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중부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중부고속도로는 충청북도 청주시 남이 분기점에서 경기도 하남시 하남 분기점을 잇는 고속도로이다. 1987년 하일 나들목에서 남이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노선 변경과 확장 공사를 거쳤다. 2001년 통영대전고속도로와 함께 고속국도 제35호선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총 연장은 117.23km이다. 경부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등과 연결되며, 주요 통과 지역으로는 청주시, 진천군, 음성군, 안성시, 이천시, 광주시, 하남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남시의 도로 - 세종포천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을 잇는 총 144.6km의 고속도로로, 구리~포천 구간은 개통되었고 세종~구리 구간은 건설 중이며, 건설 초기 명칭 및 노선 관련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구리~포천 구간은 서울북부고속도로주식회사가, 세종~구리 구간은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한다.
  • 하남시의 도로 - 제2중부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는 경기도 이천시에서 하남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31.08km의 왕복 4차로 고속도로이며, 1997년 착공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노선 번호는 제37호이다.
  • 진천군의 도로 - 평택제천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와 충청북도 제천시를 잇는 총 연장 127.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건설을 시작하여 2015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고 다수의 터널과 교량이 설치되어 일부 구간은 왕복 6~8차로로 운영된다.
  • 진천군의 도로 - 덕금로
    충청북도 진천군과 음성군을 연결하는 덕금로는 원덕로와 이어지며 여러 국도, 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와 교차하고, 주변에는 덕산읍 행정복지센터와 용천초등학교 등의 주요 시설이 있다.
  • 이천시의 도로 - 제2중부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는 경기도 이천시에서 하남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31.08km의 왕복 4차로 고속도로이며, 1997년 착공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노선 번호는 제37호이다.
  • 이천시의 도로 - 경충대로
    경기도 이천시에서 성남시를 잇는 경충대로는 여러 국도 및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주변에 다양한 주요 시설들이 위치한 중요한 도로이다.
중부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노선 번호고속국도 제35호선
도로 이름중부고속도로
로마자 표기Jungbu-gosokdoro
한자 표기中部高速道路
영문 이름Jungbu Expressway
총 연장117.23 km
개통일1987년 12월 3일
방향남북
기점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종점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노선 정보
주요 경유지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북도 진천군
충청북도 음성군
경기도 안성시
경기도 이천시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 하남시
주요 교차 도로경부고속도로 (AH1)
당진청주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
추가 정보
관련 노선제2중부고속도로 (고속국도 제37호선)
대체 이름고속국도 제35호선 중부선
노선 형태고속도로
이미지
고속국도 제35호선 마커
고속국도 제35호선 마커
고속국도 제37호선 마커
고속국도 제37호선 마커
중부고속도로 및 제2중부고속도로 노선도
중부고속도로 및 제2중부고속도로 노선도 (붉은색: 중부고속도로, 푸른색: 제2중부고속도로)

2. 역사

1985년 5월 29일 서울특별시 ~ 충청남도 대전시(현 대전광역시) 구간을 잇는 고속국도 제10호 중부선으로 지정되었다.[3] 1987년 12월 3일 하일 나들목(현 강일 나들목) ~ 남이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고, 동시에 경부고속도로와 공용 구간인 남이 분기점 ~ 회덕 분기점도 확장 개통되었다.[8][9]

1991년 7월 25일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신규 지정에 따라 하남 분기점 이북 구간이 해당 노선에 편입되고, 기점을 강일 나들목에서 하남 분기점으로 단축하였다. 동시에 경부고속도로와의 공용 구간(남이 분기점 ~ 회덕 분기점)을 삭제하고 종점을 남이 분기점으로 조정하였다.[12] 1991년 10월 31일에는 하남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01년 8월 25일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개정에 따라 노선 번호를 10호선에서 35호선으로 변경하고, 기점과 종점을 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맞추기 위해 종점을 하남 분기점으로 변경하였다. 동시에 다시 경부고속도로와의 공용 구간(비룡 분기점 ~ 남이 분기점)을 지정하여 기점을 비룡 분기점까지 연장하고, 통영대전고속도로와 연결하였다(단, 노선 지정은 별도 노선으로 유지).[26]

2001년 11월 23일 호법 분기점 ~ 마장 분기점 2.14km 구간과 산곡 분기점 ~ 하남 분기점 7.55km 구간이 왕복 8차로로 확장 개통되었고,[28] 마장 분기점산곡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기점이 공식적으로 남이 분기점까지가 되고, 경부고속도로와의 공용 구간(비룡 분기점 ~ 남이 분기점)이 노선 지정에서 해제되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변화들이 있었다.

2. 1. 중부고속도로

部高速道路

1985년 4월 19일 하일 나들목 ~ 남이 분기점 구간이 착공되었으며,[8][9] 같은 해 5월 29일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충청남도 대전시 동구 신대동 구간이 '''고속국도 제10호선 중부고속도로(중부선)'''으로 지정되었다.[3] 이후 1987년 12월 3일 하일 나들목 ~ 남이 분기점 145.3km 구간이 왕복 4차로로 개통되었다.

1991년 7월 25일 기점이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에서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으로, 종점이 '충청남도 대전시 동구 신대동'에서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으로 변경되었고, 기존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구간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편입되었다.[12]

2001년 8월 25일, 대전통영고속도로와 함께 노선번호가 '''제35호'''로 변경되었고, 기점과 종점을 청원 → 하남으로 변경하였다.[26]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기점이 공식적으로 남이 분기점까지가 되었다.

한국 고속도로가 개통된 이후 매년 15% 이상의 교통량 증가가 관측되었고, 1980년대에 경부고속도로가 포화될 것으로 판단되어 한국 중부 지역(경기도·충청도)을 우회하는 노선으로 계획된 고속도로이다. 경부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경기도와 충청북도 내륙의 자치단체를 경유함으로써 고속도로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서울 동부에 새로운 버스터미널인 동서울터미널을 신설하여 경부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우회 노선으로서 고속 주행이 가능하도록 고급 규격으로 설계되어 최고 속도를 시속 10km 높인 110km/h로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에 중부고속도로 역시 포화되면서 확장을 계획했으나, 당시로서는 파격적이었던 IC가 없는 급행 고속도로를 병행하는 형태로 신설하여 확장하기로 결정되었고, 2001년 마장 분기점~산곡 분기점 구간에 '''제2중부고속도로'''로 개통되었다.

'''24시간 교통량'''(대)

구간1988년1990년1995년2000년2005년2010년2015년2020년2022년
남이IC - 서청주IC7,88618,79837,98744,09642,65755,08060,05463,23767,382
서청주IC - 오창IC8,85121,64044,12350,69944,66960,88966,27872,26569,258
오창IC - 오창 분기점53,50053,56460,91364,72564,35869,744
오창 분기점 - 증평IC74,00076,305
증평IC - 진천IC8,98422,01544,36152,51751,54557,66264,72571,95273,562
진천IC - 대소 분기점9,66322,76144,11649,61442,24257,04662,98164,33067,939
대소 분기점 - 대소IC51,01756,27456,08961,339
대소IC - 삼성휴게소(하행선)9,83425,76950,98954,36846,12951,09151,92055,04959,446
삼성휴게소(하행선) - 일죽IC56,63863,981
일죽IC - 남이천IC11,91129,27157,33464,18350,62756,18562,90564,50473,690
남이천IC - 호법 분기점74,57280,015
호법 분기점 - 마장 분기점17,76739,96463,88367,83879,570104,951106,80386,72896,201
마장 분기점 - 서이천IC29,48440,56444,02240,65242,009
서이천IC - 곤지암 분기점41,86946,55052,04742,08253,491
곤지암 분기점 - 곤지암IC52,083
곤지암IC - 경기광주 분기점20,79545,23169,92571,54246,22852,33853,35445,10747,912
경기광주 분기점 - 광주IC53,67061,848
광주IC - 산곡 분기점23,49750,98879,49778,74164,59271,03673,82964,96376,738
산곡 분기점 - 하남IC122,991131,577135,840119,143142,920
하남IC - 하남 분기점데이터 없음128,120144,694162,528149,989148,538
(제2중부) 마장 분기점 - 경기광주 분기점미개통54,17964,38463,17052,89851,382
(제2중부) 경기광주 분기점 - 산곡 분기점74,35071,110


2. 2. 제2중부고속도로

1990년대에 중부고속도로 역시 교통량이 포화되면서 확장을 계획했으나, 당시로서는 파격적이었던 나들목(IC)이 없는 급행 고속도로를 병행하는 형태로 신설하여 확장하기로 결정되었고, 2001년 마장 분기점~산곡 분기점 구간에 제2중부고속도로로 개통되었다.[28]

3. 구성

1980년대 경부고속도로의 포화가 예상됨에 따라, 한국 중부 지역(경기도·충청도)을 우회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경부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경기도와 충청북도 내륙의 자치 단체를 경유하여 고속도로 접근성을 높이고, 서울 동부에 동서울터미널을 신설하여 경부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시키도록 설계되었다.

1990년대 중부고속도로 역시 포화되면서 확장을 계획했으나, IC가 없는 급행 고속도로를 병행하는 형태로 신설하여 확장하기로 결정, 2001년 마장 분기점~산곡 분기점 구간을 '''제2중부고속도로'''로 개통하였다.

2001년까지 고속국도 10호였으나, 번호 체계 개정 이후 국토를 남북으로 종관하는 세 번째 축으로 고속도로 35호로 지정되어 통영대전고속도로와 같은 번호가 되었다. 노선 지정은 통합되지 않고 별개이므로, 도로 표지 등에서는 구분하여 안내하고 있다.

3. 1. 차로수

산곡 분기점 ~ 마장 분기점, 호법 분기점 ~ 남이 분기점은 왕복 4차로이고, 하남 분기점 ~ 산곡 분기점, 마장 분기점 ~ 호법 분기점은 왕복 8차로이다.[1]

3. 2. 총연장

117.23 km[1]

3. 3.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제한 속도는 110km/h, 최저 제한 속도는 50km/h이다.[1]

경부고속도로가 포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한국 중부 지역(경기도·충청도)을 우회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경부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경기도와 충청북도 내륙의 자치 단체를 경유함으로써 고속도로 접근성을 높이고, 서울 동부에 새로운 동서울터미널을 신설하여 경부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우회 노선으로서 고속 주행이 가능하도록 고급 규격으로 설계되어 최고 속도를 시속 10km 높인 110km/h로 지정하고 있다.[1]

3. 4. 터널

터널 이름소재지길이준공 년도비고
진천터널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연담리475m1987년구 중부4터널
중부3터널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하번천리378m하남 방면
369m통영 방면
중부2터널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하번천리236m하남 방면
252m통영 방면
중부1터널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엄미리296m하남 방면
300m통영 방면


3. 5. 교량

이름
석남천1교
남촌2육교
남촌교
성암천교
미호천교
초평2교
초평1교
백곡천교
삼호교
월정교
매산교
청미천교
송도교
후안2교
후안1교
호법3육교
호법1육교
호법2육교
장암천교
안평육교
목리교
장암교
고척교
용면교
노곡천교
궁평교
삼리2육교
삼리1육교
곤지암천교
늑현육교
초월교
신월천교
서하교
번천3교
번천2교
번천1교
광지원2교
성산곡교
덕풍천교


4. 나들목 · 분기점

거리누적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1호선 경부고속도로 직결 (통영대전고속도로는 여기를 참조)28남이 분기점Nami JC-0.001호선 경부고속도로충청북도청주시기점
경부고속도로(서울방향) 진출 불가능(청주 방향)28-1청주강서Cheongju-Gangseo강서로
서현로하이패스 전용 나들목29서청주W.Cheongju6.026.02지방도 제507호선 (청주역로)
지방도 제693호선 (직지대로)30오창Ochang7.4613.48국도 제17호선 (공항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지방도 제508호선 (중부로)
지방도 제540호선 (오창대로)30-1오창 분기점Ochang JC32호선 당진청주고속도로당진청주고속도로(당진방향) 진출 불가능(하남 방향)SA오창휴게소Ochang SA양방향31증평Jeungpyeong8.3721.85지방도 제510호선 (중부로)
지방도 제511호선 (신대석성로)32진천Jincheon11.9933.84국도 제21호선 (덕금로)진천군33대소 분기점Daeso JC8.5042.34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음성군34대소Daeso4.1946.53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대금로)구 음성 나들목SA
34-1음성휴게소[60]
삼성Eumseong SA
Samseong4.6651.19지방도 제329호선 (금일로)양방향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35일죽Iljuk8.2559.44국도 제38호선 (서동대로)
지방도 제306호선 (서동대로)경기도안성시35-1남이천S.Icheon10.7170.15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사실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공원로이천시36호법 분기점Hobeop JC6.0076.1550호선 영동고속도로37마장 분기점Majang JC2.3878.5337호선 제2중부고속도로제2중부고속도로(하남방향) 진출 불가능 (청주 방향)SA마장프리미엄휴게소Majang Premium SA하남방향SA이천휴게소Icheon SA청주방향38서이천W.Icheon3.3181.84국도 제3호선 (경충대로)
국도 제42호선 (중부대로)
서이천로SA
38-1이천쌀휴게소[61]
신둔Icheon Ssal SA
Sindun3.0084.84서이천로853번길
도자예술로62번길하남방향
제2중부고속도로 연결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하남방향 진출입만 가능38-2곤지암 분기점Gonjiam JC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광주시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화성방향) 진출 불가능 (청주 방향)39곤지암Gonjiam7.7192.55국도 제3호선 (경충대로)39-1경기광주 분기점Gyeonggi-Gwangju JC52호선 광주원주고속도로광주원주고속도로(원주방향) 진출 불가능 (하남 방향)40광주Gwangju12.12104.67국도 제43호선 (회안대로)
국도 제45호선 (회안대로·태허정로)
지방도 제342호선 (회안대로·태허정로)
해공로41산곡 분기점Sangok JC4.94109.6137호선 제2중부고속도로하남시제2중부고속도로(이천방향) 진출 불가능 (하남 방향)TG동서울 요금소E.Seoul TG본선요금소42하남Hanam5.19114.80국도 제6호선 (경강로)
국도 제43호선 (하남대로)
국도 제45호선 (미사대로·창우로)
팔당대교하남방향 진입, 청주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SA하남드림휴게소[62]Hanam Dream SA양방향
회차 가능43하남 분기점Hanam JC2.43117.23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60호선 서울양양고속도로)종점
서울양양고속도로 간접 연결 (하남 방향)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직결


4. 1. 중부고속도로

대한민국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남이 분기점에서 경기도 하남시 하남 분기점을 잇는 고속도로이다. 1987년 12월 3일 하일 나들목 ~ 남이 분기점 구간이 왕복 4차로로 개통되었다.[8][9] 2001년 8월 25일 노선번호가 제10호에서 제35호로 변경되었다.[26]

1985년 5월 29일 서울특별시~충청남도 대전시(현·대전광역시) 구간을 잇는 고속국도 제10호 중부선으로 지정되었으며,[3] 1987년 12월 3일 하일IC(현·강일IC)~남이JCT 구간이 개통되었다. (동시에 경부고속도로와 공용 구간인 남이JCT~회덕JCT도 확장 개통)

1991년 7월 25일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현·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신규 지정에 따라 한남JCT 이북 구간이 해당 노선에 편입되고, 기점을 강일IC에서 한남JCT로 단축하였다. 동시에 경부고속도로와의 공용 구간(남이JCT~회덕JCT)을 삭제하고 종점을 남이JCT로 조정하였다.[12]

2001년 8월 25일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개정에 따라 노선 번호를 10호선에서 35호선으로 변경하고, 기점·종점을 남→북 방향으로 맞추기 위해 종점을 한남JCT로 변경하였다. 동시에 다시 경부고속도로와의 공용 구간(비룡JCT~남이JCT)을 지정하여 기점을 비룡JCT까지 연장하고, 통영대전고속도로와 연결하였다. (단, 노선 지정은 별도 노선으로 유지)

2001년 11월 23일 호법JCT~마장JCT, 산곡JCT~한남JCT 구간 8차선 확장 개통하였다. 마장JCT~산곡JCT 구간에 고속국도 37호 '''제2중부고속도로''' 개통하였다.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기점이 공식적으로 남이JCT까지가 되고, 경부고속도로와의 공용 구간(비룡JCT~남이JCT)이 노선 지정에서 해제되었다.

한국 고속도로가 개통된 이후 매년 15% 이상의 교통량 증가가 관측되었고, 1980년대에 예상대로 경부고속도로가 포화될 것으로 판단되어 한국 중부 지역(경기도·충청도)을 우회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경부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경기도와 충청북도 내륙의 자치단체를 경유함으로써 고속도로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서울 동부에 새로운 버스터미널인 동서울터미널을 신설하여 경부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우회 노선으로서 고속 주행이 가능하도록 고급 규격으로 설계되어 최고 속도를 시속 10km 높인 110km/h로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에 중부고속도로 역시 포화되면서 확장을 계획했으나, 당시로서는 파격적이었던 IC가 없는 급행 고속도로를 병행하는 형태로 신설하여 확장하기로 결정되었고, 2001년 마장 분기점~산곡 분기점 구간에 '''제2중부고속도로'''로 개통되었다.

번호이름로마자 이름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소재지비고
28남이 분기점Nami JC-0.001호선 경부고속도로충청북도청주시기점
청주방향의 경우 경부고속도로(서울방향) 진출 불가능
28-1청주강서Cheongju-Gangseo강서로
서현로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29서청주W.Cheongju6.026.02지방도 제507호선 (청주역로)
지방도 제693호선 (직지대로)
30오창Ochang7.4613.48국도 제17호선 (공항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지방도 제508호선 (중부로)
지방도 제540호선 (오창대로)
30-1오창 분기점Ochang JC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32호선 당진청주고속도로하남방향의 경우 당진청주고속도로(당진방향) 진출 불가능
SA오창휴게소Ochang SA양방향
31증평Jeungpyeong8.3721.85지방도 제510호선 (중부로)
지방도 제511호선 (신대석성로)
32진천Jincheon11.9933.84국도 제21호선 (덕금로)진천군
33대소 분기점Daeso JC8.5042.34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음성군
34대소Daeso4.1946.53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대금로)구 음성 나들목
SA
34-1
음성휴게소[60]
삼성
Eumseong SA
Samseong
4.6651.19지방도 제329호선 (금일로)양방향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35일죽Iljuk8.2559.44국도 제38호선 (서동대로)
지방도 제306호선 (서동대로)
경기도안성시
35-1남이천S.Icheon10.7170.15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사실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공원로
이천시
36호법 분기점Hobeop JC6.0076.1550호선 영동고속도로
37마장 분기점Majang JC2.3878.5337호선 제2중부고속도로청주방향의 경우 제2중부고속도로(하남방향) 진출 불가능
SA마장프리미엄휴게소Majang Premium SA하남방향
SA이천휴게소Icheon SA청주방향
38서이천W.Icheon3.3181.84국도 제3호선 (경충대로)
국도 제42호선 (중부대로)
서이천로
SA
38-1
이천쌀휴게소[61]
신둔
Icheon Ssal SA
Sindun
3.0084.84서이천로853번길
도자예술로62번길
하남방향
중부고속도로와 제2중부고속도로 연결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하남방향 진출입만 가능
38-2곤지암 분기점Gonjiam JC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광주시청주방향의 경우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화성방향) 진출 불가능
39곤지암Gonjiam7.7192.55국도 제3호선 (경충대로)
39-1경기광주 분기점Gyeonggi-Gwangju JC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52호선 광주원주고속도로하남방향의 경우 광주원주고속도로(원주방향) 진출 불가능
40광주Gwangju12.12104.67국도 제43호선 (회안대로)
국도 제45호선 (회안대로·태허정로)
지방도 제342호선 (회안대로·태허정로)
해공로
41산곡 분기점Sangok JC4.94109.6137호선 제2중부고속도로하남시하남방향의 경우 제2중부고속도로(이천방향) 진출 불가능
TG동서울 요금소E.Seoul TG본선요금소
42하남Hanam5.19114.80국도 제6호선 (경강로)
국도 제43호선 (하남대로)
국도 제45호선 (미사대로·창우로)
팔당대교
하남방향 진입, 청주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
SA하남드림휴게소[62]Hanam Dream SA양방향
회차 가능
43하남 분기점Hanam JC2.43117.23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60호선 서울양양고속도로)
종점
하남방향 직진시 서울양양고속도로 간접 연결


4. 2. 제2중부고속도로

1990년대에 중부고속도로가 포화되면서 확장을 계획했으나, 당시로서는 파격적이었던 나들목(IC)이 없는 급행 고속도로를 병행하는 형태로 신설하여 확장하기로 결정되었고, 2001년 마장 분기점~산곡 분기점 구간이 '''제2중부고속도로'''로 개통되었다.[28]

'''24시간 교통량'''(대): 교통량 통계연보(수시 통계)

구간2005년2010년2015년2020년2022년
(제2중부) 마장 분기점 - 경기광주 분기점54,17964,38463,17052,89851,382
(제2중부) 경기광주 분기점 - 산곡 분기점74,35071,110


5. 주요 통과지

중부고속도로는 충청북도와 경기도를 통과한다.

; 충청북도

: 청주시, 진천군, 음성군을 지난다.

; 경기도

: 안성시, 이천시, 광주시, 하남시를 지난다.

'''24시간 교통량'''(대)[1]

구간1988년1990년1995년2000년2005년2010년2015년2020년2022년
남이IC - 서청주IC7,88618,79837,98744,09642,65755,08060,05463,23767,382
서청주IC - 오창IC8,85121,64044,12350,69944,66960,88966,27872,26569,258
오창IC - 오창 분기점53,50053,56460,91364,72564,35869,744
오창 분기점 - 증평IC74,00076,305
증평IC - 진천IC8,98422,01544,36152,51751,54557,66264,72571,95273,562
진천IC - 대소 분기점9,66322,76144,11649,61442,24257,04662,98164,33067,939
대소 분기점 - 대소IC51,01756,27456,08961,339
대소IC - 삼성휴게소(하행선)9,83425,76950,98954,36846,12951,09151,92055,04959,446
삼성휴게소(하행선) - 일죽IC56,63863,981


5. 1. 충청북도

시군읍면동
청주시서원구 남이면 - 흥덕구 (석곡동 - 강서동 - 비하동 - 지동동 - 향정동 - 신성동 - 남촌동 - 외북동 - 남촌동 - 외북동 - 내곡동 - 상신동) - 옥산면 - 청원구 오창읍
진천군초평면 - 문백면 - 초평면 - 진천읍 - 덕산읍 - 이월면
음성군대소면 - 삼성면


5. 2.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 죽산면 - 일죽면) - 이천시 (모가면 - 호법면 - 마장면 - 신둔면) - 광주시 (도척면 - 곤지암읍 - 초월읍 - 남한산성면) - 하남시 (상산곡동 - 하산곡동 - 천현동 - 덕풍동 - 춘궁동)

1980년대 경부고속도로의 포화에 대비하여 경기도와 충청도를 우회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1] 경부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경기도 내륙의 자치단체를 경유하여 고속도로 접근성을 높였다.[1]

1990년대 중부고속도로 역시 포화되면서 2001년 마장 분기점~산곡 분기점 구간에 '''제2중부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1]

'''24시간 교통량'''(대)[1]

구간1988년1990년1995년2000년2005년2010년2015년2020년2022년
일죽IC - 남이천IC11,91129,27157,33464,18350,62756,18562,90564,50473,690
남이천IC - 호법 분기점74,57280,015
호법 분기점 - 마장 분기점17,76739,96463,88367,83879,570104,951106,80386,72896,201
마장 분기점 - 서이천IC29,48440,56444,02240,65242,009
서이천IC - 곤지암 분기점41,86946,55052,04742,08253,491
곤지암 분기점 - 곤지암IC52,083
곤지암IC - 경기광주 분기점20,79545,23169,92571,54246,22852,33853,35445,10747,912
경기광주 분기점 - 광주IC53,67061,848
광주IC - 산곡 분기점23,49750,98879,49778,74164,59271,03673,82964,96376,738
산곡 분기점 - 하남IC122,991131,577135,840119,143142,920
하남IC - 하남 분기점데이터 없음128,120144,694162,528149,989148,538
(제2중부) 마장 분기점 - 경기광주 분기점미개통54,17964,38463,17052,89851,382
(제2중부) 경기광주 분기점 - 산곡 분기점74,35071,110


6. 통영대전고속도로와의 노선 번호 중복

2001년 고속도로 개편으로 통영대전고속도로와 노선 번호를 공유하게 되어, 두 도로가 같은 고속도로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56] 교통방송 등에서는 중부고속도로와 기종점을 공유하는 '''통영~하남 간 고속국도 제35호선'''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하지만 두 고속도로는 고속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별개의 고속도로로 지정되어 있다.[57] 무안광주고속도로광주대구고속도로 등도 노선 번호는 동일하지만 별개 노선으로 지정된 유사한 사례이다. 반면, 남해고속도로는 영암~순천 구간과 서순천~부산 구간이 분리되어 있음에도 단일 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2001년에 노선 번호를 공유하는 익산포항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등은 명칭이 통일되었지만, 중부고속도로와 통영대전고속도로는 별개로 유지되었다. 이는 1987년 중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서울과 대전을 잇는 '중부지방을 가로지르는 고속도로'라는 의미로 명명되었기 때문이다.

무안광주고속도로광주대구고속도로, 오산화성고속도로용인서울고속도로처럼 노선 번호만 같고 별개의 고속도로인 경우 기종점 합산도 별개로 하지만, 중부고속도로는 통영 나들목을 기준으로 거리를 계산하기도 한다. 실제로 중부고속도로 우측 거리 표지는 통영 나들목을 기준으로 한다.

제35호선 전체 길이는 332.53km이다. 동서울 방면 주행 시 하남 분기점 끄트머리 오른편 '동서울 0km' 표지판 바로 앞에 있는 표지판에 표시되어 있다.

7. 특이사항

하남방향 이천휴게소를 통하여 기존 중부고속도로와 제2중부고속도로 간 상호 이동이 가능하다. 당초 제2중부고속도로에서 기존 중부고속도로 방향만 이동 가능하였으나, 연결 통로가 개설되어 안내 표지판을 따라가면 된다.[1]

1980년대 경부고속도로가 포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한국 중부 지역(경기도·충청도)을 우회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2] 경기도와 충청북도 내륙의 자치단체들을 경유하여 고속도로 접근성을 높이고, 서울 동부에 동서울터미널을 신설하여 경부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하도록 설계되었다.[2] 또한, 우회 노선으로서 빠른 주행이 가능하도록 최고 속도를 시속 10km 높인 110km로 지정하였다.[2]

1990년대에 중부고속도로 역시 포화되면서 확장을 계획했으나, IC가 없는 급행 고속도로를 병행하는 형태로 신설하여 확장하기로 결정되었고, 2001년 마장 분기점~산곡 분기점 구간에 '''제2중부고속도로'''로 개통되었다.[3]

2001년까지 고속국도 10호였으나, 번호 체계 개정 이후 국토를 남북으로 종관하는 세 번째 축으로 통영대전고속도로와 같은 35호로 지정되었다.[4] 다만, 노선 지정은 통합되지 않아 도로 표지 등에서는 구분하여 안내하고 있다.[4]

참조

[1] 일반
[2] 뉴스 도공 "평창동계올림픽 가는길, 안전개선 나선다"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신문 2016-03-09
[3] 간행물 대통령령 제11700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5-05-29
[4]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476호 http://theme.archive[...] 1985-11-02
[5]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84호 http://theme.archive[...] 1986-03-06
[6]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411호 http://theme.archive[...] 1986-09-23
[7]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51호 http://theme.archive[...] 1987-02-17
[8] 뉴스 中部고속도로 開通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7-12-03
[9]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44호 http://theme.archive[...] 1987-12-19
[10] 뉴스 中部(중부) 고속 인터체인지 陰城(음성) 曾坪(증평) 2곳에개설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8-08-01
[11]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725호 http://theme.archive[...] 1990-10-26
[12] 간행물 대통령령 제13433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1-07-25
[13]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46호 http://theme.archive[...] 1992-02-13
[14]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282호 http://theme.archive[...] 1992-06-09
[15]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3-218호 http://theme.archive[...] 1993-06-19
[16]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4-35호 http://theme.archive[...] 1994-02-08
[1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52호 http://theme.archive[...] 1997-02-24
[1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29호 http://theme.archive[...] 1998-07-16
[1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20호 http://theme.archive[...] 1997-07-10
[2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34호 http://theme.archive[...] 1997-10-24
[2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13호 http://theme.archive[...] 1998-07-04
[22] 뉴스 도공, 중부고속도로 오창 IC 등 개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8-12-30
[2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194호 http://theme.archive[...] 2000-07-22
[2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57호 http://gwanbo.mois.g[...] 2001-03-09
[25] 뉴스 중부고속도로 서이천IC 1일 개통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1-07-31
[26] 간행물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5-24
[2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242호 http://gwanbo.mois.g[...] 2001-09-20
[28]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317호 http://gwanbo.mois.g[...] 2001-11-21
[29]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01-3호 http://gwanbo.mois.g[...] 2001-12-15
[3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93호 http://gwanbo.mois.g[...] 2002-05-15
[31]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04-3호 http://gwanbo.mois.g[...] 2004-11-10
[32] 뉴스 '동서울 만남의 광장'휴게소 '하남(동서울) 만남의 광장' 명칭 변경 http://m.kihoilbo.co[...] 기호일보 2005-03-02
[3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104호 http://gwanbo.mois.g[...] 2006-04-05
[34]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07-4호 http://gwanbo.mois.g[...] 2007-11-08
[3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7-590호 http://gwanbo.mois.g[...] 2007-12-18
[36]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09-2호 http://gwanbo.mois.g[...] 2009-05-27
[37]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10-2호 http://gwanbo.mois.g[...] 2010-08-31
[38]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http://gwanbo.mois.g[...] 2010-12-28
[39]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531호 http://gwanbo.mois.g[...] 2011-09-30
[40] 뉴스 중부고속도로 마장 프리미엄 휴게소 개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4-04
[4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275호 http://gwanbo.mois.g[...] 2013-06-04
[42] 뉴스 중부고속도 마장휴게소에 국내 첫 전용 회차로 개통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3-07-02
[4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816호 http://gwanbo.mois.g[...] 2015-11-27
[44]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5-1541호 http://gwanbo.mois.g[...] 2015-12-28
[45] 뉴스 12월 24일 중부고속 남이천 나들목(IC) 준공식 개최 http://www.gukjenews[...] 국제뉴스 2015-12-25
[46] 뉴스 오늘부터 중부·영동고속도로 공사...1개 차로 통제 http://www.ytn.co.kr[...] YTN 2016-03-15
[47] 간행물 경찰청고시 제2016-7호 http://gwanbo.mois.g[...] 2016-08-03
[48]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6-1693호 http://gwanbo.mois.g[...] 2016-12-21
[49] 뉴스 고속도로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4곳 이달 개통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12-19
[50]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107호 http://gwanbo.mois.g[...] 2017-03-08
[5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747호 http://gwanbo.mois.g[...] 2017-11-24
[52]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7-1720호 http://gwanbo.mois.g[...] 2017-12-20
[53] 뉴스 한국도로공사, 영동선 시설개량 등 평창 올림픽 지원 http://www.joongboo.[...] 중부일보 2018-01-10
[5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05호 http://gwanbo.mois.g[...] 2019-09-25
[5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372호 https://gwanbo.go.kr[...] 2020-05-12
[56] 일반 통영대전·중부고속도로
[57] 법률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8-25
[58] 일반 고속국도 제12호선
[59] 일반 고속국도 제171호선
[60] 일반 옛 중부휴게소
[61] 일반 옛 이천휴게소
[62] 일반 옛 동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 하남(동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 하남만남의광장휴게소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