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강화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강화도는 한강 하구에 위치한 섬으로, 대한민국에서 네 번째로 크다.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북방식과 남방식 고인돌이 혼재하는 등 선사 시대 유적이 발견된다. 삼국 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고려 시대에는 수도가 되기도 했다. 조선 시대에는 국방의 요충지였으며, 병인양요, 신미양요, 운요호 사건 등 근대 개항기의 격전지였다. 현재는 강화대교와 강화초지대교를 통해 육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고인돌 유적, 고려궁지, 마니산 참성단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강화 순무와 인삼이 특산물이며, 프로게이머 조용인과 몬트(M.O.N.T) 멤버들이 강화도 출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옛 수도 - 한성부
    한성부는 조선의 수도를 관할하며 행정, 사법, 재정 등의 업무를 담당했고, 정2품인 한성판윤이 최고 책임자였으며, 1895년 지방 행정 구역으로 개편되었다가 1910년 경성부로 개칭되었다.
  • 한국의 옛 수도 - 부여군
    부여군은 충청남도 서남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마지막 수도였던 사비가 있던 곳으로, 역사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읍 15면으로 구성되었고, 금강 유역의 평야와 구릉지, 온대 기후, 풍부한 백제 유적을 바탕으로 관광 및 서비스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 강화군의 지리 - 우도 (강화군)
    우도는 연평도에서 동남쪽 25km 떨어진 서해 5도 중 하나로, 북방한계선과 인접하고 간석지 발달, 희귀식물 석위의 대규모 분포, 범게의 대량 서식 등으로 특정 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0.211km² 면적의 섬이다.
  • 강화군의 지리 - 교동도
    교동도는 한강과 임진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역사적,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간척 사업과 왕족 유배지로 이용되다가 2014년 교동대교 개통으로 강화도와 연결되어 관광 명소로 알려져 있다.
  • 인천광역시의 섬 - 묘도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서구 묘도는 괭이부리말 체험 시설 설치 계획이 주민 반발로 무산된 사건을 통해 지역 사회 의견 수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우도 (강화군)
    우도는 연평도에서 동남쪽 25km 떨어진 서해 5도 중 하나로, 북방한계선과 인접하고 간석지 발달, 희귀식물 석위의 대규모 분포, 범게의 대량 서식 등으로 특정 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0.211km² 면적의 섬이다.
강화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강화도
한자 표기江華島
로마자 표기Ganghwado
면적302.4 km²
위치황해
최고점마니산, 469 m
인구65,500명
이미지
마니산에서 본 강화도
마니산에서 본 강화도
행정 구역
국가대한민국
광역시인천광역시
강화군

2. 역사

강화도는 기원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있으며, 특히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인 고인돌이 섬 곳곳에 분포하고 있다. 이 고인돌들은 고창·화순의 유적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25] 또한 마니산의 참성단과 관련하여 단군왕검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는 전승이 있으나,[19] 역사 기록인 『삼국유사』에는 관련 내용이 없다.[20]

삼국 시대에는 한강 하구에 위치한 지리적 중요성 때문에 백제, 고구려, 신라 삼국 간의 치열한 영토 분쟁 지역이었다.

고려 시대인 940년부터 '강화도'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으며,[2][24] 몽골 제국의 침입을 피해 1232년부터 1270년까지 약 38년간 고려의 임시 수도(강도) 역할을 수행했다. 이 시기 강화도에서는 국난 극복을 기원하며 팔만대장경이 조판되었고, 늘어난 인구를 부양하기 위한 간척 사업도 이루어졌다. 개경 환도 이후에는 삼별초가 이곳을 거점으로 대몽 항쟁을 이어가기도 했다.

조선 시대에는 국방상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 , 보, 돈대 등 다양한 군사 시설이 설치되었다. 임진왜란 때는 비교적 피해가 적었으나, 정묘호란병자호란 때에는 왕족의 피난처가 되었고, 특히 병자호란 중에는 청나라 군대에 함락되는 아픔을 겪었다. 한편, 연산군, 광해군 등 왕족들의 유배지로 이용되기도 했으며, 정제두를 중심으로 실사구시를 강조하는 강화학파가 형성되었고, 정조 대에는 왕실 도서관 격인 외규장각이 설치되어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조선 후기에는 서구 열강과 일본의 침략에 맞서는 저항의 역사가 펼쳐졌다. 1866년 병인양요로 프랑스군에 의해 외규장각이 약탈당했고,[6] 1871년에는 신미양요로 미국 함대와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7] 1875년 운요호 사건을 빌미로 일본의 압력에 직면했으며,[8] 결국 1876년 불평등 조약인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9]

일제강점기에는 많은 문화재가 약탈당하고 유적이 훼손되는 수난을 겪었다. 광복 이후 한국 전쟁 중인 1951년에는 강화 양민학살 사건이라는 비극이 발생하기도 했다. 1970년 강화대교 개통으로 육지와 연결되었고, 1976년부터 중요 국방 유적 복원 사업이 시작되었다. 1995년 행정구역이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로 편입되었으며,[2] 2000년에는 고인돌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25]

2. 1. 선사 시대

강화도 부근리 고인돌


화도면 동막리 유적과 하점면 삼거리 유적 등에서 신석기 시대빗살무늬토기가 다량 출토된 것으로 보아, 강화도에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청동기 시대의 유적과 유물은 강화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고인돌이다. 강화도 전역에서 100기 이상의 고인돌이 확인되었으며, 북방식 고인돌과 남방식 고인돌이 함께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고인돌들은 대부분 고려산 부근에 분포하고 있다. 이렇게 많은 고인돌이 발견되는 점 때문에 마한의 여러 작은 나라들 중 하나가 강화도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강화도의 고인돌은 고창, 화순의 고인돌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25]

2. 2. 삼국 시대

강화도는 한강 하구에 위치하여 지리적으로 중요한 곳이었기 때문에, 삼국 시대에는 백제고구려 사이의 주요 쟁탈지 중 하나였다. 특히 고구려의 남진 과정에서 중요한 거점이었던 관미성의 위치가 강화도 부근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백제는 강화도를 서해 대도라고 불렀다. 이후 고구려가 백제를 물리치고 한강 유역을 장악하면서 강화도 역시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고구려 지배 하에서는 혈구군(穴口郡) 또는 갑비고차군(甲比古次郡)에 속했다.

이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강화도를 차지하게 되었고, 이때는 해구군(海口郡) 또는 혈구진(穴口鎭)으로 불렸다.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삼국시대에 강화도는 혈구도(穴口島)라고도 불렸는데,[23] 이는 강화도가 해상 교통과 군사적 요충지였음을 보여준다. 신라 후기에는 황해도 남부 지역과 더불어 해적이 자주 출몰하는 지역이기도 했다.

2. 3.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 들어서면서 '강화도'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고,[24] 940년에 공식적으로 이 명칭을 얻었다.[2] 행정구역상으로는 양광도 강화면에 속했다. 강화도는 국제 무역항인 벽란도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섬 안에는 목판 인쇄소와 소금 전매소가 설치되었고 도자기 생산도 이루어졌다.

13세기, 몽골 제국의 침입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강화도는 역사의 전면에 등장한다. 1232년, 고려 고종은 몽골의 압력에 맞서 수도를 개경에서 강화도로 옮기고, 이곳을 '강도(江都)'라 칭하며 항전 의지를 다졌다. 강화도로 천도한 이후, 부처의 힘으로 국난을 극복하고자 하는 염원을 담아 팔만대장경 조판 사업이 시작되었다. 또한 늘어난 인구를 부양하고 식량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대규모 간척 사업이 추진되었으며, 국난 극복을 기원하며 마니산에 참성단을 쌓았다. 당시 건설된 왕궁터와 고려 시대의 성곽 유적이 현재까지 남아 있어 당시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약 38년간 고려의 임시 수도였던 강화도는 1270년, 원나라와의 강화 조약 체결 이후 개경으로 다시 수도를 옮기면서 그 역할을 마치게 되었다. 그러나 개경 환도에 반대한 삼별초는 강화도를 거점으로 대몽 항쟁을 계속 이어나갔으며, 이후 진도로 근거지를 옮겨 항쟁을 지속했다.

2. 4.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 들어 강화도가 수행하는 국방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 태종 때 강화는 도호부로 승격되었고, 조운의 활성화와 함께 한강 입구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이 설치되었다. 강화의 진은 김포, 양화, 통진, 교동 등지의 을 통괄했으며, 강화부사는 경기 병마절도사가 겸임했다.

임진왜란 당시 강화도는 비교적 큰 피해를 입지 않았으며, 우성전, 김천일 등이 의병장으로 활동하며 권율 장군을 지원하는 거점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한편, 강화도는 왕족이나 관료들의 유배지로도 이용되었는데, 연산군과 광해군이 대표적으로 이곳에 유배되었다.

1627년 정묘호란 때에는 인조가 강화도로 피신하여 난을 피했다. 그러나 1636년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상황은 달랐다.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신하고 봉림대군(훗날 효종)을 비롯한 왕족들은 강화도로 피신했으나, 청나라 군대에 의해 강화도가 함락되었다. 강화도 함락은 남한산성의 인조가 항복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병자호란 이후 남양에 있던 경기수영이 강화도로 옮겨져 해상 방어의 거점이 되었다.

효종 대에는 북벌 정책이 추진되면서 강화도의 군사적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었다. 해안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월곶진, 제물진, 광성보 등의 과 보가 새롭게 설치되었고, 기존의 성곽들도 수리되었다. 숙종 대에는 방어 체계를 더욱 강화하여 해안가 돌출부마다 돈대를 설치했는데, 그 수가 53개에 달했다. 이를 통해 강화도 전역이 하나의 거대한 요새로 변모했으며, 이때 만들어진 군사 시설들은 오늘날에도 많이 남아 있다. 1656년에는 강화도 남동쪽 해안선에 초지진 포대가 건설되었다.

군사적 요충지였을 뿐만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양명학의 대가인 정제두가 강화도에서 생애 대부분을 보내며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길러냈다. 그는 주자학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경전의 본뜻을 탐구하는 학문 태도를 강조했으며, 이는 강화학파라는 독자적인 학풍 형성으로 이어졌다. 정조 때에는 왕실 관련 서적과 기록물을 보관하기 위해 외규장각이 강화도에 설치되어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위상을 갖게 되었다.

2. 5. 근대

강화성을 공격하는 프랑스군


조선 후기, 강화도는 서구 열강과 일본의 침략에 맞서 싸운 격전지가 되었다. 1866년에는 병인박해를 구실로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침략하는 병인양요가 발생했다.[6] 이 과정에서 프랑스군은 강화성을 일시 점령하고 외규장각에 보관되어 있던 귀중한 서적과 문화재를 약탈하는 피해를 입혔다.

1871년에는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빌미로 미국 함대가 강화도를 공격하는 신미양요가 일어났다.[7] 조선군은 열세에도 불구하고 치열하게 저항하여 큰 피해를 입었지만, 결국 미군을 몰아냈다.

1875년에는 일본 군함 운요호가 강화도 해역에 불법적으로 접근하여 조선 수비대와 포격전을 벌인 운요호 사건이 발생했다.[8] 일본은 이 사건을 빌미로 조선에 개항을 강요하였고, 결국 1876년 조선에게 불리한 내용이 포함된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었다.[9] 이 조약은 강화도에서 체결되었기 때문에 강화도 조약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2. 6. 일제 강점기와 광복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강화도의 많은 문화재가 약탈당했고 무덤은 도굴되었다. 광복 이후에도 관리 소홀로 인해 섬 내의 군사 유적이 대부분 파괴되었으며, 성곽들 역시 파괴 정도가 심각하여 원래 크기조차 알 수 없는 경우도 있다.

한국 전쟁 중인 1951년에는 강화 양민학살 사건이 발생하여 많은 민간인이 희생되는 비극을 겪었다. 전쟁 시기 개성에서 피난민들이 강화도로 이주해 오면서 인삼 재배가 시작되기도 하였다.

1970년에는 강화대교가 건설되어 육지와 연결되었고, 1976년부터는 강화중요국방유적복원 정화사업을 통해 일부 유적들이 복원 및 관리되기 시작했다. 2000년 11월 29일에는 제24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강화도의 고인돌고창, 화순의 고인돌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25]

3. 지리

강화도는 한강 하구에 위치한 섬이다.[2] 면적은 305.75km2대한민국에서 네 번째로 큰 섬이며,[2] 해안선 길이는 106.5km이다.[2] 농업 목적의 간척 사업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섬의 크기가 커졌다.[2]

지체 구조상 경기 육괴에 속하며, 선캄브리아기 경기변성암복합체와 중생대 대보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26][27] 섬 내에 가장 높은 산인 마니산(469m)을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저산성 구릉지에 속하지만, 서해안의 다른 섬들에 비해서는 비교적 산이 높은 편이다.[2] 그 외 주요 산으로는 진강산, 고려산, 낙조봉, 혈구산, 별립산 등이 있다.[2] 대부분의 산들은 중생대 쥐라기대보 조산운동 때 관입한 화강암 저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화도는 원래 육지와 연결되어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침식으로 인해 분리되었으며, 현재 섬 주변에는 갯벌이 넓게 발달해 있다.[2] 경기도 김포시와는 강화대교(총길이 694m)와 강화초지대교(총길이 1200m)로 연결되어 있다. 군사분계선 근처에 위치하여 섬 북쪽은 북한과 가깝고, 일부 지역은 민간인통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3. 1. 기후

강화도의 기후 (강화기상관측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갑곳리)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 (°C)12.6°C17.4°C22.3°C29.2°C31°C33.2°C35.5°C35.8°C31.7°C28.3°C23.8°C16°C35.8°C
평균 최고 기온 (°C)1.7°C4.5°C9.8°C16.2°C21.4°C25.4°C27.6°C29°C25.5°C19.5°C11.5°C3.9°C16.3°C
일평균 기온 (°C)-3.2°C-0.7°C4.6°C10.7°C16°C20.5°C23.7°C24.7°C20.2°C13.7°C6.3°C-0.9°C11.3°C
평균 최저 기온 (°C)-8.1°C-5.8°C-0.6°C5.3°C11°C16.3°C20.6°C21.2°C15.6°C8.1°C1.2°C-5.7°C6.6°C
역대 최저 기온 (°C)-22.5°C-19.4°C-11.3°C-4.4°C1.6°C6.9°C12.7°C12.5°C3°C-4.2°C-12°C-19.8°C-22.5°C
강수량 (mm)15.6mm22.5mm31.4mm64.9mm110.9mm110mm355.6mm300.4mm131.5mm55.8mm46.3mm21.3mm1266.2mm
평균 강수일수 (≥ 0.1 mm)5.04.86.07.58.28.614.111.97.45.67.56.693.2
평균 강설일수7.34.32.40.20.00.00.00.00.00.11.55.120.6
평균 상대 습도 (%)63.661.061.462.468.675.182.879.973.868.967.865.469.2
평균 월간 일조시간 (시간)186.2186.5217.0221.7235.3208.5153.0184.9203.8214.3166.0171.82349.0
평균 일조율 (%)58.761.858.959.054.850.038.647.757.463.355.755.654.6
출처: 한국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2년~현재, 일조율: 1981년~2010년)[3][4][5]


4. 교통

강화도는 육지와 두 개의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1969년, 섬과 육지를 잇는 첫 강화대교가 건설되었다.[2] 이 다리는 1997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새로 건설되었으며, 총 길이는 694m이다. 이후 2002년에는 총 길이 1200m의 강화초지대교가 추가로 개통되었다.[2] 이 두 다리는 강화도를 맞은편 경기도 김포시와 연결하며, 이 때문에 인천광역시에 속하면서도 육지와 직접 연결된 비도라고 할 수 있다.

5. 관광

강화도는 선사 시대 유적인 고인돌부터[2] 고려 시대의 고려궁지, 조선 시대의 군사 시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 유적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관광지이다. 마니산 정상의 참성단은 단군왕검 관련 전승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11]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고 싶다면 갯벌 생태와 철새 서식지를 따라 조성된 강화 나들길이나 석모도의 약 약 16.09km 길이 트레킹 코스를 걸어보는 것도 좋다.[10] 또한, 강화 풍물시장에서는 곡물, 채소, 해산물, 인삼 등 지역 특산물을 맛보고 구매할 수 있다. 계절마다 새우젓 축제, 인삼 축제 등 다채로운 축제가 열려 방문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5. 1. 주요 유적지

강화도는 선사 시대 유적부터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를 거쳐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다.

기원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의 일부인 고인돌이 대표적인 선사 시대 유적이다.[2]

강화도의 남방식 고인돌(2019)


고려 시대에는 몽골의 침입을 피해 약 39년간(1232년~1270년) 수도 역할을 했던 곳으로, 당시의 궁궐터인 고려궁지가 남아있다.

고려궁지(2018)


또한, 강화도에서 가장 높은 산인 마니산 정상에는 단군왕검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고 전해지는 참성단이 있다.[11] 개천절(10월 3일)에는 이곳에서 제례가 열리기도 하지만, 단군과 관련된 전승의 역사적 근거는 명확하지 않다.[19][20]

조선 시대 말기에는 서구 열강의 침입에 맞서 국토를 지키기 위한 중요한 요충지였다. 병인양요[6], 신미양요[7], 강화도 사건[8] 등 외세의 침략을 겪으며 설치된 여러 군사 방어 시설들이 현재까지 남아 호국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이러한 호국 유적지로는 갑곶돈대, 외성, 광성돈대, 광성제단, 초지진, 덕진진 등이 있으며, 1977년에 복원되어 호국 정신 교육의 장이자 전등사 등 주변 명소와 함께 관광지로 활용되고 있다.

5. 2. 자연환경

강화 나들길은 선사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갯벌 생태계와 철새 서식지를 보여주는 20개 코스의 도보 여행길이다.

석모도는 숲과 섬의 유일한 해변을 지나는 약 약 16.09km 길이의 평탄한 트레일로, 절에서 끝난다.[10]

마니산은 강화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단군왕검이 제사를 지냈다고 전해지는 참성단이 있는 곳이다.[11]

5. 3. 축제

축제 이름시기장소
고려철쭉축제4월 중순고려산 돌문화공원[12][13]
강화도 새우젓 축제10월 초외포리 선착장[14][13]
강화 창건 기념 대축제10월 1일 ~ 3일마니산 참성단[15]
강화 고려 인삼 축제10월 중순[13]


5. 4. 특산물

강화도의 는 1000년 이상 재배되어 온 역사를 가지고 있다. 수분 함량이 90%가 넘고 주성분은 탄수화물이다. 강화 순무는 진한 자주색을 띠는 뿌리채소로, 독특한 겨자 향과 인삼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16세기 조선 시대부터 이미 식용되었으며, 순무의 붉은색 때문에 궁중 요리나 귀족, 부유층의 요리에서 붉은색을 내는 재료로 사용되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붉은 순무가 잘 알려져 있지만 흰 순무도 있다.

순무의 씨앗과 다 자란 채소는 예로부터 민간요법이나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었다. 잎에는 비타민이 풍부하고, 뿌리에는 트립토판과 글리시리진 성분이 들어 있다. 항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항균 효과가 있어 피부병, 소화기 질환, 결핵, 호흡기 질환 등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16][17]

강화도는 충청남도 금산군과 더불어 한국의 대표적인 인삼(고려인삼) 생산지로도 유명하다.

6. 인물

단군왕검과 관련된 전승이 남아있다. 마니산 정상 북서쪽에 위치한 참성단은 단군이 제사를 지낸 곳으로 전해지며[19], 매년 개천절마다 제사가 봉행된다. 다만, 단군신화를 처음으로 기록한 문헌인 『삼국유사』에는 단군과 강화도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20]

조선 시대에는 반란 등에 연루된 왕족이나 관료들이 유배를 오는 장소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다음은 강화도 출신이거나 관련 있는 현대 인물이다.


  • 코어장(CoreJJ, 본명 조용인): 프로 ''리그 오브 레전드'' 선수[18]
  • 몬트(M.O.N.T): K팝 보이그룹으로, 멤버 비츠에온, 나라찬, 로다 세 명 모두 강화도와 관련이 있다.

7. 기타

군사분계선 근처에 위치하며, 섬의 북쪽은 바다를 사이에 두고 북한 통치 지역과 매우 가까이 마주하고 있다. 따라서 방어상, 북부 일부는 민간인통제구역으로 출입이 제한된다. 실제로 과거에는 북한의 간첩들이 여러 차례 침투해 왔다.

참조

[1] 웹사이트 Pants and propaganda: Photos from Korean border area show life in North Korea https://www.nknews.o[...] 2021-05-28
[2] 백과사전 강화도 (江華島)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6-15
[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0-00
[6] 백과사전 병인양요 (丙寅洋擾)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6-15
[7] 백과사전 신미양요 (辛未洋擾)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6-15
[8] 웹사이트 The Un'yo Incident of 1875 (part one) https://www.koreatim[...] 2020-09-19
[9] 백과사전 강화도조약 (江華島條約)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6-15
[10] 웹사이트 Hidden trails that highlight Korean beauty http://koreajoongang[...] 2018-03-11
[11] 웹사이트 Chamseongdan Altar (강화 참성단) https://english.visi[...] 2020-08-21
[12] 웹사이트 황홀한 진분홍빛 꽃길을 걷다, 강화 고려산 진달래 군락지> 여행기사 {{!}} 추천! 가볼만한곳:대한민국 구석구석 https://korean.visit[...] 2020-03-17
[13] 웹사이트 축제와 행사 http://www.ganghwacc[...] 2024-06-15
[14] 웹사이트 [10월] 강화도 새우젓축제 http://www.dmz.go.kr[...] 2018-06-07
[15] 웹사이트 [10월] 강화 개천대축제 http://www.dmz.go.kr[...] 2018-06-07
[16] 웹사이트 강화도 순무 https://web.archive.[...] 2017-08-01
[17] 웹사이트 순무 http://terms.naver.c[...] 2017-08-01
[18] 뉴스 They're Flocking to America to Make a Fortune Playing Video Games https://www.nytimes.[...] 2021-01-30
[19] 웹사이트 塹城檀(참성단) 韓国観光公社 http://japanese.visi[...]
[20] 문서 고조선왕검조선
[21] 뉴스 大音量の悲鳴や爆発音を毎晩放送 北朝鮮が韓国に騒音攻撃 https://www.afpbb.co[...] AFP 2024-11-26
[22] 웹인용 120417(조간)_2012년도_지적통계연보_발간(지적기획과1) http://www.molit.go.[...] 2012-04-16
[23] 서적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 11권, 문성왕 6년 기사
[24] 서적 삼국사기 잡지 제 4권
[25] 웹사이트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https://heritage.une[...] 유네스코
[26] 웹사이트 한반도 지질도 http://nationalatlas[...]
[27] 논문 강화도의 지질별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 물질의 특성 https://www.dbpia.c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8-00-0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