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 교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차 교환은 철도 차량의 궤간을 변경하는 방법 중 하나로, 대차를 교체하거나 차륜 세트를 교환하여 서로 다른 궤간을 가진 철도 노선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궤간 변환에는 대차 교환, 궤간 가변 차축, 차륜 세트 교환 방식이 있으며, 대차 교환은 차량을 들어 올려 다른 궤간의 대차로 교체하는 방식이다. 궤간 가변 차축은 대차 교환보다 빠르지만, 차륜 세트 교환은 차축과 바퀴를 함께 교체하는 방식으로 대차 교환보다 간단할 수 있다. 대차 교환 시설은 차량을 들어 올리는 호이스트, 구덩이 안의 트롤리 등을 사용하며, 변환 시간은 장소와 방식에 따라 다르다. 궤간 변환은 물류와 여객 운송의 효율성을 높이지만,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안전 문제의 위험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궤간 - 광궤
광궤는 표준궤보다 넓은 궤간을 가진 철도 시스템으로, 고속 운행이나 대형 차량 운용에 사용되었으나, 표준궤와의 호환성 문제와 높은 비용으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표준궤로 전환되었고, 현재는 일부 국가에서 주요 철도망의 표준으로 사용되며 고속철도에도 활용되지만 표준궤로의 전환 또는 혼합 궤간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 궤간 - 협궤
협궤 철도는 표준궤보다 좁은 궤간의 철도로, 급곡선에 유리하고 건설비가 저렴하여 과거 광산, 임업 등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일부 국가에서 운영된다. - 철도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철도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대차 교환 | |
---|---|
개요 | |
![]() | |
유형 | 철도 차량 기술 |
설명 | 서로 다른 궤간을 사용하는 철도 차량을 운행하기 위한 시스템 |
상세 정보 | |
특징 | 궤간이 다른 철도 노선 간의 연결 가능 국가 간 또는 지역 간 철도 운송의 효율성 증대 |
작동 방식 | 대차 교환 시스템: 차량을 들어올려 대차를 교체 가변 궤간 시스템: 궤간 조절 장치를 통해 궤간 변경 |
활용 사례 | 국경을 넘나드는 국제 열차 궤간이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 |
기술적 측면 | |
대차 교환 시스템 | 차량을 들어올리는 리프팅 장비 필요 대차 교체를 위한 별도의 공간 필요 작업 시간 소요 |
가변 궤간 시스템 | 특수 설계된 차축 및 궤간 조절 장치 필요 유지 보수 복잡성 증가 초기 투자 비용 높음 |
장단점 | |
장점 | 환승 없이 다른 궤간의 노선 운행 가능 물류 및 승객 운송 효율성 향상 국제 철도 네트워크 확장 기여 |
단점 | 초기 투자 비용 높음 유지 보수 복잡성 증가 대차 교환 시 시간 소요 |
관련 기술 및 시스템 | |
가변 궤간 | 궤간을 변경할 수 있는 철도 차량 기술 |
궤간 | 철도 궤도의 폭 |
참고 자료 | |
관련 문서 | 철도 궤간 가변 궤간 |
기타 | |
관련 용어 | 표준궤 협궤 광궤 |
2. 궤간 변환 방법
궤간 변환은 크게 대차 교환, 궤간 가변 차축, 차륜 세트 교환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증기 기관차는 두 가지 이상의 궤도에 맞게 설계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빅토리아에서는 1930년대 이후 궤도 변환을 위해 이러한 방식이 수행되었지만, R766을 제외하고는 실제로 개조된 경우는 없었다. 동아프리카의 metre gauge영어 가렛 기관차 중 일부는 궤도로 쉽게 변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이 역시 실제로 개조되지는 않았다.
1944년, LMS는 "진티" 0-6-0 탱크 기관차 한 쌍을 북아일랜드의 궤도 노던 카운티스 위원회 (NCC) 노선에서 사용하도록 궤도를 변경했다. Y급으로 재지정된 이 기관차들은 주로 벨파스트의 조선소 노선에서 셔틀 작업을 수행했다. 궤도 변경은 바퀴 중심을 반전시켜 스포크가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미국 남부에서는 볼드윈에서 제작된 일부 증기 기관차가 에서 으로 쉽게 변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디젤 기관차는 객차와 유사한 대차를 가지고 있지만, 견인 전동기를 위한 케이블이 더 많아 변환에 시간이 더 걸린다. 호주에서는 일부 종류의 디젤 기관차가 , , 네트워크의 교통 요구 사항에 맞춰 정기적으로 궤간을 변환한다.
호주의 네트워크는 사막이나 다른 궤간의 노선으로 분리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네트워크 간에 이전될 때 대차 교환 또는 피기백 방식으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에 실린다.
리틀 조 전기 기관차는 소련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나 미국에서 사용하도록 개조되었다.
2. 1. 대차 교환
대차 교환은 차량을 들어 올려 기존 대차를 제거하고 새로운 궤간에 맞는 대차로 교체하는 방식이다. 객차는 한 세트의 대차에서 들어 올려 다른 세트의 대차에 다시 내려놓음으로써 궤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대차를 중앙에 고정하는 핀과 브레이크용 호스 및 부속품이 호환되어야 한다.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각 궤간의 대차를 충분히 확보해야 하며, 대차와 객차는 효율적인 교환 작업을 위해 표준화된 후크 등을 갖춰야 한다. 4륜 객차의 경우, 객차 설계가 허용한다면 두 차륜을 교체하는 방식으로도 궤간 변경이 가능하다.디젤 기관차는 객차와 유사한 대차를 사용하지만, 견인 전동기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더 많아 변환에 시간이 좀 더 소요된다. 오스트레일리아(호주)에서는 일부 디젤 기관차가 , , 네트워크 간 교통 수요에 맞춰 정기적으로 궤간을 변경한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네트워크는 사막이나 다른 궤간 노선으로 분리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네트워크 간에 차량을 이전할 때는 대차 교환 또는 피기백 방식으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에 싣는다.
대차 교환의 대안으로 차륜 세트 교환 방식이 있다.
2. 1. 1. 대차 교환 시설
대차 교환을 수행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차량을 대차에서 들어 올려 새 대차에 다시 올려놓는 것이다. 이 작업에는 열차의 차량을 분리하고 연속 제동 장치를 분리해야 할 수 있다. 만약 차량을 오버헤드 호이스트로 들어 올린다면, 차량이 흔들릴 수 있으며 이는 안정화하는 데 시간을 낭비하게 한다.[1]1871년에 특허를 받은 너터 호이스트는 스크류 잭을 사용하여 차량을 대차에서 들어 올렸다.[2] 1875년의 임보덴 철도 차량 리프터는 증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차량을 공중으로 들어 올렸다.
또 다른 대차 교환 방법은 구덩이 안의 트롤리에 대차를 내려놓는 것이다. 그런 다음 트롤리를 치우고 다른 트롤리를 가져온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열차 연결기와 연속 제동 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대차는 단단한 표면을 벗어날 필요가 없으므로 더 빠르게 넣고 뺄 수 있다. 이 방법은 드라이 크릭 기차역에서 사용되었다.
찰스 티스데일은 1873년에 철도 차량 아래에서 대차를 내릴 수 있는 램프와 이동식 지지대 시스템을 특허 냈다. 조지 앳킨슨은 1882년에 호이스트와 이송 테이블 배열을 특허 냈는데, 이는 차량 아래에서 대차를 떨어뜨리고 옆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이었다. 1884년에 특허를 받은 램지 장치는 유압 잭을 사용하여 차량을 지지하는 동안 차량 아래에서 대차와 함께 선로를 내렸다.
2. 1. 2. 대차 교환 과정
객차는 한 세트의 대차에서 들어 올려 다른 세트의 대차에 다시 내려놓음으로써 궤간을 변경할 수 있다. 대차를 중앙에 고정하는 핀과 브레이크용 호스 및 부속품이 호환되어야 한다.[1] 대차 교환을 수행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차량을 대차에서 들어올려 새 대차에 다시 올려놓는 것이다. 이 작업에는 열차의 차량을 분리하고 연속 제동 장치를 분리해야 할 수 있다.[2]1871년에 특허를 받은 너터 호이스트는 스크류 잭을 사용하여 차량을 대차에서 들어올렸다.[1] 1875년의 임보덴 철도 차량 리프터는 증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차량을 공중으로 들어올렸다.[2]
또 다른 대차 교환 방법은 구덩이 안의 트롤리에 대차를 내려놓는 것이다. 그런 다음 트롤리를 치우고 다른 트롤리를 가져온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열차 연결기와 연속 제동 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드라이 크릭 기차역에서 사용되었다.
찰스 티스데일은 1873년에 철도 차량 아래에서 대차를 내릴 수 있는 램프와 이동식 지지대 시스템을 특허냈다. 조지 앳킨슨은 1882년에 호이스트와 이송 테이블 배열을 특허냈는데, 이는 차량 아래에서 대차를 떨어뜨리고 옆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이었다. 1884년에 특허를 받은 램지 장치는 유압 잭을 사용하여 차량을 지지하는 동안 차량 아래에서 대차와 함께 선로를 내렸다.
대차 교환 변환 시간은 다음과 같다.
장소 | 소요 시간 |
---|---|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다이논 | 차량 1대당 7.3분 |
벨라루스 브레스트 | 차량 1대당 1시간 미만[29] |
자바이칼스크 | 차량 1대당 5~6시간 |
에렌호트 | 차량 1대당 5~6시간 |
일리노이주 카이로 | 1874년, 시간당 16~18대 화물 열차 (한 번에 2대), 풀먼 객차 1대당 15분 소요[25][24] |
2. 2. 궤간 가변 차축
궤간 가변 차축은 차축의 길이를 조절하여 서로 다른 궤간에 맞출 수 있는 특수한 차축으로, 대차 교환보다 빠른 새로운 기술이다.증기 기관차는 두 가지 이상의 궤도에 맞게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빅토리아에서는 1930년대 이후 궤도 변환을 위해 이러한 방식이 수행되었지만, R766을 제외하고는 어떤 엔진도 개조되지 않았다. 동아프리카의 미터 궤간 가렛 기관차 중 일부는 3피트 6인치 궤도로 쉽게 변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역시 개조된 것은 없었다.
1944년, LMS는 "진티" 0-6-0 탱크 기관차 한 쌍을 북아일랜드의 5피트 3인치 궤도 노던 카운티스 위원회 (NCC) 노선에서 사용하도록 궤도를 변경했다. Y급으로 재지정된 이 기관차들은 주로 벨파스트의 조선소 노선에서 셔틀 작업을 수행했다. 궤도 변경은 단순히 바퀴 중심을 반전시켜 스포크가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미국 남부에서는 볼드윈에서 제작된 일부 증기 기관차가 5피트에서 표준궤로 쉽게 변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디젤 기관차는 객차와 유사한 대차를 가지고 있으며, 견인 전동기를 위한 더 많은 케이블이 있어 변환하는 데 시간이 조금 더 걸린다. 호주에서는 일부 종류의 디젤 기관차가 1435mm, 1600mm, 1067mm 네트워크의 교통 요구 사항에 맞춰 정기적으로 궤간을 변환한다. 호주의 1067mm 네트워크는 사막이나 다른 궤간의 노선으로 분리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네트워크 간에 이전될 때 대차 교환 또는 피기백 방식으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에 실린다.
리틀 조 전기 기관차는 소련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나 미국에서 사용하도록 개조되었다.
2. 2. 1. 궤간 가변 시스템
자동 궤간 가변 시스템은 가변 궤간 차축을 사용하는 새로운 기술로, 대차 교환보다 빠르다. SUW 2000과 같은 자동 궤간 가변 시스템은 대차 교환에 필요한 작은 조차장에 비해, 눈이 올 경우 차고가 있는 약 20m 길이의 전환 트랙이 필요하다.2. 3. 차륜 세트 교환
차륜 세트 교환은 차륜 세트(차축과 바퀴)를 통째로 교체하는 방식이다.[1] 대차 교환과 가변 궤간 차축의 대안이 될 수 있다.[1]3. 궤간 변환 사례
세계 각국에서는 다양한 궤간 변환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보기 객차는 대차를 교환하거나, 4륜 객차의 경우 차륜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궤간을 변경할 수 있다. 디젤 기관차도 객차와 유사한 대차를 가지고 있어 궤간 변환이 가능하지만, 견인 전동기를 위한 케이블이 많아 시간이 더 걸린다.
1944년, LMS는 "진티" 0-6-0 탱크 기관차 한 쌍을 북아일랜드 노던 카운티스 위원회 (NCC) 노선에서 사용하도록 궤도를 변경했다. Y급으로 재지정된 이 기관차들은 주로 벨파스트 조선소 노선에서 셔틀 작업을 수행했다.
다음은 여러 국가의 궤간 변환 사례를 정리한 표이다.
국가 | 위치 | 궤간 (mm) | 설명 |
---|---|---|---|
브레스트 | ↔ | 폴란드 국경 | |
만저우리 | ↔ | 러시아 (자바이칼스크) 국경, 시베리아 횡단 철도 열차 대차 교환 | |
알라산커우 | ↔ | 카자흐스탄 (드루즈바) 국경 | |
두만강 | ↔ | 러시아 국경, 모스크바-평양 간 직통 침대칸 열차 차륜 교환 | |
투르쿠 항 | ↔ | 독일, 스웨덴 발 씨레일 열차 페리 화물 열차 대차 교환 | |
졸파, 사라크스, 자헤단, 바쿠 | ↔ / |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국경 | |
드루즈바 | ↔ | 중국 (알라산커우) 국경 | |
웅게니 | ↔ | 루마니아 국경 | |
안데스 중앙 철도 - 우앙카요-우앙카벨리카 철도 | ↔ | 기관차 포함 | |
바두 시레트, 할메우, 웅게니 | ↔ | 우크라이나, 몰도바 국경 | |
자바이칼스크, 그로데코보, 하산, 홀름스크, 칼리닌그라드 | ↔ / | 중국, 북한, 폴란드 국경, 사할린 섬 | |
이룬, 포르보 | ↔ | 프랑스 국경 | |
초프, 야고딘, 모스티스카 | ↔ | 헝가리, 슬로바키아, 폴란드 국경 |
1898년, 마리엔부르크–Mława 철도 이사이자 훗날 쾨니히리체 테크니셰 호흐슐레 주 단치히 교수가 된 에밀 브라이트슈프레허는[13] 화물을 내릴 필요 없이 궤간이 다른 철도를 횡단하는 화차의 차륜을 교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발명했다. 1901년 9월, 당시 독일-러시아 국경이었던 이워보에 시설이 설치되었다.[14] 이 시스템은 러시아와 표준궤를 사용하는 국가 간의 일부 철도 국경 통과 지점에서 1914년까지 사용되었다.[15] 1938년 현재, 당시 폴란드-소련 국경이었던 즈돌부니우에서 유일한 시설이 운영되었다.[16]
무크란 항구의 대차 교환소는 광궤를 사용하는 러시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를 오가는 열차 페리를 운행한다.
3. 1. 국가별 궤간 변환 사례

보기 객차는 한 세트의 대차에서 들어 올려 다른 세트의 대차에 다시 내려놓음으로써 궤간을 변경할 수 있다. 대차를 중앙에 고정하는 핀과 브레이크용 호스 및 부속품이 호환되어야 하며, 각 궤간의 대차를 넉넉하게 확보해야 한다. 또한 대차와 객차는 효율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표준화된 후크 등을 갖춰야 한다. 4륜 객차의 두 차륜도 객차가 그에 맞게 설계되었다면 교체할 수 있다.
1944년, LMS는 "진티" 0-6-0 탱크 기관차 한 쌍을 북아일랜드의 궤도 노던 카운티스 위원회 (NCC) 노선에서 사용하도록 궤도를 변경했다. Y급으로 재지정된 이 기관차들은 주로 벨파스트의 조선소 노선에서 셔틀 작업을 수행했다. 궤도 변경은 단순히 바퀴 중심을 반전시켜 스포크가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디젤 기관차는 객차와 유사한 대차를 가지고 있으며, 견인 전동기를 위한 더 많은 케이블이 있고 변환하는 데 시간이 조금 더 걸린다.


다음은 여러 국가의 궤간 변환 사례를 정리한 표이다.
국가 | 위치 | 궤간 (mm) | 설명 |
---|---|---|---|
브레스트 | ↔ | 폴란드 국경 | |
만저우리 | ↔ | 러시아 (자바이칼스크) 국경, 시베리아 횡단 철도 열차 대차 교환 | |
알라산커우 | ↔ | 카자흐스탄 (드루즈바) 국경 | |
두만강 | ↔ | 러시아 국경, 모스크바-평양 간 직통 침대칸 열차 차륜 교환 | |
투르쿠 항 | ↔ | 독일, 스웨덴 발 씨레일 열차 페리 화물 열차 대차 교환 | |
졸파, 사라크스, 자헤단, 바쿠 | ↔ / |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국경 | |
드루즈바 | ↔ | 중국 (알라산커우) 국경 | |
웅게니 | ↔ | 루마니아 국경 | |
안데스 중앙 철도 - 우앙카요-우앙카벨리카 철도 | ↔ | 기관차 포함 | |
바두 시레트, 할메우, 웅게니 | ↔ | 우크라이나, 몰도바 국경 | |
자바이칼스크, 그로데코보, 하산, 홀름스크, 칼리닌그라드 | ↔ / | 중국, 북한, 폴란드 국경, 사할린 섬 | |
이룬, 포르보 | ↔ | 프랑스 국경 | |
초프, 야고딘, 모스티스카 | ↔ | 헝가리, 슬로바키아, 폴란드 국경 |
1898년, 마리엔부르크–Mława 철도 이사이자 훗날 쾨니히리체 테크니셰 호흐슐레 주 단치히 교수가 된 에밀 브라이트슈프레허는[13] 화물을 내릴 필요 없이 궤간이 다른 철도를 횡단하는 화차의 차륜을 교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발명했다. 1901년 9월, 당시 독일-러시아 국경이었던 이워보에 시설이 설치되었다.[14] 이 시스템은 러시아와 표준궤를 사용하는 국가 간의 일부 철도 국경 통과 지점에서 1914년까지 사용되었다.[15] 1938년 현재, 당시 폴란드-소련 국경이었던 즈돌부니우에서 유일한 시설이 운영되었다.[16]
무크란 항구의 대차 교환소는 광궤를 사용하는 러시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를 오가는 열차 페리를 운행한다.
3. 1. 1. 오스트레일리아
표준궤(1435mm)와 광궤(1600mm) 간 궤간 변환을 위해 1961년부터 1995년까지 5개의 대차 교환 센터가 오스트레일리아에 운영되었다.[7] 이와 관련된 모든 화차는 "X"로 끝나는 화차 코드를 가졌으며, QLX영어 화차 100량은 예외였다.대차 교환 센터는 다음과 같았다.
- 멜버른 다이논[7]
- 뉴사우스웨일스 주 앨버리 근처 우동가 (주 경계)[7]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포트 피리[7]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피터버러[7]
- 애들레이드 드라이 크릭 - 가장 최근에 설립되었으며 가장 현대적인 시설[8][9][10]
가장 바쁜 시설은 다이논에 있었으며, 1981-82년에는 하루 평균 66량, 총 24,110량의 화차가 대차 교환되었다. 이는 18명의 1개조 근무자가 수행한 것으로, 같은 양의 화물을 화차 대 화차로 옮기는 데 필요한 100명의 인력과 비교된다.[11]
3. 1. 2. 벨라루스
브레스트에서는 폴란드 국경에서 궤간과 궤간 사이에서 대차 교환이 이루어진다.[29] 이곳에서는 객차를 들어 올려 대차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궤간을 변경한다.
3. 1. 3. 중국
몽골과 러시아 국경 지대에는 대차 교환 역이 설치되어 있다. 모스크바-베이징 간 여객 열차(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화물 열차는 모두 대차를 교환한다.[12] 몽골은 궤간을 사용하고, 중국은 궤간을 사용한다. 자바이칼스크/만저우리의 러시아-중국 국경 통과 지점 동쪽에도 대차 교환 역이 있다.중국과 구소련 국가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연결기(재니 연결기, SA-3)를 사용하므로 어댑터를 사용해야 한다.[12]
3. 1. 4. 북한
두만강역은 러시아와의 국경에 위치해 있으며, Россия|로씨야ru와의 연결을 위해 광궤(1520mm)와 표준궤(1435mm) 간 궤간 변환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17] 모스크바-평양 간 직통 침대칸 열차의 차륜이 이곳에서 교환되며, 이 열차는 한 달에 두 번 운행한다.[17]3. 1. 5. 스페인
프랑스와의 국경 지대에서 표준궤(1435mm)와 광궤(1668mm) 간 궤간 변환이 이루어진다.
3. 1. 6. 기타 국가
투르쿠 항에는 궤도 철로가 짧게 설치된 대차 교환소가 있다. 화물 열차는 대차를 교환한다. 씨레일 열차 페리가 독일과 스웨덴에서 출발한다. 여객 열차는 운송하지 않으며, 여객은 페리 터미널 맞은편에 있는 투르쿠 항 철도역까지 걸어가야 한다. 핀란드는 광궤를 사용한다.- 졸파 - , 와 사이 (러시아 궤간)
- 사라크스 - , 와 사이 (러시아 궤간)
- 자헤단 - 2009, 와 사이 (인도 궤간)
- 바쿠 - 2012, 카스피해의 아미라바드 항구에서 개발 예정, 와 사이 (러시아 궤간)
- 드루즈바, 카자흐스탄 - 알라산커우, 중화인민공화국 간, 궤간 와 사이.
- 웅게니 간의 및 .
- 웅게니-이아시
- 칸테미르-팔치우
- 주르줄레슈티-갈라치
- 두만강, 북한 - 와 (러시아 광궤) 사이로, 러시아와의 국경에 위치해 있다. 모스크바 – 평양 간 직통 침대칸 열차의 차륜이 이곳에서 교환된다. 이 열차는 한 달에 두 번 운행한다.[17]
- 페루의 안데스 중앙 철도와 우앙카요-우앙카벨리카 철도 사이의 및 구간은 기관차를 포함한다. 후자는 현재 이다. 이 궤간 변환은 2010년 10월까지 완료되었다.[18]
- 바두 시레트는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와 사이이다.
- 할메우는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와 사이이다.
- 웅게니는 몰도바 국경에서 와 사이이다.
- 자바이칼스크 (치타, 자바이칼스키 지방에서 450km)와 중국
- 그로데코보 (우수리스크에서 116km, 블라디보스토크에서 224km)와 중국
- 하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블라디보스토크에서 315km).
- 홀름스크, 사할린 섬. 궤간 교환은 러시아 본토 차량이 궤간을 사용하는 사할린 철도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하다.[19]
- 칼리닌그라드
- 이룬, 와 사이
- 포르보, 와 사이
- 와 사이, 기관차 포함
- 초프 (2018년부터는 무카체보에서) 헝가리와 슬로바키아 국경에서 (러시아 철도 궤간)과 간의 대차 교환.
- 야고딘 폴란드 국경에서 (러시아 철도 궤간)과 간의 대차 교환.
- 모스티스카 폴란드 국경에서 (러시아 철도 궤간)과 간의 대차 교환.
- 궤간 변환에 대한 제안이 있다.
4. 궤간 변환 기술의 발전
초기에는 간단한 호이스트나 잭을 사용하여 차량을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대차 교환이 이루어졌다.[1] 1875년에는 증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차량을 들어 올리는 방법이 사용되었다.[2] 이후 차량을 대차에서 들어올려 새 대차에 다시 올려놓는 방식이 사용되었는데, 이 작업에는 열차의 차량을 분리하고 연속 제동 장치를 분리해야 할 수 있었다. 차량을 오버헤드 호이스트로 들어올릴 경우, 차량이 흔들릴 수 있어 안정화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구덩이 안의 트롤리에 대차를 내려놓는 방식은 열차 연결기와 연속 제동 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대차를 단단한 표면에서 빠르게 넣고 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이 방식은 드라이 크릭 기차역에서 사용되었다.[8][9][10]
1961년부터 1995년까지 호주에는 5개의 대차 교환 센터가 있었으며, 궤도 변환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개설 및 폐쇄되었다. 가장 바쁜 시설은 다이논에 있었으며, 1981-82년에는 하루 평균 66량의 화차가 대차 교환되었다.[11]
시간이 지나면서 대차 교환 기술은 자동화되어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5. 대한민국과 궤간 변환
대한민국은 현재 표준궤를 사용하고 있어 궤간 변환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향후 남북철도 연결 및 대륙 횡단 철도와의 연계를 고려할 때 궤간 변환 기술은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다.
북한은 표준궤를 사용하지만 러시아와의 연결을 위해 광궤(1520mm)와의 궤간 변환 설비를 두만강 지역에 갖추고 있다.[17] 따라서 남북 철도 연결 시 궤간 변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남북 경제 협력 및 유라시아 대륙 철도 연결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궤간 변환 문제는 핵심적인 기술적 과제로 대두될 수 있다. 따라서 궤간 변환 기술 개발 및 관련 인프라 구축에 대한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 중국, 북한 간 국경 지역의 궤간 변환소는 다음과 같다.
국가 | 위치 | 비고 |
---|---|---|
자바이칼스크 (치타, 자바이칼스키 지방에서 450km) | ||
그로데코보 (우수리스크에서 116km, 블라디보스토크에서 224km) | ||
하산 (블라디보스토크에서 315km) |
6. 궤간 변환의 장단점
궤간 변환은 서로 다른 궤간을 가진 철도 노선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물류 및 여객 운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브레스트, 투르쿠 항, 무크란 항구, 바두 시레트, 할메우, 웅게니, 초프, 야고딘, 모스티스카 등에서는 궤간 변환을 통해 국가 간 철도 운송이 이루어지고 있다.[13][14][15][16]
하지만 궤간 변환에는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변환 과정에서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보기 객차의 경우, 대차를 들어 올려 교체하는 방식으로 궤간을 변경하는데, 이 때 대차를 고정하는 핀, 브레이크용 호스, 부속품 등이 호환되어야 하며, 각 궤간의 대차를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또한, 대차와 객차는 효율적인 궤간 변환을 위해 표준화된 후크 등을 갖춰야 한다. 4륜 객차의 두 차륜도 객차가 그에 맞게 설계되었다면 교체할 수 있다.
19세기 말, 마리엔부르크–Mława 철도 이사이자 훗날 그단스크 공과대학교 교수가 된 에밀 브라이트슈프레허는 화물을 내릴 필요 없이 차륜을 교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발명하여 궤간 변환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13][14][15][16]
참조
[1]
특허
Improvement in Apparatus for Lifting Locomotives, Trucks, and Railroad Cars
1871-05-02
[2]
특허
Improvement in Railway-Car Lifters
1875-09-25
[3]
문서
Catch Point - November 2007 - p35 - picture of lowering method
[4]
특허
Improvement in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Car-Bodies and Trucks
1873-06-10
[5]
특허
Apparatus for Changing Car-Trucks
1882-10-03
[6]
특허
Car and Freight Transfer Apparatus
1884-09-02
[7]
보고서
A Study of Port Pirie Bogie Exchange
https://www.bitre.go[...]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1977-02-02
[8]
웹사이트
Railway Gauges
http://www.trainweb.[...]
2022-11-11
[9]
웹사이트
Ian Patterson & Partners: About
http://www.patto.com[...]
2022-11-11
[10]
서적
Technology in Australia 1788–1988
https://www.austehc.[...]
Australian Science and Technology Heritage Centre
1988
[11]
서적
The Railways of Victoria 1854–2004
Melbourne University Publishing Ltd
2007-08-01
[12]
특허
Adaptor device for coupling railway vehicles having different types of couplers
[13]
서적
Księga Jubileuszowa z okazji 10-lecia kształcenia na kierunku Transport
https://wilis.pg.edu[...]
Fundacja Rozwoju Inżynierii Lądowej
2016-10
[14]
학술지
Urządzenie do przestawiania wozów kolejowych z torów o szerokości normalnej na tory szerokie (rossyjskie) i odwrotnie, bez przeładowywania towarów
https://bcpw.bg.pw.e[...]
1902-10-23
[15]
서적
Drogi żelazne
https://bcpw.bg.pw.e[...]
Komisja Wydawnicza T-wa Bratniej Pomocy Studentów Politechniki Warszawskiej
1925
[16]
학술지
Breidsprecher break of gauge device
http://vaunut.org/ke[...]
1938-06-15
[17]
웹사이트
36 hours in North Korea without a guide...
http://vienna-pyongy[...]
2013-03-09
[18]
잡지
Trains (magazine)
2009-03
[19]
웹사이트
Сахалинская узкоколейн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The narrow-gauge railways of Sakhalin)
http://sbchf.narod.r[...]
[20]
서적
The South Western Reporter Vol. 66
https://books.google[...]
West
1902
[21]
서적
A Southern Pacific Railroad, in Southwestern Pacific Railroad
https://books.google[...]
C. E. Ware & Co.
1875
[22]
서적
East Broad Top Railroad
https://books.google[...]
Arcadia, Charleston SC
2008
[23]
웹사이트
East Broad Top Prepares for a Big 2021
http://railfan.com/e[...]
2021-01-26
[24]
학술지
The Urbana Hoist, American Railroad Journal, Vol. XXXIII
https://books.google[...]
American Railroad Journal
1877-01-06
[25]
서적
The Decline in Railroad Construction, Editorial, American Railroad Manual
https://books.google[...]
New York
1874
[26]
학술지
Our Next-Door Neighbor, The Inland Printer, Vol. VII
https://books.google[...]
The Inland Printer
1890-04
[27]
보고서
Improvements at North Danville, General Manager's Report,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Stockholders of the Virginia Midland Railway Company
https://books.google[...]
Alexandria
1882
[28]
학술지
Titus v. Bradford, Bordell & Kinzua Railroad Company, Lancaster Law Review, Vol. VIII
https://books.google[...]
Lancaster Law Review
1891-02-16
[29]
웹사이트
Train timetable
http://rasp.rw.by/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