
임진왜란
오쓰성 공방전
야나가와성 공방전
오사카 전투
시마바라의 난
기타 정보
별칭미야시치로
사콘노쇼겐
하시바 야나가와 사콘노지주
릿사
히다노카미 (殿)
릿피슈
히다뉴도, 무네시게뉴도
이명사이고쿠 무쌍 (서국 제일의 활잡이)
규슈의 일물 (규슈의 매)
귀신 장군
무신
비장군
상승 장군
신호쇼인 레이신

2. 어린 시절과 성장

덴쇼 9년(1581년), 다치바나 도세쓰는 아들이 없어, 다카하시 쇼운에게 그의 아들 무네시게를 양자로 삼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쇼운은 처음에 이를 거절했으나, 도세쓰가 계속 간청하자 결국 무네시게를 자신의 딸 긴치요와 결혼시켜 다치바나 가문을 잇게 했다.[11] 이탈리아 예수회 선교사 알레산드로 발리냐노는 무네시게가 훗날 도세쓰의 양자가 되어 다치바나 가문을 이었다고 기록했다.[10]

1582년 이와토 전투에서 도세쓰는 500명의 매복 부대를 이끌었고, 무네시게는 300명의 군대를 이끌고 총을 사용해 측면 기습 공격을 가하여 승리했다.[19][20][21][22]

1583년 요시와라구치 전투에서 요시와라 사다야스를 죽였고,[23][24] 같은 해 무나카타 우지사다의 성을 함락시켜 항복을 받아냈다.[25]

덴쇼 12년 8월, 도세쓰와 쇼운이 오토모 가문의 지쿠고 탈환전에 참전했을 때, 무네시게는 다치바나야마성을 지켰다. 이때 아키쓰키 다네자네가 8천 명을 이끌고 야습해오자 화공으로 격퇴했다.

덴쇼 14년, 시마즈 가문이 지쿠젠국을 침공하자, 쇼운은 이와야 성에서 결사항전 끝에 전사했다. 이때 무네시게는 다치바나야마 성에서 유격전을 펼치며 거짓 항복 등의 계략을 써서 시마즈 본진을 기습했다. 이후 퇴각하는 시마즈군을 추격하여 다카토리이성을 공략하고, 이와야 성, 호만산성을 수복했다.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규슈 평정전에서 활약하여, 히데요시로부터 공을 인정받아 지쿠고국 야나가와 13만 2천 석의 영지를 받아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직접 속한 다이묘가 되었다.

2. 1. 출생과 가계

에이로쿠 10년(1567년) 음력 8월 18일 분고국 구니토군 가케이(오이타현 분고타카다시)에서 오토모씨의 중신 다카하시 쇼운(요시히로 시게타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56] 어린 시절 이름은 지쿠마마루였으며,[57] 후에 야시치로로 개명했다. 에이로쿠 12년(1569년), 아버지 시게타다가 전년에 다카하시 아키타네가 토벌당해 끊어진 다카하시씨의 명맥을 이었기 때문에, 다카하시씨의 후계자로 길러졌고, 주군인 오토모 요시무네로부터 편휘를 받아 원복하고 '''다카하시 무네토라'''(高橋 統虎)라고 이름을 지었다.

덴쇼 9년(1581년) 7월 27일, 친아버지 쇼운의 병력 일부를 이끌고, 우군인 다치바나 도세쓰와 함께 출진하여, 아키즈키씨와 쓰쿠시씨 등과의 제2차 다이자후 간세온지 전투(제2차 다이자후 이시자카 전투)에서 첫 출전을 치렀다.[58][59] 150명을 이끌고 적군의 측면을 공격하여, 기마 궁술로 아키즈키 측의 용장인 호리에 비젠의 왼팔에 가부라야를 명중시켰다. 왼팔을 다친 호리에는 장도를 버리고 무네토라에게 달려들었지만, 스모에 능한 무네토라는 그를 제압했고, 가신인 하기오 하루타네(하기오 다이고린카)가 호리에를 죽였다.[60][61]

같은 해 8월, 아들이 없던 오토모씨의 중신 다치바나 도세쓰(도지 아키쓰나)가 다카하시 무네토라(후의 다치바나 무네시게)를 양자로 삼고 싶어 했다. 쇼운은 무네시게의 뛰어난 재능[62]과 자신의 장남이라는 이유로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도세쓰가 여러 번 간청했기 때문에 결국 8월 18일 무네시게를 도세쓰의 양자로 보냈다.[64][65][66] 이때, 무네시게는 도세쓰의 딸인 기요히데와 결혼하여 사위로 들어가 성씨도 '''도지'''(베키)로 바꾸고, 기요히데를 대신하여 도세쓰로부터 가독을 물려받았다.

2. 2. 다치바나 가문 상속

에이로쿠 10년(1567년) 음력 11월 18일, 오토모 가문의 중신인 다카하시 쇼운의 적자로 태어났다. 덴쇼 9년(1581년), 아들이 없었던 오토모 가문의 가신 다치바나 도세쓰가 그를 양자로 삼으려 하자 쇼운은 처음에는 거절했다. 그러나 도세쓰의 거듭된 간청에 결국 자신의 딸 긴치요와 무네시게를 결혼시켜 사위로 삼고, 다치바나 가문을 상속하게 했다.[11]

같은 해 7월, 무네시게는 친아버지 쇼운과 함께 아키쓰키 가문과의 전투에 처음 참전했다. 이 전투는 다자이후 전투의 일부로, 간제온사에서 쓰쿠시 히로카도와 아키즈키 다네자네에 맞서 싸웠으며, 이 전투에서 무네시게는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냈다.[8][9]

1582년 4월 16일, 이와토 전투에서 도세쓰는 500명의 매복 부대를 이끌었고, 무네시게의 군대 300명은 총을 들고 측면에서 기습 공격을 가해 승리에 기여했다.[19][20][21][22]

1583년 3월 17일, 요시와라구치 전투에서 요시와라 사다야스를 죽였고,[23][24] 4월 23일에는 무나카타 우지사다의 성을 함락시켜 항복을 받아냈다.[25]

덴쇼 12년 8월, 도세쓰와 쇼운이 오토모 가문의 지쿠고 탈환전에 참전했을 때, 무네시게는 다치바나야마성을 지켰다. 이때 아키쓰키 다네자네가 8천 명을 이끌고 야습해오자 화공으로 격퇴했다.

2. 3. 첫 출전

에이로쿠 10년(1567년) 음력 11월 18일, 오토모 가문의 중신 다카하시 쇼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덴쇼 9년(1581년), 아들이 없었던 오토모 가문의 가신 다치바나 도세쓰가 그를 양자로 삼으려 하자 쇼운은 거절했지만, 여러 차례 간청 끝에 결국 도세쓰의 딸 긴치요와 결혼하여 사위가 됨으로써 도세쓰로부터 가문을 상속받았다.[11][12]

그 해 7월, 친아버지와 함께 아키쓰키 가문과의 전투에 처음 참여했다. 이 전투는 다자이후 전투 간제온사에서 쓰쿠시 히로카도와 아키즈키 타네자네를 상대로 벌였으며, 다카하시 무네토라(후에 다치바나 무네시게)가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낸 전투이다.[8][9] 무네시게는 150명을 이끌고 적군의 측면을 공격하여, 기마 궁술로 아키즈키 측 용장인 호리에 비젠의 왼팔에 가부라야를 명중시켰다. 왼팔을 다친 호리에는 장도를 버리고 무네시게에게 달려들었지만, 스모에 능한 무네시게는 그를 제압했고, 가신 하기오 하루타네(하기오 다이고린카)가 호리에를 죽였다.[60][61]

3. 다이묘로의 성장

1581년 7월 27일, 다치바나 도세쓰와 다카하시 시게타네는 다자이후 전투에서 쓰쿠시 히로카도와 아키즈키 타네자네에 맞서 싸웠다. 이 전투는 다카하시 무네토라(훗날 다치바나 무네시게)가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낸 전투였다.[8][9]

당시 이탈리아 예수회 선교사 알레산드로 발리냐노는 무네시게가 훗날 도세쓰의 양자가 되어 다치바나 가문을 이었다고 기록했다.[10] 시게타네는 처음에 무네시게가 다카하시 가문을 이어야 한다며 반대했지만, 도세쓰는 쇠퇴하는 오토모 씨를 지키기 위해 다치바나 가문을 이끌 강한 젊은 무사가 필요하다고 간청했다. 도세쓰는 자신의 사후 다카하시 씨와 다치바나 씨 모두를 이끌고 방어할 강력한 지휘관이 필요하며, 다카하시 시게타네의 후계자는 많지만 다치바나의 지휘권은 무네시게가 계승해야 한다고 설득했다. 결국 시게타네는 이를 받아들여 무네시게를 다치바나 씨에게 보내기로 했고, 도세쓰는 즉시 다치바나 씨의 영주권을 딸인 긴치요에게서 무네시게로 변경했다.[11][12]

1581년 11월 6일, 도세쓰는 무네시게, 시게타네와 함께 준노하라 전투(가마와 호나미 제3차 전투)에서 아키즈키 타네자네 군과 격돌했다. 이 전투에서 다치바나와 다카하시 측은 300명 이상, 아키즈키 측은 76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13][14][15][16][17][18]

1582년 4월 16일, 이와토 전투에서 도세쓰는 500명의 매복 부대를 이끌고 1,000명의 주력 부대를 포위했다. 무네시게는 300명의 총병을 이끌고 측면 기습 공격을 가했고, 오토모 씨의 증원군이 오는 것처럼 위장 깃발을 설치하여 포위를 푸는 데 성공했다. 이후 무네시게는 1,000명의 기병을 이끌고 하라다 군을 격파하고 150명을 죽였으며, 사와라 현까지 추격하여 사와라성을 불태웠다.[19][20][21][22]

1583년 3월 17일, 요시와라구치 전투에서 요시와라 사다야스를 죽였고,[23][24] 4월 23일에는 무나카타 우지사다의 고노미야마 성과 스기나미의 류토쿠 성을 함락시켜 항복을 받아냈다.[25]

158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규슈 정벌 이후, 무네시게는 오토모 씨에서 분리되어 독립적인 다이묘가 되었다. 그는 지쿠고국 야나가와성을 받았고, 다치바나 가문은 독립적인 가문이 되었다. 이후 무네시게는 아마쿠사 반란 진압에 참여했고, 미즈노 가쓰나리가 무네시게 휘하에서 복무했다.[26][27]

1597년 임진왜란 때 무네시게는 부산 방어를 명령받았으나, 작전 계획 변경으로 모리 요시나리가 부산 방어를 맡고 무네시게는 고성안골포 일본 성 방어를 맡게 되었다. 이후 울산성 전투에 참전했다.[28][29]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무네시게는 서군에 가담하여 오쓰성 전투에서 교고쿠 다카쓰구를 항복시키는 데 성공했다.[30] 그러나 서군이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했다는 소식을 듣고 오사카성으로 돌아갔다.[31] 무네시게는 모리 데루모토에게 동군에 저항할 것을 촉구했으나, 데루모토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항복했다.[32] 이후 무네시게는 지쿠고국으로 돌아와 야나가와성 전투 이후 도쿠가와에게 항복했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야나가와 영지를 몰수당했다.[1]

1603년, 무네시게는 혼다 다다카쓰의 도움으로 고레노부 유후 등 시종들과 함께 다카다의 호쇼지 사찰에서 은거 생활을 시작했다. 1604년, 다다카쓰의 추천으로 에도성으로 소환되어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5,000석을 받았다. 1606년에는 무쓰국 다나구라(난고)에서 10,000석을 받고 다이묘 지위로 복귀했다. 이때 나오마사에서 도시마사로 개명했다.[33]

1614년, 오사카 전투에 참전하여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군사 고문 및 군사 전략가로 활약했다. 무네시게는 도요토미의 장군 오노 하루후사 부대의 움직임을 정확히 예측하여 히데타다 부대를 안내했다.[34][35] 1615년 도요토미 히데요리와의 전투가 끝난 후, 이전 영지인 야나가와시로 돌아왔다.[1]

1637년, 시마바라의 난에 쇼군군으로 참전했다. 이후 다나구라에서 작은 영지를 받았다.[1]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직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무네시게에게 과도한 상을 약속하며 동군 가담을 유혹했지만, 무네시게는 "히데요시 공의 은혜를 잊고 동군에 가담하느니 차라리 목숨을 끊겠다"라며 거절했다. 가신 센노 마스토시는 서군에 승산이 없다며 동군 가담을 주장했지만, 무네시게는 "승패와 관계없이"라며 서군에 참가했다.[191] 이시다 미쓰나리가 이끄는 서군에 속하여 이세국 방면으로 진출했다.

오쓰성 전투에서 무네시게는 도세쓰가 고안한 "하야코미"를 사용하여 빠른 속도로 총격을 가해 성을 함락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193][194][195] 또한 모리 모토야스가 항복을 권유할 때 세토구치 마사마사를 시켜 교고쿠 다카쓰구의 목숨을 보증하는 서찰을 보내 항복을 이끌어냈다.[200][201][202][203][204]

세키가하라 전투 본전에 참여하지 못하고 오사카성으로 후퇴한 무네시게는 모리 데루모토에게 철저 항전을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야나가와로 돌아갔다.[191] 이때 다카하시 쇼운의 원수인 시마즈 요시히로와 동행하며 "패배한 군대를 치는 것은 무가의 명예가 아니다"라며 가신들의 복수 주장을 물리치고 오히려 시마즈 군을 호위하여 요시히로와 우정을 맺었다.[210][211]

야나가와성 전투에서는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이끄는 나베시마 군과 에가미・하치인 전투를 벌였다. 오노 시게유키를 총대장으로 출진했으나, 나베시마 군의 포위 작전에 말려들어 많은 장수와 병사를 잃었다. 그러나 구로다 조스이가토 기요마사의 설득으로 무네시게는 항복했다.[221][222]

3. 1. 지쿠고 탈환전과 다치바나야마 성 방어

1586년, 시마즈 다다나가와 이주인 다다무네 등 시마즈 군 5만이 지쿠젠국에 침공했을 때,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다테바야마 성에서 항전했다.[86] 시간을 벌기 위해 중신 우치다 시게이에의 위장 항복 작전을 사용하고,[87][88] 시마즈 본진을 기습하여 수백 명의 목을 베었다. 8월 18일에는 이와토에서 군량을 준비하던 하라다 노부타네군 2,000명을 매복으로 격퇴하고 700여 명의 목을 베었다. 8월 20일에는 아키즈키 다네나가대 2,000명을 기습하여 40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시마즈 군은 다카하시 쇼운과의 전투로 인해 소모되었기에 8월 24일에 철수했다. 이때 무네시게는 아군을 기다리지 않고 시마즈 군을 추격하여 수십 명의 목을 베었고,[89][90][91] 다카토리이 성을 공략했으며,[92][93][94] 화계로 이와야·호만의 두 성을 탈환했다.[95][96][97][98][99][100][101][102]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무네시게를 "그 충의와 무용은 규슈 제일이다(원문: その忠義、鎮西一。その剛勇、また鎮西一。)", "규슈의 뛰어난 인물"이라 높이 평가했다.[103][104][105]

3. 2. 이와야 성 전투와 시마즈 가문과의 항전

다치바나 무네시게(이하 立花宗茂일본어)는 1586년 시마즈 다다나가와 이주인 다다무네 등 시마즈 군 5만이 지쿠젠국에 침공했을 때, 아버지 다카하시 쇼운이 이와야성 전투에서 항전 끝에 전사하자, 다테바야마성에서 항전하였다.[86] 시간을 벌기 위해 중신 우치다 시게이에의 위장 항복 작전을 사용하고,[87][88] 시마즈 본진을 기습하여 수백 명의 목을 베었다. 1586년 음력 8월 18일에는 이와토에서 군량을 준비하던 하라다 노부타네군 2,000명을 매복으로 격퇴하고 700여 명의 목을 베었다. 1586년 음력 8월 20일에는 아키즈키 다네나가대 2,000명을 기습하여 400여 명의 사상자를 냈다. 시마즈 군은 이미 다카하시 쇼운과의 전투로 인해 소모되었기에 1586년 음력 8월 24일에 철수하였다. 이때 立花宗茂일본어는 아군을 기다리지 않고 시마즈 군을 추격하여 수십 명의 목을 베었고,[89][90][91] 다카토리이성을 공략하고,[92][93][94] 화계로 이와야·호만의 두 성을 탈환하는 무공을 세웠다.[95][96][97][98][99][100][101][102] 이때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立花宗茂일본어를 "그 충의와 무용은 규슈 제일이다", "규슈의 뛰어난 인물"이라 높이 평가했다고 한다.[103][104][105]

3. 3. 규슈 평정과 독립 다이묘로의 성장

1587년,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규슈 정벌에 참여하여 히고 국의 여러 성을 함락시키는 등 큰 공을 세웠다. 히데요시는 무네시게의 공을 인정하여 지쿠고 국 야나가와 성 8만 석(이후 검지 결과 9만 8천여 석)을 하사하고, 오토모 씨로부터 독립된 다이묘로 임명하였다.

같은 해 9월, 히고 국에서 사사 나리마사의 실정에 반발한 대규모 국인 봉기가 발생하였다. 무네시게는 동생 다카하시 무네마스와 함께 군량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던 사사 군을 지원하기 위해 출진하였다. 이들은 봉기군의 매복 작전을 간파하고 역이용하여, 오노 시게유키가 주력 부대를 이끌고 히고 남관을 돌파하여 남관 성주를 토벌하는 등 큰 활약을 펼쳤다. 또한, 봉기군에게 포위된 사사 군의 성에 군량을 성공적으로 전달하고, '화차현'이라는 전술을 펼쳐 봉기군을 격파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쿠가와 씨 무사 미즈노 가쓰나리 등이 무네시게 휘하에서 활약하였다. 이후에도 무네시게는 봉기군의 여러 성을 함락시키고, 구마베 친나가의 시로무라 성을 함락시키는 등 혁혁한 공을 세웠다.

이러한 공로로 히데요시는 무네시게를 "동쪽의 혼다 다다카쓰, 서쪽의 다치바나 소모(무네시게), 동서 무쌍"이라 칭하며 그의 무용을 높이 평가하였다.[127][128][129][130]

4.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참전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참전하여 벽제관 전투에서 명군을 격파하고,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는 유정이 이끄는 4만 명의 명군을 4천여 명의 병력으로 막아내는 등 큰 공을 세웠다. 정유재란 때에는 제1차 울산성 전투에서 고책이 이끄는 5만 명의 명군을 8백여 명의 군사로 물리치고, 제2차 울산성 전투에서는 1천여 명의 병력으로 가토 기요마사를 구원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28][29]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무네시게는 순천왜성에 고립된 고니시 유키나가를 구출하기 위해 다카하시 무네마스, 시마즈 요시히로, 소 요시토시 등과 함께 수군을 편성하여 노량 해전에 참전,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과 전투를 벌여 고니시 유키나가를 구출하는 데 성공했다.

4. 1. 임진왜란 초기 활약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참전하여 벽제관 전투에서 철포 속사와 기습 전술을 활용, 군을 격파했다.[131][132][133][134][135][136][137][138][139][140][141][142][143][144][145][146][147][148][149][150][151][152][153][154][155][156][157][158][159][160][161][162][163][164][165][166][167][168][169][170][171][172][173][174] 고바야카와 다카카게는 "리타케 가문의 3,000명은 다른 가문의 1만 명에 필적한다"라고 칭찬했고,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일본 무쌍의 용장"이라는 감장을 내렸다. 여러 장수들 또한 그의 전공을 칭송하는 서신을 보냈다.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는 유정 휘하의 임호가 이끄는 4만 명의 병력이 진주성을 공격하려 하자,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고바야카와 히데카네와 함께 4천 명의 병력으로 이를 저지했다.[175][176]

1597년 정유재란 당시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직접적인 침략군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부산 방어 임무를 맡았다.[28] 이후 작전 계획 변경으로 모리 요시나리가 부산 방어를 담당하게 되면서,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고성과 안골포의 일본 성 방어를 맡았다. 울산성 전투에서는 고성 일본 성 방어를 담당하며 이틀 뒤 전투에 참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4. 2. 정유재란 참전과 울산성 전투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참전하여, 벽제관 전투에서 철포 속사와 기습 전술을 활용하여 군을 격파했다.[131][132][133][134][135][136][137][138][139][140][141][142][143][144][145][146]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는 유정 휘하의 임호가 이끄는 4만 명의 병력이 진주성을 공격하려 하자, 히데카네와 함께 4천 명의 병력으로 이를 저지했다.[175][176]

정유재란 시기, 제1차 울산성 전투에서는 명나라 장수 고책이 이끄는 5만 병력이 일본군 본진인 부산을 급습했으나, 무네시게는 8백 명의 군사만으로 야습과 화공을 펼쳐 이들을 격퇴했다.[28][29] 제2차 울산성 전투에서는 포위되어 궁지에 몰린 가토 기요마사를 구원하기 위해 1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진격, 야습과 기만 전술을 통해 포위망을 뚫고 가토를 구출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일본군에 퇴각 명령이 내려졌을 때, 무네시게는 순천왜성에 고립된 고니시 유키나가를 구원하기 위해 다카하시 무네마스, 시마즈 요시히로, 소 요시토시 등과 함께 수군을 편성했다. 이들은 진린이 이끄는 명군과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과 노량 해전을 벌였고, 고니시 구출에 성공했다.

4. 3. 노량 해전과 고니시 유키나가 구출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참전하여, 벽제관 전투에서 철포 속사와 기습을 활용해 군을 격파했다.[131][132][133][134][135][136][137][138][139][140]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는 유정 휘하의 명군 4만 명이 진주성을 공격하려 하자, 고바야카와 히데카네와 함께 4천 명의 병력으로 이를 격퇴했다.[175] 정유재란 때 벌어진 제1차 울산성 전투에서는 고책이 이끄는 명군 5만 명이 일본군 본진인 부산을 급습하자, 8백 명의 군사만으로 야습과 화계를 써서 이들을 물리쳤다.[28][29] 이어 벌어진 제2차 울산성 전투에서는 포위되어 궁지에 몰린 가토 기요마사를 구원하기 위해 1천 명만 이끌고 진격하여 야습, 거짓 정보 흘리기, 적군 유인 등의 계략으로 포위를 뚫고 가토를 구출했다.

히데요시 사후 일본군에 퇴각 명령이 내려졌을 때, 무네시게는 순천왜성에 고립된 고니시 유키나가가 해상 봉쇄로 퇴각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고 다카하시 무네마스, 시마즈 요시히로, 소 요시토시 등과 함께 수군을 편성해 구원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진린이 이끄는 명군,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과 노량 해전을 벌였으며, 고니시 구출에는 성공했다.

5. 세키가하라 전투와 이후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무네시게이시다 미쓰나리의 서군에 가담, 오쓰성을 공격하여 함락 직전까지 몰고 갔으나, 본 전투에서 서군이 패배하면서 영지를 잃었다. 이후 아버지의 원수인 시마즈 요시히로와 동행하면서도 무장의 명예를 지켜 요시히로와 친분을 맺었다. 야나가와성에서 농성하다 가토 기요마사의 설득으로 항복했다.[1]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무네시게의 능력을 높이 사 쇼군의 친위대장으로 기용했고, 이후 다나구라번의 다이묘로 복귀시켰다. 무네시게는 오사카 전투시마바라의 난에서 활약하며 도쿠가와 막부에 충성했다. 1620년에는 야나가와번으로 복귀하여 이전의 영지를 되찾았다.[1]

5. 1. 서군 가담과 오쓰 성 공격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직전, 도쿠가와 이에야스무네시게에게 은상을 약속하며 동군 가담을 권유했으나, 무네시게는 히데요시에 대한 은의를 지킨다며 거절했다. 중신 고모노 마스토키는 서군에 승산이 없으니 동군에 가담할 것을 주장했지만, 무네시게는 승패를 따지지 않는다며 고모노를 유수로 남겨두고 이시다 미쓰나리의 서군에 소속되어 이세 방면으로 진출했다.[1]

이후 무네시게는 모리 모토야스, 모리 히데카네, 소 요시토시, 쓰쿠시 히로카도와 함께 동군의 교고쿠 다카쓰구가 지키는 오쓰성을 공격했다. 이때 무네시게는 도세쓰가 발명한 '하야고메' 방식을 통해 3배속으로 철포 사격을 하여 큰 공을 세웠다.[30] 그러나 본 전투에서 서군이 궤멸되자 오사카성으로 후퇴했다.[31] 모리 데루모토에게 동군에 맞서 오사카 성에서 농성할 것을 주장했으나, 데루모토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성문을 열어 이에야스에게 투항하자, 무네시게도 자신의 영지로 돌아갔다.[32]

5. 2. 야나가와 전투와 항복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직전에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은상을 약속하며 다치바나 무네시게를 동군에 가담하도록 회유하였으나, 무네시게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대한 은의를 지킨다며 거절했다. 고모노 마스토키가 서군에 승산이 없으므로 동군을 편들 것을 주장했으나, 무네시게는 승패는 따지지 않는다며 고모노를 유수로 남겨두고 이시다 미쓰나리의 서군에 소속되어 이세 방면으로 진출했다.[1]

이후 모리 모토야스, 모리 히데카네, 소 요시토시, 쓰쿠시 히로카도와 함께 동군의 교고쿠 다카쓰구가 지키는 오쓰성을 공격하였는데, 이때 무네시게는 도세쓰가 발명한 '하야고메' 방식을 통해 3배속으로 철포 사격을 하여 크게 공적을 올렸다.[30] 그러나 본 전투에서 서군이 궤멸되자 오사카성으로 후퇴하였다. 모리 데루모토에게 동군에 맞서 오사카 성에서 농성할 것을 주장했으나, 데루모토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성문을 열어 이에야스에 투항하자, 무네시게도 자신의 영지로 되돌아갔다.[31][32]

돌아가는 길에 아버지의 원수 시마즈 요시히로와 동행하였는데, 부군의 원수를 갚으라는 가신들의 권유에 대해 패장을 치는 것은 무가의 명예가 아니라며 물리치고 요시히로와 친분을 맺었다. 야나가와에 돌아온 이후, 가토 기요마사, 나베시마 나오시게, 구로다 요시타카에게 공격당했는데, 이에야스에게 순종함을 보이기 위해 무네시게는 직접 출병하지 않았다. 가로(家老) 오노 시게유키를 총대장으로 하여 1천 3백여 명으로 나베시마의 군대를 봉쇄하고 한 차례 승리를 거두기는 했으나, 이내 야나가와성에서 농성하게 되었고 결국 가토 기요마사의 설득을 받아들여 항복하게 되었다. 시마즈 요시히로가 원군을 보내왔으나 도착한 것은 이미 투항한 지 사흘 뒤였다.[1]

5. 3. 개역과 다이묘 복귀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영지를 몰수당한 무네시게는 가토 기요마사마에다 도시나가에게 가신이 될 것을 권유받았으나 이를 거절했다. 기요마사는 가신으로 영입하는 것을 포기하고 식객으로 대우하였다.[1] 그러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그의 영입을 적극 추진하자, 게이초 8년(1603년) 쇼군의 친위대장으로 기용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다나구라번 1만 석을 받아 다이묘로 복귀했다.[1] 영지는 점차 늘어나 게이초 15년(1610년)에는 3만 5천 석에 달했고, 이 무렵부터 이름을 '''무네시게'''로 하였다.

오사카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휘하에서 경비를 담당했고,[34] 겐나 6년(1620년) 야나가와 10만 9200석을 받아 다이묘로서 완전히 복귀했다.[1]

간에이 14년(1637년) 시마바라의 난에 참전하여 전략과 전투 실력을 다시 보여주었다.[1] 이듬해 무네시게의 조카이자 양자인 다치바나 다다시게(무네시게의 동생 다치바나 나오쓰구의 4남)에게 가문을 계승케 하였다.

5. 4. 야나가와 번 복귀와 말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영지를 몰수당한 무네시게는 가토 기요마사마에다 도시나가에게 가신이 될 것을 권유받았으나 이를 거절했다. 기요마사는 가신으로 영입하는 것을 포기하고 식객으로 대우하였다.[1] 그러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그의 영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자, 게이초 8년(1603년)에 쇼군의 친위대장으로 기용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다나구라 번 1만 석을 부여받아 다이묘로 복귀하게 되었다.[33] 영지는 점차 늘어나 게이초 15년에는 3만 5천 석에 달했고, 이 무렵부터 이름을 '''무네시게'''로 하였다.

오사카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휘하에서 경비를 담당했고,[34] 겐나 6년(1620년)에 예전 영지인 야나가와 번柳川藩|야나가와 한일본어 10만 9200석을 받으면서 다이묘로서 완전히 복귀했다.[1]

간에이 14년(1637년)에 발생한 시마바라의 난에 참전하여 전략과 전투 실력을 다시 보여주었다.[1] 이듬해 무네시게의 조카이자 양자인 다치바나 다다시게立花忠茂|다치바나 다다시게일본어(무네시게의 동생 다치바나 나오쓰구의 4남)에게 가문을 계승케 하였다.

간에이 19년 에도 번저에서 향년 7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6. 인물과 평가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용맹함과 더불어 온화하고 성실한 인품, 그리고 뛰어난 문화적 소양을 겸비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쿠가와 이에야스는 그의 능력을 높이 평가했으며, 특히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다이묘로 복귀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그는 "무사 중의 무사"로 불릴 정도로 의리와 충성심이 강한 인물이었다.

명장언행록에서는 무네시게를 "온순하고 관대하며, 덕이 있고 교만하지 않으며, 공이 있어도 자랑하지 않는다"라고 묘사하고 있다.[247]

도쿠가와 실기에는 "뛰어난 노장으로 무명이 한때 감춰진 적이 없다. 현대 어좌중의 제일로 대우가 보통이 아니다"라고 기록되어, 에도 성 내에서도 특별 대우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266]

키쿠치 간은 무네시게를 혼다 다다카쓰보다 뛰어난 무장이라고 평가했으며,[267] 나카노 히토시는 "격동의 시대를 배경으로 살았던, 희귀한 재능을 가진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현재 후쿠오카현 치쿠고 지방 남부를 흐르는 하나소가와는 무네시게의 이름에서 유래했다.[268]

6. 1. 무용과 인품

종모를 칭송하는 우키요에. 에도 말기, 가가와 요시토라 필.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온순하고 관후하며, 덕이 있으면서도 교만하지 않고, 공을 세워도 자랑하지 않는 인물이었다. 사람을 쓰는 데 능숙하여 선(善)을 따르기를 물 흐르듯 하였고, 간신을 멀리하고 사치를 금하며 백성을 은혜로 보살피고 무사를 의(義)로 격려했다. 이러한 인품 덕분에 무사들은 그를 따르기를 즐거워했으며, 그는 병사를 운용하는 데 천부적인 재능을 발휘하여 공격하면 반드시 얻고 싸우면 반드시 이겼다.[62][238][239]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쿠가와 이에야스도 그의 재능을 높이 평가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다이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도 막부로부터 관대한 처분을 받는 드문 예가 되었다.[245] 그는 전투에 능할 뿐만 아니라, 항상 온후하고 성실하게 사람을 대하고 의리가 있으며 정직한 인물이었기에 "무사 중의 무사"라고도 불렸다.

다음은 무네시게의 인품과 관련된 일화들이다.

  • 8세 때: 구경거리 중 군중 속에서 논쟁이 벌어져 살인이 일어났지만, 무네시게는 두려워하지 않고 수행원에게 "오늘의 구경거리는 이것으로 끝입니까?"라고 물었다. 수행원이 도망치자고 재촉하자, "우리는 저 논쟁의 상대가 아니므로, 어찌 우리에게 달려들 수 있겠는가"라며 침착하게 모든 것을 다 본 후에 돌아갔다.[62][238][239]

  • 13세 때: 가시가 있는 밤을 밟았을 때, 수행원 유부 유노신(由布惟信)이 오히려 밤을 발에 밀어붙였다. 양부 다테바나 미치유키가 보고 있어 비명을 지를 수도 없었지만, 이를 통해 엄격한 교육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240][241]

  • 양자로 갈 때: 친부 다카하시 쇼운은 "다카하시와 다테바나 사이에 전쟁이 일어나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질문했고, 무네시게는 다카하시 편을 들겠다고 답했다. 그러자 쇼운은 "양자로 갔다면 이미 다카하시의 사람이 아니다. 다테바나 세력의 선봉장이 되어 나를 토벌하라"며 검을 주며 타일렀다. 무네시게는 그 검을 쇼운의 유품으로 여기고 평생 몸에서 떼지 않았다.[244]

  • 히고 일기 진압에 공을 세운 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영지를 늘려주려 하자, "이미 충분한 병력을 기를 수 있는 영토를 받았으므로 괜찮습니다. 전투 시에 선봉으로 써주신다면 상응하는 활약으로 보답하겠습니다"라고 거절했다. 이후 임진왜란벽제관 전투에서 선봉을 맡아 일본 제일이라는 칭송을 받았다.[245]

  • 벽제관 전투에서: 적의 대군 앞에서도 태연하게 점심 주먹밥을 먹었다. 가신들이 의문을 가지자, 옛날 우에스기 겐신이 오다와라 공격 때도 이렇게 했다고 답했다.[246]

  • 세키가하라 전투 후 야나가와 성 공방전에서: 개성 당일, 지쿠고 사군(筑後四郡)의 영민들은 "영주님을 위해서라면 목숨도 아깝지 않습니다"라며 항복을 막으려 했다. 그러나 무네시게는 "마음은 기쁘지만, 여러분을 전란에 휘말리게 하고 싶지 않다"라고 답하고 영민들은 눈물로 이별을 아쉬워 했다.[247]

  • 세키가하라 전투 후 낭인(浪人) 시절: 교토에서 곤궁한 생활을 했다고 전해진다.[36] 쌀이 부족해 가신이 을 만들어 바치자 "물을 붓는 밥을 먹고 싶을 때는, 제가 직접 밥에 물을 붓겠으니, 쓸데없는 짓을 하지 마라"라고 화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유력 상인이나 구 가신단, 가토 기요마사 등의 지원을 받아 객장으로서 생활했기에, 후세에 고생을 과장한 이야기라는 설도 있다.

  • 노년기에: 다테바나 다다시게와 도쿠가와 요시나오에게 병사 운용에 대해 질문받자, "특별한 군법은 없다. 항상 병사에게 차별 없이 자비를 베풀고, 국법에 어긋난 자는 그 법에 따라 처리한다. 그러면 전투에 임하면 모두 일생을 걸고 싸워주고, 그것이 나의 공이 된다"라고 답했다.[250] 또한, "윗사람은 아랫사람을 자식처럼 정을 베풀고, 아랫사람은 윗사람을 부모처럼 생각하도록 사람을 쓰면, 명령하지 않아도 마음대로 움직인다"라고 덧붙였다.[250][251]


무네시게는 문무 양도에 능한 명장이었을 뿐만 아니라, 연가, 서도, 다도, 향도, 축국, 노가쿠[253], 피리, 무곡, 요리, 화병, 불상, 제작 등 다채로운 기예에도 능한 문화인이었다.

  • 검술: 마루메 나가토시에게서 타이샤류 면허를 받았고, 궁술은 히키류 면허를 받았다.[255][256][257]
  • 다도: 호소카와 다다오키가 주목할 정도였으며, 향도는 고노에 천황의 동생에게서 훈물(薰物)을 받았다.[258]
  • 축국: 아스카이 마사하루에게서 면허를 받았다.
  • 피리: 휴식 시간에 "일절절(一節切)"이라는 피리를 항상 불었다.


또한, 그는 주당이자 애연가였다. 개전 전에는 항상 큰 술잔을 비웠고,[259][260] 긴 군역에도 담배를 피웠다.[261][262][188] 키는 약 175~180센티미터 정도로 추정된다.[263]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무네시게를 경외하고 칭찬했으며, "천하에 감춰진 적 없는 다테바나 무네시게"라고 칭찬했다.[266] 나카노 히토시는 "격동의 시대를 배경으로 살았던, 희귀한 재능을 가진 인물이다"라고 평가했다. 기쿠치 간은 "혼다 다다카쓰보다 훨씬 뛰어난 무장이다"라고 평가했다.[267]

6. 2. 문화적 소양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문무를 겸비한 인물로, 연가, 서도, 다도, 향도, 축국, 쿄겐, 노가쿠[253], 피리, 무곡, 요리 등 다양한 분야에 재능을 보였다. 또한, 죽제 화병이나 수제 불상, 제작 등에도 능숙한 문화인으로 알려져 있다.

분야상세 내용
검술마루메 나가토시에게서 타이 스테류 면허를 받았으며, 抜刀術隋変流를 개조하기도 했다. 훗날 나카무라 텐푸도 그의 검술을 익혔다.
궁술오무라 렌조쿠, 나카에 신파치, 요시다 시게타케 등으로부터 히키류 면허를 받았다.[255][256][257]
다도호소카와 타다오키가 아들 호소카와 타다토시에게 수기를 통해 다치바나 무네시게를 본받으라고 할 정도로 주목받았다. 타다오키와 다기구를 빌려주고 받는 등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향도고요제이 천황의 동생 료조 호신왕에게서 “훈물(薰物)”을 받았다.[258]
축국아스카이 마사하루에게서 “구도(鞠道)” 문하생으로 인정받아,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와 함께 “자조지관현(紫組之冠懸)”을 면허받았다.
피리휴식 시간에 “일절절(一節切)”이라는 피리를 즐겨 불었다.



또한,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술과 담배를 즐겼다. 전투 전에는 큰 술잔 “오키노이시(沖の石)”에 술을 마셨고,[259][260] 긴 군역 중에도 전술을 생각하거나 건강을 위해 담배를 피웠다.[261][262][188]

6. 3. 현대의 평가

다치바나 무네시게는 문무 양면에서 뛰어난 인물로 평가받는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쿠가와 이에야스 모두 그의 재능을 높이 평가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다이묘로 복귀한 것도 이례적인 일이었다. 그는 용맹함뿐만 아니라 온화하고 성실하며 의리 있는 인물로, "무사 중의 무사"로 불리기도 했다.[247]

명장언행록에서는 무네시게를 "온순하고 관대하며, 덕이 있고 교만하지 않으며, 공이 있어도 자랑하지 않는다. 사람을 쓰는 것은 스스로에게 달려 있으며, 선을 따르는 것이 물 흐르듯 하다. 간신을 멀리하고 사치를 금하며, 백성을 은혜로 어루만지고 무사를 의로 격려한다. 그래서 무사들은 모두 그를 따르기를 즐거워했다."라고 묘사하고 있다.[247]

무예뿐만 아니라 연가, 서도, 다도, 향도, 축국, 쿄겐, 노가쿠,[253] 피리, 무곡, 요리, 죽제 화병·수제 불상· 제작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도 능통한 문화인이었다. 검술은 타이샤류 면허를 받았고, 궁술은 히키류 면허를 받았다.[255][256][257] 다도는 호소카와 타다오키와 교류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258]

도쿠가와 실기에는 "다테바나 히다노카미 무네시게 입도 립사이는 뛰어난 노장으로 무명이 한때 감춰진 적이 없다. 현대 어좌중의 제일로 대우가 보통이 아니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에도 성 내에서도 특별 대우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266]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무네시게를 다케다 신겐, 우에스기 겐신, 오다 노부나가와 같은 명장들과 견줄 만하다고 칭찬했다.[266]

키쿠치 칸은 무네시게를 혼다 타다카쓰보다 뛰어난 무장이라고 평가했다.[267]

나카노 히토시는 무네시게를 "격동의 시대를 배경으로 살았던, 희귀한 재능을 가진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현재 후쿠오카현 치쿠고 지방 남부를 흐르는 하나소가와는 무네시게의 이름에서 유래했다.[268]

7. 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다카하시 시게타네(紹運)
어머니송운원사이토 시게자네의 여동생, 사이토 나가자네의 딸
양아버지다치바나 도세쓰
정실긴치요다치바나 도세쓰의 딸
계실야치코야지마 히데유키[47]의 딸
계계실기쿠코하시쓰무레 요시노부의 딸
형제자매
양자


8. 가신

직책이름비고
정장유부 유신
기장오노 시게유키
부장센노 마스토키, 요네타비 시게히사



; 다치바나 사천왕[271]

구성원비고
유부 유신은퇴 후 요네타비 시게히사로 교체
토키 쓰네사다
안도 이에타다은퇴 후 오노 시게유키로 교체
다카노 다이젠은퇴 후 센노 마스토키로 교체



; 다치바나 육성주[272]

구성원거성비고
오노 시게유키가마치 성
센노 마스토키, 다치바나 시게이에 부자조시마 성
유부 유신, 유부 유지 부자사케미 성
요네타비 시게히사타카오 성
다치바나 아키사다야스무 성분로쿠의 역 제1차 평양성 전투에서 전사, 아들 다치바나 시게사다(다치바나 친이에)가 계승하여 마츠노베 성으로 개령
다치바나 시게자네이마고가 성



; 기타 가신


  • 다치바나 무네하루
  • 다치바나 무네쓰구
  • 다치바나 무네자네
  • 다치바나 친오
  • 다치바나 친카쓰
  • 다치바나 친이에
  • 다치바나 마사토시
  • 다치바나 무네나오
  • 다치바나 시게하야시
  • 다치바나 시게유키
  • 토지 시게히데
  • 토지 친요시
  • 다치바나 시게하루
  • 다치바나 이에하루
  • 다치바나 무네사다
  • 오무라 코레히데
  • 유부 유지
  • 유부 유요
  • 유부 유키
  • 유부 이에쓰구
  • 유부 유아키
  • 유부 유사다
  • 오노 시게유키
  • 오노 시게노리
  • 오노 시게타카
  • 오노 시게카쓰
  • 우치다 시게이에
  • 우치다 무네쓰구
  • 우치다 쓰네히사
  • 우치다 무네나가
  • 야스무 가타키요
  • 요시히로 무네유키
  • 토키 유리나오
  • 토키 유리마스
  • 토키 유리히사
  • 토키 쓰네히데
  • 토키 코레자네
  • 토키 유리토시
  • 토키 유리요시
  • 토키 유리미치
  • 토키 신시로
  • 토키 겐베에
  • 토키 쓰네히사
  • 토키 시게시게
  • 토키 유리마사
  • 이나바 마사요시
  • 조토 토모마사
  • 조토 키요타네
  • 안도 이에타다
  • 안도 쓰네타다
  • 안도 마사히로
  • 안도 쓰네나오
  • 안도 친키요
  • 안도 세이안
  • 안도 이에사카
  • 안도 노리히사
  • 안도 유키사다
  • 안도 쓰네히사
  • 하라지리 시게키요
  • 후루소 마고
  • 모리시타 쵸운
  • 모리시타 노리히로
  • 호리 히데
  • 호리 사카에
  • 사이토 무네야스
  • 우스키 무네카쓰
  • 시미즈 쓰네모토
  • 오오타 시게카타
  • 세토구치 마사마사
  • 이케베 에이세이
  • 이케베 사다마사
  • 사에키 유키유키
  • 아시다쓰 카쓰에몬
  • 오다베 무네후사
  • 오다베 시게키요
  • 요네타비 시게노부
  • 요네타비 시게나리
  • 요시다 카네마사
  • 요시다 시게카네
  • 사쿠라이 마사요시
  • 키요타 마사나리
  • 미이케 시게자네
  • 미이케 친이에
  • 니타 시게자네
  • 사다 무네하루
  • 코구시 시게모토
  • 코구시 시게노부
  • 코구시 시게시게
  • 타하라 친도
  • 타하라 나오친
  • 이시마쓰 마사유키
  • 교토 시게야스
  • 교토 미쓰카네
  • 타케사코 코레타네
  • 고토 코레타네
  • 와타누키 요시토키
  • 야지마 시게나리
  • 야지마 시게토모
  • 타카기 켄쇼
  • 타카기 코레미쓰
  • 아시다쓰 모리유키
  • 아시다쓰 나리카쓰
  • 와타나베 유키나오
  • 와타나베 유키쓰구
  • 단 친쓰구
  • 난부 유키사다
  • 나카에 지기
  • 미즈하라 시게유키
  • 후토 나리즈미
  • 키즈키 무네나오
  • 키즈키 시게요시
  • 이나바 소규
  • 시바타 카쓰하루
  • 하쿠닌 시게타다
  • 칸다 시게유키
  • 야마모토 마사카쓰


; 금비대 (금갑선봉대)[273][155][274][275][276]

직책이름
선봉대장안도 쓰네히사, 오노 시게유키, 다치바나 시게이에



; 모의무사 십일기[277][278]

우치다 칸모쓰 무네쓰구, 다치바나 산타유 무네쓰구, 다치바나 효고스케 무네자네, 아시다쓰 카쓰에몬, 안도 히코에몬 쓰네나오, 키요타 마타베에 마사나리, 다치바나 고에몬 시게하루, 유부 다이쿠스케 유리사다, 모리시타 나쿠시 노리히로, 이시마쓰 안베에 마사유키, 호리 지로에몬 히데, 안도 손베에 마사히로, 마쓰오카 게키

; 다치바나가 사십팔응[279][280]

도세쓰는 차환의 전투에, 흰매가 군기에 모여 승기를 이끈다는 것으로, 그 이후 가중 정예의 가신 48명을 한 대로 꾸렸다. 노령·병사나 전사이므로 멤버는 불특정.

; 다치바나가 삼십이창주[281]

여력두 32인조. 대선수, 물견, 사번 등을 맡는다.
세습제. 분로쿠 4년(1595년)경:


  • 오노 와이젠노카미 시게유키
  • 다치바나 아키사다
  • 유부 시치에몬 유지
  • 요네타비 단바노카미 시게히사
  • 다치바나 키치에몬 시게이에
  • 우치다 세이에몬 이에나리
  • 하라지리 구나이쇼슈 시게키요
  • 우치다 무네쓰구
  • 토키 신시로
  • 토키 겐베에
  • 센슈 헤이자에몬
  • 타지리 하치로
  • 이나바 타지마 뉴도 소규
  • 호리 마타스케 히데
  • 타케사코 칸파치로 코레타네
  • 키요타 마타베에 마사나리
  • 안도 히코에몬 쓰네나오
  • 이시마쓰 안베에 마사유키
  • 토키 타지마노카미 유리요시
  • 토키 요고로 쓰네히데
  • 세토구치 쥬베에 마사마사
  • 유부 다이쿠스케 유리토시
  • 아시다쓰 카쓰에몬
  • 다치바나 신에몬 무네자네
  • 토키 셋쓰노카미 쓰네사다
  • 시미즈 후지에몬 쓰네모토
  • 고토 이치야타 코레타네
  • 다치바나 산타유 무네쓰구
  • 사에키 젠자에몬 유키유키
  • 이케베 지로
  • 토키 진에몬 쓰네히사[282]
  • 안도 손베에 마사히로

9. 다치바나 무네시게를 그린 작품

;소설


  • 오자키 시로 『구름과 남은 달』(소설 신초 게재, 광풍사 출판, 1963년)
  • 카이온지 시오고로 『다치바나 무네시게』(고단샤 로만 북스, 1975년)
  • 타키구치 야스히코 『난리의 바람 젊은 시절의 다치바나 무네시게』(분게이슌주, 1981년) ISBN 416306320X (후에 진물 문고・가쿠요쇼보, 2008년 『다치바나 무네시게와 다치바나 미치유키』로 개제) ISBN 978-4-313-75232-0
  • 야히로 준스케 『다치바나 무네시게 히데요시가 천하무쌍이라 칭찬한 전국 무장』(PHP문고, 2000년) ISBN 4569574211
  • 도몬 토지 『소설 다치바나 무네시게』상, 하(가쿠요쇼보 진물 문고, 2001년)
  • : 상 ISBN 4313751394 하 ISBN 4313751408
  • 하라다 타네마사 『다치바나 무네시게 난세를 가는 칭서의 용장』(코제이도 문고, 2001년) ISBN 4331609073
  • 니시즈 히로미 『다치바나 무네시게 시혼의 계보』(아시쇼보, 2002년) ISBN 4751208322
  • 카이온지 시오고로 『검과 피리와 역사 소설 걸작집』(분게이슌주, 2002년) ISBN 416713540X
  • 시키자와 이쿠 『다치바나 무네시게』(가켄 M문고, 2004년) ISBN 4059011630
  • 도메키 료이치로 『전국 무용전〈1〉태합, 부산에 죽다』(학습연구사, 2006년) ISBN 4054031366
  • 도메키 료이치로 『전국 무용전〈2〉죠스이, 치쿠시에 흩어지다』(학습연구사, 2007년) ISBN 4054033717
  • 도메키 료이치로 『전국 무용전〈3〉왕자, 무너지다』(학습연구사, 2007년) ISBN 4054036104
  • 우에다 히데토 『고투 다치바나 무네시게』(추오코론신샤, 2009년, 나카야마 요시히데 문학상 수상작) ISBN 4120040186
  • 타케나카 료 『전국의 일곱 사람』(가켄 퍼블리싱, 2011년) ISBN 9784054051768
  • 하무라 린 『무쌍의 꽃』(분게이슌주, 2012년) ISBN 9784163810805
  • 쿠로다 요센 『이름에 부끄럽지 않게 스스로에게 부끄럽지 않게 다치바나 무네시게 이문』(문예사, 2012년) ISBN 9784286110653
  • 하토리 요시유키 『아직도, 빛나라 다치바나 무네시게 잔광』(하야카와쇼보, 2022년) ISBN 4152101792
  • 이마무라 쇼고 『다치바나의 가풍』(『전국 무장전 서일본 편』수록, PHP연구소, 2023년)


;전기

  • 시라카와 라이요 『다치바나 무네시게』(오카무라 서점, 1902년)
  • 와타나베 무라오 『벽제관대전기』(아오시오샤, 1922년)
  • 아사카와 로센 『무신・다치바나 무네시게(야나가와번총서 제3집)』(쇼와도 서점, 1940년, 재판 아오시오샤, 1985년)
  • 코가 토시오 『장편 역사 이야기 전국 무장 시리즈(1) 다치바나 무네시게』(규슈출판사, 1974년)
  • 카이온지 시오고로 『무장열전(6) 다치바나 일족』(분게이슌주, 1975년) ISBN 416713506X
  • 나카무라 마사오 『다치바나 무네시게 타이치편』(메인 스템프, 1994년)
  • 카와무라 테츠오 『다치바나 무네시게』(니시닛폰신문사, 1999년) ISBN 4816704884
  • 미이케 준세이 『규슈 전국사와 다치바나 무네시게』(요센샤, 2013년) ISBN 4800301858
  • 에구치 타카유키 『다치바나 무네시게 「의」라는 삶』(신진물문고, 2014년) ISBN 4046004258
  • 카라이 코조 『다치바나 무네시게-전국 「최강」의 무장』(추오코론신샤, 2021년) ISBN-10 : 4121507126


;만화

  • 마키다 리에 『덴쟌! ~다치바나 무네시게 간죠 타이자이키~1권』(신초샤, 2014) ISBN-10 : 4107717313
  • 마키다 리에 『덴쟌! ~다치바나 무네시게 간죠 타이자이키~2권』(신초샤, 2014) ISBN-10 : 4107717720
  • 카와하라 마사토시 『수라의 시대 신장~사이고 무소편~』(고단샤, 2019년)
  • 나카지마 켄지 『코믹판 일본의 역사 전국 인물전 다치바나 무네시게』(감수: 카라이 코조, 원작: 시즈카 카오루)(포플라사, 2019년) ISBN 4591161374


;음악

  • 사쿠라유키 『불요불굴』(작사: 오구리 사쿠라, 작곡: 이세 켄지)


;텔레비전 드라마

참조

[1] 웹사이트 Tachibana Mueshige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0-30
[2] 웹사이트 鉄皺革包月輪文最上胴具足 https://artsandcultu[...] 2024-05-30
[3] 웹사이트 伊予札縫延栗色革包仏丸胴具足 https://artsandcultu[...] 2024-05-30
[4] 논문 1926
[5] 서적 立花宗茂 吉川弘文館 2001
[6] 웹사이트 日置流弓條々 https://artsandcultu[...] 2024-05-30
[7] 웹사이트 金溜地塗籠弓 https://artsandcultu[...] 2024-05-30
[8] 논문 2012
[9] 논문 1835
[10] 논문 1954
[11] 서적 評註名将言行録 中 https://dl.ndl.go.jp[...] 非凡閣 2024-05-31
[12] 논문 2012
[13] 논문 1835
[14] 논문 1835
[15] 논문 Buzen Memorandum (5) Details of the Siege of Tachibana Castle 2011
[16] 문서 『柳河戦死者名譽錄』(二〇)筑前潤野原 天正九年 十一月六日 P.12
[17] 논문 2009
[18] 논문 2012
[19] 논문 1835
[20] 논문 2009
[21] 문서 『柳河戦死者名譽錄』(二二)筑前岩門庄久邊野 天正十年 四月十六日 P.12
[22] 논문 2012
[23] 논문 1835
[24] 논문 2012
[25] 논문 2009
[26] 서적 Kansei chōshū shokafu. Kamon / [hensha Chikano Shigeru] 寬政重修諸家譜. 家紋 / [編者千賀野茂] https://catalogue.nl[...] 新訂 2024-05-21
[27] 서적 野史: 291卷, Volumes 6-10 https://books.google[...] 吉川弘文館 2024-05-30
[28] 논문 Yanagawa City History" Historical Materials Volume V Early Modern Documents (Part 2) Supplement 1 Tachibana Documents 1. 2012
[29] 논문 History of Yanagawa City" Historical Materials Vol. V Early Modern Documents (Part 1) 61 Tachibana Documents 81. 2012
[30] 서적 国史叢書 https://dl.ndl.go.jp[...] National History Research Society 2024-05-30
[31] 서적 Japanese War History: The Battle of Sekihara https://dl.ndl.go.jp[...] 元真社 2024-05-30
[32] 논문 1926
[33] 논문 2012
[34] 서적 立花遺香 銀台遺事 銀台拾遺 (日本偉人言行資料) https://dl.ndl.go.jp[...] National History Research Association 2024-05-30
[35] 서적 『日本戦史・大坂役』 https://dl.ndl.go.jp[...] 元真社 2024-05-30
[36] 서적 立斎公御年譜
[37] 서적 柳川藩叢書 第一集
[38] 서적 柳川藩叢書
[39] 서적 柳川藩叢書 第一集
[40] 서적 旧柳川藩志
[41] 웹사이트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御亡者様御名幷御寺等書上〕 https://clioapi.hi.u[...]
[42] 웹사이트 立花遺香 https://dl.ndl.go.jp[...]
[43] 서적 小田部軍物語 1597-07-17
[44] 웹사이트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御亡者様御名幷御寺等書上〕 https://clioapi.hi.u[...]
[45] 웹사이트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内実系譜 https://clioapi.hi.u[...]
[46] 서적 筑前戦国史 葦書房
[47] 서적 旧柳川藩志
[48] 웹사이트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内実系譜 https://clioapi.hi.u[...]
[49] 웹사이트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御亡者様御名幷御寺等書上〕 https://clioapi.hi.u[...]
[50] 웹사이트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御亡者様御名幷御寺等書上〕 https://clioapi.hi.u[...]
[51] 웹사이트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内実系譜 https://clioapi.hi.u[...]
[52] 웹사이트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御亡者様御名幷御寺等書上〕 https://clioapi.hi.u[...]
[53] 웹사이트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御亡者様御名幷御寺等書上〕 https://clioapi.hi.u[...]
[54] 웹사이트 旧柳河藩主立花家文書-〔御亡者様御名幷御寺等書上〕 https://clioapi.hi.u[...]
[55] 웹사이트 井樓纂聞 梅岳公遺事 https://kotenseki.ni[...]
[56] 서적 立斎公御年譜
[57] 웹사이트 関ヶ原参戦できず「西軍最強」と呼ばれた男の悲劇: なぜ参戦できなかったのか?その後の人生とは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3-11-12
[58] 웹사이트 井樓纂聞 梅岳公遺事 https://kotenseki.ni[...]
[59] 서적 柳河戦死者名譽錄
[60] 서적 筑前戦国史
[61] 서적 筑後将士軍談
[62] 웹사이트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63] 서적 立花公室略譜
[64] 웹사이트 井樓纂聞 梅岳公遺事 https://kotenseki.ni[...]
[65] 서적 豊前覚書
[66] 서적 筑前戦国史
[67] 웹사이트 井樓纂聞 梅岳公遺事 https://kotenseki.ni[...]
[68] 웹사이트 井樓纂聞 梅岳公遺事 https://kotenseki.ni[...]
[69] 서적 豊前覚書
[70] 서적 柳河戦死者名譽錄
[71] 서적 筑前戦国史
[72] 웹사이트 石坂の戦い 八木山峠(福岡県飯塚市) https://web.archive.[...]
[73] 간행물 筑後将士軍談 卷之第十三 穂波合戦之事 https://dl.ndl.go.jp[...]
[74] 간행물 筑後将士軍談 卷之第十四 高橋紹運取返米山付統虎初陣石垣山合戦之事 https://dl.ndl.go.jp[...]
[75] 간행물 井樓纂聞 梅岳公遺事 https://kotenseki.ni[...]
[76] 서적 柳河戦死者名譽錄
[77] 서적 筑前戦国史
[78] 간행물 井樓纂聞 梅岳公遺事 https://kotenseki.ni[...]
[79] 서적 筑前戦国史
[80] 웹사이트 許斐山城の戦い「八並村吉原口の戦い」:天正11年3月15~16日 https://web.archive.[...]
[81] 간행물 筑後将士軍談 卷之第十五 統虎守立花城之事 https://dl.ndl.go.jp[...]
[82] 간행물 井樓纂聞 梅岳公遺事 https://kotenseki.ni[...]
[83] 간행물 評註名将言行録 https://dl.ndl.go.jp[...]
[84] 서적 北肥戦記
[85] 서적 筑前戦国史
[86] 서적 筑前戦国史
[87] 서적 筑前戦国史
[88] 간행물 橘山遺事 https://kokusho.nijl[...]
[89] 간행물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61 立花文書 四二 豊臣秀吉判物
[90] 간행물 筑後将士軍談 卷之第十八 薩州勢退陣統虎追討之事 https://dl.ndl.go.jp[...]
[91] 간행물 橘山遺事 https://kokusho.nijl[...]
[92] 간행물 立花遺香 https://dl.ndl.go.jp[...]
[93] 서적 柳河戦死者名譽錄
[94] 간행물 橘山遺事 https://kokusho.nijl[...]
[95] 간행물 橘山遺事 https://kokusho.nijl[...]
[96] 간행물 日本戦史・九州役 (補伝 第十二宗茂の忠勇) {{NDLDC|771075/117}}
[97] 간행물 筑後将士軍談 卷之第十八 統虎屠高鳥居城討取星野兄弟拔岩屋城事 https://dl.ndl.go.jp[...]
[98] 서적 筑前戦国史
[99] 서적 豊前覚書
[100] 서적 西日本人物誌[13]・立花宗茂
[101] 간행물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61 立花文書 四三 豊臣秀吉判物
[102] 간행물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61 立花文書 四五 豊臣秀吉判物
[103] 간행물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61 立花文書 三七 豊臣秀吉判物
[104] 서적 筑前戦国史
[105] 간행물 評註名将言行録 https://dl.ndl.go.jp[...]
[106] 서적 日本戦史・九州役補伝
[107] 서적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108] 서적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
[109] 서적 立花記(正・続)、武神 立花宗茂、清和源氏隈部家代々物語
[110] 서적 長編歴史物語戦国武将シリーズ(1)立花宗茂
[111] 웹사이트 刀 無銘 兼光 https://artsandcultu[...]
[112] 서적 長編歴史物語戦国武将シリーズ(1)立花宗茂
[113] 서적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
[114] 서적 小早川文書
[115] 서적 柳河戦死者名誉録
[116] 서적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117] 서적 筑紫軍記 https://dl.ndl.go.jp[...]
[118] 서적 長編歴史物語戦国武将シリーズ(1)立花宗茂
[119] 서적 柳河戦死者名誉録
[120] 서적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121] 서적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小野文書
[122] 서적 長編歴史物語戦国武将シリーズ(1)立花宗茂
[123] 서적 柳河戦死者名誉録
[124] 서적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125] 서적 旧柳川藩志
[126] 서적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立花文書
[127] 서적 名将言行録
[128] 서적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129] 서적 立花遺香 https://dl.ndl.go.jp[...]
[130] 서적 評註名将言行録 https://dl.ndl.go.jp[...]
[131] 서적 西日本人物誌[13]・立花宗茂
[132] 서적 黒田家譜 https://dl.ndl.go.jp[...]
[133] 서적 柳川藩叢書
[134] 서적 日本戦史・朝鮮役
[135] 서적 柳川藩叢書
[136] 서적 柳川藩叢書
[137] 서적 柳川藩叢書
[138] 서적 柳川藩叢書
[139] 서적 柳川藩叢書
[140] 서적 柳川史話
[141] 서적 柳川藩叢書 第一集〔九五〕人物略傳小傳(八)戸次統直小傳
[142] 서적 筑後将士軍談 卷之第二十 戸次統直舉勇名於異國事 https://dl.ndl.go.jp[...]
[143] 서적 日本戦史・朝鮮役(補伝 第六十九十時傳右の戦死)
[144] 서적 筑後国史(十時氏系図) https://dl.ndl.go.jp[...]
[145] 서적 宣祖実録
[146] 서적 毛利家記
[147] 서적 柳川藩叢書 第一集〔九五〕人物略傳小傳(四)池邊永晟小傳
[148] 서적 柳川藩叢書 第一集〔九五〕人物略傳小傳(六)小野鎮幸小傳
[149] 서적 柳川藩叢書 第一集〔九五〕人物略傳小傳(七)米多比鎮久小傳
[150] 서적 柳川藩叢書 第一集〔九五〕人物略傳小傳(十一)戸次鎮林小傳
[151] 서적 柳川藩叢書第一集 補遺(九一)敵を背にして陣す
[152] 서적 柳川藩叢書第一集 補遺(八五)三本品柄
[153] 서적 柳川藩叢書 第一集〔九五〕人物略傳小傳(九)立花成家小傳
[154] 서적 柳川藩叢書第一集 補遺(二二)祖宗懋績録
[155] 서적 柳川藩叢書第一集 補遺(五六)立花の笠験とは金甲也
[156] 웹사이트 鑓 銘 播州住政国 「銀杏御枕槍」/鑓 銘 濃州関住兼貞「八幡御枕槍」 https://artsandcultu[...]
[157] 서적 柳川藩叢書第一集 補遺(八)宗茂公朝鮮軍之次第御物語覚
[158] 서적 柳川藩叢書第一集 碧蹄館大戦記
[159] 서적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61 立花文書 四八六 安国寺恵瓊書状
[160] 서적 柳川藩叢書 第一集〔九五〕人物略傳小傳(十二)安東常久小傳
[161] 서적 柳川藩叢書第一集 補遺(一一)『國恩録』/(六四)我軍の追撃
[162] 서적 柳川藩叢書第一集 碧蹄館大戦記
[163] 서적 柳川藩叢書 第一集〔九五〕人物略傳小傳(十三)小野成幸小傳
[164] 서적 柳川藩叢書 第一集〔九五〕人物略傳小傳(十四)小串成重小傳
[165] 서적 柳川藩叢書 第一集〔九五〕人物略傳小傳(十五)小野久八郎小傳
[166] 서적 本朝武家高名記
[167] 서적 柳川藩叢書第一集 補遺(二一)『柳河明証図会』
[168] 서적 日本戦史・朝鮮役(補伝 第七十宗茂碧蹄の殊功)
[169] 웹사이트 川上久国雑話 https://kokusho.nijl[...]
[170] 서적 筑後将士軍談 卷之第二十 江陽(碧蹄館)合戦之事 https://dl.ndl.go.jp[...]
[171] 서적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61 立花文書 五三 豊臣秀吉朱印状
[172] 서적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61 立花文書 五四 豊臣秀吉朱印状
[173] 서적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61 立花文書 四八六 安国寺恵瓊書状
[174] 서적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61 立花文書
[175] 서적 日本戦史・朝鮮役(本編・附記)
[176] 서적 問註所家譜
[177] 서적 柳川市史
[178] 서적 柳川市史
[179] 서적 柳川市史
[180] 서적 柳河藩享保八年藩士系図
[181] 서적 日本戦史・朝鮮役
[182] 웹사이트 キージャ、キージャと鳴くは?カササギ渡来 「立花対般丹の戦い」 http://cache.yahoofs[...]
[183] 서적 名将言行録
[184] 웹사이트 明史 朝鮮伝 http://zh.wikisource[...]
[185] 서적 立斎旧聞記
[186] 서적 立花遺香
[187] 웹사이트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188] 서적 柳川史話
[189] 서적 立花遺香
[190] 서적 柳河戦死者名譽錄
[191] 웹사이트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192] 문서 大津籠城合戦記
[193] 서적 評註名将言行録
[194] 서적 慶長武士
[195] 웹사이트 常山紀談 https://dl.ndl.go.jp[...]
[196] 웹사이트 関原軍記大成 https://dl.ndl.go.jp[...]
[197] 웹사이트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198] 서적 柳河戦死者名譽錄
[199] 서적 京極家譜
[200] 서적 長編歴史物語戦国武将シリーズ(1)立花宗茂
[201] 서적 旧柳川藩志
[202] 서적 旧柳川藩志
[203] 웹사이트 関原軍記大成 https://dl.ndl.go.jp[...]
[204] 서적 慶長武士
[205] 서적 日本戦史・関原役
[206] 서적 立斉旧聞記
[207] 서적 立斉旧聞記
[208] 서적 柳川史話
[209] 서적 柳川藩・船頭役鶴田家の由緒書
[210] 서적 評註名将言行録
[211] 서적 日本戦史・関原役(補伝 第百六立花宗茂再戰説及歸國) NDLDC
[212] 서적 長編歴史物語戦国武将シリーズ(1)立花宗茂
[213] 서적 筑後将士軍談 卷之第二十三 柳川久留米山下開城之事 https://dl.ndl.go.jp[...] NDLJP
[214] 서적 筑後将士軍談 卷之第二十三 柳川久留米山下開城之事 https://dl.ndl.go.jp[...] NDLJP
[215] 서적 立花遺香 https://dl.ndl.go.jp[...] NDLJP
[216] 서적 日本戦史・関原役(第七篇 本戦前後東西各地ノ諸戦 第十七章 柳河) NDLDC
[217] 서적 筑後将士軍談 卷之第二十二 江上合戦之事 https://dl.ndl.go.jp[...] NDLJP
[218] 서적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21 小野文書・一六六 「小野和泉・立花吉左衛門・十時源兵衛申分覺」(小野文書312)
[219] 웹사이트 八院の戦い史跡 https://web.archive.[...] 2016-12-07
[220] 서적 柳河戦死者名譽錄(三七)筑後江上八院 慶長五年十月廿日
[221] 서적 日本戦史・関原役(文書 第百卅一号 清正ト立花宗茂トノ往復書(二通) ) NDLDC
[222] 서적 筑後将士軍談 卷之第二十三 柳川久留米山下開城之事 https://dl.ndl.go.jp[...] NDLJP
[223] 서적 立花遺香 https://dl.ndl.go.jp[...] NDLJP
[224] 서적 評註名将言行録 https://dl.ndl.go.jp[...] NDLJP
[225] 서적 立花遺香 https://dl.ndl.go.jp[...] NDLJP
[226] 서적 日本戦史・大坂役(補伝 第二百三十宗茂の卓識) NDLDC
[227] 서적 日本戦史・大坂役(補伝 第二百三十一宗茂の獻策) NDLDC
[228] 서적 立花遺香(宗茂秀頼の出馬なき豫言す) NDLDC
[229] 서적 柳川史話(全)、立花宗茂、筑前戦国史
[230] 서적 浅川聞書
[231] 서적 柳河戦死者名譽錄(三八)肥前有馬原城 自寛永十四年至十五年
[232] 웹사이트 三柱神社について of 成就・復活・縁結びの社(福岡県柳川市) http://www13.plala.o[...] 2019-12-16
[233] 서적 寛政重修諸家譜巻百十二
[234] 서적 柳川藩叢書 第一集 補遺(八一)宗茂の官位
[235] 서적 柳川市史 史料編V近世文書(前編)61 立花文書 四〇九・四一〇・四一一後陽成天皇口宣案、四一二後陽成天皇宣旨、四一三従五位下位記、四一四従四位下位記
[236] 서적 寛政重修諸家譜
[237] 웹사이트 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官報 1915-11-10
[238] 서적 立花遺香 https://dl.ndl.go.jp[...] NDLJP
[239] 서적 評註名将言行録 https://dl.ndl.go.jp[...] NDLJP
[240] 서적 立花遺香 https://dl.ndl.go.jp[...] NDLJP
[241] 서적 評註名将言行録 https://dl.ndl.go.jp[...] NDLJP
[242] 웹사이트 立花家史料館 http://www.tachibana[...]
[243] 웹사이트 剣 銘 長光 https://artsandcultu[...]
[244] 서적 評註名将言行録 https://dl.ndl.go.jp[...] NDLJP
[245] 서적 柳川藩叢書 第一集 補遺(八八)大國拜領御辭退
[246] 서적 日本戦史・朝鮮役 (補伝 第七十宗茂碧蹄の殊功) NDLDC
[247] 웹사이트 立花遺香 https://dl.ndl.go.jp[...]
[248] 웹사이트 評註名将言行録 https://dl.ndl.go.jp[...]
[249] 웹사이트 評註名将言行録 https://dl.ndl.go.jp[...]
[250] 서적 筑前戦国史 吉永正春
[251] 서적 柳川史話
[252] 서적 筑前戦国史 吉永正春
[253] 웹사이트 筑後将士軍談 https://dl.ndl.go.jp[...]
[254] 웹사이트 https://www.asahi-ne[...]
[255] 웹사이트 日置流弓條々 https://artsandcultu[...]
[256] 웹사이트 金溜地塗籠弓 https://artsandcultu[...]
[257] 웹사이트 朱漆塗弓 https://artsandcultu[...]
[258] 서적 柳川市史
[259] 서적 柳川藩叢書
[260] 웹사이트 沖の石図蒔絵組盃、沖の石蒔絵盃 https://artsandcultu[...]
[261] 서적 柳川藩叢書
[262] 서적 柳川藩叢書
[263] 웹사이트 伊予札縫延栗色革包仏丸胴具足、鉄皺革包月輪文最上胴具足 https://artsandcultu[...]
[264] 웹사이트 立花遺香 https://dl.ndl.go.jp[...]
[265] 웹사이트 銀杏葉紋鞍 https://artsandcultu[...]
[266] 문서 翁物語
[267] 서적 評註名将言行録 NDLDC
[268] 웹사이트 宗茂が着手 半人工河川 矢部川から分流、23キロの花宗川 運河と小河川を合体 農地潤し、大川家具も生む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
[269] 웹사이트 立花遺香 https://dl.ndl.go.jp[...]
[270] 웹사이트 帰命寺(大石曽束1)の香炉 http://www5.city.ots[...]
[271] 서적 旧柳川藩志
[272] 서적 旧柳河藩志
[273] 서적 柳川藩叢書
[274] 서적 柳川藩叢書
[275] 서적 柳川史話
[276] 웹사이트 金箔押桃形兜 https://artsandcultu[...]
[277] 웹사이트 立花家旧記 https://artsandcultu[...]
[278] 서적 柳川藩叢書
[279] 서적 旧柳河藩志
[280] 서적 柳川史話 岡茂政
[281] 서적 旧柳河藩志 (출판사 정보 없음)
[282] 웹사이트 十時氏略系図 https://artsandcult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