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쿠쇼쿠 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쿠쇼쿠 대학은 1900년 가쓰라 타로에 의해 설립된 일본의 사립 대학으로, 대만 및 식민지 경영 인재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1926년 다쿠쇼쿠 대학으로 개칭되었으며, 1946년 홍릉대학으로 변경되었다가 1952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복귀했다. 현재 5개의 학부와 대학원을 운영하며, 도쿄에 두 개의 캠퍼스를 두고 있다. 가라테, 유도, 육상 등 다양한 스포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정치인, 스포츠 선수 등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쿄구의 교육 - 도요 대학
도요 대학은 1887년 이노우에 엔료가 설립한 사립 철학관을 전신으로 하며, 철학을 건학 이념으로 삼아 다양한 학부와 야간 학부를 운영하며 성장해 온 일본의 사립 종합대학이지만, 캠퍼스 철수, 교수 비판, 입시 제도 관련 논란 등 여러 문제도 겪고 있다. - 분쿄구의 교육 - 도쿄 대학
도쿄 대학은 도쿄도에 위치한 일본 최초의 근대 국립 대학으로, 10개의 학부와 다양한 대학원 과정을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며, 13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명문 대학이다. - 1900년 개교 - 경기고등학교
1899년 고종의 칙명으로 설립된 한국 최초의 관립 중등교육기관인 경기고등학교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교명이 변경되었으나 1954년 중·고교 분리 후 현재의 교명을 갖게 되었으며, 1976년 강남구 삼성동으로 이전, 2010년 과학중점학교로 지정되어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여러 분야에 걸쳐 수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 1900년 개교 -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는 1901년 마포삼열이 평양에 설립한 한국 최초의 장로회 신학교로, 한국인 목회자 양성을 목표로 초기에는 평양연합신학교로 불리며 한국 개신교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로 폐교된 후 해방 이후 여러 신학교가 그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 일본의 극우 정치 - 미시마 유키오
미시마 유키오는 1925년 도쿄에서 태어나 소설, 희곡,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전통과 현대 사이의 갈등을 작품에 담아낸 20세기 일본 문학의 중요한 인물이며, 1970년 자위대에서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고 할복 자살했다. - 일본의 극우 정치 - 기타 잇키
기타 잇키는 일본 제국 헌법의 천황제를 비판하고 군사혁명을 통한 국가 개조를 주장한 사상가이자 혁명가로, 그의 사상은 2·26 사건에 영향을 미쳤으며, 진보적인 면모와 극단적인 민족주의적 경향을 동시에 지녔다는 평가를 받으며 2·26사건 연루 혐의로 사형당했다.
다쿠쇼쿠 대학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拓殖大学 (Takushoku Daigaku) 다쿠쇼쿠 대학 |
영문 명칭 | Takushoku University |
종류 | 사립 |
설립 | 1900년 |
폐교 | 해당 없음 |
대학 설치 년도 | 1922년 |
학교 법인 | 학교법인 척식대학 |
본부 위치 | 도쿄도분쿄구고히나타 3초메 4번 14호 |
캠퍼스 | 분쿄 (도쿄도 분쿄구) 하치오지 국제 (도쿄도 하치오지시)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약칭 | 척대 (拓大, Takudai) 척식 (拓殖, Takushoku) |
역사 | |
이전 명칭 | 타이완 협회학교 (台湾協会学校) 동양협회 전문학교 (東洋協会大学) |
설립 연도 | 1900년 |
조직 | |
학부 | 상학부 정경학부 외국어학부 국제학부 공학부 |
연구과 (대학원) | 상학연구과 경제학연구과 공학연구과 언어교육연구과 국제협력학연구과 지방정치행정연구과 |
규모 | |
학생 수 | 해당 없음 |
학부생 | 해당 없음 |
대학원생 | 해당 없음 |
박사 과정 | 해당 없음 |
교직원 수 | 해당 없음 |
행정 스태프 | 해당 없음 |
재학생 수 (2008년 기준) | 학부: 10,260명 대학원: 305명 |
전임 교원 수 (2008년 기준) | 257명 |
캠퍼스 정보 | |
캠퍼스 위치 | 분쿄, 하치오지 |
기타 | |
특징 | 해당 없음 |
이미지 | |
![]() | |
![]() |
2. 연혁
- 1900년: 가쓰라 다로가 도쿄에 '''대만 협회 학교''' 설립 인가 (6월). 와불 법률 학교 (호세이 대학의 전신) 가교사에서 개교 (9월)
- 1901년: 고이시카와구묘가다니정 (현재 위치)으로 이전
- 1903년: 제1회 졸업식 거행 (45명)
- 1904년: 전문학교령에 의한 '''타이완 협회 전문학교'''로 개칭
- 1907년: '''동양 협회 전문학교'''로 개칭, 경성 분교 (후의 경성 고등 상업 학교, 현재의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설치
- 1909년: 동양 협회 전문학교 동창회 (현 타쿠쇼쿠 대학 학우회) 창립, 동창회 회보 창간호 발행
- 1910년: 동양 협회 여순어학교, 동 대련 상업 학교 (현재의 대련 36중학교) 개교
- 1912년: 메이지 천황으로부터 은사금을 하사받아 유학생 기숙사 (고사고 료) 완성
- 1914년: 은사 기념 강당 낙성식 거행, 동양 협회를 사단법인으로 개조[22], 은사 기념 강당 개관식 및 가쓰라 공 동상 제막식 거행
- 1915년: '''동양 협회 식민 전문학교'''로 개칭
- 1917년: 동양 협회 대만 지부 부속 대만 상공 학교 (현재의 ) 개교[23]
- 1918년: '''다쿠쇼쿠 대학'''(拓殖大學)으로 개칭 (전문학교령 준거). 경성 분교를 동양 협회 경성 전문학교로 분리.
- 1919년: 교가 제정 (미야하라 민페이 작사, 나가이 겐코 작곡)
- 1920년: 동양 협회 경성 전문학교를 사립 경성고등상업학교로 개조·개칭
- 1922년: 6월 5일, 대학령에 의한 '''동양 협회 대학''' 설립 인가[24] (전문학교령 준거의 다쿠쇼쿠 대학은 1925년까지 존속)
- 1923년: 도서관 준공[25]
- 1925년: 전문학교령 준거의 다쿠쇼쿠 대학을 동양 협회 대학 전문부 (야간)로 개칭·개조. 타쿠쇼쿠과·법률과·상과 설치
- 1926년: 동양 협회 대학을 '''다쿠쇼쿠 대학'''으로 개칭
- 1930년: 동양 협회 대련 여자 상업 학교 (현재의 대련시 중산구 중심 초등학교) 개교
- 1932년: 신 교사 준공 (현재의 분쿄 캠퍼스 A관). 기타타마군히가시쿠루메촌에 종합 운동장 개설. "타쿠쇼쿠 대학 신쿄 강습소" 설립
- 1933년: 학부를 상·타쿠쇼쿠 2과로 개편. 동양 협회 봉천 상업 학교 개교
- 1934년: 전문부 (야간)를 주간 수업으로 변경, 타쿠쇼쿠과·법률과·상과 구별 폐지
- 1937년: 한방 의학 강좌 개강
- 1939년: 전문부를 상과·개척과·무덕과로 개조
- 1940년: 학부 상과를 상경학과, 타쿠쇼쿠과를 타쿠쇼쿠학과로 개칭. 대학 예과를 기타타마군 고다이라촌으로 이전. 히가시쿠루메 운동장 폐지
- 1941년: 타쿠쇼쿠 대학 보국회 발족
- 1943년: 전문부 무덕과를 사정 과로 변경. 동양 협회 안남어 강습소 설치
- 1944년: 대학 예과 학생 모집 중단. 전문부를 전문학교 (경영과·개척과·사정 과)로 개조
- 1945년: 공습으로 은사 기념 강당 등 소실
- 1946년: 타쿠쇼쿠 대학을 '''고료 대학'''(紅陵大學)으로 개명. 타쿠쇼쿠 전문학교를 코료 전문학교로 개칭. 상학부 타쿠쇼쿠학과를 무역과로 개칭. 대학 예과 학생 모집 재개[27]
- 1948년: 구제 예과 폐지. 전문학교 개척과를 농학과·농업 경제과로 개칭. 군마 농림 전문학교 통합, 군마현오라군코이즈미정에 군마 분교 설치. 후쿠이 지진으로 학생 유지 "의원대" 조직, 현지 투입.
- 1949년: 학제 개혁에 따라 신제 고료 대학 발족, 상학부 (경영학과·무역학과) 및 정경학부 (정치학과·경제학과) 설치
- 1950년: 단기 대학 (경영과·무역과) 설치
- 1951년: 대학원 석사 과정 (경제학 연구과·상학 연구과) 설치
- 1952년: 다시 명칭을 '''다쿠쇼쿠 대학'''으로 변경
- 1955년: 타쿠쇼쿠 대학 해외 사정 연구소 설립
- 1957년: 신 강당 (묘가다니 홀) 준공. 군마 분교 및 구제 타쿠쇼쿠 전문학교 폐지[28]
- 1959년: 타쿠쇼쿠 대학 경리 연구소 설립
- 1960년: 구제 타쿠쇼쿠 대학 폐지[29]
- 1961년: 타쿠쇼쿠 대학 일본어 연수소 설립
- 1963년: 타쿠쇼쿠 대학 일본어 연수소를 타쿠쇼쿠 대학 어학 연수소로 개칭
- 1964년: 하치오지 교지 (42만 평) 구매 계약 조인 (5월 본 계약)
- 1965년: 학우회 회보 "묘가다니 소식" 창간호 발행
- 1968년: "타쿠혼비" 제막식 거행 (학우회 주최)
- 1969년: 홋카이도 타쿠쇼쿠 단기 대학 부설 타쿠쇼쿠 보육 전문학교 설치
- 1970년: 대학원 박사 과정 (경제학 연구과·상학 연구과) 설치, 대학원 교사 "D관" (도서관 부지) 준공, 은사 기념 강당 표기 기념비 S관 뒤편 건립
- 1972년: 유학생 별과 설치, "타쿠쇼쿠 대학 어학 연수소"를 "타쿠쇼쿠 대학 어학 연구소"로 개칭
- 1977년: 도쿄도하치오지시에 하치오지 캠퍼스 개설. 상학부·정경학부 1~2학년은 동 캠퍼스에. 동 캠퍼스에 외국어학부 (영미어학과·중국어학과·스페인어학과) 설치.
- 1978년: 타쿠쇼쿠 대학 유네스코 협회 설립, 하치오지 캠퍼스 내 국제 교류 회관 완성
- 1979년: 캐나다에 해외 제휴교 설치
- 1980년: 홋카이도 타쿠쇼쿠 단기 대학 "보육과" 신설, "타쿠쇼쿠 소혼사"를 하치오지 교지로 이전 천좌
- 1981년: 대만·베이징·스페인·멕시코에 해외 제휴교 설치
- 1985년: "관리동", "도서관동" 기공식, 아카기 산장 (후생 시설) 폐지
- 1987년: 공학부 (기계 시스템 공학과·전자 공학과·정보 공학과·공업 디자인학과) 설치
- 1990년: 홋카이도 타쿠쇼쿠 단기 대학을 타쿠쇼쿠 대학 홋카이도 단기 대학으로 개칭
- 1991년: 대학원 석사 과정 (공학 연구과 기계 시스템 공학 전공·전자 정보 공학 전공) 설치
- 1992년: 오스트레일리아에 해외 제휴교 설치
- 1993년: 대학원 박사 과정 (공학 연구과 기계 시스템 공학 전공·전자 정보 공학 전공) 설치, 대학원 석사 과정 (공학 연구과 공업 디자인학 전공) 설치. 묘가다니 교사는 분쿄 캠퍼스로 개칭.
- 1994년: 영국에 해외 제휴교 (2대학) 설치
- 1997년: 대학원 박사 과정 (공학 연구과 공업 디자인학 전공) 설치, 대학원 석사 과정 (언어 교육 연구과 영어 교육 전공·일본어 교육 전공) 설치
- 1998년: 하치오지 캠퍼스에 옥내 작업장 "BIG TENTO" 완성, 학생 교류 회관 완성
- 1999년: 대학원 박사 과정 (언어 교육 연구과/언어 교육학 전공) 설치, 국제 개발 연구소 개설, 타쿠쇼쿠 대학 첨단 공학 연구 센터 개설
- 2000년: 창립 100주년 기념식에 상황 미치코 참석, 국제 개발 학부 (개발 협력학과·아시아 태평양학과) 설치, 언어 문화 연구소 부속 일본어 연수 센터에 준비 교육 과정 설치, 창립 100주년 기념 사업 "은사 기념관" 준공
- 2002년: 무역학과를 국제 비즈니스 학과, 전자 공학과를 정보 일렉트로닉스 학과로 각각 개칭. 취득한 일본어 교육 센터 (구 외무성 연수소)를 국제 교육 회관으로 명칭 변경
- 2003년: 정치학과를 법률 정치학과로 개칭, 일본어 연수 센터가 각종 학교로 도쿄도에서 인가, 대학 조직에서 타쿠쇼쿠 대학 일본어 학교로 분리 개조.
- 2004년: 대학원 국제 협력학 연구과 박사 전기 과정 설치
- 2005년: 타쿠쇼쿠 대학 창립 105주년 축하회, 하치오지 캠퍼스 내 국제 개발 학부동 증축, 하치오지 캠퍼스 내 제2체육관과 체육 기숙사 완성, 타쿠쇼쿠 단기 대학 폐지
- 2006년: 대학원 국제 협력학 연구과 박사 후기 과정 설치
- 2007년: 3월, 타쿠쇼쿠 대학 르네상스 사업 시작 (2015년 3월까지), 상학부에 회계학과 신설, 국제 개발 학부를 국제학부로 명칭 변경 (개발 협력학과, 아시아 태평양 학과 2학과를 국제학과 1학과 4코스제로 편성), 공학부 정보 일렉트로닉스 학과를 전자 시스템 공학과로 명칭 변경, 일본어 교육 연구소 개설, 이슬람 연구소 개설
- 2008년: 국제학부에 국제 관광 코스 설치, 타쿠다이 르네상스 계획 일환으로 분쿄 캠퍼스 내 신 교사 (C관) 완성
- 2009년: 대학원 지방 정치 행정 연구과 지방 정치 행정 전공 석사 과정 설치, 타쿠쇼쿠 대학 가쓰라 타로塾 개강[30]
- 2010년: 공학부 공업 디자인 학과를 디자인 학과로 명칭 변경, GPA 제도 도입
- 2015년: 상학부와 정경학부를 분쿄 캠퍼스로 전면 이전. 하치오지 캠퍼스를 하치오지 국제 캠퍼스로 명칭 변경.
- 2016년: 지방 정치 행정 연구소 부속 조직으로 방재 교육 연구 센터 설치
- 2017년: 4월, 타쿠쇼쿠 대학 창립 120주년 기념 "오렌지 모금" 시작 (2020년 12월 31일까지. 2021년 이후에도 계속 모집 예정)
- 2020년: 외국어학부에 국제 일본어학과 개설[31]
다쿠쇼쿠 대학은 일본 통치 시대의 대만 개척을 실시할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기관으로 개교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전에는 아시아 개척 등 외지에서 활약할 인재 육성을 목적으로 했던 것에서 현재도 국제 개발 인재 육성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건학 정신은 대만협회학교 설립 시 가쓰라 타로가 제창한 "적극적 진취의 기개와 모든 민족으로부터 경모받을 만한 교양과 품격을 갖춘 유능한 인재 육성"이다. 니토베 이나조의 영향으로, 교가에 있는 "인종의 색과 땅의 경계, 내가 서는 앞에 차별은 없다"와 성경마태오 복음서의 한 구절을 인용한 "세상의 소금이 되어라"를 교육 방침으로 삼고 있다.
2. 1. 일제강점기 조선과의 관계
1900년 가쓰라 다로가 도쿄에 설립한 '''타이완 협회학교'''(臺灣協會學)가 다쿠쇼쿠 대학의 기원이다. 이 학교는 1895년 일본의 식민지가 된 타이완섬의 척식(개척/식민)에 종사할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였다.[36] 1907년 10월에는 경성에 분교를 개설했다.[36]1916년 6월 26일, 동양협회척식전문학교 경성분원(東洋協會拓植專門學校)京城 分院)으로 조선총독부의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18년 경성분교는 동양협회 경성전문학교로 분리되었으며, 1920년 사립 경성고등상업학교로 개칭되어 교사를 숭이동으로 이전하였다.
다쿠쇼쿠 대학은 척식학(拓殖學)을 주요 과정으로 개설한 대표적인 식민지 전문 요원 양성학교로, 천황이 은사금을 내려준 학교였다. '다쿠쇼쿠'는 문자 그대로 "개발과 산업화"를 의미하지만, 일본 제국이 대만, 사할린 남부, 한국 등의 해외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식민지화"를 의미하기도 했다.
3. 캠퍼스
분쿄(文京) 캠퍼스와 하치오지(八王子) 캠퍼스로 나뉜다.
캠퍼스명 | 위치 |
---|---|
분쿄 캠퍼스[1] | 도쿄도 분쿄구 고히나타(小日向) 3-4-14 (대학 본부) |
하치오지 캠퍼스[1] | 도쿄도 하치오지시 다테마치(館町) 815-1 (외국어학부, 공학부, 국제학부) |
4. 조직
다쿠쇼쿠 대학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拓殖學(식민 정책학 등)을 중심으로 한 교육 기관이었다. 학부 구성은 당시의 흔적을 남기고 있으며, 현재도 독립된 법학부는 설치하지 않고 정치경제학부 법률정치학과라는 정치학의 한 분야로서 교육·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정경학부는 와세다 대학, 메이지 대학에 이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원래 대만 이주자 교육을 위한 대학이었기에 학문적 논점 외에도 拓殖地(식민지)에서의 행정과 경영 방법을 연구·교육하는 학문 체계를 갖추었다. 법학 또한 정치학의 한 분야로 커리큘럼이 편성되어 법률정치학과로 불린다.
상학부를 중심으로 지방 관료 양성에도 힘을 쏟고 있으며, 2008년 상학부 회계학과가 설치되었다. 같은 해 하치오지세무서납세 표창식에서 조세교육 추진교로 표창을 받았다.[22]
필수 제2외국어 선택의 폭이 넓어, 중국어, 한국어, 스페인어, 독일어, 프랑스어, 브라질·포르투갈어, 러시아어, 인도·파키스탄어,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어, 아랍어를 선택할 수 있다. 유학생은 일본어 선택도 가능하다.
부속 고등학교에는 한방 의학 강좌, 침구과(이료과), 유도 정복사 양성 과정도 있었다. 의학부 창설이 이사회에서 정식 결정된 적도 있으나, 문부성의 의향으로 중지되었다.
4. 1. 학부
학부 | 학과 |
---|---|
상학부 | |
정경학부 | |
외국어학부 | |
국제학부 | |
공학부 |
4. 2. 대학원
4. 3. 부속기관
- 도서관
- 경영경리 연구소
- 정치경제 연구소
- 언어문화 연구소
- 이공학종합 연구소
- 해외사정 연구소
- 일본문화 연구소
- 국제개발 연구소
- 이슬람 연구소
- 일본어교육 연구소
5. 스포츠
다쿠쇼쿠 대학은 일본 지방 및 식민지 행정가와 해외 상인을 많이 양성했다. 이들 중에는 가라테 수련자(가라테카)도 있었으며, 1949년 일본 가라테 협회 설립 당시 행정직을 맡았다.[8] 다쿠쇼쿠 대학 가라테부는 1924년경 창설되어[9] 여러 유명 가라테 강사와 선수를 배출했다. 유도부도 있으며, 1967년 일본 대학 대회에서 2위를 차지했다.[10]
육상부는 1921년에 창설되었고,[11] 2021년까지 하코네 역전에 42회 참가했다.[12]
6. 저명한 동문
분야 | 성명 | 활동 내용 (생몰년) |
---|---|---|
가라테 | 다카하시 가츠타로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41-1991) |
가라테 | 아사이 테츠히코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35–2006) |
문학 | 아야카와 테츠야 | 평론가, 소설가 (1919-2002) |
가라테 | 에노에다 게이노스케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35–2003) |
IT | 에토 바타라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1979–) |
가라테 | 아사노 시로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39–) |
수영 | 후지노 마이코 | 수영 선수 (1983–) |
마라톤 | 후지와라 아라타 | 마라톤 선수 (1981–) |
정치 | 후나고 야스히코 | 정치인 (1957–) |
가라테 | 히가온나 모리오 | 고주류 가라테 사범 (1938–) |
레슬링 | 호나가 노리오 | 레슬러 (1955–) |
권투 | 이노우에 나오야 | 프로 복서 (1993–) |
종교/테러 | 이노우에 닛쇼 | 급진적 불교 설교자, 테러리스트 (1887–1967) |
가라테 | 이마무라 토미오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58–) |
정치 | 이와키 노부코 | 정치인 (1946–) |
가라테 | 가나자와 히로카즈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31–2019) |
축구 | 가와세 코타 | 축구 선수 (1992–) |
가라테 | 가와소에 마사오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45–) |
가라테 | 가와소에 노리오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51–2013) |
가라테 | 가와와다 미노루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52–) |
유도 | 기무라 마사히코 | 유도 사범 (1917–1993) |
육상 | 고바야시 후미카즈 | 육상 선수 (1978–) |
축구 | 고바야시 유 | 축구 선수 (1987–) |
유도 | 구라모토 고지 | 유도 사범 (1951–) |
문학 | 구루미자와 고시 | 작가 (1925–1994) |
사진 | 마에다 신조 | 풍경 사진 작가 (1922–1998) |
스모 | 마수다야마 야스히토 | 스모 선수 (1951–) |
가라테 | 모리 마사타카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32–2018) |
농구 | 모리 무차 | 농구 선수 (1988–) |
연예 | 모리야마 미라이 | 영화 및 텔레비전 배우 (1984–) |
농구 | 무나카타 고주 | 농구 코치 (1967–) |
격투기 | 무라카미 가즈나리 | 종합 격투기 선수 (1973–) |
가라테 | 나가이 아키오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42–) |
성우 | 나가노 아이 | 성우 (1974–) |
만화 | 나가노 마모루 | 만화가 (1960–) |
가라테 | 나카 타츠야 | 일본 가라테 협회 매니저 (1964–) |
축구 | 나카모리 다이스케 | 축구 선수 (1987–) |
육상 | 나카모토 겐타로 | 장거리 주자 (1982–) |
가라테 | 나카야마 마사토시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13–1987) |
가라테 | 니시야마 히데타카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28–2008) |
가라테 | 오치 히데오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40–) |
가라테 | 오카자키 테루유키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31–2020) |
가라테 | 오쿠야마 타케마사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44–) |
수영 | 오노다 가즈오 | 자유형 수영 선수 (1900-1983) |
정치 | 오노다 기미 | 정치인 (1982-) |
축구 | 오노데라 타츠야 | 축구 선수 (1987–) |
가라테 | 오사카 요시하루 | 쇼토칸 가라테 강사 (1947–) |
가라테 | 오야마 마스다츠 | 극진 가라테 사범 (1923–1994) |
유도 | 로저스 더그 | 캐나다 출신 올림픽 유도 선수 (1941–2020) |
권투 | 로열 고바야시 | 주니어 페더급 복서 (1949–) |
스모 | 류코 고 | 스모 선수 (1971–) |
가라테 | 우리우 사다무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29–) |
레슬링 | 사이토 타카코 | 여성 레슬러 (1983–) |
축구 | 사루타 히로노리 | 축구 선수 (1982–) |
합기도 | 시오다 고조 | 합기도 사범 (1915–1994) |
가라테 | 시이나 가츠토시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61–) |
축구 | 시온 바투베이 | 축구 선수 (1983–) |
격투기/정치 | 스도 겐키 | 종합 격투기 선수, 정치인 (1978–) |
축구 | 스기모토 마코토 | 축구 선수 (1987–) |
정치 | 스즈키 무네오 | 정치인 (1948–) |
권투 | 스즈키 야스히로 | 복서 (1984–) |
야구 | 다카하시 켄 | 야구 선수 (1969–) |
연예 | 다카하시 마이 | 배우, 모델 (1984–) |
가라테 | 다카하시 사토시 | 쇼토칸 가라테 강사 (1968–) |
레슬링 | 타카타니 소스케 | 레슬러 (1989–) |
가라테 | 타니야마 타쿠야 | 쇼토칸 가라테 강사 (1965–) |
연예 | 토코로 조지 | 코미디언, TV 연예인, 싱어송라이터 (1955–) |
가라테 | 도쿠히사 다카시 | 쇼토칸 가라테 사범 (1947–) |
합기도 | 테라다 기요유키 | 합기도 사범 (1922–2009) |
스모 | 토치노나다 타이이치 | 스모 선수 (1974–) |
연예 | 토코로 조지 | 텔레비전 연예인 (1955–) |
가라테 | 쓰키이 준나 | 필리핀계 일본인 가라테카 (1991-) |
권투 | 우치야마 타카시 | 슈퍼 페더급 복서 (1979–) |
정치 | 와타나베 히데오 | 정치인 (1934–) |
연예 | 와타나베 히로유키 | 텔레비전 배우 (1955–2022) |
권투 | 야에가시 아키라 | 미니멈급 복서 (1983–) |
레슬링 | 요네미츠 타츠히로 | 레슬러 (1986–) |
레슬링 | 유모토 신이치 | 레슬러 (1984–) |
축구 | 가와세 코타 | 축구 선수 (1992-) |
7. 논란
다쿠쇼쿠 대학은 식민지배 미화 및 극우 인사 배출과 관련된 논란이 있다.
7. 1. 식민지배 미화 논란
다쿠쇼쿠 대학은 척식학(拓殖學)을 주요 과정으로 개설한 대표적인 식민지 전문 요원 양성 학교로 출발했다. 천황이 은사금을 내려준 학교였다.다쿠쇼쿠 대학의 교가는 1919년 창립 20주년을 기념하여 제정되었다. 작사자는 다쿠쇼쿠 대학 졸업생으로 당시 교수였던 미야하라 타미헤이이며, 작곡자는 육군 군악대장이었던 나가이 켄시이다.[1]
다쿠쇼쿠 대학의 스쿨 컬러는 분쿄 캠퍼스가 단풍 명소였던 것에서 유래하여 단풍색으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다카오산 근처에 있는 하치오지 국제 캠퍼스가 단풍 명소이다. 또한 중국 대륙의 황토에서 유래한 황토색이 사용되어 왔지만, 전통적으로 주황색이나 홍색 등도 병용되고 있다.[2]
7. 2. 극우 인사 배출 논란
다쿠쇼쿠 대학의 교가는 1919년에 창립 20주년을 기념하여 제정되었다. 작사자는 다쿠쇼쿠 대학 졸업생으로 당시 교수였던 미야하라 타미헤이이다. 작곡자는 육군 군악대장이었던 나가이 켄시이다.참조
[1]
웹사이트
Takushoku University: Home
http://www.takushoku[...]
2010-03-03
[2]
웹사이트
拓殖大学大学院 国際協力学研究科【土日・夜間】の資料・願書請求 | スタディサプリ 社会人大学・大学院
http://www.keikotoma[...]
[3]
웹사이트
第4回 安全保障法制への取組み(森本敏拓殖大学教授/前防衛大臣) {{!}} 安全保障法制整備推進本部 {{!}} 政策トピックス {{!}} 政策 {{!}} 自由民主党
https://www.jimin.jp[...]
[4]
웹사이트
Takushoku University: History
http://www.takushoku[...]
2010-03-04
[5]
웹사이트
Satoshi MORIMOTO (The Cabinet) | Prime Minister of Japan and His Cabinet
http://japan.kantei.[...]
[6]
웹사이트
拓殖大総長に森本敏氏 民間出身初の防衛相 {{!}} 沖縄タイムス+プラス
http://www.okinawati[...]
[7]
웹사이트
元英国首相 マーガレット・サッチャー氏に謹んで哀悼の意を表します | その他 | ニュース | 拓殖大学情報Now | ホーム
http://past-news.tak[...]
[8]
논문
The battle for Olympic Karate recognition: WUKO vs IAKF.
1988
[9]
서적
Ancient Okinawan martial arts: Koryu uchinadi – Vol. 2
Tuttle
1999
[10]
뉴스
Tenri U. wins Judo title.
1967
[11]
웹사이트
Athletics club
http://takushoku-eki[...]
[12]
웹사이트
42回目の箱根駅伝出場決定! | 拓大ニュース一覧 | October 17,2020.
https://www.takushok[...]
2021-08-24
[13]
웹사이트
The Shotokan Way: Masao Kawasoe profile
http://www.theshotok[...]
2010-03-04
[14]
웹사이트
SKIAF: Norio Kawasoe profile (German)
http://www.karate.at[...]
2015-03-23
[15]
웹사이트
Hokubei Karate-do Shihankai: Mori, Masataka
http://www.hokubeish[...]
2010-03-04
[16]
웹사이트
SKIF: Nagai, Akio
http://skid.de/index[...]
2008-06-10
[17]
웹사이트
NAGAI AKIO (geb. 1942)
http://www.kusunoki.[...]
2008-06-10
[18]
웹사이트
Japan Karate Association: Naka, Tatsuya
http://www.jka.or.jp[...]
2010-03-04
[19]
웹사이트
Ochi Karate: Sensei Ochi
http://www.karate-oc[...]
2010-03-04
[20]
웹사이트
カレッジマネジメント TOP INTERVIEW 渡辺利夫 拓殖大学 学長 「平均的な大学」の改革モデルを提示したい
http://souken.shinga[...]
リクルート進学総研
2021-06-15
[21]
서적
拓殖大学百年史
[22]
서적
拓殖大学百年史
[23]
웹사이트
開南大学は、海外兄弟校を前身としています。
http://www.takushoku[...]
2016-07-22
[24]
간행물
官報
https://dl.ndl.go.jp[...]
1922-06-07
[25]
서적
拓殖大学百年史
[26]
서적
拓殖大学百年史
[27]
서적
拓殖大学百年史
[28]
서적
拓殖大学百年史
[29]
서적
拓殖大学百年史
[30]
웹사이트
http://www.takushoku[...]
2017-06-14
[31]
웹사이트
外国語学部新学科設置について
https://www.takushok[...]
2020-01-22
[32]
웹사이트
国際日本文化研究所
https://www.takushok[...]
拓殖大学
2017-06-20
[33]
뉴스
拓大応援団リンチ 新入生死ぬ
朝日新聞
1978-05-10
[34]
웹사이트
http://www.takushoku[...]
2017-11-06
[35]
웹사이트
数字で見る拓殖大学
http://www.takushoku[...]
[36]
웹사이트
拓殖大学学友会沿革
http://www.takushoku[...]
2009-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