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천황은 일본의 국가 원수이자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이며, 일본 헌법에 따라 그 지위가 규정된다. 천황은 고대부터 군주와 제사장의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7세기 후반 '천황'이라는 칭호가 사용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천황은 통치권을 행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국 헌법에서 상징적인 지위로 바뀌었다. 헌법상 천황은 국사에 관한 행위만을 수행하며, 내각의 조언과 승인을 받아야 한다. 황위는 황실전범에 따라 남계 남자가 계승하며, 여성 천황 및 여계 천황에 대한 논의도 존재한다. 천황은 궁중 제사를 주관하고, 삼종신기를 상징물로 가지며, 즉위식과 대봉창제 등의 의례를 통해 그 지위를 나타낸다. 한국에서는 '천황' 또는 '일왕'으로 호칭되며, 정부는 공식적으로 '천황'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국가원수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일본의 국가원수 - 아키히토
아키히토는 1933년 쇼와 천황의 장남으로 태어나 1989년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2019년 퇴위하고 상황이 되었으며, 어류학자로 활동하며 아시아 국가에 대한 사죄와 국민과의 소통에 힘썼다. - 일본 천황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일본 천황 - 아키히토
아키히토는 1933년 쇼와 천황의 장남으로 태어나 1989년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2019년 퇴위하고 상황이 되었으며, 어류학자로 활동하며 아시아 국가에 대한 사죄와 국민과의 소통에 힘썼다. - 아시아의 국가원수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아시아의 국가원수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일본 천황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천황 |
로마자 표기 | tennō |
영역 | 일본 |
거주지 | 황거 |
공식 웹사이트 | 궁내청 |
통치 | |
직위 | 천황 |
현직 | 나루히토 |
즉위일 | 2019년 5월 1일 |
계승 예정자 |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 |
호칭 | 폐하 |
첫 번째 천황 | 진무 천황(전승) 또는 덴무 천황(천황 칭호 사용) |
설립일 | 기원전 660년 2월 11일 (전승) |
스타일 | |
공식 호칭 | 폐하 |
영어 호칭 | His Majesty the Emperor / His Imperial Majesty |
기타 | |
주소 | 도쿄도지요다구 |
참고 | 역대 황거 |
2. 역사
"천황(天皇)"은 "천왕(天王)"이 변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대 일본에서는 야마토 왕권의 수장을 "대왕(大王)"이라고 불렀지만, 추고조 또는 텐무조 무렵부터 중앙집권 국가의 군주로서 "천황"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의제령에는 제사에서는 "천자(天子)", 조서에는 "천황", 외교 문서에는 "황제"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다.[104]
"천황"은 야마토 조정 시대의 대왕이 사용한 칭호이며, 고분시대 이후 나라 시대부터 헤이안 시대에 걸쳐 정치·제사의 정점이었다. 아스카 시대부터 나라 시대에는 천황의 통치권은 아마테라스오미카미의 신칙에 기인한다는 신화를 실은 역사서 『기키』가 편찬되었다. 그 후 섭관 정치, 원정, 무가의 대두에 따라 정치적 실권을 잃어갔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전란으로 인해 많은 조의가 중단되었다. 전란이 진정되자 천황은 신사(궁중제사) 부흥을 최우선으로 삼았다. 에도 시대에는 천황의 임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제왕으로서의 학문(제왕학)과 와카를 배우고 익힘으로써 천하태평에 공헌하는 것이었고, 이는 에도 막부의 법(금중병공가제법도)에 의해 규정되어 있었다. 에도 시대 전 기간에 걸쳐 존황론은 존재했지만, "에도 시대 말기에 존왕론이 성행하여, 왕정복고, 제국헌법에 있어서의 천황제로 이어졌다"고 말해진다. 대일본제국헌법에서는 "대일본제국은 만세일계의 천황이 이를 통치한다"(제1조)고 규정하고, 조종으로부터 받은 대권에 의해 "천황은 국의 원수로서 통치권을 총람(總攬)하며, 이 헌법의 조규에 의해 이를 행한다"(제4조)고 규정하고 있었다.
1936년(쇼와 11년) 이전에는 "황제"와 "천황"이 병용되었지만, 1936년(쇼와 11년)에 "천황"으로 통일되었다.[107][108][109]
일본국 헌법에서는 "일본국 및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 규정되었다. 천황은 헌법이 제한적으로 열거하고 있는 국사에 관한 행위(국사행위)만을 행하며, 국정에 관한 권능은 없다(제4조, 제6조 - 제7조).
제국헌법에는 천황을 원수로 하는 명기가 있었지만, 일본국헌법에는 원수의 규정이 없기 때문에 일본의 원수에 대해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110] 그러나 정부 견해에서는 "일본의 천황은 원수이다"(쇼와 48년 6월 7일,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총리대신 국회 답변)고 되어 있으며, 내각법제국도 정의에 따르면서도 천황은 원수라고 하고 있다.
대부분의 입헌군주제 국가에서는 국가원수인 군주에게 공식적으로 행정권이 부여되지만, 일본은 군주가 명목상의 최고 행정 책임자도 아닌 국가 중 하나이다. 일본 헌법 제65조는 행정권을 내각에 명시적으로 부여하고 있다.[14] 천황은 자위대의 최고사령관도 아니며, 1954년 자위대법은 최고 사령관 및 지휘권을 수상에게 부여한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황은 국제적으로 일본의 국가원수로 인정받고 있다.[16][17][18][19]
일본 헌법 체제 내에서 천황의 기본적인 역할은 “국가 및 국민 통합의 상징"이며, 헌법에 명시된 “국사에 관한 행위”만을 수행한다.[20] 이러한 행위는 내각의 자문과 동의에 따라서만 행사되며, 내각은 국회와 유권자에게 책임을 진다.[21] 천황은 국정 운영에 있어 장관의 자문에 따라 행동하기 전 상의할 권리, 특정 정책이나 행정 조치를 장려할 권리, 내각에 대해 경고할 권리를 가진다.[22]
천황은 종교적으로 최고의 신도 사제로 여겨지며, 니이나메사이(新嘗祭)(신곡미시식) 제례를 주관한다. 이 의식에서 천황은 새로 거둔 쌀을 신들에게 바치며, 천황 즉위 후 첫 해에는 다이죠사이(大嘗祭, 대신곡례)가 거행된다. 일본서기에 이 의식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 있으며, 그 기원은 훨씬 더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천황은 우타카이 하지메(歌会始)와 같은 연례 시가회를 주최하는 등 문화 전승 및 수호자 역할을 한다. 스포츠에서 천황배(天皇賜杯)는 축구, 유도, 배구와 같은 여러 대회와 스모 대회의 최고 등급 우승자에게 수여된다.
2. 1. 고대
천황은 고대부터 통치권과 제사권을 함께 가지고 있었으며, 시대가 변하면서 막부 등에 통치권 일부가 넘어갔지만 제사의 근본은 흔들리지 않았다.[111] 천황은 전통적으로 제사 왕(Priest King)이자 국가의 “제사 주관자”이며, 이 제사 왕이야말로 천황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도 여겨진다.현행 일본국 헌법하에서도 천황의 궁중제사는 국사 행위를 넘어선 “천황의 공무”이며, 천황은 천 년 이상 전부터 지금까지 매일 국가의 안녕과 국민의 평화를 기원하는 존재이다.( 매조고배/매조고대배) 다이킨 에키지로는 전후 헌법 조사회에서 “오로지 국가의 안녕과 세계의 평화를 기원하고 있을 뿐”인 황실 제사에야말로 상징으로서의 천황의 의미의 원천이 있으며, 황실 제사는 “상징인 천황의 행사이다”라고 명언했다.
1990년(헤이세이 2년), 노리코(현 구로다 키요코)는 생일 기자회견에서 인상 깊었던 황후(현 상황 미치코)의 말로 “황실은 기도이고 싶다”는 말을 소개했다.[112] 상황 아키히토는 천황 재위 중인 헤이세이 28년에 “국민을 생각하고 국민을 위해 기도한다는 임무를 사람들에 대한 깊은 신뢰와 경애를 가지고 해낼 수 있었던 것은 행복한 일이었습니다”라고 천황의 임무는 “기도”임을 자신의 퇴위 시에 말했다.[113] 이러한 천황 고유의 제사는 초대 짐무 천황을 시조로 하는 부계 혈통의 후손인 남자가 그 자격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져 세습되어 왔다.[114]
고대 세계의 왕은 모두 제사 왕이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지만, 현대에는 일본 이외에는 없어져, 천황은 현재 세계에 유일하게 남은 제사 왕이라고도 말해진다.
조정에서는 예로부터 유학을 받아들여 덕치주의를 천황의 정치 기본 방침으로 삼았다. (「일본서기」권 10, 응신기 15년 가을 8월 6일 조, 왕인에 의한 논어 전래) 인덕천황의 유명한 “백성의 부엌”(「일본서기」권 11, 인덕기 4년 2월 6일 조) 일화에 이미 그 영향이 보이며, “하늘의 임금이 서는 것은 이 백성을 위함이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자세는 그 후 역대 천황에게 계승되어, 다이고천황은 겨울 추위가 심할 때 백성들이 추위에 떨고 있을 것이라고 스스로 옷을 벗었다고 『대경』에 기록되어 있다. 화원천황의 『계태자서』에는 “군주의 무거운 책임”으로서 “천명의 군주를 세우는 까닭은 백성을 위함이다. 인의와 정술로써 보통 백성을 가르칠 재덕이 없다면 군위에 있을 수 없다”라고 덕치주의와 군주의 엄중한 책임이 기록되어 있다. 이는 우다천황의 『관평어유계』의 인정 사상을 계승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계태자서」에서 덕치주의가 명확하게 제시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경신극기의 현명함이 역대 천황의 매일 아침의 천하태평 기원 신사인 “매조어배”로서 구현되었던 것이다. 에도 시대의 광각천황도 “인군은 인을 근본으로 하며, 인덕의 일을 첫째로 한다.”, “스스로를 뒤로 하고 천하 만민을 먼저 하며, 인혜·성실의 마음을 아침 저녁 밤낮으로 잊지 않을 때에는 신도 불도 보호를 베풀어 주신다.”라고 적어 군주는 “인”을 첫째로 해야 하며, 일신을 돌아보지 않고 만민에게 “인”을 베풀어야 한다고 덕치주의 사상을 말했다.
2. 1. 1. 호칭
고대에는 '오키미'(大君) (치천하대왕) 또는 '천왕'(天王)이라 불렸고, 대외적으로는 '''왜왕'''('''倭王'''), '''왜국왕'''('''倭國王'''), '''대왜왕'''('''大倭王''') 등으로 칭했다.[234] 고대에는 스베라기(須米良伎), 스메라기(須賣良伎), 스메로기(須賣漏岐), 스메라미코토(須明樂美御德), 스메미마노미코토(皇御孫命) 등으로 불렸다.'천황'이라는 칭호가 성립된 것은 7세기 후반의 일로 다이호 율령에서 '천황(天皇)'이라는 칭호를 법제화하기 직전인 덴무 천황 또는 지토 천황 시대의 일로 보는 것이 통설인데, 시기상 7세기 후반은 중국의 당 고종이 '천황'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직후의 일이기도 했다.[234]
일본 고대의 한자음 차자표기에서는 '덴와(てんわう)'로 표기되었다. '덴와'는 중세를 지나며 '덴노(てんのう)'로 변화되었다.
'천황'이라는 칭호의 유래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 고대 중국에서 북극성을 신격화하여 가리키던 도교의 용어 '천황대제(天皇大帝)' 또는 '부상대제동황부(扶桑大帝東皇父)'에서 따왔다는 설.
- 당 고종이 도교적 용어인 '천황'을 칭한 것을 일본에서도 수입해서 썼다는 설.
- 5세기경에 대외적으로 '가외천왕(可畏天王)', '귀국천왕(貴國天王)' 등 단순히 '천왕(天王)' 등으로 불리던 것이 스이코 천황 조(또는 덴무 조)에 '천황'이 되었다는 설.
문서 ・ 금석문 | 연대 | 발췌 | 출전 | 현대의 평가 |
---|---|---|---|---|
견당사의 국서 | 607년 | 日出處天子致書日沒處天子無恙 | 《수서》(636년 성립) | |
호류지 금당 약사여래상 광배명(法隆寺金堂薬師如来像光背銘) | 607년 | 池辺大宮治天下天皇 | 실제로는 607년보다는 조금 뒤인 하쿠호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 |
쇼토쿠 태자가 수에 보낸 국서 | 608년 | 東天皇敬白西皇帝 | 《일본서기》(720년 성립) | 《일본서기》 외에는 보이지 않는다. |
호코지 장륙석가상 광배명(法興寺丈六釈迦像光背銘) | 609년 | 多知波奈土與比天皇 | 겐코지 가람연기(元興寺伽藍縁起) 및 유기자재장(流記資財帳)(746년 성립) | 현재 유물 자체는 남아있지 않다. |
천황기(天皇記) | 620년 | (제목 자체에 천황이 포함되어 있음) | 《일본서기》 | 현재 전하지 않으며 《일본서기》 외에는 기록이 없다. |
천수국수장 | 7세기 | 斯帰斯麻宮治天下天皇 悲哀嘆息白畏天皇前日啓 | 《상궁성덕법왕제설》(上宮聖徳法王帝説)(성립시기 불명) | 천수국수장은 파손된 부분이 많고 발췌된 부분도 皇前日啓 등의 부분만 존재.나머지 전문은 《법왕제설》에서 전하는 것이다. 성립연대를 두고 논쟁이 있다. |
목간(木簡) | 677년 | 天皇聚露忽謹 | 아스카노이케 유적 출토 | 천황이라 기록된 가장 오래된 문자 기록 |
'''천황'''이라는 칭호는 율령('의제령儀制令')에 규정이 있는데, 《양로율령》(養老律令) 천자조(天子条)에 따르면 제사에서는 '천자'(天子), 조서에서는 '천황', 대외적으로는 '황제', 신하가 직접 주달할 때에는 '폐하', 황태자 등 후계자에게 양위한 경우에는 '태상천황'(太上天皇), 외출 시에는 '승여'(乘輿), 행행 시에는 '거가'(車駕) 등으로 부르는 7개의 호칭이 정해져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표현은 표기 시에만 사용할 뿐, 어떻게 쓰더라도 읽는 것은 당시의 풍속을 따라 '스메미마노미코토'(すめみまのみこと일본어)나 '스메라미코토'(すめらみこと일본어) 등으로 칭했다(특히 제사 지낼 때에는 '天子'라 쓰고 '스메미마노미코토'로 읽었다). 천황의 죽음은 붕어(崩御)라 했고, 재위 중인 천황은 금상 천황(今上天皇), 사망한 뒤 추시되는 시호가 정해질 때까지는 대행 천황(大行天皇)이라 불렸다. 배우자는 '황후(皇后)'라 불렀다. 천황 자신이 칭할 때는 '짐(朕)', 신하들로부터는 '지존(至尊)'이라 불렸는데, 모두 중국의 제도를 답습한 것이었다.
나라 시대인 덴표호지(天平宝字) 6년에 진무 천황부터 지토 천황까지의 41명의 천황 및 겐메이 천황 ・ 겐쇼 천황에 대한 한풍(漢風) 시호가 오우미노 미후네에 의해 일괄적으로 바쳐졌음이 《속일본기》에 기술되어 있지만, 이것은 당대의 칭호와는 관계없는 시호일 뿐이다.
헤이안 시대부터 도쿠가와 시대까지는 '미카도'(御門, 帝)라거나 '긴리'(禁裏), '다이리'(内裏), '긴주'(禁中) 등의 여러 표현으로 칭해졌다. 미카도는 원래 어소(御所, 천황의 거처)에서 천황이 드나드는 문을 가리키며, 긴리·다이리·긴주는 그 어소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러한 표현은 천황을 직접 지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표현이다. 폐하도 마찬가지다. 또한 '주상'(主上, 오카미, 슈조)이라는 표현도 이용되었다. '천조'(天朝, 덴초)는 일본의 왕조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조정이나 국가, 또는 천황을 가리킬 때도 사용되었다. '스메라미코토', '스메로기', '스베라키' 등 또한 사용되었다. '황후'는 '중궁'(中宮)이라고도 불렸으며, 금상 천황 또한 '당금의 제'(當今の帝, 도긴노미카도)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태상천황은 '상황'(上皇), '선동'(仙洞), '원'(院)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출가한 경우에는 '법황'(法皇)이라고도 불렸다. 태상 천황은 고카쿠 천황이 닌코 천황에게 양위한 이후에는 사실상 사라진 표현이며, 제국 시대 이후에는 제도적으로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황실전범이 퇴위에 대한 규정 없이, 천황의 붕어를 통해 황태자가 즉위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는 일본 내의 각종 보도 등에서 천황의 경칭은 황실전범에 규정된 '폐하'를 채용하여 '천황 폐하'로 칭한다. 궁내청 등의 공문서에서는 다른 천황과의 혼동을 막기 위해 '금상 폐하'로 칭하기도 한다. 3인칭으로 경칭 없이 '지금 천황'(今の天皇일본어)이나 '현재 천황'(現在の天皇일본어), '금상 천황'(今上天皇) 등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지만, 근래에는 완곡한 표현을 이용하는 것은 극히 드물다.
2. 1. 2. 신화와 전설
天皇|てんのう|덴노일본어라는 칭호는 다이호 율령에서 법제화되기 직전인 덴무 천황 또는 지토 천황 시대에 성립된 것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이는 7세기 후반, 중국 당 고종이 '천황' 칭호를 사용한 직후의 일이기도 하다.[234] 13세기 이후 사용이 잠시 중단되기도 했으나, 19세기 초에 다시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일본 고대에는 한자음 차자표기로 「덴와(てんわう)」로 표기되었으며, 이는 중세를 거치며 「덴노(てんのう)」로 변화되었다.
「천황」 칭호의 유래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 고대 중국에서 북극성을 신격화하여 가리키던 도교 용어 「천황대제(天皇大帝)」 또는 「부상대제동황부(扶桑大帝東皇父)」에서 따왔다는 설.
- 당 고종이 도교적 용어인 「천황」을 칭한 것을 일본에서도 수입해서 썼다는 설.
- 5세기경에 대외적으로 「가외천왕(可畏天王)」, 「귀국천왕(貴國天王)」 등 단순히 「천왕(天王)」 등으로 불리던 것이 스이코조(또는 덴무조)에 「천황」이 되었다는 설.
다음은 「천황」이라는 단어와 관련된 말이 있는 오래된 기록들을 정리한 표이다.
문서 ・ 금석문 | 연대 | 발췌 | 출전 | 현대의 평가 |
---|---|---|---|---|
견당사의 국서 | 607년 | 日出處天子致書日沒處天子無恙 | 《수서》(636년 성립) | |
호류지 금당 약사여래상 광배명(法隆寺金堂薬師如来像光背銘) | 607년 | 池辺大宮治天下天皇 | 실제로는 607년보다는 조금 뒤인 하쿠호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 |
쇼토쿠 태자가 수에 보낸 국서 | 608년 | 東天皇敬白西皇帝 | 《일본서기》(720년 성립) | 《일본서기》 외에는 보이지 않는다. |
호코지 장륙석가상 광배명(法興寺丈六釈迦像光背銘) | 609년 | 多知波奈土與比天皇 | 겐코지 가람연기(元興寺伽藍縁起) 및 유기자재장(流記資財帳)(746년 성립) | 현재 유물 자체는 남아있지 않다. |
천황기(天皇記) | 620년 | (제목 자체에 「천황」이 포함되어 있음) | 《일본서기》 | 현재 전하지 않으며 《일본서기》 외에는 기록이 없다. |
천수국수장(天寿国繍帳) | 7세기 | 斯帰斯麻宮治天下天皇 悲哀嘆息白畏天皇前日啓 | 《상궁성덕법왕제설》(上宮聖徳法王帝説)(성립시기 불명) | 천수국수장은 파손된 부분이 많고 발췌된 부분도 「皇前日啓」 등의 부분만 존재.나머지 전문은 《법왕제설》에서 전하는 것이다. 성립연대를 두고 논쟁이 있다. |
목간(木簡) | 677년 | 天皇聚露忽謹 | 아스카노이케(飛鳥池) 유적 출토 | 「천황」이라 기록된 가장 오래된 문자 기록 |
2. 1. 3. 야마토 왕권과 율령제
고대에는 오키미(大君)라 불렸다. 645년 다이카 개신으로 천황 중심 정치가 시작되었고, '천황'이라는 호칭도 사용되었다.[119] 7세기 후반부터 중국을 모방한 율령제가 도입되었고, 701년 다이호 율령으로 확립되었다.2. 2. 중세
나라 시대(710년~794년)에 편찬된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따르면, 초대 진무 천황(神武天皇)은 기원전 660년에 즉위했다고 추정되나, 여러 학설이 있다. 실존이 확인되는 것은 오진 천황부터다. 천황은 군사적 측면과 제사적 측면의 두 가지 역할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고대에는 오오키미(大君)라 불렸으며, 645년 다이카 개신으로 천황 중심 정치가 시작되면서 '천황'이라는 호칭도 사용되었다. 7세기 후반부터 중국을 모방한 율령제가 도입되었고, 701년 다이호 율령으로 확립되었다. 한나라풍으로 역대 천황에게 시호도 부여했고, 중앙집권적 천황 친정을 이루었다. 710년에는 平城京(헤이조쿄)로 천도했다.
1192년 가마쿠라 막부가 시작된 이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정이대장군에 임명되면서 천황은 정치적 실권을 잃었다. 근대 이전에는 연호가 국가적인 경조사나 재해에 의한 피해가 있을 때마다 바뀌어, 지금의 일세일원(一世一元)과는 달랐다.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도 천황을 부정하기보단 이용했다. 에도 막부기에 천황의 권위는 유지되었지만 금중병공가제법도로 통제되었다. 자의 사건에서 볼 수 있듯 권력은 거의 없었다.
유교가 점차 관학화되면서 패자인 도쿠가와보다 'みかど'가 정당한 통치자라는 존황론이 미토번을 중심으로 생겨났다. 막말이 되면서 존왕양이론으로 확대되었고 천황은 도막운동의 중심에 있었다. 존황양이론은 천황을 중심으로 외세를 배격하려는 정치사상이었다. 요시다 쇼인의 일군만민은 평등사상처럼 받아들여졌고 막부의 권위를 흔들었다. 하지만 존황양이 지사 일부는 천황을 옥(玉)이라 부르며 정권 찬탈의 도구 정도로 간주했다.
2. 2. 1. 섭관정치와 원정
9세기부터 일본에서는 귀족층이 정치 권력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10세기에 들어서 후지와라 북가(藤原北家)는 천황가와 혼인 관계를 맺으면서 섭관정치를 시작했다. 섭관정치는 어린 천황을 대신하여 섭정(摂政)이 정치를 맡거나, 성인이 된 천황을 대신하여 관백(関白)이 정치를 맡는 형태였다.11세기 말에는 상황(上皇)이 실권을 장악하는 원정이 시작되었다. 상황은 천황의 자리에서 물러난 이후에도 권력을 유지하며 정치를 주도했다. 이 시기에는 섭가(摂家)였던 후지와라씨의 지위가 약해졌다.
2. 2. 2. 가마쿠라 막부와 무로마치 막부
1192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가마쿠라 막부를 세우고 정이대장군에 임명되면서 천황은 정치적 실권을 잃었다. 조큐의 난에서는 막부 측이 승리했다. 가마쿠라 막부가 멸망한 후 고다이고 천황이 겐무 신정을 통해 천황 친정을 부활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무로마치 막부 성립 이후 천황가는 분열되어 난보쿠초 시대가 되었다. 1392년 아시카가 요시미쓰에 의해 남북조가 통일되었다. 요시미쓰는 일본 국왕 자격으로 명나라 황제에게 조공하는 명일무역을 시작했다. 1394년 요시미쓰가 죽자 조정은 그에게 鹿苑院太上法皇(녹원원태상법황)이라는 칭호를 주었다.
아시카가 요시마사 시절 오닌의 난이 일어나며 센고쿠 시대가 시작되었다. 막부와 조정 모두 쇠퇴했으나, 천황가는 문화와 전통의 계승자 역할을 했다.
2. 3. 근세
대부분의 입헌군주제 국가에서는 국가원수인 군주에게 공식적으로 행정권이 부여되지만, 일본은 군주가 명목상의 최고 행정 책임자도 아닌 국가 중 하나이다. 일본 헌법 제65조는 행정권을 내각에 명시적으로 부여하고 있다.[14] 천황은 자위대의 최고사령관도 아니며, 1954년 자위대법은 최고 사령관 및 지휘권을 수상에게 부여한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황은 국제적으로 일본의 국가원수로 인정받고 있다.[16][17][18][19]일본 헌법 체제 내에서 천황의 기본적인 역할은 “국가 및 국민 통합의 상징"이며, 헌법에 명시된 “국사에 관한 행위”만을 수행한다.[20] 이러한 행위는 내각의 자문과 동의에 따라서만 행사되며, 내각은 국회와 유권자에게 책임을 진다.[21] 천황은 국정 운영에 있어 장관의 자문에 따라 행동하기 전 상의할 권리, 특정 정책이나 행정 조치를 장려할 권리, 내각에 대해 경고할 권리를 가진다.[22]
천황의 가장 중요한 헌법상 의무는 국회가 지명한 수상과 내각이 지명한 대법원장을 임명하는 것이지만, 지명을 거부할 권한은 없다.[29] 헌법 제7조에 명시된 천황의 다른 책임은 다음과 같다.[30]
# 헌법 개정, 법률, 내각 명령 및 조약 공포.
# 국회 회기 소집.
# 중의원 해산.
# 국회의원 총선거 공고.
# 국무대신 및 기타 공무원과 전권 및 신임장을 가진 대사와 공사의 임명 및 해임 증명.
# 일반 및 특별 사면, 형의 감경, 형의 집행 유예 및 권리 회복 증명.
# 국가 훈장 수여.
# 법률에 규정된 바에 따라 비준서 및 기타 외교 문서 증명.
# 외국의 외교관의 신임장 접수.
# 의례적 기능 수행.
천황의 정기적인 의식으로는 도쿄 황궁에서 열리는 천황의 즉위식(신닌식)과 국회 의사당의 참의원에서 열리는 옥좌 연설 의식이 있다.[31]
천황은 종교적으로 최고의 신도 사제로 여겨지며, 니이나메사이(新嘗祭)(신곡미시식) 제례를 주관한다. 이 의식에서 천황은 새로 거둔 쌀을 신들에게 바치며, 천황 즉위 후 첫 해에는 다이죠사이(大嘗祭, 대신곡례)가 거행된다. 일본서기에 이 의식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 있으며, 그 기원은 훨씬 더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천황은 우타카이 하지메(歌会始)와 같은 연례 시가회를 주최하는 등 문화 전승 및 수호자 역할을 한다. 스포츠에서 천황배(天皇賜杯)는 축구, 유도, 배구와 같은 여러 대회와 스모 대회의 최고 등급 우승자에게 수여된다.
천황은 고대부터 통치권과 제사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막부 등에 통치권 일부가 넘어가더라도 제사의 근본은 흔들리지 않았다. 천황은 고대 이래 일본인 공동체의 중심인 “제사 주관자”이다.[111] 천황은 전통적으로 제사 왕이며, 국가의 “제사 주관자”이고, 이 제사 왕이야말로 천황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도 여겨진다.
현행 일본국 헌법하에서도 천황의 궁중제사는 국사 행위를 넘어선 “천황의 공무”이며, 천황은 천 년 이상 전부터 지금까지 매일 국가의 안녕과 국민의 평화를 기원하는 존재이다. 다이킨 에키지로는 전후 헌법 조사회에서 황실 제사에야말로 상징으로서의 천황의 의미의 원천이 있으며, 황실 제사는 “상징인 천황의 행사이다”라고 명언하고 있다.
1990년 노리코(현 구로다 키요코)는 “황실은 기도이고 싶다”는 상황 미치코의 말을 소개하고 있다.[112] 상황 아키히토는 천황 재위 중 “국민을 위해 기도한다는 임무를 사람들에 대한 깊은 신뢰와 경애를 가지고 해낼 수 있었던 것은 행복한 일이었습니다”라고 천황의 임무는 “기도”임을 자신의 퇴위 시에 말하고 있다.[113]
고대 세계의 왕은 모두 제사 왕이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지만, 현대에는 일본 이외에는 없어져 버리고, 천황은 현재 세계에 유일하게 남은 제사 왕이라고도 말해진다.
일본국 헌법 제2조에 ‘황위는 세습하는 것이며, 국회가 의결한 황실전범의 정하는 바에 따라 이를 계승한다’고 규정되어 있으며, ‘남계’임을 해석하는 견해가 다수이다. 황실전범 제1조의 남계남자에 의한 황위 계승 규정은 그것을 확인한 것이라고 해석되고 있다. 또한, 헌법 제2조는 헌법 제14조의 특별규정이며, 황실전범에 의해 여성 천황이 인정되지 않은 것은 헌법 위반이 아니라고 해석되고 있다.
2. 3. 1. 에도 막부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천황을 부정하기보다는 이용했다. 에도 막부 시기에 천황의 권위는 유지되었지만, 금중병공가제법도로 통제되었다. 유교가 관학화되면서 미토번을 중심으로 존황론이 생겨났고, 막말에는 존왕양이론으로 확대되어 천황이 도막운동의 중심에 있었다. 요시다 쇼인의 일군만민 사상은 평등사상처럼 받아들여져 막부의 권위를 흔들었다.2. 4. 근대

대부분의 입헌군주제 국가에서는 국가원수로서 재위 중인 군주에게 공식적으로 행정권이 부여되지만, 일본은 스웨덴과 함께 군주가 명목상의 최고 행정 책임자도 아닌 국가이다. 일본 헌법 제65조는 행정권을 수상이 이끄는 내각에 명시적으로 부여하고 있다.[14] 천황은 자위대의 최고사령관도 아니며, 1954년 자위대법은 최고 사령관 및 지휘권을 수상에게 명시적으로 부여하고 있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황은 여전히 일본의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국가원수이다.[16][17][18][19]
일본 헌법 체제 내에서 천황의 기본적인 역할은 “국가 및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서 국민의 의지에서 그의 지위를 얻고,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는 대표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20] 천황은 헌법에 명시된 “국사에 관한 행위”만을 수행하며, 정부와 관련된 명목상의 권한조차 갖고 있지 않다. 또한, 이러한 행위는 내각의 구속력 있는 자문과 동의에 따라서만 행사되며, 내각은 국회와 유권자에게 책임을 진다.[21]
천황의 가장 중요한 헌법상 의무는 국회가 지명한 수상과 내각이 지명한 대법원장을 임명하는 것이지만, 지명을 거부할 권한은 없다.[29]
헌법적 근거를 가진 천황의 정기적인 의식으로는 도쿄 황궁에서 열리는 천황의 즉위식(신닌식)과 국회 의사당의 참의원에서 열리는 옥좌 연설 의식이 있다.
천황은 종교적으로 최고의 신도 사제로 여겨지며, 니이나메사이(新嘗祭, 신곡미시식)라는 제례를 주관한다. 이 의식에서 천황은 새로 거둔 쌀을 신들에게 바치며, 즉위 후 첫 해에는 ''다이죠사이(大嘗祭, 대신곡례)''를 거행한다.[111] 천황은 전통적으로 제사 왕(Priest King)이며, 국가의 “제사 주관자”로서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천황은 문화의 전승자이자 전통과 문화의 수호자이기도 하다. ''우타카이 하지메(歌会始)''는 천황이 주최하는 연례 시가회이다.
스포츠에서 ''천황배(天皇賜杯, Tennō shihai)''는 축구, 유도, 배구와 같은 여러 대회와 스모 대회의 최고 등급 우승자에게 수여된다.
2. 4. 1. 메이지 유신과 일본 제국
메이지 유신으로 막부가 무너지고 왕정복고가 이루어졌다. 메이지 정부는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했고, 일본제국 헌법에서 천황은 국가 원수이자 통치권자로서 신성불가침의 존재로 규정되었다.[235] 일본제국 헌법 체제에서 천황의 지위는 아마테라스의 의사에 기초한 만세일계의 지위였다. 따라서 천황은 신성불가침의 존재였으며, 천황의 존엄을 침해하는 행위는 불경죄로 의율하여 중하게 처벌했다. 또한 천황은 천황대권으로 불리는 광범위한 권한을 가지고, 모든 통치권을 총람하는 존재였다. 즉 국가의 모든 작용을 통괄하는 권한을 가졌다.2. 4. 2. 전후 일본국 헌법
日本国憲法|니혼코쿠 켄포일본어는 1947년에 제정된 일본의 헌법이다.[53] 이 헌법은 의원내각제 정부 체제를 규정하고 특정 기본권을 보장한다. 헌법 조항에 따라 일본 천황은 "국가와 국민 통합의 상징"이며, 주권을 가지지 않고 순전히 의례적인 역할만 수행한다.[54] 이 헌법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연합국 점령기 하에 작성되었으며, 천황에게 이론적으로 무제한의 권력을 부여했던 이전의 프로이센식 메이지 헌법을 대체했다. 이 자유주의적 헌법은 여러 유럽 국가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현재, 이 헌법은 매우 엄격한 문서이며, 개정되지 않은 가장 오래된 헌법이다.[55]3. 지위
천황은 종교적으로 최고의 신도 사제로 여겨진다. 니이나메사이(新嘗祭, 신곡미시식)는 천황이 새로 거둔 쌀을 신들에게 바치는 제례 의식으로, ''다이죠사이(大嘗祭, 대신곡례)''라고도 불리며 천황 즉위 후 첫 해에 거행된다. 일본서기에 이 의식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 있으며, 그 기원은 훨씬 더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행사는 시간이 흐르면서 노동에 대한 감사의 날로 발전하여 오늘날 공식적인 공휴일로 인정받고 있다.
천황은 문화의 전승자이자 전통과 문화의 수호자이기도 하다. ''우타카이 하지메(歌会始)''는 천황이 주최하는 연례 시가회이다. 천황은 황후와 다른 황족들의 지원을 받으며, 많은 협회와 단체의 명예 후원자를 맡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일년 내내 전국을 널리 여행한다.
스포츠에서 ''천황배(天皇賜杯, Tennō shihai)''는 축구, 유도, 배구와 같은 여러 대회와 스모 대회의 최고 등급 우승자에게 수여된다.[133][134][135][136]
3. 1. 일본국 헌법상 지위
1947년, (일본국헌법) 日本国憲法 (Nihonkoku-Kenpō)이 1946년 11월 3일 천황의 재가를 받아 법률로 제정되었다.[53] 이 헌법은 의원내각제 정부 체제를 규정하고 특정 기본권을 보장한다. 헌법 조항에 따라 일본 천황은 "국가와 국민 통합의 상징"이며, 주권을 가지지 않고 순전히 의례적인 역할만 수행한다.[54] 이 헌법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연합국 점령기 하에 작성되었으며, 천황에게 이론적으로 무제한의 권력을 부여했던 이전의 프로이센식 메이지 헌법을 대체했다. 현재, 이 헌법은 매우 엄격한 문서이며, 개정되지 않은 가장 오래된 헌법이다.[55]일본국 헌법 하에서 천황은 “국사에 관한 행위(국사행위)”만을 하고, 국정에 관한 권능을 가지지 않는다(일본국 헌법 제4조 제1항). 다음에 제시하는 국사행위는 모두 내각의 조언과 승인 아래 행해지는 의례적·형식적인 행위이다.
- 내각총리대신의 임명(일본국 헌법 제6조 제1항)
- 최고재판소장관의 임명(제6조 제2항)
- 헌법개정, 법률, 정령, 조약의 공포(일본국 헌법 제7조 제1호)
- 국회의 소집(제7조 제2호)
- 중의원의 해산(제7조 제3호)
- 국회의원의 총선거 시행 공시(제7조 제4호)
: 여기서 말하는 “총선거”는 중의원의원총선거 외에 참의원의원통상선거를 포함한다.[133]
- 국무대신 및 법률이 정하는 기타 관리(인증관)의 임면, 전권위임장, 대사·공사의 신임장 인증(제7조 제5호)
- 대사면, 특사, 감형, 형 집행의 면제 및 복권(사면) 인증(제7조 제6호)
- 훈장 수여(제7조 제7호)
- 비준서 및 법률이 정하는 기타 외교문서 인증(제7조 제8호)
- 외국의 대사 및 공사 접수(제7조 제9호)
- 의식 거행(제7조 제10호)
: 이 조항의 “의식”은 천황이 주재하여 행하는 국가적 성격을 가진 의식을 말한다.[134] 타인이 주재하는 의식에 참례하는 것도 포함된다는 반대설도 있다. 종교적 색채는 배제된다.
- 국사행위 위임(일본국 헌법 제4조 제2항)
: 단, 국사행위 위임은 국사행위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견해도 있다.
이러한 국사행위에 관하여 천황은 정치적으로 책임을 지지 않는다(무답책). 그러나 군주무답책과는 달리, 천황의 정치적 무답책은 “상징”으로서의 지위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 헌법 제3조에 정하는 국사행위에 관한 내각의 책임과 헌법 제4조에 정하는 정치적 제관계로부터의 엄격한 격리로부터 도출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135][136]
3. 2. 국가원수 여부 논란
일본국 헌법에는 천황을 국가원수로 명시하는 규정이 없어, 국가원수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일본국 헌법 제4조에서는 천황이 “헌법이 정한 국사에 관한 행위만을 행하며, 국정에 관한 권능은 갖지 않는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국사 행위로 규정된 내용도 의례적인 행위에 해당하여, 천황이 일반적인 ‘국가원수’인지에 대해서는 견해가 갈린다.[241]
천황을 국가원수로 보는 견해는 “천황은 일본국의 상징이며,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헌법 제1조)이라는 규정과, 국회와 내각의 지명에 근거하여 내각총리대신과 최고재판소장관을 임명한다(제6조)는 내용에 근거한다. 또한 국회를 소집·해산하는 등, 국정의 중요한 행위를 ‘국사행위’로 수행한다고 규정되어 있다(제7조, 다만 국사행위에는 내각의 조언과 승인이 필요하다). 더불어 외교상의 주요 행위를 천황이 실시한다고 정하는 등, 대내외적으로 천황이 국가원수라고 본다.[241]
일본국 정부의 공식 견해로는, 1990년 5월 14일 참의원의 내각법제국 장관 답변에서 '천황은 국가원수’라고 하였다. 또한 천황을 ‘나라의 상징이며, 일정 부분 외교 관계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지위’에 있는, 한정된 의미의 국가원수로 표현했다.
천황을 국가원수로 인정하지 않는 견해는 일본국 헌법 제4조와 국사행위의 내용이 의례적인 행위에 해당되어, 실질적인 ‘국가원수’로 인정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이유로 들고 있다.
4. 황위 계승
천황은 종교적으로 신도 최고의 사제로 여겨지며, 니이나메사이(新嘗祭)라는 제례를 통해 신들에게 새로 거둔 쌀을 바치는 의무를 지닌다. 이 의식은 천황 즉위 첫 해에 ''다이죠사이(大嘗祭)''로 거행되며, 일본서기에 처음 언급되었다. 또한 천황은 문화 전승자이자 전통과 문화의 수호자로서 ''우타카이 하지메(歌会始)''와 같은 연례 시가회를 주최한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축구, 유도, 배구, 스모 등 다양한 대회의 우승자에게 ''천황배(天皇賜杯)''가 수여된다.[82]
황실전범에 따르면 황위는 황통에 속하는 남계 남자가 계승한다.[82] 그러나 역사적으로 고교쿠 천황처럼 여자 천황이 즉위한 경우도 있었다. 황사에게 정신이나 신체상 문제가 있을 경우 황실회의를 통해 계승 순서를 변경할 수 있지만, 고토바 천황의 사례처럼 이로 인한 문제점도 있었다.
최근 일본 황실에는 남자 후손이 매우 적어 여자 황족의 계승을 허용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 당시 황실전범 개정 논의가 있었으나, 아키시노노미야 히사히토 친왕 탄생 이후 중단되었다.[83]
4. 1. 황위 계승 원칙
황실전범에 따르면 황위는 황통에 속하는 남계 남자가 다음 순서에 따라 계승한다.[82] 그러나 역대 일본 천황 계보를 살펴보면 여자가 천황이 된 경우도 여러 번 있었다. 특히 고교쿠 천황은 여자임에도 불구하고 두 번이나 천황에 즉위했다.1. 황장자
2. 황장손
3. 그 밖의 황장자의 자손
4. 황차자와 그 자손
5. 그 밖의 황자손
6. 황형제와 그 자손
7. 황백숙부와 그 자손
8. 최근친 계통인 황족
다만 황사에게 정신이나 신체상 불치의 중환이 있거나 중대한 사고가 있을 때에는 황실회의의 협의를 거쳐 위의 순서에 따라 황위계승의 순서를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역대 일본 천황 계보에 의하면 태어나자마자 즉위하여 8살에 사망하거나, 3살에 즉위하여 19살에 선양하고 59살까지 살거나(고토바 천황), 즉위하자마자 제위에서 쫓겨나거나(고분 천황), 천황의 권좌에서 물러난 이후 '原'씨 성을 부여받고 황족의 신분에서 신하의 신분으로 강등당하거나,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후계자에게 선양하거나, 이미 선양을 하고 나서 다시 정권을 되찾아 재즉위하는(예로 역대 일본 천황 중에 고교쿠 천황과 사이메이 천황이 동일인물이다.) 등 문제점도 많았다.
현재 일본 황실에는 여자 후손이 많고 남자 후손이 매우 적어서, 국민들 사이에서도 여자 황족도 제위를 계승할 수 있어야 한다는 여론이 생겨나고 있다.
4. 2. 여성 천황 및 여계 천황 논의
현재 일본 황실에는 남자 후손이 매우 적어, 여자 황족도 제위를 계승할 수 있어야 한다는 여론이 있다.고이즈미 준이치로 내각 당시 여성·여계 천황을 용인하는 황실전범 개정 논의가 있었으나, 아키시노노미야 히사히토 친왕 탄생 이후 중단되었다.[83]
왕위 계승은 현재 국회에서 통과된 법률에 의해 규정된다. 현행 법률은 여성의 계승을 배제한다. 아이코 내친왕이 태어나기 전까지는 이 법의 개정이 고려되었으나,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의 아들 아키시노노미야 히사히토 친왕이 태어남으로써 더 이상 개정이 고려되지 않았다.
2006년 9월 6일 아키시노노미야 히사히토 친왕이 태어나기 전까지는, 1965년 이후 황실에 태어난 남자 아이가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뿐이었기 때문에 잠재적인 계승 문제가 있었다. 2001년 12월 1일 아이코 내친왕이 태어난 후, 여성의 즉위를 허용하는 현행 황실전범 개정에 대한 공개적인 논의가 있었다. 2005년 1월, 고이즈미 준이치로 수상은 판사, 대학교수, 공무원으로 구성된 특별 위원회를 임명하여 황실전범의 변경에 대한 연구를 하고 정부에 권고안을 제출하게 했다.
계승 문제를 다룬 위원회는 2005년 10월 25일, 황족의 남계 혈통 여성의 일본 즉위를 허용하는 법률 개정을 권고했다. 2006년 1월 20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수상은 연례 기조연설에서 미래에 안정적인 방식으로 계승이 계속되도록 여성의 즉위를 허용하는 법안을 제출할 것을 약속했다. 후미히토 친왕비 기코가 세 번째 아이를 임신했다는 발표 직후, 고이즈미는 그러한 계획을 중단했다. 그의 아들인 아키시노노미야 히사히토 친왕은 현행 계승법에 따라 왕위 계승 순위 2위이다. 2007년 1월 3일, 아베 신조 수상은 황실전범을 변경하는 제안을 철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83]
또 다른 제안된 계획은 폐지된 황족 방계 가문의 미혼 남성이 입양 또는 결혼을 통해 다시 합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이는 안정적인 계승을 보장하기 위한 긴급 조치가 될 것이며, 황실전범을 개정하는 것은 아니다.[84]
5. 의례 및 상징
천황은 신도의 최고 사제로 여겨지며, 니이나메사이(新嘗祭, 신곡미시식)과 같은 제례를 주관한다.[86] 다이죠사이(大嘗祭, 대신곡례)는 천황 즉위 후 첫 해에 거행되는 특별한 니이나메사이이다.[86]
천황은 문화 전승자이자 전통 수호자로서, ''우타카이 하지메(歌会始)''와 같은 연례 시가회를 주최한다. 천황과 황족들은 여러 단체의 명예 후원자를 맡아 전국을 순회한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축구, 유도, 배구, 스모 등 여러 대회의 최고 등급 우승자에게 ''천황배(天皇賜杯, Tennō shihai)''가 수여된다.
5. 1. 궁중 제사
천황은 신도의 최고 사제로 여겨지며, 국가와 국민의 안녕을 기원하는 여러 궁중 제사를 주관한다. 이 중 가장 중요한 제사 중 하나는 니이나메사이(新嘗祭, 신곡미시식)라고 불리는 신곡 수확제이다. 이 의식에서 천황은 새로 거둔 쌀을 신들에게 바치며, 이는 일본서기에 처음 언급될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천황 즉위 후 첫 해에 거행되는 다이죠사이(大嘗祭, 대신곡례)는 니이나메사이의 특별한 형태로, 더욱 성대하게 치러진다. 니이나메사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노동에 대한 감사의 날로 발전하여 오늘날 일본의 공식 공휴일로 지정되었다.[86]천황이 주관하는 주요 궁중 제사는 다음과 같다.
- 니이나메사이(新嘗祭, 신곡미시식)
- 다이죠사이(大嘗祭, 대신곡례)
5. 2. 삼종신기
三種の神器|미쿠사노카무다카라/산슈노진기일본어는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야타노카가미(八咫鏡), 야사카니노마가타마(八尺瓊勾玉), 구사나기노쓰루기(草薙剣)를 말하며, 천황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세 가지 신성한 보물로 여겨진다.5. 3. 즉위식과 대례
천황은 즉위 후 첫 해에 니이나메사이(新嘗祭)에서 유래한 다이죠사이(大嘗祭)를 거행한다.[86] 이는 새로 수확한 쌀을 신에게 바치는 의식으로, 일본서기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오늘날에는 노동에 대한 감사의 날로 발전하여 공휴일로 지정되었다.6. 기타
천황은 영어로 "emperor" 또는 "The Emperor of Japan"으로 불리며, 재위 중인 천황은 "The Current Emperor"로 불린다. 영어로 공식적으로 "The Emperor of Japan"이라고 불린 첫 인물은 메이지 시대 이전 에도 시대 말기 막말 당시 고메이 천황이 아니라 당시 섭정이었던 12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였다.[153] 1852년 밀러드 필모어 미국 대통령의 친서에는 "His Imperial Majesty, the Emperor of Japan"이라고 적혀 있었다.[154] 과거에는 "Mikado"(帝, 御門)라고 일반적으로 불리던 시대도 있었다.[155]
6. 1. 한국에서의 호칭
에도 막부까지 한반도에서는 천황에 대한 인식이 없었다. 정이대장군은 자신을 ‘일본 국왕’이 아니라 ‘일본국 상국’(日本國相國)으로 칭했으며, 조선 또한 국왕으로 부르지는 않았다. 1407년 이후에는 정이대장군을 일본의 최고 실권자로 인식하고 국왕으로 호칭하였으며, 신숙주의 《해동제국기》와 같은 경우에는 쇼군을 국왕으로 호칭하고, 천황은 국정과 무관한 존재로 이름만 기록하고 있다.임진왜란 직전인 1590년에 일본에 파견된 통신사의 부사였던 학봉 김성일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대한 알현 형식에 대한 논의에서 ‘관백’(關白)을 ‘위황(僞皇)의 정승’으로 칭하고, 천황을 일본의 최고 통치자로 인식하였다. 다만 일본의 입장에서 천황을 지칭할 때는 ‘천황’이라고 지칭하여 호칭을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는 조선 중기 이후에는 ‘천황’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여, 종교적·의례적인 존재로 파악하고, 자리만 있을 뿐 정사에는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쇼군에 대한 호칭도 관백으로 변화하였다.[237]
대한민국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명시한 호칭은 '천황'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천황'을 공식 용어로 인정하고 이를 공문서 등에 명확히 사용하고 있다. 다만 대한민국의 뉴스, 신문 등 주요 언론 매체에서는 대체로 ‘천황’ 대신 ‘일왕’(日王)이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천황(天皇)’을 ‘일본에서 그 왕을 이르는 말’로 설명되어 있으며,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출간된 《한국사》에는 일본어 발음인 ‘덴노’로 표기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일본의 왕조 체제를 강조하기 위해 '천황'이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rticle 23, Imperial House Law
https://www.kunaicho[...]
Imperial Household Agency
2023-11-07
[2]
웹사이트
About the status of the Emperor and Imperial Family Members
https://www.kunaicho[...]
Imperial Household Agency
2024-11-07
[3]
웹사이트
Activities of Their Majesties the Emperor and Empress
https://www.kunaicho[...]
2023-02-10
[4]
웹사이트
Tennō
https://www.britanni[...]
2021-08-12
[5]
서적
The Position of Heads of State and Senior Officials in International Law
https://academic.oup[...]
The Oxford International Law Library
2024-09-27
[6]
보고서
List of Heads of State, Heads of Government, and Ministers for Foreign Affairs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2024-09-27
[7]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Japan
https://japan.kantei[...]
2021-07-08
[8]
웹사이트
最高裁判所判例集 事件番号 平成1(行ツ)126
https://www.courts.g[...]
2020-08-10
[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Japan to 1945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01-01
[10]
웹사이트
Article 106, Constitution of Belgium
https://constitutepr[...]
The Constitute Project
2023-12-03
[11]
웹사이트
Article 14, Constitution of Denmark
https://constitutepr[...]
The Constitute Project
2023-12-03
[12]
웹사이트
Sections 56 (3) and 64, Constitution of Spain
https://constitutepr[...]
The Constitute Project
2023-12-03
[13]
웹사이트
Section 182, Constitution of Thailand
https://constitutepr[...]
The Constitute Project
2023-12-03
[14]
웹사이트
Article 65, Constitution of Japan
https://constitutepr[...]
The Constitute Project
2023-08-15
[15]
웹사이트
The Japan Self-Defense Forces Law: Translation, History, and Analysis
https://www.cambridg[...]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23-08-15
[16]
웹사이트
Japan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U.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3-08-15
[17]
웹사이트
The Government of Modern Japan: The Branches and Their Functions
http://afe.easia.col[...]
Asia for Educators
2023-08-15
[18]
뉴스
UK's King Charles welcomes Japan's Emperor Naruhito for state visit
https://www.reuters.[...]
Reuters
2024-09-27
[19]
웹사이트
Japan State Vist
https://www.royal.uk[...]
The Royal Household
2024-09-27
[20]
웹사이트
Article 1, Constitution of Japan
https://constitutepr[...]
The Constitute Project
2023-08-15
[21]
웹사이트
Article 4, Constitution of Japan
https://constitutepr[...]
The Constitute Project
2023-08-15
[22]
논문
A Turning Point for the System of Emperor as Symbol: Bagehot, Emperor Showa, and Fukuzawa's On the Imperial Family.
https://searchworks.[...]
2024-10-07
[23]
웹사이트
Japan's modern monarchy: How it works
https://penntoday.up[...]
Penn Today
2023-08-15
[24]
웹사이트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Government of Japan
https://japan.kantei[...]
Prime Minister of Japan and His Cabinet
2023-08-15
[25]
웹사이트
How Modern Monarchies Are Evolving
https://knowledge.wh[...]
Wharton Schoo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24-11-07
[26]
웹사이트
The Emperor as a Symbol: The Meaning of the Unity of the People Has Evolved with Time
https://www.nippon.c[...]
Nippon Communications Foundation
2023-08-15
[27]
웹사이트
Japan's new Emperor Naruhito pledges unity
https://www.bbc.com/[...]
2019-05-02
[28]
웹사이트
The Japanese Emperor's Role in Foreign Policy
https://www.cfr.org/[...]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24-11-07
[29]
웹사이트
Article 6, Constitution of Japan
https://constitutepr[...]
The Constitute Project
2023-08-15
[30]
웹사이트
Article 7, Constitution of Japan
https://constitutepr[...]
The Constitute Project
2023-08-15
[31]
Youtube
The formal investiture of the Prime Minister in 2010, the opening of the ordinary session of the Diet in January 2012 and the opening of an extra session of the Diet in the autumn of 2011. The 120th anniversary of the Diet was commemorarated with a special ceremony in the House of Councillors in November 2010
https://www.youtube.[...]
[32]
서적
The Emperors of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BRILL
2008-01-01
[33]
간행물
Japanese Politics: Fixed and Floating Worlds
1999-01-01
[34]
Ph.D.
The International Origins of Japanese Archaeology: William Gowland and His Kofun Collection at the British Museum
https://ueaeprints.u[...]
University of East Anglia
2016-05-01
[35]
서적
Rethinking Japan: Social Sciences, Ideology and Thought
https://books.google[...]
Japan Library
[36]
서적
The Genesis of East Asia: 221 B.C. – A.D. 907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1-01-01
[37]
서적
A Brief History of Japanese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38]
서적
Titsingh
[39]
웹사이트
Black Ships and the Samurai: Commodore Perry and the Opening of Japan (1853–1854)
https://visualizingc[...]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9-06-15
[40]
서적
Takekoshi
https://books.google[...]
[41]
학술지
Political Succession in The Tokugawa Bakufu: Abe Masahiro's Rise to Power, 1843–1845
[42]
웹사이트
御誓文ノ趣旨ニ基ク立憲政體樹立ニ關スル詔書(明治八年四月十四日):文部科学省
https://www.mext.go.[...]
2024-03-19
[43]
백과사전
Meiji Constitution {{!}} 1889, Japan
https://www.britanni[...]
2017-08-21
[44]
서적
Democracy in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89
[45]
서적
Emperor Hirohito and the Pacific War
2016
[46]
학술지
The U.S. Army, Unconditional Surrender, and the Potsdam Declaration
http://dx.doi.org/10[...]
2020-12-09
[47]
서적
Nihon Shoki
[48]
서적
Aux sources du Japon: Le Shinto
Albin Michel
1964
[49]
뉴스
Explainer: Why Yasukuni shrine is a controversial symbol of Japan's war legacy
https://www.reuters.[...]
2021-08-14
[50]
뉴스
King Bhumibol's reign
https://www.nytimes.[...]
2020-02-23
[51]
웹사이트
Japanese emperor, a state symbol with scant political power
https://www.efe.com/[...]
2019-04-30
[52]
뉴스
Japan Emperor Akihito to abdicate on April 30, 2019
http://edition.cnn.c[...]
2017-12-01
[53]
웹사이트
Text of the Constitution and Other Important Documents
http://www.ndl.go.jp[...]
2015-06-08
[54]
서적
Japanese Law
http://www.oxfordsch[...]
Oxford University Press
[55]
뉴스
The Anomalous Life of the Japanese Constitution
https://www.nippon.c[...]
2017-08-15
[56]
서적
Roth
[57]
백과사전
Shogun
https://www.britanni[...]
2014-11-19
[58]
서적
Fiévé & Waley
[59]
서적
A History of Japan: From Stone Age to Superpower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60]
서적
The Economics of World War II: Six Great Powers in International Comparis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61]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Japanese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11-01
[62]
서적
The Cultural Dimensions of Sino-Japanese Relations: Essays o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4-29
[63]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64]
뉴스
Elizabeth Vining, Tutor to a Future Emperor, Dies at 97 (Published 1999)
https://www.nytimes.[...]
1999-12-01
[65]
웹사이트
皇族就学令 大正15年10月21日皇室令第8号
https://hourei.ndl.g[...]
2019
[66]
서적
天皇の歴史6 江戸時代の天皇
Kodansha
2018
[67]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Cengage Learning
2013
[68]
서적
A History of East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69]
서적
Secret Memoirs of the Shoguns: Isaac Titsingh and Japan, 1779–1822
[70]
서적
The Teleology of the Modern Nation-State: Japan and Chin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5
[71]
서적
Kaempfer's Japan: Tokugawa Culture Observed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9
[72]
서적
The early institutional life of Japan: a study in the reform of 645 A.D.
https://archive.org/[...]
Shueisha
1903
[73]
뉴스
Japan new imperial era name, Reiwa - Origins, Selection, Meaning
https://www.reuters.[...]
2024-03-20
[74]
웹사이트
From the archives: Japan's Hirohito, 87, Dies After a Reign of 62 Years
https://www.latimes.[...]
1989-01-07
[75]
서적
Japan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76]
웹사이트
時代背景から知る 仏像の秘密
https://web.archive.[...]
The Nikkei
2019-10-10
[77]
서적
Imperial Politics and Symbolics in Ancient Japan: The Tenmu Dynasty, 650–800.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9
[78]
웹사이트
ご存知ですか 3月2日は飛鳥池遺跡で「天皇」木簡が出土したと発表された日です
https://web.archive.[...]
2018-03-02
[79]
서적
Handbook of Japanese mythology
ABC-CLIO
2003
[80]
웹사이트
Akihito and Japan's Imperial Treasures that make a man an emperor
https://www.bbc.com/[...]
2019-04-27
[81]
웹사이트
ご即位・立太子・成年に関する用語
http://www.kunaicho.[...]
宮内庁
2019-05-14
[82]
뉴스
Imperial law revisited as family shrinks, Emperor ages
http://www.japantime[...]
2011-12-16
[83]
뉴스
Report: Japan to drop plan to allow female monarch
https://www.usatoday[...]
Gannett
2011-10-20
[84]
뉴스
Report: Japan lawmakers eye restoration of ex-imperial members for succession
https://mainichi.jp/[...]
The Mainichi
2019-10-23
[85]
웹사이트
Crown Prince Akishino formally declared first in line to the throne
https://www.japantim[...]
2020-11-08
[86]
웹사이트
The Funerals of the Japanese Emperors
http://nirc.nanzan-u[...]
[87]
서적
Tokyo Rising
1990
[88]
웹사이트
Emperor, Empress plan to be cremated
http://www.japantime[...]
2013-11-21
[89]
뉴스
Legacy of Hirohito
1989-05-03
[90]
서적
The Japan-Manchoukuo Year Book
The Japan-Manchoukuo Year Book Co.
1938
[91]
웹사이트
Seven Ways to Compute the Relative Value of a U.S. Dollar Amount, 1790 to Present
https://www.measurin[...]
MeasuringWorth
2023
[92]
서적
Exchange and Interest Rates
Kenkyusha Press, Foreign Association of Japan
1938
[93]
뉴스
Few personal possessions for reigning monarch
1971-10-05
[94]
뉴스
Akihito Net Worth 2017: How Rich Is Japanese Emperor As Parliament Passed Historic Law For His Abdication
http://www.ibtimes.c[...]
2017-06-09
[95]
웹사이트
British Pound to US Dollar Spot Exchange Rates for 2003 from the Bank of England
https://www.poundste[...]
[96]
뉴스
Book lifts the lid on Emperor's high living
https://www.telegrap[...]
2003-09-07
[97]
뉴스
Q&A;: How are the imperial family's money and property managed?
https://english.kyod[...]
Kyodo News
2019-05-04
[98]
웹사이트
宮内庁 天皇系図
https://www.kunaicho[...]
2019-01-31
[99]
웹사이트
宮内庁公式サイト 英語版
https://www.kunaicho[...]
[100]
Kotobank
2024-12-14
[101]
Kotobank
2024-12-14
[102]
법률
日本国憲法第1条
[103]
Kotobank
2024-06-28
[104]
서적
日本史辞典
角川書店
1996-11-20
[105]
Kotobank
2024-06-29
[106]
웹사이트
総攬
https://kotobank.jp/[...]
2024-06-29
[107]
서적
大辞林
三省堂
[108]
서적
明鏡国語辞典
https://www.worldcat[...]
大修館書店
2021-01-01
[109]
웹사이트
近代の天皇 > 名称の確定
2024-07-02
[110]
웹사이트
田中浩「元首」、『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2016年
https://kotobank.jp/[...]
[111]
간행물
伝統と革新
たちばな出版
2010-03-14
[112]
뉴스
紀宮さま成年皇族に ユーモアを交えた結婚観
https://news.tv-asah[...]
テレ朝news
2021-12-08
[113]
서적
時代を動かした天皇の言葉
株式会社グッドブックス
2019-09-17
[114]
웹사이트
皇位継承の伝統
https://kogakkan.rep[...]
[115]
서적
日本人としてこれだけは知っておきたいこと
PHP研究所
[116]
간행물
象徴天皇考え
明成社
2019-04-10
[117]
웹사이트
天皇制(てんのうせい)
https://kotobank.jp/[...]
2023-08-24
[118]
웹사이트
天皇
https://kotobank.jp/[...]
[119]
서적
日本語源広辞典
ミネルヴァ書房
[120]
서적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第2版改訂
TBSブリタニカ
[121]
서적
古事類苑
http://shinku.nichib[...]
神宮司庁
[122]
웹사이트
皇天とは
https://kotobank.jp/[...]
2021-06-14
[123]
웹사이트
古事類苑
http://shinku.nichib[...]
1896-1914
[124]
웹사이트
古事類苑
http://ys.nichibun.a[...]
1896-1914
[125]
서적
歴代天皇図鑑
秋田出版
[126]
서적
女帝と譲位の古代史
文藝春秋
[127]
웹사이트
宮内庁 皇室
https://www.kunaicho[...]
[128]
서적
憲法
[129]
뉴스
皇族の「人権」どこまで? 目につく「不自由さ」
https://www-asahi-co[...]
[130]
서적
[131]
서적
憲法
https://www.worldcat[...]
有斐閣
2013-01-01
[132]
서적
平凡社大百科事典
平凡社
[133]
서적
憲法(新版)
弘文堂
[134]
서적
憲法(新版)
弘文堂
[135]
간행물
天皇と民事裁判権
有斐閣
[136]
웹사이트
「第一章(天皇)」に関する資料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4-11-16
[137]
뉴스
長野五輪 天皇陛下の名誉総裁就任を発表 宮内庁
https://www.shinmai.[...]
1996-11-22
[138]
웹사이트
天皇陛下の「東京2020オリンピック・パラリンピック競技大会」名誉総裁御就任について
https://olympics.com[...]
2021-06-14
[139]
간행물
『史記』始皇帝本紀と「天皇」号
吉川弘文館
[140]
서적
旧唐書
[141]
논문
大宝律令制定前後における日中間の情報伝播
吉川弘文館
[142]
웹사이트
國學院デジタルミュージアム
http://k-amc.kokugak[...]
國學院大學
2019-05-13
[143]
웹사이트
國學院デジタルミュージアム
http://k-amc.kokugak[...]
國學院大學
2019-05-13
[144]
서적
『曲江集』巻12・『文苑英華』巻471・『全唐文』巻287
[145]
논문
大宝律令制定前後における日中間の情報伝播
吉川弘文館
[146]
논문
大宝律令制定前後における日中間の情報伝播
吉川弘文館
[147]
웹사이트
天武天皇がめざした国家建設-〈天皇〉木簡・飛鳥池遺跡出土
https://www.nabunken[...]
[148]
논문
大宝律令制定前後における日中間の情報伝播
吉川弘文館
[149]
서적
清宮十三朝演義
https://books.google[...]
2019-05-13
[150]
서적
日本人の歴史教科書
自由社
[151]
서적
歴史のなかの天皇
[152]
보도자료
米国ハリケーン「カトリーナ」被災者救援について日本国天皇より表彰されました
http://www.sumitomok[...]
住友建機
2007-04-23
[153]
웹사이트
幕末ペリー来航の外交文書に関するもので「合衆国斐謨美辣書簡和解」というものがあるらしい。この内容が活...
https://crd.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19-05-14
[154]
웹사이트
LETTERS FROM U.S. PRESIDENT MILLARD FILLMORE AND U.S. NAVY COMMODORE MATTHEW C. PERRY TO THE EMPEROR OF JAPAN (1852-1853)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2019-05-14
[155]
서적
The early institutional life of Japan: a study in the reform of 645 A.D.
https://books.google[...]
Tokyo: Shueisha
[156]
웹사이트
胡锦涛主席会见日本首相福田康夫
http://www.fmprc.gov[...]
中華人民共和国外交部
2008-07-09
[157]
웹사이트
【外信コラム】ソウルからヨボセヨ 皇室と王室
http://www.iza.ne.jp[...]
産経デジタル
2019-05-13
[158]
뉴스
【コラム】「日王」と「天皇」の間
https://japanese.joi[...]
2009-09-18
[159]
뉴스
「歴史清算の保障手形」の認識は困る…「日王訪韓」に慎重論強まる
http://japan.donga.c[...]
2009-09-17
[160]
뉴스
이 대통령, 일본 천황 표현 논란 (李大統領、日本天皇表現論議)
http://news.naver.co[...]
2009-09-16
[161]
뉴스
日王って何?日本人が知らない韓流呼称の始まりについて
https://www.koreawor[...]
2019-03-12
[162]
서적
国史大辞典
JapanKnowledge
[163]
서적
シャーマニズムの世界
講談社
1992-12-10
[164]
서적
卑弥呼とヤマト王権
中央公論新社
2023-03-10
[165]
서적
隋書
[166]
서적
[167]
서적
南北朝公武関係の研究
[168]
설명
[169]
설명
[170]
서적
乱世の天皇
[171]
논문
後世に語り継ぎたい御製と御歌
神社新報社
2024-01-01
[172]
웹사이트
孝明天皇宸影
https://webarchives.[...]
東京国立博物館
2024-07-16
[173]
웹사이트
明治神宮外苑|聖徳記念絵画館
http://www.meijijing[...]
2024-07-16
[174]
웹사이트
明治天皇の御治世|明治神宮
https://www.meijijin[...]
2024-07-16
[175]
뉴스
1868-10-18
[176]
서적
明治天皇と日露戦争
明成社
2005-03-10
[177]
서적
明治天皇と日露戦争
明成社
2005-03-10
[178]
서적
明治維新の大日本帝国
[179]
서적
明治天皇の大日本帝国
[180]
서적
近代中國史綱
中文大學出版社
1986
[181]
웹사이트 # 출처가 불분명하여 임의로 지정했습니다.
null # 제목 추출 불가
[182]
웹사이트 # 출처가 불분명하여 임의로 지정했습니다.
null # 제목 추출 불가
[183]
웹사이트
『昭和天皇実録』を読み解く|書評専門紙「週刊読書人ウェブ」
https://web.archive.[...]
2019-12-14
[184]
뉴스
マッカーサーが阻止した天皇『退位』工作
産経新聞
1988-06-04
[185]
뉴스
読売新聞
1948-08-15
[186]
서적
側近日誌
中央公論新社
2017-02-25
[187]
서적
天照の末裔と神の子イエス
[188]
학술지
The Japanese Monarchy and Women
http://www.japanecho[...]
1999
[189]
서적
Hirohito: An Intimate Portrait of the Japanese Emperor
Harpercollins
[190]
서적
[191]
서적 # 상세 정보 부족으로 type 임의 지정
2003
[192]
서적
天皇と宗教
講談社学術文庫
2018
[193]
서적
宮中祭祀
展転社
2010 # 平成22년 = 2010년
[194]
웹사이트
2024-12-05 #令和5年12月5日
[195]
웹사이트
主要祭儀一覧
https://www.kunaicho[...]
宮内庁
2019-05-14
[196]
웹사이트
天皇が高僧に贈る「大師号」って何? 平安時代から1000年、授かったのは25人: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4-06-09
[197]
서적
反西洋思想
新潮社
2006
[198]
잡지
平和の海と戦いの海 -- 二・二六事件から八月十五日まで
1978-11
[199]
웹사이트
ご即位・立太子・成年に関する用語
https://www.kunaicho[...]
宮内庁
2019-05-14
[200]
서적
皇室典範改正問題と神道人の課題
神社新報社
2019-10-07
[201]
참조
[202]
참조
[203]
참조
[204]
참조
[205]
회의록
第201回国会 予算委員会 第14号
https://www.shugiin.[...]
2020-02-19
[206]
웹사이트
宮内庁
https://www.kunaicho[...]
宮内庁
2019-05-13
[207]
웹사이트
サイトマップ
https://www.npa.go.j[...]
警察庁
2019-05-13
[208]
법률
警察法 第29条
[209]
웹사이트
組織紹介 皇宮警察本部-IMPERIAL GUARD HEADQUARTERS-
http://www.npa.go.jp[...]
警察庁
2019-05-13
[210]
보고서
平成25年版 警察白書
https://www.npa.go.j[...]
警察庁
2013
[211]
웹사이트
行ってみて驚いた!「天皇のお墓」をご存知か
https://gendai.media[...]
講談社
2019-05-13
[212]
웹사이트
天皇陛下、スペイン国王と極秘電話会談 コロナで協力話し合う
https://www.news-pos[...]
news-postseven
2020-04-17
[213]
서적
母なる天皇―女性的君主制の過去・現在・未来
[214]
웹사이트
I 資料5.「昭和天皇大喪の礼」に参列した国及び国際機関の代表
https://www.mofa.go.[...]
외무성
1989-09
[215]
웹사이트
君主
https://kotobank.jp/[...]
ティビーエス・ブリタニカ
[216]
웹사이트
君主
https://kotobank.jp/[...]
小学館, 三省堂
[217]
웹사이트
天皇制
https://kotobank.jp/[...]
小学館
[218]
뉴스
ヤマトの王が天皇を名乗った理由
https://allabout.co.[...]
2005-04-16
[219]
서적
情報・知識 imidas 2015
JapanKnowledge
[220]
웹사이트
新憲法草案
http://www.jimin.jp/[...]
2005-10-28
[221]
저널
日本国憲法改正試案
http://www.ozawa-ich[...]
1999-09
[222]
서적
新憲法試案 尊厳ある日本を創る
PHP研究所
[223]
서적
憲法改正 読売試案2004年
http://www.yomiuri.c[...]
중앙공론신사
[224]
저널
主な日本国憲法改正試案及び提言
http://www.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225]
웹사이트
象徴としてのお務めについての天皇陛下のおことば
https://www.kunaicho[...]
宮内庁
[226]
뉴스
天皇陛下 「生前退位」の意向示される
http://www3.nhk.or.j[...]
[227]
뉴스
天皇陛下、生前退位の意向 皇后さま皇太子さまに伝える
http://www.asahi.com[...]
2016-07-13
[228]
뉴스
宮内庁次長は全面否定「報道の事実一切ない」 生前退位
http://www.asahi.com[...]
2016-07-13
[229]
뉴스
【生前退位 私はこう思う(2)】 東大名誉教授(日本思想史)・小堀桂一郎氏 「摂政の冊立が最善」
https://www.sankei.c[...]
2016-07-16
[230]
뉴스
“生前退位”内閣法制局「憲法改正が必要」
https://news.ntv.co.[...]
2016-08-22
[231]
뉴스
生前退位「賛成」大勢 報道各社の世論調査
https://www.nikkei.c[...]
2016-08-22
[23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independ[...]
2021-05-30
[233]
웹인용
象徴天皇制に関する基礎的資料
http://www.shugiin.g[...]
2003-02
[234]
간행물
천황대성대홍효황제, 천황대제
[235]
서적
상식밖의 세계사
새길
[236]
뉴스
天皇はなぜ「王(キング)」ではなく「皇帝(エンペラー)」なのか
https://gendai.ismed[...]
2019-10-23
[237]
저널
조선시대 日本天皇觀의 유형적 고찰
한국사학회
1995-12
[238]
서적
皇室報道と敬語
三一新書
[239]
Youtube
https://www.youtube.[...]
[240]
서적
헌법(憲法) 제4판
이와나미 쇼텐
[241]
간행물
상징천황설, 천황형식대표설, 천황준원수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