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봉쇄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륙봉쇄령은 나폴레옹이 영국을 고립시키기 위해 1806년 베를린 칙령을 시작으로 유럽 대륙과 영국 간의 무역을 금지한 정책이다. 영국 해군에 대한 열세로 해상 봉쇄가 불가능해지자 경제 전쟁을 선택한 것이다. 영국은 해상 봉쇄로, 나폴레옹은 밀라노 칙령으로 대응하며, 중립국 선박의 압류를 통해 봉쇄령을 강화했다.
대륙봉쇄령은 영국 경제에 타격을 주었지만, 영국은 새로운 시장 개척과 밀수를 통해 손실을 상쇄했다. 프랑스 및 유럽 대륙에도 경제적 피해를 입혔으며, 특히 프랑스 남부 항구 도시들은 무역 감소로 어려움을 겪었다. 스칸디나비아와 발트해 지역은 영국의 해상 공격과 봉쇄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러시아는 봉쇄령을 어기고 영국과 무역을 재개하며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에 영향을 미쳤다. 대륙봉쇄령은 프랑스 산업의 한계, 유럽 각국의 경제적 의존성 등으로 인해 모순을 드러냈고, 나폴레옹 전쟁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전 - 총력전
총력전은 국가의 모든 자원을 전쟁에 동원하는 극단적인 전쟁 형태로, 파괴적인 수단이 동원되고 민간인과 군인의 구분이 없어지며 사회, 경제 등 광범위한 영역에 영향을 미쳤다. - 경제전 - 카이베르파크툰크와 반란
카이베르파크툰크와 반란은 2001년 9.11 테러 이후 파키스탄 북서부 국경 지역에서 발생한 복잡한 무장 분쟁으로, 파슈툰족 소외감, 이슬람화 정책, 탈레반 은신처 제공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파키스탄 사회에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고 현재까지 안보 위협으로 남아있다. - 경제 내셔널리즘 - 항해법
항해법은 14세기부터 19세기까지 영국이 자국의 해운업과 무역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한 일련의 법률로, 영국 선박과 선원에 의한 무역을 제한하고 식민지 경제를 제약하여 미국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었으며, 19세기에 자유 무역 사상 확산으로 폐지되었다. - 경제 내셔널리즘 - 수입 대체 산업화
수입 대체 산업화는 개발도상국이 관세 장벽과 정부 지원 등으로 수입품을 자국 생산품으로 대체하여 산업을 발전시키려는 경제 전략이지만, 비효율성, 경쟁력 약화, 부채 위기 등의 문제점도 야기하며, 그 성공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대륙봉쇄령 | |
---|---|
개요 | |
명칭 | 대륙 봉쇄령 |
로마자 표기 | Daeryuk Bongso-ryeong |
프랑스어 표기 | Blocus continental |
역사적 배경 | |
발효 시점 | 1806년 11월 21일 |
발효 장소 | 베를린 |
폐지 시점 | 1814년 4월 11일 |
주창자 | 나폴레옹 1세 |
목표 | |
주요 목표 | 영국 고립 및 경제적 타격 |
추가 목표 | 유럽 대륙에 대한 프랑스의 경제적, 정치적 헤게모니 확립 |
관련국 | |
주요 관련국 | 프랑스 제1제국 영국 유럽 대륙 국가들 (프랑스의 영향력 하에 놓인 국가들) |
참여국 | 프랑스 네덜란드 스페인 나폴리 왕국 프로이센 덴마크-노르웨이 러시아 제국 (1807년 ~ 1810년) 스웨덴 (명목상) |
주요 내용 | |
핵심 내용 | 유럽 대륙과 영국 간의 모든 무역과 통상을 금지 |
영국 상품 | 영국 상품의 수입 및 유통 금지, 영국 선박의 유럽 항구 출입 금지 |
결과 및 영향 | |
경제적 영향 | 유럽 대륙의 경제적 혼란과 불황 초래 영국 경제에도 타격을 주었으나,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시장 개척으로 극복 밀수 성행 및 미국과의 무역 분쟁 심화 (1812년 전쟁의 한 원인) |
정치적 영향 | 프랑스의 대륙 지배 강화 시도 각국의 반(反)프랑스 감정 고조 및 저항 운동 촉발 러시아의 이탈 및 나폴레옹의 몰락에 간접적인 영향 |
관련 사건 | |
주요 사건 | 퐁텐블로 조약 (1807년) 밀라노 칙령 (1807년) 1812년 전쟁 (미국과 영국 간의 전쟁) |
추가 정보 | |
추가 정보 | 대륙 봉쇄령은 나폴레옹 전쟁의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유럽의 정치, 경제, 사회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침. |
2. 배경
영국은 프랑스에 대항하는 동맹을 지원하고 자금을 제공하는 중심 세력이었다. 나폴레옹은 영국을 꺾으려는 시도가 계속 실패하자, 경제 전쟁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영국 경제를 붕괴시키려 했다. 당시 영국은 유럽과의 무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유럽 대륙과의 무역을 차단하면 영국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평화를 요구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영국 해군이 해상을 장악하고 있었지만, 나폴레옹은 유럽의 항구를 장악하여 영국의 상품 상륙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9]
나폴레옹은 영국의 무역 능력을 파괴하여 경제적으로 고립시키고자 했다. 섬나라인 영국에게 무역은 매우 중요한 생명선이었기 때문이다. 나폴레옹은 모든 유럽 국가와 프랑스 동맹국들에게 영국과의 교역을 중단하라고 명령했으며, 러시아에게도 이를 따르지 않으면 침략하겠다고 위협했다. 그러나 그의 명령은 포르투갈에서 역효과를 낳아 반도 전쟁을 촉발시켰고, 바르샤바 공국의 일부에 대한 통제권을 요구하는 등 러시아를 지나치게 압박하여 결국 러시아 침공이라는 재앙적인 결과를 초래했다.[12]
2. 1. 영국의 해상 봉쇄
영국 해군은 1806년 5월 16일 프랑스 및 그 동맹국 해안에 대한 해상 봉쇄를 실시하여, 프랑스의 해상 무역을 차단하려 했다.[9] 이에 나폴레옹은 경제 전쟁으로 맞섰다.[10] 영국은 1807년 1월 10일과 11월 11일에 추밀원 명령으로 대응하여 프랑스와의 무역을 금지하고, 해군에게 프랑스 및 동맹 항구를 봉쇄하고 중립 선박 운송을 막도록 지시했다.[11]2. 2. 베를린 칙령 (1806)
나폴레옹이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을 물리치고 베를린에 입성한 후 1806년 11월 21일 베를린에서 발령했기에 베를린 칙령이라고도 한다.[32][33] 나폴레옹은 칙령을 통해 영국과의 통상 및 통신의 금지, 영국 선박의 대륙 내 항구 출입 금지와 위반 선박의 몰수 등을 천명하였다.
1806년 5월 16일, 영국 해군은 프랑스 및 프랑스 동맹국 해안에 해상 봉쇄를 가했고, 이에 나폴레옹은 경제 전쟁으로 맞섰다. 산업 혁명의 결과로 영국은 유럽의 제조업 및 상업 중심지였다. 나폴레옹은 자신의 통제하에 있는 유럽 국가들과의 무역 금수 조치를 이용하여 인플레이션을 일으키고 막대한 부채를 발생시켜 영국의 힘을 약화시키는 것이 쉬울 것이라고 믿었다. 그의 입지는 1806년 10월 베를린 함락으로 강화되었고, 이를 통해 프로이센 왕국의 광대한 영토를 장악하게 되었다.
1806년 11월, 유럽 대륙의 모든 주요 세력을 정복하거나 동맹을 맺은 나폴레옹은 1806년 5월 17일 영국 추밀원 명령에 대한 보복으로, 브레스트에서 엘베강에 이르는 모든 항구를 봉쇄하는 명령을 내리고, 자신의 동맹국과 정복국에게 영국과의 교역을 금지하는 베를린 칙령을 발표했다.[10]
2. 3. 영국의 대응과 추가 조치
영국은 1807년 1월 10일과 11월 11일에 추밀원 명령을 추가로 발표하여 프랑스 및 그 동맹국과의 무역을 금지했다.[11] 이 명령은 영국 해군에게 프랑스와 그 동맹국의 모든 항구를 봉쇄하고, 중립국 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의 운송을 막도록 지시했다.2. 4. 밀라노 칙령 (1807)
나폴레옹은 1807년 밀라노 칙령을 통해, 영국 항구를 이용하거나 영국 관세를 지불하는 모든 중립 선박을 영국 선박으로 간주하고 나포를 허용한다고 선언했다.[10]3. 대륙봉쇄령의 전개
나폴레옹은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을 물리치고 1806년 11월 21일 베를린에서 대륙봉쇄령을 발령했다. 이를 베를린 칙령이라고도 한다.[32][33] 나폴레옹은 이 칙령을 통해 영국과의 통상 및 통신 금지, 영국 선박의 대륙 내 항구 출입 금지, 위반 선박 몰수 등을 명시했다. 이 조치로 프랑스는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으나, 동맹국들은 영국의 불황에도 불구하고 이익을 얻지 못해 불만을 품게 되었다. 또한, 대륙 여러 나라는 영국과의 무역 중단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프랑스와의 마찰이 심화되었고, 나폴레옹에 대한 적개심이 커졌다.
1806년 5월 16일, 영국 해군은 프랑스 및 프랑스 동맹국 해안에 해상 봉쇄를 가했고, 나폴레옹은 경제 전쟁으로 맞섰다. 산업 혁명으로 유럽의 제조업 및 상업 중심지가 된 영국을 약화시키기 위해, 나폴레옹은 유럽 국가들과의 무역 금수 조치를 통해 인플레이션과 부채를 유발하려 했다. 1806년 10월 베를린 함락으로 프로이센 왕국의 영토를 장악하며 그의 입지는 강화되었다.
1806년 11월, 나폴레옹은 브레스트에서 엘베강에 이르는 모든 항구를 봉쇄하고, 동맹국과 정복국에 영국과의 교역을 금지하는 베를린 칙령을 발표했다.[10] 이는 1806년 5월 17일 영국 추밀원 명령에 대한 보복이었다. 영국은 1807년 1월 10일과 11월 11일에 추가 추밀원 명령으로 대응하여,[11] 프랑스 및 동맹국과의 무역을 금지하고 중립 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 운송을 막도록 했다. 나폴레옹은 1807년 밀라노 칙령으로 다시 대응하여, 영국 항구를 이용하거나 영국 관세를 지불하는 중립 선박을 영국 선박으로 간주하고 압수한다고 선언했다.
나폴레옹은 영국을 경제적으로 고립시켜 굴복시키려 했으나, 그의 명령은 포르투갈에서 역효과를 낳아 반도 전쟁을 촉발했다. 또한 러시아를 압박한 결과, 1812년 러시아 침공이라는 재앙을 맞이하며[12]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3. 1. 동맹국의 반발과 강제 참여
프랑스에 종속됐던 유럽의 여러 나라 및 북유럽은 대륙봉쇄령 참가를 강요받았다. 반나폴레옹 정책을 고수한 스웨덴은 이에 반발하였으나, 나폴레옹은 러시아 제국을 이용하여 스웨덴을 굴복시키고 봉쇄령에 참가하게 만들었다. 포르투갈 역시 협력을 거부하자 나폴레옹은 이베리아반도에 군대를 파병하였다. 그 때문에 스페인의 정쟁(政爭)에 개입하게 되어 이득없는 이베리아반도전쟁의 진흙탕에 빠져들게 되었다.3. 2. 포르투갈 침공 (1807)
나폴레옹은 포르투갈이 대륙봉쇄령을 어기고 영국 선박들의 리스본 항구 출입을 허용하자, 1807년 11월에 스페인과 퐁텐블로 조약을 통해 포르투갈에 대한 분할통치를 협약한후, 앙도슈 쥐노 장군에게 3만 명의 병력을 주어 포르투갈 침공을 명했다.[34][35] 포르투갈 왕실은 침공이 시작되자 귀족과 관리, 부유한 상인 등 약 1만여 명과 함께 영국 해군의 호위를 받으며 브라질로 도피했다.[36]프랑스 군은 손쉽게 포르투갈을 정복했으나, 포르투갈에 상륙한 영국군과 재결집한 포르투갈 군대, 그리고 포르투갈 민중의 강한 저항을 받아 점령 통치에 어려움을 겪었다.[37] 여러 전투에서 패배한 프랑스군은 이듬해 8월에 포르투갈에서 퇴각하였으며, 이후 1809년과 1810년에 포르투갈을 재차 침공하였다.[38]
1793년 포르투갈은 영국과 상호 지원 조약을 체결한 상태였기에[25] 대륙 봉쇄령에 공개적으로 참여를 거부했다. 1807년 7월 틸지트 조약 이후 나폴레옹은 포르투갈 함대와 브라간사 왕가를 점령하고 포르투갈 항구를 장악하려 했다. 그러나 섭정 주앙 6세가 모후 마리아 1세를 대신하여 영국 해군의 호위를 받으며 함대와 함께 포르투갈 궁정을 브라질로 이전했기 때문에 실패했다. 이후 포르투갈 국민들은 웰링턴 공작이 된 아서 웰즐리가 지휘하는 영국 육군의 도움을 받아 프랑스 침략자들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3. 3. 이베리아 반도 전쟁 (1808-1814)
1807년 11월, 포르투갈이 대륙봉쇄령을 어기고 영국 선박들의 리스본 항구 출입을 허용하자 나폴레옹은 스페인과 퐁텐블로 조약을 통해 포르투갈에 대한 분할통치를 협약한 후, 앙도슈 쥐노 장군에게 3만 명의 병력을 주어 포르투갈을 침공했다.[34][35] 침공이 시작되자 포르투갈 왕실은 귀족, 관리, 부유한 상인 등 약 1만여 명과 함께 영국 해군의 호위를 받으며 브라질로 도피했다.[36] 프랑스 군은 손쉽게 포르투갈을 정복했으나, 포르투갈에 상륙한 영국군과 재결집한 포르투갈 군대, 그리고 포르투갈 민중의 강한 저항으로 점령 통치에 어려움을 겪었다.[37] 여러 전투에서 패배한 프랑스군은 이듬해 1808년 8월에 포르투갈에서 퇴각하였으며, 이후 1809년과 1810년에 포르투갈을 재차 침공하였다.[38]포르투갈은 1793년 영국과 상호 지원 조약을 체결한 후[25] 대륙 봉쇄령에 공개적으로 참여를 거부했다. 1807년 7월 틸지트 조약 이후 나폴레옹은 포르투갈 함대와 브라간사 왕가를 점령하고 포르투갈 항구를 장악하려 했으나, 섭정 주앙 6세가 모후 마리아 1세를 대신하여 영국 해군의 호위를 받으며 함대와 함께 포르투갈 궁정을 브라질로 이전했기 때문에 실패했다. 이후 포르투갈 국민들은 웰링턴 공작이 된 아서 웰즐리가 지휘하는 영국 육군의 도움을 받아 프랑스 침략자들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나폴레옹은 개입했고, 1808년 이베리아 반도 전쟁이 시작되었다. 나폴레옹은 또한 스페인 왕가에게 퇴위를 강요하여 자신의 형제인 조제프 보나파르트를 왕위에 앉혔다.
3. 4. 러시아 원정 (1812)
1810년 러시아 제국은 대륙봉쇄령을 파기하고 영국과 무역을 재개했다. 황제 나폴레옹 1세는 이 법령을 파기한 러시아를 본보기로 처벌하기 위해 1812년 러시아 원정을 감행했으나, 러시아의 초토화 작전에 따라 대패를 당해 몰락을 초래하였다.[12]4. 대륙봉쇄령의 영향
대륙봉쇄령은 영국, 프랑스, 그리고 유럽 대륙 전체에 걸쳐 광범위한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는 대륙 시장을 독점하려 했으나 생산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다른 나라들은 물자 부족 사태를 겪었다. 영국은 역봉쇄령을 내려 프랑스와 그 동맹국으로의 물자 유입을 막았다. 이로 인해 영국뿐만 아니라 나폴레옹 지배 하의 여러 나라가 고통받았고, 봉쇄령 위반 사례도 빈번했다.[20]
프랑스 자체도 대륙봉쇄령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조선업, 로프 제작, 린넨 산업 등 해외 시장 의존도가 높은 산업들이 쇠퇴했다. 수출 감소와 수익 손실로 많은 산업이 문을 닫았고, 마르세유, 보르도, 라 로셸 등 남부 항구 도시들은 무역 감소로 큰 타격을 받았다.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 기본적인 식량 가격이 상승했다.[20]
1810년 7월, 나폴레옹의 생클루 포고령은 프랑스 남서부와 스페인 국경을 통한 제한적인 영국 무역을 허용하고, 프랑스 무역을 미국에 다시 개방했다. 이는 봉쇄령이 영국보다 프랑스 경제에 더 큰 피해를 줬음을 인정한 것이었다. 또한, 이 포고령은 동맹국에 대한 영국의 재정 지원을 줄이는 데 실패했다.[21] 프랑스 북부, 동부, 왈로니아(현재 벨기에 남부) 등 산업화된 지역은 영국 상품과의 경쟁 부족으로 수익이 크게 증가했다.
이탈리아에서는 농업 부문이 번성했지만,[22] 무역 중심의 네덜란드 경제는 금수 조치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나폴레옹의 경제 전쟁은 그의 형제인 홀란드의 루이 1세에게 큰 실망을 안겨주었다.
4. 1. 영국
1806년 나폴레옹이 베를린 칙령을 발표하여 영국과의 교역을 금지하자, 영국은 해상 봉쇄로 맞섰다. 이는 중립국이었던 미국과의 관계를 악화시켜 1812년 영미 전쟁을 초래했다.[17]산업 혁명으로 유럽의 제조업 및 상업 중심지였던 영국은[10] 대륙 봉쇄령으로 인해 유럽 대륙으로의 수출이 25%에서 55%까지 감소했다.[15][16] 그러나 새로운 시장 개척과 밀수를 통해 손실을 일부 상쇄했다.[15][16] 특히 영국 상인들은 나폴레옹이 선택한 통치자들의 묵인 하에 스페인, 베스트팔렌 등지에서 밀수를 활발히 진행했다.[13][14]
영국은 1807년 추밀원 명령을 발표하여 프랑스와 교역하는 국가에 대한 제재를 가했다.[11] 이는 미국에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했고, 미국은 1807년 금수 조치법 등으로 대응했지만, 미국과의 전쟁으로 이어졌다.[17]
결과적으로 대륙 봉쇄령은 영국 경제에 큰 타격을 주지는 못했다. 1810년부터 1812년까지 영국은 높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을 겪었지만, 러다이트 운동과 같은 노동자 계급의 저항을 진압하며[18][19]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해 나갔다.
4. 2. 프랑스 및 유럽 대륙
프랑스는 대륙봉쇄령으로 대륙 시장을 독점하려 하였으나, 생산력이 따르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다른 나라에서는 물자 부족 사태가 발생했다. 영국은 역봉쇄령을 내려 프랑스나 그 동맹국으로 들어가는 것을 금지하였다. 이 대륙봉쇄령으로 인해 영국뿐만 아니라 나폴레옹의 지배 아래에 있던 여러 나라가 고통을 받았고, 봉쇄령을 위반하는 사례도 발생했다.[20]프랑스 자체도 대륙봉쇄령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조선업과 로프 제작 같은 관련 산업은 쇠퇴했으며, 린넨 산업과 같이 해외 시장에 의존하는 다른 많은 산업도 쇠퇴했다. 수출 감소와 수익 손실로 인해 많은 산업이 문을 닫았다. 특히 마르세유, 보르도, 라 로셸과 같은 프랑스 남부의 항구 도시들은 무역 감소로 고통받았다. 더욱이 대부분의 유럽 대륙에서 기본적인 식량 가격이 상승했다.[20]
1810년 7월, 나폴레옹의 생클루 포고령은 프랑스 남서부와 스페인 국경을 제한적인 영국 무역에 개방하고, 프랑스 무역을 미국에 다시 개방했다. 이는 봉쇄령이 영국보다 프랑스 경제에 더 큰 피해를 입혔다는 것을 인정한 셈이었다. 또한, 이 포고령은 동맹국에 대한 영국의 재정 지원을 줄이는 데 실패했다.[21] 프랑스의 산업화된 북부 및 동부 지역과 왈로니아(현재 벨기에 남부)는 영국 상품(특히 영국에서 훨씬 저렴하게 생산된 섬유)과의 경쟁 부족으로 인해 수익이 크게 증가했다.
이탈리아에서는 농업 부문이 번성했지만,[22] 무역을 기반으로 한 네덜란드 경제는 금수 조치의 결과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나폴레옹의 경제 전쟁은 그의 형제인 홀란드의 루이 1세에게 큰 실망을 안겨주었다.
4. 3. 스칸디나비아와 발트해 지역
영국은 덴마크-노르웨이가 표면상 중립이었지만, 함대를 나폴레옹에게 넘기라는 프랑스와 러시아의 압력을 받고 있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1807년 8월~9월 제2차 코펜하겐 해전에서 영국 해군은 코펜하겐을 폭격하고 덴마크 함대를 나포하여, 영국 상선대에 대한 북해와 발트해의 해상 통제권을 확보했다.[23][24] 덴마크 서해안의 헬리고랜드 섬은 1807년 9월에 점령되어, 영국이 북해 항구로의 무역을 통제하고 밀수를 용이하게 하는 기지가 되었다.제3차 동맹에서 영국의 동맹국이었던 스웨덴은 프랑스의 요구를 거부했고, 1808년 2월에 러시아의 공격을, 3월에는 덴마크-노르웨이의 공격을 받았다. 영국 해군은 1808년 예테보리 항구 외곽에 기지를 세워 발트해 작전을 지원했고, 부제독 제임스 소마레즈가 지휘를 맡았다. 1810년 11월 프랑스는 스웨덴에 영국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모든 무역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스웨덴과 영국 간의 가짜 전쟁이 일어났고, 실제로는 무역이 유지되었다. 영국은 스웨덴 남부의 하뇌 섬에 두 번째 해군 기지를 설치하고, 1809년 5월에는 덴마크 섬인 안홀트를 점령하여 호송선을 지원했다.
5. 대륙봉쇄령의 문제점과 모순
대륙봉쇄령은 여러 가지 모순을 안고 있었다. 첫째, 프랑스 산업은 영국을 대체할 만큼 발전하지 못했다. 둘째, 유럽 각국은 영국과의 교역 관계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한자 도시와 네덜란드는 교역을 기반으로, 러시아, 프로이센, 이탈리아, 스페인은 농업국으로, 서남 독일은 공업이 발달하여 영국과의 교역 없이는 경제 유지가 어려웠다.[39]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he War of 1812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2]
서적
Napoléon
Hachette
[3]
간행물
Blockade and Economic Warfar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4]
간행물
Napoleonic Wars and Economic Imperialism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5]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European Politics 1763–1858
[6]
서적
Histoire et dictionnaire du Consulat et de l'Empire
Robert Laffont
[7]
서적
Napoleon and the Transformation of Europe
[8]
논문
"Wars, blockade, and economic change in Europe, 1792–1815."
[9]
서적
The Era of the French Revolution (1715–1815)
[10]
웹사이트
Documents upon the ContinentaI System 1806
https://www.napoleon[...]
[11]
웹사이트
The Acts, Orders in Council, &c. of Great Britain (on Trade), 1793–1812
http://www.napoleon-[...]
[12]
웹사이트
Napoleon Invades Russia
http://www.nationalg[...]
2020-04-06
[13]
서적
Britain against Napoleon
[14]
논문
"Napoleon and the 'City of Smugglers', 1810–1814"
[15]
서적
Napoleon Bonaparte: His rise and fall
[16]
논문
"A serious cause of social and economic dislocation"
[17]
서적
Britain against Napoleon
[18]
서적
[19]
서적
Britain Ascendant
[20]
서적
The continental system: an economic interpretation
[21]
논문
"Napoleon's St. Cloud Decree, 3 July 1810: Text and Analysis,"
[22]
논문
"The Kingdom of Italy and Napoleon's Continental Blockade,"
[23]
논문
"The Causes of the British Attack upon Copenhagen in 1807."
https://www.jstor.or[...]
[24]
서적
Defying Napoleon: How Britain Bombarded Copenhagen and Seized the Danish Fleet in 1807
[25]
서적
Supplemeto á Collecção dos tratados, convenções, contratos e actos publicos celebrados entre a corôa de Portugal e as mais potencias desde 1640
https://books.google[...]
Imprensa nacional
[26]
지식백과
밀라노칙령
두산백과
[27]
서적
상식밖의 세계사
새길
1994-03-15
[28]
지식백과
대륙 봉쇄령
Basic 고교생을 위한 세계사 용어사전
2002-09-25
[29]
서적
스페인 역사 100장면
가람기획
2003-05-14
[30]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31]
지식백과
대륙봉쇄
두산백과
[32]
지식백과
베를린칙령
두산백과
[33]
서적
나폴레옹
교양인
[34]
서적
스페인,포르투칼사
대한교과서
1988-04-15
[35]
서적
스페인 역사 100장면
가람기획
2003-05-14
[36]
서적
라틴아메리카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37]
서적
스페인,포르투칼사
대한교과서
1988-04-15
[38]
서적
스페인,포르투칼사
대한교과서
1988-04-15
[39]
뉴스
나폴레옹, 자유무역을 봉쇄하다 _ 대륙봉쇄령
https://www.vop.co.k[...]
민중의 소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