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담시는 400년경 고구려 광개토대왕 5년에 동진에서 불교 경전과 율장을 가지고 귀국하여 요동 지방을 교화한 승려이다. 중국인으로, 발이 얼굴보다 하얗고 진흙을 밟아도 얼룩이 생기지 않아 '백족화상'으로 불렸다. 396년경 요동에 이르러 교화에 종사하다 405년경 관중으로 돌아갔으며, 해동고승전은 담시의 활동을 "고구려, 문도(聞道)의 시작"이라고 평가했다. 1976년 덕흥리 고분에서 발견된 묘지명을 통해 고구려로 망명한 중국인 귀족 진이 독실한 불교 신자였음이 밝혀졌으며, 담시가 가져온 불교는 고구려의 고유 신앙과 습합되어 단기간에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에 거주한 한국인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중국에 거주한 한국인 - 김구
김구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통일운동가로서, 동학 입교, 치하포 사건,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인애국단 조직,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 안두희에게 암살당했다. - 고구려의 승려 - 보덕
보덕은 고구려 승려로, 연개소문의 억불 정책에 반발하여 백제로 망명하여 열반종을 포교했으며, 하룻밤 만에 거처를 옮겼다는 비래방장 설화로 알려져 있다. - 고구려의 승려 - 혜자
혜자는 고구려 출신의 승려로서 일본 아스카 시대 불교 발전에 기여하고,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으며, 621년 쇼토쿠 태자의 죽음을 슬퍼하며 다음 해 죽음을 예언하고 실제로 사망했다. - 5세기 한국 사람 - 고조다
고조다는 고구려 장수왕의 아들이자 문자명왕의 아버지로, 태자와 고추대가를 역임했으나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손자인 문자명왕이 왕위를 이었다. - 5세기 한국 사람 - 이사부
이사부는 신라의 장군이자 정치가로서, 우산국 정벌, 병부령 역임, 국사 편찬 건의, 가야 정벌 참여 등 신라의 영토 확장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담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 백족화상(白足和尚) |
출생지 | 중국 관중 |
인물 정보 | |
생몰년 | 미상 |
시호 | 미상 |
종파 | 미상 |
사찰 | 미상 |
스승 | 미상 |
제자 | 미상 |
저서 | 미상 |
2. 생애
담시는 400년경 고구려 광개토대왕 5년에 동진(東晋)에서 불교 경장과 율장 수십 부를 가지고 귀국하여 요동(遼東) 지방을 교화시킨 승려이다.[5] 여러 이적(異蹟)을 행하였고, '백족화상'(白足和尙)이라고도 불렸다.[5]
해동고승전(海東高僧伝)은 담시의 고구려 개교(開教) 사적을 중국 측 교단 전승 사료로서 주목하며, "고구려, 문도(聞道)의 시작"이라고 평가하고 있다.[2] 통일 신라의 문인 최치원은 중국 불교의 초전자인 가섭마등을 예로 들어 담시를 칭송하였다.[2]
1976년 북한 평안남도 남포특별시 덕흥리 고분에서 발견된 묘지명을 통해, 408년에 사망한, 고구려로 망명한 중국인 귀족 진이 불교 신자였음이 밝혀졌다.[3] 다무라 엔초는 진이 彌勒下生經|미륵하생경중국어을 믿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으며,[4] 이는 385년 장안에서 번역된 彌勒下生經|미륵하생경중국어이 396년에 담시에 의해 고구려에 전해져 신봉자를 얻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추정으로 이어진다.[4]
2. 1. 주요 활동
담시는 관중 사람으로, 396년경 경률 수십 부를 가지고 요동에서 10년 동안 포교 활동을 했다. 405년경 중국으로 돌아갔다.[2] 418년 하의 혁련발발이 관중을 점령하여 백성을 학살했을 때, 이들을 보호하는 활동을 했다.[1]담시가 가져온 불교는 고구려의 고유 신앙과 쉽게 융합될 수 있는 주술적이고 영이적(靈異的)인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었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평가된다.[4]
2. 2. 백족화상(白足和尙)
담시는 발이 얼굴보다 희고 진흙을 밟아도 더러워지지 않아 '백족화상'(白足和尙)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5][1] 이러한 신이한 모습은 백성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을 것으로 보인다.3. 담시의 불교 전파와 그 영향
담시는 '백족화상'이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신이한 승려였다.[1] 담시가 가져온 불교는 고구려의 고유 신앙과 쉽게 융합될 수 있는 주술적이고 영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었다.[4] 이러한 특징은 불교가 단기간에 널리 퍼지는 데 크게 기여했을 것으로 보인다.[4]
3. 1. 덕흥리 고분과의 관련성
1976년 북한의 평안남도 남포특별시에서 발견된 덕흥리 고분은 408년에 사망한 고구려 귀족 '진'의 무덤으로, 묘지명이 발견되었다.[3] 묘지명에는 '진'이 "석가문불제자"라고 기록되어 있어, 그가 독실한 불교 신자였음을 알 수 있다.[3] 이는 담시가 가져온 초기 불교의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다무라 엔초는 '석가문불'이라는 표현이 384년에서 385년 사이에 번역된 『미륵하생경』에 따른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4] 385년 장안에서 번역된 『미륵하생경』이 396년 담시에 의해 고구려에 전해졌고, 408년 사망한 '진'과 같은 신봉자를 얻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4]3. 2. 최치원의 평가
통일신라의 문인 최치원은 담시를 중국 불교의 초전자인 가섭마등에 비유하며 높이 평가했다.[2]4. 한국 불교사에서의 의의
담시는 400년경 고구려 광개토대왕 5년에 동진(東晋)에서 불교 경장과 율장 수십 부를 가지고 귀국해 요동(遼東) 지방을 교화시킨 승려이다.[5] 본래 중국인으로, 이적(異蹟)을 많이 행하였고 발이 얼굴보다 희어서 '''백족화상'''(白足和尙)이라고도 불리었다.[5] 담시는 고구려에 불교를 전파한 초기 승려 중 한 명으로, 한국 불교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의 활동은 고구려 불교의 초기 형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참조
[1]
뉴스
담시 曇始,?~?
https://www.doopedia[...]
2022-04-20
[2]
뉴스
東アジアにおける仏教の伝来と受容
関西大学東西学術研究所
1989-03
[3]
뉴스
東アジアにおける仏教の伝来と受容
関西大学東西学術研究所
1989-03
[4]
뉴스
東アジアにおける仏教の伝来と受容
関西大学東西学術研究所
1989-03
[5]
간행물
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삼국시대의 사상 > 삼국시대의 불교사상 > 담시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