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부고속도로는 충청북도 청주시 남이 분기점에서 경기도 하남시 하남 분기점을 잇는 고속도로이다. 1987년 하일 나들목에서 남이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노선 변경과 확장 공사를 거쳤다. 2001년 통영대전고속도로와 함께 고속국도 제35호선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총 연장은 117.23km이다. 경부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등과 연결되며, 주요 통과 지역으로는 청주시, 진천군, 음성군, 안성시, 이천시, 광주시, 하남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남시의 도로 - 세종포천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을 잇는 총 144.6km의 고속도로로, 구리~포천 구간은 개통되었고 세종~구리 구간은 건설 중이며, 건설 초기 명칭 및 노선 관련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구리~포천 구간은 서울북부고속도로주식회사가, 세종~구리 구간은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한다. - 하남시의 도로 - 제2중부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는 경기도 이천시에서 하남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31.08km의 왕복 4차로 고속도로이며, 1997년 착공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노선 번호는 제37호이다. - 진천군의 도로 - 평택제천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와 충청북도 제천시를 잇는 총 연장 127.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건설을 시작하여 2015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고 다수의 터널과 교량이 설치되어 일부 구간은 왕복 6~8차로로 운영된다. - 진천군의 도로 - 덕금로
충청북도 진천군과 음성군을 연결하는 덕금로는 원덕로와 이어지며 여러 국도, 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와 교차하고, 주변에는 덕산읍 행정복지센터와 용천초등학교 등의 주요 시설이 있다. - 이천시의 도로 - 제2중부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는 경기도 이천시에서 하남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31.08km의 왕복 4차로 고속도로이며, 1997년 착공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노선 번호는 제37호이다. - 이천시의 도로 - 경충대로
경기도 이천시에서 성남시를 잇는 경충대로는 여러 국도 및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주변에 다양한 주요 시설들이 위치한 중요한 도로이다.
중부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노선 번호 | 고속국도 제35호선 |
도로 이름 | 중부고속도로 |
로마자 표기 | Jungbu-gosokdoro |
한자 표기 | 中部高速道路 |
영문 이름 | Jungbu Expressway |
총 연장 | 117.23 km |
개통일 | 1987년 12월 3일 |
방향 | 남북 |
기점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
종점 |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
노선 정보 | |
주요 경유지 |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북도 진천군 충청북도 음성군 경기도 안성시 경기도 이천시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 하남시 |
주요 교차 도로 | 경부고속도로 (AH1) 당진청주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 |
추가 정보 | |
관련 노선 | 제2중부고속도로 (고속국도 제37호선) |
대체 이름 | 고속국도 제35호선 중부선 |
노선 형태 | 고속도로 |
이미지 | |
![]() | |
![]() | |
![]() |
2. 역사
1985년 5월 29일 서울특별시 ~ 충청남도 대전시(현 대전광역시) 구간을 잇는 고속국도 제10호 중부선으로 지정되었다.[3] 1987년 12월 3일 하일 나들목(현 강일 나들목) ~ 남이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고, 동시에 경부고속도로와 공용 구간인 남이 분기점 ~ 회덕 분기점도 확장 개통되었다.[8][9]
1991년 7월 25일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신규 지정에 따라 하남 분기점 이북 구간이 해당 노선에 편입되고, 기점을 강일 나들목에서 하남 분기점으로 단축하였다. 동시에 경부고속도로와의 공용 구간(남이 분기점 ~ 회덕 분기점)을 삭제하고 종점을 남이 분기점으로 조정하였다.[12] 1991년 10월 31일에는 하남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01년 8월 25일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개정에 따라 노선 번호를 10호선에서 35호선으로 변경하고, 기점과 종점을 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맞추기 위해 종점을 하남 분기점으로 변경하였다. 동시에 다시 경부고속도로와의 공용 구간(비룡 분기점 ~ 남이 분기점)을 지정하여 기점을 비룡 분기점까지 연장하고, 통영대전고속도로와 연결하였다(단, 노선 지정은 별도 노선으로 유지).[26]
2001년 11월 23일 호법 분기점 ~ 마장 분기점 2.14km 구간과 산곡 분기점 ~ 하남 분기점 7.55km 구간이 왕복 8차로로 확장 개통되었고,[28] 마장 분기점과 산곡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기점이 공식적으로 남이 분기점까지가 되고, 경부고속도로와의 공용 구간(비룡 분기점 ~ 남이 분기점)이 노선 지정에서 해제되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변화들이 있었다.
- 1987년 6월: 음성 나들목, 증평 나들목 신설 공사 착공[10]
- 1988년 8월 1일: 음성 나들목과 증평 나들목 개통
- 1998년 12월 31일: 오창 나들목 개통[22]
- 2001년 8월 1일: 서이천 나들목 개통[25]
- 2008년 11월 11일: 대소 분기점 개통
- 2013년 4월 4일: 마장프리미엄휴게소 신설 개장[40]
- 2013년 7월 5일: 제2중부고속도로 하행선에서 중부고속도로 상행선을 잇는 마장프리미엄휴게소 회차로 개통[42]
- 2013년 7월 19일: 음성 나들목이 대소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
- 2015년 12월 24일: 남이천 나들목 개통[44][45]
- 2016년 11월 11일: 경기광주 분기점 개통
- 2016년 12월 20일: 삼성 나들목 개통[48][49]
- 2017년 12월 20일: 하남방향 이천휴게소 내에 신둔 나들목 개통[52]
- 2017년 12월 22일: 호법 분기점 ~ 하남 분기점 구간 시설개량 공사 완료[53]
- 2022년 3월 21일: 곤지암 분기점 개통
- 2023년 10월 3일 : 청주흥덕 나들목의 명칭을 청주강서 나들목으로 확정
- 2023년 10월 17일 : 하남방향 이천휴게소가 이천쌀휴게소로 명칭 변경
- 2024년 1월 31일: 청주강서 나들목 개통
2. 1. 중부고속도로
部高速道路1985년 4월 19일 하일 나들목 ~ 남이 분기점 구간이 착공되었으며,[8][9] 같은 해 5월 29일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충청남도 대전시 동구 신대동 구간이 '''고속국도 제10호선 중부고속도로(중부선)'''으로 지정되었다.[3] 이후 1987년 12월 3일 하일 나들목 ~ 남이 분기점 145.3km 구간이 왕복 4차로로 개통되었다.
1991년 7월 25일 기점이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에서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으로, 종점이 '충청남도 대전시 동구 신대동'에서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으로 변경되었고, 기존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구간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편입되었다.[12]
2001년 8월 25일, 대전통영고속도로와 함께 노선번호가 '''제35호'''로 변경되었고, 기점과 종점을 청원 → 하남으로 변경하였다.[26]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기점이 공식적으로 남이 분기점까지가 되었다.
한국 고속도로가 개통된 이후 매년 15% 이상의 교통량 증가가 관측되었고, 1980년대에 경부고속도로가 포화될 것으로 판단되어 한국 중부 지역(경기도·충청도)을 우회하는 노선으로 계획된 고속도로이다. 경부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경기도와 충청북도 내륙의 자치단체를 경유함으로써 고속도로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서울 동부에 새로운 버스터미널인 동서울터미널을 신설하여 경부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우회 노선으로서 고속 주행이 가능하도록 고급 규격으로 설계되어 최고 속도를 시속 10km 높인 110km/h로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에 중부고속도로 역시 포화되면서 확장을 계획했으나, 당시로서는 파격적이었던 IC가 없는 급행 고속도로를 병행하는 형태로 신설하여 확장하기로 결정되었고, 2001년 마장 분기점~산곡 분기점 구간에 '''제2중부고속도로'''로 개통되었다.
'''24시간 교통량'''(대)
구간 | 1988년 | 1990년 | 1995년 | 2000년 | 2005년 | 2010년 | 2015년 | 2020년 | 2022년 |
---|---|---|---|---|---|---|---|---|---|
남이IC - 서청주IC | 7,886 | 18,798 | 37,987 | 44,096 | 42,657 | 55,080 | 60,054 | 63,237 | 67,382 |
서청주IC - 오창IC | 8,851 | 21,640 | 44,123 | 50,699 | 44,669 | 60,889 | 66,278 | 72,265 | 69,258 |
오창IC - 오창 분기점 | 53,500 | 53,564 | 60,913 | 64,725 | 64,358 | 69,744 | |||
오창 분기점 - 증평IC | 74,000 | 76,305 | |||||||
증평IC - 진천IC | 8,984 | 22,015 | 44,361 | 52,517 | 51,545 | 57,662 | 64,725 | 71,952 | 73,562 |
진천IC - 대소 분기점 | 9,663 | 22,761 | 44,116 | 49,614 | 42,242 | 57,046 | 62,981 | 64,330 | 67,939 |
대소 분기점 - 대소IC | 51,017 | 56,274 | 56,089 | 61,339 | |||||
대소IC - 삼성휴게소(하행선) | 9,834 | 25,769 | 50,989 | 54,368 | 46,129 | 51,091 | 51,920 | 55,049 | 59,446 |
삼성휴게소(하행선) - 일죽IC | 56,638 | 63,981 | |||||||
일죽IC - 남이천IC | 11,911 | 29,271 | 57,334 | 64,183 | 50,627 | 56,185 | 62,905 | 64,504 | 73,690 |
남이천IC - 호법 분기점 | 74,572 | 80,015 | |||||||
호법 분기점 - 마장 분기점 | 17,767 | 39,964 | 63,883 | 67,838 | 79,570 | 104,951 | 106,803 | 86,728 | 96,201 |
마장 분기점 - 서이천IC | 29,484 | 40,564 | 44,022 | 40,652 | 42,009 | ||||
서이천IC - 곤지암 분기점 | 41,869 | 46,550 | 52,047 | 42,082 | 53,491 | ||||
곤지암 분기점 - 곤지암IC | 52,083 | ||||||||
곤지암IC - 경기광주 분기점 | 20,795 | 45,231 | 69,925 | 71,542 | 46,228 | 52,338 | 53,354 | 45,107 | 47,912 |
경기광주 분기점 - 광주IC | 53,670 | 61,848 | |||||||
광주IC - 산곡 분기점 | 23,497 | 50,988 | 79,497 | 78,741 | 64,592 | 71,036 | 73,829 | 64,963 | 76,738 |
산곡 분기점 - 하남IC | 122,991 | 131,577 | 135,840 | 119,143 | 142,920 | ||||
하남IC - 하남 분기점 | 데이터 없음 | 128,120 | 144,694 | 162,528 | 149,989 | 148,538 | |||
(제2중부) 마장 분기점 - 경기광주 분기점 | 미개통 | 54,179 | 64,384 | 63,170 | 52,898 | 51,382 | |||
(제2중부) 경기광주 분기점 - 산곡 분기점 | 74,350 | 71,110 | |||||||
2. 2. 제2중부고속도로
1990년대에 중부고속도로 역시 교통량이 포화되면서 확장을 계획했으나, 당시로서는 파격적이었던 나들목(IC)이 없는 급행 고속도로를 병행하는 형태로 신설하여 확장하기로 결정되었고, 2001년 마장 분기점~산곡 분기점 구간에 제2중부고속도로로 개통되었다.[28]3. 구성
1980년대 경부고속도로의 포화가 예상됨에 따라, 한국 중부 지역(경기도·충청도)을 우회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경부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경기도와 충청북도 내륙의 자치 단체를 경유하여 고속도로 접근성을 높이고, 서울 동부에 동서울터미널을 신설하여 경부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시키도록 설계되었다.
1990년대 중부고속도로 역시 포화되면서 확장을 계획했으나, IC가 없는 급행 고속도로를 병행하는 형태로 신설하여 확장하기로 결정, 2001년 마장 분기점~산곡 분기점 구간을 '''제2중부고속도로'''로 개통하였다.
2001년까지 고속국도 10호였으나, 번호 체계 개정 이후 국토를 남북으로 종관하는 세 번째 축으로 고속도로 35호로 지정되어 통영대전고속도로와 같은 번호가 되었다. 노선 지정은 통합되지 않고 별개이므로, 도로 표지 등에서는 구분하여 안내하고 있다.
- '''중부고속도로'''
- *기점:충청북도청주시서원구 남이면 (남이 분기점)
- *종점:경기도화성시 봉담읍 (봉담 분기점)
- *관리회사:한국도로공사
- '''중부고속도로 제2구간'''
- *기점:경기도이천시 마장면 (마장 분기점)
- *종점:경기도 화성시 산곡동 (산곡 분기점)
- *총연장:31.1km
- *관리회사:한국도로공사
3. 1. 차로수
산곡 분기점 ~ 마장 분기점, 호법 분기점 ~ 남이 분기점은 왕복 4차로이고, 하남 분기점 ~ 산곡 분기점, 마장 분기점 ~ 호법 분기점은 왕복 8차로이다.[1]3. 2. 총연장
117.23 km[1]3. 3.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제한 속도는 110km/h, 최저 제한 속도는 50km/h이다.[1]경부고속도로가 포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한국 중부 지역(경기도·충청도)을 우회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경부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경기도와 충청북도 내륙의 자치 단체를 경유함으로써 고속도로 접근성을 높이고, 서울 동부에 새로운 동서울터미널을 신설하여 경부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우회 노선으로서 고속 주행이 가능하도록 고급 규격으로 설계되어 최고 속도를 시속 10km 높인 110km/h로 지정하고 있다.[1]
3. 4. 터널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진천터널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연담리 | 475m | 1987년 | 구 중부4터널 |
중부3터널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하번천리 | 378m | 하남 방면 | |
369m | 통영 방면 | |||
중부2터널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하번천리 | 236m | 하남 방면 | |
252m | 통영 방면 | |||
중부1터널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엄미리 | 296m | 하남 방면 | |
300m | 통영 방면 |
3. 5. 교량
이름 |
---|
석남천1교 |
남촌2육교 |
남촌교 |
성암천교 |
미호천교 |
초평2교 |
초평1교 |
백곡천교 |
삼호교 |
월정교 |
매산교 |
청미천교 |
송도교 |
후안2교 |
후안1교 |
호법3육교 |
호법1육교 |
호법2육교 |
장암천교 |
안평육교 |
목리교 |
장암교 |
고척교 |
용면교 |
노곡천교 |
궁평교 |
삼리2육교 |
삼리1육교 |
곤지암천교 |
늑현육교 |
초월교 |
신월천교 |
서하교 |
번천3교 |
번천2교 |
번천1교 |
광지원2교 |
성산곡교 |
덕풍천교 |
4. 나들목 · 분기점
거리
거리
경부고속도로(서울방향) 진출 불가능(청주 방향)
서현로
지방도 제693호선 (직지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지방도 제508호선 (중부로)
지방도 제540호선 (오창대로)
지방도 제511호선 (신대석성로)
34-1
삼성
Samseong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지방도 제306호선 (서동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공원로
국도 제42호선 (중부대로)
서이천로
38-1
신둔
Sindun
도자예술로62번길
제2중부고속도로 연결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하남방향 진출입만 가능
국도 제45호선 (회안대로·태허정로)
지방도 제342호선 (회안대로·태허정로)
해공로
국도 제43호선 (하남대로)
국도 제45호선 (미사대로·창우로)
팔당대교
회차 가능
(60호선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간접 연결 (하남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