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만은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은행은 1899년 일본 통치 시대에 설립되어 대만 달러를 발행하고 일제강점기 대만의 최대 상업 은행으로 기능했다. 1946년 중화민국 통치 시대에 대만 저축 은행, 산와 은행의 점포망을 통합하여 재출범했으며, 신 대만 달러를 발행하며 중앙은행 역할을 수행했다. 1961년 중화민국 중앙은행 재설립 이후 상업은행으로 전환되었고, 1998년 국영 은행이 되었다. 2007년 중앙신탁국을 흡수 합병하고, 2008년 대만 금융 지주 회사의 계열 기업이 되었다. 현재는 상업 은행으로서 국내외 지점을 운영하며, 중국 상하이에 지점을 개설하여 중-대만 간 금융 결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해체된 기업 - 동양척식주식회사
    동양척식주식회사는 1908년 일제가 한국 경제 수탈을 목적으로 설립한 국책 회사로, 토지 매매, 금융 사업 등을 통해 한국 농민을 수탈하고 일제강점기 동안 막대한 토지를 소유하다가 해방 후 미군정에 의해 몰수되었다.
  • 1945년 해체된 기업 - 남만주철도주식회사
    남만주철도주식회사는 1906년 일본이 러일 전쟁 후 만주 지역의 철도 운영 및 개발을 위해 설립한 회사로, 만철이라 불리며 철도 외 다양한 사업을 통해 만주 지역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일본 제국주의 침략의 도구였다는 평가와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동시에 받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해체되었다.
  • 대만의 은행 - 중화민국 중앙은행
    중화민국 중앙은행은 1928년 상하이에서 설립되어 국공 내전 이후 대만으로 이전한 중화민국의 중앙은행으로, 금융 안정, 은행 업무 관리, 대만 달러 안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2000년부터 신 대만 달러 발권 업무를 담당한다.
  • 대만의 은행 - 융펑 은행
    융펑 은행은 1992년 대만에서 설립되어 증권 사업 인수와 은행 합병을 통해 성장한 상업 은행으로, 현재는 융펑금융지주의 자회사로서 대만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해외에도 진출해 있다.
  • 타이베이시의 기업 - 벤큐
    벤큐는 1984년 명기 컴퓨터로 설립되어 2001년 BenQ 브랜드를 발표하며 에이서에서 분사했고, 액정 디스플레이, 이미지 스캐너, 프로젝터, 모니터 등을 생산하며 ZOWIE라는 e스포츠 장비 전문 브랜드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 타이베이시의 기업 - KKBOX
    KKBOX는 2004년 대만에서 시작된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로, 여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서비스 종료 예정이며, 자체 음악 시상식을 개최하고 KDDI의 투자를 받았으며, KKCompany가 myMusic을 인수하기도 했다.
대만은행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만 은행 로고
로고
유형국영
본사 위치타이베이, 타이완
주요 인물Jong-Yuan Ling (회장)
서비스 지역타이완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싱가포르
영국
미국
중국
홍콩
남아프리카 공화국
직원 수8,122명 (2017년)
산업은행업
상품/서비스금융 서비스
자산NTD 4조 9,290억 (2017년)
(US$ 1조 6,430억)
모회사Taiwan Financial Holdings Group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각주화폐 발행 기관 (1899–2000), 사실상 중앙 은행 (1949–1961)
명칭
병음Táiwān Yínháng
웨이드-자일스T'ai²-wan¹ In²-hang²
민난어 (POJ)Tâi-oân gîn-hâng
하카어Thòi-vàn ngiùn-hòng
일본어 (한자)臺灣銀行
일본어 (가나)たいわんぎんこう
일본어 (로마자)Taiwan Ginkō
한국어 (한자)臺灣銀行
한국어 (로마자)타이완 은행

2. 역사

대만은행의 역사는 크게 일본 통치 시대와 중화민국 통치 시대로 구분된다.

1899년 7월 5일 일본 제국에 의해 설립된 대만은행은 타이베이시에 본점을 두고 대만의 군수 산업 육성 및 투자를 중점적으로 실시하였다. 1945년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면서 해산되었다.[3]

1946년 타이완성의 출자로 다시 설립된 대만은행은 1949년 국부천대 이후 신 대만 달러 발행을 맡았으며, 1961년 중화민국 중앙은행이 재설립될 때까지 사실상 대만의 중앙은행 역할을 수행했다.

1998년 조직 개편을 통해 중화민국 행정원이 전액 출자한 국영은행이 되었으며, 2001년 중화민국 중앙은행이 신 대만 달러 발행 임무를 인수했다. 2007년 7월 1일 중앙신탁국(中央信託局)을 흡수 합병하고, 2008년 1월 타이완 파이낸셜 홀딩스 그룹의 계열 기업이 되었다.

2. 1. 일본 통치 시대 (1899년 ~ 1945년)

1895년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 제국대만을 식민지로 병합하고, 1897년 '대만은행법'을 제정하여 대만은행 설립을 추진했다. 1899년 7월 5일에 설립되었고, 같은 해 9월 26일에 대만은행은 대만의 화폐 발행권을 가진 특수은행이자 최대 상업은행으로 운영을 개시했다. 초기 자본금은 500만 엔이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증자를 거쳐 6,000만 엔에 달했다.[3] 대만은행은 중앙은행 및 상업은행으로서의 업무를 모두 수행했다.

대만은행 광고, 1917년 ''이코노미스트'' 지


대만은행은 일본의 대만 통치 정책을 지원하는 핵심 기관이었으며, 미쓰비시, 미쓰이 그룹 등 일본 기업의 대만 투자를 장려했다. 1927년 쇼와 금융 공황 당시, 스즈키 상점에 대한 과도한 대출로 인해 경영 위기를 겪었으나, 일본 정부의 지원으로 재건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쟁 특수로 스즈키 상점은 막대한 이익을 올렸는데, 대만은행은 이 회사에 자금을 융통했다. 이때부터 대만 내 거래액보다 일본에서의 거래액이 더 많아졌다. 1920년대 후반에는 총 대출액 7억 엔 중 절반에 가까운 3억 5천만 엔이 스즈키 상점에 대한 대출이었다.

1920년 반동 불황으로 스즈키 상점이 위기에 빠지자, 지진 수표로 일시적 위기를 넘겼지만, 막대한 불량 채권을 안게 되었고, 1927년 쇼와 금융 공황으로 휴업 및 모라토리엄을 실시했다. 이후 주주 총회, 손실 정리안 결정, 감자, 적립금 사용 등의 조치와 정부 지원으로 재건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일제강점기 대만은행의 역할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대만은행이 일본의 식민지 경제 수탈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으며, 대만 민족 자본의 성장을 억압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역대 총재'''

대수이름재임 기간
1소에다 주이치1899년 6월 15일 - 1901년 11월 25일
2야기우 가즈요시1901년 11월 25일 - 1916년 1월 24일
3사쿠라이 데쓰타로1916년 1월 24일 - 1920년 8월 13일
4나카가와 코주로1920년 8월 13일 - 1925년 8월 12일
5모리 히로조1925년 8월 13일 - 1927년 8월 4일
6시마다 시게루1927년 8월 4일 - 1934년 5월 2일
7야스다 지로1935년 4월 23일 - 1939년 5월 12일
8미즈즈 야키치1939년 5월 12일 - 1944년 5월 11일
9가미야마 에이조1944년 5월 12일 - 1945년 9월 30일 폐쇄


  • 오야마 미도요 - 대만은행 본점 지배인 대리, 타이완가오슝 주 협의회 회원, 오카야마현 의회 의원

2. 1. 1. 업무 (중앙은행으로서)

대만은 중앙은행으로서 장단기 금융, 남중국 및 남양 무역 금융, 대 유럽 및 미국 환율 업무를 담당했다. 은행권 발행은 언제든지 금화로 교환 가능한 권면 금액 1엔 이상의 은행권을 발행할 수 있었으며(동액의 금은화 및 지금은을 지급 준비로), 2,000만 엔까지의 보증 준비 발행 및 제한 외 발행(연 5% 이상의 발행세 납부)도 가능했다.[3]

구체적인 업무는 다음과 같다.

  • 환어음 및 기타 상업 어음의 할인
  • 환어음 및 화물환
  • 평상시 거래하는 회사 및 상인의 어음금 수금
  • 확실한 담보가 있는 대출
  • 예금 및 당좌대출
  • 금, 은화, 귀금속 및 증권의 보호 예탁
  • 지금 및 은의 매매 및 화폐 교환
  • 보증 사채에 관한 신탁 업무
  • 타 은행의 업무 대리
  • 국채, 지방채, 주식의 모집, 그 납입금의 수납 또는 그 원리금 혹은 배당금의 지급 취급
  • 국채, 지방채, 각 채권 및 주무대신의 인가를 받은 유가 증권의 응모 인수 매입

2. 1. 2. 업무 (상업은행으로서)

대만은행은 대만의 산업 자금 융자, 풍부한 자원 개발, 남중국 및 남양과의 무역 금융을 담당했다. 구체적인 업무는 다음과 같다.[3]

업무 내용
환어음 및 기타 상업 어음의 할인
환어음 및 화물환
평상시 거래하는 회사 및 상인의 어음금 수금
확실한 담보가 있는 대출
예금 및 당좌대출
금, 은화, 귀금속 및 증권의 보호 예탁
지금 및 은의 매매 및 화폐 교환
보증 사채에 관한 신탁 업무
타 은행의 업무 대리
국채, 지방채, 주식의 모집, 그 납입금의 수납 또는 그 원리금 혹은 배당금의 지급 취급
국채, 지방채, 각 채권 및 주무대신의 인가를 받은 유가 증권의 응모 인수 매입



1926년 기준 대만은행 자본액은 전 대만 은행 총 자본액의 45%를 차지했다. 당시 대만상공은행, 화남은행, 창화은행, 대만저축은행의 자금을 지배하고, 당업, 차엽, 장뇌, 담배, 염업 등의 산업을 직간접적으로 지배했다.[3]

2. 2. 중화민국 통치 시대 (1945년 ~ 현재)

1945년 일본 제국의 항복 이후 중화민국 정부(중국 국민당 주도)는 대만 은행을 인수하고 '대만 달러'(또는 '대만 국민 원', 현재는 "구 대만 달러"로 불림)를 발행하기 시작했다.[6] 중국 내전 기간 동안 이 통화의 심각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1949년신 대만 달러를 발행하게 되었다. 국민당이 중국 대륙을 중국 내전에서 상실하고 대만으로 철수한 후, 대만 은행은 1961년 중앙은행이 그 역할을 맡을 때까지 지폐를 계속 인쇄했다.

1946년 대만은행은 타이완성의 출자로 설립되었다. 1949년 국부천대가 진행되면서 신 대만 달러 화폐 발행 임무를 맡았는데, 1961년 중화민국 중앙은행이 재설립될 때까지 사실상 대만의 중앙은행 역할을 맡았다.

1998년 조직 개편으로 중화민국 행정원이 전액 출자한 국영은행이 되었다. 2001년 중화민국 중앙은행이 신 대만 달러 화폐 발행 임무를 인수했다.

2007년 7월 1일 국영 기업인 중앙신탁국(中央信託局)을 흡수 합병했고, 2008년 1월 타이완 파이낸셜 홀딩스 그룹 계열 기업이 되었다.

대만은행은 현재 169개의 국내 지점과 도쿄, 싱가포르, 홍콩, 중국 본토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뉴욕, 로스앤젤레스, 런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도 지점을 설립했다.

2012년 9월 17일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 지점을 개설했다. 해당 지점은 중국에서의 대만 달러 결제 은행으로서 중-대만 간 금융 결제 업무를 담당한다.

3. 조직 구조

대만은행은 2008년 1월부터 대만 금융 지주 회사(臺灣金融控股公司)의 자회사가 되었다.[1] 이 지주 회사에는 대만은행 증권, 대만은행 생명보험도 포함되어 있다.[1]

2007년 7월에는 정부의 금융 개혁의 일환으로 중앙신탁국()과 합병하였으며, 중앙신탁국의 은행 업무 일부를 인수하여 독립적인 회사로서 운영을 지속했다.[1]

4. 국제 관계

대만은행은 도쿄, 싱가포르, 홍콩, 중국 본토 등지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뉴욕, 로스앤젤레스, 런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도 지점을 설립했다.[1]

5. 비판 및 논란



대만은행은 일제강점기 역할, 중국 국민당(국민당)과의 관계, 민영화 문제 등을 둘러싸고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해 있다.

5. 1. 일제강점기 역할에 대한 비판

일제강점기 대만은행은 일본 제국의 식민지 경제 수탈 도구로 활용되었으며,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대만 민족 자본의 성장을 억압했다는 비판을 제기한다.[3]

1897년 4월 1일 제정된 《대만은행법》에 따라 1899년 7월 5일 설립된 대만은행은 미쓰비시, 미쓰이 그룹 등 일본 기업의 대만 투자를 장려했다. 대만은행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쟁 특수로 막대한 이익을 올린 스즈키 상점에 자금을 융통했고, 이로 인해 대만 내 거래액보다 일본에서의 거래액이 더 많아졌다.

1920년대 후반 대만은행의 총 대출액 7억 엔 중 절반에 가까운 3억 5천만 엔이 스즈키 상점에 대한 대출일 정도로, 양측은 거래상 의존 관계에 있었다. 1920년 반동 불황으로 스즈키 상점이 위기에 빠지면서 대만은행은 막대한 불량 채권을 떠안았고, 1927년 쇼와 금융 공황으로 휴업, 모라토리엄을 실시한 뒤 정부 지원으로 재건되었다.

5. 2. 국민당과의 관계

1945년 일본의 항복 이후 중화민국 정부(중국 국민당 - KMT 주도)는 대만 은행을 인수하고 '대만 달러'(또는 '대만 국민 원', 현재의 "구 대만 달러")를 발행하기 시작했다.[1] 중국 내전 기간 동안 이 통화의 심각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1949년신 대만 달러를 발행하게 되었다.[1] 국민당이 중국 대륙에서 중국 내전에서 패배하고 대만으로 철수한 후, 대만 은행은 1961년 중앙은행이 그 역할을 맡을 때까지 지폐를 계속 인쇄했다.[1]

국민의힘 등 보수 진영에서는 대만은행이 과거 국민당(KMT) 정권의 정치적 영향력 하에 있었으며, 특혜 대출, 부정부패 등의 문제가 있었다고 비판한다.

5. 3. 민영화 논란

대만은행의 민영화 문제는 지속적인 논쟁거리이다. 민영화 찬성 측은 경영 효율성 증대와 경쟁력 강화를 주장하는 반면, 반대 측은 공공성 약화와 금융 불안정 심화 등을 우려한다.

참조

[1] 웹사이트 Balance Sheet http://www.bot.com.t[...] 2008-01-23
[2] 간행물 A historical inquiry into the Japanese financial system and economic performance http://www1.tcue.ac.[...]
[3] 간행물 The Activities of a Japanese Bank in the Interwar Financial Centers: A Case of the Yokohama Specie Bank https://www.carf.e.u[...] Center for Advanced Research in Finance 2009-01
[4] 서적 帝国主義下の台湾 岩波書店 1988
[5] 문서 「岩波講座 近代日本と植民地(第3巻)「植民地化と産業化」所収、小林英夫「植民地経営の特質」
[6] 뉴스 満鉄、朝鮮銀行など即時閉鎖指令 朝日新聞 1945-10-01
[7] 서적 株価20年 昭和33年版 東洋経済新報社 1958-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