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청주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진청주고속도로는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충청북도 청주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이다. 2013년 옥산 분기점 ~ 오창 분기점 구간 민간 투자 사업 실시 계획 승인을 시작으로, 2023년 당진시 송악읍 도원리까지 기점이 연장되었으며, 같은 해 아산 나들목 ~ 천안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다. 주요 통과 지역은 충청남도 아산시, 천안시와 충청북도 청주시이며, 총 연장은 71.8km이다. 아산현충사 나들목 - 동남터널 (청주방향) 10.0 km 구간과 천안 분기점 - 아산현충사 나들목 (당진방향) 11.0 km 구간에서 구간 과속 단속이 시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진청주고속도로 - 목천 나들목
목천 나들목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에 위치한 경부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국도 제21호선 및 삼방로와 연결되며 인근에 독립기념관 등의 시설이 있다. - 당진청주고속도로 - 옥산 분기점
옥산 분기점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하며 경부고속도로와 당진청주고속도로가 만나는 Y자 형태의 분기점으로, 2018년 당진청주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운영을 시작하였다. - 천안시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천안시의 도로 - 논산천안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는 충청남도 논산에서 천안을 잇는 총 연장 82.04km의 고속도로로, 1996년 고속국도 제21호선으로 지정되어 2002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23년 2월 호남고속도로와 통합되었다. - 아산시의 도로 - 서해로
서해로는 충청남도 태안군에서 경기도 안산시를 잇는 도로로, 1987년부터 확장 및 개통, 폐지 구간이 발생했으며 2009년 7월 10일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고시되어 충청남도와 경기도의 여러 도시들을 지난다. - 아산시의 도로 - 세종평택로
세종평택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에서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을 잇는 국도 제43호선의 일부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으로, 2012년부터 순차적으로 개통되었으며 세종특별자치시, 천안시, 아산시, 평택시를 경유한다.
당진청주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도로 종류 | 고속국도 |
노선명 | 당진청주고속도로 |
총 연장 | 55.9 km |
개통 년도 | 2018년 1월 14일(옥산~오창) 2023년 9월 20일(아산~천안) |
기점 | 충청남도 당진시 |
주요 경유지 | 충청남도 당진시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천안시 충청북도 청주시 |
종점 | 충청북도 청주시 |
주요 교차 도로 | 경부고속도로 () 논산천안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5호선 |
2. 역사
wiki
- 2014년 1월 15일: 옥산 분기점 ~ 오창 분기점 구간 착공
- 2016년 5월: 아산현충사 나들목 - 천안 분기점 나머지 구간 (2, 3공구) 착공
- 2018년 1월 14일: 옥산 분기점 ~ 오창 분기점 12.1km 구간 개통[9]
- 2019년 11월 26일: 천안휴게소가 천안호두휴게소로 명칭 변경[10]
- 2021년 8월 27일: 인주 분기점 ~ 아산 나들목 구간 착공
- 2023년 9월 20일: 아산 나들목 ~ 천안 분기점 구간 개통[14]
2. 1. 착공 이전
- 2013년 10월 22일 : 옥산 분기점 ~ 오창 분기점 구간 (12.1km) 민간 투자구간 실시계획 승인[1]
- 2013년 11월 5일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읍 구간을 '''고속국도 제32호선 아산청원고속도로'''(아산 ~ 청원선)로 지정[2]
- 2013년 11월 29일 : 옥산 ~ 오창 구간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옥산면 수락리 ~ 오창읍 도암리 구간 (12.1km) 도로구역 결정[3]
- 2014년 10월 31일 : 청원군과 청주시 통합으로 행정구역 명칭 변경을 위해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수락리 ~ 청원구 오창읍 도암리 구간 (12.1km) 도로구역 변경[4]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노선명을 '아산청원고속도로'에서 '''아산청주고속도로'''(아산 ~ 청주선)로 변경하고 기점을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염성리', 종점을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읍'에서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장대리'로 변경[5]
- 2016년 2월 22일 : 2022년까지 아산 ~ 천안 구간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염성리 ~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응원리 구간 (20.86km) 도로구역 결정[6]
- 2016년 5월 24일 : 경부고속도로 남이 ~ 천안 구간 선형개량공사로 옥산 분기점 설계 변경을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옥산면 수락리 ~ 오창읍 도암리 구간 (12.1km) 도로구역 변경[7]
- 2017년 12월 27일 : 도로명주소에 서아산 나들목부터 오창 분기점까지 구간 (50.63km)을 '''아산청주고속도로'''로 고시[8]
- 2020년 11월 13일 : 기점을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염성리'에서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로 연장[11]
- 2020년 11월 20일 : 2027년까지 아산 인주 ~ 염치 구간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 ~ 염치읍 염성리 구간 (7.16km) 도로구역 결정[12]
- 2023년 3월 : 기점을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에서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도원리'로 연장하고 '''아산청주고속도로'''에서 '''당진청주고속도로'''로 명칭 변경[13]
2. 2. 착공 및 개통
- 2013년 10월 22일 : 옥산 분기점 ~ 오창 분기점 12.1km 민간 투자구간 실시계획이 승인되었다.[1]
- 2013년 11월 5일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읍 구간이 '''고속국도 제32호선 아산청원고속도로'''(아산 ~ 청원선)로 지정되었다.[2]
- 2013년 11월 29일 : 옥산 ~ 오창 구간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옥산면 수락리 ~ 오창읍 도암리 12.1km 구간의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3]
- 2014년 1월 15일 : 옥산 분기점 ~ 오창 분기점 구간이 착공되었다.
- 2014년 10월 31일 : 청원군과 청주시 통합으로 행정구역 명칭을 변경하기 위해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수락리 ~ 청원구 오창읍 도암리 12.1km 구간으로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4]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노선명이 '아산청원고속도로'에서 '''아산청주고속도로'''(아산 ~ 청주선)로 변경되었고, 기점을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염성리'로 명시, 종점을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읍'에서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장대리'로 변경하였다.[5]
- 2015년 12월 23일 : 아산현충사 나들목 - 천안 분기점 일부 구간 (1,4,5 공구)이 착공되었다.
- 2016년 2월 22일 : 2022년까지 아산 ~ 천안 구간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염성리 ~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응원리 20.86km 구간의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6]
- 2016년 5월 24일 : 경부고속도로 남이 ~ 천안 구간 선형개량공사로 옥산 분기점 설계 변경을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옥산면 수락리 ~ 오창읍 도암리 12.1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7]
- 2016년 5월: 아산현충사 나들목 - 천안 분기점 나머지 구간 (2,3공구)이 착공되었다.
- 2017년 12월 27일 : 도로명주소에 서아산 나들목부터 오창 분기점까지 50.63km 구간을 '''아산청주고속도로'''로 고시하였다.[8]
- 2018년 1월 14일 : 옥산 분기점 ~ 오창 분기점 12.1km 구간이 개통되었다.[9]
- 2019년 11월 26일 : 천안휴게소가 천안호두휴게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0]
- 2020년 11월 13일 : 기점을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염성리'에서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로 연장하였다.[11]
- 2020년 11월 20일 : 2027년까지 아산 인주 ~ 염치 구간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 ~ 염치읍 염성리 7.16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2]
- 2021년 8월 27일 : 인주 분기점 ~ 아산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
- 2023년 3월 : 기점을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에서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도원리'로 연장하고 '''아산청주고속도로'''에서 '''당진청주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3]
- 2023년 9월 20일 : 아산 나들목 ~ 천안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다.[14]
2. 3. 추가 확장
2013년 11월 5일,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서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읍 구간을 잇는 고속국도 제32호선 아산청원고속도로(아산 ~ 청원선)가 지정되었다.[2] 이후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 고시를 통해 노선명이 아산청주고속도로(아산 ~ 청주선)로 변경되었으며, 기점은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염성리로, 종점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장대리로 변경되었다.[5]2020년 11월 13일, 기점이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염성리에서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로 연장되었고,[11] 2021년 8월 27일에는 인주 분기점 ~ 아산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
2023년 3월, 기점이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에서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도원리로 연장되면서, 도로 명칭이 아산청주고속도로에서 당진청주고속도로로 변경되었다.[13]
3. 구성
당진청주고속도로의 주요 기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총 연장''': 71.8km이다.
-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이다.
3. 1. 차로수
- 아산현충사 나들목 ~ 천안 분기점, 옥산 분기점 ~ 오창 분기점: 왕복 4차로
- 목천 나들목 ~ 옥산 분기점: 왕복 6차로
- 천안 분기점 ~ 목천 나들목 (경부고속도로 중첩 구간): 왕복 8차로
3. 2. 총 연장
71.8km3. 3.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 제한 속도는 100km/h, 최저 제한 속도는 50km/h이다.3. 4. 터널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염치2터널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쌍죽리 | 440m | 2023년 | 당진 방면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석두리 | 청주 방면 | |||
현충사지하차도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 660m | ||
배방터널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세교리 | 314m | ||
풍세1터널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신방동 | 505m | 당진 방면 | |
청주 방면 | ||||
풍세2터널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신방동 | 314m | 당진 방면 | |
295m | 청주 방면 | |||
동남터널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청룡동 | 335m |
3. 5. 교량
교량 이름 |
---|
아산IC교 |
석두1교 |
석두2교 |
석정1교 |
석정2교 |
석정3교 |
석정4교 |
구룡교 |
갈산교 |
현충사대교 |
현충사교 |
세교1교 |
세교2교 |
세교3교 |
신방교 |
남관교 |
서천안IC1교 |
서천안IC2교 |
서천안IC3교 |
구룡철1교 |
구룡2교 |
구룡4교 |
구룡생태육교 |
삼성교 |
삼성육교 |
응원교 |
병천천교 |
상장남교 |
용두천교 |
백현교 |
호죽1교 |
호죽2교 |
성산교 |
산수교 |
양지교 |
복현1교 |
복현2교 |
복현3교 |
4. 주요 통과지
- ''당진시 (송악읍, 신평면)'' - 아산시 (''인주면'', 염치읍, 신동, 배방읍, 탕정면, 배방읍, 탕정면, 배방읍) - 천안시 동남구 (신방동, 풍세면, 신방동, 구룡동, 삼룡동, 목천읍, 성남면, 수신면, 병천면)
충청북도
5. 나들목 · 분기점
거리
거리
(북부산업로)
(아산로)
(온양순환로)
(광풍로)
25호선 논산천안고속도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오창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